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036B1 - Shoes - Google Patents
Sho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5036B1 KR102475036B1 KR1020210010065A KR20210010065A KR102475036B1 KR 102475036 B1 KR102475036 B1 KR 102475036B1 KR 1020210010065 A KR1020210010065 A KR 1020210010065A KR 20210010065 A KR20210010065 A KR 20210010065A KR 102475036 B1 KR102475036 B1 KR 1024750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e
- heel
- bar
- restoration
- horizontal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8—Heel stiffener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10—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me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009—Producing footwear by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입구에 형성되는 탄성 밴드와 신발 뒤축에 내장되는 뒤축 복원구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신발을 착용할 수 있고, 신발 착용 후에는 신발 뒤축이 빠르게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신발 입구(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1); 절개부(11)의 내부에 형성되는 탄성 밴드(12); 및 신발 뒤축(20)에 내장되는 뒤축 복원구(21);를 포함하고, 뒤축 복원구(21)는, 신발 뒤축(12)의 상단에 위치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가로바(30); 가로바(3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31); 및 다리부(31)의 내부에 금속으로 형성되는 복원바(32);를 포함하며, 복원바(32)는 가로바(30)의 중앙 내부에는 형성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in which a user can comfortably wear the shoe through an interaction between an elastic band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shoe and a heel restoring tool embedded in the heel of the shoe, and the heel of the shoe can be quickly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wearing the shoe. with that,
At least one cutout 11 formed in the shoe entrance 10; An elastic band 12 formed inside the cutout 11; and a heel restoring tool 21 embedded in the shoe heel 20, and the heel restoring tool 21 includes a horizontal bar 30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hoe heel 12 and formed of synthetic resin; Legs 31 integrall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ar 30 obliquely forward; and a restoration bar 32 formed of metal inside the leg portion 31, and the restoration bar 32 is not formed inside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bar 30.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 입구에 형성되는 탄성 밴드와 신발 뒤축에 내장되는 뒤축 복원구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신발을 착용할 수 있고, 신발 착용 후에는 신발 뒤축이 빠르게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in which a user can comfortably wear the shoe through an interaction between an elastic band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shoe and a heel restoring tool embedded in the heel of the shoe, and the heel of the shoe can be quickly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wearing the shoe. will be.
일반적으로 구두 또는 운동화 등과 같은 신발을 신을 때, 손가락을 신발 뒤축 사이에 끼워서 신발 뒤축이 접히지 않게 하거나, 별도로 휴대하는 구두 주걱 등을 이용하게 되는데, 구두 주걱의 경우 상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분실의 우려도 높은 등 다수의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when wearing shoes such as shoes or sneakers, a finger is inserted between the heels of the shoes to prevent the heels from being folded, or a separately carried shoehorn is used.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a high risk of loss.
한편 구두 주걱과 같은 보조수단 없이 신발을 신을 경우 발뒤꿈치와 접촉되는 신발의 갑피 뒤축 부분이 접히거나 마모되므로 미려함이 저하됨과 동시에 신발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었던 바, 업계에서는 구두 주걱과 같은 보조수단 없이 신발을 신을 수 있고, 아울러 갑피 뒤축이 접히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수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when shoes are worn without auxiliary means such as a shoehorn, the heel part of the shoe in contact with the heel is folded or worn,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major factor in reducing the lifespan of the shoe as well as deteriorating the beauty. There is a demand for a novel means that enables shoes to be worn without the same auxiliary means and also solves problems such as the heel of the upper being folded.
그리하여 다기능 신발 뒤축 보조구(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01510)가 소개되었으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여전히 신발을 착용할 때에 상당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Thus, a multifunctional shoe heel ai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01510) has been introduced, but the structure is not only complicated, but there are still considerable inconveniences when wearing sho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 입구에 형성되는 탄성 밴드와 신발 뒤축에 내장되는 뒤축 복원구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신발을 착용할 수 있고, 신발 착용 후에는 신발 뒤축이 빠르게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신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astic band formed at the entrance of the shoe and the heel restoring tool embedded in the heel of the shoe, the user can wear the shoe comfortably, and after wearing the shoe, the heel of the shoe i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hoe that can be quickly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복원바를 금형 내부에 위치시키고, 사출 성형으로 가로바 및 다리부를 일체로 형성으로써,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신발 뒤축의 강도와 복원력이 뛰어난 신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hoe that is not only easy to manufacture but also has excellent strength and resilience of the heel of the shoe, by locating the recovery bar inside the mold and integrally forming the horizontal bar and the leg portion by injection mold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신발 입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 상기 절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탄성 밴드; 및 신발 뒤축에 내장되는 뒤축 복원구;를 포함하고, 상기 뒤축 복원구는, 상기 신발 뒤축의 상단에 위치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가로바; 상기 가로바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의 내부에 금속으로 형성되는 복원바;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바는 상기 가로바의 중앙 내부에는 형성되지 않는다.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cutout formed in the shoe entrance; an elastic band formed inside the incision; and a heel restoring tool built into the heel of the shoe, wherein the heel restoring tool includes: a horizontal bar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heel of the shoe and made of synthetic resin; Legs integrall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ar obliquely forward; and a restoration bar formed of metal inside the leg portion, wherein the restoration bar is not formed inside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bar.
상기 복원바의 상단은 “∩”자 형상 또는 원형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복원바를 금형 내부에 위치시키고, 사출 성형으로 상기 가로바 및 다리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An upper end of the restoration bar may be bent in a “∩” shape or a circle, the restoration bar may be placed inside a mold, and the horizontal bar and the leg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또한, 상기 가로바의 폭이 상기 다리부의 폭 보다 크며, “∩”자 형상 또는 원형으로 절곡된 상기 복원바의 상단은 상기 가로바의 양측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가로바의 중앙 상부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horizontal bar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leg por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restoration bar bent in a “∩” shape or a circle may be located inside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ar, and at the upper center of the horizontal bar. A recess may be formed.
본 발명은 신발 입구에 형성되는 탄성 밴드와 신발 뒤축에 내장되는 뒤축 복원구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신발을 착용할 수 있고, 신발 착용 후에는 신발 뒤축이 빠르게 원위치로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omfortably wear shoes through an interaction between an elastic band formed at the mouth of the shoe and a heel restoring tool embedded in the heel of the shoe, and the heel of the shoe is quickly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wearing the shoe.
복원바를 금형 내부에 위치시키고, 사출 성형으로 가로바 및 다리부를 일체로 형성으로써,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신발 뒤축의 강도와 복원력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By locating the recovery bar inside the mold and integrally forming the horizontal bar and the leg part by injection molding, not only is the manufacturing simple, but also the strength and restoring force of the heel of the shoe are excellent.
또한, 금형에 형성되는 돌기로 인하여 다리부에 대응되는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복원바의 변형과 복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eg part due to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mol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deformation and restoration of the restoration b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뒤축 복원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뒤축이 눌렸을 때 신발의 측면 개략도.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el restor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shoe when the heel of the shoe is pre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뒤축 복원구가 내장된 신발의 측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뒤축 복원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뒤축이 눌렸을 때 뒤축 복원구가 내장된 신발의 측면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hoe with a built-in heel resto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el resto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uilt-in heel restoration device when the shoe heel is pres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shoe.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신발 입구(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1); 절개부(11)의 내부에 형성되는 탄성 밴드(12); 및 신발 뒤축(20)에 내장되는 뒤축 복원구(21);를 포함하고, 뒤축 복원구(21)는, 신발 뒤축(20)의 상단에 위치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가로바(30); 가로바(3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31); 및 다리부(31)의 내부에 금속으로 형성되는 복원바(32);를 포함하며, 복원바(32)는 가로바(30)의 중앙 내부에는 형성되지 않는다.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신발 입구(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1)가 형성되는데, 절개부(11)는 신발 입구(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절개부(11)의 내부에는 탄성 밴드(12)가 형성되어 신축이 가능하고, 탄성 밴드(12)로는 신축성이 있으면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An
신발 뒤축(20)에는 뒤축 복원구(21)가 내장되며, 뒤축 복원구(21)는 가로바(30), 가로바(30)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리부(31), 및 다리부(31)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원바(32)를 포함하고, 복원바(32)는 가로바(30)의 중앙 내부에는 형성되지 않는다.A
신발 뒤축(12)의 상단에 위치하는 가로바(3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데, 연질 또는 경질의 다양한 합성수지가 가로바(30)의 재질로 사용될 수 있고, 가로바(30)의 중앙 상부에는 오목부(33)가 형성될 수 있다.The
다리부(31)는 가로바(3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가로바(30)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금속 재질의 복원바(32)는 다리부(31)의 내부에 형성되며, 탄성과 강도를 지닌 다양한 재질의 금속이 복원바(32)로 사용될 수 있다.The
이때, 금속 재질의 복원바(32)를 금형 내부에 위치시키고, 사출 성형을 통하여 가로바(30) 및 다리부(31)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원바(32)가 위치하는 금형의 내부에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다리부(31)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의 요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요홈에 의하여 다리부(31) 및 뒤축 복원구(21)는 신발 뒤축(2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내장될 수 있으며, 복원바(32)의 변형과 복원을 더욱 자유롭게 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osition the metal
복원바(32)의 상단은 “∩”자 형상, 원형 또는 고리 형상 등으로 절곡될 수 있고, 절곡된 복원바(32)의 상단으로 인하여 복원바(32)는 다리부(31) 내부에서 이탈됨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신발을 신을 때 가로바(30) 및 다리부(31)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다리부(31)와 복원바(32)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op of the
“∩”자 형상, 원형 또는 고리 형상 등으로 절곡된 복원바(32)의 상단은 가로바(30)의 양측 내부에 위치하고, 가로바(30)의 폭이 다리부(31)의 폭 보다 큰 것이 구조적인면에서 바람직하다.The upper end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기능 및 작용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s follows.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에 신발 뒤축(20)에 압력이 가해지고, 신발 뒤축(20)의 상부는 뒤로 젖혀지면서 탄성 밴드(12)가 늘어나며, 신발 입구(10)가 넓어져서 사용자는 편안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다.When a user puts on shoes, pressure is applied to the heel of the
신발 뒤축(20)의 상부가 뒤로 젖혀질 때에 가로바(30)는 함께 뒤로 젖혀지고, 다리부(31)는 뒤로 휘어지게 된다. 사용자의 신발 착용이 끝나면, 휘어진 다리부(31)의 내부에 위치한 복원바(32)의 탄성에 의하여 뒤로 젖혀진 가로바(30)는 원위치로 복원되고, 뒤로 젖혀진 신발 뒤축(30)의 상부도 함께 원위치로 복원된다.When the upper part of the
탄성 밴드(12)와 뒤축 복원구(21)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편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뒤로 젖혀진 신발 뒤축(20)을 훨씬 효과적으로 복원할 수 있다.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신발 입구 11: 절개부
12: 탄성밴드 20: 신발 뒤축
21: 뒤축 복원구 30: 가로바
31: 다리부 32: 복원바
33: 오목부10: shoe entrance 11: incision
12: elastic band 20: shoe heel
21: heel restoration 30: horizontal bar
31: leg 32: restoration bar
33: recess
Claims (5)
상기 절개부(11)의 내부에 형성되는 탄성 밴드(12); 및
신발 뒤축(20)에 내장되는 뒤축 복원구(21);를 포함하고,
상기 뒤축 복원구(21)는,
상기 신발 뒤축(20)의 상단에 위치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가로바(30);
상기 가로바(30)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다리부(31); 및
상기 다리부(31)의 내부에 금속으로 형성되는 복원바(32);를 포함하며,
상기 복원바(32)는,
상단이 “∩”자 형상 또는 원형으로 절곡되고, 금형 내부에 위치시켜 사출 성형을 통해 상기 가로바(30) 및 다리부(3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31)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는 가로바(30)의 양측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복원바(32)가 위치하는 금형의 내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의 요홈이 상기 다리부(31)에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 의하여 다리부(31) 및 뒤축 복원구(21)가 신발 뒤축(2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At least one cutout 11 formed in the shoe entrance 10;
An elastic band 12 formed inside the cutout 11; and
Including; a heel restoration tool 21 built into the shoe heel 20;
The heel restoration tool 21,
a horizontal bar 30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shoe heel 20 and made of synthetic resin;
Leg portions 31 integrall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ar 30 obliquely forward; and
A restoration bar 32 formed of metal inside the leg portion 31; includes,
The restoration bar 32,
The upper end is bent in a “∩” shape or circular shape, positioned inside the mold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cross bar 30 and the leg portion 31 through injection molding, and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eg portion 31 Located inside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ar 30 formed in width,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mold where the restoration bar 32 is located so that a concav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leg portion 31, and the leg portion 31 and the heel restoration tool ( 21) is firmly coupled to the shoe heel 20, characterized in that the built-in shoe.
상기 가로바(30)의 중앙 상부에 오목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According to claim 1,
Sho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 portion 33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horizontal bar 3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0065A KR102475036B1 (en) | 2021-01-25 | 2021-01-25 | Sho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0065A KR102475036B1 (en) | 2021-01-25 | 2021-01-25 | Sho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7433A KR20220107433A (en) | 2022-08-02 |
KR102475036B1 true KR102475036B1 (en) | 2022-12-06 |
Family
ID=8284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0065A Active KR102475036B1 (en) | 2021-01-25 | 2021-01-25 | Sho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503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229536A1 (en) * | 2018-12-21 | 2020-07-23 | Nike, Inc. | Footwear article with collar elevato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316746B (en) * | 2016-04-22 | 2024-05-28 | 飞思特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 Quick entry footwear with rebound fit system |
US10568385B2 (en) * | 2016-10-26 | 2020-02-25 | Nike, Inc. | Footwear heel spring device |
-
2021
- 2021-01-25 KR KR1020210010065A patent/KR1024750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00229536A1 (en) * | 2018-12-21 | 2020-07-23 | Nike, Inc. | Footwear article with collar elev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7433A (en) | 2022-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33138A (en) | Replaceable high heel | |
US12167769B2 (en) | Sole for a sports shoe | |
US9907355B2 (en) | Article of footwear for running and cycling | |
KR101797987B1 (en) | Shoes support foam | |
KR102475036B1 (en) | Shoes | |
KR100882190B1 (en) | Masai Walking Shoes Midsole | |
KR101378636B1 (en) | A shoea with pads | |
US9380828B2 (en) | Structure of athletic shoe | |
US4477985A (en) | Sanitary sandals | |
KR200493016Y1 (en) | Easy-to-Wear Shoes | |
US9655401B2 (en) | Polymer shoe | |
KR102450372B1 (en) | Rebounding back counter for shoes | |
JP5764648B2 (en) | Athletic shoes | |
KR102004225B1 (en) | shoes with rebounding fit function | |
JP5792327B2 (en) | High heels | |
KR102326716B1 (en) | Bilateral slippers | |
CN204861412U (en) | Slippers of exempting from to take off one's shoes and dressing | |
JP5848319B2 (en) | Tall shoes | |
JP3692371B2 (en) | Shoe insert | |
KR910004154Y1 (en) | Shoe heel | |
KR20220102057A (en) | socks equipped with rayon fiber on the friction surface | |
KR101733721B1 (en) | Reinforcement for shoe's heel | |
KR200200061Y1 (en) | High-heeled rubber shoes | |
CN205180484U (en) | Flip -flop | |
KR200486203Y1 (en) | The toe stock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