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866B1 -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3866B1 KR102483866B1 KR1020210100112A KR20210100112A KR102483866B1 KR 102483866 B1 KR102483866 B1 KR 102483866B1 KR 1020210100112 A KR1020210100112 A KR 1020210100112A KR 20210100112 A KR20210100112 A KR 20210100112A KR 102483866 B1 KR102483866 B1 KR 1024838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quality
- indoor air
- ventilation device
- measurement
- i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Fuzzy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30: 환기 장치 140: 사용자 단말
1000: 컴퓨터 시스템 1010: 프로세서
1020: 버스 1030: 메모리
1031: 롬 1032: 램
10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105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
1060: 스토리지 10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80: 네트워크
Claims (10)
-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질 측정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기질 측정 스케줄에 따라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상기 환기 장치의 제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현재 실내 공기질, 상기 사용자의 재실 여부 및 상기 제어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는,
사용자의 재실 이력, 상기 사용자의 재실 이력에 따른 실내 공기질 변화량 및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에 따른 실내 공기질 변화량을 학습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는,
실내에 설치된 공기질 측정기를 통해 기 설정된 각 항목별로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 측정기는,
하나의 공기질 측정 센서를 포함하고,
실내 공기가 상기 공기질 측정기를 지나도록 제어하면서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는,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사용자의 부재 시 실내 공기질의 항목별 최소 기준값, 공기질 측정 주기, 공기질 측정 시간 및 환기 장치의 가동 수준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 장치의 제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기질을 나타내는 각 항목들의 값을 점수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점수화된 각 항목들의 값이 상기 최소 기준값에 대응하는 기준 점수에 미달하지 않도록 하는 환기 장치의 동작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및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을 나타내는 각 항목들의 값을 점수화하는 단계 후,
상기 항목들 중 최소 기준치가 필요한 것으로 설정된 항목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최소 기준치가 필요한 것으로 설정된 제1 항목들에 대해 상기 기준 점수를 최소 기준치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항목들에 대한 점수들이 최소 기준치 미만이 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재실 예상기간 동안 상기 제1 항목들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에 대한 점수 평균 값이 최대가 되도록 환기 장치의 동작 스케줄을 생성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및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후,
상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공기질의 항목별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포함하는 실내에 비치된 사물 인터넷 기기들을 각각 동작시키는 경우 예상되는 실내 공기질의 항목별 예상 측정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항목별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항목별 예상 측정값을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별로 점수화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측정값에 대응하는 점수들 중 가장 높은 점수에 대응하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및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별로 점수화하는 단계는,
상기 항목별 예상 측정값이 상기 항목별 기준값에 가까울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의 제어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사물 인터넷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및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질 측정기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외부의 실외 온도 측정 장치로부터 실외 온도 측정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실외 온도 측정 값 및 실내 온도 측정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차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환기 장치 내 열 교환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질 측정 및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질 측정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공기질 측정 스케줄에 따라 실내 공기질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내 공기질 개선을 위한 상기 환기 장치의 제어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현재 실내 공기질, 상기 사용자의 재실 여부 및 상기 제어 스케줄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는,
사용자의 재실 이력, 상기 사용자의 재실 이력에 따른 실내 공기질 변화량 및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에 따른 실내 공기질 변화량을 학습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0112A KR102483866B1 (ko) | 2021-07-29 | 2021-07-29 |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0112A KR102483866B1 (ko) | 2021-07-29 | 2021-07-29 |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3866B1 true KR102483866B1 (ko) | 2023-01-03 |
Family
ID=8492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0112A Active KR102483866B1 (ko) | 2021-07-29 | 2021-07-29 |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386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1370A (ko) | 2023-01-09 | 2024-07-17 | (주)보티 |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스마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
KR102701384B1 (ko) * | 2023-10-11 | 2024-09-02 | 탐나 주식회사 |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식물 인테리어 기반 실내환경을 조절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5135A (ko) * | 2008-01-03 | 2009-07-08 | (주)지준시스템 | 공기질 관리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KR101664267B1 (ko) * | 2015-12-21 | 2016-10-11 | 은성화학(주) |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
WO2020250347A1 (ja) * | 2019-06-12 | 2020-12-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調制御装置および空調制御システム |
KR20210093643A (ko) * | 2020-01-20 | 2021-07-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매립형 공기청정장치 |
-
2021
- 2021-07-29 KR KR1020210100112A patent/KR10248386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5135A (ko) * | 2008-01-03 | 2009-07-08 | (주)지준시스템 | 공기질 관리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KR101664267B1 (ko) * | 2015-12-21 | 2016-10-11 | 은성화학(주) | 바이패스통로를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
WO2020250347A1 (ja) * | 2019-06-12 | 2020-12-17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調制御装置および空調制御システム |
KR20210093643A (ko) * | 2020-01-20 | 2021-07-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매립형 공기청정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11370A (ko) | 2023-01-09 | 2024-07-17 | (주)보티 |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스마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
KR102701384B1 (ko) * | 2023-10-11 | 2024-09-02 | 탐나 주식회사 |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식물 인테리어 기반 실내환경을 조절 방법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110082B (zh) | 用于家电控制的方法、装置和家电 | |
KR102483866B1 (ko) | 환기 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 |
KR102572499B1 (ko) |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및 분석서버 | |
JP2009527838A (ja) | 空気の流通を調整することにより空気汚染を評価すると共に減少させるシステム及び方法 | |
WO2017127431A1 (en) | Fresh air building and home ventilation apparatus and methodologies | |
CN113091135A (zh) | 用于控制新风设备的方法及装置、新风空调 | |
EP1747408B1 (en) |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203500B1 (ko) | 지하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방법 및 지하 실내 공기질 제어 시스템 | |
CN105674491A (zh) | 一种基于云平台的室内环境管理系统 | |
Nagarathinam et al. | Centralized management of HVAC energy in large multi-AHU zones | |
KR20210123080A (ko) |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제어 방법 | |
KR20190119308A (ko) | 환기장치의 필터 교체시기 알림장치 및 환기장치의 필터 교체시기 판단방법 | |
JP7310158B2 (ja) | サービス提案時期調整装置および空気調和システム | |
US20200080737A1 (en) | Air cleaner and network system | |
EP4414621A1 (en) |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 |
KR102439005B1 (ko) | 실내외 공기질 측정 및 실내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 |
KR102439018B1 (ko) | 공기질 측정을 통한 사물 인터넷 기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 |
Kalema et al. | Methods to reduce the CO 2 concentration of educational buildings utilizing internal ventilation by transferred air | |
KR102819580B1 (ko) | 빅데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공기질 관리 시스템 | |
CN112212481A (zh) | 利用深度强化学习控制环境舒适度的系统及其方法 | |
KR102628717B1 (ko) | 실내 공기 종합관리시스템 및 실내 공기 종합관리방법 | |
CN113465095A (zh) | 用于提示用户清洗空调的方法、装置及空调 | |
JP2004094299A (ja) | ビル設備の運営管理システム | |
US20250060122A1 (en) | Machine learning based control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on and cooling systems | |
Miao et al. | Assessing the Fluctuation of Indoor Thermal Conditions in Naturally Ventilated Classrooms Through K‐Means Cluste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