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6349B1 - 기체 이동 통로와 추출액 이동 통로를 갖는 증폭 모듈 - Google Patents
기체 이동 통로와 추출액 이동 통로를 갖는 증폭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6349B1 KR102486349B1 KR1020220038308A KR20220038308A KR102486349B1 KR 102486349 B1 KR102486349 B1 KR 102486349B1 KR 1020220038308 A KR1020220038308 A KR 1020220038308A KR 20220038308 A KR20220038308 A KR 20220038308A KR 102486349 B1 KR102486349 B1 KR 1024863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amplification module
- passage
- chamber
- ga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vent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7/00—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 B01L7/52—Heating or cooling apparatus; Heat insulating devices with provision for submitting samples to a predetermined sequence of different temperatures, e.g. for treating nucleic acid samp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6—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9—Sea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0—Integrating sample preparation and analysis in single entity, e.g. lab-on-a-chip concep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01L2300/0816—Cards, e.g. flat sample carriers usually with flow in two horizontal dir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외측 챔버와 내측 챔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외측 챔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내측 챔버와 외측 챔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단면도이다.
도 6은 외측 챔버 저면에 형성된 제1 돌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내측 챔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커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외측 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플로우 커버와 패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플로우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추출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증폭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증폭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증폭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비드 챔버의 평면도이다.
도 24 및 25는 비드 챔버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비드 챔버의 횡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비드 챔버의 종단면도로서, 외측 챔버와 결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2: 제2 밀봉 부재
S3: 제3 밀봉 부재
S4, S5: 실링 부재
100: 외측 챔버
100a: 외면 상부
100b: 외면 하부
101, 102, 103, 104, 105, 106, 107: 제1 공간
108: 피스톤 삽입부
109: 제2 걸림 돌기
111, 112, 113, 114, 115: 제1 돌출 부재
111a, 112a, 113a, 114a, 115a: 돌출부
111b, 112b, 113b, 114b, 115b: 날개부
121, 122, 123, 124, 125: 제1 배출공
126, 127, 129: 제2 배출공
128: 공기 배출공
130: 삽입 공간
131: 걸림 돌기
200: 내측 챔버
201, 202, 203, 204, 205: 제2 공간
210: 상부 내측 챔버
220: 하부 내측 챔버
300: 커버
301: 커버 바디
302: 덮개
307: 제1 삽입공
308: 제2 삽입공
311, 312, 313, 314, 315: 제2 돌출 부재
316, 317: 제3 돌출 부재
400: 베이스 플레이트
400a: 피스톤 구동부 삽입공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액체 유로
409: 공기 유로
410: 플로우 커버
410a: 제1 관통공
410b: 제1 결합 돌기
410c: 용융 돌기
410d: 제2 결합 돌기
411a, 412a, 413a, 414a, 415a, 416a, 417a, 418a: 제1 플로우 커버 홀
411b, 412b, 413b, 414b, 415b: 제2 플로우 커버 홀
416b, 417b, 418b: 제3 플로우 커버 홀
419a, 419b: 제4 플로우 커버 홀
420: 패드
420a: 제2 관통공
421a, 422a, 423a, 424a, 425a, 426a, 427a, 428a: 제1 패드 홀
421b, 422b, 423b, 424b, 425b: 제2 패드 홀
426b, 427b, 428b: 제3 패드 홀
429a, 429b: 제4 패드 홀
420c: 결합 홈
500: 안전 클립
510: 결합부
520: 손잡이
600: 증폭 모듈
610: 바디
611: 일면
612: 반대면
621, 622: 주입구
630: 수용부
631: 상부
632: 하부
633: 기체 배출 통로
640: 기체 이동 통로
641: 연통공
642: 이동 통로
643: 저장 통로
644: 통로 패턴 형성부
650: 추출액 이동 통로
700: 피스톤
701: 유체 수용부
710: 상부 피스톤
711: 밀착부
711a: 구동부 설치부
712: 제1 홀
713: 제2 홀
720: 하부 피스톤
721: 몸체
722: 샤프트
723: 액체 포트
724: 필터 포트
800: 구동부
900: 비드 챔버
910: 제1 비드 챔버
911: 제1 비드 홀더
912: 제1 제습부
920: 제2 비드 챔버
921: 제2 비드 홀더
922: 제2 제습부
930: 제습 챔버
1000: 유전체 추출 장치
Claims (15)
-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추출액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추출액이 수용되고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수용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수용부를 서로 연결하고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복수의 추출액 이동 통로;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와 상기 복수의 수용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기체 이동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액 이동 통로를 통해 추출액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추출액 이동 통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기체 이동 통로 내에 잔류하는 기체가 상기 추출액 이동 통로, 상기 수용부, 상기 기체 이동 통로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증폭 모듈.
- 바디;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추출액이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추출액이 수용되고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수용부;
상기 유입구와 상기 복수의 수용부를 서로 연결하고 서로 다른 길이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추출액 이동 통로;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와 상기 복수의 수용부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기체 이동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액 이동 통로를 통해 추출액이 상기 수용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추출액 이동 통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기체 이동 통로 내에 잔류하는 기체가 상기 추출액 이동 통로, 상기 수용부, 상기 기체 이동 통로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증폭 모듈.
- 제2항에 있어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 추출액 이동 통로는 상부에 위치한 수용부에 연결된 추출액 이동 통로일수록 그 두께가 얇은,
증폭 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 이동 통로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일 지점까지 하나로 연장되다가, 상기 일 지점으로부터 각 수용부를 향해 분기되는,
증폭 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 이동 통로는 분기된 상기 일 지점부터 그 두께가 상이해지는,
증폭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유입되는 추출액의 양은 동일한,
증폭 모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는 추출액에 포함된 유전체를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가 저장된,
증폭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의 증폭 산물들은 서로 혼합되지 않는,
증폭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체 이동 통로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추출액 이동 통로는 상기 수용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증폭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가장자리는 라운드 처리된 것인,
증폭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 이동 통로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수용부에 이르기까지 한 번 이상 굽어지며, 굽어진 부분의 가장자리는 라운드 처리되고,
상기 기체 이동 통로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배출구에 이르기까지 한 번 이상 굽어지며, 굽어진 부분의 가장자리는 라운드 처리된 것인,
증폭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기체 이동 통로와 상기 추출액 이동 통로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증폭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추출액 이동 통로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일대일 대응되며 연결되는,
증폭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 각각에는 유전체를 증폭하기 위한 서로 다른 종류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가 저장된,
증폭 모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 이동 통로는 상기 바디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체 이동 통로는 상기 바디의 일면과 반대되는 반대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면과 상기 반대면은 각각 실링 부재에 의해 밀봉되는,
증폭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8308A KR102486349B1 (ko) | 2021-06-29 | 2022-03-28 | 기체 이동 통로와 추출액 이동 통로를 갖는 증폭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4993A KR102416335B1 (ko) | 2021-06-29 | 2021-06-29 | 기체 이동 통로와 추출액 이동 통로를 갖는 증폭 모듈 |
KR1020220038308A KR102486349B1 (ko) | 2021-06-29 | 2022-03-28 | 기체 이동 통로와 추출액 이동 통로를 갖는 증폭 모듈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4993A Division KR102416335B1 (ko) | 2021-06-29 | 2021-06-29 | 기체 이동 통로와 추출액 이동 통로를 갖는 증폭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2034A KR20230002034A (ko) | 2023-01-05 |
KR102486349B1 true KR102486349B1 (ko) | 2023-01-09 |
Family
ID=785926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4993A Active KR102416335B1 (ko) | 2021-06-29 | 2021-06-29 | 기체 이동 통로와 추출액 이동 통로를 갖는 증폭 모듈 |
KR1020220038308A Active KR102486349B1 (ko) | 2021-06-29 | 2022-03-28 | 기체 이동 통로와 추출액 이동 통로를 갖는 증폭 모듈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4993A Active KR102416335B1 (ko) | 2021-06-29 | 2021-06-29 | 기체 이동 통로와 추출액 이동 통로를 갖는 증폭 모듈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2036545B2 (ko) |
EP (1) | EP4112173A1 (ko) |
JP (1) | JP2024524419A (ko) |
KR (2) | KR102416335B1 (ko) |
CN (1) | CN117881480A (ko) |
WO (1) | WO202327724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4103A (ko) | 2022-09-28 | 2024-04-04 | 에스디바이오센서 주식회사 | 추출액 유입구에 인접한 분기 공간을 갖는 유전체 증폭 모듈 |
KR102748148B1 (ko) * | 2022-10-21 | 2024-12-31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현장 진단 검사 장치 |
KR102548277B1 (ko) * | 2022-11-15 | 2023-06-29 | 주식회사 위즈바이오솔루션 | 분자진단용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를 갖는 분자진단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9680122U (zh) | 2019-01-09 | 2019-11-26 | 南京岚煜生物科技有限公司 | 多指标微流控芯片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53076A (en) * | 1998-01-12 | 2000-11-28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Extended length microchannels for high density high throughput electrophoresis systems |
CN101300352B (zh) * | 2005-09-01 | 2013-03-20 | 佳能美国生命科学公司 | 检测、分析和鉴定基因组dna的方法和分子诊断装置 |
KR101429253B1 (ko) * | 2014-05-22 | 2014-08-12 | (주) 굿모닝 바이오 | 다채널 혈액 통로를 구비한 혈소판 활성화 장치 |
JP6737791B2 (ja) * | 2015-09-15 | 2020-08-12 |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解析容器 |
KR102065649B1 (ko) | 2017-12-28 | 2020-01-13 |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 핵산 추출용 카트리지의 피스톤 |
KR102076220B1 (ko) | 2017-12-28 | 2020-02-11 |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 핵산 추출용 카트리지의 유로 구조 |
KR101989920B1 (ko) | 2017-12-28 | 2019-06-17 |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 핵산 추출용 카트리지 |
KR102065650B1 (ko) | 2017-12-28 | 2020-02-11 |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 카트리지를 이용한 핵산 추출 방법 |
KR102027101B1 (ko) * | 2018-01-05 | 2019-10-02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시료의 농축 및 정제를 위한 미세유체 칩 및 전처리 방법 |
KR101893114B1 (ko) * | 2018-01-19 | 2018-08-3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기체 버블 트랩 기능을 갖는 미세 유체 공급소자 |
PL425107A1 (pl) * | 2018-03-30 | 2019-10-07 | Bacteromic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 Segment inkubacyjny |
KR102076809B1 (ko) * | 2018-11-26 | 2020-02-17 | 주식회사 토탈바이오센스 | 시료 분석용 칩, 이를 포함하는 시료 분석용 디바이스, 그리고 시료 분석용 칩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
KR101986464B1 (ko) | 2018-11-26 | 2019-06-05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시료 분석용 칩, 이를 포함하는 시료 분석용 디바이스, 그리고 시료 분석용 칩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
KR102281116B1 (ko) * | 2019-06-28 | 2021-07-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일체형 카트리지 |
KR102381134B1 (ko) * | 2019-11-27 | 2022-03-31 | 주식회사 바이오티엔에스 | 유체 분석용 마이크로 칩 및 이를 이용한 유전자 증폭 방법 |
-
2021
- 2021-06-29 KR KR1020210084993A patent/KR102416335B1/ko active Active
- 2021-09-07 CN CN202180101888.6A patent/CN117881480A/zh active Pending
- 2021-09-07 JP JP2023580717A patent/JP2024524419A/ja active Pending
- 2021-09-07 WO PCT/KR2021/012126 patent/WO202327724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1-09 EP EP21207157.5A patent/EP4112173A1/en active Pending
- 2021-11-18 US US17/455,577 patent/US12036545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3-28 KR KR1020220038308A patent/KR10248634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9680122U (zh) | 2019-01-09 | 2019-11-26 | 南京岚煜生物科技有限公司 | 多指标微流控芯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6335B1 (ko) | 2022-07-05 |
JP2024524419A (ja) | 2024-07-05 |
US12036545B2 (en) | 2024-07-16 |
EP4112173A1 (en) | 2023-01-04 |
KR20230002034A (ko) | 2023-01-05 |
US20220410142A1 (en) | 2022-12-29 |
WO2023277246A1 (ko) | 2023-01-05 |
CN117881480A (zh) | 2024-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3717B1 (ko) | 플로우 커버를 포함하는 유전체 추출 장치 | |
KR102486349B1 (ko) | 기체 이동 통로와 추출액 이동 통로를 갖는 증폭 모듈 | |
KR102362853B1 (ko) | 내측 챔버와 결합되는 안전 클립을 포함하는 유전체 추출 장치 | |
US20240226883A9 (en) | Microfluidic cartridge | |
KR101046156B1 (ko) | 혈구 분리 칩 | |
KR102346703B1 (ko) | 외측 챔버와 내측 챔버가 결합된 이중 챔버 구조의 유전체 추출 장치 | |
US20210291160A1 (en) | Flow control system for diagnostic assay system | |
KR102375252B1 (ko) | 외측 챔버와 비드 챔버가 결합된 이중 챔버 구조의 유전체 추출 장치 | |
KR101780429B1 (ko) | 정량주입 가능한 바이오칩 | |
KR100647320B1 (ko) | 혈청 분리용 마이크로 장치 | |
KR20240044103A (ko) | 추출액 유입구에 인접한 분기 공간을 갖는 유전체 증폭 모듈 | |
KR20240059057A (ko) | 미세유체 분리 및 분석용 통합카트리지 | |
CN217757478U (zh) | 微流控芯片 | |
KR20250028956A (ko) | 핵산 추출, 증폭, 및 분석을 위한 진단용 카트리지 | |
CA2928530A1 (en) | Transfer device of biological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3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062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08499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