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798B1 -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2798B1 KR102482798B1 KR1020200135469A KR20200135469A KR102482798B1 KR 102482798 B1 KR102482798 B1 KR 102482798B1 KR 1020200135469 A KR1020200135469 A KR 1020200135469A KR 20200135469 A KR20200135469 A KR 20200135469A KR 102482798 B1 KR102482798 B1 KR 1024827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r
- seat
- hydraulic cylinder
- button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31 cross linking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B51/00 - A01B75/00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01B63/108—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on the front par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01B69/008—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automatic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A01B71/063—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for enabling transmission coupling and connection between tractor and implements to be controlled from the driver's seat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는, 상면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안착할 수 있는 운전석(112)과, 운전석(112) 양측면에 구비되어 작업자를 보호하는 측면보호가드(160)와, 전면에 평행상태로 돌출되면서 제1관통공이 구비된 고정프레임(111)을 포함하는 몸체(110), 몸체(11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부여하는 무한궤도(130), 운전석(112)의 후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기계부품이 내장된 기계실(140)로 이루지고, 어태치먼트 연결기(120)가 더 구비되되; 어태치먼트 연결기(120)는, 몸체(110) 내부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21)과, 회전축(121)의 중간부분에 결합되고 끝단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1유압실린더(122)를 포함하며, 어태치먼트 연결기(12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어태치먼트 연결기(120)를 몸체(110)에 고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The multi-purpose field farming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r's seat 11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n which a worker can sit, a side protection guard 16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iver's seat 112 to protect the operator, and protruding in parallel to the front body 110 including a fixed frame 111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caterpillars 1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10 to provide driving force, and provided on the back of the driver's seat 112, It consists of a machine room 140 in which mechanical parts are built in, and an attachment connector 120 is further provided; The attachment coupler 120 includes a rotational shaft 121 rotated by a driving means inside the body 110 and a first hydraulic cylinder 122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rotational shaft 121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the end thereof. Including, when the attachment connector 120 is not in use, the main point is to fix the attachment connector 120 to the body 110 by coupling means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율주행 기반 전동형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가볍고 소형이면서, 안전하고 친환경적이어서, 고령 농민 및 부녀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고, 농업 현장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며, 안전 기능과 다양한 부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인하여 편의성 및 용이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령 또는 여성 운전자 등의 부녀자가 힘들이지 않고 농작업을 할 수 있는 자율주행 기반 전동형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driving-based electric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 machine, and specifically, is lightweight, compact, safe and eco-friendly, so that even elderly farmers and women can easily operate it, can be used anywhere in the agricultural field, and is safe Self-driving-based electric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 machine that enables women such as elderly or female drivers to do agricultural work without effort by enhancing convenience and ease due to the ability to perform functions and various additional tasks will be.
현재 농업은 농업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농업경영비 상승 등으로 농업여건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며, 농작업은 노동집약적이며 파종, 정식, 제초, 농약살포 등 여러 가지 작업이 많아 기계화의 효율성이 고려되어야 한다.Currently, agriculture is in an urgent situation to improve agricultural conditions due to the decrease and aging of the agricultural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management costs. .
우리나라는 농가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점점 두드러져 65세 이상의 고령 농업인구는 2017년도에는 42.5%로 증가하고 있으며, 농업노동의 여성화 현상도 강화되면서 65세 이상 여성 고령 농업인구는 전 농동인구 대비 2017년 52.4%에 해당한다.In Korea, the aging phenomenon of the farm household popul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prominent, and the elderly agricultural population aged 65 or older is increasing to 42.5% in 2017. corresponds to %.
일반적인 여성 농업인은 농기계 운전비율이 31.8% 수준이며, 다룰 수 있는 농기계의 종류도 평균 1.95종으로 적은데, 이는 기존의 농기계가 대부분 대형이고 남성의 체형에 맞추어 개발되어 여성의 체형에 맞지 않고 운전 조작이 불편하기 때문이다. The average female farmer's operating rate is 31.8%, and the number of types of agricultural machinery that can be handled is 1.95 on average. Because it's inconvenient.
따라서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고령 농민 및 부녀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한 새로운 농기계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new agricultural machines that are saf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an be easily operated by elderly farmers and women.
도 1은 종래 농업작업기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agricultural work machine.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 상부에 엔진이 장치되고 메인 프레임 하부에 바퀴(2)가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 가능하게 장치되며, 엔진의 출력축에 구동되는 변속기가 메인 프레임 후단부에 장치되어 변속기의 하부에 로터리(12)가 회전구동 가능하게 장착된다.As shown, the engin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frame, the
상기 로터리(12)와 변속기 상부 및 후부를 덮는 흙받이 커버(10)가 메인 프레임 후단부에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흙받이 커버(10)의 상단 골격 후부에 장축형태의 제2프레임(20)의 선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프레임(20)의 후단부에 의자(21)가 구비되고, 제2프레임(20)의 중간부에 보조축(23)의 상단부가 결합되고, 보조축(23) 하단부에 보조바퀴(13)가 구비된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mudguard cover 10 covering the upper and rear parts of the rotary 12 and the transmissio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the
그러나 위 농업작업기는 대형이면서, 중량이고, 여성의 체형에 맞지 않아, 운전조작이 어려우므로 부녀자가 접하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agricultural work machine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for women to encounter because it is large, heavy, and does not fit the female body shape, making it difficult to operat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볍고 소형이면서, 안전하고 친환경적이어서, 고령 농민 및 부녀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고, 농업 현장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며, 안전 기능과 다양한 부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light, compact, safe and eco-friendly, so that even elderly farmers and women can easily operate, can be used anywhere in the agricultural field, and can perform safety functions and various additional task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ulti-purpose field farming machine that can be used.
본 발명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는, 상면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안착할 수 있는 운전석과, 운전석 양측면에 구비되어 작업자를 보호하는 측면보호가드와, 전면에 평행상태로 돌출되면서 제1관통공이 구비된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몸체, 몸체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부여하는 무한궤도, 운전석의 후면에 구비되며, 내부에 기계부품이 내장된 기계실로 이루지고, 어태치먼트 연결기가 더 구비되되; 어태치먼트 연결기는, 몸체 내부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중간부분에 결합되고 끝단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1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어태치먼트 연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어태치먼트 연결기를 몸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ulti-purpose field farming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er's sea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for a worker to sit on, a side protection guar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iver's seat to protect the operator, and a fixed frame with a first through hole protruding in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A body including a body, an endless track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to provide driving forc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driver's seat, and composed of a machine room with built-in mechanical parts therein, and an attachment connector further provided; The attachment coupler includes a rotational shaft rotated by a driving means inside the body, and a first hydraulic cylinder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rotational shaft and having a second through-hole formed at the end, and when the attachment coupler is not used, the first through-hol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ttachment connector is fixed to the body by a coupling means penetrating the second through hole.
또한, 견인장치가 더 구비되되; 견인장치는, 기계실의 외면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 후크와, 후크의 상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체결공과, 후크의 상면 일측에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된 유출입구와, 유출입구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차단판과, 일측은 기계실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차단판에 연결되어, 차단판이 인출 및 인입하는 것에 의하여 관통공를 개방하거나 차폐하는 제2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raction device is further provided; The traction device includes a hook fixed in a protruding stat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chine room, a fastening hole provided in a shap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an outlet provided in a recessed shap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and an inlet or It includes a drawn-out blocking plat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driv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room,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plate, and a second hydraulic cylinder that opens or blocks the through-hole by drawing and withdrawing the blocking plate. to be characterized
또한, 몸체의 내부에는 하이브리드 엔진이 구비되되; 하이브리드 엔진에 설치된 전기모터는 AC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hybrid engine is provided inside the body; The electric motor installed in the hybrid engi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AC motor.
또한, 조이스틱이 더 구비되되; 조이스틱은, 운전석의 전면,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면의 일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지지몸체와, 'ㄱ'자 형상의 구동손잡이와, 구동손잡이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지지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의 원호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지축과, 지지축의 하단부에 구비된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joystick is further provided; The joystick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lower parts of the driver's seat, and includes a support body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 'L'-shaped drive handle, and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drive hand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upport shaft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circular arc directions along, and a rotating plat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또한, 제어부가 더 구비되되; 제어부는, 회전판이 회전하면, 회전량을 검출하고, 회전량에 대응되는 조향신호에 의하여 무한궤도의 조향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is further provided; When the rotating plate rotates,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amount of rotation and controls the steering angle of the caterpillar by a steer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또한, 지지몸체의 상면에는, ON/OFF버튼과 사이드 브레이크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ON/OFF button and a side brake button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또한, 구동손잡이는, 저면에 돌출된 레버의 형상으로 구비된 브레이크레버와, 기둥부분의 전면에 돌출된 구조로 구비된 가감속레버와, 상면에 구비된 방향지시버튼과, 제2유압실린더버튼과, 후진버튼과, 전복복원버튼 및 속도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e handle includes a brake lever provided in the shape of a lever protruding on the bottom surface, an acceleration/deceleration lever provided in a structure protruding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lumn portion, a direction indicator butt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hydraulic cylinder butto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verse button, a rollover restoration button and a speed display window.
또한, 전복복원장치가 더 구비되되; 전복복원장치는, 기계실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인출 또는 인입되는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와,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의 끝단부에 구비되고, 외면에는 돌기가 형성된 지지판과,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의 끝단부와 지지판 사이에 결합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rollover restoration device is further provided; The rollover recovery device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achine room, a bend pipe-shaped hydraulic cylinder drawn out or drawn in by a driving means, a support plate provided at the end of the bend pipe shape hydraulic cylinder, and hav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bend pipe sha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inge shaft coupled between the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support plate.
또한, 측면보호가드는, 작업자의 운전석 앉은키 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면서, 상단이 원호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원호형보강대와, 원호형보강대의 내부를 가로 또는 세로로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구비된 가로보강대 및 세로보강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protection guard has a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driver's seat sitting height, and an arc-shaped reinforcing bar having an arc shape at the top, and a horizontal side provided in a shape that crosses the inside of the arc-shaped reinforcing bar horizontally or vertical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einforcing bar and a vertical reinforcing bar.
또한, 운전석 수평유지장치가 더 구비되되; 운전석 수평유지장치는, 몸체의 상면에 돌출되어 운전석 앞 저면에 연결된 구조이며, 제어부의 신호와 연동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인입 및 인출됨으로서, 운전석 앞부분의 높이를 조절하는 전방유압실린더와, 몸체의 상면에 돌출되어 운전석 뒤 저면에 연결된 구조이며, 제어부의 신호와 연동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인입 및 인출됨으로서, 운전석 뒷부분의 높이를 조절하는 후방유압실린더와, 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방 지면의 경사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경사도감지센서와 전방 지면의 위험한 경사도를 감지하는 경사도감지센서의 신호를 제어부가 수신하고,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발광하는 경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driver's seat leveling device is further provided; The driver's seat leveling device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is drawn in and out by a driving means that interlocks with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re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ront part of the driver's seat. It is a structure that protrudes from the driver's seat a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back of the driver's seat, and is drawn in and out by a driving means that interlocks with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gradient sensor for measuring and transmitting the measured signal to the controller, and a warning light that the controller receives a signal from the gradient sensor for detecting a dangerous slope of the front ground and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는, 가볍고 소형이면서, 안전하고 친환경적이어서, 고령 농민 및 부녀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고, 농업 현장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며, 안전 기능과 다양한 부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적인 효과가 있다.The multi-purpose field farming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ght, compact, safe and eco-friendly, so that even elderly farmers and women can easily operate it, can be used anywhere in the agricultural field, and can perform safety functions and various additional tasks. It works.
또한, 경사진 지면에서도 운전석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 및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가 전복되었을 때,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driver's seat level even on a sloped ground and an effect of restoring the multi-purpose field farming work machine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it is overturned.
도 1은 종래 농업작업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의 사시도.
도 3은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의 측면도.
도 4는 어태치먼트 연결기의 결합상태도.
도 5는 연결장치의 확대측면도.
도 6은 하이브리브 엔진의 모식도.
도 7은 조이스틱의 사시도.
도 8은 전복복원장치가 구비된 작업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전복복원장치의 부분확대도.
도 10은 전복복원장치의 구동상태 순서도.
도 11은 손잡이의 결합상태도.
도 12는 가압편의 작동상태 전의 단면도.
도 13은 가압편이 작동된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평탄한 지면을 주행할 때의 운전석 수평유지장치의 상태도.
도 15는 경사진 지면을 주행할 때의 운전석 수평유지장치의 상태도.1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agricultural work machin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multi-purpose field farming work machine.
Figure 4 is a coupled state diagram of the attachment connector.
5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connecting device;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ybrid engin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joystick;
Figure 8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work machine equipped with an overturn recovery device.
Figure 9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rollover recovery device.
Figure 10 is a flow chart of the driving state of the rollover recovery device.
11 is a coupling state diagram of the handl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ing piece before an operating stat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iece is operated;
14 is a state diagram of a driver's seat leveling device when driving on a flat ground.
15 is a state diagram of a driver's seat leveling device when driving on a sloped groun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the size of components, the thickness of lines, etc. shown 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omewhat exaggerated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operator's intention, convention,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is term deserves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nd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and 'have' refer to the existence of a specific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is embodiment mak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for complete informa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refor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implementation examples (態樣, aspec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context.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otherwise indicated.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or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의 사시도, 도 3은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의 측면도, 도 4는 어태치먼트 연결기의 결합상태도, 도 5는 연결장치의 확대측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 machine, Figure 4 is a coupled state diagram of the attachment connector, Figure 5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connection device.
도시된 바와 같이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100. 이하 '작업기'라 한다)는, 몸체(110), 어태치먼트 연결기(120), 무한궤도(130), 기계실(140), 견인장치(150)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the multi-purpose field farming work machin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work machine') includes a
몸체(110)는, 내부에 엔진 등의 부품이 내장되는 박스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몸체(110)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안착할 수 있는 운전석(112)이 구비되고, 운전석(112)의 양측면에는 외부에서 작업자를 향하여 유입될 수 있는 돌, 나무가지 등의 파편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측면보호가드(160)가 구비되어 있다.The
또한, 몸체(110)의 전면에는 제1관통공이 형성된 2개의 고정프레임(111)이 평행상태로 돌출되어 있어, 후술하는 어태치먼트 연결기(120)의 제1유압실린더(122)의 끝단이 고정프레임(111)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유압실린더(122)의 끝단에 형성된 제2관통공을 도시하지 않은 볼트 또는 너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의 어태치먼트 연결기(120)를 몸체(1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즉, 어태치먼트 연결기(12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유압실린더(122)의 제2관통공 및 고정프레임(111)의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결합하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어태치먼트 연결기(120)를 몸체(110)에 고정하여, 작업기(100)가 다른 밭작업을 할 때, 저촉되지 않는 것이므로, 다른 밭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무한궤도(130)는, 몸체(11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작업기(100)가 전진, 후진 등 을 하는데 구동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The
어태치먼트 연결기(120)는, 회전축(121) 및 제1유압실린더(122)를 포함하고 있다.The
상기 회전축(121)은, 중간부분에 제1유압실린더(122)가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축(121)은 몸체(110) 내부의 구동수단(도시를 생략함)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제1유압실린더(122)의 회전각도를 제어한다.The
따라서 어태치먼트 장치를 사용할 때 회전축(121)을 회전시키면, 회전축(121)과 연결되어 있는 제1유압실린더(122)가 회전되어, 전방을 향하도록 각도가 제어된다.Therefore, when the
상기 제1유압실린더(122)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인출, 인입이 가능하며, 일측 끝단에 비닐수집기, 제초기, 잔가지 파쇄기 등의 어태치먼트 장치를 연결하여 부가적이 밭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다.The first
기계실(140)은, 운전석(112)의 후면에 구비되며, 기계실(140)의 내부에는 작업기에 사용되는 구동수단 등의 기계부품이 내장되어 있다.The
견인장치(150)는, 방제기 등의 부가적 밭작업기를 연결하여 약액 등을 살포하는 등의 밭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가적 밭작업기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후크(151), 유출입구(152), 차단판(153), 체결공(154), 제2유압실린더(155)를 포함하고 있다.The
상기 후크(151)는, 기계실(140)의 외면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부가적 밭작업기가 체결되었을 때, 견인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상기 체결공(154)은, 후크(151)의 상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부가적인 밭작업기를 연결하는 와이어 등의 연결수단을 결합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상기 유출입구(152)는, 후크(151)의 상면 일측에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후술하는 차단판(153)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상기 차단판(153)은, 체결공(154)에 체결된 연결수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유출입구(152)에 인입 또는 인출됨으로써, 체결공(154)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폐하여 연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거나, 체결된 연결수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blocking
상기 제2유압실린더(155)는, 일측은 기계실(140)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 끝단은 차단판(153)에 연결되어 있어, 제2유압실린더(155)가 인출 및 인입하는 것에 의하여 차단판(153)이 관통공(154)를 개방하거나 차폐한다.The second
본 실시 예에서 이상과 같은 견인장치(150)를 제시하는 것은, 본 발명 작업기는 부녀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즉, 부녀자가 후술하는 조이스틱(300)의 제어수단인 제2유압실린더버튼(380)을 누르는 것만으로 제2유압실린더(155)의 인출 및 인입을 제어할 수 있어, 후크(151)의 체결공(154)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것이 손쉬워지는 것이어서, 종래의 기술처럼 후크의 체결공을 차폐하기 위하여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조작이 간단하므로, 부녀자가 힘들이지 않고 밭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woman can control the withdrawal and retraction of the second
이하 실시 예에서는 본 작업기에 채택된 하이브리브 엔진에 관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hybrid engine adopted for this working machine will be described.
하이브리드 엔진은 비교적 낮은 연료효율 및 운전 중에 배출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배기가스를 생성하는 종래의 내연기관에 비하여 연료효율이 높고 배기가스가 저감되어 친화경적이므로, 본 실시 예의 작업기에는 하이브리브 엔진이 장착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Since the hybrid engine has high fuel efficiency and reduced exhaust gas compared to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s that generate relatively low fuel efficiency and undesirable exhaust gas emitted during operation, the hybrid engine is installed in the working machin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senting
도 6은 하이브리브 엔진의 모식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ybrid engine.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기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된 하이브리드 엔진(200)은, 내연기관(202), 전기모터(204), 모터제어 유니트(206), 배터리(208)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the
내연기관(202)은, 작업기를 가동시키는 동력발생장치로서, 작업기는 내연기관(202)으로 가동하고, 주행은 내연기관을 이용하여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기모터(204)에 의하여 실행한다.The
전기모터(204)는, 배터리(208)를 충전 또는 작업기내의 다양한 전장품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로서의 기능을 가지면서, 작업기를 주행시키는 기능을 더불어 가진다.The
상기 전기모터(204)는 내연기관(202)으로부터의 토크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예를 들면 작업기의 공회전시, 관성운전시, 제동시 등)는 발전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The
즉, 전기모터(204)는, 작업기 내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기계적 에너지를 공급하며, 더불어서 작업기를 주행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That is, the
본 실시 예의 전기모터(204)는, AC 모터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기존의 전동형 농업기계에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BLDC 모터는 우리나라에 많은 경사지 지형 등에서 동력 제공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경사지가 많은 우리나라 지형에서의 주행 및 부하작업의 적용이 어려우며, 일반 DC모터는 기본적으로 구형파 역기전력을 가져, 제어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BLDC motors, which are mainly used in existing electric agricultural machines, have been found to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power in many sloped terrains in Korea. A general DC motor basically has a square wave counter-electromotive force, which has limitations in terms of control.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AC모터를 적용하고 있으며, AC모터는 역기전력이 정현파 형태이므로, 토크리플, 속도 추종성능, 조향 등의 기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disadvantages, an AC motor is appli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since the counter electromotive force of the AC motor is in the form of a sine wave, functions such as torque ripple, speed tracking performance, and steering are excellent.
모터제어 유니트(206)는, 내연기관(202)으로의 연료량을 지연 또는 제한하기 위하여 연료 분사기를 제어하여, 내연기관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결국 내연기관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기의 량을 제어한다.The
배터리(208)는, 전기모터(204)가 발전기로서 기능할 때에는, 전기모터(204)로부터의 전하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The
만약 배터리(208)가 작업기의 운행중에 충분하게 충전되지 않으면, 그 작업기는 배터리(208)가 재충전될 때까지 내연기관(202)으로만 운행한다.If the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208)를 충전하기 위한 별도의 충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separate charger for charging the
전기도 마련된다. 그러한 충전기는, 플러그(234)로서 도시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작업기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 사용자가 하이브리드 엔진(200)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Electricity is also provided. Such a charger includes a connector, shown as a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작업기의 조향작업 등을 부녀자가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device that allows a woman to easily perform a steering operation of a work machine will be described.
작업기를 조향하거나 구동할 때, 기존의 농업 또는 밭 작업기는 핸들 등을 이용하는 것이어서, 부녀자가 힘으로 조향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으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부녀자도 작업기의 제동, 가감속 및 조향작업 등을 손 쉽게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When steering or driving a working machine, existing agricultural or field working machines use handles, etc., so it was difficult for women to steer by force. We want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hand.
본 실시 예의 조향장치는 조이스틱을 채택하고 있으며, 도 7은 조이스틱의 사시도이다.The steer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employs a joystick,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ystick.
도시된 바와 같은 조이스틱(300)은 작업기(100)의 운전석(112) 전면에 설치되어 부녀자의 조향작업 등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조이스틱(300)은, 지지몸체(310), 구동손잡이(320), 브레이크레버(330), 가감속레버(340), ON/OFF버튼(350), 사이드 브레이크버튼(360), 방향지시버튼(370), 제2유압실린더버튼(380), 후진버튼(390), 전복복원버튼(400)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the
지지몸체(3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운전석(112)의 전면,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어, 조이스틱의 부품을 내장, 또는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또한, 지지몸체(310) 상면의 일측에 가이드홈(323)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지지축(321)이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가이드한다.In addition, a
구동손잡이(320)는, 부녀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ㄱ'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구동손잡이의 하단부에는 지지축(321)이 구비되어 있고, 상면에는 후술하는 가감속레버(340)에 의한 작업기의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창(340a)가 구비되어 있다.The driving handle 320 has an 'L' shape so that women can easily grip it, and a
상기 지지축(321)은, 지지몸체(31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23)을 따라, 좌,우의 원호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축(321)의 하단부에는 회전판(322)이 고정되어 있어, 지지축(321)이 회전하는 것과 연동하여 회전판(322)도 회전한다.The
상기 회전판(322)이 회전하면, 제어부(도시를 생략함)에서, 회전량을 검출하고, 회전량에 대응되는 조향신호에 의하여 무한궤도(130)의 조향각을 제어함으로서, 작업기의 조향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즉, 회전판(322)의 회전량이 크면, 무한궤도(130)의 조향각이 커지고, 회전량이 작으면, 무한궤도(130)의 조향각이 작아지며, 회전판(322)이 좌측으로 회전하면, 무한궤도(130)도 좌측으로 방향이 변위되고, 회전판(322)이 우측으로 회전하면, 무한궤도(130)도 우측으로 방향이 변위되는 것이므로, 부녀자도 손쉽게 작업기의 조향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rotation amount of the
브레이크레버(330)는, 구동손잡이(320)의 저면에 돌출된 레버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작업자의 검지손가락을 당기는 동작에 의하여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작업기를 정지시킬 수 있다.The
가감속레버(340)는, 구동손잡이(320)의 기둥부분의 전면에 돌출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작업자의 검지 또는 중지로 파지하는 힘에 연동하여 삽입되는 깊이가 조절됨으로서, 작업기의 속도를 가속하거나 감속할 수 있으며, 속도는 구동손잡이의 상면에 구비된 속도표시창(340a)에 표시된다.The acceleration/
즉, 상기 가감속레버(340)는 자동차의 엑셀페달과 같은 기능을 갖는 것이다.That is, the acceleration/
ON/OFF버튼(350)은, 지지몸체(310)의 상면, 전방측에 구비되어, 작업기를 시동시키거나, 구동을 정지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ON/
즉, ON/OFF버튼(350)을 한번 누르면 작업기의 시동이 걸리고, 다시 한번 누르면 시동이 꺼지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ON/
사이드 브레이크버튼(360)은, 지지몸체(310)의 상면 전면 일측에 구비되며, 작업기의 정지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기능을 가진다.The
방향지시버튼(370)은, 구동손잡이(320)의 상면에 구비되어, 작업기의 방향지시등을 점등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제2유압실린더버튼(380)은, 구동손잡이(320)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유압실린더 인출버튼(380a)과 제2유압실린더 인입버튼(380a)으로 구분되며, 견인장치(150)의 제2유압실린더(155)를 인출, 또는 인입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도 5. 참조)The second
후진버튼(390)은, 구동손잡이(320)의 상면에 구비되고, 작업기를 후진시키는 기능을 가진다.The
전복복원버튼은, 작업기가 밭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밭두령 또는 경사면에서 전복되어 뒤집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전복된 작업기를 전복복원장치(400)에 의하여 복원시키는 버튼으로서, 전복복원장치(400)에 대한 구체적 구성은 후술한다.The overturn restoration button is a button that restores the overturned work machine by the overturn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조이스틱(300)은, 부녀자인 작업자가 운적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조이스틱(300)을 회전시키거나, 버튼을 누르거나 레버를 손가락으로 작동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작업기의 주행, 조향, 정지 등의 기능을 손쉽게 실행할 수 있는 것이어서, 부녀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므로, 조작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
이하 실시 예에서는 작업기가 밭 작업 도중에 고랑 또는 경사로에 의하여 전복되는 경우가 있을 때, 자력으로 복원할 수 있는 전복복원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 when a working machine is overturned by a furrow or a ramp during field work, a rollover restoration device capable of restoring by itself will be described.
도 8은 전복복원장치가 구비된 작업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전복복원장치의 부분확대도, 도 10은 전복복원장치의 구동상태 순서도이다.8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working machine equipped with a rollover restoration device, FIG. 9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rollover restoration device, and FIG. 10 is a flow chart of a driving state of the rollover restoration device.
도시된 바와 같이 전복복원장치(400)는,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410), 힌지축(420), 지지판(430)을 포함하고 있으며, 측면보호가드(160)가 원호형보강대(163), 가로보강대(161), 세로보강대(162)를 포함하는 구성과 유기적으로 연동한다.As shown, the
전복복원장치(400)의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410)는, 기계실(14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다단의 실린더가 곡관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인출 또는 인입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지지판(430)은,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410)의 끝단부에 구비되어,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410)의 끝단이 지면에 접촉될 때, 지면을 밀어내는 발판의 기능을 가진다.The
상기 지지판(430)의 외면에는 돌기(431)가 형성되어 있어, 지지판(430)이 지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힌지축(420)은,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410)의 끝단부와 지지판(430) 사이에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판(430)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므로, 지면에 굴곡이 있어도 지지판(430)이 회전되어 지면을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는 것이어서,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410)가 인출될 때, 지면으로부터 작업기를 보다 용이하게 밀어내는 기능을 가진다.The
측면보호가드(160)의 원호형보강대(163)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있어, 무게를 줄이면서도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게 하여, 작업자를 보호한다.The arc-shaped
상기 원호형보강대(163)는 작업자의 앉은키 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면서, 작업기의 상단을 원호의 형상을 가지도록 덮는 구조로 구비된다.The arc-shaped reinforcing table 163 has a height higher than the sitting height of the worker and has a structure covering the upper end of the work machine to have an arc shape.
또한, 원호형보강대(163)에는 작업자가 작업기로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도록하는 손잡이(5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손잡이(500)의 구체적 구성은 후술한다.In addition, the arcuate reinforcing
가로보강대(161) 및 세로보강대(162)는, 원호형보강대(163)의 내부를 가로 또는 세로로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보강의 효과를 더욱 더 높이면서, 작업자가 운전석에서 작업할 때, 측면을 주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기의 측면으로부터 작업기에 가해질 수 있는 위해요소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The
이상과 같은 전복복원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rollover restora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작업기가 작업도중 전복되면, 작업자는 조이스틱(300)의 구동손잡이(320)이 상면에 구비된 전복복원버튼을 누른다.If the work machine overturns during work, the operator presses the rollover recovery butt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handle 320 of the
전복복원버튼이 눌려지면, 기계실 내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곡면형상의 유압실린더(410)가 인출되고, 곡면형상의 유압실린더(410)가 인출되어 지면을 밀어내기 시작하면, 작업기는 원호형보강대(163)가 지면과 구름접촉을 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회전하여, 기립하기 시작한다.When the rollover recovery button is pressed, the curved
곡면형상의 유압실린더(410)가 더욱 더 인출되면, 작업기는 수직을 넘어서는 각도로 기립되는 것이므로, 작업기의 자중에 의하여 지면과 수평상태의 자세로 복원되는 것이다.When the curved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작업기에 구비된 손잡이에 관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handle provided in the work machine will be described.
부녀자가 작업기에 탑승할 때, 손으로 잡을 부분이 마땅하지 않아, 작업기에 탑승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손잡이를 설치하고, 그 손잡이의 위치를 작업자의 체형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다.When a woman gets on the working machi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get on the working machine because the part to hold with the hand is not suitable. do.
도 11은 손잡이의 결합상태도, 도 12는 가압편의 작동상태 전의 단면도, 도 13은 가압편이 작동된 상태의 단면도이다.11 is a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handle,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ing piece before operating,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ing piece being operated.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00)는, 파지부(510), 파지돌기(520), 가압편(530), 외관(540), 영구자석(550)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the
외관(540)은, 중공의 원통형 구조이며, 원호형보강대(163)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외표면에는 널링공정을 실시하여 작업자가 파지하였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exterior 540 has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arc-shaped reinforcing
파지부(510)는, 외관(540)의 일측에 반원호형의 띠 형상을 구비되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며, 파지부(510)의 내표면에는 파지돌기(520)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의 손가락에 의한 파지력을 높이는 기능을 가진다.The
영구자석(550)은, 외관(540)의 내표면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위치로 손잡이(500)의 외관(540)을 원호형보강대(163)에서 미끄럼 이동하였을 때, 영구자석(550)의 자력에 의하여 손잡이를 원호형보강대(163)의 필요한 위치에 임시로 고정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가압편(530)은, 외관(540)의 외표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캠(531), 피복탄성체(532), 회전축(533)을 포함하고 있다.The
상기 캠(531)은, 가로직경이 세로직경 보다 긴 타원형의 형상으로 하고 있으며, 가압편(530)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회전축(533)에 결합된다.The
상기 회전축(533)은, 외관의 내부을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결합되며, 외관의 내부에서 회전한다.The
상기 피복탄성체(532)는, 탄성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캠(531)의 외면을 피복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캠(531)이 회전하여 외관(540)의 내벽면과 원호형보강대(163) 사이에 억지끼움될 때, 캠(531) 또는 외관(540)의 내벽면이 파손되는 것을 탄성변형력에 의하여 최소화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coated
또한 상기 피복탄성체(532)는,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40∼50 중량부, 실리카 무기 필러 20∼25 중량부, 금속산화물 0.7∼13 중량부, 가황제 0.2 ∼3 중량부, 가교제 0.1∼4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의 조성물로 이루어진 피복탄성체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경도가 상승되지 않아 우수한 내슬립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이상과 같은 손잡이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Looking at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handle as described above,
작업자가 작업기에 탑승할 때, 손잡이(500)를 잡고 탑승하면, 탑승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부녀자 일 경우라도, 탑승을 용이할 수 있는 것이다.When a worker gets on the working machine, if he or she grabs the
이때, 손잡이(500)의 위치가 부녀자의 키 등의 체형에 맞는 위치에 있어야 하는 것인데, 본 실시 예에서는 손집이(5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먼저 가압편(530)을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손잡이(500)를 원호형보강대(163)의 필요한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손잡이(500)가 이동되면, 손잡이(500) 외관(540) 내부의 영구자석(550)의 자력에 의하여 손잡이(500)는 원호형보강대(163)의 설정된 위치에 임시로 고정된다.First, the
손잡이(500)가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편(530)을 외관(540)의 외표면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531)이 회전하면서, 외관(540)의 내벽면과 원호형보강대(163)의 외표면 사이에 억지끼움되는 것이므로, 손잡이(500)를 원호형보강대(163)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a state where the
손잡이(500)의 위치를 변경할 때는 손잡이(500)를 고정하는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한다.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경사진 지면이나 굴곡진 지면을 작업기가 주행할 경우에도 운전석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level of a driver's seat even when a work machine travels on an inclined or curved surface will be described.
작업기가 밭작업 또는 산비탈, 농로 등에서 작업할 때, 경사진 지면에 의하여 작업기가 경사지게 되면, 운전석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시야가 좁아져서 작업하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경사진 지면에서도 운전석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When the machine is working in the field or on a hillside, farm road, etc., if the machine is tilted by the sloped ground, the field of view of the operator working in the driver's seat is narrow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I would like to suggest a structure that can keep the driver's seat level.
도 14는 평탄한 지면을 주행할 때의 운전석 수평유지장치의 상태도, 도 15는 경사진 지면을 주행할 때의 운전석 수평유지장치의 상태도이다.14 is a state diagram of the driver's seat leveling device when driving on a flat ground, and FIG. 15 is a state diagram of the driver's seat leveling device when driving on an inclined surface.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수평유지장치(600)은 전방유압실린더(610a), 후방유압실린더(610b), 경사도감지센서(S)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가적으로 운전석의 전방에 경광등(620)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the driver's
전방유압실린더(610a)는, 몸체(1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운전석(112)의 앞 저면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어부(도시를 생략함)의 신호와 연동하는 구동수단(도시를 생략함)에 의하여 인입 및 인출됨으로서, 운전석 앞부분의 높이를 조절한다.The front
후방유압실린더(610b)는, 몸체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운전석(112)의 뒤 저면에 연결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어부의 신호와 연동하는 구동수단(도시를 생략함)에 의하여 인입 및 인출됨으로서, 운전석 뒷부분의 높이를 조절한다.The rear
상기 전방유압실린더(610a) 및 후방유압실린더(610b)는 설명의 편의상 운전석의 앞,뒤에 하나씩 설치된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운전석 저면의 앞,뒤,좌,우에 모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ront
경사도감지센서(S)는, 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작업기 전방 지면의 경사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한다.The inclination sensor S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경광등(620)은, 작업기 전방 지면의 경사도가 작업기의 작업을 방해하거나, 전복될 정도의 위험한 경사도가 있을 경우에는, 그 경사도를 경사도감지센서(S)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보내고, 제어부는 경광등을 발광시켜 작업자에게 위험함을 알리는 기능을 가진다.In the
위와 같은 운전석 수평유지장치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driver's seat leveling device as above,
작업기가 주행할 때, 경사도 감지센서(S)가 경사도를 감지하면, 그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고, 제어부는 전방유압실린더(610a) 및 후방유압실린더(610b)의 인입 및 인출길이를 제어하여, 운전석(112)의 수평을 유지한다.When the work machine is running, when the slope sensor (S) detects the slope, it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ngth of the front hydraulic cylinder (610a) and the rear hydraulic cylinder (610b), Keep the driver's
이때, 경사도가 작업을 방해하거나, 작업기를 전복시킬 정도의 경사도인 것으로 제어부가 판별하면, 경광등(620)을 발광시켜, 작업기의 작업을 중지하거나 위험한 지형을 회피하는 등의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lope is such that the slope interferes with work or overturns the work machine,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안전하고 친환경적이어서, 고령 농민 및 부녀자도 쉽게 조작이 가능하고, 농업 현장 어디에서나 사용이 가능하며, 안전 기능과 다양한 부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saf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so that even elderly farmers and women can easily operate it, it can be used anywhere in the agricultural field, and it has a complex effect of performing safety functions and various additional tasks.
100:다목적 밭농업 작업기 110:몸체
111:고정프레임 122:운적석
120:어태치먼트 연결기 121:회전축
122:제1유압실린더 130:무한궤도
140:기계실 150:견인장치
151:후크 152:유출입구
153:차단판 154:체결공
155:제2유압실린더 160:측면보호가드
161:가로보강대 162:세로보강대
200:하이브리드 엔진 202:내연기관
204:전기모터 206:모터제어 유니트
208:배터리 300:조이스틱
310:지지몸체 320:구동손잡이
321:지지축 322:회전판
323:가이드홈 330:브레이크 레버
340:가감속레버 340a:속도표시창
350:ON/OFF버튼 360:사이드브레이크 버튼
370:방향지시버튼 380:제2유압실린더 버튼
380a:제2유압실린더 인출버튼 380b:제2유압실린더 인입버튼
390:후진버튼 400:전복복원장치
410: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 420:힌지축
430:지지판 431:돌기
500:손잡이 510:파지부
520:파지돌기 530:가압편
531:캠 532:피복탄성체
533:회전축 540:외관
550:영구자석 600:운전석 수평유지장치
610a:전방유압실린더 610b:후방유압실린더
620:경광등 S:경사도 감지센서100: multi-purpose field farming machine 110: body
111: fixed frame 122: rolling stone
120: attachment connector 121: rotary shaft
122: first hydraulic cylinder 130: caterpillar
140: machine room 150: traction device
151: hook 152: outflow inlet
153: blocking plate 154: fastening hole
155: second hydraulic cylinder 160: side protection guard
161: horizontal reinforcement 162: vertical reinforcement
200: hybrid engine 202: internal combustion engine
204: electric motor 206: motor control unit
208: battery 300: joystick
310: support body 320: drive handle
321: support shaft 322: rotating plate
323: guide groove 330: brake lever
340: acceleration/
350: ON/OFF button 360: side brake button
370: direction indicator button 380: second hydraulic cylinder button
380a: second hydraulic
390: reverse button 400: rollover restoration device
410: curved hydraulic cylinder 420: hinge axis
430: support plate 431: protrusion
500: handle 510: gripping part
520: grip protrusion 530: press piece
531: cam 532: coated elastic body
533: axis of rotation 540: appearance
550: permanent magnet 600: driver's seat leveling device
610a: front
620: warning light S: slope detection sensor
Claims (2)
어태치먼트 연결기(120)가 더 구비되되;
어태치먼트 연결기(120)는, 몸체(110) 내부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21)과, 회전축(121)의 중간부분에 결합되고 끝단에 제2관통공이 형성된 제1유압실린더(122)를 포함하며,
어태치먼트 연결기(12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관통하는 결합수단에 의하여 어태치먼트 연결기(120)를 몸체(110)에 고정하는 한편,
견인장치(150)가 더 구비되되;
견인장치(150)는, 기계실(140)의 외면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 후크(151)와, 후크(151)의 상면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구비된 체결공(154)과, 후크(151)의 상면 일측에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된 유출입구(152)와, 유출입구(152)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차단판(153)과, 일측은 기계실(14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차단판(153)에 연결되어, 차단판(153)이 인출 및 인입하는 것에 의하여 관통공(154)를 개방하거나 차폐하는 제2유압실린더(155)를 포함하고,
조이스틱(300)이 더 구비되되;
조이스틱(300)은, 운전석(112)의 전면,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면의 일측에 가이드홈(323)이 형성된 지지몸체(310)와, 'ㄱ'자 형상의 구동손잡이(320)와, 구동손잡이(32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지지몸체(31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323)을 따라, 좌,우의 원호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지축(321)과, 지지축(321)의 하단부에 구비된 회전판(322)을 포함하고,
지지몸체(310)의 상면에는, ON/OFF버튼(350)과 사이드 브레이크버튼(360)이 구비되고,
구동손잡이(320)는, 저면에 돌출된 레버의 형상으로 구비된 브레이크레버(330)와, 기둥부분의 전면에 돌출된 구조로 구비된 가감속레버(340)와, 상면에 구비된 방향지시버튼(370)과, 제2유압실린더버튼(380)과, 후진버튼(390)과, 전복복원버튼 및 속도표시창(340a)을 포함하고,
전복복원장치(400)가 더 구비되되;
전복복원장치(400)는, 기계실(14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구동수단에 의하여 인출 또는 인입되는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410)와,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410)의 끝단부에 구비되고, 외면에는 돌기(431)가 형성된 지지판(430)과, 곡관형상의 유압실린더(410)의 끝단부와 지지판(430) 사이에 결합된 힌지축(420)을 포함하고,
측면보호가드(160)는, 작업자의 운전석(112) 앉은키 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면서, 상단이 원호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원호형보강대(163)와, 원호형보강대(163)의 내부를 가로 또는 세로로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구비된 가로보강대(161) 및 세로보강대(1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
A driver's seat 11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for a worker to sit on, a side protection guard 16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iver's seat 112 to protect the operator, and a fixed protruding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A body 110 including a frame 111, a caterpillar 1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10 to give driving force, and a machine room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river's seat 112 and having mechanical parts embedded therein (140),
An attachment connector 120 is further provided;
The attachment coupler 120 includes a rotational shaft 121 rotated by a driving means inside the body 110 and a first hydraulic cylinder 122 coupl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rotational shaft 121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the end thereof. contains,
When the attachment connector 120 is not in use, the attachment connector 120 is fixed to the body 110 by coupling means penetrat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 traction device 150 is further provided;
The traction device 150 includes a hook 151 fixed in a protruding stat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chine room 140, a fastening hole 154 provided in a shap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ok 151, and a hook 151 The outlet 152 provided in a recessed shape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he blocking plate 153 drawn in or out of the outlet 152, and one side connected to a driv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room 140,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locking plate 153, and includes a second hydraulic cylinder 155 that opens or shields the through hole 154 by drawing and withdrawing the blocking plate 153,
A joystick 300 is further provided;
The joystick 300 is installed on the front and lower end of the driver's seat 112, and includes a support body 310 having a guide groove 323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 'L'-shaped drive handle 320, and a drive The support shaft 321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320 and rotating in the left and right arc directions along the guide groove 3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0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haft 321 Including a rotation plate 32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0, an ON/OFF button 350 and a side brake button 360 are provided,
The driving handle 320 includes a brake lever 330 provided in the shape of a lever protruding on the bottom surface, an acceleration/deceleration lever 340 provided in a structure protruding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lumn portion, and a direction indicating button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370, a second hydraulic cylinder button 380, a reverse button 390, a rollover restoration button and a speed display window 340a,
A rollover restoration device 400 is further provided;
The rollover restoration device 40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machine room 140, and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410 in the form of a bend pipe that is drawn out or drawn in by the driving means, and the hydraulic cylinder 410 in the form of a bend pipe. , A support plate 430 having a protrusion 431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hinge shaft 420 coupled between the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410 and the support plate 430,
The side protection guard 160 has a height higher than the sitting height of the operator's driver's seat 112, and the arc-shaped reinforcement 163 having an upper end in an arc shape and the inside of the arc-shaped reinforcement 163 are horizontally Or a multi-purpose field farm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orizontal reinforcement 161 and a vertical reinforcement 162 provided in a vertically crossing shape.
운전석 수평유지장치(600)가 더 구비되되;
운전석 수평유지장치(600)는,
몸체(110)의 상면에 돌출되어 운전석(112) 앞 저면에 연결된 구조이며, 제어부의 신호와 연동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인입 및 인출됨으로서, 운전석(112) 앞부분의 높이를 조절하는 전방유압실린더(610a)와,
몸체(110)의 상면에 돌출되어 운전석(112) 뒤 저면에 연결된 구조이며, 제어부의 신호와 연동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인입 및 인출됨으로서, 운전석(112) 뒷부분의 높이를 조절하는 후방유압실린더(610b)와,
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전방 지면의 경사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는 경사도감지센서(S)와
전방 지면의 위험한 경사도를 감지하는 경사도감지센서(S)의 신호를 제어부가 수신하고,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발광하는 경광등(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밭농업 작업기.According to claim 1,
A driver's seat leveling device 600 is further provided;
The driver's seat leveling device 600,
A front hydraulic cylinder (610a)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112, and is drawn in and out by a driving means that interlocks with the signal of the control uni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112. )Wow,
A rear hydraulic cylinder (610b)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behind the driver's seat 112, and is drawn in and out by a driving means that interlocks with the control unit's signal to adjust the height of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112. )Wow,
A slope sensor (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body 110 to measure the slope of the front ground and transmit the measured signal to the control unit
A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arning light 620 for receiving a signal from a slope detection sensor (S) for detecting a dangerous slope of the front ground and emitting light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the controll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5469A KR102482798B1 (en) | 2020-10-19 | 2020-10-19 |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5469A KR102482798B1 (en) | 2020-10-19 | 2020-10-19 |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1727A KR20220051727A (en) | 2022-04-26 |
KR102482798B1 true KR102482798B1 (en) | 2022-12-29 |
Family
ID=81391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5469A Active KR102482798B1 (en) | 2020-10-19 | 2020-10-19 |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279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2327B1 (en) | 2022-12-30 | 2023-12-08 | 장진만 | Working machine for multipurpose agricultural |
KR20250063945A (en) | 2023-10-30 | 2025-05-09 | 전라남도 | Electrically driving agricultural mach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3406B1 (en) * | 2021-03-02 | 2023-07-11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62655A (en) | 1998-08-24 | 2000-02-29 | Seirei Ind Co Ltd | Small-sized passenger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
JP2003226257A (en) | 2002-02-06 | 2003-08-12 | Iseki & Co Ltd | Crawler tractor traveling transmissio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3404U (en) * | 1992-07-30 | 1994-03-29 | 株式会社マツモト | Self-propelled upland farming machine |
KR200459439Y1 (en) | 2010-01-13 | 2012-03-23 | 손정락 | Rotary for cultivator |
KR20190067284A (en) * | 2017-12-06 | 2019-06-17 | 한국체인공업 주식회사 | Autonomously traveling work vehicle |
-
2020
- 2020-10-19 KR KR1020200135469A patent/KR10248279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62655A (en) | 1998-08-24 | 2000-02-29 | Seirei Ind Co Ltd | Small-sized passenger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
JP2003226257A (en) | 2002-02-06 | 2003-08-12 | Iseki & Co Ltd | Crawler tractor traveling transmiss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2327B1 (en) | 2022-12-30 | 2023-12-08 | 장진만 | Working machine for multipurpose agricultural |
KR20250063945A (en) | 2023-10-30 | 2025-05-09 | 전라남도 | Electrically driving agricultural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1727A (en) | 2022-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3406B1 (en) |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 |
KR102482798B1 (en) | Multipurpose Field Agricultural working machine | |
US8657041B2 (en) | Control system for a lawnmower vehicl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ic motors | |
AU2020100204A4 (en) | Mower blade and attachment system | |
US7975786B2 (en) | Electric ground working vehicle | |
US20160029555A1 (en) | Control sysytem for motor-driven lawnmower vehicle | |
JP6187049B2 (en) | Walking assist moving body | |
JP2008168871A (en) | Riding lawn mower | |
JP7694643B2 (en) | Work vehicles | |
JP2025068013A (en) | Work vehicle | |
KR101885811B1 (en) | Electric three-wheeler | |
JP2023085648A (en) | work vehicle | |
JP2019043470A (en) | Clamping safety device for walking type work vehicles | |
JP3943231B2 (en) | Electric auxiliary vehicle | |
JP4313081B2 (en) | Self-propelled electric work machine | |
CN217037075U (en) | Double-control drive control structure | |
CN215081052U (en) | Stride electronic wheelchair with adjustable foot angle | |
EP4442525A1 (en) | Riding lawnmower | |
CN222756644U (en) | Electric trailer | |
JPH0810596Y2 (en) | Hand guide roller safety device | |
JP2023089541A (en) | work vehicle | |
KR20230026249A (en) | Working vehicle | |
CN203199104U (en) | Combined three-wheeled freight car powered by mini-tiller | |
JP2007008291A (en) | Self-propelled management machine | |
JPS6323903U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