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528B1 - Multistory breeding device for broiler - Google Patents
Multistory breeding device for broi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6528B1 KR102476528B1 KR1020210182141A KR20210182141A KR102476528B1 KR 102476528 B1 KR102476528 B1 KR 102476528B1 KR 1020210182141 A KR1020210182141 A KR 1020210182141A KR 20210182141 A KR20210182141 A KR 20210182141A KR 102476528 B1 KR102476528 B1 KR 102476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ling pad
- air
- housing
- chicken manure
- microb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2—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scrapers or the like moving to-and-fro or step-by-step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5—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conveyor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5—Battery breeding cages, with or without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4—Dropping-boards; Devices for removing excr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구조 타입의 대형 육계사에 관한 것으로, 육계를 사육하기 위한 사육 공간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각 층의 사육 공간마다 사람이 출입하여 다닐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조기가 구비되고, 공조기는 하우징 내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조팬을 갖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1차 쿨링패드; 본체에 구비되어 1차 쿨링패드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2차 쿨링패드;를 포함하는 대형 육계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broiler house of a multi-layer structure type, in which a breeding space for breeding broilers is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and a housing formed so that people can enter and exit each breeding space on each floor, and air provided in the housing An air conditioner for circulating is provided, and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air conditioning fan for circulating indoor air in the housing; a primary cooling pad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filter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Provides a large broiler house including a secondary cooling pad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heat-exchange the air filtered by the primary cooling pad.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층 구조 타입의 대형 육계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출입하여 관리할 수 있는 육계의 사육 공간이 다층 구조로 구비된 다층 구조 타입의 대형 육계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broiler house of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rge-scale broiler house of a multi-layered structure type having a multi-layered breeding space for broilers in which people can enter and manage.
일반적으로, 닭 중에는 달걀을 주로 얻기 위해 사육되는 닭과, 주로 고기를 얻기 위해 사육되는 닭이 있으며, 후자의 닭을 통상 육계(肉鷄)라고 한다.In general, among chickens, there are chickens raised mainly to obtain eggs and chickens raised mainly to obtain meat, and the latter chicken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broilers.
특히, 육계의 경우, 한 공간을 형성하는 사육장(평사) 내부에서 육계들을 사육하게 되면, 육계 사육에 따른 공간 활용도가 낮고, 깔짚과 계분이 섞여 발효됨에 따라 암모니아, 탄산가스, 분진의 농도가 높아져 작업자의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육계의 성장에 큰 장애 요인으로 작용됨과 동시에 육계 출하 작업이 힘들게 되는 등, 다량의 육계를 효율적으로 사육하는데 여러 가지 제반 상의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roilers, when broilers are reared inside a breeding farm (pyeongsa) that forms one space, the space utilization for broiler breeding is low, and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carbon dioxide, and dust increases as litter and chicken manure are mixed and fermented. There are problems in that various difficulties arise in efficiently breeding a large amount of broilers, such as causing problems to workers' health, acting as a major obstacle to the growth of broilers, and making it difficult to ship chickens.
한편,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3434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육계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갖는 케이지가 적층되게 구비되고, 적층된 케이지의 각 층별로 복수의 육계군을 일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육계사육장치가 제안되어 개시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in view of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6343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provides a cag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broilers to be stacked, and a plurality of layers for each layer of the stacked cage. A broiler breeding device capable of classifying and accommodating a group of broilers has been proposed and disclosed.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종래의 육계사육장치는 케이지가 육계만 수용할 수 있는 소형 케이지로서, 육계가 사육되는 케이지 관리에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해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육계가 청결하지 못한 환경 속에서 사육되기 때문에 육계의 성장에 큰 장애 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broiler breeding apparatus disclosed in the prior art literature is a small cage that can accommodate only broilers, and there is a limit to cage management in which broilers are raised. As a result, there still remains a problem that acts as a major obstacle to the growth of broilers.
그리고, 소형 케이지의 수용 공간은 기존 평사에 비해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육계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매우 제한적이고, 협소한 공간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육계의 성장이 더딜 뿐 아니라 움직임 부족으로 인해 다양한 닭의 질환(골격발달부진, 족부질환, 금사증후군 및 앞가슴살 물집 등)이 발생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으며, 이런 문제 등으로 인해 양질의 닭고기를 생산하기 어렵다는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small cage is very narrow compared to existing plain cages, the space in which the broiler can move is very limited, and the growth of the broiler is slow due to the stress caused by the narrow space, as well as various chicken diseases due to the lack of movement. There are serious problems that can cause (skeletal underdevelopment, foot disease, golden death syndrome and breast blisters, etc.), and due to these problems, you will face another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duce good quality chicken.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육계의 사육 공간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각 층의 사육 공간마다 사람이 출입하여 다닐 수 있는 대형 공간으로 형성되어, 계사를 청결히 관리할 수 있고, 이에 육계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다층 구조 타입의 대형 육계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breeding space for broilers is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while each breeding space on each floor is formed as a large space where people can enter and exi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layer structure type large broiler house that can cleanly manage the house and thus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broilers can gr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 타입의 대형 육계사는, 육계를 사육하기 위한 사육 공간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각 층의 사육 공간마다 사람이 출입하여 다닐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조기가 구비되고, 공조기는 하우징 내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조팬을 갖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1차 쿨링패드; 본체에 구비되어 1차 쿨링패드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2차 쿨링패드;를 포함하되, 공조기의 본체에는 미생물 수조와 냉수 수조가 구비되어, 1차 쿨링패드에는 미생물 수조에 저장된 미생물과 물이 분무되어 공급되고, 공급된 미생물은 1차 쿨링패드의 표면에 부착돼 있어 1차 쿨링패드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혼합된 악취와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하게 되고, 2차 쿨링패드에는 냉수 수조에 저장된 냉수가 분무되어 공급됨으로써 분무된 냉수의 물방울 입자가 2차 쿨링패드의 표면에 부착돼 있어 2차 쿨링패드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공기를 냉각시킨 냉기를 하우징으로 공급하게 되는 대형 육계사를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layered large broiler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ulti-layered breeding space for breeding broilers and a housing formed so that people can enter and exit each breeding space on each floor, An air conditioner provided in the housing to circulate air is provided, and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air conditioning fan for circulating indoor air in the housing; a primary cooling pad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filter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A secondary cooling pad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exchange heat with the air filtered by the primary cooling pad; wherein, the main body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microbial tank and a cold water tank, and the primary cooling pad contains microorganisms and water stored in the microbial tank. It is sprayed and supplied, and the supplied microorganisms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primary cooling pad to collect and remove odors and dust mix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imary cooling pad. is sprayed and supplied, and the water droplets of the sprayed cold water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ary cooling pad, which exchanges heat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ary cooling pad to supply cooled air to the housing. do.
삭제delete
이에 더하여, 미생물 수조에는 미생물을 충진하기 위한 미생물 탱크가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공급관에는 미생물 수조에 삽입되어 미생물 수조의 수위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플로트밸브가 구비되어, 미생물 수조에 미생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microbial tank for filling microorganisms is connected to the microbial tank by a supply pipe, and a float valve inserted into the microbial tank and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microbial tank is provided in the supply pipe to automatically supply microorganisms to the microbial tank. may be provided.
또한, 하우징에는 각 층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한편 육계의 배설물이 관통되어 배출되는 다수의 관통구를 갖는 슬렛; 슬렛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슬렛을 관통하여 배출된 배설물을 이송시키는 계분벨트; 각 계분벨트마다 구비되어 계분벨트 상의 배설물을 긁어내 배출시키는 스크래퍼; 하우징에서 회전 구동되면서 각 계분벨트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을 하우징 외측으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스크류축;이 더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includes slit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broiler manure is passed through and discharged; A chicken manure belt rotatabl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lat to pass through the slat and transport the discharged manure; A scraper provided for each chicken manure belt to scrape and discharge excrement on the chicken manure belt; A screw shaft that is rotationally driven in the housing and transfers and discharges the manure discharged from each chicken manure bel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may be further included.
그리고, 계분벨트는 이를 회전시키는 계분롤러에 감김되어 구비되고, 스크래퍼는 계분롤러의 하측에서 계분벨트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스크래퍼는 원기둥 또는 다면체로 형성되고, 계분벨트와 접하는 일측은 완만하게 라운드진 만곡부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icken manure belt is provided by being wound around a chicken manure roller that rotates it, and the scraper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chicken manure belt at the lower side of the chicken manure roller, and the scraper is formed in a cylinder or polyhedron, and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chicken manure belt is gently rounded It can be formed as a true curved part.
또한, 하우징의 각 층에는 각 층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빔프레임이 구비되고, 빔프레임 위에는 이와 교차되는 복수의 하부 FRP 프레임이 구비되며, 하부 FRP 프레임 위에는 이와 교차되는 복수의 상부 FRP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부 FRP 프레임 위에는 슬렛이 결합 고정되게 구비되어, 고하중을 견딜 수 있는 지지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layer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m frames installed to form the bottom of each layer, a plurality of lower FRP frames intersecting with the beam frame are provided on top of the beam frame, and a plurality of upper portions intersecting with it on the lower FRP frame. An FRP frame may be provided, and slats may be coupled and fixed on the upper FRP frame to have a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a high load.
게다가, 슬렛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보강리브는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inforcing ribs for reinforcing strength are formed in the slats, and the reinforcing ribs may be formed in an arcuate shape.
본 발명의 다층 구조 타입의 대형 육계사에 따르면, 육계의 사육 공간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각 층의 사육 공간마다 사람이 출입하여 다닐 수 있는 대형 공간으로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계사에 직접 들어가 계사를 청결히 관리할 수 있고, 육계는 넓은 사육 공간에서 활발히 움직일 수 있어 육계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으며, 양질의 닭고기를 생산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ulti-layer structure type large broiler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eding space for broilers is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and each breeding space on each floor is formed as a large space where people can enter and exit, so that workers can enter the cage directly and can be managed cleanly, and broilers can move actively in a wide breeding space, so that the growth of broilers can be promoted, and good quality chicken can be produced and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육계사의 정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육계사의 측면 구성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육계사에 구성되는 공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의 냉난방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육계사의 각 층에서 발판으로 제공되는 슬렛의 평면 및 저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렛의 설치 및 지지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육계사에 구성되는 계분벨트와 스크래퍼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front configuration of a large broiler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1 .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side configuration of a large broiler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conditioner configured in a large broiler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cooling and heating system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showing the planar and bottom configurations of slats provided as scaffolding in each layer of a large broiler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and support structure of sla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hicken manure belt and a scraper constructed in a large broiler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so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are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only exemplary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ver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an embodiment including components that can be replaced as equivalents in components.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optional te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and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refor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육계사 및 이의 세부 구성과 공조기 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1 to 8 are views showing a large broiler house and its detailed configuration an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육계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육계를 사육하기 위한 사육 공간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각 층의 사육 공간마다 사람이 출입하여 다닐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구비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조기(20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in the
하우징(110)은 그 내부 공간이 다층 구조로 구획되어 형성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그 일례로 5층 구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 중에서 2층 ∼ 5층의 공간이 육계를 사육하기 위한 사육 공간으로 형성되고, 1층은 공조를 위한 공간으로 형성된다.The
그리고, 하우징(110)의 1층 공간 중 일측 단부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각 층의 사육 공간에서 배출되는 닭의 배설물 즉 계분이 삽입되어 저장되는 수거받이(111)가 구비되고, 수거받이(111) 내에서 계분을 하우징(110) 외측으로 이송시켜 배출하기 위한 스크류축(12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스크류축(120)에는 이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수거받이(111)은, 도 8을 참조하면, 낙하하는 계분을 받을 수 있도록 상향 테이퍼진 안내부(111-1) 및 안내부를 통해 자우낙하하는 계분이 모아지는 만곡부(111-2)로 구성되되, 만곡부(111-2)는 그 안에 안착되는 스크류축(120)의 스크류날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at one end of the space on the first floor of the
Here, referring to FIG. 8, the
한편, 상기와 같은 하우징(110)의 1층 공간에는 공조수단이 구성되고, 공조수단은 복수의 공조기(200)를 포함한다.Meanwhile, an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in the first floor space of the
이러한 공조기(200)는 도 3에서와 같이, 하우징(110)의 1층 공간 일단부에서 복수의 공조기(200)가 일렬로 나열된 상태로 구비되어 1층 공간의 반대편으로 바람을 불어 송풍함으로써 하우징(110) 내의 실내 공기는 각 층의 사육 공간을 통과하면서 순환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신선한 외기를 하우징(110) 내로 공급하여 하우징(110) 내부의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 the
공조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의 본체(210)를 포함하고, 본체(210)에는 하우징(11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211)와,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회수하는 회수덕트(212)가 구비되며, 공급덕트(211)와 회수덕트(212)에 의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는 순환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그리고, 본체(210)에는 외기가 흡입되는 외기덕트(213)가 더 구비되고, 외기덕트(213)에는 이의 관로를 개폐시키는 댐퍼가 구비된다. 이러한 댐퍼는 하우징(110) 내부의 산소량에 따라 작동되는 바, 하우징(110) 내부의 산소량이 부족할 시 댐퍼가 개방되어 외기덕트(213)로 외기를 흡입하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체(210) 내부에는 이러한 공기 흐름을 가능케 하는 공조팬(220)이 구비되고, 공조팬(220)에는 공급덕트(211), 회수덕트(212), 외기덕트(213)가 모두 연결되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한편, 공급덕트(211)와 회수덕트(212) 사이의 본체(210) 내부에는 회수덕트(212)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1차 필터링하여 공기 중에 섞인 악취를 제거하고 분진을 포집하는 1차 쿨링패드(250)가 구비되고, 1차 쿨링패드(250)와 공급덕트(211) 사이의 본체(210) 내부에는 1차 쿨링패드(250)에 의해 악취와 분진이 제거된 공기를 열교환에 의해 냉기로 변화시키는 2차 쿨링패드(260)가 구비된다.Meanwhile, inside the
특히, 1차 쿨링패드(250)에는 미생물 수조(230)에 저장된 미생물과 물이 분무되어 공급되고, 공급된 미생물은 1차 쿨링패드(250)의 표면에 부착돼 있어 1차 쿨링패드(250)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혼합된 악취와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하게 된다.In particular, microorganisms and water stored in the
그리고 2차 쿨링패드(260)에는 냉수 수조(240)에 저장된 냉수가 분무되어 공급됨으로써 분무된 냉수의 물방울 입자가 2차 쿨링패드(260)의 표면에 부착돼 있어 2차 쿨링패드(260)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공기를 냉각시킨 냉기를 공급덕트(211)로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ld water stored in the
이러한 1,2차 쿨링패드(250)(260)는 본체(210)에 서랍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쿨링패드(250)(260)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These primary and
한편, 상기와 같은 공조기(200)는 도 5에서와 같이 공조시스템에 포함되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공조시스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기(200) 이외에도 별도의 배양조 탱크(280)와 미생물 탱크(270) 및 냉동기(290)가 더 포함된다.As shown in FIG. 5, the air conditioning system further includes a
먼저, 배양조 탱크(280)에는 미생물이 배양되어 저장되고, 미생물 탱크(270)에는 배양된 미생물이 저장된다.First, microorganisms are cultured and stored in the
이러한 배양조 탱크(280)와 미생물 탱크(270)는 별도의 연결관과 개폐밸브로서 연결되게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배양조 탱크(280)에 저장된 미생물을 미생물 탱크(270)로 공급할 수 있고, 미생물 탱크(270)는 별도의 공급관(271)으로 미생물 수조(230)와 연결되게 구비된다.The
그리고, 공급관(271)은 그 단부가 미생물 수조(230) 내에 삽입되어 구비되고, 미생물 수조에 삽입된 공급관(271)의 단부에는 미생물 수조(230)의 수위에 따라 미생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는 플로트밸브(272)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이로써, 미생물 탱크(270) 내의 미생물은 미생물 수조(230)의 수위에 따라 미생물 수조(230)로 자동 공급되어 충진되므로 편리할 뿐 아니라 미생물 수조(230)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생물의 부족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도 있다.As a result, the microorganisms in the
또한, 상기와 같은 미생물 수조(230)에는 미생물 순환관(231)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구비되고, 미생물 순환관(231)의 일단부에는 이의 관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미생물 순환관(231)의 타단부는 1차 쿨링패드(250)의 상부에 위치되어 구비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그리고, 미생물 순환관(231)의 일측에는 미생물 순환관(231)에서 분기되는 분기관(232)이 구비되고, 분기관(232)은 1차 쿨링패드(250)의 전면과 평행하게 구비되며, 분기관(232)의 단부는 미생물 수조(230)의 상면을 향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a
게다가, 1차 쿨링패드(250)의 상면과 전면에 각각 대향되는 미생물 순환관(231)의 단부와 분기관(232)의 외주면에는 분사노즐(233)이 각각 구비되고, 이 분사노즐(233)에 의해 미생물을 1차 쿨링패드(250)의 상면과 전면으로 분무하여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이와 같이 미생물이 공급된 1차 쿨링패드(250)는 작동 중에 발생되는 자연스런 수증기 증발로 인해 가습 기능을 하기도 한다.In this way, the
한편, 냉수 수조(240)에는 냉수 순환관(241)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구비되고, 냉수 순환관(241)의 일단부에는 이의 관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며, 냉수 순환관(241)의 타단부는 2차 쿨링패드(260)의 상부에 위치되어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cold
그리고, 냉수 순환관(241)의 단부에는 분사노즐(242)이 구비되어 냉수를 2차 쿨링패드(260)의 상면으로 분무하여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a
이와 같이 냉수가 공급된 2차 쿨링패드(260)는 특히 여름철에 냉수의 낮은 물 온도로 인해 제습 기능을 하기도 한다.In this way, the
한편, 이러한 냉수 수조(240)에는 냉동기(290)가 공급관(291)과 회수관(292)으로 연결되어 구비되고, 냉수 수조(240)에 저장된 상온의 물을 회수관(292)을 통해 회수하여 냉동기(290)에서 냉각시킨 후, 냉각된 냉수를 공급관(291)을 통해 냉수 수조(240)로 공급하여 냉수를 충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때, 회수관(292)에는 이의 관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가 구비되고, 이러한 개폐밸브는 공급관(291)에도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관(292)에만 구비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하우징(110)에는 각 층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한편 육계의 배설물이 관통되어 배출되는 다수의 관통구를 갖는 슬렛(150)과, 슬렛(15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슬렛(150)을 관통하여 배출된 배설물을 이송시키는 계분벨트(160)와, 각 계분벨트(160)마다 구비되어 계분벨트(160) 상의 배설물을 긁어내 배출시키는 스크래퍼(170)와, 하우징(110)에서 회전 구동되면서 각 계분벨트(160)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을 하우징(110) 외측으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스크류축(120)이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슬렛(15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메쉬 구조로 형성되고, 메쉬 구멍은 슬렛(150) 위에서 사육되는 육계의 계분이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직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이와 같이 메쉬 구조로 형성되는 슬렛(150)은 상대적으로 강도 및 내구성이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슬렛(150)의 하면에는 도 6b에서와 같이 슬렛(150)의 강도 및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151)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다.Since the
게다가, 상기와 같은 보강리브(151)의 일면 즉 하면의 중앙부를 하방으로 돌출된 아치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보강리브(151)에 의한 보강구조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structure by the reinforcing
또한, 슬렛(150)은 각 층의 바닥면을 이루는 지지 구조물 위에 구비되는 바, 슬렛(150) 하부의 지지 구조물은 도 7에서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각 층의 바닥을 형성하는 복수의 빔프레임(130)과, 빔프레임(130) 위에 이와 교차되도록 설치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하부 FRP 프레임(140)과, 하부 frp 프레임(140) 위에 이와 교차되도록 설치되어 구비되는 복수의 상부 frp 프레임(141)을 포함하고, 상부 frp 프레임(141) 위에는 슬렛(150)이 안착되어 결합 고정되게 구비된다.In addition, the
이로써, 슬렛(150)은 스틸재의 H빔으로 형성되는 빔프레임(130) 및 상,하 frp 프레임(140)(141)이 격자 구조로 적층된 구조물 위에 설치되므로 슬렛(150) 위에 육계 뿐만 아니라 사람이 올라서서 다녀도 고하중을 견딜 수 있는 지지구조를 갖게 된다.As a result, the
특히, 격자 구조로 적층되는 frp 프레임(140)(141)은 고강도의 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경량으로 녹슬지 않고 가공하기 쉽다는 것이 특성을 갖는다.In particular, since the frp frames 140 and 141 stacked in a lattice structure are formed of a high-strength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material, they are stronger than iron, lighter than aluminum, do not rust, and are easy to process.
한편, 계분벨트(160)는 도 2에서와 같이 각 층의 하부 frp 프레임(140)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해당 층에서 발생되는 계분을 하우징(110)의 수거받이(111) 측으로 이송시켜 배출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the
이러한 계분벨트(160)는 그 양측단이 복수의 계분롤러(161)에 각각 감김된 상태로 설치되어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구비되고, 양 계분롤러 중 일측의 계분롤러(161)에는 계분롤러(161)를 회전 구동시키는 계분모터가 연결되어 구비된다.The
그리고, 스크래퍼(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분벨트(160)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스크래퍼(170)는 계분벨트(160)의 회전 방향과 직교되게 위치되어 스크래퍼(170)가 계분벨트(160)의 폭 방향을 가로지른 상태로 접하여 구비된다.And, as shown in FIG. 8, the
특히, 스크래퍼(170)는 계분롤러(161)의 외측에서 계분롤러(161)에 감긴 계분벨트(160)에 접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계분벨트(160) 상에 존재하는 계분을 모두 긁어내 분리할 수도 있지만, 계분벨트(160)에서 분리된 계분이 자연적으로 아래로 떨어져 배출될 수 있도록 계분롤러(161)의 반경을 기준으로 한 바깥쪽 하측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계분벨트(160)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게다가, 스크래퍼(170)가 계분벨트(160)에 날카롭게 접촉된 경우에는 계분벨트(160)에서 계분을 떼어내 제거하는 제거 효과는 향상되지만, 날카롭게 날이 선 접촉부로 인해 오히려 계분벨트(160)가 찢겨서 파손될 우려가 더 크게 존재한다.In addition,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계분벨트(160)와 접촉되는 스크래퍼(170)의 일측 즉 접촉부에는 완만하게 라운드진 만곡부(171)가 형성되고, 만곡부(171)에 의해 스크래퍼(170)는 계분벨트(160)와 선접촉보다는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됨으로써 계분벨트(1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계분벨트(160)에서 계분을 원활히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gently rounded
또한, 상기와 같은 스크래퍼(170)는 계분벨트(160)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 계분벨트(160)와 직교되게 구비되는데, 이 경우 스크래퍼(170)가 얇은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계분벨트(160)의 이동에 의해 이에 접한 스크래퍼(170)가 흔들려 계분벨트(160)와 이격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스크래퍼(170)가 계분벨트(160)의 이동에도 흔들리지 않고 정위치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강성 및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 스크래퍼(170)를 원기둥 또는 다면체로 구비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따라서, 원기둥 또는 다면체로 형성된 스크래퍼(170)는 그 외주면 일측이 계분벨트(160)와 접하게 되고, 계분벨트(160)와 접하는 스크래퍼(170)의 일측에는 만곡부(171)가 형성됨으로써 스크래퍼(170)가 유동없이 계분벨트(160)에 접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되므로 계분벨트(160) 상의 계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계분의 제거 과정에서 계분벨트(160)를 파손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한편,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대형 육계사(100)는 하우징(110)의 최상층인 5층부터 사용하게 되고, 이후부터는 4층, 3층, 2층 순으로 차례로 사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최상층에서 사육되는 육계로부터 발생된 계분은 해당 층의 계분벨트(160)로 떨어져 수거되고, 수거된 계분은 회전되는 계분벨트(160)에 의해 일단부로 이송되면서 계분롤러(161) 하측에 구비된 스크래퍼(170)에 의해 분리되어 제거된다.Therefore, the chicken manure generated from the broiler chickens raised on the top floor falls to the
이와 같이 제거된 계분은 바로 하우징(110)의 수거받이(111)로 삽입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4층의 계분벨트(160)로 떨어질 수도 있으나, 후자의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이 반복됨으로써 결국에는 수거받이(111)로 삽입된다.The removed chicken manure may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그리고, 계분이 5층 -> 4층 -> 3층 -> 2층 -> 수거받이(111)로 떨어져 배출될 때에는 계분의 낙하 속도가 빠르지 않아 분진의 발생이 억제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chicken manure falls to the 5th floor -> the 4th floor -> the 3rd floor -> the 2nd floor -> the
이후, 수거받이(111)에 삽입된 계분은 스크류축(120)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송되어 하우징(110) 외측으로 배출된다.Thereafter, the chicken manure inserted into the collecting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육계사 110 : 하우징
111 : 수거받이 120 : 스크류축
130 : 빔프레임 140,141 : frp 프레임
150 : 슬렛(slat) 151 : 보강리브
160 : 계분벨트 161 : 계분롤러
170 : 스크래퍼 171 : 만곡부
200 : 공조기 210 : 본체
211 : 공급덕트 212 : 회수덕트
213 : 외기덕트 220 : 공조팬
230 : 미생물 수조 231 : 미생물 순환관
232 : 분기관 233 : 분사노즐
240 : 냉수 수조 241 : 냉수 순환관
242 : 분사노즐 250 : 1차 쿨링패드
260 : 2차 쿨링패드 270 : 미생물 탱크
271 : 공급관 272 : 플로트밸브
280 : 배양조 탱크 290 : 냉동기
291 : 공급관 292 : 회수관100: broiler house 110: housing
111: collection tray 120: screw shaft
130: beam frame 140,141: frp frame
150: slat 151: reinforcing rib
160: chicken manure belt 161: chicken manure roller
170: scraper 171: curved part
200: air conditioner 210: main body
211: supply duct 212: recovery duct
213: outdoor air duct 220: air conditioning fan
230: microbial tank 231: microbial circulation pipe
232: branch pipe 233: injection nozzle
240: cold water tank 241: cold water circulation pipe
242: injection nozzle 250: primary cooling pad
260: secondary cooling pad 270: microorganism tank
271: supply pipe 272: float valve
280: culture tank 290: freezer
291: supply pipe 292: return pipe
Claims (8)
공조기는 하우징 내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조팬을 갖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본체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1차 쿨링패드;
본체에 구비되어 1차 쿨링패드에서 필터링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2차 쿨링패드;를 포함하되,
공조기의 본체에는 미생물 수조와 냉수 수조가 구비되어,
1차 쿨링패드에는 미생물 수조에 저장된 미생물과 물이 분무되어 공급되고, 공급된 미생물은 1차 쿨링패드의 표면에 부착돼 있어 1차 쿨링패드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혼합된 악취와 분진을 포집하여 제거하게 되고,
2차 쿨링패드에는 냉수 수조에 저장된 냉수가 분무되어 공급됨으로써 분무된 냉수의 물방울 입자가 2차 쿨링패드의 표면에 부착돼 있어 2차 쿨링패드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공기를 냉각시킨 냉기를 하우징으로 공급하게 되는 대형 육계사.
A breeding space for breeding broilers is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a housing formed so that people can enter and exit each breeding space on each floor, and an air conditioner provided in the housing to circulate air,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air conditioning fan for circulating indoor air in the housing;
a primary cooling pad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filter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A secondary cooling pad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heat-exchange the air filtered by the primary cooling pad;
The main body of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 microbial tank and a cold water tank,
Microorganisms and water stored in the microbial tank are sprayed and supplied to the primary cooling pad, and the supplied microorganisms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primary cooling pad to collect and remove odors and dust mixed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imary cooling pad. to do,
The cold water stored in the cold water tank is sprayed and supplied to the secondary cooling pad, and the water droplets of the sprayed cold water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ary cooling pad,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ary cooling pad to cool the air. Large broiler houses that will be supplied by
미생물 수조에는 미생물을 충진하기 위한 미생물 탱크가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공급관에는 미생물 수조에 삽입되어 미생물 수조의 수위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플로트밸브가 구비되어, 미생물 수조에 미생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는 대형 육계사.
The method of claim 1,
A microbial tank for filling microorganisms is connected to the microbial tank by a supply pipe, and a float valve inserted into the microbial tank and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microbial tank is provided in the supply pipe, so that microorganisms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microbial tank. .
미생물 수조에는 미생물 순환관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한편, 미생물 순환관의 일측에는 미생물 순환관에서 분기되는 분기관이 구비되고,
1차 쿨링패드의 상면과 전면에 각각 대향되는 미생물 순환관의 단부와 분기관의 외주면에는 분사노즐이 각각 구비되고, 이 분사노즐에 의해 미생물을 1차 쿨링패드의 상면과 전면으로 분무되는 대형 육계사.
The method of claim 1,
One end of the microbial circula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microbial tank, while a branch pipe branching from the microbial circulation pip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icrobial circulation pipe,
Spray nozzles are provided at the end of the microbial circulation pip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nch pipe, which are opposed to the upper and front surfaces of the primary cooling pad, respectively, and the spray nozzles spray microorganisms onto the upper and front surfaces of the primary cooling pad. buy.
하우징에는 각 층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한편 육계의 배설물이 관통되어 배출되는 다수의 관통구를 갖는 슬렛;
슬렛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슬렛을 관통하여 배출된 배설물을 이송시키는 계분벨트;
각 계분벨트마다 구비되어 계분벨트 상의 배설물을 긁어내 배출시키는 스크래퍼;
하우징에서 회전 구동되면서 각 계분벨트에서 배출되는 배설물을 하우징 외측으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스크류축;이 포함되는 대형 육계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housing includes slit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layer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hrough which broiler manure is passed through and discharged;
A chicken manure belt rotatabl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lat to pass through the slat and transport the discharged manure;
A scraper provided for each chicken manure belt to scrape and discharge excrement on the chicken manure belt;
A large broiler house including a screw shaft that is rotated in the housing and transports and discharges the manure discharged from each bel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스크래퍼는 원기둥 또는 다면체로 형성되고, 계분벨트와 접하는 일측은 완만하게 라운드진 만곡부로 형성되는 대형 육계사.
The method of claim 4,
A large broiler house where the scraper is formed in a cylinder or polyhedron, and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chicken manure belt is formed as a gently rounded curved part.
하우징의 각 층에는 각 층의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빔프레임이 구비되고, 빔프레임 위에는 이와 교차되는 복수의 하부 FRP 프레임이 구비되며, 하부 FRP 프레임 위에는 이와 교차되는 복수의 상부 FRP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부 FRP 프레임 위에는 슬렛이 결합 고정되게 구비되어, 고하중을 견딜 수 있는 지지구조를 갖는 대형 육계사.
The method of claim 4,
Each layer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am frames installed to form the floor of each floor, a plurality of lower FRP frames crossing the beam frame are provided on the beam frame, and a plurality of upper FRP frames crossing the lower FRP frame on the lower FRP frame. A large broiler house having a support structure capable of withstanding a high load, with slats provided to be coupled and fixed on the upper FRP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2141A KR102476528B1 (en) | 2021-12-17 | 2021-12-17 | Multistory breeding device for broi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2141A KR102476528B1 (en) | 2021-12-17 | 2021-12-17 | Multistory breeding device for broi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6528B1 true KR102476528B1 (en) | 2022-12-14 |
Family
ID=8443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2141A Active KR102476528B1 (en) | 2021-12-17 | 2021-12-17 | Multistory breeding device for broi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6528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0932B1 (en) * | 1997-02-28 | 1999-06-15 | 천상석 | Portable early weaning pig |
KR200234656Y1 (en) * | 2001-03-19 | 2001-10-18 | 차진명 | Stench and VOCs remove system using Biofilter |
KR101063434B1 (en) | 2008-11-10 | 2011-09-14 | 김의중 | Broiler breeding device |
KR20150125116A (en) * | 2014-04-29 | 2015-11-09 | 주식회사 건지 | High raised poultry house |
KR20160118875A (en) * | 2015-04-03 | 2016-10-12 | (주)지에스엘바이오 | Stable system using the energy from animal waste circulation |
KR101876955B1 (en) * | 2018-01-22 | 2018-07-16 |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 Poultry house of ventilating system |
-
2021
- 2021-12-17 KR KR1020210182141A patent/KR1024765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00932B1 (en) * | 1997-02-28 | 1999-06-15 | 천상석 | Portable early weaning pig |
KR200234656Y1 (en) * | 2001-03-19 | 2001-10-18 | 차진명 | Stench and VOCs remove system using Biofilter |
KR101063434B1 (en) | 2008-11-10 | 2011-09-14 | 김의중 | Broiler breeding device |
KR20150125116A (en) * | 2014-04-29 | 2015-11-09 | 주식회사 건지 | High raised poultry house |
KR20160118875A (en) * | 2015-04-03 | 2016-10-12 | (주)지에스엘바이오 | Stable system using the energy from animal waste circulation |
KR101876955B1 (en) * | 2018-01-22 | 2018-07-16 | (주) 대상키우미시스템 | Poultry house of ventilat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25810B2 (en) | Intelligent automatic livestock rearing system | |
EP189869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ammonia, carbon dioxide and pathogens in chicken houses | |
US3396703A (en) | Poultry hatching apparatus | |
US10219490B2 (en) | Use of a cyclone separator and climate chamber for hatching eggs and/or keeping poultry | |
KR100925868B1 (en) | Solid state poultry sanitation breeding facility structure | |
US20220264838A1 (en) | Hybrid heat recovery system with energy recovery and use thereof | |
CN109874682B (en) | A sheep feeding and production system | |
CN109874691B (en) | An automatic feeding system for sheep | |
CN101076701A (en) | Cooling assembly | |
KR20110037712A (en) | Pig ventilation system | |
US20200093089A1 (en) | Waste heat recovery systems and methods for a livestock barn | |
RU2129360C1 (en) | Egg incub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101248110B1 (en) | Circulatory cleaning system for redusing oder pigpen with liquefied fertilizer | |
KR102476528B1 (en) | Multistory breeding device for broiler | |
KR102476530B1 (en) | Multistory breeding device for broiler | |
US11178846B2 (en) | Environmental control apparatus for animal housing facilities | |
US3552358A (en) | Animal house air-conditioning and manure disposal system | |
US12144313B2 (en) |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 |
EP4115729A1 (en) | A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 |
CN210250658U (en) | Automatic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device for henhouse | |
KR102646214B1 (en) | Container type Closed Broiler House System | |
RU2462030C2 (en) | Application of cyclone separator and climatic chamber for incubation of eggs and/or maintenance of poultry | |
EP4098107A1 (en) | Livestock house air filtration system | |
KR200208352Y1 (en) | Stink exhaust equipment within breeding cage for animals | |
DK177106B1 (en) | Logistically arranged housing arrangement with a ventilation duct system and method that ensures improved air quality in the housing arran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12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