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186B1 - Animal Trapping Device - Google Patents
Animal Trapp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7186B1 KR102477186B1 KR1020200037201A KR20200037201A KR102477186B1 KR 102477186 B1 KR102477186 B1 KR 102477186B1 KR 1020200037201 A KR1020200037201 A KR 1020200037201A KR 20200037201 A KR20200037201 A KR 20200037201A KR 102477186 B1 KR102477186 B1 KR 1024771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unit
- tongs
- wire
- le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2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 A01M23/26—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of the double-jaw or pincer type
- A01M23/265—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of the double-jaw or pincer type of the pincer typ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2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 A01M23/26—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of the double-jaw or pincer type
- A01M23/28—Jaw trap setting-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유기 동물 또는 야생동물을 안전하게 잡을 수 있는 동물포획기구가 개시된다. 동물포획기구는 서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집게를 가진 포획부, 상기 집게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가진 조작부, 상기 포획부와 상기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포획부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포획부에 연결되는 제1파이프와 일측이 상기 제1파이프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는 제2파이프와 일측이 상기 집게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파이프에 수용되는 제1와이어와 일측이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파이프에 수용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물림부와 상기 제2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물림부에 체결되는 제2물림부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n animal trapping device capable of safely catching abandoned animals or wild animals.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includes a catch unit having tongs that can be approach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 control unit having a lever for operating the tongs,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atch unit and the operation unit, and separating or combining the connection unit to replace the catch unit. Includes fastening unit. The connect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pipe by being connected to the tongs of a first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atching part and a second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ip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a second wir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lever a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pipe. The fastening unit includes a first engagement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ire and a second engagement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ire and fastened to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동물이나 야생동물을 안전하게 잡을 수 있는 동물포획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trapping device capable of safely catching abandoned animals or wild animals.
최근,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여러가지 이유로 버려지거나 분실되는 애완동물들이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pets has increased exponentially, and along with them, the number of pets abandoned or lost for various reasons is increasing.
버려지거나 분실된 애완동물을 발견하면 소방서나 유기동물보호센터에 신고하여 포획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출동한 소방대원은 야생동물이나 유기동물을 직접 손으로 또는 단순한 집게 형태의 기구를 이용하여 포획하였다. 그러나, 단순한 형태의 집게는 야생동물이나 유기동물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거나 작을 경우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If an abandoned or lost pet is found, it is reported to the fire department or abandoned animal protection center for capture. At this time, the dispatched firefighters captured the wild animals or abandoned animals by hand or using simple tongs-type tools.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imple type of tongs could not be applied when the size of wild or abandoned animals was too large or small.
본 발명의 목적은 야생동물이나 유기동물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현장에서 간편하게 다양한 집게로 교체 적용할 수 있는 동물포획기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imal trapping mechanism tha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various tongs in the field according to the type, size, etc. of wild or abandoned animals.
상기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동물포획기구가 제공된다. 동물포획기구는 서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집게를 가진 포획부, 상기 집게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가진 조작부, 상기 포획부와 상기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포획부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포획부에 연결되는 제1파이프와 일측이 상기 제1봉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는 제2파이프와 일측이 상기 집게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파이프에 수용되는 제1와이어와 일측이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파이프에 수용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물림부와 상기 제2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물림부에 체결되는 제2물림부를 포함한다.An animal trapping mechanism capable of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includes a catch unit having tongs that can be approach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 control unit having a lever for operating the tongs,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atch unit and the operation unit, and separating or combining the connection unit to replace the catch unit. Includes fastening unit. The connecting part has a first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atching part, a second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d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one side connected to the tongs to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pipe and a second wir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lever a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pipe. The fastening unit includes a first engagement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ire and a second engagement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ire and fastened to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의 타측은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으로 반이 절개된 제1 및 제2아웃컷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ther sides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may each include first and second outcut ends cut in hal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상기 제1물림부는 요철(凹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물림부는 상기 요철부에 맞물리는 철요(凸凹)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ngagement portion may include a concave-convex port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may include a concave-convex portion engaged with the concave-convex portion.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맞물린 제1 및 제2아웃컷 단부를 감싸면서 나사 체결 가능한 림체결부는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unit may include a rim fastening portion capable of screw fastening while surrounding the engaged first and second outer cut ends.
상기 제1물림부는 상기 집게가 접근 상태에서 상기 제1아웃켓 단부에 노출되고, 상기 집게가 이격 상태에서 상기 제1파이프 내로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may be exposed to an end of the first outlet when the tongs are in an approaching state, and may be received into the first pipe in a spaced state of the tongs.
상기 제2물림부는 상기 레버가 미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2아웃켓 단부에 노출되고, 상기 레버가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2파이프 내로 수용될 수 있다.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end of the second outlet when the lever is not operated,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pipe when the lever is operated.
본 발명의 동물포획기구는 사용자가 안정하고 편리하게 유기동물이나 야생동물을 포획할 수 있다.The animal trap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users to safely and conveniently capture abandoned animals or wild animals.
본 발명의 동물포획기구는 동물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다른 형태의 집게를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다.The animal trapp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veniently replace different types of tongs according to the type or size of an anim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물포획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작동 전 동물포획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작동 후 동물포획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체결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포획부와 조작부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포획부와 조작부가 서로 가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포획부와 조작부가 서로 고정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획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포획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작 상태의 포획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imal trapp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before opera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animal trap after opera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unit of Figure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tching part and the manipulation par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ture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temporarily coupled to each other.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tch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tch par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tch par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atch part of FIG. 9 .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catch part in an operating state.
이하, 도면들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물포획기구(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물포획기구(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작동 전 동물포획기구(1)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작동 후 동물포획기구(1)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체결유닛(14)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동물포획기구(1)는 포획부(11), 조작부(12), 포획부(11)와 조작부(12)를 연결하는 연결부(13), 및 포획부(11)를 교체 가능하도록 연결부(13)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체결유닛(14)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포획부(11)는 동물을 포획할 수 있도록 서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집게(111) 및 집게(111)를 지지하는 포획본체(1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집게(111)는 포획본체((114)에 일체로 지지된 고정부재(112) 및 포획본체(114)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15)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113)는 회전에 의해 고정부재(112)를 향해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다.The
고정부재(112)는 자유단에 마련된 홈부(1121) 및 회전부재(113)를 향하는 제1포획면부(1122)가 마련될 수 있다. The
회전부재(113)는 자유단에 마련된 걸림고리(1131), 고정부재(112)를 향하는 제2포획면부(미도시), 및 포획본체(114)에 지지되는 지지부(11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걸림고리(1131)는 회전부재(113)의 회전에 의해 고정부재(112)에 접근할 때 홈부(1121)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고리(1131)는 포획된 동물을 견고하게 홀딩하도록 할 수 있다..The
제1포획면부(1122)는 회전부재(113)가 고정부재(112)를 향해 접근할 때 회전부재(113)의 제2포획면부에 밀착될 수 있다.When the rotating
포획본체(114)는 일측이 고정부재(112)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이 연결부(13)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포획본체(114)는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진 제1슬롯(1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슬롯(1141)의 일측, 즉 연결부(13)를 향한 단부에는 회전부재(113)의 고정단부(1132)가 힌지(115)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제1슬롯(1141)에는 후술하는 스프링(116)이 제1슬롯(1141)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연장하독 위치될 수 있다. 제1슬롯(1141)은 회전부재(113)가 고정부재(112)를 향해 접근할 시에 회전부재(113)의 지지부(1133)를 수용할 수 있다.The
스프링(116)은 일측이 고정단부(1132)와 고정부재(112)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슬롯(1141)의 고정부재(112) 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116)은 회전부재(113)가 고정부재(112)로부터 최대로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스프링(116)은 회전부재(113)가 고정부재(112)를 향해 접근하도록 회전하면 회전부재(113)의 고정단부(1132)가 고정단부(112)로부터 멀어져 늘어나고, 반대로 이격하도록 회전하면 고정부재(112)에 가까워져 복원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조작부(12)는 집게(111)를 작동시키는 레버(121)와 손잡이(1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레버(121)는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손잡이(122)에 힌지(12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레버(121)에는 연결부(13)의 제2와이어(134)의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레버(121)는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진 제3슬롯(12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3슬롯(1211)의 중앙에는 제2와이어(134)의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3슬롯(1211)은 레버(121)의 회전에 따라 삽입된 제2와이어(134)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손잡이(122)는 연결부(13)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122)는 레버(121)를 수용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파여진 제2슬롯(12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연결부(13)는 일측이 포획부(11)의 포획본체(114)에 연결되는 제1파이프(131), 일측이 제1파이프(131)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조작부(12)의 손잡이(122)에 연결되는 제2파이프(132), 일측이 집게(111)의 회전부재(113)의 고정단부(1132)에 연결되어 제1파이프(131)에 수용되는 제1와이어(133) 및 일측이 레버(121)에 연결되어 제2파이프(132)에 수용되는 제2와이어(1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제1파이프(131)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내부가 빈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제1파이프(13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4)의 연결된 일측의 반대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1/2정도 절개하여 개방한 제1아웃컷 단부(1311)를 포함하고 있다.The
제2파이프(132)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내부가 빈 중공을 가질 수 있다. 제2파이프(13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122)의 연결된 일측의 반대쪽에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1/2정도 절개하여 개방한 제2아웃컷 단부(1321)를 포함하고 있다.The
제1 및 제2와이어(133,134)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가진, 예를 들면 철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철선은 다수의 다수의 가는 와이어를 꼬아서 만들수 있다.The first and
체결유닛(14)은 도 2 내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와이어(133)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물림부(141), 제2와이어(134)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1물림부(141)에 체결결합되는 제2물림부(142) 및 상호 체결결합된 제1 및 제2물림부(141,142)를 고정 결합하는 림체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4 in FIG. 2, the
체결유닛(14)은 제1파이프(131)의 아웃컷 단부(1311)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1체결나사(144), 림체결부(143)가 조작부(12)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제2파이프(132)에 마련된 이동방지핀(145) 및 림체결부(143)가 제1체결나사(144)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걸림부(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제1물림부(141)는 요철(凹凸) 형상으로서, 제1파이프(131)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의 원기둥 형상의 제1몸체(1411), 제1몸체(1411)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된 원통형상의 제1돌기(1412), 및 제1몸체(1411)와 제1돌기(1412) 사이에 마련된 제1그루브(14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물림부(141)는 도 3과 같이 포획부(11)의 회전부재(113)가 고정부재(112)에 접근한 상태에서 제1파이프(131)의 제1아웃컷 단부(1311)으로 노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제2물림부(142)는 요철(凹凸) 형상으로서, 제2파이프(132)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의 원기둥 형상의 제2몸체(1421), 제2몸체(1421)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된 원통형상의 제2돌기(1422), 및 제2몸체(1421)와 제2돌기(1422) 사이에 마련된 제2그루브(14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물림부(142)는 도 3과 같이 조작부(12)의 레버(121)가 손잡이(122)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제2파이프(132)의 제2아웃컷 단부(1321)으로 노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림체결부(143)는 제1 및 제2파이프(131,132)의 외경에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도 5 내지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체결나사(144) 측 단부의 내면에 마련된 제2체결나사(1431) 및 조작부(12) 측 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절곡단부(14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2체결나사(1431)는 제1체결나사(144)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The
절곡단부(1432)는 이동방지핀(145) 및 걸림부(146)에 걸릴 수 있다. 이동방지핀(145)은 견고한 금속으로 이루어져 림체결부(143)의 절곡단부(1432)가 걸려 넘어갈 수 없다. 반면에, 걸림부(146)는 일시적으로 걸리기는 하지만 힘을 가하면 넘어갈 수 있도록 탄성재질 또는 제2파이프(132)의 내측을 향해 요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부(12)의 레버(121)를 당겨서 포획부(11)의 회전부재(113)를 조작하여 동물들을 손쉽고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user can easily and safely capture animals by pulling the
도 5는 포획부(11)와 조작부(12)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포획부(11)와 조작부(12)가 서로 가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포획부(11)와 조작부(12)가 서로 고정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포획부(11)를 조작부(12)에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a method of connecting the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서로 분리된 포획부(11)와 조작부(12) 중 조작부(12)를 상측에 위치시키고, 포획부(11)를 하측에 위치시킨 후, 포획부(11)의 회전부재(113)를 고정부재(112)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따라서, 제2물림부(142)는 자중에 의해 제2아웃컵 단부(1321)에 노출되고, 제1물림부(141)는 회전부재(113)의 회전에 따라 제1아웃컵 단부(1311)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림체결부(143)는 걸림부(146)에 의해 일시적으로 걸려 하중에 따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user places the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물림부(141)의 제1돌기(1411)를 제2물림부(142)의 제2그루브(1423)에 삽입하고, 제2물림부(142)의 제2돌기(1421)를 제1물림부(141)의 제1그루브(1413)에 삽입한 후, 회전부재(113)를 놓는다. 결과적으로, 서로 맞물린 제1 및 제2물림부(141,142)는 회전부재(113)의 회전에 의해 포획부(110 측으로 이동하여 제1파이프(131)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포획부(11)와 조작부(12)는 비록 견고하지는 않지만 일시적 연결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6 , the user inserts the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6의 상태에서 걸림부(146)를 넘어가도록 림체결부(143)에 압력을 가한 후 제1체결나사(144)와 제2체결나사(1431)를 나사결합하여 포획부(11)와 조작부(12)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user applies pressure to the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현장에 출동하여 포획부(11)와 조작부(12)를 매우 빠르고 편리하게 결합함으로써 동물이 도망가기 전에 포획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capture the animal before it runs away by quickly and conveniently combining the trapping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획부(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포획부(21)는 도 1의 포획부(11)보다 넓은 폭을 가진 제1획면부(2122) 및 제2포획면부포획(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필요 따라 고정부재(212)와 회전부재(213)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8 , the catching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획부(3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포획부(31)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동작 상태의 포획부(31)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포획부(31)는 동물을 포획할 수 있도록 서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집게(311), 집게(311)를 지지하는 포획본체(314) 및 집게(311)를 회전 시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스프링(3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집게(311)는 각각 포획본체((314)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 1 및 제2힌지(315-1,315-2)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및 제2회전부재(312, 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회전부재(312, 313)는 회전에 의해 서로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다.The
제1 및 제2회전부재(312, 313)는 각각 포획본체(314)에 수용되는 단부 측에 서로 맞물리도록 기어 형상을 가진 제1 및 제맞물림부(3123, 31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포획본체(314)는 일측이 고정핀(3143)에 의해 제1파이프(331)과 고정될 수 있다. 포획본체(314)는 제1 및 제2회전부재(312, 313)이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타측이 개방되어 있다.One side of the
포획본체(314)는 제1파이프(331)에 연결되는 단부 측에 스프링(312)을 수용하는 스프링수용부(3141) 및 제1와이어(333)이 통과하는 와이어통과부(3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스프링(312)은 일측이 스프링수용부(3141)에 수용 지지되고 타측이 제2회전부재(313)의 제2맞물림부(3134)에 지지될 수 있다. 물론, 스프링(312)은 제1회전부재(312)의 제1맞물림부(3123)에 지지될 수도 있다.One side of the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제1와이어(333)는 스프링(312)의 중앙을 통과한 상태에서 제2맞물림부(3134)의 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제1파이프(331)를 통과한 상태에서 제1물림부(341)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제1와이어(333)는 제1맞물림부(3123)의 단부에 일측이 고정될 수도 있다.10 and 11, the state in which one side of the
도 10에서, 집게(311)는 동작 전의 상태로서 제1물림부(341)가 제1아웃컷 단부(3311)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제1파이프(331) 내로 들어간 상태이다.In FIG. 10 , the
도 11에서, 집게(311)가 회전하면, 제1 및 제2맞물림부(3123,3134)가 서로 맞물리도록 회전하면, 제2맞물림부(3134)의 단부는 스프링(312)을 압축하면서 제1파이프(331)의 아웃컷 단부(3311) 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 결과 제1물림부(341)가 제1아웃컷 단부(3311)에 노출될 수 있다.11, when the
집게(311)는 도 2 및 3에 도시한 동작과 유사한 방법으로 조작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의 레버(미도시)를 당겨서 제1물림부(341)를 제1아웃컷 단부(3311) 측으로 당기면, 제2맞물림부(3134)의 단부가 당겨져 제2회전부재(313)가 회전된다. 동시에, 제2맞물림부(3134)가 제1회전부재(312)의 제1맞물림부(3123)에 맞물림으로써 제1회전부재(312)가 회전됨으로써 제1 및 제2회전부재(312,313)가 서로를 향해 접근하여 동물을 포획할 수 있다. 반대로, 레버를 놓으면, 스프링(312)의 복원에 의해 제1 및 제2회전부재(312,313)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The
앞서 설명한 명세서에서, 본 발명 및 그 장점들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아래의 청구항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이 기술 분야에서 보통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에 따라, 명세서와 도면은 한정 보다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간주되어야 한다. 모든 이러한 가능한 수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In the foregoing specification, the invention and its advantage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ccordingly,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rather than limiting. All such possible modifications are to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동물포획기구
11, 21,31: 포획부
111, 211,311: 집게
112, 212: 고정부재
113, 213,312,313: 회전부재
114, 214, 314: 포획본체
116, 312: 스프링
12: 조작부
121: 레버
122: 손잡이
13: 연결부
131, 331: 제1파이프
132: 제2파이프
133, 333: 제1와이어
134: 제2와이어
14: 체결유닉
141, 341: 제1물림부
142: 제2물림부
143: 림체결부1: Animal trapping device
11, 21, 31: capture unit
111, 211, 311: forceps
112, 212: fixing member
113, 213,312,313: rotating member
114, 214, 314: capture body
116, 312: spring
12: control panel
121: lever
122: handle
13: connection part
131, 331: first pipe
132: second pipe
133, 333: first wire
134: second wire
14: Connection Unix
141, 341: first engagement portion
142: second bite
143: rim fastening part
Claims (6)
서로 접근 또는 이격 가능한 집게를 가진 포획부와;
상기 집게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가진 조작부와;
상기 포획부와 상기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포획부를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일측이 상기 포획부에 연결되는 제1파이프와;
일측이 상기 제1파이프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는 제2파이프와;
일측이 상기 집게에 연결되어 상기 제1파이프에 수용되는 제1와이어와;
일측이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제2파이프에 수용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물림부와;
상기 제2와이어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물림부에 체결되는 제2물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물림부와 상기 제2물림부는 각각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 내에서 이동가능한 동물포획기구.In the animal trapping mechanism,
A catch unit having tongs that can be approach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 control unit having a lever for operating the tongs;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apture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a fastening unit that separates or couples the connection part so that the catch part can be replaced,
the connection part
a first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atching part;
a second pip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ip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first wir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tongs and accommodated in the first pip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ever and includes a second wi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pipe,
The fastening unit,
a first engagement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wire;
A second engagement portion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wire and fastened to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The animal trapping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movable within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respectively.
상기 제1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의 타측은 각각 서로 맞물리도록 길이방향으로 반이 절개된 제1 및 제2아웃컷 단부를 포함하는 동물포획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sides of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each include first and second outcut ends cut in half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engage with each other.
상기 제1물림부는 요철(凹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물림부는 상기 요철부에 맞물리는 철요(凸凹)부를 포함하는 동물포획기구.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ngaging portion includes a concave-convex portion,
The animal trapping device of claim 1 , wherei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ncludes a concave portion engaged with the concave-convex portion.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맞물린 제1 및 제2아웃컷 단부를 감싸면서 나사 체결 가능한 림체결부는 포함하는 동물포획기구. According to claim 2,
The fastening unit includes a rim fastening portion capable of screw fastening while surrounding the engaged first and second outer cut ends.
상기 제1물림부는 상기 집게가 접근 상태에서 제1아웃켓 단부에 노출되고, 상기 집게가 이격 상태에서 상기 제1파이프 내로 수용되는 동물포획기구.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exposed to an end of the first outlet in a state in which the tongs are approaching, an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pipe in a state in which the tongs are separated.
상기 제2물림부는 상기 레버가 미동작 상태에서 제2아웃켓 단부에 노출되고, 상기 레버가 동작 상태에서 상기 제2파이프 내로 수용되는 동물포획기구.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exposed to the end of the second outlet when the lever is in an inoperative state, and the lever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pipe in an operating st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7201A KR102477186B1 (en) | 2020-03-27 | 2020-03-27 | Animal Trapp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7201A KR102477186B1 (en) | 2020-03-27 | 2020-03-27 | Animal Trapp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1344A KR20210121344A (en) | 2021-10-08 |
KR102477186B1 true KR102477186B1 (en) | 2022-12-14 |
Family
ID=7861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7201A Active KR102477186B1 (en) | 2020-03-27 | 2020-03-27 | Animal Trapp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7186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20292A1 (en) | 2001-07-25 | 2003-01-30 | Hsu Shih Hao | Gripping device having length adjusting mechanism |
US20070152457A1 (en) | 2005-10-21 | 2007-07-05 | HUTCHINGS Martin | Collapsible remote mechanical grasper for handling explosive devices |
US20140062113A1 (en) | 2012-02-22 | 2014-03-06 | Carter J. Kovarik | Selectively Bendable Remote Gripping Tool |
US10500715B1 (en) | 2018-12-25 | 2019-12-10 | James Fleming | Foldable reacher grabber tool |
-
2020
- 2020-03-27 KR KR1020200037201A patent/KR1024771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20292A1 (en) | 2001-07-25 | 2003-01-30 | Hsu Shih Hao | Gripping device having length adjusting mechanism |
US20070152457A1 (en) | 2005-10-21 | 2007-07-05 | HUTCHINGS Martin | Collapsible remote mechanical grasper for handling explosive devices |
US20140062113A1 (en) | 2012-02-22 | 2014-03-06 | Carter J. Kovarik | Selectively Bendable Remote Gripping Tool |
US10500715B1 (en) | 2018-12-25 | 2019-12-10 | James Fleming | Foldable reacher grabber tool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인터넷 게시물, "Big Apple Collapsible 40 Inch Snake Tong Folds In Half(2015.10.18.)" (Url : www.youtube.com/watch?v=v9QYg-Qj-jA) 1부.* |
인터넷 게시물, "Collapsible Snake Tongs - How to use and best features(2010.03.11.)" (Url : www.youtube.com/watch?v=01u6n9DSlbo)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1344A (en) | 2021-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8074Y1 (en) | Animal catching snare | |
CA2747919C (en) | Cord lock guide for blinds | |
AU620604B2 (en) | A trap | |
US20110289821A1 (en) | Humane racoon restraint | |
US20100031555A1 (en) | Animal Trap | |
JP2010239870A (en) | Tool for attaching rope for pulling logged tree | |
US8615850B2 (en) | Window adjustment cord safety connector | |
DE602005006032T2 (en) | Detection for extension cable and plug-in coupling | |
KR102477186B1 (en) | Animal Trapping Device | |
CN109220290B (en) | Pruning tool | |
US5309667A (en) | Lacchia leg snare | |
AU2008203804A1 (en) | Wire strainer | |
US6684562B1 (en) | Snake catcher | |
KR102261788B1 (en) | apparatus for capturing animals | |
US20170181405A1 (en) | Dog Grooming Clamp | |
US9781917B1 (en) | Animal trap | |
CA1171779A (en) | Fishing tool to retrieve cables from wells | |
US20150272107A1 (en) | Trap Set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 |
JP6815553B1 (en) | Capture trap device | |
US12029211B2 (en) | Slide lock assembly and snaring tool | |
RU164506U1 (en) | DEVICE FOR STORING AND UNLOADING LENGTH ELASTIC PRODUCT | |
JP6176616B2 (en) | Improved structure of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mbrella | |
KR100581725B1 (en) | Dog chain lead length adjuster | |
US3417504A (en) | Trap | |
JP3046264B2 (en) | Lure collection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