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801B1 -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6801B1 KR102476801B1 KR1020200090896A KR20200090896A KR102476801B1 KR 102476801 B1 KR102476801 B1 KR 102476801B1 KR 1020200090896 A KR1020200090896 A KR 1020200090896A KR 20200090896 A KR20200090896 A KR 20200090896A KR 102476801 B1 KR102476801 B1 KR 1024768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g
- dimensional
- user
- spectrogram image
- spectrogr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5—Biometric patterns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s, e.g. heartbeat, blood flow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53—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 G06T3/4061—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based on super-resolution, i.e. the output image resolution being higher than the sensor resolution by injecting details from different spectral ran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8/00—Aspects of pattern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 G06F2218/02—Pre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8/00—Aspects of pattern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for signal processing
- G06F2218/12—Classification; Ma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차원 근전도 신호의 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의 변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리에 트랜스폼의 윈도우 길이가 조절된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윈도우 길이 피험자 수 |
64 | 128 | 256 | 512 |
10명 | 96% | 96.4% | 96.4% | 95.4% |
20명 | 95% | 95.9% | 96.2% | 94.2% |
30명 | 94% | 95.7% | 95.9% | 95.3% |
40명 | 93.8% | 94.8% | 95.4% | 93% |
220: 분할된 1차원 근전도 신호
230: 결합된 1차원 근전도 신호
310: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
410: 윈도우 길이에 대응하는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
500: CNN 네트워크
600: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장치
610: 획득부
620: 제어부
630: 저장부
Claims (10)
- 사용자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 장치의 획득부에 의해, 사용자에 대한 1차원 근전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식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상기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하나의 동작에 대한 반복 주기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분할된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하나의 동작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근육 각각에 대해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육 각각에 대해 분리된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시간 도메인으로 결합된 1차원 근전도 신호에 푸리에 트랜스폼(Fourier Transform)을 적용하여,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푸리에 트랜스폼의 윈도우 길이의 조절을 통해 상기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의 시간 특징 및 주파수 특징에 대한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상기 윈도우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입력으로 딥러닝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도메인으로 결합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하나의 동작에 대한 반복 주기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분할된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하나의 동작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근육 각각에 대해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육 각각에 대해 분리된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윈도우 길이에 대응하는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상기 딥러닝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장치의 동작 방법.
- 사용자에 대한 1차원 근전도 신호를 획득하는 획득부; 및
상기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하나의 동작에 대한 반복 주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하나의 동작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근육 각각에 대해 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육 각각에 대해 분리된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결합하고,
상기 시간 도메인으로 결합된 1차원 근전도 신호에 푸리에 트랜스폼(Fourier Transform)을 적용하여,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푸리에 트랜스폼의 윈도우 길이의 조절을 통해 상기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의 시간 특징 및 주파수 특징에 대한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상기 윈도우 길이에 대응하는 상기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윈도우 길이에 대응하는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입력으로 딥러닝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하나의 동작에 대한 반복 주기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하나의 동작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근육 각각에 대해 분리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근육 각각에 대해 분리된 1차원 근전도 신호를 시간 도메인으로 결합하는,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장치.
- 삭제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길이에 대응하는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상기 딥러닝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식하는,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0896A KR102476801B1 (ko) | 2020-07-22 | 2020-07-22 |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방법 및 장치 |
US17/382,665 US11948388B2 (en) | 2020-07-22 | 2021-07-22 |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recognition using 2D EMG spectrogram im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0896A KR102476801B1 (ko) | 2020-07-22 | 2020-07-22 |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1969A KR20220011969A (ko) | 2022-02-03 |
KR102476801B1 true KR102476801B1 (ko) | 2022-12-09 |
Family
ID=7968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0896A Active KR102476801B1 (ko) | 2020-07-22 | 2020-07-22 |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948388B2 (ko) |
KR (1) | KR102476801B1 (ko)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80503B2 (en) * | 2008-10-27 | 2012-10-02 | Michael Linderman | EMG measured during controlled hand movement for biometric analysis, medical diagnosis and related analysis |
US9155487B2 (en) * | 2005-12-21 | 2015-10-13 | Michael Linderman |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etric analysis using EEG and EMG signals |
KR101307515B1 (ko) * | 2010-08-23 | 2013-09-12 |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체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US8676937B2 (en) * | 2011-05-12 | 2014-03-18 | Jeffrey Alan Rapaport | Social-topical adaptive networking (STAN) system allowing for group based contextual transaction offers and acceptances and hot topic watchdogging |
CN203252647U (zh) * | 2012-09-29 | 2013-10-30 | 艾利佛公司 | 用于判定生理特征的可佩带的设备 |
US9880632B2 (en) * | 2014-06-19 | 2018-01-30 | Thalmic Labs Inc. |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
KR101797907B1 (ko) * | 2015-07-08 | 2017-11-15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생체 정보 측정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
US9585581B1 (en) * | 2015-09-30 | 2017-03-07 | Daqri, Llc | Real-time biometric detection of oscillatory phenomena and voltage events |
KR101760441B1 (ko) | 2015-11-30 | 2017-07-25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심전도 정점 주기를 이용한 개인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
US20190025919A1 (en) * | 2017-01-19 | 2019-01-24 | Mindmaze Holding Sa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cial expression in an augmented reality system |
KR102322683B1 (ko) * | 2017-03-20 | 2021-11-0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생체 정보의 위조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KR102006182B1 (ko) * | 2017-10-11 | 2019-08-01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자전거 운전자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
WO2020096553A1 (en) * | 2018-11-07 | 2020-05-14 | Firat Universitesi Rektorlugu | A method of creating a personal bioelectric id (password) with hand movements of person and identification of behavioral biometric based person with emg signals |
US10905383B2 (en) * | 2019-02-28 | 2021-02-02 | Facebook Technologies, Llc | Methods and apparatus for unsupervised one-shot machine learning for classification of human gestures and estimation of applied forces |
KR102258726B1 (ko) * | 2019-08-12 | 2021-06-01 | (주)허니냅스 | 딥러닝을 이용한 수면질환 자동 판정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102251388B1 (ko) * | 2019-08-12 | 2021-05-12 | (주)허니냅스 | 딥러닝을 이용한 수면질환 판정 자동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102278069B1 (ko) * | 2019-10-22 | 2021-07-14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근전도 신호 기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인증 방법 |
-
2020
- 2020-07-22 KR KR1020200090896A patent/KR102476801B1/ko active Active
-
2021
- 2021-07-22 US US17/382,665 patent/US11948388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1969A (ko) | 2022-02-03 |
US11948388B2 (en) | 2024-04-02 |
US20220027617A1 (en) | 2022-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waechia et al. | A comprehensive survey on ECG signals as new biometric modality for human authentication: Recent advances and future challenges | |
KR102299819B1 (ko) | 생체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 |
Khan et al. | Multiclass EEG motor-imagery classification with sub-band common spatial patterns | |
Fratini et al. | Individual identification via electrocardiogram analysis | |
CN105787420B (zh) | 用于生物认证的方法、装置以及生物认证系统 | |
Agrafioti et al. | Heart biometrics: Theory, methods and applications | |
JP4217646B2 (ja) | 認証方法及び認証装置 | |
Bashar et al. | Human identification from brain EEG signals using advanced machine learning method EEG-based biometrics | |
Seha et al. | Human recognition using transient auditory evoked potentials: a preliminary study | |
US20210173482A1 (en) | Asymmetric eeg-based coding and decoding method for brain-computer interfaces | |
CN108334766B (zh) | 电子装置、解锁方法及相关产品 | |
Thomas et al. | Biometric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sample entropy features of EEG during rest state | |
Khan et al. | Biometric authentication based on EMG signals of speech | |
KR102635606B1 (ko) | 거리 학습을 이용한 사용자간 유사도 반영 특징 추출 기반의 사용자 독립적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스크 분류 방법 | |
KR101760441B1 (ko) | 심전도 정점 주기를 이용한 개인 식별 장치 및 그 방법 | |
Choi et al. | Earppg: Securing your identity with your ears | |
KR102476801B1 (ko) | 2차원 근전도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방법 및 장치 | |
KR102630840B1 (ko) | 근전도 신호 기반 인식 정보 추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근전도 신호 기반 인식 정보 추출 방법 | |
KR20230143407A (ko) | 심전도와 근전도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 |
Conroy et al. | Heart id: Biometric identification using wearable mimo rf heart sensors | |
Kim et al. | User Recognition System Based on Spectrogram Image Conversion Using EMG Signals. | |
Shahid et al. | A survey on AI-based ECG, PPG, and PCG signals based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 |
Maiorana et al. | EEG-based biometric recognition using EigenBrains | |
US20220405370A1 (en) | User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brainwave signal according to imagined speech | |
KR102517787B1 (ko) | 심전도 신호의 분할을 통한 개인식별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8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8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4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11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8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4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