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826B1 - collapsible work platform - Google Patents
collapsible work platfor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0826B1 KR102480826B1 KR1020220099744A KR20220099744A KR102480826B1 KR 102480826 B1 KR102480826 B1 KR 102480826B1 KR 1020220099744 A KR1020220099744 A KR 1020220099744A KR 20220099744 A KR20220099744 A KR 20220099744A KR 102480826 B1 KR102480826 B1 KR 1024808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lded
- state
- handrail frame
- horizontal bar
- work de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04G2001/302—Ladder scaffolds with ladders supporting the platform
- E04G2001/305—The ladders being vertical and perpendicular to the plat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 E04G1/30—Ladder scaffolds
- E04G2001/302—Ladder scaffolds with ladders supporting the platform
- E04G2001/307—The ladders being self-supporting folding lad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하기 위한 펼침 상태와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한 접음 상태를 갖는 접이식 작업대가 개시된다. 개시된 접이식 작업대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를 받치도록 아래로 수직 연장된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수평바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스토퍼; 상기 수평바에 설치된 데크 회전축에 의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받쳐져 수평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는 선단이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수직 연장선과 가까워지도록 접혀지는 작업데크; 및 복수개의 계단 발판들과 상기 복수개의 계단 발판들을 연결하는 좌우 양측의 제1 측면 연결부 및 제2 측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연결부 및 상기 제2 측면 연결부를 상기 작업데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에 의해 상기 작업데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는 상기 작업데크와 둔각을 이루며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는 상기 작업데크와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에 가깝게 근접한 상태로 상기 다리의 수직 연장선과 가깝게 접혀지는 계단; 상기 수평바에 결합된 후방 난간 프레임; 및 상기 수평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과 직각을 이루고 상기 접음 상태에는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에 포개어지도록 접히는 측면 난간 프레임을 포함한다.Disclosed is a foldable work table having an expanded state for a worker to climb and work and a folded state for storage or transportation. The disclosed foldable workbench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horizontal bar and a pair of legs vertically extending downward to support the horizontal bar; a stopper install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horizontal bar; It is rotatably installed up and down by a deck rotation shaf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supported by the stopper in the unfolded state and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and in the folded state, the tip is folded so as to be close to the vertical extension line of the pair of legs losing work deck; And a plurality of stair treads and a first side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side connecting portion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tair treads, wherein the first sid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side connecting portion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work deck.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work deck by a connecting hinge shaft, and in the unfolded state, it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work deck and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ground, and in the folded state, parallel to or close to parallel with the work deck. State a staircase that is folded close to the vertical extension line of the bridge; a rear handrail frame coupled to the horizontal bar; and a side railing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forming a right angle to the rear railing frame in the unfolded state and folded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rear railing frame in the folded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높은 곳에서의 안전한 작업을 보장하며, 쉽게 접어 보관 또는 운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접이식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ben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able workbench configured to ensure safe work at a height and to be easily folded and stored or transported.
일반적으로, 높은 곳에서 작업하기 위해서는, 가설 발판을 지면으로부터 높게 가설하며, 작업자는 지면과 가설 발판 사이를 연결하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가설 발판 위에 올라간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가설 발판을 설치 또는 해체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work at a high place, a temporary scaffold is hypothesized high from the ground, and a worker climbs on the scaffold using a ladder connecting between the ground and the temporary scaffold.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install or dismantle the temporary scaffolding and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safety of workers.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작업대가 제안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types of work tables have been proposed in the related art.
예컨대, 특허등록 제10-1672410호는 몸체와 계단 발판부와 이동휠 및 고정식 핸드레일 및 접이식 핸드레일을 포함하는 계단식 이동 작업대를 개시한다. 하지만, 개시된 작업대는 핸드레일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여전히 보관이나 운반 시 여전히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핸드레일을 구비기는 하지만, 안정적이지 못한 이동휠로 인해, 작업자 안전을 확보하기 어렵고, 계단 발판부 중 상단 발판부를 작업 발판으로 이용하므로, 작업공간이 협소하거나 또는 별도의 작업데크를 추가로 더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Patent Registration No. 10-1672410 discloses a stair moving work table including a body, a stair step, a moving wheel, a fixed handrail, and a foldable handrail. However, the disclosed workbench is configured so that only the handrail can be folded, so it still takes up a lot of space during storage or transportation, and although it has a handrail, it is difficult to secure worker safety due to an unstable moving wheel,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afety of the stair step. Since the upper scaffolding portion is used as a working scaffol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ing space is narrow or a separate working deck is additionally required.
또한, 특허등록 제10-2403398호는 각각이 수직프레임을 갖는 전방다리 및 후방다리와 전방다리를 포함하고, 전방다리 및 후방다리의 수직프레임의 상면에 작업발판이 지지되도록 한 사다리형 작업대를 개시한다. 개시된 사다리형 작업대는 작업시에만 펼쳐 사용할 수 있는 안전 난간대를 포함한다. 그러나 사다리형 작업대는, A형 사다리와 거의 유사한 접철식 구조로서, 작업발판의 크기가 제한적이고, 작업발판 위에서 안전한 작업이 어려우며, 따라서, 목공, 도배, 미장 등 간단한 작업을 사다리를 대시하여 사용하는 정도에 그쳤다. 또한, 이 기술은 사다리 구조로서 작업자가 오르고 내리는 것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Patent Registration No. 10-2403398 discloses a ladder-type workbench including a front leg and a rear leg each having a vertical frame and having a work platform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front leg and the rear leg. do. The disclosed ladder-type workbench includes a safety handrail that can be unfolded and used only during work. However, the ladder-type workbench is a foldable structure almost similar to the A-type ladder, and the size of the work platform is limited, and it is difficult to safely work on the work platform. stopped at In addition, this technology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nconvenient for a worker to climb up and down due to a ladder structu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 서서 다양하고 복잡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의 작업데크를 제공하고, 작업자가 작업데크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작업자가 편하게 작업데크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며, 쉽게 접어 보관 또는 운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접이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 deck with a sufficient area so that the worker can stand and perform various and complex tasks, to allow the worker to safely work on the work deck, and to allow the worker to comfortably climb up and down the work deck. It is to provide a foldable workbench configured to be easily folded and stored or transported.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하기 위한 펼침 상태와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한 접음 상태를 갖는 접이식 작업대가 제공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는,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를 받치도록 아래로 수직 연장된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수평바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스토퍼; 상기 수평바에 설치된 데크 회전축에 의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받쳐져 수평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는 선단이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수직 연장선과 가까워지도록 접혀지는 작업데크; 및 복수개의 계단 발판들과 상기 복수개의 계단 발판들을 연결하는 좌우 양측의 제1 측면 연결부 및 제2 측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연결부 및 상기 제2 측면 연결부를 상기 작업데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에 의해 상기 작업데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는 상기 작업데크와 둔각을 이루며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는 상기 작업데크와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에 가깝게 근접한 상태로 상기 다리의 수직 연장선과 가깝게 접혀지는 계단; 상기 수평바에 결합된 후방 난간 프레임; 및 상기 수평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과 직각을 이루고 상기 접음 상태에는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에 포개어지도록 접히는 측면 난간 프레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lding workbench having an expanded state for a worker to climb and work and a folded state for storage or transport, and the foldabl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rizontal bar and a horizontal bar lowered to support the horizontal bar. A main body including a pair of vertically extending legs; a stopper install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horizontal bar; It is rotatably installed up and down by a deck rotation shaf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supported by the stopper in the unfolded state and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and in the folded state, the tip is folded so as to be close to the vertical extension line of the pair of legs losing work deck; And a plurality of stair treads and a first side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side connecting portion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tair treads, wherein the first sid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side connecting portion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work deck.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work deck by a connecting hinge shaft, and in the unfolded state, it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work deck and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ground, and in the folded state, parallel to or close to parallel with the work deck. State a staircase that is folded close to the vertical extension line of the bridge; a rear handrail frame coupled to the horizontal bar; and a side railing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forming a right angle to the rear railing frame in the unfolded state and folded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rear railing frame in the folded stat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접이식 작업대는 상기 펼침 상태에서 수직으로 직립해 있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 상기 계단에 포개어지도록 상기 제1 측면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핸드레일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접음 상태로의 변화를 위해, 상기 측방 난간 프레임이 상기 후방 프레임에 포개어지도록 접히고 상기 핸드레일 프레임이 상기 계단에 포개어지도록 접힌 후에, 상기 계단이 상기 작업데크와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에 가깝게 접혀짐과 동시에, 상기 작업데크가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수직 연장선과 가깝게 접히며,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의 폭은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의 폭보다 크되,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은, 각각이 가이드 중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1 횡파이프를 포함하는 제1 난간 프레임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 횡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 횡파이프를 포함하는 제2 난간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음 상태에서 상기 펼침 상태보다 작은 폭이 되도록 변형 가능하고, 상기 핸드레일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 연결부의 상면에 직접 또는 상기 제1 측면부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기둥 기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핸드레일 기둥과, 상기 핸드레일 기둥에 연결된 핸드레일을 포함하며, 접음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접음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음 고정수단은 상기 후방난간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연결고리와 상기 제1 측면 연결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연결고리와 상기 제1 연결고리와 상기 제2 연결고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oldable workbench further includes a handrail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side connecting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upright in the unfolded state and overlapped with the stairs in the folded state, and in the unfolded state For the change to the folded state, after the side railing frame is folded to overlap the rear frame and the handrail frame is folded to overlap the stairs, the stairs are folded parallel to or close to parallel to the work deck. At the same time, the working deck is folded close to the vertical extension line of the pair of legs, and in the unfolded state, the width of the side handrail frame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handrail frame, and the side handrail frame, each guide A second handrail frame including a first handrail fram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transverse pipes including a hollow and a plurality of second handrail frame portions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transverse pipes slidab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first transverse pipes, It is deformable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expanded state in the folded state, and the handrail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illar bas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connecting portion or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connecting por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handrail columns whose lengths are adjustable, and a handrail connected to the handrail columns, and further includes a folding fixing means for fixing a folded state, wherein the folding fixing means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ar handrail frame. I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ring, a second connection ring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side connection part, and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ring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는, 작업자 서서 다양하고 복잡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의 작업데크를 제공하고, 작업자가 작업데크에서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작업자가 편하게 작업데크를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며, 쉽게 접어 보관 또는 운반이 가능하다.The foldable workben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ork deck with a sufficient area so that the worker can stand and perform various and complex tasks, and allows the worker to safely work on the work deck, and allows the worker to comfortably climb up and down the work deck. It can be easily folded and stored or transpor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를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작업대가 펼침 상태에서 접음 상태로 변하되기까지의 중간 과정 각각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를 접음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6은 접이식 작업대의 실제 변형 과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사진들을 보여주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를 접음 상태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를 나타낸 사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foldable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each of the intermediate processes until the folding workbench shown in FIGS. 1 and 2 is changed from an unfolded state to a folded stat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able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6 shows photos showing the actual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foldable workbench in sequence,
7 is a view showing a folding workben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8 is a photograph showing a foldable workben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se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parts not related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only in representative embodiments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only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member.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ay mean that it further includes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를 펼침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작업대가 펼침 상태에서 접음 상태로 변하되기까지의 중간 과정 각각을 도시한 사시도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를 접음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oldable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and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foldable workbench shown in FIGS. 1 and 2 changing from an unfolded state to a folded state. These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each of the intermediate processes up to,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workben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1)는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하기 위한 펼침 상태(도 1 및 도 2에 나타냄)와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한 접음 상태(도 5에 나타냄)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접이식 작업대(1)는 펼침 상태에서 접음 상태로 변화하기까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상태들을 차례로 거친다.1 to 5, the folding work tab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n unfolded state for a worker to climb and work (shown in FIGS. 1 and 2) and a folded state for storage or transportation (Fig. 5). In addition, the foldable work table 1 sequentially goes through the states shown in FIGS. 3 and 4 until changing from an unfolded state to a folded state.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식 작업대(1)는, 수평바(120) 및 상기 수평바(120)를 받치도록 아래로 수직 연장된 한 쌍의 다리(140)를 포함하는 본체(100)와, 상기 수평바(12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스토퍼(200)와, 상기 수평바(200)에 설치된 데크 회전축(300)에 의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200)에 의해 받쳐져 수평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는 선단이 상기 한 쌍의 다리(140)의 수직 연장선 또는 이하 설명되는 후방 난간 프레임과 가까워지도록 접혀지는 작업데크(400)와, 복수개의 계단 발판(520들과 상기 복수개의 계단 발판(520)들을 연결하는 좌우 양측의 제1 측면 연결부(530) 및 제2 측면 연결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연결부(530)와 상기 제2 측면 연결부(540)를 상기 작업데크(4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5)에 의해 상기 작업데크(4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는 상기 작업데크(400)와 둔각을 이루며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는 상기 작업데크(400)와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에 가깝게 근접한 상태로 상기 다리(140)의 수직 연장선과 가깝게 접혀지는 계단(500)과, 상기 수평바(200)에 고정 결합된 후방 난간 프레임(600)과, 상기 수평바(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600)과 직각을 이루고 상기 접음 상태에는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600)에 포개어지도록 접히는 측면 난간 프레임(700)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oldable work table 1 includes a
또한, 상기 접이식 작업대(1)는 상기 제1 측면 연결부(5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핸드레일 프레임(800)을 포함하며, 상기 핸드레일 프레임(800)은 상기 펼침 상태에서 수직으로 직립해 있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 상기 계단(500)에 포개어지도록 접힌다.In addition, the foldable work table 1 includes a
또한,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700)의 폭은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600)의 폭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700)은, 각각이 가이드 중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1 횡파이프(722)를 포함하는 제1 난간 프레임부(720)와 상기 복수개의 제1 횡파이프(7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 횡파이프(742)를 포함하는 제2 난간 프레임부(7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700)은 상기 접음 상태에서 상기 펼침 상태보다 작은 폭이 되도록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데크(400)가 전후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일 때,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700)이 작업데크(400)의 전후 길이를 모두 커버하기 위해서 후방 난간 프레임(600)의 폭보다 커야 하고, 접음 상태에서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후방 난간 프레임(600)의 폭과 비교하여 같거나 작아야 하는데, 이는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700)이 전술한 것과 같이 폭 가변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서 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unfolded state, the width of the
또한, 상기 핸드레일 프레임(800)은 상기 제1 측면 연결부(53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기둥 기초부(5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하 길이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핸드레일 기둥(820)과, 상기 핸드레일 기둥(820)에 연결된 핸드레일(840)을 포함하다. 핸드레일 기둥(820)을 제1 측면 연결부(530)의 상면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핸드레일 기둥(820) 각각은 상기 기둥 기초부(532)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핸드레일 기둥(822)과, 하부 핸드레일 기둥(822)에 형성된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에 상기 핸드레일(840)이 연결되는 상부 핸드레일 기둥(824)과, 핸드레일 기둥(820)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 즉, 핸드레일(84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하부 핸드레일 기둥(822)과 상부 핸드레일 기둥(824) 사이를 고정하는 길이 고정부(826)를 포함한다. 핸드레일 프레임(800)의 상하 높이(또는 길이) 조절은 펼침 상태에서 사람이 손으로 잡는 핸드레일(840) 높이를 적정 높이로 해줌은 물론이고 접음 상태에서는 핸드레일 프레임(800)이 계단 폭을 넘는 것을 막아 부피 최소화에 기여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접이식 작업대(1)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접음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접음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음 고정수단은 상기 후방난간프레임(60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연결고리(690)와 상기 제1 측면 연결부(53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연결고리(539)와 상기 제1 연결고리(690)와 상기 제2 연결고리(539)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된, 연결줄(3)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상기 한 쌍의 다리(140)의 하단 각각에는 예컨대 앵커 등에 의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는 다리 바닥판(142)이 형성될 수 있다. 펼침 상태에서, 지면과 접하는 다리 바닥판(142)의 하단면과 펼쳐져 고정된 계단(500)의 하단이 동일 레벨 상에 있다. 또한, 접음 상태에서, 지면과 접하는 바닥판(142)의 하단면과 접혀져 고정된 계단(500)의 하단도 동일 레벨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펼침 상태에서 지면과 접하는 계단(500)의 하단 지점과 접음 상태에서 지면과 접하는 계단(500)의 하단 지점은 서로 다른 지점이라는 것에 유의한다. 접음 상태에서의 계단(500)의 하단도 지면에 접함으로써, 접음 상태의 접이식 작업대(1)를 쉽게 세워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Leg
상기 스토퍼(200)는, 상기 수평바(120)의 좌우 양측 각각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그 상부면이 펼침 상태의 작업데크(400)의 하부면을 수평 상태로 받쳐주어, 상기 작업데크(400)가 수평 상태로 존재하게 해준다. 상기 스토퍼(200)는 상기 데크 회전축(300)과 접하지 않은 채로 안쪽에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며, 이 홈에 의해 상기 데크 회전축(300)과 상기 스토퍼(200) 사이에 간섭을 막을 수 있다. The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계단(500)은 상기 복수개의 계단 발판(520)들과 상기 복수개의 계단 발판(520)들을 연결하는 좌우 양측의 제1 측면 연결부(530) 및 제2 측면 연결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연결부(530) 및 상기 제2 측면 연결부(540)를 상기 작업데크(4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5)에 의해 상기 작업데크(4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는 상기 작업데크(400)와 둔각을 이루며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는 상기 작업데크(400)와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에 가깝게 근접한 상태로 상기 다리(140)의 수직 연장선과 가깝게 접혀진다.As mentioned above, the
이때, 상기 제1 측면 연결부(530) 및 상기 제2 측면 연결부(540) 각각은 서로 평행을 이루는 상부 연결부재 및 하부 연결부재와 이들 상부 연결부재와 하부 연결부재 사이를 중간에서 연결하는 복수개의 중간 연결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부재를 하단에서 연결하는 하단 연결부재와, 상기 상부 연결부재와 상기 하부 연결부재를 상단에서 연결하는 상단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연결부재는 계단 발판(520)들의 전단과 연결되고 상기 하부 연결부재는 계단 발판(520)들의 후단과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제1 측면 연결부(530) 및 상기 제2 측면 연결부(540)의 상단 연결부재는 펼침 상태에서 작업데크(400)의 측면과 면하여 배치되고, 상기 힌지축(5)은 상기 상단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작업데크(400)의 측면에 연결된다. 또한, 펼침 상태에서, 상기 작업데크(400)에 계단(500)을 고정하기 위한 계단 고정부(7)는 상기 상단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작업데크(400)의 측면에 형성된 계단 고정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전진되는 계단 고정봉을 스프링에 의해 전진 편향된 상태로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first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600)과 직각을 이루고, 상기 접음 상태에는,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700)과 후방 난간 프레임(600) 사이를 연결하는 경첩(8)에 의해 안쪽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600)에 포개어지도록 접혀진다. 또한,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700)은, 각각이 가이드 중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1 횡파이프(722)를 포함하는 제1 난간 프레임부(720)와 상기 복수개의 제1 횡파이프(7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 횡파이프(742)를 포함하는 제2 난간 프레임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면 연결부(530)의 상단 연결부재는 상측으로 돌출된 삽입봉(537)을 일체로 구비하는데, 그리고,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700)은 제2 난간 프레임부(740)에 구비된 후단 수직 파이프(744)의 중공 하단에 상기 삽입봉(537)이 삽입되어 펼침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봉(537)에는 상기 삽입봉(537)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538)가 형성되며, 상기 후단 수직 파이프(744)의 하단 부근에는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538)가 걸리도록 하고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걸림 돌기(538)가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L형 걸림홀(9)이 형성된다.As mentioned above, in the unfolded state, it forms a right angle with the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아짐만, 작업데크(400)의 상부면과 계단 발판(520)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복잡한 형상의 압입 패턴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작업데크(400)의 상부면과 상기 계단 발판(520) 각각의 진입측 모서리 부근에는 미끄럼 방지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a press-fitting pattern of a complex shape for preventing slip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이제 도 1 내지 도 5를 차례로 참조하여 접이식 작업대(1)가 펼침 상태에서 접음 상태로 변하는 과정을 차례로 설명한다.N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in turn, a process of changing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펼침 상태에서, 작업대(1)는 데크 회전축(400)에 의해 수평바(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작업데크(400)가 스토퍼(200)에 받쳐져 수평 상태에 놓여 있고, 제1 측면 연결부(530)와 제2 측면 연결부(540)에 구비된 수평의 상단 연결부재를 관통하여 작업데크(400)의 측면에 연결된 힌지축(5)에 의해 작업데크(4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계단(500)은, 계단 고정부(7)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작업데크(400)로부터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수평바(120)에 고정 결합된 채 직립한 후방 난간 프레임(600)이 작업자가 작업데크(400)의 전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고 있고 경첩에 의해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6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측면 난간 프레임(700)은,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600)과 직각을 이룬 상태로, 후단 수직 파이프(744)의 중공 하단에 제1 측면 연결부(530)의 상단 연결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봉이 삽입되고 상기 삽입봉(537)의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돌기(538)가 후단 수직 파이프(744)의 하단 부근에 형서오딘 L형 걸림홀(9)에 걸리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작업자가 작업데크(400)의 일측 측면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아주고 있다. 또한, 펼침 상태에서는, 제1 측면 연결부(5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핸드레일 프레임(800)이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핸드레일 프레임(800)을 직립 상태로 고정하는 수단은 공지된 다양한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In the unfolded state shown in FIGS. 1 and 2, the work table 1 is in a horizontal state with the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700)과 후방 난간 프레임(600) 사이를 연결하는 경첩(8)에 의해 안쪽으로 회전하여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600)에 포개어지도록 접혀진다. 이때, 측방 난간 프레임(700)은 후방 난간 프레임(600)의 폭 이하로 조절된다. 그리고, 도 4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핸드레일 프레임(800)이 상기 계단(500)에 포개어지도록 접힌다. 도 3의 작업 순서와 도 4의 작업 순서를 바꿔도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Next, as shown in FIG. 3, the
다음,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고정부(7)에 의한 작업데크(400)와 계단(500)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계단(400)이 상기 작업데크(400)와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에 가깝게 접혀지게 함과 동시에, 상기 작업데크(400)가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수직 연장선과 가깝게 접히도록 하여, 접이식 작업대를 최소 공간을 점유하도록 접는다. 그 후,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60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연결고리(690)와 상기 제1 측면 연결부(53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연결고리(539)를 체인을 포함하는 연결줄(3)로 연결하여, 접이식 작업대(1)의 접음 상태를 고정한다.Next, as shown in 5, the fixation between the
도 6은 접이식 작업대의 실제 변형 과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사진들이다.6 are photographs showing the actual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foldable workbench in sequenc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ldable workben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1)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계단 발판(520)들과 상기 복수개의 계단 발판(520)들을 연결하는 좌우 양측의 제1 측면 연결부(530; 도 1 참조) 및 제2 측면 연결부(5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연결부(530; 도 1 참조) 및 상기 제2 측면 연결부(540)를 작업데크(400)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에 의해 상기 작업데크(4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펼침 상태에는 상기 작업데크(400)와 둔각을 이루며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접음 상태에서는 상기 작업데크(400)와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에 가깝게 근접한 상태로 다리(140) 및 다리(140)의 수직 연장선과 거의 평행하게 가까워지도록 접혀지는 계단(5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단(500)은 상기 계단(500)을 펼치거나 또는 접을 때 지면에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바퀴(560)을 하단에 구비한다. 상기 바퀴(560)는 작업자가 바퀴(560)를 지면에 접촉시켜 구름 운동시키면서 계단(500)을 접거나 펼칠 있게 해주어,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쉽게 계단(500)을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돕는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이에 더하여, 본 실시에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1)는, 접술한 접음 고정수단에 더하여 다리(140)와 계단(500) 사이를 연결하여 접이식 작업대의 접음 상태를 추가로 고정하는 하부 접음 고정수단(900)을 추가로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o this, the foldable work tab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lower folding fixing means ( 900) is further included.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작업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계단의 측면 연결부 중 일측의 측면 연결부에만 핸드레일 프레임이 설치되는 앞선 실시에와 달리, 계단의 두 측면 연결부, 즉, 제1 측면 연결부와 제2 측면 연결부 각각에 제1 핸드레일 프레임(800a)과 제2 핸드레일 프레임(800b)이 접힘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8 is a photograph showing a foldable workben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in which the handrail frame is installed only on one side connection part of the side connection part of the stairs, the first hand is connected to the two side connection parts of the stairs, that is, the first sid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side connection part,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No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practic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1: 접이식 작업대 100: 본체
120: 수평바 140: 다리
200: 스토퍼 300: 데크 회전축
400: 작업데크 500: 계단
520: 계단 발판 530: 제1 측면 연결부
540: 제2 측면 연결부 600: 후방 난간 프레임
700: 측면 난간 프레임
1: folding workbench 100: main body
120: horizontal bar 140: leg
200: stopper 300: deck axis of rotation
400: work deck 500: stairs
520: stair step 530: first side connection
540: second side connection part 600: rear handrail frame
700: side railing frame
Claims (2)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를 받치도록 아래로 수직 연장된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수평바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스토퍼;
상기 수평바에 설치된 데크 회전축에 의해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에 의해 받쳐져 수평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는 선단이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수직 연장선과 가까워지도록 접혀지는 작업데크; 및
복수개의 계단 발판들과 상기 복수개의 계단 발판들을 연결하는 좌우 양측의 제1 측면 연결부 및 제2 측면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연결부 및 상기 제2 측면 연결부를 상기 작업데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에 의해 상기 작업데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는 상기 작업데크와 둔각을 이루며 지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는 상기 작업데크와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에 가깝게 근접한 상태로 상기 다리의 수직 연장선과 가깝게 접혀지는 계단;
상기 수평바에 결합된 후방 난간 프레임; 및
상기 수평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과 직각을 이루고 상기 접음 상태에는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에 포개어지도록 접히는 측면 난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펼침 상태에서 수직으로 직립해 있고 상기 접음 상태에서 상기 계단에 포개어지도록 제1 측면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핸드레일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접음 상태로의 변화를 위해,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이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에 포개어지도록 접히고 상기 핸드레일 프레임이 상기 계단에 포개어지도록 접힌 후에, 상기 계단이 상기 작업데크와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에 가깝게 접혀짐과 동시에, 상기 작업데크가 상기 한 쌍의 다리의 수직 연장선과 가깝게 접히며,
상기 펼침 상태에서,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의 폭은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의 폭보다 크되, 상기 측면 난간 프레임은, 각각이 가이드 중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1 횡파이프를 포함하는 제1 난간 프레임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 횡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 횡파이프를 포함하는 제2 난간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음 상태에서 상기 펼침 상태보다 작은 폭이 되도록 변형 가능하고,
상기 핸드레일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면 연결부의 상면에 직접 또는 상기 제1 측면 연결부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기둥 기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가 조절되는 복수개의 핸드레일 기둥과, 상기 핸드레일 기둥에 연결된 핸드레일을 포함하며,
접음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접음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음 고정수단은 상기 후방 난간 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연결고리와 상기 제1 측면 연결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연결고리와 상기 제1 연결고리와 상기 제2 연결고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작업대.A foldable workbench having an expanded state for workers to climb and a folded state for storage or transportation,
A main body including a horizontal bar and a pair of legs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to support the horizontal bar;
a stopper install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horizontal bar;
It is rotatably installed up and down by a deck rotation shaft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supported by the stopper in the unfolded state and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and in the folded state, the tip is folded so as to be close to the vertical extension line of the pair of legs losing work deck; and
A plurality of stair treads and a first side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side connecting portion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tair treads,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side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side connecting portion to the work deck.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work deck by a hinge shaft, and in the unfolded state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work deck and extends obliquely toward the ground, and in the folded state, in a state parallel to or close to parallel with the work deck a staircase that folds close to 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leg;
a rear handrail frame coupled to the horizontal bar; and
A side handrail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ar, forming a right angle to the rear handrail frame in the unfolded state and folded so as to overlap the rear handrail frame in the folded state,
Further comprising a handrail frame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rst side connection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upright in the unfolded state and overlapped with the stairs in the folded state,
For the change from the unfolded state to the folded state, after the side handrail frame is folded to overlap the rear handrail frame and the handrail frame is folded to overlap the stairs, the stairs are parallel to the work deck, or At the same time as being folded close to parallel, the work deck is folded close to the vertical extension line of the pair of legs,
In the unfolded state, the width of the side handrail frame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handrail frame, and the side handrail frame includes a first handrail fram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transverse pipes each including a guide hollow and the Including a second handrail fram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transverse pipes slidably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rst transverse pipes, deformable so that the width in the folded state is smaller than the width in the unfolded state,
The handrail fram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connection part or to the plurality of pillar foundation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ide connection part, and a plurality of handrail pillars having an adjustable length, and the handrail Including a handrail connected to the pole,
It further includes a folding fixing means for fixing a folded state, wherein the folding fixing means includes a first connecting ring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rear handrail frame, a second connecting ring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side connect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ring. A folding workbench comprising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between the connection ring and the second connection r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9744A KR102480826B1 (en) | 2022-08-10 | 2022-08-10 | collapsible work platfor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9744A KR102480826B1 (en) | 2022-08-10 | 2022-08-10 | collapsible work platfor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0826B1 true KR102480826B1 (en) | 2022-12-22 |
Family
ID=8457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9744A Active KR102480826B1 (en) | 2022-08-10 | 2022-08-10 | collapsible work platfor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0826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6574A (en) * | 1997-07-22 | 1999-02-09 | Hasegawa Kogyo Kk | Collapsible working table |
KR200381414Y1 (en) * | 2005-01-29 | 2005-04-11 | 이광주 | A movement working table of fold type |
JP2009121100A (en) * | 2007-11-13 | 2009-06-04 | Nikko Co Ltd | Folding work scaffolding |
KR200478605Y1 (en) * | 2015-06-05 | 2015-10-26 | 이미경 | Foldable working platform |
KR101672410B1 (en) | 2015-03-27 | 2016-11-0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Handrail safety device and stair type movable platform |
KR102403398B1 (en) | 2020-06-12 | 2022-05-27 | 안춘자 | Foldable safety railing for ladder type work table |
-
2022
- 2022-08-10 KR KR1020220099744A patent/KR1024808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6574A (en) * | 1997-07-22 | 1999-02-09 | Hasegawa Kogyo Kk | Collapsible working table |
KR200381414Y1 (en) * | 2005-01-29 | 2005-04-11 | 이광주 | A movement working table of fold type |
JP2009121100A (en) * | 2007-11-13 | 2009-06-04 | Nikko Co Ltd | Folding work scaffolding |
KR101672410B1 (en) | 2015-03-27 | 2016-11-07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Handrail safety device and stair type movable platform |
KR200478605Y1 (en) * | 2015-06-05 | 2015-10-26 | 이미경 | Foldable working platform |
KR102403398B1 (en) | 2020-06-12 | 2022-05-27 | 안춘자 | Foldable safety railing for ladder type work tab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89653B1 (en) | Multi-purpose scaffold | |
US20110011674A1 (en) | Ladder equipped with safety bar | |
KR102555757B1 (en) | Platform ladder device | |
KR200478605Y1 (en) | Foldable working platform | |
KR200480180Y1 (en) | A type ladder | |
US2438173A (en) | Portable and collapsible scaffolding unit | |
US6953106B2 (en) | Collapsible scaffolding tower | |
KR102480826B1 (en) | collapsible work platform | |
GB2443487A (en) | Collapsible work stand | |
JP2529662B2 (en) | Folding construction work scaffolding | |
KR102381438B1 (en) | A-shaped safety ladder combined with scaffolding | |
KR20150085879A (en) | Safety Ladders | |
KR102711518B1 (en) | Scaffolding Ladder Available to be Combined with Ladders | |
KR20230088543A (en) | Movable scaffolding structure | |
KR100937838B1 (en) | A stairs tpye and collapsible ladder | |
JP2005048381A (en) | Truck elevating ladder | |
JP2005273304A (en) | Portable work bench | |
KR200424319Y1 (en) | Adjustable worktable for height adjustment | |
US3515243A (en) | Lift device | |
JP3004217U (en) | Stepladder with handrail | |
KR200494805Y1 (en) | Function ladder | |
KR200452778Y1 (en) | Working scaffolding | |
KR102587951B1 (en) | Folding stair for tanker | |
KR102760659B1 (en) | Movable type safety ladder | |
KR0134489Y1 (en) | Folding lad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