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120B1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Google Patents
공간 영상 투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0120B1 KR102480120B1 KR1020170183132A KR20170183132A KR102480120B1 KR 102480120 B1 KR102480120 B1 KR 102480120B1 KR 1020170183132 A KR1020170183132 A KR 1020170183132A KR 20170183132 A KR20170183132 A KR 20170183132A KR 102480120 B1 KR102480120 B1 KR 1024801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image projection
- case
- spatial image
- spat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464 asthen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90 scatter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88—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 H04N13/39—Volumetric displays, i.e. systems where the image is built up from picture elements distributed through a volume the picture elements emitting light at places where a pair of light beams intersect in a transparent material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1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 H04N9/311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for displaying the colours sequentially, e.g. by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ight sources by using a sequential colour filter producing two or more colours simultaneously, e.g. by creating scrolling colour ban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내지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영상 투영 장치의 투명 스크린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역 조절 필터에 사용되는 복수의 배리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기존의 공간 영상 투영 장치를 통해 투영된 공간 영상과 본 발명의 공간 영상 투영 장치를 통해 투영된 공간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 영상 투영 장치의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 영상 투영 장치의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역 조절 필터로 입사된 광선의 각도에 따른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영상 투영 장치를 통해 투영된 공간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기존의 공간 영상 투영 장치를 통해 투영된 공간 영상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공간 영상 투영 장치를 통해 투영된 공간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100: 케이스
102: 제 1 케이스
104: 제 2 케이스
110: 영상 출력부
120: 미러부
130: 투명 스크린부
150, 500: 제 1 시역 조절 필터
600: 제 2 시역 조절 필터
Claims (18)
- 공간 영상 투영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영상 출력 공간 및 영상 투영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상기 영상 출력 공간에 배치되어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영상 출력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을 상기 영상 투영 공간을 향해 반사시키는 미러부;
상기 영상 투영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반사된 영상을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산란 또는 회절시켜 공간 영상을 투영하는 투명 스크린부;
상기 케이스의 일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산란 또는 회절된 영상의 광선 중 소정 범위의 각도의 광선을 차단하는 제 1 시역 조절 필터; 및
상기 케이스 내부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스크린부에서 굴절되어 상기 바닥으로 향하는 광선 중 소정 범위의 각도의 광선을 차단하는 제 2 시역 조절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역 조절 필터는 상기 바닥으로 향하는 광선이 상기 바닥에서 굴절되어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향하는 것을 추가로 차단하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역 조절 필터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공간 영상 투영 장치의 전방에서 볼 때 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배리어를 포함하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역 조절 필터는 상기 복수의 배리어의 높이, 배치 간격 및 상기 하면과 상기 복수의 배리어가 이루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범위의 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역 조절 필터는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공간 영상 투영 장치의 전방에서 볼 때 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배리어를 포함하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시역 조절 필터는 상기 복수의 배리어의 높이, 배치 간격 및 상기 하면과 상기 복수의 배리어가 이루는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범위의 각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위치하고 내부 반사 노이즈 영상을 제거하기 위한 편광 필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영상 출력 공간을 가지고, 투광성을 가지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케이스; 및
상기 영상 투영 공간을 가지고, 투광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제 2 케이스
를 포함하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제 1 케이스가 배치되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 및 상기 미러부는 상기 제 1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영상 출력부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후방으로 상기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미러부는 상기 제 1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영상을 반사시키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는 프로젝터인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스크린부는 상기 제 2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영상 투영 공간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원통형인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공간 영상 투영 장치에 있어서,
공간 영상 투영 장치의 상부에 형성된 영상 출력 공간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영상을 반사시키는 미러부;
상기 영상 출력 공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영상 투영 공간에서 상기 반사된 영상을 상기 공간 영상 투영 장치의 전방으로 산란 또는 회절시켜 공간 영상을 투영하는 투명 스크린부;
상기 공간 영상 투영 장치의 일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산란 또는 회절된 영상의 광선 중 소정 범위의 각도의 광선을 차단하는 제 1 시역 조절 필터; 및
상기 공간 영상 투영 장치 내부의 바닥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스크린부에서 굴절되어 상기 바닥으로 향하는 광선 중 소정 범위의 각도의 광선을 차단하는 제 2 시역 조절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삭제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 미러부 및 투명 스크린부를 수용하는 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위치하고 내부 반사 노이즈 영상을 제거하기 위한 편광 필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공간 영상 투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3132A KR102480120B1 (ko) | 2017-12-28 | 2017-12-28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83132A KR102480120B1 (ko) | 2017-12-28 | 2017-12-28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0590A KR20190080590A (ko) | 2019-07-08 |
KR102480120B1 true KR102480120B1 (ko) | 2022-12-22 |
Family
ID=6725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83132A Active KR102480120B1 (ko) | 2017-12-28 | 2017-12-28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012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7047B1 (ko) * | 2019-10-25 | 2022-09-27 | 주식회사 케이티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CN110989316B (zh) * | 2019-12-23 | 2021-11-26 | 南京南智先进光电集成技术研究院有限公司 | 微型立体全息成像装置 |
KR20240127555A (ko) | 2023-02-16 | 2024-08-23 | 주식회사 케이티 | 하프미러를 이용한 원통형 공간 영상 투영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65082A (ja) * | 2006-09-07 | 2008-03-21 | Fujifilm Corp | 光再生装置及び光再生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19193A (ko) * | 2014-08-11 | 2016-0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로팅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70082338A (ko) * | 2016-01-06 | 2017-07-14 | (주)젬백스테크놀러지 | 홀로그램 기반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KR20170100215A (ko) * | 2016-02-25 | 2017-09-04 | 주식회사 다이프로 | 투명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
2017
- 2017-12-28 KR KR1020170183132A patent/KR10248012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65082A (ja) * | 2006-09-07 | 2008-03-21 | Fujifilm Corp | 光再生装置及び光再生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0590A (ko) | 2019-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65370A (en) | Three dimensional viewing illusion with 2D display | |
US9715117B2 (en) | Autostereoscopic three dimensional display | |
KR102697080B1 (ko) | 플로팅 홀로그램 장치 | |
KR102447047B1 (ko)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
CN108319030B (zh) | 一种自由立体显示系统 | |
JP2010224129A (ja) | 立体画像表示装置 | |
KR102480120B1 (ko)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
JP2019512109A (ja) | 裸眼光学立体スクリーン | |
JP4341308B2 (ja) | 空中像表示装置 | |
US20070139767A1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 |
KR20180032317A (ko) | 플로팅 홀로그램 장치 | |
KR102290145B1 (ko) | 하프 미러를 이용한 원통형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
KR102290144B1 (ko)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
KR102012454B1 (ko)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
KR102172408B1 (ko)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
KR102530284B1 (ko)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
WO2020031549A1 (ja) | 虚像表示装置 | |
US11226492B2 (en) | Three-dimensional image projection | |
KR20200001123A (ko)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
KR101093929B1 (ko) | 깊이 지도를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KR101023042B1 (ko) |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
JP4595485B2 (ja) | 映像表示システム | |
KR20190143739A (ko)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
KR20180065587A (ko) | 공간 투영 영상 장치 | |
KR102157273B1 (ko) | 공간 영상 투영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