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76825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oT service based on data platfor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oT service based on data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825B1
KR102476825B1 KR1020160074946A KR20160074946A KR102476825B1 KR 102476825 B1 KR102476825 B1 KR 102476825B1 KR 1020160074946 A KR1020160074946 A KR 1020160074946A KR 20160074946 A KR20160074946 A KR 20160074946A KR 102476825 B1 KR102476825 B1 KR 102476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sensing data
data
providing
corre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49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41928A (en
Inventor
김명수
정태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825B1/en
Publication of KR2017014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9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82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태양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복수의 IoT 기기로부터 복수의 종류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센싱 데이터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각 종류의 상기 센싱 데이터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가중치가 반영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 IoT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a dat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receiving, by an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a plurality of types of sensing data from a plurality of IoT devices, and the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using different types of sensing data. Analyzing the correlation/correlation between the sensed data and determining the weight of each type of the sensed data by the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using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correlation, and providing the IoT service The method may include providing a first IoT service by using the sensing data to which the weight is reflected.

Description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oT service based on data platform}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oT service based on data platfor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oT service based on data platform}

본 발명은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IoT 기기로부터 센싱 데이터(sensing data)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융합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서비스의 사용성과 가용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oT service based on a data platform. More specifically, a method for maximizing the usability and availability of IoT services by using a data platform capable of receiving sensing data from one or more IoT devices and converging the received sensing data, and performing the method It's about the device.

최근 IoT 기기의 보급과 사용이 활성화 되면서, IoT 기기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IoT 서비스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즉 의료, 물류, 에너지, 사회 안전, 스마트 홈 등 다양한 분야에서 IoT 기술이 확산됨에 따라, 많은 IoT 서비스 사업자들이 자신들의 서비스를 위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As the spread and use of IoT devices have recently been activated, the types of IoT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using IoT devices are also diversifying. In other words, as IoT technology spreads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care, logistics, energy, social safety, and smart home, many IoT service providers develop IoT applications for their services and operate services.

그러나 종래의 IoT 기기들은 대부분 한가지 활동에 초점이 맞춰져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수면이나 운동, TV 시청과 같이 하나의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기기를 각 제조사에서 개발해왔다. 그러다 보니 각 제조사가 만든 IoT 기기 중심으로 IoT 환경이 구축되어 왔다.However, most conventional IoT devices have been developed with a focus on one activity. For example, each manufacturer has developed IoT devices to provide these services by focusing on one service, such as sleeping, exercising, or watching TV. As a result, the IoT environment has been built around the IoT devices made by each manufacturer.

예를 들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oT 기기임에도 제조사에 따라 내장된 센서가 다르고 수집하는 데이터가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 데이터 중복 수집의 문제나, 동일 상황에 대한 상이한 인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명의 사용자가 수면 관리를 위해 서로 다른 제조사가 만든 제1 IoT 기기와 제2 IoT 기기를 사용한다고 가정해보자. 이 때, 제1 IoT 기기에서의 분석 결과와 제2 IoT 기기에서의 분석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사용성 측면에서 제한이 생길 수 있다.For example, even though IoT devices are intended to provide the same service, the built-in sensors and collected data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This may cause a problem of duplicate data collection or different recognition of the same situation. For example, suppose that one user uses a first IoT device and a second IoT device made by different manufacturers for sleep management. At this time, the analysis result of the first IoT device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second IoT device may come out different. This may cause limitations in terms of usability for users.

또한 일부 IoT 기기가 동일한 센서를 내장하고 동일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도 서로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특정 IoT 기기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IoT 기기가 제공하는 IoT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는 가용성 측면에서 제한이 생길 수 있다.In addition, since some IoT devices do not share data even though they have the same sensors and collect the same data, if a problem occurs in a specific IoT device, the IoT service provided by the IoT device may not be provided smoothly. have. This can create limitations in terms of usability for users.

예를 들어 한 명의 사용자가 수면 관리를 위해 제1 IoT 기기를 사용하고, 운동 관리를 위해 제2 IoT 기기를 사용한다고 가정해보자. 이 때, 제1 IoT 기기와 제2 IoT 기기에 내장된 센서가 동일하여 수집하는 정보도 같은 경우에도, 제1 IoT 기기가 고장 나면 수면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된다. 만약 제1 IoT 기기와 제2 IoT 기기가 수집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면, 제1 IoT 기기가 고장 나더라도 제2 IoT 기기가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면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suppose that one user uses a first IoT device for sleep management and a second IoT device for exercise management. At this time, even if the sensors embedded in the first IoT device and the second IoT device are the same and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the same, if the first IoT device fails, the sleep management service cannot be received. If the data collected by the first IoT device and the second IoT device can be shared, even if the first IoT device fails, a sleep management service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by the second IoT device.

이에 각 제조사에서 만든 IoT 기기 중심의 IoT 환경이 아니라 IoT 서비스를 중심으로 각 IoT 기기가 수집한 데이터를 공유하고 융합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share and converge the data collected by each IoT device centering on the IoT service, rather than the IoT environment centered on the IoT device created by each manufactur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oT service based on a data platform.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은,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복수의 IoT 기기로부터 복수의 종류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센싱 데이터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각 종류의 상기 센싱 데이터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가중치가 반영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 IoT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a data platfor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receiving, by an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a plurality of types of sensing data from a plurality of IoT devices, and providing the IoT service. Analyzing, by a device, a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the sensing data, and determining a weight of each type of the sensing data by using a result of the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analyzing the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and providing, by the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a first IoT service by using the sensing data to which the weight is reflec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센싱 데이터를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nalyzing the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may include apply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the sensing data of different types.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센싱 데이터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각 종류의 상기 센싱 데이터의 비례 계수를 구하고, 상기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determining the weight of the sensing data may include obtaining a proportional coefficient of each type of the sensing data and determining the weight using the proportional coefficient.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례 계수의 역수를 상기 가중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determining the weight by using the proportional coefficient may include determining a reciprocal of the proportional coefficient as the weight.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종류의 센싱 데이터 중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의 수신이 누락되는 경우, 상기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와 상관/연관 관계를 가지는 다른 종류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의 참조가 필요한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viding of the first IoT service may include, when reception of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sensing data is omitted, a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with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It may include providing a first IoT service requiring reference to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by using another type of sensing data having .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의 참조가 필요한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종류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의 값을 복원한 가상의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roviding of the first IoT service requiring reference to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may include restoring a value of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using the other type of sensing data. It may include generating sensing data.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IoT 기기는, 상기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IoT 기기 내지 제n IoT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IoT 기기 내지 제n IoT 기기가 측정한 센싱 데이터를 상기 가중치에 따라 합산하여 상기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include a first IoT device to an n-th IoT device providing the first IoT service, and providing the first IoT service includes the first IoT device. and providing the first IoT service by summing sensing data measured by nth IoT devices according to the weight.

종래에는 IoT 기기를 중심으로 IoT 서비스가 1:N 으로 관리가 되었다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IoT 서비스를 중심으로 IoT 기기를 1:N으로 관리하게 된다. 즉, IoT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IoT 기기에서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공유하고 융합할 수 있게 되어, IoT 기기가 수집한 데이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Conventionally, if IoT services are managed on a 1:N basis centering on IoT devic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oT devices are managed on a 1:N basis on IoT services. That is, sinc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different IoT devices can be shared and converged centering on IoT service, the usability of data collected by IoT devices can be increased.

또한 IoT 서비스를 중심으로 IoT 기기를 1:N으로 관리하게 되므로, 특정 IoT 기기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IoT 기기를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oT devices are managed 1:N centering on IoT services, even if a failure occurs in a specific IoT device, IoT services can be provided to users using other IoT devices. Since IoT services can be provided to users reliably, availability can be secur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신체 부위별로 장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신체 부위별로 장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IoT 기기가 수집하는 데이터와 IoT 기기가 제공하는 IoT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회귀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센싱 데이터 간의 가중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의 로지스틱 함수(logistic function)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number of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worn for each body par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data collected by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for each body part.
3 to 5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data collected by IoT devices and IoT services provided by IoT devices.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oT service based on a dat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ecuring availability in an IoT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a dat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to 8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regression analysis that can be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weights between sensing data that may b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to 1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logistic function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at can b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of an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based on a dat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of an IoT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a dat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신체 부위별로 장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number of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worn for each body part.

도 1을 참고하면, 사람 모양의 형상에서 머리부터 발 끝까지 장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수가 각 부위별로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1의 수치는 2014년 말을 기준으로 한 통계 자료에서 발췌한 것이다. 도 1의 도면을 표로 간단히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머리와 손목에 장착 가능한 IoT 기기가 가장 활성화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mounted from head to toe in a human shape is displayed for each part. The figures in Figure 1 are extracted from statistical data as of the end of 2014. The drawing of FIG. 1 is briefly summarized in a table as follows. 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IoT devices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and wrist are most active.

신체 부위body part 웨어러블 기기의 수number of wearable devices 머리(Head)Head 42개42 목(Neck)Neck 11개11 가슴(Chest)Chest 7개7 pieces 몸통(Torso)Torso 12개12 팔(Arms)Arms 8개8 손목(Wrist)Wrist 85개85 손(Hands)Hands 5개5 pieces 허리(Waist)Waist 9개9 다리(Legs)Legs 7개7 pieces 발(Feet)Feet 8개8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IoT 기기 중에서 가장 상용화가 많이 이루어진 분야 중에 하나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관련된 분야로 사람의 활동량 등을 측정하여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이다. 예를 들면 Fitbit 사의 제품군이나, 삼성의 기어 시리즈와 스마트 밴드, 소니의 스마트 워치와 스마트 밴드 제품들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 one of the most commercialized fields among IoT devices is a field related to wearable devices, which measures a person's activity and provides customized services. For example, Fitbit's product line, Samsung's gear series and smart band, and Sony's smart watch and smart band products.

이처럼 많은 IoT 기기가 출시되어 있지만, 제조사 별로 제품 별로 제각각이어서 이를 융합한 서비스나 제품이 출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에 IoT 기기들이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취합한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일종의 생태계로서 작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IoT 서비스의 사용성과 가용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There are many IoT devices on the market, but each manufacturer and product are different, so there is no service or product that combines them. Accordingly, if IoT services can be provided by building a data platform that collects sensing data collected by IoT devices and acting as a kind of ecosystem, the usability and availability of IoT services can be strengthened.

도 1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위주로 표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데이터 플랫폼이 대상으로 하는 IoT 기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에서 가정에서 스마트 홈을 위해 설치되는 IoT 기기나, 공장에서 생산 공정 자동화를 위해 설치되는 IoT 기기도 대상이 될 수 있다. 이하,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현재 상용화가 많이 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위주로 데이터 플랫폼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In FIG. 1, wearable devices are mainly displayed, but IoT devices targeted by the data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wearable devices. In addition, IoT devices installed for smart homes at home or IoT devices installed for automation of production processes in factories may also be target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data platform will be described with a focus on wearable devices that are currently commercialized.

도 2는 신체 부위별로 장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data collected by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for each body part.

도 2를 참고하면 각 신체 부위별로 장착 가능한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있고, 여기서 각각 수집하는 정보들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머리에 장착 가능한 기기는 뇌파 등을 감지하여 수면 시간(sleep time)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목에 장착 가능한 기기는 사용자가 갑자기 쓰러지거나 하는 경우(fall detect)를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re are various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attached to each body part, and information collected by each can be seen here. For example, a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head can collect data on sleep time by detecting brain waves, and a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neck can detect when a user suddenly falls down (fall detection). have.

또한 팔에 장착 가능한 밴드류는 혈압(blood pressure)이나 칼로리(calories)를 측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손목에 장착 가능한 밴드류는 스트레스(stress)나 활동량(total activity)을 측정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가슴 부위에 패치형으로 부착되는 기기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phy)를 측정할 수도 있다.Bands that can be worn on the arm can also measure blood pressure or calories. In addition, bands that can be worn on the wrist may measure stress or total activity. In addition, a patch-type device attached to the chest area can measure electrocardiography (ECG).

그 외에도 손가락 끝에 장착 가능한 기기는 산소 포화도(SpO2)를 측정할 수 있고, 허리춤에 장착 가능한 기기는 체온(skin temperature)을, 바지 주머니에 장착 가능한 기기는 만보기(pedometer)로 사용자의 걸음 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다양한 IoT 기기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addition, a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fingertip can measure oxygen saturation (SpO2), a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waist can measure skin temperature, and a device that can be worn in a pants pocket can measure the user's steps with a pedometer. You may. In this way, various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through various IoT devices.

이렇게 IoT 기기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센서(sensor)를 내장하고 있어야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IoT 기기가 여러 개의 센서를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몇몇 상용화 제품들의 센서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2와 같다.In order to collect data from IoT devices, sensors must be built in. In some cases, a single IoT device may have multiple sensors embedded in it. Looking at the sensors of some commercialized products, Table 2 below shows them.

IoT 기기IoT devices 내장 센서built-in sensor 삼성의 기어 핏samsung gear fit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심박수 센서Accelerometer, Gyro Sensor, Heart Rate Sensor 삼성의 기어 Ssamsung gear s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고도 센서, GPS, 심박수 센서, 주변광 센서, 자외선 센서,Accelerometer, Gyro Sensor, Altitude Sensor, GPS, Heart Rate Sensor, Ambient Light Sensor, UV Sensor, Fitbit의 손목 밴드(Flex)Fitbit's wristband (Flex) 3축 가속도계3-axis accelerometer Fitbit의 스마트 워치(Surge)Fitbit's smart watch (Surge) GPS, 3축 가속도계, 3축 자이로스코프, 디지털 컴퍼스, 광학 심박동 모니터, 고도계, 주변광 센서GPS, 3-axis accelerometer, 3-axis gyroscope, digital compass, optical heart rate monitor, altimeter, ambient light sensor

표 2에서도 볼 수 있듯이, 몇몇 IoT 기기에는 내장된 센서가 일부 겹치는 경우가 있다. 즉 IoT 기기별로 수집하는 데이터가 일부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할 때, 서로 수집하는 데이터가 중복되는데도 불구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다 보니, 데이터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As can be seen in Table 2, some IoT devices have some overlapping built-in sensors. That is, data collected by IoT device may partially overlap. However, when providing IoT services using collected data, there are few cases in which data is shared even though the data collected is overlapped. As a result, the utilization of data is often poor.

도 3 내지 도 5는 IoT 기기가 수집하는 데이터와 IoT 기기가 제공하는 IoT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3 to 5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data collected by IoT devices and IoT services provided by IoT devices.

도 3을 참고하면 3개의 IoT 기기가 예시된 것을 볼 수 있다. 하나는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밴드(110)이고 다른 하나는 옷의 주머니에 장착이 가능한 클립(120)이고 나머지 하나는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시계(130)이다. 도 3에 예시된 IoT 기기는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IoT 기기를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Referring to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ree IoT devices are illustrated. One is a band 110 that can be worn on a wrist, the other is a clip 120 that can be worn in a pocket of clothes, and the other is a watch 130 that can be worn on a wrist. The IoT device illustrated in FIG. 3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one user uses a plurality of IoT devices.

밴드(110)의 경우 수집하는 데이터는 체온과 심박수이며 이를 이용하여 운동 관리(220)를 서비스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운동 시간이나, 운동시 소모된 칼로리 등을 관리하는 서비스가 있을 수 있다. 클립(120)의 경우 수집하는 데이터는 수면 시간과 체온이며, 수면 시간을 기준으로는 수면 관리(210)를 서비스로 제공하고, 체온을 기준으로는 운동 관리(220)를 서비스로 제공한다. 시계(130)의 경우 수집하는 데이터는 맥박, 혈류, 데시벨이며 맥박과 혈류를 기준으로는 운동 관리(220)를 서비스로 제공하고, 데시벨을 기준으로는 음악 제어(230)를 서비스로 제공한다.In the case of the band 110, the collected data are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and exercise management 220 is provided as a service using these data. For example, there may be a service for managing exercise time or calories consumed during exercise. In the case of the clip 120, the collected data is sleep time and body temperature, sleep management 210 is provided as a service based on sleep time, and exercise management 220 is provided as a service based on body temperature. In the case of the watch 130, the collected data is pulse rate, blood flow, and decibels, and exercise management 220 is provided as a service based on pulse rate and blood flow, and music control 230 is provided as a service based on decibels.

도 3의 예시에서는 수집하는 데이터는 서로 상이하나, 제공하는 서비스는 유사한 부분이 많다. 밴드(110), 클립(120), 시계(130)의 IoT 기기 모두 운동 관리(220)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클립(120)의 경우 수면 관리(210)을 추가로 더, 시계(130)의 경우 음악 제어(230)를 추가로 더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3 , collected data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services provided are similar in many parts. All of the IoT devices of the band 110, clip 120, and watch 130 provide exercise management 220 by default, and in the case of the clip 120, sleep management 210 is additionally added, and in the case of the watch 130 It can be seen to further provide additional music controls 230 .

하지만, 도 3의 예시처럼 각 IoT 기기끼리 통신을 하는 등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는 기능이 있는 것은 아니다. 각 기기별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른 IoT 기기와는 별개로 서비스를 제공할 뿐이다. 그러다 보니, 밴드(110)에서 제공하는 운동 관리(220) 서비스와 클립(120)에서 제공하는 운동 관리(220) 서비스가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고, 반대로 클립(120)이 고장 나면 수면 관리(210)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경우도 생긴다.However, as in the example of FIG. 3, there is no function of sharing collected data with each other by communicating with each IoT device. It only collects data for each device and provides services independently of other IoT devices. As a result, the exercise management 220 service provided by the band 110 and the exercise management 220 service provided by the clip 120 may show different results, and conversely, if the clip 120 is broken In some cases, the sleep management (210) service cannot be received.

도 3에서 각 기기의 둘레에 표시한 경계선처럼, 종래에는 IoT 기기를 중심으로 IoT 기기와 IoT 서비스가 1:N의 관계를 가지고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다. 만약 IoT 서비스를 중심으로 IoT 서비스와 IoT 기기가 1:N의 관계를 가지고 사용자에게 제공된다면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Like the boundary line shown around each device in FIG. 3, IoT devices and IoT services have conventionally been provided to users with a 1:N relationship centered on IoT devices. If IoT services and IoT devices are provided to users in a 1:N relationship centering on IoT services, user convenience will be further enhanced.

도 4는 도 3을 센서 측정과 서비스 제공 부분으로 나누어서 다시 표시한 그림이다. 도 4를 참고하면 IoT 서비스 별로 어떠한 IoT 기기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볼 수 있다. 즉 도 3이 IoT 기기 중심으로 그린 도면이라면 도 4는 IoT 서비스 중심으로 그린 도면이다.FIG. 4 is a re-display of FIG. 3 by dividing it into sensor measurement and service provision parts. Referring to FIG. 4 , it can be seen which IoT device provides the corresponding service for each IoT service. That is, if FIG. 3 is a drawing centered on IoT devices, FIG. 4 is a diagram drawn centering on IoT services.

도 4를 참고하면 수면 관리(210) 서비스는 클립(120)만이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음악 제어(230) 서비스는 시계(130) 만이 제공한다. 수면 관리(210) 서비스는 이를테면 수면 시간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숙면, 뒤척임, 깨어남을 확인하고 진동으로 알람을 제공하는 기능 등을 말한다. 음악 제어(230) 서비스는 이를테면 주변의 소음 정도를 측정하여 스마트폰에 있는 음악의 선곡이나 플레이, 음량 조정을 제공하는 기능 등을 말한다.Referring to FIG. 4 , only the clip 120 provides the sleep management 210 service. Similarly, the music control 230 service is provided only by the watch 130 . The sleep management 210 service refers to, for exampl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nalyzing sleep time to check sleepiness, tossing and waking up, and providing an alarm with vibration. For example, the music control 230 service refers to a function of measuring the level of ambient noise and providing selection, play, or volume control of music in the smartphone.

운동 관리(220) 서비스는 밴드(110)와 클립(120) 및 시계(130)가 모두 제공하는 IoT 서비스이다. 운동 관리(220) 서비스는 이를 테면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의 운동 종류를 판단하고 칼로리 소모량을 측정하는 기능, 운동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 여부를 제공하는 기능 등을 말한다.The exercise management 220 service is an IoT service provided by the band 110, the clip 120, and the watch 130. The exercise management 220 service refers to a function of determining a type of exercise, such as running or cycling, measuring calorie consumption, and a function of setting an exercise goal and providing whether or not it has been achieved.

하지만 운동 관리(220) 서비스는 밴드(110)와 클립(120) 및 시계(130)가 모두 제공하는 IoT 서비스이나, 각 IoT 기기에서 이용하는 센싱 데이터는 상이하다. 밴드(110)의 경우에는 체온과 심박수를 이용하여 운동 관리(220) 서비스를 제공하고, 클립(120)의 경우에는 체온만으로, 시계(130)의 경우에는 맥박과 혈류를 이용하여 운동 관리(220) 서비스를 제공한다.However, the exercise management 220 service is an IoT service provided by the band 110, the clip 120, and the watch 130, but the sensing data used by each IoT device is different. In the case of the band 110, the exercise management 220 service is provided using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and in the case of the clip 120, only body temperature is used, and in the case of the watch 130, exercise management 220 using pulse and blood flow. ) to provide services.

운동 관리(220) 서비스를 제공하는 IoT 기기가 여러 개임에도, 각각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만약 운동 관리(220)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IoT 기기가 수집한 체온, 심박수, 맥박, 혈류를 모두 고려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사용성이 높아질 것이다.Although there are several IoT devices that provide the exercise management 220 service, accuracy is inevitably different because each service is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the exercise management 220 service, usability will increase if the IoT service can be provided by considering all of the body temperature, heart rate, pulse rate, and blood flow collected by each IoT device.

만약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세 개의 IoT 기기 중에서 클립(120)이 고장 났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에 클립(120)에서 수집하는 데이터 중에서 수면 시간과 관련된 데이터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물론 클립(120)에서 체온도 수집하고 있으므로 클립(120)이 고장 나게 되면 클립(120)이 수집한 체온도 사용할 수 없게 되나, 밴드(110)에서 체온을 수집하고 있으므로 문제가 없다.Assume that the clip 120 is out of order among the three IoT devices as illustrated in FIG. 5 . In this case, among the data collected by the clip 120, data related to sleep time cannot be used. Of course, since the clip 120 collects the body temperature, if the clip 120 breaks down, the body temperature collected by the clip 120 cannot be used, but there is no problem because the band 110 collects the body temperature.

이렇게 클립(120)이 고장 나게 되면 다른 IoT 서비스는 문제가 없으나 수면 관리(210) 서비스는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만약 다른 기기가 수면 시간을 수집할 수 있거나, 또는 수면 시간을 대신할 수 있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면, 클립(120)이 고장나도 사용자에게 수면 관리(210)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IoT 서비스의 가용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If the clip 120 is broken in this way, there is no problem with other IoT services, but the sleep management 210 service cannot be used. At this time, if another device can collect the sleep time or collect information that can replace the sleep time, the sleep management 210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even if the clip 120 is broken. . In other words, the availability of IoT services will increase.

도 3 내지 도 5를 통해서 종래의 IoT 기기와 해당 IoT 기기가 제공하는 IoT 서비스의 예시를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서는 IoT 서비스의 사용성과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데이터 플랫폼을 이용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플랫폼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서 살펴보도록 한다.Examples of conventional IoT devices and IoT services provided by the IoT devices were reviewed through FIGS. 3 to 5 .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IoT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data platform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and availability of the IoT service. A data platform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viewed through FIG. 6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n IoT service based on a dat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에는 도 3의 예시처럼 IoT 기기와 IoT 서비스가 1:N의 관계로, 즉 IoT 기기 중심으로 IoT 서비스가 제공되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IoT 서비스를 중심으로 IoT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IoT 기기와 IoT 서비스 사이에 데이터 플랫폼(300)이라는 중개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한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3, the IoT device and the IoT service have a 1:N relationship, that is, the IoT service is provided centered on the IoT device. In contras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mponent having a mediation function called a data platform 300 between an IoT device and an IoT service in order to build an IoT environment centered on the IoT service.

데이터 플랫폼(300)은 IoT 기기(100)가 수집한 정보를 취합하고 가공하여 IoT 서비스(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도 3이 파이프 라인 구조라면 도 6은 모래 시계와 같은 구조라고 볼 수 있다. 각 IoT 기기(100)가 수집한 정보가 데이터 플랫폼(300)에서 융합되어 IoT 서비스(200)에 제공됨으로써 사용성과 가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data platform 300 serves to collect and process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IoT device 100 and provide it to the IoT service 200. If the conventional FIG. 3 is a pipeline structure, FIG. 6 may be regarded as a structure like an hourglass. Information collected by each IoT device 100 is converged in the data platform 300 and provided to the IoT service 200, thereby ensuring usability and availability.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A to 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ecuring availability in an IoT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a dat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고하면 데이터 플랫폼(300) 내에서 각 IoT 기기가 수집하여 전송한 데이터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한 것을 볼 수 있다. 즉, 수면 시간은 체온과 데시벨을 이용하여 추정이 가능하고 심박수는 맥박과 혈류 속도를 이용해 추정이 가능한 점을 데이터 플랫폼(300)에서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 it can be seen that correlation/correlation between data collected and transmitted by each IoT device within the data platform 300 is analyzed. That is, it can be known from the data platform 300 that sleep time can be estimated using body temperature and decibels, and heart rate can be estimated using pulse and blood flow rate.

예를 들면 체온이 일정하고 데시벨이 낮은 경우 사람이 수면 상태라고 보고, 체온이 일정하게 그리고 데시벨이 낮게 유지되는 시간을 분석하여 수면 시간을 계산해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뇌파를 측정하는 센서가 없어서 직접적으로 수면 시간을 측정할 수는 없으나, 체온과 데시벨을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수면 시간을 측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body temperature is constant and the decibel is low, it is considered that a person is in a sleep state, and the sleep time can be calculated by analyzing the time when the body temperature is kept constant and the decibel is low. Through this, sleep time cannot be directly measured because there is no sensor for measuring brain waves, but sleep time can be measured indirectly using a sensor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and decibels.

물론 뇌파 분석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면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클립(120) 기기가 있는 경우에는 이처럼 체온과 데시벨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수면 시간을 측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앞서 도 5에서 살펴본 것처럼 클립(120)이 고장나는 경우 사용자는 수면 관리(210)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하고자 할 때는, 이러한 상관/연관 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Of course, if there is a clip 120 device capable of directly measuring sleep time through brain wave analysis, etc., it is not necessary to indirectly measure sleep time using body temperature and decibels. However, as described in FIG. 5 above, when the user wants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cannot receive the sleep management 210 service when the clip 120 is broken, such a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can be used.

도 7b를 참고하면 도 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클립(120) 기기가 고장 나서 수면 시간을 직접적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도 7b의 경우에서는 체온과 데시벨을 이용하여 가상으로 수면 시간을 계산해내서 활용할 수 있다. 즉 간접적으로 추정한 수면 시간을 이용하여 수면 관리 서비스(210)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 as in the case of FIG. 5 , it can be seen that data directly measured for sleep time cannot be used because the clip 120 device is out of order. Nevertheless, in the case of FIG. 7B , the sleep time can be virtually calculated and utilized using the body temperature and decibels. That is, the sleep management service 21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using the indirectly estimated sleep time.

표 2에서 살펴본 것처럼 IoT 기기가 내장하고 있는 센서가 일부 중복되는 것이 많은 점을 고려하면, 어느 한 기기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다른 기기의 센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는 IoT 서비스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플랫폼(300)은 각 IoT 기기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한다.As seen in Table 2, considering that there are many overlapping sensors embedded in IoT devices, IoT services can be equally applied to users by utilizing sensor information from other devices despite the failure of one device. . To this end, the data platform 300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sensing data from each IoT device and analyzes correlation/relationship.

다시 말해 데이터 간의 종속성을 분석하여 어느 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종속성이 있는 다른 데이터로부터 이용할 수 없는 해당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즉 Io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도 7b에 예시된 것처럼 가상의 수면 시간 노드를 생성하고 가상의 수면 시간 노드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dependencies between data, even if a situation in which one data is unavailable occurs, the unavailable data can be restored from other data with dependencies. That is, in order to provide the IoT service, as illustrated in FIG. 7B , a virtual sleep time node may be created and information of the virtual sleep time node may be utilized.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어느 한 IoT 기기가 고장 나더라도 IoT 서비스(200)를 문제 없이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IoT 서비스(200)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종래에는 IoT 기기 중심이었다면 본 발명에서는 IoT 서비스 중심이므로 IoT 서비스가 IoT 기기에 대해 가지는 의존도를 낮추어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From the user's point of view, even if any one IoT device fails, the IoT service 200 can be provided without problems, so the availability of the IoT service 200 can be increased. In the prior art, if the IoT device was centered,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oT service, so the service can be stably provided by reducing the dependence of the IoT service on the IoT device.

이를 위해서는 각 센싱 데이터 간의 상관/연관 관계를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플랫폼(300)은 각 센싱 데이터 간의 상관/연관 관계(correlation)를 분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8a 내지 8c 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know the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each sensed data. The data platform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utiliz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correlation/correlation between each sensed data. In this regard, it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in FIGS. 8A to 8C.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A to 8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at may b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로지스틱 회귀 분석은(logistic regression)는 D.R.Cox가 1958년에 제안한 확률 모델로서 독립 변수의 선형 결합을 이용하여 사건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통계 기법이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 관련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 웹사이트 https://en.wikipedia.org/wiki/Logistic_regression에서 확인할 수 있다.Logistic regression is a probability model proposed by DRCox in 1958 and is a statistical technique used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n event using a linear combina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For more information related to logistic regression, visit the wiki website https://en.wikipedia.org/wiki/Logistic_regression .

도 8a를 참고하면 수면 시간과 체온 및 데시벨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클립(120)의 고장으로 수면 시간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경우, 체온과 데시벨을 이용하여 수면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우선 주성분을 이루는 체온과 데시벨의 계수를 계산한다. 즉 체온과 데시벨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먼저 분석한다.Referring to FIG. 8A , a process of analyzing correlation/correlation between sleep time, body temperature, and decibels can be seen. When the sleep time cannot be directly measured due to the failure of the clip 120, the sleep time can be estimated using body temperature and decibels. First, the body temperature and decibel coefficients, which form the main components, are calculated. That is, the correlation/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temperature and the decibel is analyzed first.

다음으로 도 8b를 참고하면 수면 시간과 도 8a에서 구한 체온과 데시벨의 연관성 주성분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다시 분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추정하려는 수면 시간 이외의 데이터에 대해 먼저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고, 추출할 비활성 데이터 축으로 이를 투영(projection)하여 비활성 데이터를 유추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8B , it can be seen that the correlation/correlation between the sleeping time and the main compon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temperature and the decibel obtained in FIG. 8A is analyzed again. That is, inactive data may be inferred by first analyzing correlation/correlation for data other than the sleep time to be estimated, and projecting it onto an inactive data axis to be extracted.

도 8c를 참고하면 체온과 데시벨과 수면 시간으로 이루어진 3차원 평면에서 체온과 데시벨과 수면 시간의 상관/연관 관계가 하나의 주성분으로 표현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관/연관 관계 분석은 누적 데이터가 많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지게 된다. 즉 체온, 데시벨, 수면 시간의 데이터가 쌓일수록 이전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관/연관 관계를 지속적으로 갱신해 나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C , it can be seen that the correlation/relationship between body temperature, decibels, and sleep time is expressed as one main component on a three-dimensional plane composed of body temperature, decibels, and sleep time. The accuracy of this correlation/correlation analysis increases as the amount of accumulated data increases. That is, as the data of body temperature, decibels, and sleep time accumulate, previous data can be analyzed to continuously update the correlation/relationship.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센싱 데이터 간의 가중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weights between sensing data that may b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고하면 운동 관리(220)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4개의 변수 체온, 심박수, 맥박, 혈류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 분석을 통해 각 변수의 가중치를 표시한 것을 볼 수 있다. 편의상 합이 1이 되도록 스케일링(scaling)하여 가중치를 표시하였다.Referring to FIG. 9 , it can be seen that the weights of each variable are displayed through correlation/relationship analysis among the four variables body temperature, heart rate, pulse rate, and blood flow to provide the exercise management 220 service. For convenience, the weight is displayed by scaling so that the sum becomes 1.

각 변수 간의 가중치는 각 변수의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변수 a와 변수 b가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였더니 그 상관/연관 관계가 2:1의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즉 특정 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a가 2의 값이 증가하여 미치는 정도와 b가 1의 값이 증가하여 미치는 정도가 동일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 경우 b가 더 작은 변화에도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비례의 역수를 가중치로 할 수 있다. 즉 a의 가중치는 1, b의 가중치는 2가 될 수 있다.The weight between each variable can be obtain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For example, when a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 a and variable b is analyzed, the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may have a ratio of 2:1. That is, the degree of influence on a specific indicator can be evaluated as the same as the degree to which a increases in the value of 2 and the degree to which b increases in the value of 1. In this case, since a smaller change in b has a larger effect, the reciprocal of the proportionality can be used as the weight. That is, the weight of a can be 1 and the weight of b can be 2.

이처럼 본 말영의 데이터 플랫폼을 이용하면, 센싱 데이터 간의 연관도 및 가중치를 정의하여 통합적으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IoT 서비스와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모두 반영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IoT 기기가 수집한 데이터 사이의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다.By using this data platform,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grated IoT service by defin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and weight between sensing data. Since the IoT service is provided by reflecting all the sensing data related to a specific IoT service, the sense of difference between the data collected by the IoT device can be resolved.

도 9를 참고하면 운동 관리(220)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체온은 0.1의 가중치로, 심박수는 0.5의 가중치로, 맥박은 0.3의 가중치로, 혈류는 0.2의 가중치로 데이터를 종합하여 운동 관리(220)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종래에는 도 3의 예처럼 밴드(110)는 체온과 심박수만으로 운동 관리(220) 서비스를 제공하고, 클립(120)은 체온만으로 운동 관리(220)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각 IoT 기기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IoT 서비스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in order to provide an exercise management service (220), the body temperature is weighted at 0.1, the heart rate is weighted at 0.5, the pulse rate is weighted at 0.3, and the blood flow is weighted at 0.2, and exercise management (220 ) service can be seen. Conventionally, as in the example of FIG. 3, the band 110 provides exercise management 220 service only with body temperature and heart rate, and the clip 120 provides exercise management 220 service only with body tempera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IoT device IoT service is provided by integrating the data of Through this, the usability of IoT services can be improved.

도 10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 분석의 로지스틱 함수(logistic function)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A to 11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logistic function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at can b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로지스틱 함수는 독립 변수와 무관하게 종속 변수의 값이 범위 [0, 1] 사이에 있도록 변환한 결과를 말한다. 이 때 독립 변수의 범위에 따라 종속 변수의 신뢰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0a의 경우 체온과 데시벨의 주성분으로 수면 시간을 추정할 때, 문턱값(threshold)이 0.5를 기준으로 시그모이드 함수(sigmoid function)의 값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The logistic function refers to the result of transforming the value of the dependent variable to be within the range [0, 1] regardless of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case, the reliability of the dependent variable may vary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In the case of FIG. 10A , when estimating the sleep time with the main components of body temperature and decibels,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of the sigmoid function changes based on a threshold of 0.5.

즉 도 10a처럼 체온과 데시벨의 주성분 값이 2와 8의 범위인 경우에는 수면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이 때의 신뢰도는 높다. 반대로 도 10b의 경우처럼 체온과 데시벨의 주성분 값이 -2와 -8의 범위인 경우에는 수면을 이상으로 판단하고 이 때에도 신뢰도가 높다.That is, when the main component values of body temperature and decibel are in the range of 2 and 8, as shown in FIG. 10A, sleep is determined to be normal, and reliability at this time is high. Conversely, as in the case of FIG. 10B, when the main component values of body temperature and decibel are in the range of -2 and -8, sleep is judged to be abnormal, and reliability is high even at this time.

그러나 문턱값인 0.5와 -0.5 사이인 경우에는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도 11a의 경우에는 체온과 데시벨의 주성분 값이 -4와 +6으로 이때에는 신뢰도가 높은 구간과 신뢰도가 낮은 구간을 모두 포함하고 있고 그 비율이 신뢰도가 낮은 구간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즉 도 11a의 경우 체온과 데시벨을 이용하여 수면 시간을 추정할 수는 있으나 신뢰도가 낮은 추정 값을 얻게 된다.However, when the threshold value is between 0.5 and -0.5, the reliability becomes relatively low. In the case of FIG. 11A, the main component values of body temperature and decibel are -4 and +6, and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both the high reliability interval and the low reliability interval are included, and the ratio has many intervals with low reliability. That is, in the case of FIG. 11A , sleep time can be estimated using body temperature and decibels, but an estimated value with low reliability is obtained.

도 11a의 경우에 비해 도 11b의 경우에는 체온과 데시벨의 주성분이 1h과 8 사이로 수면을 전상으로 판단한다. 이 때에는 신뢰도가 높은 구간과 낮은 구간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나, 도 11a의 경우와는 달리 신뢰도가 높은 구간의 비율이 더 높으므로 도 11a의 경우에 비해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다.Compared to the case of FIG. 11A, in the case of FIG. 11B, the main components of body temperature and decibels are between 1h and 8, and sleep is judged as a transition phase. In this case, both the high reliability interval and the low reliability interval are included, but unlike the case of FIG. 11A, since the ratio of the high reliability interval is higher, it can be seen that the reliability is relatively higher than in the case of FIG. 11A.

즉 다른 IoT 기기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상관/연관 관계에 따라 다른 IoT 기기의 값을 추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뢰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300)은 단순히 각 IoT 기기로부터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융합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신뢰도를 함께 제공하여 IoT 서비스의 사용성, 가용성, 신뢰도를 모두 확보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value of another IoT device according to the correlation/relationship using the measurement value of another IoT device, and also provide reliability. The data platform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imply converg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each IoT device, but also provides reliability to secure all of the usability,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of IoT services.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of an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based on a dat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IoT 데이터 수신 모듈(510)과 IoT 데이터 융합 모듈(550) 및 IoT 서비스 제공 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10 based on the data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oT data receiving module 510, an IoT data convergence module 550, and an IoT service providing module 530.

IoT 데이터 수신 모듈(510)은 복수의 IoT 기기로부터 각 IoT 기기가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S1110). 그 다음으로는 수신한 데이터들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한다(S1130).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과정은 수신한 데이터를 IoT 데이터 융합 모듈(550)에 전달하여 진행된다.The IoT data receiving module 510 serves to receive data measured using a sensor in each IoT device from a plurality of IoT devices (S1110). Next, correlation/correlation between the received data is analyzed (S1130). The process of analyzing correlation/relationship proceeds by transferring the received data to the IoT data convergence module 550.

IoT 데이터 융합 모듈(550)은 IoT 데이터 수신 모듈(5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고, 가중치를 연산하고, 신뢰도를 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우선 분석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들 사이에서 주성분을 추출한다(S1510). 즉 독립 변수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먼저 분석하여 하나의 변수로 차원을 낮추고, 그 후에 해당 주성분과 분석이 필요한 종속 변수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구한다(S1530). 독립 변수의 차원을 환원해가면서 상관/연관 관계를 구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8c에서 자세히 살펴보았다.The IoT data convergence module 550 analyzes correlation/correlation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IoT data receiving module 510, calculates weights, and performs processes of obtaining reliability. First, principal components are extracted from among data requiring analysis (S1510). That is, the correlation/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is first analyzed to lower the dimension to one variable, and then the correlation/correlation between the corresponding principal component and the dependent variable to be analyzed is obtained (S1530).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while reducing the dimension of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C.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이란 고차원의 데이터를 저차원의 데이터로 환원시키는 통계적 분석 방법이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원래의 표본보다 차원이 같거나 낮은 표본으로 변환할 수 있다. 3차원 이상의 데이터의 집합을 하나의 직선으로 근사하기 위해서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면, 손쉽고 효율적으로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s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hat reduces high-dimensional data to low-dimensional dat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an transform a sample into a sample with the same or lower dimensions than the original sample. I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used to approximate a set of three-dimensional or more data as a single straight line, correlation/correlation can be analyzed easily and efficiently.

기기 고장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비활성 센서 데이터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나머지 데이터들로 이루어진 표본의 주성분을 하나의 직선으로 근사시킨 후 이를 비활성 센서 데이터의 축으로 투영한다. 주성분을 하나의 직선으로 근사시키는 과정에서 각 센서 데이터의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비활성 센서 데이터의 축으로 투영된 주성분을 통해서 비활성 데이터를 유추할 수 있다.In order to estimate inactive sensor data that cannot be used due to device failure, etc., the main component of the sample consisting of the remaining data is approximated with a single straight line and then projected onto the axis of the inactive sensor data. Coefficients of each sensor data can be calculated in the process of approximating the principal components with a single straight line. Inactive data can be inferred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projected onto the axis of the inactive sensor data.

주성분을 분석하여 주성분과 분석이 필요한 종속 변수와의 상관/연관 관계를 구한 후에는, 사용한 주성분을 기준으로 잔차를 계산하고 신뢰도를 추출하여 추정한 종속 변수의 값과 함께 제공한다(S1550). 또한 지금까지의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한 과정들은 데이터가 쌓일수록 정확도가 높아지므로 지속적으로 머신 러닝에 의해 주성분 계수의 업데이트가 진행될 수 있다(S1570).After the principal components are analyzed to obtain the correlation/cor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 component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that need to be analyzed, residual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used principal components, and reliability is extracted and provided together with the estimated dependent variable values (S1550). In addition, since the processe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so far have higher accuracy as data accumulates, principal component coefficients may be continuously updated by machine learning (S1570).

IoT 기기의 각 센싱 데이터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작업은 사전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다가 특정 IoT 기기에 장애가 발생하면 해당 IoT 기기가 수집하던 센싱 데이터를 다른 센싱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공해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IoT 서비스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융합해서 복원한 IoT 데이터의 신뢰도를 함께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task of analyzing the correlation/correlation between each sensed data of the IoT device may be performed in advance. Then, when a failure occurs in a specific IoT device, the sensing data collected by the IoT device can be processed and provided based on other sensing data. This can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IoT services. In this process,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reliability of IoT data that is converged and restored.

또한 상관/연관 관계 분석을 통해 특정 IoT 서비스를 하나의 센싱 데이터만을 바탕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이 있는 다른 IoT 기기의 센싱 데이터도 취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IoT 서비스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각 IoT 센싱 데이터 사이의 가중치를 반영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correlation/relationship analysis, rather than providing a specific IoT service based on only one sensing data, the usability of the IoT service can be increased by collecting and providing the service by collecting the sensing data of other related IoT devices. In this process, user convenience can be enhanced by providing IoT services by reflecting the weight between each IoT sensing data.

IoT 서비스 제공 모듈(530)에서는 IoT 데이터 융합 모듈(550)에서 상관/연관 관계 분석을 통해서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IoT 서비스를 제공한다(S1310). 이 과정에서 센싱 데이터간 가중치를 반영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S1330). 종래에는 각 IoT 기기에서 측정한 센싱 데이터만을 바탕으로 IoT 서비스를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데이터 플랫폼(300)을 이용하면 여러 IoT 기기가 수집한 데이터를 각각의 가중치에 따라 취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IoT service providing module 530 provides the IoT ser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oT data convergence module 550 through correlation/relationship analysis (S1310). In this process, the service is provided by reflecting the weight between the sensing data (S1330). Conventionally, IoT service was provided based only on sensing data measured by each IoT device, but if the data platform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oT service can be provided by collecting data collected by multiple IoT devices according to respective weights. ca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13 is a flowchart of an IoT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a data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IoT 기기의 센싱 데이터를 취합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경우의 도면이다. 만약 도 12의 상태에서 특정 IoT 기기가 고장 나는 경우에는 사전에 IoT 데이터 융합 모듈(550)에서 분석한 상관/연관 관계를 이용하여 장애로 인해 누락된 IoT 데이터를 가상으로 복원하여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12 is a diagram of a general case in which IoT service is provided by collecting sensing data of IoT devices. If a specific IoT device fails in the state of FIG. 12, the IoT data that was lost due to the failure is virtually restored using the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analyzed in advance by the IoT data convergence module 550 to provide IoT service. can

도 13을 참고하면, 각 IoT 기기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한다(S2100). 만약 특정 IoT 기기의 데이터가 누락이 되었다면, 데이터 융합이 필요한지 확인한다(S2200). 만약 데이터의 융합이 필요하다면 가상 노드를 생성하여 다른 IoT 기기가 측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누락된 IoT 기기의 데이터를 복원한다(S2300).Referring to FIG. 13 , sensing data is collected from each IoT device (S2100). If the data of a specific IoT device is missing, it is checked whether data convergence is required (S2200). If data convergence is required, a virtual node is created to restore data of the missing IoT device based on data measured by other IoT devices (S2300).

복원과 함께, 신뢰 구간에 따른 신뢰도를 연산하고 이를 복원한 데이터와 함께 제공한다(S2400). IoT 서비스 제공 모듈(530)에서는 수신한 복원 데이터와 신뢰도를 참고하여 사용자에게 IoT 서비스를 제공한다(S2500). 이를 통해 IoT 서비스의 가용성과 신뢰도를 함께 확보할 수 있다.Along with restoration,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confidence interval is calculated and provided together with the restored data (S2400). The IoT service providing module 530 provides the IoT service to the user with reference to the received restoration data and reliability (S2500). Through this, the availability and reliability of IoT services can be secured togeth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Claims (9)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복수의 IoT 기기로부터 복수의 종류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센싱 데이터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각 종류의 상기 센싱 데이터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가중치가 반영된 상기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oT 서비스 제공 장치가,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센싱 데이터 사이의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종류의 센싱 데이터 중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가 누락된 경우, 상기 복수의 종류의 센싱 데이터 중 상기 누락된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와 상관/연관 관계를 가지는 제1 센싱 데이터 및 제2 센싱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제1 센싱 데이터와 상기 제2 센싱 데이터 간의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상기 누락된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의 축으로 투영시키는 단계; 및
상기 투영된 축에서 상기 누락된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종류의 상기 센싱 데이터의 비례 계수를 구하고, 상기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Receiving, by an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a plurality of types of sensing data from a plurality of IoT devices;
Analyzing, by the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a correlation/relationship between the sensing data of different types;
determining, by the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a weight of each type of the sensing data by using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and
Providing, by the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a first IoT service using the sensing data to which the weight is reflected;
The step of analyzing, by the IoT service providing device, the correlation/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the sensing data,
When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is missing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sensing data, the first sensing data and the second sensing data having a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with the missing first type of sensing data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sensing data. determining sensing data;
analyzing a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mined first sensing data and the second sensing data, and projecting the analyzed result onto an axis of the missing first type of sensing data; and
estimating the missing sensing data of the first kind in the projected axis;
Determining the weight of the sensing data,
Obtaining a proportional coefficient of each type of the sensing data and determining the weight using the proportional coefficient,
A method of providing IoT services based on a data platfor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관/연관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서로 다른 종류의 상기 센싱 데이터를 대상으로 로지스틱 회귀 분석과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nalyzing the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Apply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the different types of sensing data,
A method of providing IoT services based on a data platfor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례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비례 계수의 역수를 상기 가중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weight using the proportional coefficient,
Includ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eciprocal of the proportional coefficient as the weight,
A method of providing IoT services based on a data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종류의 센싱 데이터 중 상기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의 수신이 누락되는 경우, 상기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와 상관/연관 관계를 가지는 다른 종류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의 참조가 필요한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Providing the first IoT service,
When reception of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is omitted among the plurality of types of sensing data, other types of sensing data having a correlation/correlation relationship with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are used to detect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Including the step of providing a first IoT service that requires reference to sensing data,
A method of providing IoT services based on a data platfor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의 참조가 필요한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종류의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의 값을 복원한 가상의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step of providing a first IoT service requiring reference to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Generating virtual sensing data obtained by restoring a value of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using the other type of sensing data.
A method of providing IoT services based on a data platfor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로지스틱 회귀 함수를 이용하여 복원한 가상의 센싱 데이터의 신뢰도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종류의 센싱 데이터의 참조가 필요한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의 신뢰도를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6,
Generating the virtual sensing data,
Computing the reliability of the restored virtual sensing data using a logistic regression function;
The step of providing a first IoT service requiring reference to the first type of sensing data,
Including providing the above reliability together,
A method of providing IoT services based on a data platfor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로지스틱 회귀 함수에서 문턱값 이내의 구간을 포함한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신뢰도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liability is,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liability using a ratio including an interval within a threshold value in the logistic regression function,
A method of providing IoT services based on a data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IoT 기기는,
상기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IoT 기기 내지 제n IoT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IoT 기기 내지 제n IoT 기기가 측정한 센싱 데이터를 상기 가중치에 따라 합산하여 상기 제1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플랫폼에 기반한 IoT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IoT devices,
Including a first IoT device to an n-th IoT device providing the first IoT service,
Providing the first IoT service,
Providing the first IoT service by summing the sensing data measured by the first IoT device to the nth IoT device according to the weight,
A method of providing IoT services based on a data platform.
KR1020160074946A 2016-06-16 2016-06-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oT service based on data platform Active KR102476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46A KR102476825B1 (en) 2016-06-16 2016-06-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oT service based on data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4946A KR102476825B1 (en) 2016-06-16 2016-06-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oT service based on data plat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928A KR20170141928A (en) 2017-12-27
KR102476825B1 true KR102476825B1 (en) 2022-12-09

Family

ID=6093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946A Active KR102476825B1 (en) 2016-06-16 2016-06-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oT service based on data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8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804B1 (en) * 2018-01-11 2019-08-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gnition of a user activity
KR102126692B1 (en) 2018-11-30 2020-07-07 앤시정보기술주식회사 Real-time energy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system based on IoT
KR102128481B1 (en) * 2019-02-01 2020-06-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Dynamic software defined networking plane scal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learning curves in internet of things
KR102184892B1 (en) * 2019-02-25 2020-12-01 지티원 주식회사 Realtime dat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and method therefore
KR102059112B1 (en) 2019-08-21 2019-12-24 지티원 주식회사 IoT STREAM DATA QUALITY MEASUREMENT INDICATORS AND PROFILING METHOD FOR INTERNET OF THINGS AND SYSTEM THEREFORE
KR20220129183A (en) 2021-03-16 2022-09-23 주식회사 파인에스엔에스 Data management system of IoT device using DB prox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0631A (en) * 2014-12-02 2016-06-2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State estimation device, state estimation method and progra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KEIICHI YASUMOTO 등, 2016.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928A (en)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8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oT service based on data platform
US20210401377A1 (en) Illness Detection Based on Modifiable Behavior Predictors
US8954291B2 (en) Alarm setting and interfacing with gesture contact interfacing controls
CN108697329B (en) Wearable device detection method and wearable device
US8827906B2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easuring fingertip heart rate
US8979774B2 (en) Activity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20070282176A1 (en) Metabolic energy monitoring system
US20140125618A1 (en) Selection of display power mode based on sensor data
US9836931B1 (en) Haptic strength responsive to motion detection
US20140036643A1 (en) Alarm Setting and Interfacing with Gesture Contact Interfacing Controls
WO2016124482A1 (en) Pain management wearable device
EP3079568B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counting the number of cycles of a periodic movement of a subject
US20160081627A1 (en) System method for assessing fitness state via a mobile device
US20220022604A1 (en) Receiving feedback based on pressure sensor data and movement data
US20180020917A1 (en)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physiological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implementing the physiological monitoring method
US20230248285A1 (en) Stress Determin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s Related Applications
US20180279953A1 (en) Wearable Blood Pressure Measurement Systems
CN11364602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decompression by the electronic device
US20180055446A1 (en) Exercise test evaluation system, exercise test evaluation apparatus, exercise test evalu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2144656B2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CN108492879A (en) Terminal device, sport health assessment system and method
KR20200031355A (en) Method for assessing and alerting workers on the effectiveness of their work at large scale
KR102010132B1 (en) Augmented Human Platform Framework for Enhancing User Capability and System Therefor
US202203544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expenditure estimation
US202102359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Impact of Behavior-Influenced Activities on the Health Level of a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6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