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자 기기에서는, 정보량의 증가 및 통신 속도의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다. 플로팅 구조를 이용한 커넥터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대용량 또한 고속 전송에 대응한 설계가 요구된다.
상기 서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특성 임피던스의 이상값(理想値)의 일례로서 100Ω가 상정되고 있다. 그러나, 고속 전송의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낮은 특성 임피던스의 이상값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서는, 충분한 전송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에 의하면,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전송 특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1 내지 도 9, 도 13, 도 16a 내지 도 16d에 있어서, 상이한 도면끼리 서로 정합하고 있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11 및 도 12끼리 서로 정합하고 있다. 각 화살표의 방향은, 도 14 및 도 15끼리 서로 정합하고 있다. 도면에 따라서는, 간편한 도시(圖示)를 목적으로 하고, 회로 기판(CB1 및 CB2)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접속된 상태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분리된 상태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접속 대상물(60)은 플러그 커넥터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접속되는 접속 상태에서,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되는 커넥터(10)를 리셉터클 커넥터로 하고, 콘택트(90)가 탄성 변형되지 않는 접속 대상물(60)을 플러그 커넥터로 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가 플러그 커넥터의 역할을 하고, 접속 대상물(60)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역할을 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1 및 CB2)에 각각 실장되고, 일례로서 이들에 대하여 서로 수직 방향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일례로서 상하 방향을 따라 접속된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접속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1 및 CB2)에 대하여, 각각 평행 방향으로 접속되어도 되고, 일방이 수직 방향, 타방이 평행 방향에 의한 조합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회로 기판(CB1 및 CB2)은, 리지드 기판이어도 되고, 또는 그 이외의 임의의 회로 기판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CB1 또는 CB2)은,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FPC)이어도 된다.
이하의 설명 중에서 사용하는 「감합 방향」은, 일례로서 상하 방향을 포함한다. 「감합측」은, 일례로서 상측을 포함한다. 「콘택트(50)의 배열 방향」은, 일례로서 좌우 방향을 포함한다. 「콘택트(50)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은, 일례로서 전후 방향과 전후 방향에 근사하는 방향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10)는, 플로팅 구조를 가지고 있다. 커넥터(10)는, 접속되어 있는 접속 대상물(60)의 회로 기판(CB1)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접속 대상물(60)은, 커넥터(10)와 접속되어 있는 상태라도, 회로 기판(CB1)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10)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커넥터(10)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 화살선을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3의 V-V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한 쌍의 콘택트(5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부의 확대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큰 구성 요소로서, 제 1 인슐레이터(20)와, 제 2 인슐레이터(30)와, 금구(40a)와, 차폐 부재(40b)와, 콘택트(50) 를 가진다. 커넥터(10)는, 일례로서 이하의 방법으로 조립된다.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금구(40a)를 압입한다. 금구(40a)가 압입된 제 1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제 2 인슐레이터(30)를 배치한다.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콘택트(50)를 압입한다.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차폐 부재(40b)를 압입한다.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주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각통 형상의 부재이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중공이며, 상면 및 하면에 개구(21a 및 21b)를 각각 가진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4개의 측면으로 구성되고, 내부의 공간을 둘러싸는 외주벽(22)을 가진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외주벽(22)의 좌우 양단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제 1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금구 장착홈(23)을 가진다. 금구 장착홈(23)에는, 금구(40a)가 장착된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외주벽(22)의 좌우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마련되어 있는 계합부(係合部)(24)를 가진다. 계합부(24)에는, 차폐 부재(40b)가 장착된다.
제 1 인슐레이터(20)는, 외주벽(22)의 전면 및 후면의 하측 가장자리부로부터 하면 및 내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장착홈(25)을 가진다. 복수의 콘택트 장착홈(25)은,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콘택트 장착홈(25)은, 제 1 인슐레이터(20)의 내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콘택트 장착홈(25)에는, 복수의 콘택트(50)가 각각 장착된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전방으로부터의 정면시에 있어서 대략 凸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하부를 구성하는 바닥부(31)와, 바닥부(3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접속 대상물(60)과 감합하는 감합 볼록부(32)를 가진다. 바닥부(31)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감합 볼록부(32)보다 길다. 바꿔 말하면, 바닥부(31)의 좌우 양단부는, 감합 볼록부(32)의 좌우 양단부보다 각각 외방으로 돌출된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감합 볼록부(32)의 상면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감합 오목부(33)를 가진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감합 볼록부(32)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걸쳐 감합 오목부(3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유인부(34)를 가진다. 유인부(34)는, 감합 볼록부(32)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 비스듬히 내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장착홈(35)을 가진다. 복수의 콘택트 장착홈(3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콘택트 장착홈(35)의 하부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전면 및 후면 각각의 하부가 오목하게 마련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장착홈(35)의 중앙부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장착홈(35)의 상부는, 감합 오목부(33)의 전후 방향의 양 내면 각각이 오목하게 마련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콘택트 장착홈(35)에는, 복수의 콘택트(50)가 각각 장착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30)는, 감합 오목부(33)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내부에서 연장되는 벽부(36)를 가진다. 벽부(36)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제 2 인슐레이터(30)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콘택트(50)의 사이에 위치한다. 벽부(36)는, 한 쌍의 콘택트(50) 각각과 대향한다. 벽부(36)의 상부는, 가장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벽부(36)의 중앙부 및 하부는, 상부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벽부(36)의 전면 및 후면은, 콘택트 장착홈(35)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 장착홈(35)의 중앙부는, 벽부(36)의 중앙부 및 상부의 폭의 변화에 따라, 하측보다 상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좁은 폭이다.
금구(40a)는, 임의의 금속 재료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 4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금구(40a)는 금구 장착홈(23)에 압입되어, 제 1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단부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금구(40a)는, 좌우 방향으로부터의 정면시에 있어서, 각각 대략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금구(40a)는, 그 전후 양측의 하단부에 있어서, 대략 U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실장부(41a)를 가진다. 금구(40a)는, 그 상하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부(42a)를 가진다. 금구(40a)는, 연속부(42a)에 있어서, 전후 방향 대략 중앙의 하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내방을 향해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빠짐 방지부(43a)를 가진다. 빠짐 방지부(43a)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억제한다. 금구(40a)는, 그 전후 양측의 상단부에 있어서,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계지(係止)하는 계지부(44a)를 가진다.
차폐 부재(40b)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임의의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도 4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차폐 부재(40b)는, 금속제여도 되고, 수지재를 포함하여 표층에 전기 전도성을 가져도 된다. 차폐 부재(40b)는, 동일 형상으로 한 쌍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차폐 부재(40b)는, 계합부(24)에 압입되어,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를 전후 좌우 방향으로부터 둘러싼다.
차폐 부재(40b)는, 상하 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좌우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 1 차폐부(41b)를 가진다. 제 1 차폐부(41b)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전후 방향의 외면의 대략 전체를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차폐 부재(40b)는, 제 1 차폐부(41b)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 각각으로부터 굴곡지면서 전후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차폐부(42b)를 가진다. 제 2 차폐부(42b)는, 전후 방향으로 폭을 가진다. 제 2 차폐부(42b)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측면 각각의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차폐 부재(40b)는, 제 1 차폐부(41b)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중앙부 전체로부터 대략 역(逆)U자 형상으로 내측으로 굴곡지는 제 1 굴곡부(43b)를 가진다. 제 1 굴곡부(43b)는, 제 1 차폐부(41b)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다. 차폐 부재(40b)는, 제 2 차폐부(42b)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대략 전체로부터 대략 역U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굴곡지는 제 2 굴곡부(44b)를 가진다. 제 2 굴곡부(44b)는, 제 2 차폐부(42b)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차폐 부재(40b)는, 제 2 차폐부(42b)의 내단부에 있어서 하방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 돌출되는 계합부(45b)를 가진다. 계합부(45b)가 제 1 인슐레이터(20)의 계합부(24)에 계합됨으로써, 차폐 부재(40b)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고정된다. 차폐 부재(40b)는, 제 1 차폐부(41b)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좌우 양단 각각으로부터 대략 L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실장부(46b)를 가진다. 차폐 부재(40b)는, 제 1 차폐부(41b)의 외면이 좌우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융기함으로써 형성되고 있는 융기부(47b)를 가진다.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 구리, 혹은 티탄 구리를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콘택트(50)의 전체 형상은, 펀칭 가공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콘택트(50)는, 탄성 변형에 따른 형상 변화가 커지도록, 탄성 계수가 작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5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下地)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는,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에 장착되어 있다. 동일한 좌우 위치에 배열되는 한 쌍의 콘택트(50)는, 콘택트(50)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대칭적으로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콘택트(50)는, 그 사이의 중심을 지나는 상하축에 대하여 서로 대략 선대칭이 되도록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5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제 1 인슐레이터(20)에 의해 지지되는 기부(基部)(51)를 가진다. 콘택트(50)는, 기부(5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계지하는 계지부(52)를 가진다. 계지부(52)는, 후술하는 제 1 광폭부(51a)보다 감합측에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52)는, 기부(51)의 하단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계지된다. 기부(51) 및 계지부(52)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콘택트 장착홈(25)에 수용되어 있다. 콘택트(50)는, 계지부(52)의 하단부의 외측으로부터 대략 L자 형상으로 외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실장부(53)를 가진다.
콘택트(50)는, 기부(51)의 일부를 구성하고, 제 1 인슐레이터(20)측에 위치하는 제 1 광폭부(51a)를 가진다. 제 1 광폭부(51a)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내측에 있어서 외주벽(22)의 내면을 따라 위치한다. 제 1 광폭부(51a)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직접 계지하고 있지 않아, 계지부(52)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계지함으로써 지지된다. 제 1 광폭부(51a)는, 후술하는 제 1 탄성부(54a)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광폭부(51a)는, 제 1 탄성부(54a)의 외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제 1 탄성부(54a)와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광폭부(51a)는, 제 1 인슐레이터(20)를 따른 콘택트(50)의 다른 부분보다, 콘택트(50)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2 인슐레이터(30)측으로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광폭부(51a)는, 기부(51)의 다른 부분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한 단계 내측으로 돌출된다. 제 1 광폭부(51a)는, 기부(51)의 다른 부분보다 전후 방향으로 넓은 폭이다. 마찬가지로, 제 1 광폭부(51a)는, 제 1 탄성부(54a)보다 넓은 폭이다. 이와 같이, 제 1 광폭부(51a)는, 전체적으로 기부(51)의 다른 부분 및 제 1 탄성부(54a)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광폭부(51a)는, 기부(51)의 다른 부분 및 제 1 탄성부(54a)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광폭부(51a)는, 기부(51)의 다른 부분 및 제 1 탄성부(54a)보다 낮은 특성 임피던스를 가진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는, 제 1 광폭부(51a)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51b)를 가진다. 좌우 방향의 일방의 외면에서는, 요철부(51b)는,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를 전후 양측으로부터 볼록부가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반대로, 좌우 방향의 타방의 외면에서는, 요철부(51b)는,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를 전후 양측으로부터 오목부가 사이에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51b)는, 콘택트(50)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콘택트 장착홈(25)의 표면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펀칭 가공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콘택트(50)의 좌우 방향을 따른 비틀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콘택트(50)는, 좌우 방향으로 좁은 폭이라도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 경우라도, 콘택트(50)에 가해지는 좌우 방향의 비틀림이 억제된다.
콘택트(50)는, 기부(51)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탄성부(54a)를 가진다. 제 1 탄성부(54a)는, 기부(51)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 돌출된 후,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굴곡지고, 그대로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제 1 탄성부(54a)는, 그 내측의 단부에 있어서 하방을 향해 다시 굴곡지고, 후술하는 중간부(54b)의 상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탄성부(54a)는, 기부(51) 및 제 1 광폭부(51a)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제 1 탄성부(54a)는, 탄성 변위하는 부분을 조정할 수 있다.
콘택트(50)는, 제 1 탄성부(54a)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중간부(54b)를 가진다. 중간부(54b)는, 전체적으로 제 1 탄성부(54a)보다 넓은 폭이고, 즉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 1 탄성부(54a)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진다. 중간부(54b)는,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감합 방향으로 연장된다.
중간부(54b)는, 상부를 구성하는 제 1 조정부(54b1)와, 중앙부를 구성하는 제 2 조정부(54b2)와, 하부를 구성하는 제 3 조정부(54b3)를 가진다. 제 1 조정부(54b1)의 상단부는, 제 1 탄성부(54a)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조정부(54b1)는, 제 1 탄성부(54a)보다 단면적이 크다. 제 1 조정부(54b1)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조정부(54b2)보다 한 단계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2 조정부(54b2)는, 제 1 조정부(54b1)보다 단면적이 작고 또한 제 1 탄성부(54a)보다 단면적이 크다. 예를 들면, 제 2 조정부(54b2)는, 제 1 조정부(54b1)보다 전후 방향으로 좁은 폭이고, 또한 제 1 탄성부(54a)보다 전후 방향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조정부(54b3)는, 제 2 조정부(54b2)보다 단면적이 크다. 제 3 조정부(54b3)는,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조정부(54b2)보다 한 단계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중간부(54b)는, 제 1 조정부(54b1) 및 제 3 조정부(54b3)에 있어서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고, 제 2 조정부(54b2)에 있어서 이들보다 낮은 전기 전도성을 가진다. 제 1 조정부(54b1)와 제 3 조정부(54b3)는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조정부(54b1)와 제 3 조정부(54b3)는, 중간부(54b)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략 점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50)는, 제 3 조정부(54b3)의 하단부로부터 제 2 인슐레이터(30)까지 연장 돌출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제 2 탄성부(54c)를 가진다. 제 2 탄성부(54c)는, 제 3 조정부(54b3)의 하단부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을 향해 굴곡지고, 그대로 직선적으로 연장된다. 제 2 탄성부(54c)는,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다시 굴곡지고, 후술하는 제 2 광폭부(55)의 외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제 2 탄성부(54c)는, 제 1 탄성부(54a)와 마찬가지로 중간부(54b)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 의해, 제 2 탄성부(54c)는, 탄성 변위하는 부분을 조정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는,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는, 감합 방향을 따라 감합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중간부(54b)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중간부(54b)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략 점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중간부(54b)에 있어서, 감합 방향의 양단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부(54a)는, 제 1 조정부(54b1)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내측의 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된다. 한편, 제 2 탄성부(54c)는, 제 3 조정부(54b3)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탄성부(54a)와 중간부(54b)와의 접속점 및 제 2 탄성부(54c)와 중간부(54b)와의 접속점은, 중간부(54b)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제 1 광폭부(51a) 및 후술하는 제 2 광폭부(55)와 연속하고 있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중간부(54b)와 각각 연속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부(54a)는, 외단부에서 제 1 광폭부(51a)와 연속하고 있는 한편, 내단부에서 중간부(54b)와 연속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탄성부(54c)는, 내단부에서 제 2 광폭부(55)와 연속하고 있는 한편, 외단부에서 중간부(54b)와 연속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는, 제 2 탄성부(54c)와 연속하는 제 2 광폭부(55)를 가진다. 제 2 광폭부(55)는, 제 2 탄성부(54c)의 내단부의 근방에 있어서, 제 2 탄성부(54c)와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광폭부(55)는, 제 2 인슐레이터(30)측에 위치한다. 제 2 광폭부(55)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콘택트 장착홈(35) 내에 위치한다. 제 2 광폭부(55)는, 제 2 인슐레이터(30)에 대하여 직접 계지하고 있지 않아, 후술하는 계지부(58)가 제 2 인슐레이터(30)에 대하여 계지함으로써 지지된다.
제 2 광폭부(55)는, 제 2 인슐레이터(30)를 따른 콘택트(50)의 다른 부분보다, 콘택트(50)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1 인슐레이터(20)측으로 돌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광폭부(55)는, 후술하는 제 3 탄성부(56), 계지부(58), 및 탄성 접촉부(59)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한 단계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2 광폭부(55)는, 제 3 탄성부(56), 계지부(58), 및 탄성 접촉부(59)보다 전후 방향으로 넓은 폭이다. 마찬가지로, 제 2 광폭부(55)는, 제 2 탄성부(54c)보다 넓은 폭이다. 이와 같이, 제 2 광폭부(55)는, 전체적으로 제 2 탄성부(54c), 제 3 탄성부(56), 계지부(58), 및 탄성 접촉부(59)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2 광폭부(55)는, 제 2 탄성부(54c), 제 3 탄성부(56), 계지부(58), 및 탄성 접촉부(59)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광폭부(55)는, 제 2 탄성부(54c), 제 3 탄성부(56), 계지부(58), 및 탄성 접촉부(59)보다 낮은 특성 임피던스를 가진다.
콘택트(50)는, 제 2 광폭부(55)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 돌출되고, 제 2 인슐레이터(30)의 내벽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3 탄성부(56)를 가진다. 제 3 탄성부(56)는,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감합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3 탄성부(56)는, 전체에 걸쳐, 그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와 대향한다. 콘택트(50)는, 제 3 탄성부(56)가 탄성 변형될 때의 굴곡점을 구성하도록, 제 3 탄성부(56)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컷아웃부(57)를 가진다. 컷아웃부(57)는, 제 3 탄성부(56)의 전후 방향의 외면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그 표면이 절취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50)는, 제 3 탄성부(56)의 상방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제 2 인슐레이터(30)에 대하여 계지하는 계지부(58)를 가진다. 계지부(58)는, 제 3 탄성부(56)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50)는, 계지부(58)의 상방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감합되는 감합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60)의 콘택트(90)와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59)를 가진다. 탄성 접촉부(59)는, 콘택트(50)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 2 조정부(54b2)로부터 제 1 조정부(54b1)와 반대측으로 연속하는 부분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광폭부(55), 제 3 탄성부(56), 컷아웃부(57), 및 계지부(58)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콘택트 장착홈(35)에 수용되어 있다. 제 2 광폭부(55), 제 3 탄성부(56), 및 계지부(58)는, 대략 전체에 걸쳐, 그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와 대향한다. 제 2 탄성부(54c)와 제 3 탄성부(56)를 접속하는 제 2 광폭부(55)는, 벽부(36)의 하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광폭부(55) 및 제 3 탄성부(56)의 하반부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전면 및 후면의 오목하게 마련된 부분으로서 구성되는 콘택트 장착홈(35)의 하부에 수용되어 있다. 제 3 탄성부(56)의 상반부 및 계지부(58)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내부에 의해 구성되는 콘택트 장착홈(35)의 중앙부에 수용되어 있다. 컷아웃부(57)는, 콘택트 장착홈(35)의 하부와 중앙부와의 경계 근방에 위치하도록, 제 3 탄성부(56)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59)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감합 오목부(33)의 내면의 오목하게 마련된 부분으로서 구성되는 콘택트 장착홈(35)의 상부에 대략 수용되어 있다. 탄성 접촉부(59)의 선단은, 콘택트 장착홈(35)으로부터 감합 오목부(33) 내에 노출되어 있다.
도 10은, 콘택트(50)의 각 구성부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 변화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서,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의 기능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0에 있어서, 세로축은 특성 임피던스의 크기를 나타낸다. 가로축은 콘택트(50)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실선 그래프는 특성 임피던스의 실측값을 나타낸다. 2점 쇄선 그래프는 특성 임피던스의 이론값을 나타낸다. 각각의 그래프에 대하여 굵은 선 및 얇은 선의 2개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지만, 굵은 선은,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콘택트(50)와 같이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특성 임피던스 변화를 나타낸다. 한편, 얇은 선은, 예를 들면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가상의 경우의 특성 임피던스 변화를 나타낸다. 파선 그래프는 특성 임피던스의 이상값을 나타낸다.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콘택트(50)의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의 기능과 비교하기 위해, 이들의 구성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특성 임피던스 변화에 대하여, 얇은 선의 그래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 전체의 특성 임피던스는, 중간부(54b)에 의해 조정된다. 각 구성부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는, 이론적으로는, 그 폭, 즉 단면적에 맞춰 이산적으로 변화되지만, 실제로는 연속적으로 변화된다고 생각된다. 콘택트(50)에서는, 큰 탄성 변형량을 얻기 위해 제 1 탄성부(54a)가 좁은 폭으로(단면적이 좁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상값으로 조정된 특성 임피던스가 제 1 탄성부(54a)에 있어서 증대한다. 제 1 탄성부(54a)와 연속하여 중간부(54b)를 넓은 폭으로(단면적이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 1 탄성부(54a)에 있어서 증대된 특성 임피던스가 중간부(54b)에 있어서 의도적으로 이상값을 하회하도록 한다. 중간부(54b)와 연속하는 제 2 탄성부(54c)가 제 1 탄성부(54a)와 마찬가지로 좁은 폭으로(단면적이 좁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이상값을 하회하고 있던 특성 임피던스가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 재차 이상값을 상회한다. 이와 같이, 중간부(54b)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분을 억제하여 특성 임피던스를 전체에 걸쳐 이상값에 근접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조정부(54b2)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1 조정부(54b1)에 의해, 중간부(54b)의 상부에 있어서 특성 임피던스가 더 감소한다. 이에 의해 제 1 탄성부(54a)에 있어서 이상값으로부터 증대된 특성 임피던스가, 의도적으로 보다 빠르게 이상값을 하회하도록 한다. 바꿔 말하면, 제 1 탄성부(54a)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폭이 의도적으로 억제된다. 콘택트(50)에서는, 중간부(54b)의 중앙부, 즉 제 2 조정부(54b2)에 있어서 특성 임피던스를 약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설계에 의해, 제 2 조정부(54b2)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과잉의 저하, 즉 이상값과 실측값과의 극도의 괴리가 억제된다. 콘택트(50)에서는, 제 1 조정부(54b1)와 마찬가지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 3 조정부(54b3)에 의해, 중간부(54b)의 하부에 있어서 특성 임피던스가 더 감소한다. 이에 의해, 중간부(54b)에 있어서 이상값을 하회하고 있는 특성 임피던스가,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 의도적으로 보다 늦게 이상값을 상회하도록 한다. 바꿔 말하면,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폭이 의도적으로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중간부(54b)를 3개의 구성부로 나누어 특성 임피던스, 즉 전기 전도성을 조정함으로써, 중간부(54b)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분을 억제하여 특성 임피던스를 보다 이상값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콘택트(50)와 같이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특성 임피던스 변화에 대하여, 얇은 선의 그래프와 비교하면서 굵은 선의 그래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콘택트(50)에서는, 중간부(54b)의 반대측에서 제 1 탄성부(54a)와 인접하도록 넓은 폭인(단면적이 큰) 제 1 광폭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탄성부(54a)에 대하여, 중간부(54b)측과 마찬가지로, 그 반대측에서도 제 1 탄성부(54a)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폭이 의도적으로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제 1 탄성부(54a)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폭이 얇은 선의 경우와 비교해 전체적으로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콘택트(50)에서는, 중간부(54b)의 반대측에서 제 2 탄성부(54c)와 인접하도록 넓은 폭인(단면적이 큰) 제 2 광폭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2 탄성부(54c)에 대하여, 중간부(54b)측과 마찬가지로, 그 반대측에서도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폭이 의도적으로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폭이 얇은 선인 경우와 비교해 전체적으로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에 의해 특성 임피던스를 더 조정함으로써, 이들의 구성부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분을 억제하여 특성 임피던스를 더 이상값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커넥터(10)에서는, 회로 기판(CB1)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하여, 콘택트(50)의 실장부(53)가 납땜된다. 당해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 패턴 등에 대하여, 금구(40a)의 실장부(41a) 및 차폐 부재(40b)의 실장부(46b)가 납땜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10)는, 회로 기판(CB1)에 대하여 실장된다. 회로 기판(CB1)의 실장면에는, 예를 들면, CPU, 컨트롤러,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커넥터(10)와는 별도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다.
도 11은, 도 3의 커넥터(10)와 접속되는 접속 대상물(60)을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접속 대상물(60)의 상면시에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10)와 접속되는 접속 대상물(60)의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60)은, 큰 구성 요소로서, 인슐레이터(70)와, 금구(80a)와, 차폐 부재(80b)와, 콘택트(90)를 가진다. 접속 대상물(60)은, 인슐레이터(70)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콘택트(90)를 압입하고, 상방으로부터 금구(80a) 및 차폐 부재(80b)를 압입함으로써 조립된다.
인슐레이터(70)는, 절연성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대략 사각 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인슐레이터(70)는,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감합 오목부(71)를 가진다. 인슐레이터(70)는, 감합 오목부(7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감합 볼록부(72)를 가진다. 인슐레이터(70)는, 감합 오목부(71)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걸쳐 감합 오목부(7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유인부(73)를 가진다. 유인부(73)는, 감합 오목부(71)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 비스듬히 외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인슐레이터(70)는, 바닥부의 좌우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마련되어 있는 계합부(74)를 가진다. 계합부(74)에는, 금구(80a)가 장착된다. 인슐레이터(70)는, 좌우 양측면 각각의 상단부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장착홈(75)을 가진다. 장착홈(75)에는, 차폐 부재(80b)가 장착된다.
인슐레이터(70)는, 바닥부의 전측, 그 내부, 및 감합 볼록부(72)의 전면에 걸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장착홈(76)을 가진다. 인슐레이터(70)는, 바닥부의 후측, 그 내부, 및 감합 볼록부(72)의 후면에 걸쳐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 장착홈(76)을 가진다. 복수의 콘택트 장착홈(76)은,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콘택트 장착홈(76)은, 감합 볼록부(72)의 전후 양면 각각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복수의 콘택트 장착홈(76)에는, 복수의 콘택트(90)가 각각 장착된다.
금구(80a)는, 임의의 금속 재료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도 1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구(80a)는, 계합부(74)에 압입되어, 인슐레이터(70)의 좌우 양단부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금구(80a)는, 그 하단부에 있어서, 대략 L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실장부(81a)를 가진다. 금구(80a)는, 실장부(81a)와 상방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인슐레이터(70)에 대하여 계지하는 계지부(82a)를 가진다.
차폐 부재(80b)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임의의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차폐 부재(80b)는, 금속제여도 되고, 수지재를 포함하여 표층에 전기 전도성을 가져도 된다. 차폐 부재(80b)는, 동일 형상으로 한 쌍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차폐 부재(80b)는, 장착홈(75)에 압입되어, 인슐레이터(70)를 전후 좌우 방향으로부터 둘러싼다.
차폐 부재(80b)는, 상하 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제 1 차폐부(81b)를 가진다. 제 1 차폐부(81b)는, 인슐레이터(70)의 전후 방향의 외면의 대략 전체를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차폐 부재(80b)는, 제 1 차폐부(81b)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각각으로부터 굴곡지면서 전후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제 2 차폐부(82b)를 가진다. 제 2 차폐부(82b)는, 전후 방향으로 폭을 가진다. 제 2 차폐부(82b)는, 인슐레이터(70)의 좌우 양측면 각각의 일부를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차폐 부재(80b)는, 제 2 차폐부(82b)의 상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대략 역U자 형상으로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계합부(83b)를 가진다. 계합부(83b)가 인슐레이터(70)의 장착홈(75)에 계합됨으로써, 차폐 부재(80b)가 인슐레이터(70)에 대하여 고정된다. 차폐 부재(80b)는, 제 1 차폐부(81b)의 하측 가장자리부의 좌우 양단 각각으로부터 대략 L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실장부(84b)를 가진다. 차폐 부재(80b)는, 제 1 차폐부(81b)의 외면이 좌우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융기함으로써 형성되고 있는 융기부(85b)를 가진다.
콘택트(90)는, 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 구리, 혹은 티탄 구리를 포함하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면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 콘택트(90)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 또는 주석 등에 의한 도금이 실시되고 있다.
콘택트(90)는,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어 있다. 콘택트(90)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실장부(91)를 가진다. 콘택트(90)는, 그 상단에 형성되고,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감합되는 감합 상태에서 커넥터(10)의 콘택트(50)의 탄성 접촉부(59)와 접촉하는 접촉부(92)를 가진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접속 대상물(60)에서는, 회로 기판(CB2)의 실장면에 형성된 회로 패턴에 대하여, 콘택트(90)의 실장부(91)가 납땜된다. 당해 실장면에 형성된 접지 패턴 등에 대하여, 금구(80a)의 실장부(81a) 및 차폐 부재(80b)의 실장부(84b)가 납땜된다. 이상에 의해,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2)에 대하여 실장된다. 회로 기판(CB2)의 실장면에는,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 및 센서 등을 포함하는 접속 대상물(60)과는 별도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다.
도 13은, 도 1의 XIII-XIII 화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을 주로 참조하면서, 커넥터(10)에 대하여 접속 대상물(60)을 접속할 때의, 플로팅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의 콘택트(50)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서,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제 1 인슐레이터(20)와 이간되고, 또한, 뜬 상태에서, 제 2 인슐레이터(30)를 지지하고 있다. 이 때, 제 2 인슐레이터(30)의 하부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외주벽(22)에 의해 둘러싸인다. 감합 오목부(33)를 포함하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상부는,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개구(21a)보다 상방으로 돌출된다.
콘택트(50)의 실장부(53)가 회로 기판(CB1)에 대하여 납땜됨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는, 회로 기판(CB1)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콘택트(50)의 제 1 탄성부(54a), 제 2 탄성부(54c), 및 제 3 탄성부(56)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회로 기판(CB1)에 고정된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이 때, 제 1 인슐레이터(20)의 개구(21a)의 주연부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의 과잉의 이동을 규제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가 콘택트(50)의 탄성 변형에 따른 설계값을 초과하여 크게 전후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감합 볼록부(32)가 개구(21a)의 주연부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는, 그 이상 전후 좌우의 외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도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플로팅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10)에 대하여 접속 대상물(60)의 상하 방향의 방향을 반대로 한 상태에서,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전후 위치 및 좌우 위치를 대략 일치시키면서, 서로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시킨다. 그 후, 접속 대상물(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서로의 위치가 예를 들면 전후 좌우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 있어도, 커넥터(10)의 유인부(34)와 접속 대상물(60)의 유인부(73)가 접촉한다. 그 결과, 커넥터(10)의 플로팅 구조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10)의 감합 볼록부(32)가, 접속 대상물(60)의 감합 오목부(71)에 유인된다.
접속 대상물(60)을 하방으로 더 이동시키면, 커넥터(10)의 감합 볼록부(32)와 접속 대상물(60)의 감합 오목부(71)가 감합된다. 이 때, 커넥터(10)의 감합 오목부(33)와 접속 대상물(60)의 감합 볼록부(72)가 감합된다. 커넥터(10)의 제 2 인슐레이터(30)와 접속 대상물(60)의 인슐레이터(70)가 감합된 상태에서, 커넥터(10)의 콘택트(50)와 접속 대상물(60)의 콘택트(90)가 서로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트(50)의 탄성 접촉부(59)와 콘택트(90)의 접촉부(92)가 서로 접촉한다. 이 때, 콘택트(50)의 탄성 접촉부(59)의 선단은, 외측을 향해 약간 탄성 변형되고, 콘택트 장착홈(35)의 내부를 향해 탄성 변위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은, 완전히 접속된다. 이 때, 콘택트(50) 및 콘택트(90)를 개재하여, 회로 기판(CB1)과 회로 기판(CB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콘택트(50)의 한 쌍의 탄성 접촉부(59)는, 접속 대상물(60)의 한 쌍의 콘택트(90)를 전후 방향을 따른 내측으로의 탄성력에 의해 전후 양측으로부터 협지한다. 이에 의해 발생하는 접속 대상물(60)의 콘택트(90)로의 가압력의 반작용에 의해, 접속 대상물(60)을 커넥터(10)로부터 빼내는 경우, 제 2 인슐레이터(30)는, 콘택트(50)를 통하여 빼내는 방향, 즉 상방향으로의 힘을 받는다. 이에 의해, 가령 제 2 인슐레이터(30)가 상방으로 이동했다고 해도, 도 4에 나타내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압입된 금구(40a)의 빠짐 방지부(43a)가, 제 2 인슐레이터(30)의 상방으로의 빠짐을 억제한다. 제 1 인슐레이터(20)에 압입된 금구(40a)의 빠짐 방지부(43a)는, 제 1 인슐레이터(20) 내부에 있어서, 제 2 인슐레이터(30)의 바닥부(31)의 좌우 양단부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 2 인슐레이터(30)가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외방으로 돌출된 바닥부(31)의 좌우 양단부가 빠짐 방지부(43a)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 2 인슐레이터(30)는, 그 이상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도 14는, 한 쌍의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되는 제 1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한 쌍의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되는 제 2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한 쌍의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될 때의 각 구성부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편함을 위해, 각 도면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콘택트(50)를 콘택트(50a)로 하고, 각 도면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콘택트(50)를 콘택트(50b)로 하여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콘택트(50a 및 50b)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2점 쇄선에 의해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일례로서, 제 2 인슐레이터(30)가 어떠한 외적 요인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를 상정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콘택트(50a)의 계지부(58)가 제 2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눌린다. 이 때,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는, 컷아웃부(57) 근방을 기점으로 하여 내측으로 휜다.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는, 컷아웃부(57) 근방보다 하측에 있어서, 상측의 부분과 비교해 보다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제 2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와 접촉하고 있는 콘택트(50a)의 계지부(58)는, 제 2 인슐레이터(30)와의 상대 위치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는 한편, 콘택트(50a)의 제 2 광폭부(55)는, 그 상대 위치를 내측으로 변화시킨다.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탄성부(54c)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 2 탄성부(54c)와 중간부(54b)와의 접속점도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1 탄성부(54a)와 중간부(54b)와의 접속점의 좌우 위치의 변화는 작다. 따라서, 제 1 탄성부(54a)가 탄성 변형되어, 그 내측 단부의 굴곡부가 외측으로 굴곡지고, 중간부(54b)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다.
제 2 인슐레이터(3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콘택트(50b)의 계지부(58)가 제 2 인슐레이터(30)의 내벽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눌린다. 이 때,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는, 컷아웃부(57) 근방을 기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휜다.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는, 컷아웃부(57) 근방보다 하측에 있어서, 상측의 부분과 비교해 보다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콘택트 장착홈(35)의 내벽과 접촉하고 있는 콘택트(50b)의 계지부(58)는, 제 2 인슐레이터(30)와의 상대 위치를 대부분 변화시키지 않는 한편, 콘택트(50b)의 제 2 광폭부(55)는, 그 상대 위치를 외측으로 변화시킨다.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탄성부(54c)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 2 탄성부(54c)와 중간부(54b)와의 접속점도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1 탄성부(54a)와 중간부(54b)와의 접속점의 좌우 위치의 변화는 작다. 따라서, 제 1 탄성부(54a)가 탄성 변형되어, 그 내측 단부의 굴곡부가 내측으로 굴곡지고, 중간부(54b)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우측 방향으로 경사진다.
도 15에서는, 일례로서, 제 2 인슐레이터(30)가 어떠한 외적 요인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를 상정한다.
제 2 인슐레이터(3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콘택트(50a)의 계지부(58)가 제 2 인슐레이터(30)의 내벽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눌린다. 이 때,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는, 컷아웃부(57) 근방을 기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휜다.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는, 컷아웃부(57) 근방보다 하측에 있어서, 상측의 부분과 비교해 보다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콘택트 장착홈(35)의 내벽과 접촉하고 있는 콘택트(50a)의 계지부(58)는, 제 2 인슐레이터(30)와의 상대 위치를 대부분 변화시키지 않는 한편, 콘택트(50a)의 제 2 광폭부(55)는, 그 상대 위치를 외측으로 변화시킨다.
콘택트(50a)의 제 3 탄성부(56)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탄성부(54c)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 2 탄성부(54c)와 중간부(54b)와의 접속점도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1 탄성부(54a)와 중간부(54b)와의 접속점의 좌우 위치의 변화는 작다. 따라서, 제 1 탄성부(54a)가 탄성 변형되어, 그 내측 단부의 굴곡부가 내측으로 굴곡지고, 중간부(54b)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좌측 방향으로 경사진다.
제 2 인슐레이터(3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콘택트(50b)의 계지부(58)가 제 2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눌린다. 이 때,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는, 컷아웃부(57) 근방을 기점으로 하여 내측으로 휜다.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는, 컷아웃부(57) 근방보다 하측에 있어서, 상측의 부분과 비교해 보다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제 2 인슐레이터(30)의 벽부(36)와 접촉하고 있는 콘택트(50b)의 계지부(58)는, 제 2 인슐레이터(30)와의 상대 위치를 대부분 변화시키지 않는 한편, 콘택트(50b)의 제 2 광폭부(55)는, 그 상대 위치를 내측으로 변화시킨다.
콘택트(50b)의 제 3 탄성부(56)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 2 탄성부(54c)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 2 탄성부(54c)와 중간부(54b)와의 접속점도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1 탄성부(54a)와 중간부(54b)와의 접속점의 좌우 위치의 변화는 작다. 따라서, 제 1 탄성부(54a)가 탄성 변형되어, 그 내측 단부의 굴곡부가 외측으로 굴곡지고, 중간부(54b)가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비스듬히 좌측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상과 같은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커넥터(10)에서는,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전송 특성이 향상된다. 커넥터(10)에서는, 콘택트(50)가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를 가짐으로써, 각각의 전송로의 폭, 즉 전송로의 단면적에 따라 특성 임피던스가 조정된다. 예를 들면,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는, 콘택트(50)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콘택트(50)가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이상값에 근접한다. 커넥터(10)는, 특성 임피던스의 정합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에서는, 대용량 또한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원하는 전송 특성이 얻어진다.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를 가지지 않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와 비교해 전송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
각 광폭부가 콘택트(50)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콘택트(50)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콘택트(50)끼리의 피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광폭부가 콘택트(50)의 배열 방향으로 돌출된 경우, 인접하는 콘택트(50)끼리의 피치가 커진다. 그러나, 각 광폭부가 콘택트(50)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콘택트(50)의 배열 방향으로 커넥터(10)가 대형화되지 않는다. 커넥터(10)에서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하는 전송 특성이 얻어진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콘택트(5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소형화 가능하다. 또한, 각 광폭부가 타방의 인슐레이터측으로 돌출됨으로써, 각 광폭부는, 중간부(54b)가 탄성 변위하는 영역 내에 들어간다. 따라서, 콘택트(50)의 전후 방향의 폭이 불필요하게 증대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콘택트(50)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도 소형화 가능하다.
각 광폭부가 콘택트(50)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콘택트(50)을 설계함으로써, 콘택트(50)의 전체 형상이 펀칭 가공에 의해서만 형성 가능하다. 이에 의해, 콘택트(50)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콘택트(50)가 복잡한 형상으로 설계된 경우라도, 콘택트(50)의 제조가 용이하다. 따라서, 원하는 전송 특성에 맞춘 최적의 형상을 양호한 정밀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콘택트(50)가 제조 가능하다. 이와 같이, 콘택트(50)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결과, 커넥터(10)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가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와 각각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각 탄성부에 주는 각 광폭부의 영향이 보다 강조된다. 이에 의해, 각 탄성부의 특성 임피던스가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된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탄성부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분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콘택트(50)가 제 1 조정부(54b1), 제 2 조정부(54b2), 및 제 3 조정부(54b3)를 가짐으로써, 콘택트(50)가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조정되어, 특성 임피던스의 이상값에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에서는, 대용량 또한 고속 전송에 있어서도 원하는 전송 특성이 보다 용이하게 얻어진다. 각 조정부를 가지지 않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와 비교해 전송 특성이 보다 향상된다.
커넥터(10)는, 이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양호한 전송 특성에 더해, 양호한 플로팅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콘택트(50)가 제 2 탄성부(54c)를 가짐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부(54a)의 탄성 변형에 더해, 제 2 탄성부(54c)의 탄성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이 증대한다.
커넥터(10)는, 콘택트(50)가 제 3 탄성부(56)를 더 가짐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의 탄성 변형에 더해, 제 3 탄성부(56)의 탄성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이 증대한다. 반대로 말하면, 커넥터(10)는, 소정의 가동량을 얻기 위해 필요한 콘택트(50)의 탄성 변형량의 일부를 제 3 탄성부(56)에도 할당할 수 있으므로,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의 탄성 변형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의 전체 길이가 짧아져, 커넥터(10)의 전후 방향의 폭이 단축된다. 따라서, 커넥터(10)는, 필요로 하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확보하면서,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의 전체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커넥터(10)에서는, 전송 특성이 더 향상된다. 커넥터(10)는, 신호 전송로가 짧아짐으로써, 고주파 신호라도 전송 손실을 저감시킨 상태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30)가 제 2 광폭부(55)와 대향하는 위치에 벽부(36)를 가짐으로써, 도 7의 전후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콘택트(50)끼리의 접촉이 억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탄성부(54c)와 제 3 탄성부(56)를 접속하는 제 2 광폭부(55)는, 제 2 탄성부(54c) 및 제 3 탄성부(56)의 탄성 변형에 따라, 예를 들면 도 7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 때, 가령 제 2 인슐레이터(30)에 벽부(36)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하면, 각각의 탄성 변형 상태에 따라, 전후 한 쌍의 콘택트(50)의 제 2 광폭부(55)끼리가 접촉할 가능성도 있다. 벽부(36)의 형성에 의해, 이와 같은 제 2 광폭부(55)끼리의 접촉이 억제되어, 단락 등의 전기적으로 야기되는 문제 및 파손 등의 역학적으로 야기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바꿔 말하면, 커넥터(10)는, 벽부(36)의 형성에 의해, 제 3 탄성부(56)의 과잉의 탄성 변형을 규제할 수 있다. 제 2 탄성부(54c) 및 제 3 탄성부(56)의 탄성 변형에 따라 제 2 광폭부(55)가 이동하는 상황이라도, 커넥터(10)의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유지된다.
커넥터(10)에서는, 제 1 조정부(54b1)가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조정부(54b2)보다 한 단계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 3 조정부(54b3)가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조정부(54b2)보다 한 단계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형성 방법에 의해,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50)가 탄성 변형된 경우라도, 제 1 조정부(54b1) 및 제 3 조정부(54b3) 모두, 콘택트(50)의 다른 부분 및 제 2 인슐레이터(30)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넥터(10)는, 제 1 조정부(54b1) 및 제 3 조정부(54b3)의 돌출 부분이 콘택트(50)의 탄성 변형의 방해가 되지 않고, 원활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이동을 실현하여, 양호한 플로팅 구조에 기여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가 중간부(54b)에 있어서 감합 방향의 양단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돌출됨으로써, 필요로 하는 중간부(54b)의 가동량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는, 필요로 하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확보할 수 있다. 커넥터(10)는,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가 대략 크랭크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의 효과를 가지면서 도 7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폭의 단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54a)가 중간부(54b)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내측의 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되고, 제 2 탄성부(54c)가 중간부(54b)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10) 전체의 전후 방향의 폭이 단축된다. 또한, 제 1 인슐레이터(20) 내의 한정된 영역에서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의 탄성 변형되는 부분을 길게 할 수 있어, 양호한 플로팅 구조가 얻어진다.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가 감합 방향을 따라 감합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 2 탄성부(54c)와 접속되어 있는 제 2 광폭부(55)가 최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3 탄성부(56)가 연신되어, 보다 크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이 증대한다.
커넥터(10)는, 콘택트(50)가 컷아웃부(57)를 가짐으로써, 제 2 인슐레이터(30)가 이동하였을 때에, 제 2 인슐레이터(30)의 내벽과 접촉하는 계지부(58)에 가해지는 힘을 억제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넥터(10)는, 콘택트 장착홈(35)의 상부에 위치하는 탄성 접촉부(59)에 가해지는 힘을 억제시킬 수 있다. 커넥터(10)는, 컷아웃부(57) 근방보다 하측에 있어서, 제 3 탄성부(56)를 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10)에서는, 제 3 탄성부(56)에 있어서, 계지부(58)의 하단부로부터 컷아웃부(57) 근방에 이르기까지의 상반부보다, 하반부의 탄성 변형량이 보다 커진다. 이상에 의해, 계지부(58)의 제 2 인슐레이터(30)에 대한 계지 및 탄성 접촉부(59)의 접촉부(92)에 대한 접촉이 안정된 상태에서,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제 2 인슐레이터(30)의 이동에 제 3 탄성부(56)를 기여할 수 있다.
콘택트(50)가 탄성 계수가 작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커넥터(10)는, 제 2 인슐레이터(30)에 이러한 힘이 작은 경우라도, 필요로 하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이동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30)는, 제 1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접속 대상물(60)과 감합할 때의 위치 어긋남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커넥터(10)에서는, 어떠한 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콘택트(50)의 각 탄성부가 흡수한다. 이에 의해, 실장부(53)에 큰 힘이 가해질 가능성이 억제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CB1)과의 접속 부분의 파손이 억제된다. 회로 기판(CB1)과 실장부(53)와의 접속 부분의 땜납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와 접속 대상물(60)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라도,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콘택트(50)가 넓은 폭으로 형성된 제 2 광폭부(55)를 가짐으로써, 커넥터(10)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제 2 광폭부(55)가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당해 부분의 강성이 높아진다. 이에 의해, 콘택트(50)는, 제 2 광폭부(55)을 지지점으로 하여, 조립 장치 등에 의해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의 하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삽입된다.
금구(40a)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압입되어, 실장부(41a)가 회로 기판(CB1)에 납땜됨으로써, 금구(40a)는, 제 1 인슐레이터(20)를 회로 기판(CB1)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금구(40a)에 의해, 회로 기판(CB1)에 대한 제 1 인슐레이터(20)의 실장 강도가 향상된다.
차폐 부재(40b)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장착됨으로써, 커넥터(10)의 전후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강도가 증대한다. 차폐 부재(40b)가 융기부(47b)를 가짐으로써, 차폐 부재(40b) 자체의 강성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커넥터(10)의 전후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강도도 증대한다.
차폐 부재(40b)가 제 1 인슐레이터(20)에 장착됨으로써, 커넥터(10)의 전후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에 의한 전기적인 악영향이 억제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10)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자기 등의 노이즈가 저감됨으로써, 콘택트(50)에 의해 전송되는 대용량 고속의 신호에 대한 전기적인 악영향이 억제된다. 반대로, 커넥터(10)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자기 등의 노이즈가 저감됨으로써, 콘택트(50)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가 미치는, 커넥터(10) 주변에 탑재되어 있는 전자 부품에 대한 전기적인 악영향이 억제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10) 주변의 전자 부품의 오작동이 억제된다.
본 개시는,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의 기술(記述)은 예시적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 가지의 변경은,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 등은, 상기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의 도시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구성부의 형상, 배치, 방향, 및 개수 등은,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조립 방법은, 상기의 설명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 및 접속 대상물(60)의 조립 방법은, 각각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조립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금구(40a), 차폐 부재(40b), 및 콘택트(50)의 적어도 1개는, 압입이 아니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적어도 일방과 일체적으로 성형되어도 된다.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를 따라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의 전송 특성이 유지되는 것이면,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의 적어도 일방을 따라 대응하는 광폭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중간부(54b)에 있어서, 전송로의 폭, 즉 전송로의 단면적이 증대하여 특성 임피던스가 저하됨으로써 전기 전도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전기 전도성이 향상되는 중간부(54b)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부(54b)는, 전기 전도성이 향상되는 임의의 구성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중간부(54b)는, 폭이 동일한 채 제 1 탄성부(54a)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중간부(54b)는, 단면적이 동일한 채 제 1 탄성부(54a)보다 전기 전도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중간부(54b)는, 제 1 탄성부(54a)와 단면적이 동일한 채 표면에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도금을 가져도 된다.
중간부(54b)에서는, 감합측으로부터 차례로 제 1 조정부(54b1), 제 2 조정부(54b2), 및 제 3 조정부(54b3)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전기 전도성을 조정하는 것을 하여 설명했지만, 중간부(54b)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부(54b)는, 감합측으로부터 차례로 전기 전도성이 높은, 낮은, 및 높은 구성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구성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중간부(54b)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폭, 두께, 단면적, 재료, 및 도금의 종류의 적어도 1개를 변화시킴으로써 전기 전도성이 조정되어도 된다.
도 16a는, 콘택트(50)의 중간부(54b)의 형상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b는, 콘택트(50)의 중간부(54b)의 형상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c는, 콘택트(50)의 중간부(54b)의 형상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d는, 콘택트(50)의 중간부(54b)의 형상의 제 4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중간부(54b)의 형상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부(54b)는, 상기 서술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중간부(54b)는, 도 16a 내지 도 1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을 가져도 된다. 도 16a를 참조하면, 중간부(54b)에 있어서, 제 1 조정부(54b1)가 제 2 조정부(54b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 3 조정부(54b3)가 제 2 조정부(54b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다. 도 16b를 참조하면, 중간부(54b)에 있어서, 제 1 조정부(54b1)는, 제 2 조정부(54b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조정부(54b2)보다 한 단계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3 조정부(54b3)는, 제 2 조정부(54b2)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전후 방향을 따라 제 2 조정부(54b2)보다 한 단계 내측으로 돌출된다. 도 16c를 참조하면, 중간부(54b)는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 개구를 가진다. 도 16d를 참조하면, 중간부(54b)는, 제 1 조정부(54b1)로부터 제 2 조정부(54b2)를 향함에 따라 끝이 가늘어지고, 제 2 조정부(54b2)로부터 제 3 조정부(54b3)를 향함에 따라 끝이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54b)는,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가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60)과의 감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중간부(54b)에 있어서, 감합 방향의 양단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돌출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의 전체 형상은, 필요로 하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확보하면서, 커넥터(10)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중간부(54b)는, 감합 방향으로부터 어긋난 상태로 연장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중간부(54b)에 있어서, 도 7의 전후 방향의 양단측으로부터 각각 연장 돌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의 형상은, 임의여도 되고, 각각이 보다 많은 굴곡부를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의 전체 형상은, 대략 크랭크 형상이 아니라, 대략 U자 형상이어도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는, 감합 방향을 따라 감합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탄성부(54a), 중간부(54b), 및 제 2 탄성부(54c)는, 필요로 하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확보하면서, 커넥터(10)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면, 반대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도 된다.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기부(51)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탄성부(54a) 및 제 2 탄성부(54c)는, 필요로 하는 탄성 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54a) 또는 제 2 탄성부(54c)는, 콘택트(50)의 다른 부분보다 탄성 계수가 더 작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커넥터(10)는, 필요로 하는 제 2 인슐레이터(30)의 가동량을 확보하면서, 커넥터(10)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면, 제 2 탄성부(54c) 및 제 3 탄성부(56)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벽부(36)는, 감합 오목부(33)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내부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벽부(36)는, 한 쌍의 콘택트(50)끼리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면, 예를 들면, 제 2 광폭부(55)와 대향하는 위치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커넥터(10)는, 계지부(58)의 계지 및 탄성 접촉부(59)의 접촉이 안정된 상태에서 제 3 탄성부(56)가 제 2 인슐레이터(30)의 이동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면, 컷아웃부(57)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콘택트(50)는, 탄성 계수가 작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택트(50)는, 필요로 하는 탄성 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의 탄성 계수를 가지는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콘택트(50)는,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는 요철부(51b)를 가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택트(50)는, 요철부(51b) 대신에 볼록부만을 가져도 된다.
도 17은, 제 1 변형예와 관련된 콘택트(50)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 도 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 2 변형예와 관련된 콘택트(50)의 일부를 확대한 도 9에 대응하는 확대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콘택트(50)의 제 2 광폭부(55)는, 제 2 인슐레이터(30)를 따른 콘택트(50)의 다른 부분보다, 콘택트(50)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2 인슐레이터(30)측으로 더 돌출되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광폭부(55)는, 상하 방향의 광범한 영역에 걸쳐, 제 3 탄성부(56)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 2 광폭부(55)가 전후 방향으로 더 광폭이 되어, 제 2 탄성부(54c)의 특성 임피던스가 더 효과적으로 저하된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탄성부(54c)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더해, 제 2 광폭부(55)가 더 넓은 폭이 됨으로써 그 강도가 향상되어, 제품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면, 제 2 광폭부(55)를 지지점으로 하여 조립 장치 등에 의해 제 1 인슐레이터(20) 및 제 2 인슐레이터(30)의 하방으로부터 콘택트(50)가 삽입되는 경우, 제 2 광폭부(55)의 강도가 향상됨으로써 안정된 삽입이 실현된다. 따라서, 커넥터(10)를 조립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7의 제 2 광폭부(55)의 구성에 더해, 콘택트(50)의 제 1 광폭부(51a)는, 제 1 인슐레이터(20)를 따른 콘택트(50)의 다른 부분보다, 콘택트(50)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제 1 인슐레이터(20)측으로 더 돌출되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광폭부(51a)는, 기부(51)의 다른 부분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한 단계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 1 광폭부(51a)가 전후 방향으로 더 광폭이 되어, 제 1 탄성부(54a)의 특성 임피던스가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된다. 따라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탄성부(54a)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의 증가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광폭부(51a) 및 제 2 광폭부(55)의 적어도 일방은, 도 17 및 도 18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각 광폭부가 위치하는 인슐레이터측으로 더 돌출되어도 된다.
콘택트(50)의 요철부(51b)는, 상기 서술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철부(51b)는, 콘택트(50)의 좌우 방향을 따른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는 임의의 구성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철부(51b)는, 제 1 광폭부(51a)의 표면의 일부를 전후 상하 방향으로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각각에 있어서 인접하는 영역끼리에서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접속 대상물(60)은, 회로 기판(CB2)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인 것으로 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속 대상물(60)은, 커넥터 이외의 임의의 대상물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접속 대상물(60)은, FPC,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리지드 기판, 또는 임의의 회로 기판의 카드 에지 등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10)는, 전자 기기에 탑재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카메라, 레이더, 드라이브 리코더, 및 엔진 컨트롤 유닛 등의 임의의 차량 탑재 기기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 선진 운전 지원 시스템, 및 시큐리티 시스템 등의 차량 탑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임의의 차량 탑재 기기를 포함한다. 전자 기기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합기 등의 임의의 정보 기기를 포함한다. 그 외, 전자 기기는, 임의의 산업 기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는, 신호 전송에 있어서의 양호한 전송 특성을 가진다. 커넥터(10)의 양호한 플로팅 구조에 의해 회로 기판간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되므로, 전자 기기의 조립 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전자 기기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커넥터(10)에 의해 회로 기판(CB1)과의 접속 부분의 파손이 억제되므로, 전자 기기 제품으로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