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5139B1 -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 Google Patents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139B1
KR102485139B1 KR1020210078396A KR20210078396A KR102485139B1 KR 102485139 B1 KR102485139 B1 KR 102485139B1 KR 1020210078396 A KR1020210078396 A KR 1020210078396A KR 20210078396 A KR20210078396 A KR 20210078396A KR 102485139 B1 KR102485139 B1 KR 10248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asket
frying
tank
coo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650A (ko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김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곤 filed Critical 김재곤
Priority to KR1020210078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23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with means for filtering the fry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57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electrically heated
    • A47J37/1261Details of the heating elements; Fixation of the heating elements to the frying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고, 내부로는 조리할 재료가 넣어지며 망체로 형성된 바스켓과,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바스켓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식용유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기름탱크와, 상기 기름탱크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열매체유가 채워지는 히터 하우징;과, 상기 히터 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히터 커버부; 와, 상기 히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매체유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기름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식용유를 끓이며 튀김 조리가 이뤄지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조리 히터;와, 상기 기름탱크의 하부에 연통 구비되며, 상기 기름탱크에서 튀김 조리에 사용된 식용유가 회수되었다가 정제되어 상기 기름탱크로 다시 공급되는 과정이 순환되도록 구비된 기름 정제 순환유닛과, 상기 바스켓이 회전되도록 하여 회전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기름이 분리되도록 하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바스켓의 회전 시,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름이 다른 곳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 설치된 기름유출 방지커버를 포함하여, 튀김 조리에 사용되는 식용유가 항상 일정한 순도를 갖도록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정제되어 재순환되도록 함으로써, 튀김 요리가 항상 깨끗하게 정제된 상태의 식용유로 위생적으로 조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튀김 요리의 맛도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식용유의 소모량도 최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frying apparatus having integratedly functions of purifying, recycling and removing oil}
본 발명은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용유를 가열하는 히터의 열로인해 기름탱크의 코팅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식용유에 부유하는 튀김찌꺼기 탄화물이 기름탱크 내부에 흡착되지 않도록 하고, 히터의 열 전달 효율을 극대화하며, 튀김 조리에 사용되는 식용유가 항상 일정한 순도를 갖도록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정제되어 재순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튀김 조리가 수행되는 위치에서 자동으로 바로 다음에 튀김에서 기름이 편리하게 분리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지방)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리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도 대중적으로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음식이 튀김요리이다. 근래에는 패스트 푸드점, 치킨전문점, 튀김요리 전문점 등의 음식점들이 이러한 튀김요리를 제공하고 있고 최근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튀김요리를 제공하는 음식점은 기름이 저장되는 탱크에 튀김유를 저장하고 가열하여 음식재료를 넣어 튀긴 후 망을 이용하여 요리를 건져내는데 조리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렇게 요리가 진행되는 동안 튀김유의 온도는 150~200℃로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고 기름탱크 또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주의가 각별히 필요하다.
하지만, 주의를 한다고 하여도 튀김장치에서 튀는 튀김유에 의해 요리사들은 화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튀김장치가 발명되었는데 상기 튀김장치는 중앙의 축을 바스켓에 고정하여 중심축을 내리면 기름탱크에 음식이 들어가 튀겨지고 튀김이 다되면 중심축이 올라와 음식을 기름탱크에서 빼내는 기술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하지만, 중심축이 기름탱크를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서 중심축과 기름탱크 사이를 내마모성 충진재와 밀폐링을 통해 밀봉축받이를 설치하였으나 튀김유의 온도가 고온이다보니 밀봉 축받이가 손상되어 지속적인 교체 소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튀김을 튀기고 올라온 튀김류는 기름기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고 따라서 음식을 먹으면 튀김 기름을 그대로 섭취하게 되어 최근 현대인들에게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비만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음식에 기름기(지방)가 남아 있다 보니 튀김류의 맛과 질이 하향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튀김요리는 조리시간, 튀김유의 온도, 튀김유의 제거조건 등에 따라 음식의 맛이 달라지는데 상기의 조건은 요리사의 능력에 따라 달라지므로 동일한 음식점이라고 하여도 동일한 맛을 내지 못하고 음식의 맛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튀김장치는 일반적으로 기름탱크 외부에서 기름탱크에 열을 직접적으로 가하는 열선을 구비하거나, 또는 기름탱크 내부에 구비된 열선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에 따라 기름탱크 외부의 열선을 이용하여 기름에 열을 가할 경우, 열선으로부터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고온의 열에 의해 기름탱크의 코팅막이 손상되고, 코팅막이 손상된 기름탱크 표면에 음식물이 눌러붙어 탄화되며 내부 청소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름탱크 내부에 열선을 이용하여 기름에 열을 가하는 구조는 열선에 튀김찌꺼기 탄화물이 눌러붙어 찌꺼기가 타면서 열선의 열 전달효율을 감소시키고, 튀김유의 수명을 단축시켜 경제적으로 좋지 못하다.
한편, 튀김유는 오래 사용하게 되면 가열 조리과정에서 튀김유가 쉽게 변질될 수 있고, 기름 재 덩어리를 비롯한 불순물이 내부에 쉽게 발생 되어 건강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이렇게 변질 된 튀김유를 일일이 외부로 배출하고 새로운 튀김유가 사용되도록 교체해줘야 함에 따라 튀김유의 소모량이 점차 증가하게 되고 비용도 증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튀김의 식감이 더욱 바삭해지도록 튀김 조리가 완료되고 나면 조리가 수행된 위치에서 조리자가 수동으로 튀김을 조리 위치에서 바깥으로 직접 꺼내어 튀김 기름이 분리되는 과정을 별도로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튀김에서 튀김 기름을 분리하는 과정이 훨씬 불편하고 옮기는 과정에서 화상 등의 사고가 발생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자가 튀김을 조리된 위치에서 바깥으로 꺼내어 튀김 기름 분리 위치로 따로 옮기는 과정에서 튀김의 기름이 일단 외부 공기와 만나게 되면 얇은 기름 산화 막을 순식간에 형성하게 되어 튀김 기름 분리 위치에서 아무리 기름 분리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튀김에서 기름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바삭한 식감을 제대로 살리기 어려워질 수 있고, 과도한 튀김 기름의 섭취도 제대로 막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468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4482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유를 가열할 시, 식용유에 부유하는 튀김찌꺼기 탄화물이 기름탱크 내부에 접착되어 열효율을 저하시키며 조리용 기름을 오염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튀김의 조리와 식용유의 순환 정제(3회 조리 후 1회 정제) 및 튀김 기름 분리 제거가 모두 하나의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이뤄지도록 하여, 튀김 요리가 항상 깨끗하게 정제된 상태(튀김가루의 산화방지)의 식용유로 위생적으로 조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튀김 요리의 맛도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식용유의 소모량이 최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고, 튀김 조리가 수행되는 위치에서 자동으로 바로 다음에 튀김에서 기름이 회전하여 신속하게 분리 제거되도록 하여 튀김에서 튀김 기름을 분리하는 과정이 훨씬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튀김 조리가 완료되고 나면 튀김이 조리자에 의해 일일이 수동으로 외부로 꺼내어질 필요 없이 바로 그 자리에서 자동으로 기름 분리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여, 기름 산화 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해 튀김 기름 분리가 원활히 효율적으로 이뤄지도록 하므로, 튀김의 식감이 바삭하게 더욱 좋아지도록 함과 동시에 과도한 튀김 기름 섭취도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고, 내부로는 조리할 재료가 넣어지며 망체로 형성된 바스켓과,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바스켓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식용유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기름탱크와, 상기 기름탱크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열매체유(heating medium oil)가 채워지는 히터 하우징;과, 상기 히터 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히터 커버부; 와, 상기 히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매체유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기름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식용유를 끓이며 튀김 조리가 이뤄지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조리 히터;와, 상기 기름탱크의 하부에 연통 구비되며, 상기 기름탱크에서 튀김 조리에 사용된 식용유가 회수되었다가 정제되어 상기 기름탱크로 다시 공급되는 과정이 순환되도록 구비된 기름 정제 순환유닛과, 상기 바스켓이 회전되도록 하여 회전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기름이 분리되도록 하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바스켓의 회전 시,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름이 다른 곳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 설치된 기름유출 방지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하우징은 히터하우징의 측면에 관통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되 조리히터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중공이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되, 결합공에 끼워진 케이싱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용접된다. 상기 결합공은 상기 조리히터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리 히터는 상기 히터 하우징 내부에서 열매체유에 잠기도록 구비되는 가열부;와, 상기 케이싱의 중공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는 상기 히터하우징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부가 끼워지는 제1통공이 관통형성된 결합수단;과, 결합부가 끼워지는 제2통공이 관통 형성된 조립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과, 조립너트는 상기 케이싱의 중공에 끼워진다. 케이싱의 중공은 조리히터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과, 상기 제1삽입공과 연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과 연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조립너트가 삽입되는 제3삽입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1,2,3 삽입공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사이에는 제1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공과 상기 제3삽입공 사이에는 제2단턱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삽입공의 직경이 D1이고, 제2삽입공의 직경이 D2이고, 제3삽입공의 직경이 D3일 때, D1<D2<D3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수단은 제1삽입공을 향하는 면이 내측면이고, 제3삽입공을 향하는 면이 타측면일때, 결합수단의 내측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에 수납되어 상기 제1단턱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오링;이 구비된다. 상기 거치홈은 제1통공의 테두리부와 결합수단의 내측면 가장자리 사이에 구비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싱의 중공 내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너트의 외주면에는 나사홈 또는 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립너트와 케이싱이 나사결합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오링이 압착되어 조리히터와 케이싱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히터 하우징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기름유출 방지커버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체와, 바스켓거치대 중 하나 이상에 수용된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된 바스켓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 거치대의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기름탱크는 바스켓 거치대의 하부에서 상승 시 상기 바스켓을 수용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기름탱크에 연결구비되어 상기 기름탱크가 승강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기름탱크의 하부에 인접 구비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기름탱크의 하강 시 상기 바스켓이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바스켓 거치대의 하부 중심부에 인접 구비되어 상기 바스켓 거치대에 연결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스켓은, 상기 기름탱크의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기름탱크가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되며, 튀김 조리가 완료된 튀김들이 내부에 담긴 바스켓이 옮겨져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는 기름 분리유닛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기름 분리유닛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타측을 통해 노출되는 개구를 갖고 내부에는 상기 바스켓이 수용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및 상기 기름유출 방지커버의 사이에 연통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름이 따로 모아져 저장되도록 하는 기름 회수 탱크를 포함하되, 회전체 내부에는 조리가 완료된 튀김들이 담긴 바스켓이 상부에 걸쳐지도록 바스켓 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체가 내부에 구비된 바스켓과 함께 회전된다.
또한, 상기 바스켓은, 상기 또 다른 제2기름탱크의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또 다른 기름탱크가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되며, 또 다른 기름탱크에서 튀김 조리가 완료된 튀김들이 내부에 담긴 바스켓이 옮겨져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는 기름 분리유닛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기름 분리유닛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타측을 통해 노출되는 개구를 갖고 내부에는 상기 바스켓이 수용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및 상기 기름유출 방지커버의 사이에 연통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름이 따로 모아져 저장되도록 하는 기름 회수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부에 의해 바스켓과 함께 회전된다.
또한, 상기 기름 정제 순환유닛은, 상기 기름탱크의 하부 중심부에 연통 구비되며 내부는 사용된 식용유가 배출되는 한편 정제된 식용유가 다시 상기 기름탱크로 공급되게 이중관의 구조로 마련된 정제 순환관과, 상기 정제 순환관의 단부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된 식용유가 배출되는 기름 배출관과, 상기 정제 순환관의 단부 타측에 구비되어 정제된 식용유가 다시 상기 정제 순환관을 통해 흡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정제유 흡입관과, 상기 기름 배출관 및 상기 정제유 흡입관이 연결 구비되어 상기 기름 배출관을 통해 유입되는 식용유는 정제되게 하고 정제된 식용유만 상기 정제유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기름 정제 순환탱크와, 상기 정제유 흡입관에 구비되어 상기 기름 정제 순환탱크에서 정제된 식용유가 흡입되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기름 정제 순환탱크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의 형태로 구비되며, 중간 부분 위의 상부에는 거름 망이 구비되고, 중간 부분 높이 이하에는 정제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기름 배출관은 상기 기름 정제 순환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거름 망의 상부까지만 연장되고 상기 정제유 흡입관은 상기 기름 정제 순환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정제 필터의 하부로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정제 순환관은 중심부의 내관이 상기 기름 배출관에 연통되고, 외관이 상기 정제유 흡입관에 연통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튀김 조리를 위한 식용유가 담겨지는 기름탱크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식용유에 부유하는 튀김찌꺼기 탄화물이 기름탱크 내부에 접착되어 열효율을 저하시키며 조리용 기름을 오염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히터의 전열면적을 최대로 확보하여 열매체유를 고온으로 가열하지 않더라도 기름탱크 내부의 기름을 신속하게 설정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튀김의 조리와 식용유의 순환 정제 및 회전에 의한 튀김 기름 분리 제거가 모두 하나의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튀김 요리가 항상 깨끗하게 정제된 상태의 식용유로 위생적으로 조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 완료된 튀김에서 기름이 간편하고 안전하게 분리 제거되도록 할 수 있는 튀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싱과 히터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싱과 히터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튀김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싱(100)과, 상기 본체 케이싱(100)의 외부에 구비되고, 내부로는 조리할 재료가 넣어지며 망체로 형성된 바스켓(250)과, 본체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상기 바스켓(2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식용유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기름탱크(300)와, 상기 기름탱크(300)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열매체유(heating medium oil)가 채워지는 히터하우징(800);과, 상기 히터하우징(8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히터 커버부(810); 와, 상기 히터하우징(8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매체유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기름탱크(300)의 내부에 저장된 식용유를 끓이며 튀김 조리가 이뤄지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조리 히터(310);와, 상기 기름탱크(300)의 하부에 연통 구비되며, 상기 기름탱크(300)에서 튀김 조리에 사용된 식용유가 회수되었다가 정제되어 상기 기름탱크(300)로 다시 공급되는 과정이 순환되도록 구비된 기름 정제 순환유닛(400)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조리히터(310)가 기름탱크(300) 내부의 기름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조리용 기름의 온도가 갑작스럽게 급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용 기름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튀김찌꺼기 탄화물이 기름탱크(300) 내부에 접착되어 열효율을 저하시키며 조리용 기름을 오염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본체케이싱(100)의 상부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된 바스켓 거치대(200)를 더 포함하며, 바스켓(250)은 바스켓 거치대(200)의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본체케이싱(100)의 상부에는 바스켓 거치대가 노출되는 개구가 형성된다.
또한, 기름탱크(300)와 바스켓거치대(200) 사이에 고정 설치된 기름 유출 방지 커버(600)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튀김장치의 구조를 정면에서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튀김장치의 기름탱크와 히터하우징의 결합상태를 정면에서 도시한 투시도이고, 도 3의 (c)는 본 발명의 튀김장치의 기름탱크와 히터하우징의 결합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스켓(250)이 회전되도록 하여 회전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바스켓(250)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기름이 분리되도록 하는 회전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름유출 방지커버(600)은 상기 바스켓(250)의 회전 시, 상기 바스켓(250)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름이 다른 곳으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히터하우징(800)은 히터하우징의 측면에 관통형성된 결합공(801);과,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되 조리히터(310)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중공이 형성된 케이싱(90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공에 끼워진 케이싱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용접된다. 상기 결합공(801)은 상기 조리히터(31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싱과 히터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도도이다. 도 4와, 도 3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조리 히터(310)는 상기 히터하우징(800) 내부에서 열매체유(10)에 잠기도록 구비되는 가열부(310a);와, 상기 케이싱의 중공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부(310b);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310a)는 상기 히터하우징(800)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Tx만큼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310a)는 조리히터(310)의 가열열선이 구비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310b)에는, 결합부(310b)가 끼워지는 제1통공(911)이 관통형성된 결합수단(910)과, 결합부(310b)가 끼워지는 제2통공(921)이 관통 형성된 조립너트(92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910)과, 조립너트(920)는 상기 케이싱(900)의 중공에 끼워진다.
상기 케이싱의 중공은 조리히터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900a)과, 상기 제1삽입공과 연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900b)과, 상기 제2삽입공과 연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조립너트(920)가 삽입되는 제3삽입공(900c)을 포함한다. 상기 제1,2,3 삽입공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사이에는 제1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공과 상기 제3삽입공 사이에는 제2단턱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삽입공(900a)의 직경이 D1이고, 제2삽입공(900b)의 직경이 D2이고, 제3삽입공(900c)의 직경이 D3일 때, D1<D2<D3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싱과 히터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수단(910)은 제1삽입공을 향하는 면이 내측면이고, 제3삽입공을 향하는 면이 타측면일때, 결합수단의 내측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거치홈(902);과, 상기 거치홈에 수납되어 상기 제1단턱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오링(90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거치홈은 제1통공의 테두리부와 결합수단의 내측면 가장자리 사이에 구비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케이싱의 중공 내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너트의 외주면에는 나사홈 또는 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립너트와 케이싱이 나사결합된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오링이 압착되어 조리히터와 케이싱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조리히터(310)는 3개 또는 4개가 구비되는 것이 가장 좋다. 상기 조리히터(31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조리히터의 키로수는 감소하므로, 조리히터의 개수는 다량 구비 될수록 좋다.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전열면적이 우수하여 상기 열매체유(10)를 고온으로 가열하지 않더라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목표온도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열매체유(10)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히터하우징(800)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히터하우징(800)과, 상기 히터 커버부(810)의 재질은 SUS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기술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기름탱크(300)가 상승하여 튀김재료가 내부에 담긴 바스켓을 감싸게 되면, 상기 조리히터가 열매체유를 가열하고, 가열된 열매체유에 의해 상기 기름탱크 내부의 기름의 온도가 상승하되, 튀김 요리가 수행되는 충분한 온도까지 기름이 신속하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름탱크(300)의 하부에는 기름탱크를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하는 승강부(360)가 구비되고, 승강부(360)는 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승강 구동부(350)에 의해 승강 동작이 이뤄지도록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기름탱크(300)는 바스켓 거치대(200)의 하부에서 상승 시 상기 바스켓(250)을 수용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기름탱크(300)에 연결구비되어 상기 기름탱크(300)가 승강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3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기름탱크(300)의 하부에 인접 구비된다.
도 3의 회전 구동부(500)는, 상기 기름탱크(300)의 하강 시 상기 도 2의 바스켓(250)이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바스켓 거치대(200)의 하부 중심부에 인접 구비되어 상기 바스켓 거치대(200)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기름탱크(300)의 승하강 동작이 가능함에 따라, 튀김 조리가 완료되고 나면 튀김이 조리자에 의해 일일이 수동으로 외부로 꺼내어질 필요 없이 바로 그 자리에서 자동으로 기름 분리 작업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기름 산화 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해 튀김 기름 분리가 원활히 효율적으로 이뤄지도록 하여, 튀김의 식감이 바삭하게 더욱 좋아지도록 함과 동시에 과도한 튀김 기름 섭취도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튀김 조리에 사용되는 식용유가 항상 일정한 순도를 갖도록 기름 정제 순환유닛을 제어하여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튀김 기름이 정제 및 재순환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본체 케이싱(100)의 상부 일측에는 또다른 기름탱크(300a)가 본체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100)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본체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되는 기름 분리유닛(700)이 더 구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250)은 상기 기름탱크(300)의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기름 분리유닛(700)은 튀김 조리가 완료된 튀김들이 내부에 담긴 바스켓(250)이 옮겨져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며, 상기 본체 케이싱(100)의 상부 타측을 통해 노출되는 개구를 갖는다.
도 9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기름 분리유닛(700)의 내부에는 상기 도 8의 바스켓(250)이 수용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체(710)와, 상기 회전체(710) 및 상기 기름유출 방지커버(600)의 사이에 연통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710)의 회전시 상기 바스켓(250)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름이 따로 모아져 저장되도록 하는 기름 회수 탱크(720)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체(710) 내부에는 조리가 완료된 튀김들이 담긴 도 8의 바스켓(250)이 상부에 걸쳐지도록 바스켓 거치대(20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710)는 상기 회전 구동부(500)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부(500)에 의해 회전체(710)가 내부에 구비된 바스켓(250)과 함께 회전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도 8의 바스켓(250)은 또 다른 제2기름탱크(300a)의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또 다른 제2기름탱크(300a)에서 튀김 조리가 완료된 튀김들이 내부에 담긴 바스켓(250)이 옮겨져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는 기름 분리유닛(700)이 구비된다. 상기 기름 분리유닛(700)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본체 케이싱(100)의 상부 타측을 통해 노출되는 개구를 갖는다. 또한 기름 분리유닛(700)의 내부에는 상기 바스켓(250)이 수용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체(710)와, 상기 회전체(710) 및 상기 기름유출 방지커버(600)의 사이에 연통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710)의 회전시 상기 바스켓(250)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름이 따로 모아져 저장되도록 하는 기름 회수 탱크(720)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710)는 상기 회전 구동부(500)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부(500)에 의해 바스켓(250)과 함께 회전된다.
본 발명의 기름 정제 순환유닛(400)은, 도 2 내지 도 3의 기름탱크(300), 그리고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제2기름탱크(300a)의 하부 중심부에 연통 구비된다. 기름 정제 순환유닛(400)의 내부는 사용된 식용유가 배출되는 한편 정제된 식용유가 다시 상기 기름탱크(300)로 공급되게 이중관의 구조로 마련된 정제 순환관(410)과, 상기 정제 순환관(410)의 단부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된 식용유가 배출되는 기름 배출관(420)과, 상기 정제 순환관(410)의 단부 타측에 구비되어 정제된 식용유가 다시 상기 정제 순환관(410)을 통해 흡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정제유 흡입관(430)과, 상기 기름 배출관(420) 및 상기 정제유 흡입관(430)이 연결 구비되어 상기 기름 배출관(420)을 통해 유입되는 식용유는 정제되게 하고 정제된 식용유만 상기 정제유 흡입관(430)을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기름 정제 순환탱크(440)와, 상기 정제유 흡입관(430)에 구비되어 상기 기름 정제 순환탱크(440)에서 정제된 식용유가 흡입되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펌프(431)를 포함한다.
또한, 기름 정제 순환탱크(44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의 형태로 구비되며, 중간 부분 위의 상부에는 거름 망(441)이 구비되고, 중간 부분 높이 이하에는 정제 필터(443)가 구비되며, 상기 기름 배출관(420)은 상기 기름 정제 순환탱크(440)의 내부에서 상기 거름 망의 상부까지만 연장된다.
상기 정제유 흡입관(430)은 상기 기름 정제 순환탱크(440)의 내부에서 상기 정제 필터의 하부로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정제 순환관(410)은 중심부의 내관이 상기 기름 배출관(420)에 연통되고, 외관이 상기 정제유 흡입관(430)에 연통되게 구비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중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유출 방지커버(600)는 본체 케이싱(100)의 내부에서 회전체(710)와, 바스켓거치대(200) 중 하나 이상에 수용된 바스켓(250)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튀김의 조리와 식용유의 순환 정제 및 튀김 기름 분리 제거가 모두 하나의 위치에서 일체형으로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콤팩트한 구성으로 복잡하지 않은 단순한 구성으로 설치공간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반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고, 튀김 요리가 항상 깨끗하게 정제된 상태의 식용유로 위생적으로 조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튀김 요리의 맛도 향상되도록 할 수 있으며, 식용유의 소모량도 최소화되어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고, 튀김 조리가 수행되는 위치에서 자동으로 바로 다음에 튀김에서 기름이 편리하게 분리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튀김에서 튀김 기름을 분리하는 과정이 훨씬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열매체유 100 : 본체 케이싱
200 : 바스켓 거치대 250 : 바스켓
300 : 기름탱크 300a : 제2기름탱크
310 : 조리 히터 350 : 승강 구동부
360 : 승강부 400 : 기름 정제 순환유닛
410 : 정제 순환관 420 : 기름 배출관
430 : 정제유 흡입관 431 : 흡입펌프
440 : 기름 정제 순환탱크 441 : 거름 망
443 : 정제 필터 450 : 정제유 순환밸브
500 : 회전 구동부 600 : 기름유출 방지커버
700 : 기름 분리유닛 710 : 회전체
720 : 기름 회수 탱크 800 : 히터하우징
801 : 결합공 810 : 히터 커버부
900 : 케이싱 900a : 제1삽입공
900b : 제2삽입공 900c : 제3삽입공
901 : 오링 902 : 거치홈
910 : 결합수단 911 : 제1통공
920 : 조립너트 921 : 제2통공

Claims (11)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본체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고, 내부로는 조리할 재료가 넣어지며 망체로 형성된 바스켓과,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바스켓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식용유가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기름탱크와,
    상기 기름탱크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열매체유가 채워지는 히터 하우징;과,
    상기 히터 하우징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히터 커버부; 와,
    상기 히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열매체유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기름탱크의 내부에 저장된 식용유를 끓이며 튀김 조리가 이뤄지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조리 히터;와,
    상기 기름탱크의 하부에 연통 구비되며, 상기 기름탱크에서 튀김 조리에 사용된 식용유가 회수되었다가 정제되어 상기 기름탱크로 다시 공급되는 과정이 순환되도록 구비된 기름 정제 순환유닛과,
    상기 바스켓이 회전되도록 하여 회전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기름이 분리되도록 하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바스켓의 회전 시,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름이 다른 곳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 설치된 기름유출 방지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히터 하우징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하우징은 히터하우징의 측면에 관통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되 조리히터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중공이 형성된 케이싱;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공은 상기 조리히터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히터는 상기 히터 하우징 내부에서 열매체유에 잠기도록 구비되는 가열부;와, 상기 케이싱의 중공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부는 상기 히터하우징 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부가 끼워지는 제1통공이 관통형성된 결합수단;과, 결합부가 끼워지는 제2통공이 관통 형성된 조립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과, 조립너트는 상기 케이싱의 중공에 끼워지고,
    케이싱의 중공은 조리히터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공과, 상기 제1삽입공과 연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과 연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조립너트가 삽입되는 제3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2,3 삽입공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사이에는 제1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공과 상기 제3삽입공 사이에는 제2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제1삽입공을 향하는 면이 내측면이고, 제3삽입공을 향하는 면이 타측면일때, 결합수단의 내측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거치홈;과, 상기 거치홈에 수납되어 상기 제1단턱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오링;이 구비되며, 상기 거치홈은 제1통공의 테두리부와 결합수단의 내측면 가장자리 사이에 구비된 홈이되,
    상기 케이싱의 중공 내주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너트의 외주면에는 나사홈 또는 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립너트와 케이싱이 나사결합되며, 상기 오링이 압착되어 조리히터와 케이싱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유출 방지커버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회전체와, 바스켓거치대 중 하나 이상에 수용된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부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된 바스켓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은 상기 바스켓 거치대의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기름탱크는 바스켓 거치대의 하부에서 상승 시 상기 바스켓을 수용하도록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기름탱크에 연결구비되어 상기 기름탱크가 승강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기름탱크의 하부에 인접 구비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기름탱크의 하강 시 상기 바스켓이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바스켓 거치대의 하부 중심부에 인접 구비되어 상기 바스켓 거치대에 연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기름탱크의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기름탱크가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되며, 튀김 조리가 완료된 튀김들이 내부에 담긴 바스켓이 옮겨져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는 기름 분리유닛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기름 분리유닛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타측을 통해 노출되는 개구를 갖고 내부에는 상기 바스켓이 수용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및 상기 기름유출 방지커버의 사이에 연통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름이 따로 모아져 저장되도록 하는 기름 회수 탱크를 포함하되,
    회전체 내부에는 조리가 완료된 튀김들이 담긴 바스켓이 상부에 걸쳐지도록 바스켓 거치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체가 내부에 구비된 바스켓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또 다른 제2기름탱크의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또 다른 기름탱크가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서 개구가 노출되게 구비되며, 또 다른 기름탱크에서 튀김 조리가 완료된 튀김들이 내부에 담긴 바스켓이 옮겨져 내부에 걸쳐져 수용되는 기름 분리유닛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기름 분리유닛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상부 타측을 통해 노출되는 개구를 갖고 내부에는 상기 바스켓이 수용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 및 상기 기름유출 방지커버의 사이에 연통 구비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상기 바스켓의 내부에 담긴 튀김으로부터 분리되는 기름이 따로 모아져 저장되도록 하는 기름 회수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부에 의해 바스켓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정제 순환유닛은, 상기 기름탱크의 하부 중심부에 연통 구비되며 내부는 사용된 식용유가 배출되는 한편 정제된 식용유가 다시 상기 기름탱크로 공급되게 이중관의 구조로 마련된 정제 순환관과,
    상기 정제 순환관의 단부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된 식용유가 배출되는 기름 배출관과,
    상기 정제 순환관의 단부 타측에 구비되어 정제된 식용유가 다시 상기 정제 순환관을 통해 흡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정제유 흡입관과,
    상기 기름 배출관 및 상기 정제유 흡입관이 연결 구비되어 상기 기름 배출관을 통해 유입되는 식용유는 정제되게 하고 정제된 식용유만 상기 정제유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도록 하는 기름 정제 순환탱크와,
    상기 정제유 흡입관에 구비되어 상기 기름 정제 순환탱크에서 정제된 식용유가 흡입되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기름 정제 순환탱크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의 형태로 구비되며, 중간 부분 위의 상부에는 거름 망이 구비되고, 중간 부분 높이 이하에는 정제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기름 배출관은 상기 기름 정제 순환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거름 망의 상부까지만 연장되고
    상기 정제유 흡입관은 상기 기름 정제 순환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정제 필터의 하부로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정제 순환관은 중심부의 내관이 상기 기름 배출관에 연통되고, 외관이 상기 정제유 흡입관에 연통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KR1020210078396A 2021-06-17 2021-06-17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Active KR10248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396A KR102485139B1 (ko) 2021-06-17 2021-06-17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396A KR102485139B1 (ko) 2021-06-17 2021-06-17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650A KR20220168650A (ko) 2022-12-26
KR102485139B1 true KR102485139B1 (ko) 2023-01-04

Family

ID=8454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396A Active KR102485139B1 (ko) 2021-06-17 2021-06-17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1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18B1 (ko) * 2004-01-16 2006-10-04 주식회사 쥴 튀김용 가열탱크
KR101373908B1 (ko) * 2013-05-28 2014-03-12 이해룡 진공방식의 열매체유 혼입방지기능을 갖는 음식물 조리장치
KR102159131B1 (ko) * 2020-01-30 2020-09-23 김재곤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일체형으로 갖는 튀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6953A3 (en) 1997-02-17 2003-10-22 Seiko Epson Corporation Active matrix electroluminescent display with two tft's and storage capacitor
KR101146881B1 (ko) 2011-12-26 2012-05-16 김재곤 튀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18B1 (ko) * 2004-01-16 2006-10-04 주식회사 쥴 튀김용 가열탱크
KR101373908B1 (ko) * 2013-05-28 2014-03-12 이해룡 진공방식의 열매체유 혼입방지기능을 갖는 음식물 조리장치
KR102159131B1 (ko) * 2020-01-30 2020-09-23 김재곤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일체형으로 갖는 튀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650A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5433A (en) Deep fat fryer assembly
US5323693A (en) Combination frying pan insert and frying pan
US10499770B2 (en) Electric fryer
KR102159131B1 (ko)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일체형으로 갖는 튀김장치
CN106175477B (zh) 无油空气炸锅
JP2002512825A (ja) 家庭用フライヤー
JP7660383B2 (ja) 油の循環精製機能及び揚げ油の分離機能を有する揚げ装置
KR102485139B1 (ko)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튀김 기름 분리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KR102159137B1 (ko) 기름 순환 정제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US20230320529A1 (en) Automatic Oil Filtering Fryer
KR101567300B1 (ko) 분리형 수유식 튀김기
CN112178714A (zh) 多功能集成厨房加工平台及其控制方法
KR102159125B1 (ko) 튀김 기름 순환 정제 기능 및 기름 유출 방지 기능을 갖는 튀김장치
JP3493556B2 (ja) 食用油の循環式濾過装置及びこの濾過装置付きフライヤ
KR101035521B1 (ko) 튀김기
KR200312289Y1 (ko) 테이블 부착형 튀김기
CN109892354A (zh) 一种具有去浮渣功能的油炸锅
CN1649535A (zh) 烹饪和分发食品的装置
KR102166998B1 (ko) 튀김 조리 장치
KR200496732Y1 (ko) 이동식 구이판이 포함된 구이장치
KR200308245Y1 (ko) 튀김 조리기
CN218922334U (zh) 空气炸锅
CN218870092U (zh) 空气加热烹饪内胆和空气加热烹饪设备
CN213244876U (zh) 一种多功能烤盘
KR20130080303A (ko) 여과장치가 구비된 튀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