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730B1 - Electric three wheeled vehicle for improving steering stability - Google Patents
Electric three wheeled vehicle for improving steering sta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3730B1 KR102483730B1 KR1020210057019A KR20210057019A KR102483730B1 KR 102483730 B1 KR102483730 B1 KR 102483730B1 KR 1020210057019 A KR1020210057019 A KR 1020210057019A KR 20210057019 A KR20210057019 A KR 20210057019A KR 102483730 B1 KR102483730 B1 KR 1024837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steering
- front wheels
- rotating shaf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8—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steering devices acting on two or more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7—Motorcycles with three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에 관한 것으로, 조향시 한쌍의 전륜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한쌍의 전륜 각각이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은 동력으로도 충분한 회전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wherein a pair of front wheels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uring steering, and at the same time, each of the pair of front wheels moves forward or backward to provide a sufficient rotation angle with little power. that made it possib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vehicle steer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2026호(2012.10.11) 등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전동 삼륜차는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해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켜 이동하는 이동 수단으로, 한쌍의 전륜과 하나의 후륜 또는 하나의 전륜과 한쌍의 후륜을 구비할 수 있으며, 모터 회전력을 이용하지 않는 비동력 륜을 이용해 조향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12026 (October 11, 2012), an electric three-wheeled vehicle is a means of moving by rotating the front or rear wheels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a motor. A front wheel and a pair of rear wheels may be provided, and steering is performed using non-powered wheels that do not use motor torque.
전동 이륜차에 비해 주행 안정성이 우수하고, 전동 사륜차에 비해 소형 경량인 전동 삼륜차는 차량 제작이 용이하고 가격도 비교적 저렴하므로, 단거리용 이동수단으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에도 불구하고 좌우 회전시 원심력을 상쇄할 만큼의 충분한 각도와 동력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회전 안정성이 미흡하여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An electric three-wheeled vehicle, which has excellent running stability compared to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nd is smaller and lighter than an electric four-wheeled vehicle, is easy to manufacture and relatively inexpensive, so it is mainly u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short distances. However,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since i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angle and power to offset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left and right rotation, it is not widely used due to insufficient rotational stability.
따라서, 본 발명자는 조향시 한쌍의 전륜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한쌍의 전륜 각각이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은 동력으로도 충분한 회전각을 제공함으로써 회전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전동 삼륜차의 조향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electric drive capable of improving rotational stability by providing a sufficient rotational angle even with little power by moving a pair of front wheel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t the same time as a pair of front wheels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during steering.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steering technology of a tricycle.
본 발명은 조향시 한쌍의 전륜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한쌍의 전륜 각각이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은 동력으로도 충분한 회전각을 제공할 수 있는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capable of providing a sufficient rotational angle even with little power by moving a pair of front wheel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during steering and at the same time moving in a front or rear direction, respectively. for that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가 한쌍의 전륜과; 하나의 후륜과; 하나의 후륜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한쌍의 전륜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조향하는 조향부와; 한쌍의 전륜을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부와;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 제어를 포함하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includes a pair of front wheels; one rear wheel; a drive motor for rotationally driving one rear wheel; a steering unit for steering the pair of front wheels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steering assist unit for assisting steering by moving a pair of front wheels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verall device including control of rotation driving of the drive motor.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향부가 핸들에 축설되어 사용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샤프트와; 회전 샤프트에 수직하게 전후방을 향하도록 회전 샤프트에 관통 설치되어, 회전 샤프트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조향봉과; 조향봉 양단에 각각 그 중심이 링크되어, 조향봉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쌍의 수평봉과; 한쌍의 수평봉 양단에 그 양단이 각각 링크되어, 한쌍의 수평봉의 왕복 운동을 다시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한쌍의 전륜을 조향하는 한쌍의 수직봉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unit is provided on the handle and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handle operation; a steering rod install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so as to face forward and backward perpendicularly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in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 pair of horizontal rods, the center of which is linked to both ends of the steering rod, to convert rotational motion of the steering rod into reciprocating motion; It may include a pair of vertical rods whose both ends are link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horizontal rods to convert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air of horizontal rods back into rotational motion to steer the pair of front wheels.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향 보조부가 회전 샤프트 회전에 따라 한쌍의 수직봉 각각에 수직한 방향으로 축설되는 한쌍의 전륜을 전 또는 후 방향으로 기계 제어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assist unit may be implemented to mechanically move a pair of front wheels that are retra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in a forward or rearward direction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향 보조부가 회전 샤프트의 회전각에 따라 한쌍의 전륜을 한쌍의 수직봉 상에서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전자 제어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aid may be implemented to electronically control move the pair of front wheels on the pair of vertical rods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depending on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향 보조부가 회전 샤프트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각 센서와; 회전각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 샤프트의 회전각에 따른 한쌍의 전륜 이동 제어 명령을 제어부로부터 수신하여 한쌍의 전륜을 한쌍의 수직봉 상에서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륜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otation angle sensor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a rotation shaft of the steering assistance unit; It may include a front wheel moving unit that receives a pair of front wheel movement control command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shaft detected by the rotation angle sensor from the control unit and moves the pair of front wheels in a front or rear direction on the pair of vertical rods.
본 발명은 조향시 한쌍의 전륜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한쌍의 전륜 각각이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은 동력으로도 충분한 회전각을 제공함으로써 회전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rotational stability by providing a sufficient rotational angle even with little power by moving a pair of front wheel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during steering and at the same time moving each of the pair of front wheels in a forward or rearward direction.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의 조향 보조부가 기계 제어식으로 구현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의 조향 보조부가 전자 제어식으로 구현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se in which a steering assistance unit of an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mechanically controlled manner.
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se in which a steering assistance unit of an electric tricycle having improved steering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mann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related details are described, they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y particular form.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100)는 한쌍의 전륜(110)과, 하나의 후륜(120)과, 구동 모터(130)와, 조향부(140)와, 조향 보조부(150)와, 제어부(16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n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한쌍의 전륜(110)은 구동 모터에 의한 회전력이 인가되지 않는 비동력 륜으로, 사용자의 좌 또는 우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는 핸들(도면 도시 생략)에 따른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조향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The pair of
하나의 후륜(120)은 구동 모터에 의한 회전력이 인가되는 동력 륜으로, 사용자의 좌 또는 우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는 핸들에 따른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의 조향과는 무관하게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One
구동 모터(130)는 하나의 후륜(120)을 회전 구동하는 동력원이다. 구동 모터(130)는 외부 전원과 접속되어 충전되는 충전 배터리(도면 도시 생략)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기동되어 하나의 후륜(120)을 회전 구동한다.The
조향부(140)는 한쌍의 전륜(110)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조향한다. 예컨대, 조향부(140)가 회전 샤프트(141)와, 조향봉(142)과, 한쌍의 수평봉(143)과, 한쌍의 수직봉(1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회전 샤프트(141)는 핸들에 축설되어 사용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회전된다. 삼륜차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핸들을 손으로 잡고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핸들을 회전 조작하면, 핸들 중심에 축설된 회전 샤프트(141) 역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rotating
조향봉(142)은 회전 샤프트(141)에 수직하게 전후방을 향하도록 회전 샤프트(141)에 관통 설치되어, 회전 샤프트(14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사용자의 핸들 조작에 의해 핸들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 샤프트(141)에 관통 설치된 조향봉(142) 역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한쌍의 수평봉(143)은 조향봉(142) 양단에 각각 그 중심이 링크되어, 조향봉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한다. 예컨대, 한쌍의 수평봉(143) 각각의 중심에 조향봉(142) 양단이 각각 축설되어, 조향봉(142)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부의 수평봉은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의 수평봉은 상부의 수평봉과는 반대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pair of
한쌍의 수직봉(144)은 한쌍의 수평봉(143) 양단에 그 양단이 각각 링크되어, 한쌍의 수평봉(143)의 왕복 운동을 다시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한쌍의 전륜을 조향한다. 한쌍의 수평봉(143)은 조향봉(142)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서로 어긋나도록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한쌍의 수직봉(144) 양단에 각각 링크되는 한쌍의 수직봉(144)은 서로 어긋나도록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한쌍의 수평봉(143)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Both ends of the pair of
이에 따라, 한쌍의 수직봉(144) 각각에 수직한 방향으로 비동력 륜인 한쌍의 전륜(110)이 축설되면, 한쌍의 수직봉(144)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한쌍의 전륜(110)이 우 또는 좌 방향으로 회전한다.Accordingly, when the pair of
조향 보조부(150)는 한쌍의 전륜(110)을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향을 보조한다. 이 때, 조향 보조부(150)가 기계 제어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전자 제어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추후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제어부(160)는 구동 모터(130)의 회전 구동 제어를 포함하는 장치 전반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60)는 구동 모터(130)를 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삼륜차가 전진하도록 제어하고, 구동 모터(130)를 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삼륜차가 후진하도록 제어한다.The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조향시 한쌍의 전륜이 조향부(140)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한쌍의 전륜 각각이 조향 보조부(150)에 의해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적은 동력으로도 충분한 회전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삼륜차의 회전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By implementing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a pair of front wheel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the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향 보조부(150)가 조향부(140)의 회전 샤프트(141) 회전에 따라 한쌍의 수직봉(144) 각각에 수직한 방향으로 축설되는 한쌍의 전륜(110)을 전 또는 후 방향으로 기계 제어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invention, a pair of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의 조향 보조부가 기계 제어식으로 구현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조향 보조부(150)는 회전 샤프트(141)에 수직하게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 샤프트(141)에 관통하도록 수직 조향 보조봉(151)을 설치하고, 한쌍의 전륜(110)이 수직한 방향으로 축설되는 한쌍의 수직봉(144) 중심에 수직 조향 보조봉(151) 양단 각각을 축설하여 조향 보조부(150)를 기계 제어식으로 구현한 것이다.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se in which a steering assistance unit of an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mechanically controlled manner. As shown in FIG. 2, the steering
이와 같이 구현할 경우, 조향부(140)의 조향 동작과는 독립적으로 조향부(140) 전체를 회전 샤프트(141) 회전만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한쌍의 전륜(110)을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적은 동력으로도 충분한 회전각을 제공할 수 있어 삼륜차의 회전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this implementation, the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조향 보조부(150)가 조향부(140)의 회전 샤프트(141)의 회전각에 따라 한쌍의 전륜(110)을 한쌍의 수직봉(144) 상에서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전자 제어식으로 이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invention, the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의 조향 보조부가 전자 제어식으로 구현된 경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조향 보조부(150)는 회전각 센서(152)와, 전륜 이동부(153)를 포함한다.FIG.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se in which a steering assistance unit of an electric tricycle having improved steering st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manner. As shown in FIG. 3 , the
회전각 센서(152)는 조향부(140)의 회전 샤프트(141)의 회전각을 검출한다. 예컨대, 회전 샤프트(141)에 다수의 자석(강자성체)들을 요철 형태로 부착하고, 이 자석들 부근에 전자 코일이나 홀 소자, 자기저항 소자 등을 근접 배치하여 요철의 수를 계측하여 회전각을 얻는 전자식, 홀 효과식, 자기저항식으로 회전각 센서(152)를 구현할 수 있다.The
전륜 이동부(153)는 회전각 센서(152)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 샤프트(141)의 회전각에 따른 한쌍의 전륜 이동 제어 명령을 제어부(160)로부터 수신하여 한쌍의 전륜(110)을 한쌍의 수직봉(144) 상에서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한쌍의 수직봉(144) 각각에 한쌍의 전륜(110) 각각이 슬라이딩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홈(144a)이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예컨대, 전륜 이동부(153)가 랙(Rack) 기어(도면 도시 생략)과 피니언(Pinion) 기어(도면 도시 생략)로 구성되어, 회전 샤프트(141)의 회전각에 따른 한쌍의 전륜 이동 제어 명령에 따라 피니언 기어를 모터(도면 도시 생략)를 사용해 회전 샤프트 회전각 만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Rack) 기어를 통해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ont
한쌍의 수직봉(144)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도면 도시 생략)을 따라 랙 기어가 가이드 되면서 이동하도록 구현한 상태에서 랙(Rack) 기어 하부에 전륜(110) 결합시키면, 회전각 센서(152)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 샤프트(141)의 회전각에 따라 한쌍의 전륜(110)을 한쌍의 수직봉(144) 상에서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When the
이와 같이 구현할 경우, 조향부(140)의 조향 동작과는 독립적으로 회전 샤프트(141) 회전만으로 한쌍의 전륜(110)을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적은 동력으로도 충분한 회전각을 제공할 수 있어 삼륜차의 회전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implementation, since the pair of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향시 한쌍의 전륜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한쌍의 전륜 각각이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적은 동력으로도 충분한 회전각을 제공함으로써 회전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rotational stability by providing a sufficient rotational angle even with little power by moving a pair of front wheel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during steering and at the same time moving each of the pair of front wheels in a forward or rearward direction. 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present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본 발명은 차량의 조향 관련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dustrially in the vehicle steering-related technical field and application technical field thereof.
100 : 전동 삼륜차
110 : 전륜
120 : 후륜
130 : 구동 모터
140 : 조향부
141 : 회전 샤프트
142 : 조향봉
143 : 수평봉
144 : 수직봉
150 : 조향 보조부
151 : 조향 보조봉
152 : 회전각 센서
153 : 전륜 이동부
160 : 제어부100: electric tricycle
110: front wheel
120: rear wheel
130: driving motor
140: steering unit
141: rotating shaft
142: steering rod
143: horizontal bar
144: vertical bar
150: steering auxiliary unit
151: steering auxiliary rod
152: rotation angle sensor
153: front wheel moving part
160: control unit
Claims (5)
하나의 후륜과;
하나의 후륜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한쌍의 전륜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조향하는 조향부와;
한쌍의 전륜을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조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부와;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 제어를 포함하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조향시 한쌍의 전륜이 조향부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한쌍의 전륜 각각이 조향 보조부에 의해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적은 동력으로도 충분한 회전각을 제공하는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a pair of front wheels;
one rear wheel;
a drive motor for rotationally driving one rear wheel;
a steering unit for steering the pair of front wheels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steering assist unit for assisting steering by moving a pair of front wheels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device including rotation drive control of the driving motor;
include,
During steering, a pair of front wheels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the steering unit, and at the same time, each front wheel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steering assist unit, providing an electric driv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that provides a sufficient rotational angle with less power. tandem.
조향부가:
핸들에 축설되어 사용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샤프트와;
회전 샤프트에 수직하게 전후방을 향하도록 회전 샤프트에 관통 설치되어, 회전 샤프트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조향봉과;
조향봉 양단에 각각 그 중심이 링크되어, 조향봉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한쌍의 수평봉과;
한쌍의 수평봉 양단에 그 양단이 각각 링크되어, 한쌍의 수평봉의 왕복 운동을 다시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한쌍의 전륜을 조향하는 한쌍의 수직봉을;
포함하는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According to claim 1,
Steering add:
A rotating shaft that is installed on the handle and is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handle operation;
a steering rod installed through the rotating shaft so as to face forward and backward perpendicularly to the rotating shaft and rotating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 pair of horizontal rods, the center of which is linked to both ends of the steering rod, to convert rotational motion of the steering rod into reciprocating motion;
A pair of vertical rods, the ends of which are linked to both ends of the pair of horizontal rods, to convert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air of horizontal rods back into rotational motion to steer the pair of front wheels;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including.
조향 보조부가:
회전 샤프트 회전에 따라 한쌍의 수직봉 각각에 수직한 방향으로 축설되는 한쌍의 전륜을 전 또는 후 방향으로 기계 제어식으로 이동시키는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According to claim 2,
Steering aid:
An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that moves a pair of front whee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pair of vertical bars in a mechanically controlled manner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조향 보조부가:
회전 샤프트의 회전각에 따라 한쌍의 전륜을 한쌍의 수직봉 상에서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전자 제어식으로 이동시키는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According to claim 2,
Steering aid:
An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that electronically controls a pair of front wheels moving forward or backward on a pair of vertical rod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a rotating shaft.
조향 보조부가:
회전 샤프트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각 센서와;
회전각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 샤프트의 회전각에 따른 한쌍의 전륜 이동 제어 명령을 제어부로부터 수신하여 한쌍의 전륜을 한쌍의 수직봉 상에서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륜 이동부를;
포함하는 조향 안정성이 향상된 전동 삼륜차.According to claim 4,
Steering aid:
a rotation angle sensor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shaft;
A front wheel moving unit for receiving a pair of front wheel movement control commands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shaft detected by the rotation angle sensor from the control unit and moving the pair of front wheels in a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on a pair of vertical rods;
Electric tricycle with improved steering stability, includ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7019A KR102483730B1 (en) | 2021-05-03 | 2021-05-03 | Electric three wheeled vehicle for improving steering sta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7019A KR102483730B1 (en) | 2021-05-03 | 2021-05-03 | Electric three wheeled vehicle for improving steering stabil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9958A KR20220149958A (en) | 2022-11-10 |
KR102483730B1 true KR102483730B1 (en) | 2022-12-30 |
Family
ID=8404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7019A Active KR102483730B1 (en) | 2021-05-03 | 2021-05-03 | Electric three wheeled vehicle for improving steering stab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3730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8789B1 (en) | 2009-02-03 | 2009-07-22 | 박성운 | Folding bike with a pair of front wheels |
JP2010100164A (en) | 2008-10-23 | 2010-05-06 | Wataru Kitamura | Tricycle |
KR100964348B1 (en) | 2010-02-11 | 2010-06-17 | 에스알시 주식회사 | Motor scooter having three wheel |
JP2010274909A (en) | 2009-05-27 | 2010-12-09 | Hui-Te Tsai | Portable jogging tricycl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3220B1 (en) * | 2000-03-17 | 2002-11-30 | 문종웅 | A folding tricycle |
JP2012214109A (en) | 2011-03-31 | 2012-11-08 | Honda Motor Co Ltd | Electric three-wheeled vehicle |
KR101346836B1 (en) * | 2012-03-16 | 2014-01-09 | 허홍 | Collapsible reverse tri-wheeled electric bicycle |
-
2021
- 2021-05-03 KR KR1020210057019A patent/KR1024837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00164A (en) | 2008-10-23 | 2010-05-06 | Wataru Kitamura | Tricycle |
KR100908789B1 (en) | 2009-02-03 | 2009-07-22 | 박성운 | Folding bike with a pair of front wheels |
JP2010274909A (en) | 2009-05-27 | 2010-12-09 | Hui-Te Tsai | Portable jogging tricycle |
KR100964348B1 (en) | 2010-02-11 | 2010-06-17 | 에스알시 주식회사 | Motor scooter having three whe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49958A (en) | 2022-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55862B2 (en) | Vehicle steering system and loading vehicle | |
JP5141025B2 (en) | Vehicle steering system | |
JP4605265B2 (en) | Vehicle steering device | |
EP1800992B1 (en) | Motor-driven power steering apparatus | |
CN101450680B (en) | Steering system | |
JP5683876B2 (en) | Steer-by-wire equipment | |
HK1219078A1 (en) | Self-balancing vehicle | |
JP2006117181A (en) | Steering control device | |
CN105460076B (en) |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JP2013123984A (en) | Vehicle steering device | |
JP4959212B2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6365866B2 (en) | Power steering device | |
KR102483730B1 (en) | Electric three wheeled vehicle for improving steering stability | |
JP4407936B2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2007296900A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6467175B2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4553773B2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2006137359A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4685471B2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2006232056A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2006137281A (en) |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JP4016705B2 (en) | Vehicle steering system | |
JPH0911893A (en) | Pipe inside traveling robot | |
JP6024976B2 (en) | Steering angle sensor reliability determination device | |
CN201642628U (en) | Portable multipurpose electric wheel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