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80156B1 -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156B1
KR102480156B1 KR1020200163288A KR20200163288A KR102480156B1 KR 102480156 B1 KR102480156 B1 KR 102480156B1 KR 1020200163288 A KR1020200163288 A KR 1020200163288A KR 20200163288 A KR20200163288 A KR 20200163288A KR 102480156 B1 KR102480156 B1 KR 102480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itinerary
boarding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601A (ko
Inventor
이승준
유승현
이혜림
김일범
김순범
Original Assignee
포티투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티투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티투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1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1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4Landmark guidance, e.g. using POIs or conspicuous othe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8Lan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7Output of additional, non-guidance related information, e.g. low fuel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차량에 탑승한 고객의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와, 탑승중인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와,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고객이 지불할 결제관련정보와, 결제가 완료된 고객의 하차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여정정보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INFORTAINMENT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인포테인먼트는 일상 생황에서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란, 정보(information)와 오락(entertainment)의 합성어로서, 정보와 재미를 융합시키는 현상이나 전략을 말한다.
이러한 인포테인먼트 기능들은 차량 내 네비게이션, 오디오와 비디오, 그리고 인터넷 결합뿐만 아니라,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대중화, 정보기술(IT)의 발달에 따라, 모바일 오피스, 스마트 네비게이션 및 차량 트래킹, 제스처 인식, 차량간 통신(V2V), 클라우드 접속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3138호(2020.02.06)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차량을 이용하는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목적지까지의 여정 동안 고객 주체로 차량 내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목적지까지의 여정 동안 고객 주체로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차량에 탑승한 고객의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와, 탑승중인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와,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고객이 지불할 결제관련정보와, 결제가 완료된 고객의 하차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여정정보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차량에 탑승한 고객에게 차량의 출발 전에,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제1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고객에게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제2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차량으로부터 고객이 하차하기 전에, 고객이 지불할 결제관련정보 및 결제가 완료된 고객의 하차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제3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차량을 이용하는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에 탑승한 고객 중심의 전자 장치에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목적지까지 이동하고, 고객 주체로 차량 내 환경을 설정하며, 고객 주체로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 중 제1 전자 장치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의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 중 정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에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한 예시도 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매커니즘", "요소", "수단" 및 "구성"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 선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다.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된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에 의해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의 예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 중 제1 전자 장치의 구현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1)은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 서버(400), 제1 네트워크(510) 및 제2 네트워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는 차량에 탑재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뒷자석(rear seat)에 구비되어 차량의 뒷자석에 탑승한 고객에게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의 뒷자석에 탑승한 고객은 제1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여 다양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는, 고객의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와, 탑승중인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와,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고객이 지불할 결제관련정보와, 결제가 완료된 고객의 하차관련정보와, 고객의 요청에 대응하여 여정사항 변동을 반영한 여정사항 변동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고객의 요청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 및 조정하는 서비스와, 고객의 요청에 대응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고 재생하는 서비스와, 고객이 운전자에게 요청한 건의사항 및 건의사항에 대한 해결 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전자 장치(100)는 이동성을 가지면서 차량 내에서 임시적으로 고정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차량에 임베디드된 커넥터(connector)를 통해 고정되거나 부착 가능한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tablet) PC(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가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전자 장치(100)는 차량 내에 임베디드 되는 고정된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생산 과정 이후 튜닝(tuning)을 통해 차량 내에 삽입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중 일부를 제공하는 장치 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차량의 앞좌석에 구비되어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중 일부와, 운전자의 운전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의 운전관련 정보는, 고객의 호출에 응답한 횟수, 현재 누적 주행거리, 현재 누적 결제 정보, 평균 주행 속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즉,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1 전자 장치(100)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인 경우, 제2 전자 장치(200)는 앞좌석에 탑승한 고객에게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차량의 생산 과정에서 차량 내에 삽입되는 컴퓨팅 장치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차량 내에 설치되고 차량 내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와 구별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적 제어를 수행하는 제3 전자 장치(30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제3 전자 장치(300)와 작동적(operatively)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전자 장치(300)가 차량 내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와 구별되게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는 윈도우 열림/닫힘, 히터 온도 조절, 에어컨 온도 조정, GPS에 의한 네비게이션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엔진이나 자동변속기의 최적 제어, 급발진 제어, 크루즈 제어, 브레이크 제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는 서로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연결되거나, 제1 네트워크(510)(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 중 어느 전자 장치는 서버(400)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 중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400)는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와 제2 네트워크(520)(예를 들어,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연결되어,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에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서버(400)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와 관련한 정보와, 운전자의 운전관련 정보와, 차량 내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와 구별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적 제어를 수행하는 정보 등을 수집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의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입력부(140), 음향 출력부(142), 디스플레이부(150), 오디오부(160), 센서부(162), 인터페이스(164), 연결 단자(166), 햅틱부(168), 카메라부(170), 전력 관리부(172), 배터리(174), 통신부(180), 안테나 모듈(184) 및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햅틱부(168) 또는 카메라부(17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 (162)(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디스플레이부(150)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30))을 실행하여 프로세서(110)에 연결된 제1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1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부(162) 또는 통신부(18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21)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21)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22)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0)는 메인 프로세서(11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12)(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12)는 메인 프로세서(11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12)는 메인 프로세서(11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12)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1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1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1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11)와 함께, 제1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부(150), 센서부(162), 또는 통신부(18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12)(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부(170) 또는 통신부(18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10) 또는 센서부(162))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3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121)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30)은 메모리(12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31), 미들 웨어(132) 또는 어플리케이션(133)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1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1 전자 장치(100)의 외부(예: 고객)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예를 들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음향 신호를 제1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예를 들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외부(예: 고객)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술한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부(160)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부(160)는 입력부(14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부(142), 또는 제1 전자 장치(100)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300))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162)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고객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162)는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64)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 및/또는 제3 전자 장치(300))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64)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66)는 그를 통해서 제1 전자 장치(100)가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및/또는 제3 전자 장치(3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66)는 예를 들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부(168)는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부(168)는 예를 들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70)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부(170)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부(172)는 제1 전자 장치(100)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부(172)는,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74)는 제1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74)는 예를 들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제1 전자 장치(100)와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200), 제3 전자 장치(300), 또는 서버(400))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프로세서(11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80)는 무선 통신부(181)(예: 셀룰러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부(182)(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부, 또는 전력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부 중 해당하는 통신부는 제1 네트워크(510)(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520)(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부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84)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서버(400))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84)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84)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510) 또는 제2 네트워크(520)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어, 통신부(180)에 의하여 상술한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술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부(180)와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84)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차량에 탑승한 고객에게 다양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써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처리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중 일부(예를 들어, 하차 또는 목적지 변경)를 연결 단자(166) 또는 통신부(18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여 운전자가 확인 후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처리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중 다른 일부(예를 들어, 온도 조절)를 연결 단자(166) 또는 통신부(180)를 통해 제3 전자 장치(300)로 전송하여 제3 전자 장치(300)가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탑승한 고객의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와, 탑승중인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와,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고객이 지불할 결제관련정보와, 결제가 완료된 고객의 하차관련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탑승중인 고객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고객으로부터의 여정사항 변동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여정사항 변동을 반영한 여정사항 변동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탑승중인 고객으로부터 탑승환경 설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여정관련정보에 포함되는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을 제공하고, 고객의 어느 한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520)에 연결된 서버(400)를 통해서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및 제3 전자 장치(200,300)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 각각은 제1 전자 장치(100)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3 전자 장치(300) 중 하나 이상의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고객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제1 전자 장치(100)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술한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제1 전자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술한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 중 정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고객 식별부(191), 비대면 여정정보 처리부(192), 여정사항 변동대응 처리부(193), 탑승환경 설정 처리부(194), 미디어 콘텐츠 제공부(195), 이력관리 처리부(196) 및 비대면 건의사항 처리부(197)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식별부(191)는 차량에 탑승할 고객이 호출 고객인지 배회 고객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고객 식별부(191)는 제1 고객 식별부(미도시) 및 제2 고객 식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객 식별부(191)는 고객의 단말기(미도시)를 이용한 차량 호출에 응답하여 탑승위치에 정차한 차량에,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탑승한 호출 고객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위치는, 고객의 차량 호출 시에 지정할 수 있는 고객이 원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의 호출 정보는 제2 전자 장치(200)에 제공되고, 운전자는 제2 전자 장치(200)를 조작함으로써 고객의 호출에 응답할 수 있다. 이후 운전자는 고객 단말기에 의한 차량 호출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탑승위치로 차량을 주행시키고, 고객의 탑승위치에 차량이 정차되면 호출 고객은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차량에 탑승할 수 있다. 차량에 탑승한 호출 고객은 제1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제공된 호출 고객 인증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자신의 고유 정보(예를 들어, 휴대폰 뒷자리)를 입력하여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여기서, 호출 고객의 고유 정보는, 호출 고객이 차량 호출 시에 이용한 고유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고유 정보의 입력에 의한 호출 고객의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차량 호출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0)에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고객 식별부는 고객의 제스처 호출에 응답하여 탑승위치에 정차한 차량에,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탑승한 배회 고객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위치는 고객의 현재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의 현재위치에 차량이 정차되면 배회 고객은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탑승할 수 있다. 차량에 탑승한 배회 고객은 제1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제공된 목적지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배회 고객이 이동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목적지의 입력은 음성으로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표시된 키보드를 이용할 수 있다.
비대면 여정정보 처리부(192)는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탑승한 호출 고객 또는 배회 고객의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와, 탑승중인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와,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고객이 지불할 결제관련정보와, 결제가 완료된 고객의 하차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할 수 잇다.
여기서,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는, 목적지명과, 탑승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거리와, 탑승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주행 시의 소요시간과, 예상 요금과,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는, 목적지명과, 고객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남은거리와, 고객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남은 주행시간과, 실시간 요금과,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제관련정보는 목적지명과, 탑승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운행한 운행거리와, 탑승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운행한 운행시간과, 최종요금과,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차관련정보는 상술한 결제관련정보와, 결제의 완료와 함께 도착하였음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호출 고객의 경우 호출 정보에 포함된 결제 정보(예를 들어, 신용카드 번호)에 따라 결제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호출 고객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결제관련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0)에 짧은 시간(예를 들어, 호출 고객이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3초)동안 제공된 후, 바로 하차관련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회 고객의 경우 상술한 결제관련정보에 결제 방법(예를 들어, 신용카드, 교통카드 중 하나)을 선택하라는 결제 요청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어느 한 결제 방법 선택 및 번호 입력에 따라 결제가 완료되면 하차관련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될 수 있다.
여정사항 변동대응 처리부(193)는 탑승중인 고객에게 탑승중 여정관련정보 제공하는 중에 고객으로부터의 여정사항 변동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여정사항 변동을 반영한 여정사항 변동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여정사항을 변동하는 경우는 목적지까지 이동하지 않고 중간에 하차하는 경우 및 목적지를 변경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정사항 변동대응 처리부(193)는 탑승중인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고객으로부터의 하차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0)로 제1 여정사항 변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여정사항 변동정보는,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와, 목적지까지 남은 시간과, 예상요금과, 정말로 하차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하차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하차할 장소를 찾고 있다는 텍스트와 함께 목적지명,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 목적지까지 남은 시간, 실시간 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차 장소에 차량이 정차한 후 결제가 완료되면 고객은 하차할 수 있다.
여정사항 변동대응 처리부(193)는 탑승중인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고객으로부터의 목적지 변경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변경할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키보드)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변경 목적지 수신에 대응하여, 고객의 탑승위치로부터 변경 목적지까지의 제2 여정사항 변동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여정사항 변동정보는, 변경 목적지명과, 탑승위치에서 변경 목적지까지의 이동거리와, 탑승위치에서 변경 목적지까지 주행 시의 소요시간과, 예상 요금과, 탑승위치로부터 변경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탑승한 고객이 목적지를 변경하거나, 중도에 하차하고자 하는 경우, 운전자와 대화 소통을 통해서 목적지 변경 또는 하차를 요구하였다. 최근 전염병에 대한 공포감이 날고 증가하고 있어 비대면 접촉이 날로 부각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고객과 밀접한 거리에 있는 운전자와의 대화는 고객의 전염병 확산에 대한 공포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150) 상에서 비대면으로 목적지 변경을 요청하거나 하차를 요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염병에 대한 공포감을 줄이고 고객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다.
탑승환경 설정 처리부(194)는 탑승중인 고객으로부터 탑승환경 설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탑승환경 설정 처리부(194)는 탑승중인 고객으로부터 탑승환경 설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밝기, 소리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탑승환경 설정 처리부(194)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일 영역에는 밝기, 소리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다른 영역에는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제공하여, 고객이 현재의 탑승 상황을 확인하면서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이용에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탑승환경 설정 처리부(194)는 밝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차량 내부 조명의 밝기와, 소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내장된 음원의 선택 또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음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탑승환경 설정 처리부(194)는 온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차량의 온도를 포함하는 설정값을 운전자가 조작하는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의 온도 조절을 요청하는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제공부(195)는 상기 탑승중인 고객으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여정관련정보에 포함되는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주행 시의 소요시간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을 제공하고, 고객의 어느 한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150)에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콘텐츠는, 통신부(180)를 통하여 접근 가능하거나,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음원, 이미지, 동영상, 파일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 또는 개별 정보 요소를 총칭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음원, 링크(예를 들면, 웹 링크) 등의 데이터 또는 이러한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미디어 콘텐츠 제공부(195)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일 영역에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 다른 영역에는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제공하여, 고객이 현재의 탑승 상황을 확인하면서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이용에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이력관리 처리부(196)는 탑승한 고객 별로, 비대면 여정정보 처리의 결과와, 여정사항 변동 대응 처리의 결과와, 탑승환경 설정 처리 결과와, 미디어 콘텐츠 제공 결과를 누적하고, 다음 번 탑승 시에 상술한 결과를 반영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이력관리 처리부(196)는 이전에 탑승한 고객이 설정한 탑승환경을, 금번 탑승 시에 반영하여 고객이 탑승환경을 재 설정할 필요가 없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이전에 탑승한 고객이 감상한 미디어 콘텐츠를 이어서 감상할 수 있도록 이어보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대면 건의사항 처리부(197)는 탑승중인 고객이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건의사항을 입력한 결과가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되고, 운전자가 고객의 건의사항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비대면 건의사항 처리부(197)는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건의사항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건의사항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고객은 입력한 건의사항 예를 들어, 조용히 해주세요, 속도를 줄여주세요, 난폭운전을 피해주세요, 급하니 빨리 가주세요, 라디오를 꺼주세요, 창문을 열어 주세요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술한 건의 사항을 터치할 수 있는 문자열이 제공될 수도 있다. 고객이 입력한 건의사항은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되어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건의사항의 처리 결과는 고객이 직접 체감할 수 있다. 건의사항이 처리되지 않은 경우, 재차 요청하거나, 더 나아가 건의사항 인터페이스 상에 나온 서비스센터에 접속하여 건의사항 해결이 되지 않아 불편하다는 내용을 전송할 수도 있다.
비대면 건의사항 처리부(197)에서 처리된 건의사항은 이력관리 처리부(196)에 누적되어 다음번 해당 고객의 탑승 시에 고객이 선호하는 주행환경(조용히, 급해요)이나 탑승환경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비대면 건의사항 처리부(197)에서 처리된 건의사항과, 이력관리 처리부(196)에서 누적한 결과를 이용하여 고객의 성향을 파악하고, 고객의 성향을 반영하여 운전자를 매칭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자 매칭 결과는 호출 고객의 차량 호출 시에 반영하여, 고객의 성향을 반영할 수 있는 운전자만이 차량 호출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호출 고객에 대한 비대면 여정정보 처리 상황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화면(150a)은 고객의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에 응답하여 탑승위치에 정차한 차량에,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탑승한 호출 고객에게 인증 요청을 제공한 예시도이다.
제2 화면(150b)은 제1 화면(150a)에서 호출 고객의 고유 정보의 입력에 의한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차량 호출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를 제공한 예시도이다.
제3 화면(150c)은 호출 고객이 탑승한 차량이 출발한 후 탑승중인 호출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제공한 예시도이다.
제4 화면(150d)은 호출 고객이 탑승한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호출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결제관련정보를 제공한 예시도이다.
제5 화면(150e)은 결제를 완료한 호출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차관련정보를 제공한 예시도 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배회 고객에 대한 비대면 여정정보 처리 상황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화면(160a)은 고객의 제스처 호출에 응답하여 탑승위치에 정차한 차량에,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탑승한 배회 고객에게 목적지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예시도 이다.
제2 화면(160b)은 제1 화면(160a)의 목적지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를 제공한 예시도이다.
제3 화면(160c)은 배회 고객이 탑승한 차량이 출발한 후 탑승중인 배회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제공한 예시도 이다.
제4 화면(160d)은 배회 고객이 탑승한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배회 고객이 결제할 수 있도록 결제 요청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어느 한 결제 방법 선택 및 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예시도이다.
제5 화면(160e)은 결제 요청 인터페이스에 의해 결제를 완료한 배회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차관련정보를 제공한 예시도 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고객의 여정사항 변동 요청 처리 상황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화면(170a)은 탑승중인 고객에게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고객으로부터의 하차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예시도이다.
제2 화면(170b)은 하차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제1 여정사항 변동정보에 포함되는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와, 목적지까지 남은 시간과, 예상요금과, 정말로 하차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예시도 이다.
제3 화면(170c)은 제2 화면(170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하차를 선택하여 제1 여정사항 변동정보에 포함되는 하차할 장소를 찾고 있다는 텍스트와 함께 목적지명,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 목적지까지 남은 시간, 실시간 요금을 제공한 예시도 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고객의 여정사항 변동 요청 처리 상황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화면(180a)은 탑승중인 고객에게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고객으로부터의 목적지 변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예시도이다.
제2 화면(180b)은 목적지 변경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변경할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키보드)를 제공한 예시도이다.
제3 화면(180c)은 제1 화면(180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변경 목적지 수신에 대응하여 고객의 탑승위치로부터 변경 목적지까지의 제2 여정사항 변동정보를 제공한 예시도 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탑승환경 설정 처리 상황을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화면(190a)은 일 영역에 밝기를 포함하는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다른 영역에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제공한 예시도이다. 밝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내부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화면(190b)은 는 일 영역에 소리를 포함하는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다른 영역에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제공한 예시도이다. 밝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 내부 조명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소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내장된 음원의 선택 또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음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할 수 있다.
제3 화면(190c)은 일 영역에 소리를 포함하는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다른 영역에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제공한 예시도이다. 온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차량의 온도를 포함하는 설정값을 운전자가 조작하는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의 온도 조절을 요청하는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미디어 콘텐츠 제공 상황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화면(210a)은 여정관련정보에 포함되는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주행 시의 소요시간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을 제공하고, 고객의 어느 한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부(150) 전체에 재생되고 있는 예시도 이다.
제2 화면(210b)은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 다른 영역에는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제공한 예시도이다. 이로써 고객은 현재의 탑승 상황을 확인하면서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이용에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환경(2)은 루프 박스(610)가 구비된 차량(600)과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루프 박스(610)는 차량(60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루프 박스(610)는 택시 표시등과 빈차 표시등을 결합하여 택시 이용여부를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자율주행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루프 박스(610)에는 멀리서도 높은 시인 성을 확보할 수 있는 LED 패널(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고, 국문과 영문으로 승차 가능여부 및 예약 차량 확인 여부를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주간, 야간 외부 조도에 따라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루프 박스(610)에 출력되는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루프 박스(610)는 제1 전자 장치(100) 내지 제3 전자 장치(300)와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연결되거나, 제1 네트워크(510)(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해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의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제공하는 추가 인포테인먼트 서비스가 루프 박스(610)에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라 함은, 호출 고객의 예약 정보(예를 들어, 고객의 식별번호 등)를 루프 박스(610)에 출력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호출 고객이 차량 호출 시에 생성한 호출 예약 정보를 서버(400)로부터 수신하고, 호출 예약 정보 중 호출 고객의 식별번호(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 뒷자리 등)를 루프 박스(61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출 고객은 루프 박스(610)에 표시된 자신의 식별번호를 확인하여 호출한 차량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여기서, 호출 고객의 식별번호는 자동으로 설정되거나, 호출 고객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데, 차량 호출 시에 호출 고객이 설정한 인지하기 쉬운 문자 또는 숫자로 구성된 호출 텍스트와, 루프 박스(610)에 출력될 호출 텍스트의 색상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호출 고객은 멀리서 호출한 차량의 번호를 확인할 필요가 없이, 루프 박스(610)에 출력된 식별 정보를 보고 호출 고객이 호출한 차량인지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고객의 회원 가입 시에, 고객의 닉네임과 같이 고객 본인의 고유 번호를 설정할 수 있고, 차량 호출 시에 루프 박스(610) 고객이 설정한 고유 번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제공하는 추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는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이 차량을 호출 예약하여 다른 사람에게 선물처럼 보내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차량을 호출 예약한 고객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호출 예약한 차량을 선물로 보낼 상대방의 단말기 번호를 입력하고, 고객과 상대방이 서로 공유할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고객은 식별번호와 함께 문자 및/또는 이모티콘을 추가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호출 예약한 차량을 선물로 보낼 상대방의 단말기 번호와 고객과 상대방이 서로 공유할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상대방 단말기 번호를 이용하여 고객과 공유한 식별번호를 전송하고, 공유한 식별번호를 루프 박스(610)에 출력함으로써, 고객이 호출 예약한 차량이 상대방의 위치로 이동하면, 상대방은 루프 박스(610)에 출력된 식별번호를 확인하여 고객이 선물로 보내는 차량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제공하는 추가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는 고객의 하차 시에, 고객이 지정한 식별번호, 텍스트, 부호 등을 루프 박스(610)에 출력하여, 목적지의 하차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가족, 지인들에게 고객의 도착을 알릴 수 있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1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S1210단계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운전자와 비대면으로 차량에 탑승한 고객에게 차량의 출발 전에,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제1 비대면 여정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는, 목적지명과, 탑승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거리와, 탑승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주행 시의 소요시간과, 예상 요금과,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고객에게 제1 비대면 여정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차량에 탑승할 고객이 호출 고객인지 배회 고객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고객의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에 응답하여 탑승위치에 정차한 차량에 탑승한 고객을 호출 고객으로 식별하고, 고객의 제스처 호출에 응답하여 탑승위치에 정차한 차량에 탑승한 고객을 배회 고객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호출 고객에 대하여, 인증이 처리를 수행하여 성공하는 경우 제1 비대면 여정정보를 제공하고, 배회 고객으로부터 목적지가 입력되면 제1 비대면 여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1220단계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고객에게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제2 비대면 여정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는, 목적지명과, 고객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남은거리와, 고객의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 남은 주행시간과, 실시간 요금과,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1230단계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고객으로부터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
S1240단계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고객으로부터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하였는지 판단한다.
S1250단계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차량으로부터 고객이 하차하기 전에, 고객이 지불할 결제관련정보 및 결제가 완료된 고객의 하차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제3 비대면 여정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결제관련정보는 목적지명과, 탑승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운행한 운행거리와, 탑승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운행한 운행시간과, 최종요금과,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차관련정보는 상술한 결제관련정보와, 결제의 완료와 함께 도착하였음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1260단계에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고객으로부터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탑승중인 고객에게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는 여정사항 변동처리 서비스, 탑승환경 설정 서비스, 미디어 콘텐츠 재생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제공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여정사항 변동처리 서비스는,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고객에게 제2 비대면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고객으로부터의 하차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제1 여정사항 변동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여정사항 변동정보는,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와, 목적지까지 남은 시간과, 예상요금과, 정말로 하차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하차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하차할 장소를 찾고 있다는 텍스트와 함께 목적지명,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 목적지까지 남은 시간, 실시간 요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제공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여정사항 변동처리 서비스는,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고객에게 제2 비대면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고객으로부터의 목적지 변경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변경할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변경 목적지 수신에 대응하여, 제2 여정사항 변동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여정사항 변동정보는, 변경 목적지명과, 탑승위치에서 변경 목적지까지의 이동거리와, 탑승위치에서 변경 목적지까지 주행 시의 소요시간과, 예상 요금과, 탑승위치로부터 변경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가 표시된 지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제공하는 탑승환경 설정 서비스는,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고객에게 제2 비대면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고객으로부터의 탑승환경 설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밝기, 소리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밝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차량 내부 조명의 밝기와, 소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내장된 음원의 선택 또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음량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하는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온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차량의 온도를 포함하는 설정값을 운전자가 조작하는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의 온도 조절을 요청하는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가 제공하는 미디어 콘텐츠 재생 서비스는,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고객에게 제2 비대면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고객으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제1 비대면 여정관련정보에 포함되는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주행 시의 소요시간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을 제공하고, 고객의 어느 한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함되는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주행 시의 소요시간이 30분인 경우, 30분동안 감상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을 제공하고, 고객의 어느 한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탑승한 고객 별로, 비대면 여정정보 처리의 결과와, 여정사항 변동 대응 처리의 결과와, 탑승환경 설정 처리 결과와, 미디어 콘텐츠 제공 결과를 누적하고, 다음 번 탑승 시에 결과를 반영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처리부(190)는 탑승중인 고객이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비대면으로 건의사항을 입력하고, 입력한 건의사항이 제2 전자 장치(200)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전송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고객의 건의사항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 전자 장치
200: 제2 전자 장치
300: 제3 전자 장치
400: 서버
500: 네트워크

Claims (11)

  1.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써,
    차량에 탑승한 고객의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와, 탑승중인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와, 상기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상기 고객이 지불할 결제관련정보와, 결제가 완료된 상기 고객의 하차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여정정보 처리부;
    고객의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에 응답하여 탑승위치에 정차한 차량에 탑승한 호출 고객을 식별하는 제1 고객 식별부;
    고객의 제스처 호출에 응답하여 탑승위치에 정차한 차량에 탑승한 배회 고객을 식별하는 제2 고객 식별부; 및
    상기 탑승중인 고객으로부터 탑승환경 설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하는 탑승환경 설정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환경은,
    상기 차량 내부 조명의 밝기, 내장된 음원의 선택,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음량 및 상기 차량의 온도를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정정보 처리부는,
    상기 호출 고객에 대한 인증이 성공함에 따라, 상기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배회 고객의 목적지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탑승중인 고객의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고객으로부터의 여정사항 변동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여정사항 변동을 반영한 여정사항 변동정보를 제공하는 여정사항 변동대응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탑승중인 고객으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여정관련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주행 시의 소요시간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고객의 어느 한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미디어 콘텐츠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6.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고객에게 상기 차량의 출발 전에,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여정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제1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상기 고객에게 탑승중 여정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제2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함에 따라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고객이 하차하기 전에, 상기 고객이 지불할 결제관련정보 및 결제가 완료된 상기 고객의 하차관련정보를 포함하는 제3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고객의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호출에 응답하여 탑승위치에 정차한 차량에 탑승한 고객을 호출 고객으로 식별하고, 고객의 제스처 호출에 응답하여 탑승위치에 정차한 차량에 탑승한 고객을 배회 고객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호출 고객에 대한 인증이 성공함에 따라 상기 제1 여정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배회 고객의 목적지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상기 고객에게 상기 제2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고객으로부터의 여정사항 변동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여정사항 변동을 반영한 여정사항 변동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상기 고객에게 상기 제2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고객으로부터의 탑승환경 설정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설정값에 대응하여 탑승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출발 후 탑승중인 상기 고객에게 상기 제2 여정정보를 제공하는 중에 상기 고객으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여정관련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탑승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주행 시의 소요시간에 대응하는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고객의 어느 한 미디어 콘텐츠 재생 목록 선택에 대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6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00163288A 2020-11-27 2020-11-27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480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288A KR102480156B1 (ko) 2020-11-27 2020-11-27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288A KR102480156B1 (ko) 2020-11-27 2020-11-27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601A KR20220074601A (ko) 2022-06-03
KR102480156B1 true KR102480156B1 (ko) 2022-12-23

Family

ID=8198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288A Active KR102480156B1 (ko) 2020-11-27 2020-11-27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388B1 (ko) * 2022-03-29 2023-04-06 포티투닷 주식회사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이를 활용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154B1 (ko) * 2018-10-10 2020-04-23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정거장을 이용한 무인 택시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무인 택시 매칭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298B1 (ko) * 2012-11-16 2014-1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차량에서의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6882A (ko) * 2013-10-23 2015-05-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616865B1 (ko) * 2014-09-19 2016-04-29 이예진 고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92240A (ko) * 2016-02-03 2017-08-11 (주)미디어터치 위치기반 콘텐츠 정보를 택시에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41510B1 (ko) * 2017-11-29 2022-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율 주행 제어 시스템,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3895B1 (ko) 2018-07-16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154B1 (ko) * 2018-10-10 2020-04-23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정거장을 이용한 무인 택시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무인 택시 매칭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601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4389B2 (en)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checking of passenger equipment and distraction
KR102589468B1 (ko) 차량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90339840A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rendering a list of apps or skill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2883036B (zh) 显示装置、移动通信终端和显示系统
KR102652361B1 (ko)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440651B1 (ko) 자연어 표현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6815A (ko) 복수의 지능형 에이전트를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748336B1 (ko) 전자 장치 및 단축 명령어에 대응하는 태스크 수행 방법
KR101988281B1 (ko) 휴대 단말기의 차량 연계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240070213A1 (en) Vehicle driving policy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805440B1 (ko) 인공지능 시스템의 앱들 또는 스킬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증강 현실 장치 및 동작 방법
KR20200086980A (ko)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4594923A (zh) 车载终端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2340809B2 (e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action using speech recognition func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related to action using same
CN116331102A (zh) 车辆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480156B1 (ko)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99380A (ko)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7341158A (zh) 多媒体文件的信息获取方法、装置和设备
US11570507B2 (en) Device and method for visually displaying speaker's voice in 360-degree video
US11720324B2 (en)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nic document for processing voice comman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811226B1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KR20220057249A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90227705A1 (en)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f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2201796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KR102524945B1 (ko) 목적지 설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