KR102486475B1 - Apparatus and method of sensing liquid inflow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sensing liquid inflow for electronic control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6475B1 KR102486475B1 KR1020160047851A KR20160047851A KR102486475B1 KR 102486475 B1 KR102486475 B1 KR 102486475B1 KR 1020160047851 A KR1020160047851 A KR 1020160047851A KR 20160047851 A KR20160047851 A KR 20160047851A KR 102486475 B1 KR102486475 B1 KR 1024864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pad
- control unit
- electronic control
- liqu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유입을 감지하여 유입된 액체에 기인하는 전자기기의 기능저하 및 기능상실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제1패드와, 제2패드와, 전압 감지부를 포함한다. 제1패드는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패드는 기판의 일면에서 제1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압 감지부는 제1패드와 제2패드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전압 감지부는 제1패드와 제2패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제1패드와 제2패드가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can detect the inflow of liquid from the brake system of a vehicle and prevent the malfunction and loss of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s caused by the inflow of liquid. It includes a first pad, a second pad, and a voltage sensing unit. The first pad is formed on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The second pad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he voltage detector detects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Specifically, the voltage sensor detects the first voltage in a state where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re open, and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liquid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 second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is det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유입을 감지하여 유입된 액체에 기인하는 전자기기의 기능저하 및 기능상실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and a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ct liquid inflow from a brake system of a vehicle to prevent malfunction of electronic devices due to the inflow of liquid. and a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and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capable of preventing malfunction.
일반적으로,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가진 액추에이터와, 오일을 저장하는 레저버와, 밸브와 연결되는 유압조정유닛(Hydraulic Control Unit, HCU)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ECU)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general, a brake system of a vehicle includes an actuator having a motor generating braking force, a reservoir storing oil, a hydraulic control unit (HCU) connected to a valv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HCU) for controlling it. Electronic Control Unit (ECU), etc.
여기서, 전자제어유닛은 전자회로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 MCU)과, 다수의 센서인터페이스와, 모터드라이브와, 통신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may be composed of an electronic circuit, a micro control unit (MCU), a plurality of sensor interfaces, a motor drive, a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이와 같은 전자제어유닛은 밸브의 누수 또는 전자제어유닛 자체의 실링이 파손되면서 오일과 같은 액체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In such an electronic control unit, liquid such as oil may flow into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hen a valve leaks or a seal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tself is damaged.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면 전자제어유닛의 구성요소들이 오염됨과 동시에 부식되어 손상될 수 있는데, 특히 전자회로와 같은 구성요소는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전기 소자들이 유입된 오일와 같은 액체에 의해새 부식되면서 전자제어유닛이 손상될 수 있다.When liquid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an be contaminated and corroded and damaged. New corrosion can damag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이로 인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전기 소자들이 부식되면서 과전류가 발생할 수 있고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 될 수 있으며 차량화재와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Due to this, the electronic control unit may cause overcurrent as electrical elements are corroded, the temperature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and an accident such as a vehicle fire may occur. Accordingly, a problem of deteriorating driving safety may occu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and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imed at the following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전자제어유닛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를 감지하고 이를 경고함으로써,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운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o provide a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and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can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while driving and improve driving safety by detecting and warning liquid flowing into the inside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ere is.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를 감지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이며,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하는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한다.A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detects liquid flowing in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brake system of a vehicle, and is formed on a substrate, a first 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a second pa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 voltage detector detect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wherein the voltage detector detects a first voltage in an open state of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 A second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liquid introduced in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mparison unit that compares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ion unit.
상기 비교부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unit outputting a warning signal for warning an abnormal stat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compared by the comparison unit.
상기 경고부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ut-off unit that cuts off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hen a warn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warning unit.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I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the substrate is accommodated, and the substrate may be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가 모아지는 액체수용부에 배치될 수 있다.It may include a housing in which the substrate is accommodated, and the substrate may be recess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by a predetermined depth and disposed in a liquid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liquid flowing into the housing is collected.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I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the substrate is accommodated, and the substrate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on a lowermost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I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the substrate is accommodated, and the substrate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a lowermost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제1패드와 제2패드는 바닥면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formed on the substrate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or different heights from the bottom surface.
상기 기판에 접하는 액체가 잔류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일정길이의 요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는 상기 요홈의 양단에 각각 구비할 수 있다.A concave groove of a certain length is recessed to a certain depth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so that liquid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remains, and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cave gro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유입 감지방법이며,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하는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상기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detecting liquid inflow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detecting liquid inflow flowing in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brake system of a vehicle,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formed on a substrate a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a first pad electrically connected; a second pa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 voltage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detecting a first voltage in an open state of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nd detect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detecting a second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a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ad by the liquid introduced in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liquid has flowed in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based on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or.
상기 제1전압과 상기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로부터 상기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detecting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comparing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from a comparison unit that compares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ion unit; can include
상기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비교부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에서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더 포함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In a warning unit outputting a warning signal for warning an abnormal stat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compared by the comparison unit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tate in which the liquid has flowed in. outputting the warning signal;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경고부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
After outputting the warning signal, if the warn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warning unit, cutting off the power from a cut-off unit that cuts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은 전자제어유닛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실시간으로 감지함으로써, 액체유입감지시 전자제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과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and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inflow of liquid in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n real time, thereby cutting off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hen the liquid inflow is detect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overcurrent can be obtained.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는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prevent an accident such as a fire from occurring,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securing driving safety.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의 비교부, 경고부, 차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of FIG. 1;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mparison unit, a warning unit, and a blocking unit of 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of FIG. 1;
4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easily understand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의 비교부, 경고부, 차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of FIG. 1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parison unit, a warning unit, and a blocking unit of 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of FIG. 1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100)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유입을 감지하여 유입된 액체에 기인하는 전자기기의 기능저하 및 기능상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써, 제1패드(110), 제2패드(120), 전압 감지부(130), 비교부(140), 경고부(150) 및 차단부(160)를 포함한다.1 to 3, the
상기 제1패드(110)는 기판(10)의 일면에 형성되고, 그라운드(G)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재이다. The
본 실시예에서, 기판(10)은 경성 또는 연성의 인쇄회로기판(PCB)이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제1패드(110)는 기판(10)의 일면에 패턴인쇄 또는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rigid 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PCB) may be selectively employed as the
여기서, 그라운드(G)는 기판(10)에 형성되거나 또는 기판(10)의 외부에 형성되어 제1패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외부를 외부로 흘려보낼 수 있는 접지부이다. Here, the ground (G) is a ground portion formed on the
상기 제2패드(120)는 기판(10)의 일면에서 제1패드(110)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재이다.The
제2패드(120)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일정 세기의 전압을 인가받게 되며, 기판(10)상에 제1패드(11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제1패드(110)와 마찬가지로 패턴인쇄 되거나 도금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기판(10)은 전자제어유닛(100)에서 다양한 전기소자를 포함하는 전장품이 내장되는 하우징(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일 실시예로, 기판(10)은 전자제어유닛(100)의 하우징(10) 바닥면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기판(10)은 하우징(2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즉, 기판(10)이 하우징(20)의 바닥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 전자제어유닛(100)의 하우징(20)내부로 유입되는 액체는 하우징(20)의 바닥면에서부터 서서히 차오르기 때문에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하우징(20)의 최저면에 위치하는 기판(10)에 접하면서 전압 감지부(130)에 의한 감지를 액체의 유입 초기에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또한, 기판(10)이 하우징(2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하우징(20)의 최저면에 대하여 일정높이에 이격배치됨에 따라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바닥면에서부터 서서히 차오르게 되면서 일정수위 이상일 때 전압 감지부(130)에 의한 감지를 액체의 유입 초기 이후에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그리고, 하우징(20) 내부에 유입되는 액체의 수위에 따라 액체 유입을 감지할 수 있는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 time for detecting the inflow of the liquid may be se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iquid flowing into the
여기서, 기판(10)은 하우징(20)의 최저면 바닥면에 함몰형성되어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가 모아지는 액체 수용부(미도시)에 배치됨으로써 기판(10)에 형성된 제1,2패드(110, 120)과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간의 접촉에 의한 감지작동을 보다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또한,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기판(10)에 접하여 잔류하도록 기판(10)의 일면에 일정길이 함몰형성되는 요홈(미도시)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하우징(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가 요홈에 채워지게 되어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에 의한 전압 감지부(130)의 감지를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때,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기판(10)의 일면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전압 감지부(130)는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한다.The
구체적으로, 전압 감지부(130)는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단락된 상태에서 제1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한다.Specifically, the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제어유닛(100)의 하우징(20)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전자제어유닛(100)은 정상 상태이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개방된 상태로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이들 사이에서 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1, when liquid does not flow into the
도 2를 참조하면, 반대로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하우징(20)의 내부에 오일이나 물과 같은 액체가 유입된 경우, 전자제어유닛(100)은 비정상 상태이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내부유입된 액체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이들 사이에 일정 저항(R)이 발생하면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on the contrary, when liquid such as oil or water flows into the
즉, 전자제어유닛(100)의 하우징(20) 내부로 액체가 유입됨으로써,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형성된 기판에 액체가 접해지거나 유입되는 액체에 침지하게 되면,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는 액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일정 저항(R)이 발생하게 되고,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에서 과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iquid is introduced into the
이때, 제1,2패드(110, 120)사이를 흐르게 되는 전류는 그라운드(G)를 통하여 외부로 흘려보내게 된다.At this time, the current flowing between the first and
상기 비교부(140)는 전압 감지부(130)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한다.The
구체적으로, 비교부(140)에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한 결과 제1전압은 제2전압보다 큰 전압값이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비교결과에 따라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조기에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고 전자제어유닛(100)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in the
상기 경고부(150)는 비교부(140)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간의 비교에 의해서 비교결과값을 기초하여 전자제어유닛(100)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The
예를 들어, 경고부(150)에서 경고등으로 경고 신호를 출력하면 차량의 운전자가 경고등을 통해 전자제어유닛(100)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상기 차단부(160)는 경고부(150)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근거로 하여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When a warn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여기서, 차단부(160)는 경고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경과 후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Here, the blocking
이와 같이, 비교부(140), 경고부(150), 차단부(160)는 전자제어유닛(100) 내부의 액체 유입을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경고하며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수단(A)이 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하여 하우징(20)의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Meanwhile, FIG. 4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a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의 도 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부재들과 동일한 부재번호에 의해 지칭되는 부재들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써, 그들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FIG. 4 of the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mbers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bers as the members shown in FIGS. 1 to 3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of them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은 제1전압과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S100)와,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단계(S200)와,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300)와,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400)와,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A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cting a first voltage and a second voltage (S100), comparing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S200), It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an introduced state (S300), a step of outputting a warning signal (S400), and a step of cutting off power (S500).
제1전압과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S100)는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단락된 상태에서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한다.In the step of detecting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S100), the first voltage is detected while the
구체적으로, 전압 감지부(130)를 통해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가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단락된 상태에서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한다.Specifically, the first voltage is detected through the
전자제어유닛(100)의 하우징(20)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지 않는 정상 상태의 경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는 개방된 상태로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에서 전류가 발생하지 않는다.In a normal state in which liquid does not flow into the
반대로, 하우징(2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비정상 상태의 경우,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에서 일정 저항(R)이 발생하면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Conversely, in the case of an abnormal state in which liquid flows into the
즉,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됨으로써,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에서 액체에 의해 일정 저항(R)이 발생하게 되며, 전압 검출부(130)를 통해 제1전압과 제2전압을 검출한다.That is, as the liquid flows into the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단계(S200)는 제1전압과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S100) 이후, 전압 감지부(130)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140)로부터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한다.The step of comparing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S200) is to compare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detected by the
비교부(140)에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며, 비교부(140)를 통해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한 결과 제1전압은 제2전압보다 큰 전압값이 검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300)는 전압 감지부(130)로부터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에 기초하여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한다.In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the liquid has been introduced, the state in which the liquid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즉, 전압 감지부(130)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부(140)를 통해 비교한 후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감지하고, 전자제어유닛(100)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한다.That is, after comparing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detected by the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400)는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비교부(140)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전자제어유닛(100)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150)에서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In the step of outputting a warning signal (S400),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liquid has flowed in, the
구체적으로, 비교부(140)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경고부(150)는 전자제어유닛(100)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Specifically,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compared by the
이에 따라, 경고부(150)에서 경고등으로 경고 신호를 출력하면 차량의 운전자가 경고등을 통해 전자제어유닛(100)에 이상이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500)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 경고부(150)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160)로부터 전원을 차단한다.In the step of cutting off the power (S500), after the step of outputting the warning signal, when the warn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차단부(160)는 경고부(150)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The blocking
이때, 차단부(160)는 경고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경과 후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At this time, the blocking
결과적으로,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면 제1패드(110)와 제2패드(120) 사이의 제1전압과 제2전압을 검출하고,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여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감지한다. 액체의 유입을 감지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정상 상태를 알리며,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liquid flows into the
이와 같이, 전자제어유닛(1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전자제어유닛(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며 과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by detecting the inflow of liquid into the
이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는 화재와 같은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prevent an accident such as a fire,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improving driving safety.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수 것이다.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merely illustrate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ll modifications and specific example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10 : 기판
20 : 하우징
110 : 제1패드
120 : 제2패드
130 : 전압 감지부
140 : 비교부
150 : 경고부
160 : 차단부10: Substrate
20: housing
110: first pad
120: second pad
130: voltage sensing unit
140: comparison unit
150: warning part
160: blocking unit
Claims (14)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하는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압 감지부는,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In 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or detecting the liquid flowing in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rake system of the vehicle,
a first pad formed on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a second pa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 voltage detector detect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The voltage sensor,
detecting a first voltage wh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re open;
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etecting a second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liquid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or.
상기 비교부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According to claim 2,
A warning unit outputting a warning signal to warn an abnormal stat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compared by the comparison unit;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
상기 경고부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cut-off unit for cutting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hen the warn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warning unit.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the substrate is accommodated,
The substrate is a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가 모아지는 액체수용부에 배치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the substrate is accommodated,
The substrate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disposed in a liquid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liquid flowing into the housing is collected.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the substrate is accommodated,
The substrate is a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isposed horizontally on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상기 기판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 최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t includes a housing in which the substrate is accommodated,
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herein the substrate is vert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lowest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상기 기판에 형성되는 제1패드와 제2패드는 바닥면으로부터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liquid inflow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herei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formed on the substrate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or different heights from the bottom surface.
상기 기판에 접하는 액체가 잔류하도록 상기 기판의 일면에 일정깊이 함몰형성되는 일정길이의 요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는 상기 요홈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liquid inflow detection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including a groov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recess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liquid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remains, and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groove Device.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기판에 형성되고,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패드;
상기 기판의 일면에서 상기 제1패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 사이의 전압차를 검출하는 전압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제2패드가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유입된 액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압보다 낮은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 감지부로부터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내부에 상기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
In the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rake system of the vehicl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 first pad formed on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a second pad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nd
A voltage detector detect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 first voltage is detected when the first pad and the second pad are open, and the first voltag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ad by the liquid introduced in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detecting a second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voltage; and
and determining whether the liquid has flowed in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based on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or.
상기 제1전압과 상기 제2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전압 감지부에서 검출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로부터 상기 제1전압과 제2전압을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
According to claim 11,
After detecting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Comparing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from a comparison unit that compares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ion unit;
상기 액체가 유입된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
상기 비교부로부터 비교된 제1전압과 제2전압의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비정상 상태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부에서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
According to claim 12,
Af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tate in which the liquid has flowed in,
outputting a warning signal from a warning unit outputting a warning signal for warning an abnormal state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compared by the comparison unit;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경고부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방법.
According to claim 13,
After the step of outputting the warning signal,
The liquid inflow detection method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cutting off the power from the cut-off unit for cutting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hen the warning signal is output from the warn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7851A KR102486475B1 (en) | 2016-04-19 | 2016-04-19 | Apparatus and method of sensing liquid inflow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7851A KR102486475B1 (en) | 2016-04-19 | 2016-04-19 | Apparatus and method of sensing liquid inflow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9593A KR20170119593A (en) | 2017-10-27 |
KR102486475B1 true KR102486475B1 (en) | 2023-01-09 |
Family
ID=6030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7851A Active KR102486475B1 (en) | 2016-04-19 | 2016-04-19 | Apparatus and method of sensing liquid inflow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647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64542A1 (en) | 2017-03-09 | 2018-09-13 | (주)엘지하우시스 | Polylactic acid 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KR102766232B1 (en) * | 2019-10-24 | 2025-02-12 |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 Leak detecting device of brake system |
WO2022050741A1 (en) * | 2020-09-02 | 2022-03-10 | 주식회사 만도 | Device for sensing liquid flowing into housing of electronic control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8033A (en) * | 1996-12-17 | 1998-09-15 | 양재신 | Brake Oil Residual Indicator |
KR19990020817A (en) | 1997-08-30 | 1999-03-25 | 박병재 | Warning device to prevent leakage of brake oil |
KR100405558B1 (en) * | 2001-09-17 | 2003-11-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break oil insufficiency warning system of vehicle |
KR100865940B1 (en) * | 2007-03-28 | 2008-10-30 | 키스트 유럽 에프게엠베하 | Brake oil monitoring sensor and brake oil monitoring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
-
2016
- 2016-04-19 KR KR1020160047851A patent/KR10248647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9593A (en) | 2017-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86475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sensing liquid inflow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
CN111204205A (en) | Safety device for battery | |
EP1947451B1 (en) | Urea sensor | |
JP6148286B2 (en) | Substrate corrosion detection circuit and motor driv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20180017462A1 (en) | Fluid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head device for moisture detection, in particular in containers for fluid-sensitive electrical and/or electronic components in road vehicles | |
KR10252991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water-inflow of battery system, vehicle system | |
US9502196B2 (en) | Impact switch | |
US20130036814A1 (en) | Fluid reservoir for a motor vehicle hydraulic brake system | |
US11850539B2 (en) | Fuel filter device | |
KR20130111344A (en) | Threshold condition indication in vehicle fuel system | |
CN112067201B (en) | Steering device for motor vehicle | |
WO2016124800A1 (en) | Method for measuring the presence of water in gas oil filters and water sensor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 |
JP2016200597A (en) | Sensor, driver component with sensor, driver with driver component,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 |
KR10215263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onmigration | |
JP2017166694A (en) | Fluid pressure op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reduction in oil liquid level that may occur at fluid pressure operation system for vehicle transmission in particular | |
WO2016111866A1 (en) | Steering system water sensor | |
JP2015159159A (en) | Semiconductor liquid-cooled module | |
KR102142653B1 (en) | Lamp Faul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 |
KR101887030B1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cooling fan of vehicle | |
KR20250041328A (en) | Electric control unit for sensing inflow liquid by water level and method for diagnosing thereof | |
US20230273086A1 (en) | Device for sensing liquid flowing into housing of electronic control device | |
KR100868058B1 (en) | Safety Diagnosis Device for Detecting Crack Locations in Tunnels | |
JP2005189036A (en) | Oil level detector | |
KR101428294B1 (en) | Integrated sensor for vehicles | |
JP2006308422A (en) | Onboard semiconductor sen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3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4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