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3183B1 -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183B1
KR102483183B1 KR1020210047993A KR20210047993A KR102483183B1 KR 102483183 B1 KR102483183 B1 KR 102483183B1 KR 1020210047993 A KR1020210047993 A KR 1020210047993A KR 20210047993 A KR20210047993 A KR 20210047993A KR 102483183 B1 KR102483183 B1 KR 102483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uel
inlet
air
pa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637A (ko
Inventor
안현수
고영건
Original Assignee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7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183B1/ko
Priority to KR1020220133541A priority patent/KR1025035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1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28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having fuel-air premix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2Fuel supply systems
    • F02C7/222Fuel flow conduits, e.g.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02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 F23R3/1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air-flow or gas-flow configuration with devices inside the flame tube or the combustion chamber to influence the air or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35Combustors or associated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믹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플래시백(Flash-Bac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는, 일단에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제2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1 유체와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제2 유체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유체가 유동하고, 내벽의 어느 한 경계선을 기준으로 유입구 측에 형성된 수렴 구간과 그 반대 측에 형성된 발산 구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MICROMIXER AND COMBUS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소기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에 관한 것이다. 연소기에서 사용되는 연료는 수소, 천연가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터빈은 압축기에서 압축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키고, 연소로 발생된 고온의 가스로 터빈을 회전시키는 동력 기관이다. 가스 터빈은 발전기, 항공기, 선박, 기차 등을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가스 터빈은 압축기, 연소기 및 터빈을 포함한다. 압축기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연소기로 전달한다. 압축기에서 압축된 공기는 고압 및 고온의 상태가 된다. 연소기는 압축기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해서 연소시킨다. 연소로 인해 발생된 연소 가스는 터빈으로 배출된다. 연소 가스에 의해 터빈 내부의 터빈 블레이드가 회전하게 되며, 이를 통해 동력이 발생된다. 발생된 동력은 발전, 기계 장치의 구동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미국 공개특허 2013-0269351호 (명칭 : Micromixer assembly of a turbin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마이크로 믹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플래시백(Flash-Bac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는, 일단에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제2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1 유체와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제2 유체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유체가 유동하고, 내벽의 어느 한 경계선을 기준으로 유입구 측에 형성된 수렴 구간과 그 반대 측에 형성된 발산 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에 있어서, 경계선은 연소 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상대적 비율인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에 있어서, 제1 유체는 수소 포함 연료이고 제2 유체는 공기이거나, 또는 제1 유체는 공기이고 제2 유체는 수소 포함 연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는, 일단에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벽에 제2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1 유체와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제2 유체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유체가 유동하고, 내벽의 어느 한 경계선을 기준으로 유입구 측에 형성된 수렴 구간과 그 반대 측에 형성된 발산 구간을 포함하는 입구 유로; 혼합 유체를 연소실로 분사시키며 입구 유로의 가상 연장선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출구 유로; 입구 유로와 출구 유로를 연결하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소실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한 복사열이 입구 유로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경사 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에 있어서, 경계선은 연소 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상대적 비율인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에 있어서, 입구 유로의 단부는 제1 단면적을 구비하고, 출구 유로는 제1 단면적보다 큰 제2 단면적을 구비하며, 경사 유로는 입구 유로의 단부에서 출구 유로 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가변 단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에 있어서, 경사 유로는, 출구 유로의 가상 연장선과 제1 각도를 이루는 제1 라인과, 출구 유로의 가상 연장선과 제2 각도를 이루는 제2 라인을 포함하며,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에 있어서, 제1 유체는 수소 포함 연료이고 제2 유체는 공기이거나, 또는 제1 유체는 공기이고 제2 유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는, 연료 유체가 연소하는 연소실을 포함하는 연소실 조립체; 연소실로 연료 유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믹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믹서 조립체;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믹서는, 일단에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제2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1 유체와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제2 유체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유체가 유동하고, 내벽의 어느 한 경계선을 기준으로 유입구 측에 형성된 수렴 구간과 그 반대 측에 형성된 발산 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에 있어서, 경계선은 연소 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상대적 비율인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에 있어서, 제1 유체는 수소 포함 연료이고 제2 유체는 공기이거나, 또는 제1 유체는 공기이고 제2 유체는 수소 포함 연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는, 연료 유체가 연소하는 연소실을 포함하는 연소실 조립체; 연소실로 연료 유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믹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믹서 조립체;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믹서는, 일단에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벽에 제2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1 유체와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제2 유체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유체가 유동하고, 내벽의 어느 한 경계선을 기준으로 유입구 측에 형성된 수렴 구간과 그 반대 측에 형성된 발산 구간을 포함하는 입구 유로; 혼합 유체를 연소실로 분사시키며 입구 유로의 가상 연장선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출구 유로; 입구 유로와 출구 유로를 연결하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소실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한 복사열이 입구 유로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경사 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에 있어서, 경계선은 연소 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제1 유체와 제2 유체의 상대적 비율인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에 있어서, 입구 유로의 단부는 제1 단면적을 구비하고, 출구 유로는 제1 단면적보다 큰 제2 단면적을 구비하며, 경사 유로는 입구 유로의 단부에서 출구 유로 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가변 단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에 있어서, 경사 유로는, 출구 유로의 가상 연장선과 제1 각도를 이루는 제1 라인과, 출구 유로의 가상 연장선과 제2 각도를 이루는 제2 라인을 포함하며,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에 있어서, 제1 유체는 수소 포함 연료이고 제2 유체는 공기이거나, 또는 제1 유체는 공기이고 제2 유체일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마이크로 믹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플래시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버너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 번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에서 플래시백이 방지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 번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버너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 번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에서 플래시백이 방지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 번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버너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 터빈(1000)은 유입되는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100),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연소기(1200) 및 연소기에서 발생한 연소 가스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터빈(130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연료 또는 공기 흐름의 선후를 기준으로 상류 및 하류를 규정하도록 한다.
가스 터빈의 열역학적 사이클은 이상적으로는 브레이튼 사이클(Brayton cycle)을 따를 수 있다. 브레이튼 사이클은 등엔트로피 압축(단열 압축), 정압 급열, 등엔트로피 팽창(단열 팽창), 정압 방열로 이어지는 4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즉, 대기의 공기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압축한 후 정압 환경에서 연료를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방출하고, 이 고온의 연소가스를 팽창시켜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킨 후에 잔여 에너지를 담은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방출한다. 즉, 압축, 가열, 팽창, 방열의 4 과정으로 사이클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설명은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가스 터빈(1000)과 동등한 구성을 가진 터빈 기관에 대해서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가스 터빈의 압축기(1100)는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연소기(1200)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가스 터빈에서 냉각이 필요한 고온 영역에 냉각용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흡입된 공기는 압축기(1100)에서 단열압축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압축기(11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과 온도는 올라가게 된다.
가스 터빈을 구성하는 압축기(1100)는 보통 원심 압축기(centrifugal compressors)나 축류 압축기(axial compressor)로 설계될 수 있는데, 소형 가스 터빈에서는 원심 압축기가 적용되는 반면, 대형 가스 터빈은 대량의 공기를 압축해야 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축류형 압축기가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압축기(1100)는 터빈(1300)에서 출력되는 동력의 일부를 사용하여 구동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100)의 회전축과 터빈(1300)의 회전축은 직결된다.
연소기(1200)는 압축기(1100)의 출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연료와 혼합하여 등압 연소시켜 높은 에너지의 연소가스를 만들어낸다. 연소기(1200)는 압축기(1100)의 하류에 배치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환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너 모듈(121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 모듈(1210)은 연료 유체가 연소하는 연소실(1240)을 포함하는 연소실 조립체(1220)와, 연소실(1240)로 연료 유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믹서(100)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믹서 조립체(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유체는 연료(예를 들어, 수소)가 저장된 연료 탱크에서 공급될 수 있다.
가스 터빈에는 수소, 천연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연료와 액체 연료, 또는 이들이 조합된 복합 연료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의 연료 유체는 이들을 의미한다. 법적 규제 대상이 되는 일산화탄소와 질소산화물 등의 배출가스 양을 저감하기 위한 연소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데, 연소 제어가 상대적으로 어렵지만 연소 온도를 낮추고 균일한 연소를 만들어 배출가스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는 예혼합 연소가 많이 적용된다.
예혼합 연소의 경우에는 마이크로 믹서 조립체(1230)에서, 압축기(1100)로부터 유입된 압축 공기는 연료와 혼합된 후, 연소실(1240) 안으로 들어간다. 예혼합 가스의 최초 점화는 점화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이후 연소가 안정되면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연소는 유지된다.
마이크로 믹서 조립체(1230)는 혼합된 연료 유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믹서가 배치된 복수개의 마이크로 믹서 번들(MB)을 포함한다. 마이크로 믹서는 연료를 공기와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연소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복수개의 마이크로 믹서 번들(MB)은 하나의 내부 마이크로 믹서 번들을 중심으로 복수개의 외부 마이크로 믹서 번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 믹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연소실 조립체(1220)는 연소가 이루어지는 공간인 연소실(1240)을 구비하는데, 라이너(1250) 및 트랜지션 피스(1260)를 포함한다.
라이너(liner, 1250)는 마이크로 믹서 조립체(1230)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이너 라이너(1251)와 아우터 라이너(1252)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너 라이너(1251)를 아우터 라이너(1252)가 둘러싸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너 라이너(1251)는 내부가 빈 관형 부재이고, 이너 라이너(1251)의 내부는 연소실(1240)을 이룬다. 압축 공기는 압축공기 유입홀(H)을 통해 아우터 라이너(1252) 안쪽의 환형 공간 내부로 침투하여 이너 라이너(1251)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라이너(1250)의 하류 측에는 트랜지션 피스(transition piece, 1260)가 위치하는데, 트랜지션 피스(1260)는 연소실(1240)에서 발생한 연소 가스를 터빈(1300)으로 고속으로 내보낼 수 있다. 트랜지션 피스(1260)는 이너 트랜지션 피스(1261)와 아우터 트랜지션 피스(1262)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너 트랜지션 피스(1261)를 아우터 트랜지션 피스(1262)가 둘러싸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 트랜지션 피스(1261)도 이너 라이너(1251)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빈 관형 부재로 형성되며, 라이너(1250)에서 터빈(130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이너 라이너(1251)와 이너 트랜지션 피스(1261)는 플레이트 스프링 씰(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251)와 이너 트랜지션 피스(1261)의 각 단부는 연소기(1200)와 터빈(1300) 측에 각각 고정되기 때문에, 플레이트 스프링 씰은 열팽창에 의한 길이 및 직경의 신장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너 라이너(1251)와 이너 트랜지션 피스(1261)를 지지할 수 있다.
이너 라이너(1251)와 이너 트랜지션 피스(1261)를 아우터 라이너(1252)와 아우터 트랜지션 피스(1262)가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고, 압축공기 유입홀(H)을 통해 이너 라이너(1251)와 아우터 라이너(1252) 사이의 환형 공간과 이너 트랜지션 피스(1261)와 아우터 트랜지션 피스(1262) 사이의 환형 공간 안으로 압축 공기가 침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형 공간을 침투한 압축 공기는 이너 라이너(1251)와 이너 트랜지션 피스(1261)를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연소기(1200)에서 생산된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는 라이너(1250) 및 트랜지션 피스(1260)를 통해 터빈(1300)으로 공급된다. 터빈(1300)에서는 연소 가스가 단열 팽창하면서 터빈(1300)의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블레이드에 충돌하여 반동력을 줌으로써 연소 가스의 열에너지가 회전축이 회전하는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된다. 터빈(1300)에서 얻은 기계적 에너지의 일부는 압축기에서 공기를 압축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로 공급되며, 나머지는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등의 유효 에너지로 활용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싱(1270)과 엔드 커버(1231)는 버너 모듈(1210)로 흐르는 압축 공기(A)를 수용하도록 결합된다. 압축 공기(A)는 압축공기 유입홀(H)을 통해 라이너(1250) 또는 트랜지션 피스(1260) 내부의 환형 공간으로 유입되어 흐른 뒤, 엔드 커버(1231)에 의해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마이크로 믹서(100, 200, 도 3 및 도 6 참조)로 유입될 수 있다. 연료(F)는 연료 유로(1232) 및 플레넘 유입구(1234a, 도 3 참조)를 통해 연료 플레넘(1234)으로 유입된 후, 공급구(112, 도 4 참조)를 통해 마이크로 믹서(100)로 유입되어 압축 공기와 혼합될 수 있다. 마이크로 믹서 번들(MB)은 복수개의 마이크로 믹서(100, 200)를 포함한다.
다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10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 번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믹서 번들(MB)은 복수개의 마이크로 믹서(100)를 포함하며 연료 유로(1232)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마이크로 믹서(100)는 유체(연료 또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마이크로 믹서(100)는 일단에 공기(A)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연료(F)가 공급되는 공급구(112)가 형성된다.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A)와 공급구(112)를 통해 공급된 연료(F)는 마이크로 믹서(100) 내부에서 혼합되어 혼합 유체(FA)를 형성하면서 연소실(1240)로 분사된다.
한편, 연료(F)가 수소를 포함하는 경우, 수소는 연소 속도가 빠른 연료이므로, 연소실(1240)에서 발생한 화염이 마이크로 믹서 내부를 역류하여 플래시백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료의 유동 속도를 높여야 한다. 연료의 유동 속도가 연소 속도 보다 빠르면 플래시백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연료의 유동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연료가 유동하는 유로의 단면적을 작게하는 것인데, 이는 필연적으로 많은 압력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유동 속도를 높이면서도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유로 구조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믹서(100)는 수렴 구간(101)과 발산 구간(10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렴 구간(101)과 발산 구간(102)에는 복수개의 공급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수렴 구간(101)과 발산 구간(102)의 경계선(T)을 기준으로 유입구(111) 측에 수렴 구간(101)이 형성되고, 그 반대 측에 발산 구간(102)이 형성된다. 경계선(T)는 마이크로 믹서(100)의 단면 형상을 따라 형성되는 폐곡선일 수 있다.
당량비는 연소 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공기(A)와 연료(F)의 상대적 비율을 의미하며, 공연비(공기-연료비)와 연공비(연료-공기비)로 표현될 수도 있다. 공연비는 연료의 질량에 대한 공기의 상대적인 양을 나타내고 연공비는 그 역수를 의미한다. 당량비(Φ)는 이론과 실제가 같은, 즉 Φ = 1에 가까울 수록 좋으며, 특히 Φ > 1인 조건(연료 농후, 공기 부족, Rich-Burn)에서는 연료의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므로 당량비가 커질 수록 연소 효율은 감소한다.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은 연소 효율이 높아서 연소 속도가 유체의 유동 속도 보다 크게 되므로, 해당 구간에서 플래시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당량비가 1인 지점은 연소 효율이 가장 높아서 해당 지점에서 플래시백이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수렴 구간(101)과 발산 구간(102)을 구획하는 경계선(T)은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 중 어느 하나의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경계선(T)은 당량비가 1이 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을 벗어나는 경우, 연소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연료의 유동 속도가 연소 속도 보다 빠르게 되어 플래시백의 우려가 적다.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은, 설계시에, 플래시백이 발생할 수 있는 터빈의 출력 범위(고출력 또는 저출력)를 설정하고, 반복 실험 또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에서 플래시백이 방지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a)는 통상의 마이크로 믹서인 경우이고,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인 경우이다. 도 5의 (a), (b)에서 가로축 X는 마이크로 믹서 내부에서의 길이 방향 위치이고, Y1은 당량비이며, Y2는 속도를 의미한다. 그 중 V1은 유체의 유동 속도이고, V2는 유체의 연소 속도이다. 유체의 유동 속도는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지만, 그 일 요인으로 마이크로 믹서의 내부 구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통상의 마이크로 믹서는 직관 튜브(Straight Tube) 형태로 형성되므로, 연료(F)와 공기(A)의 혼합 유체(FA)의 유동 속도(V1)는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혼합 유체(FA)의 연소 속도(V2)는 당량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연소 속도(V2)는 당량비가 1인 지점이 최대가 되는 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a)에서 당량비가 1인 지점을 기준으로 좌우 소정 영역(B 영역)에서는 연소 속도(V2)가 유동 속도(V1) 보다 큼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B 영역에서 플래시백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100)는, 경계선(T)을 기준으로 수렴 구간(101)과 발산 구간(102)을 구비하므로, 유체의 유동 속도(V1)는 수렴 구간(101)에서 비선형적으로 증가하고, 발산 구간(102)에서 비선형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연료(F)와 공기(A)의 비율은 (a)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연소 속도(V2)는 (a)의 경우와 동일하다.
수렴 구간(101)에서 당량비 1에 이르기까지는 유체의 유동 속도(V1)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면서, 항상 유동 속도(V1)는 연소 속도(V2) 보다 큼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산 구간(102)에서는 유동 속도(V1)가 비선형적으로 감소하지만, 연소 속도(V2)도 감소하므로, 항상 유동 속도(V1)는 연소 속도(V2) 보다 큼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마이크로 믹서(100) 내의 전체 구간에서 유동 속도(V1)가 연소 속도(V2) 보다 항상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100)가 내부에서 발생하는 플래시백(Flash-Back)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음,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200)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 번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믹서 번들(MB)은 복수개의 마이크로 믹서(200)를 포함하며 연료 유로(1232)를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마이크로 믹서(200)는 유체(연료 또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마이크로 믹서(200)는, 통상의 직관 튜브(Straight Tube) 형태가 아니라, 중간 부분이 경사지면서 그 단면적이 점점 확대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연소실(1240)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한 복사열이 마이크로 믹서(20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서 마이크로 믹서(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발화 및 플래시백 현상을 방지한다. 아울러, 마이크로 믹서(200)는 수렴 구간(210a)과 발산 구간(210b)을 구비함으로써, 항상 유체의 유동 속도(V1)가 연소 속도(V2) 보다 크도록 하여 더욱 더 플래시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믹서(200)는 입구 유로(210), 경사 유로(220), 출구 유로(230)를 포함한다.
입구 유로(210)는 일단에 공기(A)가 유입되는 유입구(211)가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연료(F)가 공급되는 공급구(212)가 형성된다. 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A)와 공급구(212)를 통해 공급된 연료(F)는 입구 유로(210)에서 혼합되어 혼합 유체(FA)를 형성하면서 경사 유로(220)로 흐른다.
또한, 입구 유로(210)는 수렴 구간(210a)과 발산 구간(210b)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렴 구간(210a)과 발산 구간(210b)의 경계선(T)을 기준으로 유입구(211) 측에 수렴 구간(210a)이 형성되고, 경사 유로(120) 측에 발산 구간(210b)이 형성된다.
수렴 구간(210a)과 발산 구간(210b)을 구획하는 경계선(T)은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 중 어느 하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경계선(T)은 당량비가 1이 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입구 유로(210)의 타단과 연결된 경사 유로(220)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혼합 유체(FA)는 경사 유로(220) 및 출구 유로(230)를 따라 유동한 후, 연소실(1240)로 분사된다.
출구 유로(230)는 입구 유로(210)의 가상 연장선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경사 유로(220)에 의해, 입구 유로(210)를 유동하는 혼합 유체(FA)의 유동축(X1, 혼합 유체 유동 방향의 중심)과 출구 유로(230)를 유동하는 혼합 유체(FA)의 유동축(X2)은 일치하지 않고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평행을 이룬다. 상기의 가상 연장선은 혼합 유체(FA)의 유동축일 수 있다.
경사 유로(220)는 입구 유로(210)와 출구 유로(230)를 연결하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 유로(220)는 소정 거리 이격된 입구 유로(210)와 출구 유로(230)를 연결하되, 입구 유로(210)에서 출구 유로(230) 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점 증가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된다.
그 결과, 입구 유로(210)의 단면적이 가장 작게 형성되고, 출구 유로(230)의 단면적이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입구 유로(210)의 단부(경사 유로(220) 측 단부)는 제1 단면적을 구비하고, 출구 유로(230)는 제1 단면적보다 큰 제2 단면적을 구비하며, 경사 유로(220)는 입구 유로(210)에서 출구 유로(230) 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가변 단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유로(220)는 하부의 제1 라인(221)과 상부의 제2 라인(222)을 포함한다. 제1 라인(221)은 출구 유로(230)의 가상 연장선(X2)과 제1 각도(θ1)를 이루고, 제2 라인(222)은 출구 유로(230)의 가상 연장선(X2)과 제2 각도(θ2)를 이룬다. 경사 유로(220)는 가변 단면적을 구비하므로,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는 상이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경사 유로(220)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제1 각도(θ1)가 제2 각도(θ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서 상부 연료 플레넘(1234)에 형성된 마이크로 믹서(200)와 같이, 경사 유로(220)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제2 각도(θ2)가 제1 각도(θ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유로(210), 경사 유로(220), 및 출구 유로(230)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100)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1240)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한 방사 방향의 복사열 중에서 출구 유로(230)를 통해 마이크로 믹서(200)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열(R1)은, 경사 유로(220)의 점점 좁아지는 유로 내벽에 반복적으로 반사되면서, 연료(F)와 공기(A)가 혼합되는 입구 유로(210) 영역에 이르지 못하고, 다시 출구 유로(230)를 통해 연소실(1240)로 방출(R2)된다. 따라서, 연료(F)와 공기(A)가 혼합되는 영역에 복사열(R1)이 전달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발화 및 플래시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마이크로 믹서(200)는 수렴 구간(210a)과 발산 구간(210b)을 구비함으로써, 항상 유체의 유동 속도(V1)가 연소 속도(V2) 보다 크도록 하여 더욱 더 플래시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마이크로 믹서(100, 200) 내부에 공기(A)가 흐르는 상태에서 공급구(112, 212)를 통해 연료(F)가 공급되어 혼합 유체(FA)를 생성하는 데, 이 경우, 공기(A)가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흐르는 상태에서 저속의 연료(F)가 투입되므로, 연료와 공기가 충분히 혼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믹서 내부에 상대적으로 저속의 연료(F)가 흐르는 상태에서 고속의 공기(A)가 공급됨으로써, 혼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소기를 이루는 어느 하나의 버너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 번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 모듈(2210)에서 마이크로 믹서(300) 내부에 연료(F)가 흐르는 상태에서 공기(A)가 혼합될 수 있다. 연료 탱크(FT)로부터 공급된 연료(F)는 엔드 커버(2231) 및 연료 유로(2232)를 경유하여 마이크로 믹서(300)로 유입된다.
압축 공기(A)는 압축공기 유입홀(H)을 통해 라이너(2250) 또는 트랜지션 피스(2260) 내부의 환형 공간으로 유입되어 흐른 뒤, 엔드 커버(2231)에 의해 유동 방향이 전환되어 에어 유동공간(2233)을 따라 흐른 후, 플레넘 유입구(2234a)를 통해 에어 플레넘(2234, air plenum)으로 유입된 후, 공급구를 통해 마이크로 믹서(300)로 유입되어 연료(F)와 혼합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2220은 연소실 조립체이고, 2230은 마이크로 믹서 조립체이며, 2235는 슈라우드이다.
다음, 도 10 및 도 11은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300)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 번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마이크로 믹서 번들은 복수개의 마이크로 믹서(300)를 포함하며 에어 유동공간(2233)의 가상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마이크로 믹서(300)는 유체(연료 또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마이크로 믹서(300)는 일단에 연료(F)가 유입되는 유입구(311)가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공기(A)가 공급되는 공급구(312)가 형성된다.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연료(F)와 공급구(312)를 통해 공급된 공기(A)는 마이크로 믹서(300) 내부에서 혼합되어 혼합 유체(FA)를 형성하면서 연소실(2240)로 분사된다.
마이크로 믹서(300)는 수렴 구간(301)과 발산 구간(30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렴 구간(301)과 발산 구간(302)에는 복수개의 공급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수렴 구간(301)과 발산 구간(302)의 경계선(T)을 기준으로 유입구(311) 측에 수렴 구간(301)이 형성되고, 그 반대 측에 발산 구간(302)이 형성된다.
수렴 구간(301)과 발산 구간(302)을 구획하는 경계선(T)은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 중 어느 하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경계선(T)은 당량비가 1이 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에서 플래시백이 방지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와 비교할 때, 마이크로 믹서(300) 내부에 연료(F)가 흐르는 상태에서 공기(A)가 공급되는 점이 상이할 뿐, 혼합 유체(FA)의 유동과 관련된 내용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2에 대한 설명은 도 5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며, 이를 정리하면, 수렴 구간(301)에서 당량비 1에 이르기까지는 유체의 유동 속도(V1)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면서, 항상 유동 속도(V1)는 연소 속도(V2) 보다 큼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산 구간(302)에서는 유동 속도(V1)가 비선형적으로 감소하지만, 연소 속도(V2)도 감소하므로, 항상 유동 속도(V1)는 연소 속도(V2) 보다 큼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마이크로 믹서(300) 내의 전체 구간에서 유동 속도(V1)가 연소 속도(V2) 보다 항상 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300)가 내부에서 발생하는 플래시백(Flash-Back)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마이크로 믹서 내부에 상대적으로 저속의 연료(F)가 흐르는 상태에서 고속의 공기(A)가 공급됨으로써, 혼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400)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 번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믹서 번들(MB)은 복수개의 마이크로 믹서(400)를 포함하며, 마이크로 믹서(400)는 유체(연료 또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마이크로 믹서(400)는, 통상의 직관 튜브(Straight Tube) 형태가 아니라, 중간 부분이 경사지면서 그 단면적이 점점 확대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연소실(2240)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한 복사열이 마이크로 믹서(40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서 마이크로 믹서(4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발화 및 플래시백 현상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믹서(400)는 입구 유로(410), 경사 유로(420), 출구 유로(430)를 포함한다.
입구 유로(410)는 연료 유로(2232)와 연결 형성되며, 일단에 연료(F)가 유입되는 유입구(411)가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공기(A)가 공급되는 공급구(412)가 형성된다. 유입구(411)를 통해 유입된 연료(F)와 공급구(412)를 통해 공급된 공기(A)는 입구 유로(410)에서 혼합되어 혼합 유체(FA)를 형성하면서 경사 유로(420)로 흐른다.
또한, 입구 유로(410)는 수렴 구간(410a)과 발산 구간(410b)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렴 구간(410a)과 발산 구간(410b)의 경계선(T)을 기준으로 유입구(411) 측에 수렴 구간(410a)이 형성되고, 경사 유로(120) 측에 발산 구간(410b)이 형성된다.
수렴 구간(410a)과 발산 구간(410b)을 구획하는 경계선(T)은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 중 어느 하나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경계선(T)은 당량비가 1이 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입구 유로(410)의 타단과 연결된 경사 유로(420)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혼합 유체(FA)는 경사 유로(420) 및 출구 유로(430)를 따라 유동한 후, 연소실(2240)로 분사된다.
출구 유로(430)는 입구 유로(410)의 가상 연장선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경사 유로(420)에 의해, 입구 유로(410)를 유동하는 혼합 유체(FA)의 유동축(X1, 혼합 유체 유동 방향의 중심)과 출구 유로(430)를 유동하는 혼합 유체(FA)의 유동축(X2)은 일치하지 않고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평행을 이룬다. 상기의 가상 연장선은 혼합 유체(FA)의 유동축일 수 있다.
경사 유로(420)는 입구 유로(410)와 출구 유로(430)를 연결하며,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 유로(420)는 소정 거리 이격된 입구 유로(410)와 출구 유로(430)를 연결하되, 입구 유로(410)에서 출구 유로(430) 측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점 증가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된다.
그 결과, 입구 유로(410)의 단면적이 가장 작게 형성되고, 출구 유로(430)의 단면적이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입구 유로(410)의 단부(경사 유로(420) 측 단부)는 제1 단면적을 구비하고, 출구 유로(430)는 제1 단면적보다 큰 제2 단면적을 구비하며, 경사 유로(420)는 입구 유로(410)에서 출구 유로(430) 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가변 단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유로(420)는 하부의 제1 라인(421)과 상부의 제2 라인(422)을 포함한다. 제1 라인(421)은 출구 유로(430)의 가상 연장선(X2)과 제1 각도(θ1)를 이루고, 제2 라인(422)은 출구 유로(430)의 가상 연장선(X2)과 제2 각도(θ2)를 이룬다. 경사 유로(420)는 가변 단면적을 구비하므로,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는 상이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와 같이, 경사 유로(420)가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제1 각도(θ1)가 제2 각도(θ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3에서 상부 에어 플레넘(2234)에 형성된 마이크로 믹서(400)와 같이, 경사 유로(420)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우, 제2 각도(θ2)가 제1 각도(θ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입구 유로(410), 경사 유로(420), 및 출구 유로(430)의 단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믹서(400)에 의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2240)에서 발생한 화염에 의한 방사 방향의 복사열 중에서 출구 유로(430)를 통해 마이크로 믹서(400)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열(R1)은, 경사 유로(420)의 점점 좁아지는 유로 내벽에 반복적으로 반사되면서, 연료(F)와 공기(A)가 혼합되는 입구 유로(410) 영역에 이르지 못하고, 다시 출구 유로(430)를 통해 연소실(2240)로 방출(R2)된다. 따라서, 연료(F)와 공기(A)가 혼합되는 영역에 복사열(R1)이 전달됨에 따라 발생하는 자발화 및 플래시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마이크로 믹서(400)는 수렴 구간(410a)과 발산 구간(410b)을 구비함으로써, 항상 유체의 유동 속도(V1)가 연소 속도(V2) 보다 크도록 하여 더욱 더 플래시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 믹서 내부에 상대적으로 저속의 연료(F)가 흐르는 상태에서 고속의 공기(A)가 공급됨으로써, 혼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0 : 압축기 1200 : 연소기
1210, 2210 : 버너 모듈 1220, 2220 : 연소실 조립체
1230, 2230 : 마이크로 믹서 조립체 1300 : 터빈
100, 200, 300, 400 : 마이크로 믹서
101, 210a, 301, 410a : 수렴 구간
102, 210b, 302, 410b : 발산 구간
210, 410 : 입구 유로
220, 420 : 경사 유로
230, 430 : 출구 유로

Claims (16)

  1. 일단에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제2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1 유체와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제2 유체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유체가 유동하고, 내벽의 어느 한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구 측에 형성된 수렴 구간과 그 반대 측에 형성된 발산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경계선은, 연소 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상기 제1 유체와 상기 제2 유체의 상대적 비율인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믹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수소 포함 연료이고 상기 제2 유체는 공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유체는 공기이고 상기 제2 유체는 수소 포함 연료인 마이크로 믹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연료 유체가 연소하는 연소실을 포함하는 연소실 조립체;
    상기 연소실로 상기 연료 유체를 분사하는 복수의 마이크로 믹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믹서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믹서는,
    일단에 제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그 내벽에는 제2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1 유체와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제2 유체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 유체가 유동하고, 내벽의 어느 한 경계선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구 측에 형성된 수렴 구간과 그 반대 측에 형성된 발산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경계선은, 연소 반응이 일어나기 위한 상기 제1 유체와 상기 제2 유체의 상대적 비율인 당량비가 1.3 ~ 0.7인 구간에 형성되는 연소기.
  10. 삭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수소 포함 연료이고 상기 제2 유체는 공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유체는 공기이고 상기 제2 유체는 수소 포함 연료인 연소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10047993A 2021-04-13 2021-04-13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Active KR10248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993A KR102483183B1 (ko) 2021-04-13 2021-04-13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KR1020220133541A KR102503518B1 (ko) 2021-04-13 2022-10-17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993A KR102483183B1 (ko) 2021-04-13 2021-04-13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541A Division KR102503518B1 (ko) 2021-04-13 2022-10-17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637A KR20220141637A (ko) 2022-10-20
KR102483183B1 true KR102483183B1 (ko) 2022-12-29

Family

ID=838050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993A Active KR102483183B1 (ko) 2021-04-13 2021-04-13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KR1020220133541A Active KR102503518B1 (ko) 2021-04-13 2022-10-17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541A Active KR102503518B1 (ko) 2021-04-13 2022-10-17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831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4557B2 (ja) * 1989-03-30 1998-07-09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触媒燃焼式ガスタービン用燃焼器
JP2013108423A (ja) 2011-11-21 2013-06-06 Hitachi Ltd シールプレート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燃焼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129B1 (ko) * 2017-10-31 2019-11-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노즐,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102047369B1 (ko) * 2017-11-14 2019-11-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료 노즐,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 터빈
JP7044669B2 (ja) * 2018-09-05 2022-03-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4557B2 (ja) * 1989-03-30 1998-07-09 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触媒燃焼式ガスタービン用燃焼器
JP2013108423A (ja) 2011-11-21 2013-06-06 Hitachi Ltd シールプレート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燃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518B1 (ko) 2023-02-23
KR20220141637A (ko) 2022-10-20
KR20220145313A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455B1 (ko) 연료 노즐,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102481970B1 (ko)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KR102482936B1 (ko)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KR102433673B1 (ko) 연료 노즐, 이를 포함하는 연료 노즐 모듈 및 연소기
KR102028031B1 (ko)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049042B1 (ko) 연료 노즐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102460001B1 (ko) 마이크로 믹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JP7456082B2 (ja) 燃焼器用ノズル、燃焼器およびこれを含むガスタービン
KR102460672B1 (ko) 연료 노즐, 연료 노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KR102047369B1 (ko) 연료 노즐,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20230119504A (ko) 다단 연료 공급부가 구비된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415892B1 (ko)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KR102429075B1 (ko) 마이크로 믹서 번들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102142140B1 (ko) 연료 노즐,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102138015B1 (ko) 버너와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102503518B1 (ko) 마이크로 믹서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KR102583224B1 (ko) 클러스터가 구비된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102607177B1 (ko) 연소기용 노즐,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US12339007B2 (en) Combustor nozzle, combustor and gas turbine including same
KR102599921B1 (ko) 연소기용 노즐, 연소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20230119505A (ko) 연소기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KR20250084053A (ko) 연소기 노즐과 이를 포함하는 연소기 및 가스터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1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