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78274B1 -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생산 라인 - Google Patents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생산 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274B1
KR102478274B1 KR1020227032711A KR20227032711A KR102478274B1 KR 102478274 B1 KR102478274 B1 KR 102478274B1 KR 1020227032711 A KR1020227032711 A KR 1020227032711A KR 20227032711 A KR20227032711 A KR 20227032711A KR 102478274 B1 KR102478274 B1 KR 102478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ness
strip
rolling mill
cold rolling
thickness prof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4042A (ko
Inventor
마르쿠스 린드그렌
크리스테르 셰그렌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3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2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3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roll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2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flatness or profile of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cold-rolling, e.g. Steckel cold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4Thickness,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28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 B21B37/40Control of flatness or profile during rolling of strip, sheets or plates using axial shifting of the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열간 압연 밀(12), 및 열간 압연 밀(12) 하류의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14)을 포함하는 생산 라인(10)에서 압연 재료의 스트립(16)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14) 중 하나 이상에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14)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스트립(16)의 통과 후에 스트립(16)의 편평도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편평도 데이터를 기초로 열간 압연 밀(12)에 대한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를 결정하는 단계; 및 스트립(16)을 열간 압연 밀(12)에 통과시키고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를 기초로 스트립(16)의 두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38) 및 생산 라인(10)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생산 라인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 제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생산 라인에서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 생산 라인에서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생산 라인이 제공된다.
압연 재료의 생산 라인에, 일반적으로 몇 개의 상이한 프로세스 단계, 예를 들어 제련기, 열간 압연 밀, 냉간 압연 밀, 퍼니스(furnace), 어닐링기, 연신 레벨러(stretch leveler), 슬리터(slitter), 코일러 및 언코일러(uncoiler)가 있다. 그러한 생산 라인의 핵심 매개변수는 최종 프로세스 단계의 수율 및 필요로 하는 자원(전체 프로세스의 효율)이다. 압연 재료의 편평도가 또한, 최종 프로세스 단계에서의 프로세스 수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매개변수이다. 오늘날 압연 밀 산업에서, 상이한 프로세스 단계들을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EP 1110635 B1은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개시한다. 압연 중에 스트립의 편평도의 측정치를 제1 편평도 목표 및 제2 편평도 목표 모두에 비교한다. 하나 이상의 후속 프로세스의 각각에 대한 편평도 목표 및 측정된 편평도 오류를 이용하여 밀 스탠드를 위한 제어 신호를 구성하여, 동일 사양의 압연 재료의 후속 생산의 편평도를 제어 및 조절한다.
JP S6020088 B2는 열간 스트립 밀, 탠덤 냉간 밀(tandem cold mill) 및 편평도 계측기를 포함하는 판 압연 프로세싱 설비를 개시한다. 편평도 계측기는 탠덤 냉간 밀의 배출구측에 제공된다. 이러한 설비는, 판 파동의 길이를 판 파동의 진폭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서 편평도를 계산하기 위한 편평도 계산기를 더 포함한다. 설비는 작업 롤 크라운을 계산하기 위한 편평도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한다. 설비는, 작업 롤 크라운을 기초로, 판을 통한 특성 및 코일 권취 형상과 관련된 최적의 값을 계산하기 위한 크라운 교정 장치를 더 포함한다. 조립체는, 가산기(adder)로부터 출력된 희망 크라운 값과의 차이를 기초로, 롤 굽힘력 교정 값을 계산하기 위한 크라운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한다.
압연 재료 스트립의 편평도 제어에서, 편평도 오류를 잘 제거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핵심 인자는 냉간 압연 밀의 기계적 작동기 및 유입 재료의 두께 프로파일이다.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이 열간 압연 밀 내에서 생성되고, 편평도 결함을 유발하지 않고는 냉간 압연 밀 내에서 실질적으로 변화될 수 없다. 기계적 작동기에 의해서 각각의 냉간 압연 밀의 롤 갭이 유입 재료의 두께 프로파일에 따라 형성될 수 없는 경우에, 스트립 내에 편평도 오류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특정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스트립이 특정 롤 갭을 가지는 냉간 압연 밀을 통과할 때, 두께 프로파일과 롤 갭 사이의 차이가 스트립의 편평도 오류를 유발한다. 또한, 상이한 유형의 롤 갭들을 가지는 다수의 냉간 압연 밀이 있는 경우에, 이러한 것이 또한 편평도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냉간 압연 밀의 롤 갭이 EP 1110635 B1의 방법에 따라 제어되는 경우에, 요구되는 편평도 목표가 냉간 압연 밀의 수용 가능한 동작 조건을 벗어날 위험이 있다. 다시 말해서, 하류에서 희망 편평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냉간 압연 밀의 편평도 목표에 의해서 매우 큰 교정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에, 요구되는 편평도 보상이 냉간 압연 밀에 의해서 달성될 수 없거나, 스트립 파괴를 유발할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하나의 목적은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방법은 편평도 오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 내용의 추가적인 목적은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방법은 냉간 압연 밀 하류의 스트립의 편평도 오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 내용의 또한 추가적인 목적은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방법은 냉간 압연 밀에 대한 후속 프로세스의 하류의 스트립 편평도 오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 내용의 또한 추가적인 목적은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방법은 스트립 파괴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개시 내용의 또한 추가적인 목적은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방법은 증가된 수율을 제공한다.
본 개시 내용의 또한 추가적인 목적은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방법은 전술한 목적 중 몇몇 또는 모두를 조합하여 해결한다.
본 개시 내용의 또한 추가적인 목적은 생산 라인에서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목적 중 하나, 몇몇 또는 모두를 해결한다.
본 개시 내용의 또한 추가적인 목적은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생산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고, 이러한 생산 라인은 전술한 목적 중 하나, 몇몇 또는 모두를 해결한다.
일 양태에 따라, 열간 압연 밀, 및 열간 압연 밀 하류의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을 포함하는 생산 라인에서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러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 중 하나 이상에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스트립의 통과 후에 스트립과 연관된 편평도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편평도 데이터를 기초로 열간 압연 밀에 대한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스트립을 열간 압연 밀에 통과시키고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기초로 스트립의 두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생산 라인은 하나 이상의 열간 압연 밀을 갖는 열간 압연측 및 하나 이상의 냉간 압연 밀을 갖는 냉간 압연측을 포함한다. 열간 압연은, 재료의 재결정 온도 초과에서 이루어지는 금속 작업 프로세스이다. 냉간 압연은 재결정 온도 미만의 금속에서 발생되고, 이는 변형 경화를 통해서 강도를 높인다. 압연 재료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강 또는 구리일 수 있다.
하류 냉간 압연측에서 또는 냉간 압연측의 하류 프로세스에서 반드시 최적이지는 않은 열간 압연측에서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의 이용 대신, 방법은, 열간 압연 밀의 하류에 정상적인 또는 달성 가능한 편평도 영향 효과를 기초로 하는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이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류 편평도 영향 효과는 스트립의 유입 두께 프로파일과 매칭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편평도 오류를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열간 압연 밀에서 사용되는 두께 프로파일 목표는 열간 압연측의 하류에서 하나 이상의 편평도 교정 필요성을 생성한다. 이러한 편평도 교정 필요성이 하나 이상의 냉간 압연 밀에 의해서 및/또는 후속 프로세스에 의해서 만족될 수 있도록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선택함으로써, 스트립 내의 편평도 오류가 감소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편평도 데이터를 기초로 열간 압연 밀에 대한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결정함으로써, 열간 압연 밀은, 하나 이상의 냉간 압연 밀과 같은 하류 프로세스가 편평도를 보다 양호하게 보상할 수 있는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을 생성할 것이다. 그에 의해서, 방법은 편평도 영향 효과의 피드백을 냉간 압연측 또는 냉간 압연측의 하류로부터 생산 라인의 열간 압연측에 제공한다. 열간 압연 밀에서, 추후에 편평도 문제로 전환되는 두께 프로파일 문제를 보다 잘 조정할 수 있다. 그에 의해서, 방법은 열간 압연 밀로부터의 양호한 두께 프로파일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된 종래 기술의 전형(norm)에 도전한다. 오늘날, 이러한 전형은, 형상이 0.5% 더 높은 스트립의 중심 예를 들어 0.5%의 크라운을 가지는 2차 다항식과 유사한, 열간 압연 밀로부터의 두께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이다.
각각의 냉간 압연 밀은 냉간 압연 밀의 하나 이상의 롤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편평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 중 하나와 연관된 편평도 모델을 포함할 수 있고, 편평도 모델은 기계적 작동기가 스트립에 미치는 효과를 규정한다. 기계적 작동기로 롤을 조정함으로써, 냉간 압연 밀의 롤 갭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편평도 모델은 스트립의 편평도를 변경하기 위한 기계적 작동기의 능력을 규정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기계적 작동기에 의해서 실제로 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을 사용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을 기초로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결정함으로써, 롤 갭이 스트립의 유입 두께 프로파일과 매칭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편평도 오류를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류의 편평도 교정 필요성이 하나 이상의 냉간 압연 밀의 기계적 작동기에 의해서 만족될 수 있도록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선택함으로써, 냉간 압연 밀의 열 작동기가 "해방될(emancipated)" 수 있고, 그 대신 스트립 내의 국소적인 결함을 교정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하나 이상의 기계적 작동기를 위해서, 기계적 작동기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편평도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을 기초로 열간 압연 밀에 대한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결정함으로써, 열간 압연 밀은, 기계적 작동기가 보상할 수 있는 두께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트립의 증가된 편평도가 냉간 압연 밀의 하류에서 달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형상 및 편평도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이 각각의 기계적 작동기와 연관될 수 있다. 각각의 편평도 모델은, 연관된 기계적 작동기의 위치 및/또는 스트립의 폭과 같은, 다양한 매개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편평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두께 프로파일 목표의 결정이 기계 학습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학습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 중 하나 이상의 하류의 스트립의 측정된 편평도, 하나 이상의 기계적 작동기의 각각에 대한 편평도 모델, 및/또는 열간 압연 밀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기초로 하는, 수학적 모델을 샘플 데이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두께 프로파일 목표의 결정은 퍼지 로직 및 신경-퍼지 로직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다른 통계 기술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열간 압연 밀은, 열간 압연 밀의 하나 이상의 롤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기계적 작동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열 작동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열간 압연 밀은 압연되는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을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간 압연측은 하나 이상의 두께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열간 압연 밀은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기초로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열간 압연 밀은, 열간 압연 밀 내의 작동기를 이용하여 열간 압연 밀을 제어함으로써 두께 프로파일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두께 프로파일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열간 압연 밀은 단일 밀 스탠드 또는 다수의 밀 스탠드를 가지는 탠덤 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생산 라인은 가역적인 열간 탠덤 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냉간 압연 밀은, 하나 이상의 기계적 작동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기계적 작동기는 냉간 압연 밀의 롤의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간 압연 밀의 롤 갭이 조정될 수 있다. 기계적 작동기는 예를 들어 작업 롤의 굽힘, 작업 롤의 기울어짐, 중간 롤의 굽힘, 중간 롤의 측면-이동 등을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냉간 압연 밀의 하나 이상이 또한 하나 이상의 열 작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냉간 압연 밀은 압연되는 스트립의 편평도 프로파일을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간 압연측은 하나 이상의 형상 계측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냉간 압연 밀은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을 기초로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냉간 압연 밀은, 냉간 압연 밀 내의 작동기를 이용하여 냉간 압연 밀을 제어함으로써 편평도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편평도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냉간 압연 밀은 단일 밀 스탠드 또는 다수의 밀 스탠드를 가지는 탠덤 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생산 라인은 가역적인 냉간 탠덤 밀을 포함할 수 있다.
편평도 데이터는, 복수의 냉간 압연 밀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의 하나 이상의 각각과 연관된 편평도 모델을 포함할 수 있고, 두께 프로파일 목표의 결정은, 편평도 모델의 조합과 최적으로 매칭되는 열간 압연 밀에 대한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방법은 복수의 냉간 압연 밀의 각각의 기계적 작동기와 연관된 복수의 편평도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편평도 모델은 예를 들어 스트립의 폭에 걸친 다항식으로서 표현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스트립 폭에 따라 달라진다. 기계적 작동기에 대한 각각의 편평도 모델은 기계적 작동기의 편평도 영향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기계적 또는 열적인, 냉간 압연 밀의 각각의 작동기는 냉간 압연 밀을 통과하는 스트립의 편평도에 영향을 미친다. 편평도 모델은, 스트립이 냉간 압연 밀을 통과할 때 작동기가 편평도에 미치는 이러한 영향에 관한 모델이다.
각각의 작동기가 편평도에 미치는 영향은 작동기의 셋팅 및/또는 실제 압연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실제 압연 조건은 예를 들어 (스트립 속력 및 가능한 이전의 통과에 따라 달라지는) 작업 롤 상의 열 크라운, 스트립의 경도, 및/또는 총 롤 힘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열간 압연 밀에 대한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 모델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두께 프로파일 모델은 열간 압연 밀의 하나 이상의 기계적 작동기가 스트립에 미치는 효과를 규정한다. 두께 프로파일 목표의 결정은, 예를 들어 가장 하류의 냉간 압연 밀 내의 기계적 작동기에 대한 편평도 모델에 최적으로 매칭되도록, 열간 압연 밀의 두께 프로파일 모델을 최적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두께 프로파일 목표의 결정은,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의 하나 이상의 기계적 작동기의 편평도 모델에 최적으로 매칭되도록, 복수의 열간 압연 밀에 대한 두께 프로파일 모델을 최적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두께 프로파일 모델이 두께 프로파일 표적으로서 셋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편평도 모델은 진폭이 희망 크라운에 대해서 정규화될 수 있고 이어서 두께 프로파일 목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편평도 데이터가 복수의 냉간 압연 밀의 각각에 대한 하나 이상의 기계적 작동기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을 포함하는 경우에, 두께 프로파일 목표의 결정은, 편평도 모델들의 조합과 최적으로 매칭되는 열간 압연 밀에 대한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냉간 압연 밀의 기계적 작동기의 편평도 모델들이, 복수의 냉간 압연 밀이 스트립의 편평도에 미치는 전체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조합된 편평도 모델로 조합될 수 있다. 이어서, 두께 프로파일 목표는 조합된 편평도 모델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생산 라인은 복수의 냉간 압연 밀을 포함할 수 있고, 편평도 데이터는 가장 하류의 냉간 압연 밀의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의 하나 이상의 각각과 연관된 편평도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가장 하류의 냉간 압연 밀의 기계적 작동기의 편평도 모델을 기초로 열간 압연 밀에 대한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결정함으로써, 마지막 냉간 압연 밀의 바로 하류에서 큰 편평도를 획득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이 제공된다. 두께 프로파일 목표는 가장 하류의 냉간 압연 밀의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의 하나 이상과 연관된 편평도 모델을 반영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편평도 모델은 스트립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스트립의 제1 폭에서,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는 제1 편평도 모델을 가질 수 있고, 제1 폭과 상이한 스트립의 제2 폭에서, 기계적 작동기는 제1 편평도 모델과 상이한 제2 편평도 모델을 가질 수 있다. 편평도 모델은 또한 다양한 다른 매개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편평도 데이터는 측정된 스트립의 편평도를 포함할 수 있다. 편평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의 각각에 대한 후속 프로세스를 통과한 후의 스트립의 측정된 편평도를 포함할 수 있다. 후속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스트립 코일링 프로세스, 스트립 언코일링 프로세스, 및/또는 아연도금 또는 알루미늄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방법은 하나 이상의 후속 프로세스, 즉 가장 하류의 냉간 압연 밀의 하류의 프로세스로부터의, 스트립에 미치는 편평도 효과를 이용할 수 있다. 후속 프로세스에 의한 편평도 효과를 기초로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결정함으로써, 편평도 효과가 스트립의 유입 프로파일 두께와 매칭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편평도 오류를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그 외에, 후속 프로세스에 의한 편평도 효과가 열간 압연측에서 보상되고 냉간 압연측에서 보상되지 않기 때문에, 스트립 파괴 위험이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편평도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형상 계측기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형상 계측기는 예를 들어 Stressometer일 수 있다. 측정된 스트립의 편평도를 포함하는 편평도 데이터는 스트립의 길이를 따라 측정된 복수의 편평도를 포함할 수 있다.
두께 프로파일 목표는 스트립의 폭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두께 프로파일 목표는 편평도 데이터 및 스트립의 폭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라, 열간 압연 밀 및 열간 압연 밀 하류의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을 포함하는 생산 라인에서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러한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하나 이상에 의해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하나 이상이,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 중 하나 이상에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스트립의 통과 후에 스트립과 연관된 편평도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편평도 데이터를 기초로 열간 압연 밀에 대한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스트립이 열간 압연 밀을 통과할 때,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기초로 스트립의 두께 조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한다.
제어 시스템은 스트립의 두께 프로파일을 제어하기 위해서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열간 압연 밀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어 두께 프로파일 제어기 및 편평도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두께 프로파일 제어기 및 편평도 제어기는, 앞서 규정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양태에 따라, 열간 압연 밀, 열간 압연 밀 하류의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 및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생산 라인이 제공된다. 이러한 양태에 따른 생산 라인은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추가적인 상세 내용, 장점, 및 양태가 도면과 함께 제공된 이하의 실시형태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생산 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전형적인 편평도 모델 및 전형적인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하에서, 생산 라인에서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 생산 라인에서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생산 라인을 설명할 것이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를 이용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적 특징을 표시할 것이다.
도 1은 생산 라인(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생산 라인(10)은 복수의 열간 압연 밀(12) 및 복수의 냉간 압연 밀(14)을 포함한다. 냉간 압연 밀(14)은 열간 압연 밀(12)의 하류에 배열된다. 도 1의 예에서, 생산 라인(10)은 2개의 열간 압연 밀(12) 및 5개의 냉간 압연 밀(1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생산 라인(10)은 열간 압연 밀(12)을 포함하는 열간 압연측 및 냉간 압연 밀(14)을 포함하는 냉간 압연측을 포함한다.
도 1은 압연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의 스트립(16)을 더 도시한다. 도 1에서, 스트립(16)은 각각의 열간 압연 밀(12)을 통해서 그리고 각각의 냉간 압연 밀(14)을 통해서 우측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예에서, 열간 압연 밀(12) 및 냉간 압연 밀(14)은 각각 다수 스탠드 탠덤 밀로 구성된다. 제1 열간 압연 밀(12)에서, 스트립(16)은, 두께가 감소되도록 롤들 사이에서 압착되는 슬라브이다.
이러한 예의 생산 라인(10)은 복수의 두께 프로파일 측정 장치(18)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생산 라인(10)은 대안적으로 마지막 열간 압연 밀(12)의 하류에서 1개의 두께 프로파일 측정 장치(18)만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두께 프로파일 측정 장치(18)는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예에서, 하나의 두께 프로파일 측정 장치(18)가 가장 상류의 열간 압연 밀(12)의 상류에 배열되고, 하나의 두께 프로파일 측정 장치(18)가 가장 하류의 열간 압연 밀(12)의 하류에 배열되며, 하나의 두께 프로파일 측정 장치(18)가 인접한 열간 압연 밀들(12)의 각각의 쌍 사이에 배열된다.
각각의 열간 압연 밀(12)은 복수의 롤(20) 및 롤(20)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계적 작동기(22)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각각의 냉간 압연 밀(14)은 복수의 롤(24) 및 롤(24)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기계적 작동기(26)를 포함한다. 각각의 열간 압연 밀(12) 및 각각의 냉간 압연 밀(14)은 또한 열 작동기(미도시)를 포함한다.
각각의 열간 압연 밀(12)은 그 기계적 작동기(22)로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을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열간 압연 밀(12)이 두께 프로파일 목표를 기초로 제어된다. 두께 프로파일 목표는 열간 압연 밀(12)을 통한 스트립(16)의 폭에 걸친 두께의 변화를 나타낸다.
각각의 냉간 압연 밀(14)은 그 기계적 작동기(26)로 스트립(16)의 편평도를 수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각각의 냉간 압연 밀(14)이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에 의해서 제어된다. 각각의 편평도 모델은, 기계적 작동기(26)의 하나에 의해서 유발되는 스트립(16)에서의 편평도 효과를 규정한다.
이러한 특정 예의 생산 라인(10)은 코일러(28), 언코일러(30), 및 아연도금 또는 알루미늄화 스테이션(32)을 더 포함한다. 코일러(28), 언코일러(30), 및 아연도금 또는 알루미늄화 스테이션(32)의 각각은 냉간 압연 밀(14)의 각각에 대한 후속 프로세스의 예를 구성한다. 이러한 특정 예의 생산 라인(10)은 열간 압연측과 냉간 압연측 사이에서 세정 및 산세 스테이션(34)을 더 포함한다.
생산 라인(10)은 복수의 형상 계측기(36)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형상 계측기(36)는 스트립(16)의 편평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예에서, 하나의 형상 계측기(36)가 가장 상류의 냉간 압연 밀(14)의 상류에 배열되고, 하나의 형상 계측기(36)가 마지막 냉간 압연 밀(14)의 하류에 배열되며, 하나의 형상 계측기(36)는 인접한 냉간 압연 밀들(14)의 각각의 쌍 사이에 배열된다. 하나의 형상 계측기(36)가 또한 언코일러(30)의 하류에, 즉 언코일러(30)와 아연도금 또는 알루미늄화 스테이션(32) 사이에 배열된다.
생산 라인(10)은 제어 시스템(38)을 더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38)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40)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42)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제어 시스템(38)은 2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40) 및 2개의 메모리(4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42)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40)의 하나 이상에 의해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40)의 하나 이상이,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게 하거나 그 수행을 명령하게 한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제어 시스템(38)은 두께 프로파일 제어기(44) 및 편평도 제어기(46)를 포함한다. 두께 프로파일 제어기(44) 및 편평도 제어기(46)의 각각이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40) 및 메모리(42)를 포함한다. 그러나, 생산 라인(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38)이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편평도 제어기(46)는 냉간 압연 밀(14)로부터 및/또는 형상 계측기(36)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냉간 압연 밀(14)을 제어하여 편평도 오류를 최소화한다. 두께 프로파일 제어기(44)는, 열간 압연 밀(12) 및/또는 두께 프로파일 측정 장치(18)로부터 그리고 편평도 제어기(46)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열간 압연 밀(12)을 제어하여 두께 프로파일 오류를 최소화한다.
압연에 의해서 유도된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의 변형은 몇몇 인자, 예를 들어 스트립(16)의 온도, 스트립(16)의 종횡비, 즉 두께로 나눈 폭, 그리고 스트립 입구 두께에 대한 마찰 계수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주요 인자는 스트립(16)의 종횡비이다. 종횡비가 30보다 큰 경우에, 스트립(16)의 변형은 본질적으로 평면 변형이고, 즉 스트립(16)은 두께가 감소되고 길이가 증가되며, 폭은 거의 변화되지 않거나 변화되지 않는다. 냉간 압연에서, 특히 얇은 스트립(16)을 압연할 때, 종횡비는 일반적으로 30보다 훨씬 더 크다. 다른 한편으로 열간 압연에서, 종횡비는 일반적으로, 특히 가장 상류의 열간 압연 밀(들)(12)에서, 30 미만이고, 그에 따라 스트립(16)의 프로파일 변형은 스트립(16) 폭의 상당한 증가와 함께 발생된다.
종횡비가 증가됨에 따라,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을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은 감소된다. 역으로, 스트립(16)의 형상 결함을 교정할 수 있는 능력은 증가되고, 마지막 또는 가장 하류의 냉간 압연 밀(14)에서 가장 크다.
냉간 압연에서,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 및 스트립(16)의 편평도가 연관된다. 이는, 유입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 즉 스트립(16)을 가로지르는 동일한 연신율을 반영하기 위해 롤 갭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에, 냉간 압연에서 편평도 결함이 더 적거나 없을 것임을 의미한다.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은 주로 열간 압연측에서 구축된다. 열간 압연측의 하류에서, 스트립(16)은 너무 저온이고 그 폭에 비해서 너무 얇기 때문에 형상 문제의 유발이 없이 그 두께 프로파일을 변경할 수 없다. 그에 따라, 편평도 문제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냉간 압연측에서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을 변경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도 2는 전형적인 편평도 모델(48) 및 전형적인 두께 프로파일 목표(50)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편평도 모델(48)은 2차 다항식 및 4차 다항식의 조합이다. 기계적 작동기(26)의 편평도 모델(48)은 냉간 압연 밀(14) 내의 스트립(16)과 연관된 편평도 데이터의 하나의 예이다. 복수의 편평도 모델(48)이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26)에 대해서 결정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48)이 가장 하류의 냉간 압연 밀(14)의 기계적 작동기(26)에 대해서 결정될 수 있다.
도 2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는 2차 다항식이다.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는 스트립(16)의 중심에서 1% 더 두껍다. 도 2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는 그에 따라 1% 크라운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프로파일 목표(50)와 편평도 모델(48) 사이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냉간 압연 밀(14)이 롤 바이트(roll bite) 내에서 유입 두께 프로파일을 유지하기 어렵게 하고 그에 따라 양호한 편평도를 달성하기 어렵게 한다.
두께 프로파일 목표(50)가 편평도 모델(48)에 보다 가까이 일치되게 함으로써, 냉간 압연 밀(14)의 기계적 작동기(26)는 그 롤 갭에 의해 편평도 오류를 보다 양호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편평도 제어기(46)는 하나 이상의 기계적 작동기(26)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48)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두께 프로파일 제어기(44)는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48)을 편평도 제어기(46)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편평도 모델(48)의 조합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열간 압연 밀(12)에 대한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된 두께 프로파일 목표는 다항식 또는 다항식들의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48), 하나 이상의 측정된 편평도(예를 들어, 마지막 냉간 압연 밀(14)의 바로 하류에서 측정된 편평도), 및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를 훈련 데이터로서 이용하여 기계 학습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는, 각각의 기계적 작동기(26)에 의해서 실제로 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편평도 모델(48)을 기초로 한다. 그에 따라, 냉간 압연 밀(14)의 기계적 작동기(26)는 편평도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열간 압연 밀(12)로부터의 두께 프로파일에 매칭될 수 있다.
가장 하류의 냉간 압연 밀(14)에서 양호한 편평도가 얻어지는 경우에도, 이러한 편평도는, 예를 들어 스트립(16)이 코일링 및 언코일링될 때, 후속 프로세스에서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예를 들어 냉각 효과, 및 스트립(16)의 특정 섹션이 코일 내에 배치되는 곳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는 임의의 후속 프로세스(28, 30, 32)를 통과한 후에 측정된 스트립(16)의 편평도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스트립(16)의 측정된 편평도는 또한 편평도 데이터의 예를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6)의 편평도는 코일러(28)의 바로 상류에서 그리고 언코일러(30)의 바로 하류에서 측정된다. 이어서, 코일링 및 언코일링에 의한 편평도 효과가 이러한 측정된 편평도들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코일링 및 언코일링으로부터의 편평도 효과를 기초로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를 결정함으로써, 스트립(16)은 언코일링 후에 더 편평해 질 수 있다. 또한, 코일링 및 언코일링으로부터의 편평도 효과가 열간 압연측에서 해결되고 냉간 압연측에서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스트립 파괴 위험이 감소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개시 내용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부품들의 치수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열간 압연 밀(12), 및 열간 압연 밀(12) 하류의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14)을 포함하는 생산 라인(10)에서 압연 재료의 스트립(16)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이며:
    -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14) 중 하나 이상에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14)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스트립(16)의 통과 후에 스트립(16)과 연관된 편평도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 편평도 데이터를 기초로 열간 압연 밀(12)에 대한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를 결정하는 단계; 및
    - 스트립(16)을 열간 압연 밀(12)에 통과시키고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를 기초로 스트립(16)의 두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냉간 압연 밀(14)은 냉간 압연 밀(14)의 하나 이상의 롤(24)을 제어하도록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26)를 포함하고, 편평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26) 중 하나와 연관된 편평도 모델(48)을 포함하고, 편평도 모델(48)은 기계적 작동기(26)에 의한 스트립(16)에서의 효과를 규정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생산 라인(10)은 복수의 냉간 압연 밀(14)을 포함하고, 편평도 데이터는, 복수의 냉간 압연 밀(14)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26) 중 하나 이상의 각각과 연관된 편평도 모델(48)을 포함하고, 두께 프로파일 목표(50)의 결정은, 편평도 모델(48)의 조합과 최적으로 매칭되는 열간 압연 밀(12)에 대한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생산 라인(10)은 복수의 냉간 압연 밀(14)을 포함하고, 편평도 데이터는 가장 하류의 냉간 압연 밀(14)의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26)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된 편평도 모델(48)을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는 가장 하류의 냉간 압연 밀(14)의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작동기(26) 중 하나 이상의 각각과 연관된 편평도 모델(48)을 반영하도록 결정되는, 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편평도 모델(48)은 스트립(16)의 폭에 따라 달라지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평도 데이터는 스트립(16)의 측정된 편평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편평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14)의 각각에 대한 후속 프로세스(28, 30, 32)를 통과한 후의 스트립(16)의 측정된 편평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평도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형상 계측기(36)에 의해서 결정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프로파일 목표는 스트립(16)의 폭을 기초로 결정되는, 방법.
  11. 열간 압연 밀(12), 및 열간 압연 밀(12) 하류의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14)을 포함하는 생산 라인(10)에서 압연 재료의 스트립(16)의 편평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38)이며, 제어 시스템(38)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40) 및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42)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40) 중 하나 이상에 의해서 실행될 때,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40) 중 하나 이상이:
    -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14) 중 하나 이상에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14)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스트립(16)의 통과 후에 스트립(16)과 연관된 편평도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 편평도 데이터를 기초로 열간 압연 밀(12)에 대한 스트립(16)의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를 결정하는 단계; 및
    - 스트립(16)이 열간 압연 밀(12)을 통과할 때, 두께 프로파일 목표(50)를 기초로 스트립(16)의 두께 조정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하는, 제어 시스템(38).
  12. 열간 압연 밀(12), 열간 압연 밀(12) 하류의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밀(14), 및 제11항에 따른 제어 시스템(38)을 포함하는 생산 라인(10).
KR1020227032711A 2020-04-03 2020-11-16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생산 라인 Active KR102478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67970.1A EP3888810B1 (en) 2020-04-03 2020-04-03 Method of controlling flatness of strip of rolled material, control system and production line
EP20167970.1 2020-04-03
PCT/EP2020/082270 WO2021197647A1 (en) 2020-04-03 2020-11-16 Method of controlling flatness of strip of rolled material, control system and production 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042A KR20220134042A (ko) 2022-10-05
KR102478274B1 true KR102478274B1 (ko) 2022-12-16

Family

ID=7018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2711A Active KR102478274B1 (ko) 2020-04-03 2020-11-16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생산 라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18015A1 (ko)
EP (1) EP3888810B1 (ko)
JP (1) JP7302104B2 (ko)
KR (1) KR102478274B1 (ko)
CN (1) CN115335158B (ko)
WO (1) WO2021197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24398B1 (de) * 2021-07-27 2024-04-10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mechanischer eigenschaften eines walzgutes mit hilfe eines hybriden modells
US11919060B2 (en) * 2021-08-16 2024-03-05 The Bradbury Co.,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roll-forming processes
WO2025054103A1 (en) * 2023-09-05 2025-03-13 Novelis Inc. Cold rolling mill with dynamic target shape contr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2577A (zh) * 2013-12-23 2015-06-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轧制生产工艺及工艺布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088B2 (ja) * 1981-08-25 1985-05-20 株式会社東芝 板圧延処理設備における板クラウン,平坦度制御装置
DE3476742D1 (en) * 1983-03-14 1989-03-23 Schloemann Siemag Ag Method of making hot rolled strip with a high quality section and flatness
JPS63123509A (ja) * 1986-11-12 1988-05-27 Toshiba Corp 連続圧延機の板クラウン制御装置
DE3823767A1 (de) * 1988-02-23 1989-01-26 Escher Wys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s profils und der planheit von metallbaendern in mehrgeruestigen walzstrassen
DE4309986A1 (de) * 1993-03-29 1994-10-06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alzen eines Walzbandes
DE19654068A1 (de) * 1996-12-23 1998-06-25 Schloemann Si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alzen eines Walzbandes
DE69913538T2 (de) 1999-12-23 2004-09-30 Abb Ab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lanheitsregelung
KR100780420B1 (ko) * 2001-12-17 2007-11-28 주식회사 포스코 판의 크라운을 향상시키기 위한 압하율 패턴 결정 방법
DE10346274A1 (de) * 2003-10-06 2005-04-28 Siemens Ag Verfahren und Steuervorrichtung zum Betrieb einer Walzstraße für Metallband
US8205474B2 (en) * 2006-03-08 2012-06-26 Nucor Corporation Method and plant for integrated monitoring and control of strip flatness and strip profile
US7849722B2 (en) * 2006-03-08 2010-12-14 Nucor Corporation Method and plant for integrated monitoring and control of strip flatness and strip profile
EP2431105A1 (de) * 2010-09-16 2012-03-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Ermittlungsverfahren für Steuergrößen einer Walzstraße mit mehreren Walzgerüsten zum Walzen eines Metallbandes
JP5835007B2 (ja) * 2012-02-27 2015-12-24 富士通株式会社 イベント収集方法、イベント収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CN104084426B (zh) * 2014-07-02 2016-04-06 济钢集团有限公司 基于热轧工艺控制的冷轧产品板型控制系统
KR102215895B1 (ko) 2016-03-08 2021-02-17 노벨리스 인크. 프로세스 파라미터들의 직접 측정으로 압연하는 동안 금속 스트립 프로파일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2577A (zh) * 2013-12-23 2015-06-2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轧制生产工艺及工艺布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88810A1 (en) 2021-10-06
CN115335158B (zh) 2023-05-26
US20230118015A1 (en) 2023-04-20
JP2023510030A (ja) 2023-03-10
EP3888810B1 (en) 2023-08-02
JP7302104B2 (ja) 2023-07-03
KR20220134042A (ko) 2022-10-05
CN115335158A (zh) 2022-11-11
WO2021197647A1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274B1 (ko) 압연 재료의 스트립의 편평도를 제어하는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생산 라인
JPS59197309A (ja) 高いプロフィル品質と平担度品質とを備えたストリップを造るための方法およびストリップタンデム圧延ライン
KR101516476B1 (ko) 설정치 계산 장치, 설정치 계산 방법, 및 설정치 계산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
JP3253013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板クラウン・形状制御方法
JP2002045908A (ja) 金属板の平坦度制御方法及び装置
JP7230880B2 (ja) 圧延荷重予測方法、圧延方法、熱延鋼板の製造方法、及び圧延荷重予測モデルの生成方法
JP6874794B2 (ja) 熱延鋼板の調質圧延方法
JP4847111B2 (ja) 多段式圧延機及び多段式圧延機の制御方法
JP2008043967A (ja) 熱間圧延における板形状の制御方法
JP2009142879A (ja) 調質圧延方法
JP3458731B2 (ja) 冷間タンデム圧延機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および形状制御装置
JP3520868B2 (ja) 鋼板の製造方法
JP4423763B2 (ja) 鋼板の製造法
JP6680284B2 (ja) 圧延機のレベリング設定方法、圧延機のレベリング設定装置、及び鋼板の製造方法
JP2014073509A (ja) 被圧延材の形状制御装置および形状制御方法
JPH10137828A (ja) 冷間タンデム圧延方法および冷間タンデム圧延機
JP2003285113A (ja) 板プロフィルの良好な金属板の製造方法
WO2023203691A1 (ja) 板クラウン制御装置
JP4091919B2 (ja) 板圧延における板クラウン形状制御方法
JP2023108570A (ja) 熱間可逆板圧延における板ウェッジの制御と設定方法
JP6152835B2 (ja) 鋼帯の調質圧延設備および調質圧延方法
JP2001179320A (ja) 熱延鋼板仕上圧延の形状制御方法
JPH02165802A (ja) 熱間薄板の圧延方法および装置
JP2021070049A (ja) 圧延機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2006281280A (ja) スラブ加熱炉の操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