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0645B1 -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 및 그 유리섬유 보강재 - Google Patents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 및 그 유리섬유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645B1
KR102480645B1 KR1020220092105A KR20220092105A KR102480645B1 KR 102480645 B1 KR102480645 B1 KR 102480645B1 KR 1020220092105 A KR1020220092105 A KR 1020220092105A KR 20220092105 A KR20220092105 A KR 20220092105A KR 102480645 B1 KR102480645 B1 KR 10248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adhesive activator
coating
unit
epoxy res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바산업
Priority to KR102022009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6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00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3Fixing the position or configuration of fibrous reinforcements before or during moul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에 나선형의 유리섬유띠와 함께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를 보다 균질화하고도 견고하게 코팅함과 동시에, 단열, 난연, 불연 재질의 기능을 가지는 보호제들을 다단으로 코팅토록 하는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 및 그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다수 가닥의 유리섬유사들을 한 묶음으로 묶는 유리섬유 묶음부, 상기 유리섬유사들을 에폭시수지가 밀폐되게 충진된 용액조로 통과시켜 코팅토록 하는 에폭시수지 코팅부, 상기 묶음된 유리섬유의 표면에 별도의 유리섬유띠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토록 하는 유리섬유띠 밴딩부, 상기 유리섬유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경화시키도록 하는 열경화공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경화공정부에서는 열경화과정과 동시에, 규사와 같은 접착활성제를 도포토록 하는 접착활성제 도포단계, 도포된 접착활성제를 가압하는 접착활성제 가압단계, 그리고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에 단열, 난연, 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제를 다단으로 코팅토록 하는 보호제 코팅단계의 공정들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 및 그 유리섬유 보강재{DEVICE FOR MANUFACTURING GLASS FIBER REINFORCING MATERIAL}
본 발명은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에 나선형의 유리섬유띠와 함께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를 보다 균질화하고도 견고하게 코팅함과 동시에, 단열, 난연, 불연 등의 기능을 가지는 보호제들을 다단으로 코팅토록 하는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 및 그 유리섬유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 속에는 건축물의 구조, 크기, 하중 등을 고려한 설계에 따라 강도 보강을 위해 철근과 같은 보강근이 필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철근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설재나 해수환경 등 각종 환경적 요인에 의해 콘크리트 속에서도 심각한 부식을 겪지 않을 수 없음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고, 철근의 부식으로 인하여 녹이 발생하게 되면, 건축물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저하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자에는 콘크리트 속에 설치되는 철근을 유리섬유 보강재(섬유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로 대체 사용되고 있고, 이는 신소재로서 내식성, 내열성, 내부식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철근에 비하여 매우 큰 강도를 가지는 것이 입증되어져 전 산업분야에 걸쳐 널리 적용되는 추세에 있으며, 반영구적인 신소재로서 그 응용분야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유리섬유 보강재는 콘크리트 속이라 하더라도 습기나 물과의 접촉이 잦거나 또는 산화에 의한 부식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는 구조물의 제작시에는 더욱 필요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유리섬유 보강재의 강도보강이나 외표면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재의 코팅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유리섬유 보강재의 강도보강을 위하여 표면에 돌출되는 유리섬유띠를 형성하는 구조나 또는 그 표면에 에폭시수지나 규사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코팅재를 코팅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 제안된 선등록 특허의 구조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8669호의 규사 코팅용 경화촉진장치가 있다.
이는 중공의 원뿔대형상인 안내부의 내부에 롤링부가 다수로 배열하는 구조로 FRP 보강근(유리섬유 보강재)을 안내부의 내부로 삽입시킴에 따라 FRP 보강근의 외주면에 있는 규사를 균질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안내부의 외주면에 열공급부를 장착하여 롤링부로 열원을 전달함에 따라 FRP 보강근의 외주면에 있는 규사의 경화를 촉진시키도록 한 것이며, 또한 FRP 보강근을 안내부로 삽입할 시, 안내부와 FRP 보강근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FRP 보강근의 외주면에 있는 규사의 균질화 및 경화 성능을 배가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FRP 보강근의 표면에 규사를 코팅함에 있어서, 중공의 안내부 안에 다수로 배열되는 롤링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FRP 보강근의 표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FRP 보강근의 외주면에 코팅되어 있는 규사를 균질화시키는 구성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구성은 다수의 롤러가 FRP 보강근이 통과하는 진행방향의 원주방향을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이들 다수의 롤러부들이 FRP 보강근의 표면에 고르게 가압력이 작용되기에는 그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다 하더라도 고른 가압력을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안내부의 외주면에 열공급부가 장착되어 롤링부로 열원이 전달되게 함으로써 FRP 보강근의 외주면에 있는 규사를 경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나, 이는 안내부에 구비되는 열공급부의 열원이 롤링부들로 전달된 후, 규사를 경화시키는 간접열을 이용한 구성임으로써 열경화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다른 종래의 구조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97056호의 고인장 및 내식성 강화형 열경화성 복합소재 보강근의 성형시스템이 있다.
이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개선하여 보다 친환경적이고, 물성이 탁월히 개선되며, 부식에도 매우 강한 콘크리트 보강근을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골형성 와인딩부와 경화부 사이에는 골형성 와인딩부에서 배출된 보강근의 외부에 샌드를 도포하는 샌드 도포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샌드 도포부는 보강근의 사용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골형성 와인딩부는 기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중앙부에 보강근이 관통되어 이송되는 회전판과, 이 회전판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보강근의 외주연에 와인딩할 섬유줄이 감겨있는 섬유줄롤러 및 섬유줄이 보강근의 외주연에 와인딩시, 섬유줄이 결착되어 텐션을 유지해 주는 다수개의 텐션보조장치와, 상기 섬유줄롤러의 섬유줄 소모시 대체되어 보강근의 외주연에 와인딩 할 섬유줄이 감겨있는 대체용 섬유줄롤러를 더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등록특허는 보강근의 대체 수지로서 에폭시, 폴리우레탄, 비닐에스텔 등으로 대체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수지조 함침방식을 수지주입이 가능한 인젝션 다이스를 채택하거나, 기존 수지조 방식을 개선하여 수지 함침조 방식의 최대 단점인 시간에 따른 수지 점도 상승으로 인한 보강섬유와의 함침 접착력 저하에 따른 물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고는 하나, 다이스의 내부를 관통하는 보강근에 열을 가하여 경화시키도록 하는 방식과 더불어, 보강근의 외부에 샌드를 도포하거나, 도포된 샌드를 에어에 의해 털어내는 방식 등 구조적으로 원활한 열경화를 기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샌드 도포효율도 저하되는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866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9705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리섬유 보강재의 길이 방향 둘레에 콘크리트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고강도 유리섬유띠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굴곡을 형성토록 하고,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 전체에는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를 도포함과 동시에, 가압하여 접착활성제의 도포효율을 향상시키며, 또한 규사가 도포된 표면에 단열, 난연, 불연제로 이루어지는 액상의 보호제를 다단으로 더 코팅토록 하는 유리섬유 보강재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접착활성제 도포단계 및 보호제 코팅단계를 유리섬유 보강재의 열경화공정에서 열경화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유리섬유 보강재의 상품성 및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유리섬유 보강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속적인 제조라인의 자동화되는 인발성형 제조장치에 의해 유리섬유 보강재를 제조하면서도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유리섬유띠를 성형하고, 그 표면에는 전체에 걸쳐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를 도포함과 동시에, 가압로울러로 가압하여 접착활성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도포토록 하며, 이어서 단열, 난연, 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제를 다단으로 코팅 제조토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재를 제조토록 하는 제조장치는 낱개로 공급되는 가느다란 다수 가닥의 유리섬유사들을 한 묶음으로 묶어서 유리섬유 보강재를 형성토록 하는 유리섬유 묶음부; 한 묶음으로 모아진 유리섬유사들을 에폭시수지가 밀폐되게 충진되는 용액조로 통과시켜 에폭시수지를 코팅토록 하는 에폭시수지 코팅부; 다수 가닥의 유리섬유의 외표면에 별도의 유리섬유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유리섬유띠를 형성토록 하는 유리섬유띠 밴딩부; 유리섬유에 순차적으로 열을 가하여 경화시키도록 하는 열경화공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경화공정부에는 이의 열경화과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를 도포토록 하는 접착활성제 도포단계, 도포된 접착활성제를 가압하는 접착활성제 가압단계, 그리고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에 단열, 난연, 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제를 코팅토록 하는 보호제 코팅단계를 다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리섬유 보강재는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보강 유리섬유띠를 형성하고, 이산화규소(SiO₂)성분이 풍부한 석영 알갱이의 모래인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를 일체로 도포함과 동시에, 그 표면을 가압하여 도포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키며, 단열, 난연, 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제를 다단으로 코팅함으로써 콘크리트와 결합력이 우수하고, 그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보강재로서의 기능을 다 할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리섬유 보강재는 연속적이고도 자동화된 인발성형의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며, 먼저, 에폭시수지를 도포토록 하기 위한 에폭시수지 코팅부에서는 에폭시수지가 충진되는 용액조를 밀폐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에폭시수지가 저절로 증발되어져 굳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에 따라 에폭시수지의 도포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의 도포단계 및 가압단계, 그리고 보호제 코팅단계를 상기 열경화공정부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종래의 구조에서는 접착활성제를 도포하기 위하여서 에폭시수지를 재차 가열하여야만 하는 예열단계를 거쳐야 하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예열단계를 가지지 않으면서 열경화공정부에서 열경화시키기 위해 필연적으로 열원을 가하는 과정과 동시에, 접착활성제의 도포단계 및 가압단계, 그리고 보호제 코팅단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공정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접착활성제의 도포단계에서 유리섬유가 탱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입구 및 출구를 통해 탱크 내부의 접착활성제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들을 다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료의 낭비를 줄임은 물론이고,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접착활성제가 도포되는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에 단열, 난연, 불연재들을 다단으로 코팅함으로써 유리섬유 보강재의 우수한 기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유리섬유 보강재의 전체적인 제조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도1에서 에폭시수지 코팅부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도1에서 접착활성제 도포단계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접착활성제 가압단계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도4의 평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보호제 코팅단계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도6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은 본 발명의 유리섬유 보강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체적인 제조라인을 보인 구성도이고, 도2은 에폭시수지 도포부, 도3은 유리섬유 보강재의 접착활성제 도포단계, 도4 및 도5는 도포된 접착활성제를 가압토록 하는 접착활성제 가압단계, 도6 및 도7은 보호제를 코팅토록 하는 보호제 코팅단계의 구성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유리섬유 보강재는 가느다란 다수 가닥의 유리섬유사를 철근과 같은 크기로 묶음한 후, 열경화성 접착제(에폭시수지)로 접착 경화하여 각종 보강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유리섬유 보강재의 길이 방향 둘레에는 나선형의 유리섬유띠를 형성하고, 표면의 전체면에 걸쳐 작은 알갱이의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와, 단열, 난연, 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제를 도포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리섬유 보강재는 표면에 나선형의 유리섬유띠가 일체로 구비됨과 동시에,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가 일체로 도포되고, 그 표면에 단열, 난연, 불연 재질의 보호제가 더 코팅됨으로써 콘크리트에 매설될 경우, 유리섬유띠(A)와 더불어 미세하게 오돌도돌한 접착활성제에 의해 콘크리트와 일체로 결합되어져 지진이나 충격하중 또는 동적하중에 의한 건축물의 진동 발생시나 기타 어떠한 형태의 인장력이 유리섬유 보강재에 가해지더라도 콘크리트와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수분에도 강한 특징을 지니게 될 것이다.
상기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는 첨부된 도면의 도1에서 참조되듯이 여러 단계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이고도 자동적으로 거치는 인발성형으로서 제조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크게 구분하여 유리섬유 묶음부(10), 에폭시수지 코팅부(20), 유리섬유띠 밴딩부(30), 열경화공정부(40)로 구성되고, 더 나아가 상기 열경화공정부(40)에서는 열경화단계 뿐만 아니라,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를 도포토록 하는 접착활성제 도포단계(50), 도포된 접착활성제를 가압하는 접착활성제 가압단계(60), 그리고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에 단열, 난연, 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제를 코팅토록 하는 보호제 코팅단계(70)가 다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각 공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유리섬유 묶음부(10)는 가느다란 가닥으로 이루어지는 유리섬유사(a)가 각각의 다수 공급롤(11)로 부터 공급되어 다이스(12)로 모아져 일정한 두께로 묶음된 후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공급롤(11)에 감겨진 유리섬유사(a)는 그 직경이 아주 가느다란 필라멘트로서 수백 또는 수천 가닥이 묶음되어 용도에 맞게 소정의 번수(Tex)로 균일하게 감겨진 상태이다.
다음 공정의 에폭시수지 코팅부(20)는 첨부된 도면의 도2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밀폐되는 함체형의 용액조를 가지면서 이 용액조에 충진되는 액체상태의 에폭시수지에 유리섬유사(a)를 통과시키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용액조(21)는 내부의 에폭시수지가 외부로 증발되지 않도록 밀폐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이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에폭시수지가 늘 충진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대략 사각 함체형을 이루면서 전,후면에는 집속된 유리섬유사(a)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입구(22) 및 출구(23)가 각각 구비되고, 상부에는 에폭시수지를 용액조(21)에 안정되게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24)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통과되는 유리섬유사(a)를 액체 상태의 에폭시수지 속에 충분하고도 용이하게 함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내로울러(25)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용액조(21)의 후방 출구(23) 측에는 별도의 사이징 다이스(26)가 구비되고, 이의 사이징 다이스(26)는 통과되는 유리섬유사(a)의 표면에 달라붙은 에폭시수지를 균일하고도 안정되게 정리함으로써 고른 두께를 가지는 유리섬유 보강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수지는 액체 상태로 이루어지는 열경화성 접착제로서, 용액조(21)내에 담겨져 안내로울러(25)에 의해 통과되는 수많은 가닥의 유리섬유사(a)들의 표면에 고르게 도포되고, 이렇게 에폭시수지가 도포된 유리섬유사(a)들은 한 묶음을 이루면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된다.
또한 유리섬유띠 밴딩부(30)는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에 유리섬유띠(A)를 나선상으로 감기게 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31)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는 원판체(32)와, 이의 전단에 별도의 유리섬유를 권취한 한 쌍의 권취롤(33)과, 유리섬유를 안내토록 하는 안내고리(34)(35)들로 구성된다.
상기 권취롤(33)에 권취되는 유리섬유는 유리섬유띠(A)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 원판체(32)의 회전에 의해 권취롤(33)에 권취된 유리섬유가 안내고리(34)(35)들을 통하여 수평선상으로 이송되는 유리섬유 보강재의 둘레 교차방향에서 나선형으로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유리섬유띠 밴딩부(30)에 의해 유리섬유띠(A)가 형성되면, 다음 공정의 열경화 공정부(40)로 이송된다.
상기 열경화 공정부(40)는 첨부된 도면의 도4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섬유띠 밴딩부(30)를 통과하는 보강재가 내부를 관통하면서 경화되는 것으로서, 이의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통상에서와 같이 관통하는 보강재에 열을 가하여 경화시키도록 하는 온도조절용 가열장치(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조절용 가열장치는 2~3개(2~3구역)로 나눠어져 각각 온도가 다르게 조절되어 가열된다.
상기 열경화 공정부(40)에는 접착활성제 도포단계(50), 접착활성제 가압단계(60), 보호제 코팅단계(70)가 연이어 구비된다.
즉, 도면에서 참조되듯이 열경화 공정부(40)의 1차 가열수단(41)의 다음 단계에 접착활성제 도포단계(50), 접착활성제 가압단계(60)가 연이어 구비되는 것으로, 먼저, 상기 접착활성제 도포단계(50)는 열경화하기 위하여 1차 가열수단(41)에 의해 가열된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에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를 도포하게 된다.
상기 접착활성제 도포단계(50)는 내부에 접착활성제가 충진되는 탱크(51)가 마련되고, 이 탱크(51)의 전,후면에는 유리섬유 보강재가 통과되는 입구(52) 및 출구(53)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지속적으로 접착활성제를 보충하기 위한 투입호퍼(5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입구(52) 및 출구(53)에는 유리섬유 보강재의 진행방향을 따라 내부로 곡면을 가지는 슈라우드로 형성됨에 따라 탱크(51)의 내부에 충진되는 접착활성제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탱크(51)의 하부 외측에는 회수통(55)이 구비되어 탱크(51)의 입구(52) 및 출구(53)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접착활성제를 받아서 펌프(56)를 통해 투입호퍼(54)으로 회수토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접착활성제 도포단계(50)에 연이어 도포된 접착활성제를 가압하는 접착활성제 가압단계(60)가 구비된다.
상기 접착활성제 가압단계(60)는 상,하부 한 쌍의 가압로울러(61)(62)로 구성되어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을 가압함으로써 접착활성제가 견고하고도 고르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압로울러(61)(62)는 스폰지, 우레탄 등 일정한 쿠션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을 보다 부드럽고 안정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활성제 가압단계(60)의 다음에는 보호제 코팅단계(70)가 다단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보호제 코팅단계(70)는 열경화 공정부(40)에서 완전히 경화되기 이전에 단열, 난연, 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제를 다단으로 코팅토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보호제 코팅단계(70)는 액체 상태의 보호제를 상,하부 그리고 좌,우 사방향에서 분사노즐(71)로 고르게 분사하여 코팅할 수 있도록 구성될 뿐만 아니라, 상부에는 하나의 분사노즐(71)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와 대향되는 하부에는 별도의 받침대(72)를 형성하여 고르게 도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열경화 공정부(40)는 다수의 온도조절용 가열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온도조절용 가열장치는 1차 가열수단(41)을 비롯하여 2차, 3차 가열수단(42)(43)이 여러 구역으로 나눠어져 각각 온도가 다르게 조절되면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열경화 공정부(40)는 설정되는 온도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되어져 유리섬유 보강재의 가닥들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를 경화시켜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섬유 보강재는 상기와 같은 제조장치에 의해 자동적이고 연속적으로 제조되어져 양산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산업분야에 널리 적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100:유리섬유 보강재 a:유리섬유
A:유리섬유띠 B:접착활성제
10:유리섬유 묶음부 11:공급롤
12:다이스 20:에폭시수지 코팅부
21:용액조m 22,52:입구
23,53:출구 24:공급구
25:안내로울러 26:사이징 다이스
30:유리섬유띠 밴딩부 31:모터
32:원판체 33:권취롤
34,35:안내고리 40:열경화 공정부
41:1차 가열수단 42,43:2차 3차 가열수단
50:접착활성제 도포단계 51:탱크
54:투입호퍼 55:회수통
56:펌프 60:접착활성제 가압단계
61,62:가압로울러 70:보호제 코팅단계
71:분사노즐 72:받침대

Claims (8)

  1. 다수 가닥의 유리섬유사들을 한 묶음으로 묶는 유리섬유 묶음부,
    상기 유리섬유사들을 에폭시수지가 밀폐되게 충진된 용액조로 통과시켜 코팅토록 하는 에폭시수지 코팅부,
    상기 묶음된 유리섬유의 표면에 별도의 유리섬유띠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형성토록 하는 유리섬유띠 밴딩부,
    상기 유리섬유에 서로 다른 온도의 열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경화시키도록 하는 열경화공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경화공정부에는 규사로 이루어지는 접착활성제가 충진되는 탱크의 전,후면에 유리섬유 보강재가 통과되는 입구 및 출구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접착활성제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호퍼가 구비되고, 탱크의 하부에는 입구 및 출구를 통해 흘러나오는 접착활성제를 받아서 펌프에 의해 투입호퍼로 회수토록 하는 회수통가 갖추어져 유리섬유 표면에 접착활성제를 도포토록 하는 접착활성제 도포단계; 도포된 접착활성제를 가압하는 접착활성제 가압단계; 그리고 유리섬유 보강재의 표면에 단열, 난연, 불연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제를 다단으로 코팅토록 하는 보호제 코팅단계;의 공정들을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92105A 2022-07-26 2022-07-26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 및 그 유리섬유 보강재 Active KR10248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105A KR102480645B1 (ko) 2022-07-26 2022-07-26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 및 그 유리섬유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105A KR102480645B1 (ko) 2022-07-26 2022-07-26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 및 그 유리섬유 보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645B1 true KR102480645B1 (ko) 2022-12-23

Family

ID=8453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105A Active KR102480645B1 (ko) 2022-07-26 2022-07-26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 및 그 유리섬유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9274A (ko) 2023-05-24 2024-12-03 주식회사 티에스머티리얼즈 유리 섬유 보강재의 제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432A (ja) * 1991-08-23 1993-03-02 Kobe Steel Ltd 引抜成形装置及び引抜成形方法
KR101628669B1 (ko) 2015-12-21 2016-06-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규사 코팅용 경화촉진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frp 보강근
KR101696861B1 (ko) * 2016-06-21 2017-01-17 김승한 복합소재 구조재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복합소재 구조재
KR102397056B1 (ko) 2021-12-21 2022-05-16 주식회사 쎈인더스트리 고인장 및 내식성 강화형 열경화성 복합소재 보강근의 성형시스템
KR102424462B1 (ko) * 2021-03-31 2022-07-25 주식회사 자연바이오 유리섬유 보강재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432A (ja) * 1991-08-23 1993-03-02 Kobe Steel Ltd 引抜成形装置及び引抜成形方法
KR101628669B1 (ko) 2015-12-21 2016-06-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규사 코팅용 경화촉진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frp 보강근
KR101696861B1 (ko) * 2016-06-21 2017-01-17 김승한 복합소재 구조재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복합소재 구조재
KR102424462B1 (ko) * 2021-03-31 2022-07-25 주식회사 자연바이오 유리섬유 보강재 및 그 제조장치
KR102397056B1 (ko) 2021-12-21 2022-05-16 주식회사 쎈인더스트리 고인장 및 내식성 강화형 열경화성 복합소재 보강근의 성형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9274A (ko) 2023-05-24 2024-12-03 주식회사 티에스머티리얼즈 유리 섬유 보강재의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5210B2 (en) Reinforcing ba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10953625B2 (en) Unidirectional fiber composite system for structural repairs and reinforcement
WO2008111679A1 (ja) 丸形状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線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繊維強化シート
US10144184B2 (en) Flat fiber-reinforced plastic strand, flat fiber-reinforced plastic strand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31708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material
KR102424462B1 (ko) 유리섬유 보강재 및 그 제조장치
KR102480645B1 (ko) 유리섬유 보강재의 제조장치 및 그 유리섬유 보강재
US3301930A (en) Method of production of fiber reinforced resin articles
KR20230152895A (ko)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JP2023500420A (ja) 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341510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体
KR102589369B1 (ko) 철근 대용 보강근 제조장치
JP5624871B2 (ja) 扁平形状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線材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1214573A (ja) 建築用補強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8029794A1 (fr) Procédé de renfort de structure existante avec des fibres de carbone
JPH0489346A (ja) コンクリート補強部材及びその製造法
KR20220162999A (ko) 유리섬유 보강재 및 그 제조장치
KR100345081B1 (ko) 하이브리드 바를 이용한 구조물
US4504343A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member with transverse fibers
JP2015017228A (ja) 扁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板、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0444A (ja) 繊維補強材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用材料
JP4770511B2 (ja) 熱硬化性発泡樹脂の含浸方法
CN101512083B (zh) 利用碳纤维的现有结构物的加强方法
JP2004074427A (ja) 成形体の連続製造方法及び成形体
GB2159845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ibre reinforcing t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