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003B1 - SYSTEM FOR MANAGING SNOW REMOVAL USING IoT - Google Patents
SYSTEM FOR MANAGING SNOW REMOVAL USING I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5003B1 KR102475003B1 KR1020200089499A KR20200089499A KR102475003B1 KR 102475003 B1 KR102475003 B1 KR 102475003B1 KR 1020200089499 A KR1020200089499 A KR 1020200089499A KR 20200089499 A KR20200089499 A KR 20200089499A KR 102475003 B1 KR102475003 B1 KR 1024750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now removal
- information
- snow
- road
- amou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40—Transportat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은, 통신 회로,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복수의 제설 장치들, 및 제설 작업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의 위치에 대한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상 정보 및 상기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도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도로 상태에 기반하여 제설 작업을 수행할 제설 구역 및 상기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설 구역 및 상기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포함하는 상기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설 구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circuit, a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a plurality of snow removal devices, and a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comprises the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road-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a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from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determine road conditions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road-related information, , Determining a snow removal area to perform a snow removal operation based on the confirmed road condition and an amount of a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in the snow removal area, and the snow removal operation including the snow removal area and the amount of the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related control signals to at least one snow removal device located in the snow removal area via the communication circuitry.
Description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IoT(internet of things)를 이용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겨울철에 눈이 내리는 경우 도로에 눈이 쌓이거나 결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사고와 보행자의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설 장치는 도로에 쌓인 눈을 제설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장치는 기상 정보를 통해 강설이 예상되는 경우 기온과 적설량에 미리 매핑된 제설제 살포량에 기반하여 제설제를 살포하여, 제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When snow falls in winter, snow may accumulate or freeze on roads, which may cause vehicle accidents and pedestrian safety accidents. In order to prevent such an accident, the snow removal device may perform a snow removal operation on the road. For example, when snowfall is expected through weather information, the snow removal device may perform a snow removal operation by spraying the snow removal agent based on the amount of snow removal agent pre-mapped to the temperature and amount of snowfall.
제설 작업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기상 정보에 기반하여 제설 작업 계획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설 작업 계획에 따라 특정 지역의 터널, 교량 또는 도로에 제설 작업을 수행하도록, 각각의 제설 차량에 각각에 제설 작업 지시를 전송할 수 있다. 제설 작업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각 제설 차량으로부터 제설 작업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설 작업에 대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system creates a snow removal work plan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and performs snow removal work on tunnels, bridges or roads in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the created snow removal work plan, so that each snow removal vehicle performs snow removal work. instructions can be sent. The system for managing the snow removal work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snow removal work from each snow removal vehicle and monitor the snow removal work in real time.
하지만, 예상되는 기상 정보는 실제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온과 적설량에 미리 매핑된 제설제 살포량에 기반하여 제설제를 살포하는 경우, 제설 작업은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기상 정보 및 노면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음에 따라, 실질적으로 제설 작업이 필요한 제설 구역에 제설 작업을 수행할 수 없을 수 있으며,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 또한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the expected weather informa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and accordingly, when the snow removal agent is sprayed based on the amount of snow removal agent pre-mapped to the temperature and amount of snowfall, the snow removal operation may not be efficient. In other words, since it is not possible to grasp weather information and road surface conditions for a wide area in real time, it may not be possible to perform snow removal work in a snow removal area that actually requires snow removal work, and the amount of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in the snow removal area It may also not be appropriat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IoT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 센서 노드들로부터 수신되는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제설 작업을 수행할 제설 구역과 제설 장치들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An apparatus for managing snow remov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tegrates and manages a snow removal zone and snow removal devices to perform snow removal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and road-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sensor nodes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IoT. can do.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IoT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 센서 노드들로부터 수신되는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빅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구축된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이용하여 딥 러닝을 수행하여 우선적으로 제설 작업을 수행해야 할 구역 및 제설 작업을 수행해야 할 구역에 살포할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uild big data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and road-rela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sensor nodes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IoT.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performs deep learning using a deep neural network (DNN) based on the built big data to spray in areas where snow removal work should be performed and areas where snow removal work should be performed first. The optimal amount of snow removal agent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은, 통신 회로,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복수의 제설 장치들, 및 제설 작업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의 위치에 대한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기상 정보 및 상기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도로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도로 상태에 기반하여 제설 작업을 수행할 제설 구역 및 상기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설 구역 및 상기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포함하는 상기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제설 구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A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circuit, a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a plurality of snow removal devices, and a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wherein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includes the plurality of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road-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from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determine road conditions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road-related information, Determining a snow removal area to perform a snow removal operation and an amount of a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on the snow removal area based on the identified road conditions, and related to the snow removal operation including the snow removal area and the amount of the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at least one snow removal device located in the snow removal area via the communication circu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IoT를 이용하여 다양한 장소에 설치된 센서 노드들로부터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서로 연결된 센서 노드들로부터 실시간으로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제설 장치를 이용하여 제설 작업을 통합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road-related information in real time from sensor node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using IoT. 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may integrate and efficiently manage the snow removal operation using the snow removal apparatus as weather information and road-related information are received in real time from sensor nodes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우선 제설 구역과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결정된 우선 제설 구역에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에 기반하여 제설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도로의 결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managing a snow removal ope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determine a priority snow removal area and an optimal snow removal agent spraying amount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and road-related information. 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may prevent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icing of the road in advance by performing a snow removal operation based on the optimal snow removal agent spraying amount in the determined priority snow removal area.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구축된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딥 러닝을 수행하여 우선 제설 구역 및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제설 작업이 필요한 제설 구역에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으로 제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제설 작업이 효율적일 수 있다.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erform deep learning based on big data built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and road-related information to determine a priority snow removal area and an optimal snow removal agent spraying amount. Accordingly, the snow removal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optimal snow removal agent spraying amount in the snow removal area where the snow removal operation is actually required, and thus the snow removal operation can be efficient.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의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정보 수집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각각에 포함된 센서 노드가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장치 예컨대, 이동형 제설 장치 및 고정형 제설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작업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 간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도를 통해 제설 작업 현황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oT-based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provided as sensor nodes inclu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5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now removal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various embodiments.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now removal device, such as a mobile snow removal device and a stationary snow removal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related to snow remov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ignal flow between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now removal work status through a map,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100)이다.1 is a diagram 100 illustrating an internet of things (IoT)-based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IoT 기반의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은 제설 정보 수집 장치(110), 제설 장치 예컨대, 이동형 제설 장치(예: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 고정형 제설 장치(예: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 고정형 친환경 제설시스템(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IoT-based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정보 수집 장치(110)는 기상 정보(예: 기온, 습도, 풍향/풍속, 강설 여부)와 도로 관련 정보(예: 도로 표면에 대한 온도, 수분)를 획득할 수 있다. 제설 정보 수집 장치(110)는 센서 노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설 정보 수집 장치(110)는 광범위한 지역 내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각각에 포함된 센서 노드(115)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어 망을 형성할 수 있다. 센서 노드들 간에 망이 형성됨에 따라 제설 정보 수집 장치(110)는 광역적으로 분포된 제설 현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정보 수집 장치(110)는 위치하는 장소의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설 작업 관리 장치(미도시)에 송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장치 예컨대, 이동형 제설 장치(120) 및 고정형 제설 장치(예: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 고정형 친환경 제설시스템(140))은 터널, 교량, 도로 등에 제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설 작업 관리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형 제설 장치는 상습 결빙 구간, 초동 대응 어려운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형 제설 장치 중 고정형 친환경 제설시스템(140)은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 친환경 제설 시스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친환경 제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변화물질 친환경 제설 시스템은 특정한 온도에서 온도의 변화 없이 상(phase)이 변하면서 많은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주위의 열을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방출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친환경 제설 시스템은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열전도도가 향상된 나노 재료를 이용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device, for example, the mobile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장치(120, 130, 140) 중 적어도 하나는 제설 작업 관리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작업 관리 장치(미도시)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도로 상태를 확인하고, 제설 작업이 필요한 제설 구역 및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종류와 제설제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관리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는 결정된 살포할 제설제의 종류와 제설제 양으로 제설 구역에 살포하라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120, 130, 및/또는 140)는 제설 작업 관리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제설 구역에 제설제를 살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snow removal device (120, 130, and / or 140) is based on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snow removal operation received from 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device (not shown) to spray the snow removal agent in the corresponding snow removal area can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IoT 기반의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200)이다.2 is a block diagram 200 illustrating an IoT-based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2를 참조하면, IoT 기반의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은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예: 예: 도 1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110)), 제설 장치(220)(예: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 고정형 제설 장치(예: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 고정형 친환경 제설시스템(140)), 및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IoT-based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210 (eg,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 제설 장치(220), 및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통신망(240)을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 따른,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는 후술하는 도 3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설 장치(220)는 후술하는 도 5a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후술하는 도 6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정보 수집 장치(110)는 획득되는 기상 정보(예: 기온, 습도, 풍향/풍속, 강설 여부)와 도로 관련 정보(예: 도로 표면에 대한 온도, 수분)를 통신망(240)을 통해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에 송신(250)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장치(220)는 이동형 제설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제설 장치(120)는 제설 차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형 제설 장치(130, 140)는 액상 살포 시스템 및 친환경 제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통신망(240)을 통해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수신되는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제설 구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결정된 제설 구역에 위치하는 제설 장치(220)에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송신(255)할 수 있다. 제설 장치(220)는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로부터 수신한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해당 구역에서 제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장치(220)가 이동형 제설 장치인 경우, GPS로부터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통신망(240)을 통해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에 송신(260)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를 도시한 블록도(300)이다.3 is a block diagram 300 illustrating a snow removal
도 3을 참조하면,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예: 도 1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110))는 센서부(310), 카메라(320), 및 센서 노드(330)(예: 도 1의 센서 노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210 (eg,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310)는 기상 센서(311) 및/또는 로드 센서(31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 센서(311)는 기온, 상대 습도, 풍향, 풍속, 및/또는 일조량과 같은 기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기상 센서(311)는 기상 관측소(weather station)로부터 기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로드 센서(313)(또는 노면 센서)는 노면의 온도와 노면 조건과 같은 도로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노면 조건은 건조, 습윤, 결빙, 및/또는 융해와 같은 노면에서의 습윤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ad sensor 313 (or road surface sensor) may obtain road-related information such as road surface temperature and road surface conditions. For example, the road surface conditions may include wet conditions on the road surface such as dry, wet, frozen, and/or melted.
일 실시예에서, 로드 센서(313)는 비접촉 적외선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접촉 적외선 온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노면의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로드 센서(313)는 라이다 센서(lidar sens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라이다 센서를 이용하여 적설량을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는 복수 개의 로드 센서(313)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310)는 획득된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센서 노드(330)에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320)는 촬영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센서 노드(330)에 전달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310)(예: 기상 센서(311), 노면 센서(313))와 카메라(3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센서 노드(330)(예: 제설용 센서 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310 (eg, the
일 실시예에서, 센서 노드(330)는 센서부(310)로부터 획득되는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센서 노드(330)는 무선 통신 기능이 내장된 노드일 수 있다. 제설 정보 수집 장치(110)는 광범위한 지역 내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각각에 포함된 무선 통신 기능이 내장된 센서 노드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어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센서 노드(330)는 상시 전원 또는 태양열 패널, 또는 배터리 방식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센서 노드(330)는 카메라(3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기반하여 강설 여부, 차량의 통행량, 및/또는 차량의 이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 노드(330)는 센서부(310)를 통해 획득되는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제설 작업 관리 장치(예: 도 2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에 송신할 수 있다. 센서 노드(330)는 카메라(3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기반하여 측정된 차량의 이동 속도, 차량의 통행량, 및/또는 강설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에 송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각각에 포함된 센서 노드가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됨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400)이다.4 is a diagram 400 illustrating a wireless sensor network provided as sensor nodes included in each of a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4를 참조하면, 제설 정보 수집 장치(예: 도 2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는 광범위한 지역 내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각각에 포함된 센서 노드(435)(예: 도 3의 센서 노드(330))는 무선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어 망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eg,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는 제설 장치(예: 도 2의 제설 장치(220))와 통신 연결되어 네트워크(예: 제설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제설 네트워크는 제설 장치(220)의 센서 노드(425)(예: 스마트 노드(smart node))와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의 센서 노드(435)(예: 스마트 베이스(smart base))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s, WSN)(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의 센서 노드(435)는 citi wifi(410) 예컨대, 도시 공공와이파이(예: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S-Net))의 AP(415)와 연결되어 제설 작업 관리 장치(예: 도 2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의 센서 노드(435)는 예컨대, 와이파이 6(WiFi6)를 적용하여 최대 9.6 Gbps로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와이파이의 종류 및 속도는 하나의 실시예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의 센서 노드(435)가 citi wifi(410)의 AP(415)와 연결됨에 따라 광역적으로 제설과 관련 정보를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대한 양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는 제설 장치(220)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와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의 센서부(예: 도 3의 센서부(310))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에 송신할 수 있다.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는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로부터 제설 작업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제설 장치(2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제설 작업을 수행할 제설 장치(220)에 제설 작업에 대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도 5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장치(220)를 도시한 블록도(500)이다.5A is a block diagram 500 illustrating a
도 5a를 참조하면, 제설 장치(예: 도 2의 제설 장치(220))는 통신 회로(510), 메모리(520), 센서부(530), 디스플레이(540), 및 센서 노드(5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a snow removal device (eg, the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장치(220)는 복수의 제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장치(220)는 이동형 제설 장치(예: 도 1의 이동형 제설 장치(예: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 및 고정형 제설 장치(예: 도 1의 고정형 제설 장치)(예: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 고정형 친환경 제설시스템(140))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510)는 제설 작업 관리 장치(예: 도 2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와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520)는 기상 정보, 제설 작업 정보, 및/또는 제설제 잔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기상 정보는 외기 온도, 노면 온도, 및/또는 적설량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장치(220)가 이동형 제설 장치(예: 도 1의 이동형 제설 장치(120))인 경우, 메모리(520)는 이동형 제설 장치(120)의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형 제설 장치(120)의 정보는 이동형 제설 장치(120)의 속도와 GPS(미도시)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530)는 온도/습도 센서(531), 로드 센서(533), 및 라이다 센서(535)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온도/습도 센서(531)는 현재 위치에서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획득할 수 있다. 로드 센서(533)는 노면의 온도와 노면 조건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로드 센서(533)는 적설 또는 결빙 상태의 노면을 제설 또는 제빙하기 위하여 노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노면 조건은 건조, 습윤, 결빙, 융해와 같은 노면에서의 습윤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535)는 적설량을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mperatur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540)는 우선 제설 구역과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는 특정 구역에서 수행되는 제설 작업 현황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40)는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컨대, 우선 제설 구역 및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을 사용자가 설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서, 센서 노드(550)는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로부터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기반하여 해당 제설 구역에 제설제를 살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예에서, 미도시 되었으나, 제설 장치(220)가 이동형 제설 장치(예: 도 1의 이동형 제설 장치) 예컨대,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인 경우, GP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S는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센서 노드(550)에 송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if the
전술한 제설 장치(220) 예컨대, 이동형 제설 장치(120) 및 고정형 제설 장치(120) 예컨대,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도 5b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In relation to the above-described
도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장치(220) 예컨대, 이동형 제설 장치(예: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 및 고정형 제설 장치(예: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를 도시한 도면(550)이다.5B illustrates a
도 5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번호 <560>에 도시된 이동형 제설 장치는 도로 구간에 제설제를 살포하는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예: 도 1의 이동형 제설 장치(1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B, the mobile snow removal device shown by reference number <5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obile snow removal vehicle (eg, the mobile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은 센서 노드(예: 스마트 노드(smart node))(561)(예: 도 5a의 센서 노드(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센서 노드(561)는 센서부(예: 도 5a의 센서부(530))를 통해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530)로부터 획득되는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과 관련된 정보는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운행 정보(562), 기상 정보(563), 제설제 잔량 정보(564), 및/또는 제설제 살포량(565)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운행 정보(562)는 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속도 정보 및 GPS(미도시)를 통해 획득되는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 정보(563)는 온도/습도 센서(예: 도 5a의 온도/습도 센서(531))를 통해 획득되는 기온 정보, 로드 센서(예: 도 5a의 로드 센서(533))를 통해 획득되는 노면 온도, 및/또는 라이다 센서(예: 도 5a의 라이다 센서(535))를 통해 획득되는 적설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은 비접촉 적외선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비접촉 적외선 온도 센서를 통해 노면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접촉 적외선 온도 센서와 라이다 센서(535)는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앞단에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bile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센서 노드(561)는 제설제 잔량 정보(564)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제는 고체 제설제 및/또는 액상 제설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센서 노드(561)는 라이다 센서(535)를 이용하여 고체 제설제의 잔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수압계를 이용하여 액상 제설제의 잔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센서 노드(561)는 제설 작업 관리 장치(예: 도 2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로부터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566)를 수신하면, 이에 기반하여 해당 제설 구역에 제설제를 살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566)는 우선 제설 구역과 제설제 살포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체 제설제를 살포하는 경우,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센서 노드(561)는 구동 모터의 회전량(rpm)에 기반하여 고체 제설제의 살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액상 제설제를 살포하는 경우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센서 노드(561)는 노즐의 유량계를 이용하여 액상 제설제의 살포량을 측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센서 노드(561)는 노면 상태 예컨대, 제설폭(예: 차로(또는 차선))을 고려하여 제설제의 살포량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제설 장치 차량(120)의 센서 노드(570)는 수행중인 제설 작업 현황을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에 전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node 570 of the mobile snow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센서 노드(561)는 획득된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과 관련된 정보(예: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운행 정보(562), 기상 정보(563), 제설제 잔량 정보(564), 제설제 살포량(565))을 메모리(예: 도 5a의 메모리(520))에 저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센서 노드(561)는 디스플레이(540)에 제설 작업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40)에 표시된 제설 작업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설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참조번호 <580>에 도시된 고정형 제설 장치는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예: 도 1의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형 제설 장치는 고정형 친환경 제설시스템(예: 도 1의 고정형 친환경 제설시스템(140))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xed snow removal device shown in reference number <58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fixed liquid spray system (eg, the fixed
일 실시예에서,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은 센서 노드(예: 스마트 노드(smart node))(581)(예: 도 5a의 센서 노드(5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의 센서 노드(581)는 센서부(예: 도 5a의 센서부(530))를 통해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530)로부터 획득되는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과 관련된 정보는 제설제 살포량(582), 기상 정보(583), 및/또는 제설제 잔량 정보(58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상 정보(583)는 온도/습도 센서(531)를 통해 획득되는 기온 정보, 로드 센서(533)를 통해 획득되는 노면 온도, 및/또는 라이다 센서(535)를 통해 획득되는 적설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은 비접촉 적외선 온도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비접촉 적외선 온도 센서를 통해 노면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ionary
일 실시예에서,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의 센서 노드(581)는 제설제 잔량 정보(584) 예컨대, 액상 제설제의 잔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은 저장 탱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액상 제설제의 잔량 정보는 수압계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의 센서 노드(581)는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의 센서 노드(581)는 제설 작업 관리 장치(예: 도 2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로부터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585)를 수신하면, 이에 기반하여 액상 제설제를 살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585)는 액상 제설제 살포량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은 노즐을 구비할 수 있으며, 노즐을 통해 액상 제설제의 살포량을 측정 및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또는 고정형 친환경 제설시스템(140))은 제설이 취약한 구간 및/또는 상습적으로 결빙이 발생하는 구간과 같이 초동 대응이 어려운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형 액상살포시스템(130)(또는 고정형 친환경 제설시스템(140))이 설치되는 구간은, 예컨대, 교량 진출입로, 램프구간, 고가 차도, 고갯길, 지하차도, 도심지 터널 시/종점 경사 구간(예: 경사 3% 이상), 및/또는 자치단체 간 경계구간의 고갯길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tionary liquid spreading system 130 (or the stationary eco-friendly snow removal system 140) may be installed in a section where initial response is difficult, such as a section where snow removal is weak and / or a section where ice formation occurs habitually. Can be installed. The section in which the fixed liquid spray system 130 (or the fixed eco-friendly snow removal system 140) is installed is, for example, a bridge entry and exit road, a ramp section, an overpass road, a hill road, an underpass, an urban tunnel starting / ending slope section (eg: slope of 3% or more), and/or hill roads in the boundary sec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를 도시한 블록도(600)이다.6 is a block diagram 600 illustrating a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관리 장치(예: 도 2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제설 작업을 통합 관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강설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노면 상태를 예측하고, 제설제의 살포량을 최적화하고, 제설작업 현황 정보를 사용자들(예: 제설 관리자 및/또는 시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eg, the snow removal
도 6을 참조하면, 제설 작업 관리 장치(예: 도 2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통신 회로(610), 메모리(620), 디스플레이(630), 및 프로세서(6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device (eg,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610)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예: 도 2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 및/또는 제설 장치(예: 도 2의 제설 장치(220))와 통신 채널을 수립하고,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회로(610)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 및/또는 제설 장치(220)와 통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620)는 데이터베이스(621)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621)는 예컨대, 기상 정보 데이터베이스(621a), 도로 정보 데이터베이스(621b), 제설 장치 위치 데이터베이스(621c)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 정보 데이터베이스(621a)는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해당 위치에 대한 실시간 기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로 정보 데이터베이스(621b)는 도로의 폭, 차로 수, 도로의 방향을 저장할 수 있다. 제설 장치 위치 데이터베이스(621c)는 제설 장치 예컨대, 복수의 이동형 제설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설 장치 위치 데이터베이스(621c)는 제설 장치 예컨대, 복수의 고정형 제설 장치들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621)는 프로세서(640)에 의해 결정된 제설 구역 및 제설 구역에 살포할 최적의 제설제의 양을 누적하여 저장된 제설 구역 데이터베이스(621d) 및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 데이터베이스(621e)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630)는 프로세서(640)의 제어 하에 결정된 제설 구역 및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을 교통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transportation, GIS-T)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630)는 프로세서(640)의 제어 하에 특정 구역에서 수행되는 제설 작업 현황에 대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40)는 정보 수집부(641), 도로 상태 모니터링부(643), 제설 작업 결정부(645), 제설 작업 모니터링부(647), 및 제설 작업 제공부(649)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정보 수집부(641)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621)(예: 기상 정보 데이터베이스(621a) 및 도로 정보 데이터베이스(621b))에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641)는 제설 장치(2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621)(예: 제설 장치 위치 데이터베이스(621c))에 저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40)의 도로 상태 모니터링부(643)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가 위치하는 장소의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예: 도로 표면 상태)에 기반하여 도로 상태(예: 결빙, 강설과 같은 도로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ad
일 실시예에서, 도로 상태 모니터링부(643)에 의해 모니터링한 결과 해당 장소의 도로에 강설 및 결빙이 발생되면, 프로세서(640)의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우선적으로 제설 작업을 수행할 장소(예: 구역)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적설량이 지정된 값을 초과하고, 노면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하인 구역을 우선적으로 제설 작업을 수행할 장소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도로 정보 데이터베이스(621b)에 저장된 도로 정보(예: 도로의 폭, 차로 수, 도로의 방향)에 기반하여 도로 제설 취약 구역으로 판단되는 구역을 우선적으로 제설 작업을 수행할 장소로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a result of monitoring by the road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40)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의 카메라(320)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40)의 도로 상태 모니터링부(643)는 제설 정보 수십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강설 또는 강우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640)는 영상 이미지의 픽셀을 분할하고, 분할된 픽셀의 광도 및 크기에 기반하여 선택된 규칙으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640)는 각 픽셀의 줄무늬에 대한 방향 히스토그램을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방향 히스토그램에 기반하여 강설 또는 강우의 픽셀을 검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40)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획득된 영상 이미지에 기반하여 강설 또는 강우의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40)는 영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차량을 검출하여 교통 상황(예: 차량 통과 대수, 차량 속도)에 대한 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640)는 획득되는 영상 이미지를 차 필터링, 배경 차감, 이미지 분할, 램프 억제(예: 밤인 경우), 그림자 억제(예: 낮인 경우), 및/또는 윤곽 추출을 수행하여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사전 정의되어 메모리(62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가상 코일 생성, 라인 감지 파라미터, 임계값, 및/또는 야간 감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40)는 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정체와 차량의 통과 수를 산출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도로 상태 모니터링부(643)는 열 균형(heat-balance) 방정식에 기반하여 노면 온도 예측 모형을 산정할 수 있으며, 노면 온도 예측 모형에서 산정된 시계열 데이터를 딥러닝(deep learning)을 통해 노면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예컨대, 도로 상태 모니터링부(643)는 에너지 균형 법칙에 기반하여 노면에서의 에너지 흐름과 노면과 대기에서의 수직 열전달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도로 상태 모니터링부(643)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획득된 기상 정보(예: 기온, 습도, 풍향/풍속, 강설 여부)와 도로 관련 정보(예: 도로 표면에 대한 온도, 수분)를 에너지 균형 법칙 모델에 적용하여 수치해석적 해를 산출할 수 있다. 도로 상태 모니터링부(643)는 에너지 균형 방정식에 기반한 도로 노면 상태 예측 모델을 통해 도로 상태 예컨대, 대기의 온도, 노면의 온도, 및/또는 노면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oad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40)의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데이터베이스(621)(예: 제설 구역 데이터베이스(621d) 및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 데이터베이스(621e))에 누적된 제설 작업과 관련된 빅 데이터(big data)를 딥 러닝(deep learning) 방식으로 분석하여, 우선 제설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결정된 제설 작업을 수행할 장소(예: 구역)에 살포할 최적의 제설제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열 전달 방정식을 지배 방정식으로 산정하여,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제설제를 이용하여 눈을 녹이는 것은 에너지 흐름 법칙을 따르는 열 전달 방정식을 지배 방정식으로 하여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열 전달 방정식에 대입될 수 있는 센싱 정보는 외부 조건인 기상 조건(예: 기온, 상대 습도, 풍향, 풍속, 및/또는 일조량), 노면 조건(예: 노면 온도, 노면 함수 상태), 및 적설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외부 조건을 열 전달 방정식에 대입하여 목표로 하는 제설 시간과 성능에 따른 제설제 살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열 전달 방정식은 함수식을 이용하는 결정론적 방법으로 하나의 방정식의 풀이를 통해 제설제 살포량을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다른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입력값과 목표값(예: 제설제 살포량)에 대한 딥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하여 제설제 살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와 제설 장치(220)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빅 데이터(big data)를 구축할 수 있다. 빅 데이터로 구축된 정보에 기반하여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이용하여 딥 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값은 열 전달 방정식의 풀이에 필요한 기상 조건, 노면 조건, 적설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목표값은 제설제 살포량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값과 목표값이 지속적으로 누적될수록 학습량도 많아지기 때문에, 제설제 살포량의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시간에 따른 제설제 살포량을 시계열 값으로 나타내면, 제설제 살포량에 대한 예측 또한 가능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예컨대, 빅 데이터(big data)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BPS(bare pavement status) 및 BPRT(bare pavement regain time)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BPS는 특정 도로 면적에 대하여 제설제 살포로 인해 적설이 완벽하게 제거된 면적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제설제를 살포한 이후 시간 경과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여, 이미지 분석을 통해 전면적 대비 융설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BPRT는 특정 도로 면적에 대하여 제설제를 살포한 후 적설이 완벽하게 제거된 면적의 비율이 80%에 도달하는데 까지 경과한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설제를 살포한 이후 동영상 촬영을 통해 BPS가 80%에 도달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전술한 BPS 및 BPRT를 이용하여 빅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에 기반하여 제설제 살포량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a method of constructing big data may include bare pavement status (BPS) and bare pavement regain time (BPRT). For example, the BPS may mean a ratio of an area in which snow is completely removed due to spraying of a snow remover with respect to a specific road area.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과 교통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우선 제설 구역을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은 기상 정보, 도로 관련 정보, 및/또는 적설량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시의 교통망에 대한 지형정보는 교통지리정보시스템으로 사전에 메모리(620) 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의 교통망은 도로망의 형상, 차로 수, 통행량, 도로 포장 종류, 방향성, 일조량, 및/또는 유지보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과 교통지리정보시스템의 교통망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우선 제설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분석은 도로망을 기본으로 도달 시간을 계산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차량의 경로, 현재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시설까지의 거리, 특정 건물의 서비스 영역, 다중 차량의 경로해석, 교통량 산정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교통지리정보시스템은 교통망(transportation network), 흐름(flows), 지형 정보, 및/또는 대지 사용 정보(land use pattern)로 구성할 수 있다. 교통지리정보시스템은 교통망, 흐름, 지형 정보, 및/또는 대지 사용 정보를 분석하고, 시각화할 수 있다. 교통지리정보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모델은 도로망의 벡터 데이터(vector data)와 지형에 대한 격자의 레스터 데이터(raster data)로 구성될 수 있다. 제설 구역을 결정하기 위해 해당 도시(예: 서울시)의 도로망에 대한 벡터 데이터는 메모리(62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벡터 데이터는 각 형상의 ID와 길이를 사전에 정의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각 형상의 면적, 폭, 특성들은 자동으로 산정되거나 별도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네트워크 분석은 교차로의 회전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결정부(645)는 각 교차로와 도로에 정의된 속성 정보(예: 길이, 주행 속도, 및/또는 교차로 회전 제약)의 네트워크 분석으로 우선 제설 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40)는 제설 작업 결정부(645)에 의해 결정된 제설 구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에 제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40)는 제어 신호와 함께 결정된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 또한 송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40)의 제설 작업 모니터링부(647)는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가 수행하는 제설 작업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640)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제설 장치(220)가 수행하는 제설 작업 상태 현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제설 작업 현장의 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40)는 제설 작업 모니터링부(647)에 의해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수신되는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제설 장치의 제설 작업을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640)는 제설 장치의 액체 살포량, 살포거리, 살포 방식 및 살포 시간을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40)의 제설 작업 제공부(649)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 및/또는 제설 장치(220)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640)의 제설 작업 제공부(649)는 제설 현황 정보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63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640)의 제설 작업 제공부(649)는 제설 현황 정보를 웹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설 현황 정보를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630)에 표시하거나, 및/또는 웹 기반으로 제공함에 따라, 제설 관리자와 웹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제설 작업 현황과 교통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각화하여 제공되는 제설 현황 정보는 유지 관리 구역 선정, 도로 유형별 시간대 강수 경보, 지도 표출 정보 선택, 레이더 센서 기반 대기온도 정보, 지점 및 구역 표출정보, 및/또는 관측 및 예측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설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700)이다.7 is a
도 7을 참조하면, 제설 작업 관리 장치(예: 도 2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710동작에서, 제설 정보 수집 장치(예: 도 2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기상 정보는 기온, 상대 습도, 풍향, 풍속, 및/또는 일조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로 관련 정보는 노면의 온도와 노면 조건(예: 노면의 습윤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eg,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720동작에서,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도로 상태(예: 건조, 결빙, 융해, 적설량)를 확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730동작에서, 확인된 도로 상태에 기반하여 제설 작업을 수행할 제설 구역 및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확인된 도로 상태에 기반하여 적설량이 지정된 값을 초과하고, 노면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하인 구역을 우선적으로 제설 작업을 수행할 장소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도로 정보 데이터베이스(예: 도 6의 도로 정보 데이터베이스(621b))에 저장된 도로 정보(예: 도로의 폭, 차로 수, 도로의 방향)에 기반하여 도로 제설 취약 구역으로 판단되는 구역을 우선적으로 제설 작업을 수행할 장소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구축된 빅 데이터(예: 제설 구역 데이터베이스(621d) 및 최적의 제설제 살포량 데이터베이스(621e))에 기반하여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을 이용하여 딥 러닝을 수행하여 제설 구역 및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미도시 되었으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살포할 제설제의 종류를 더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로 관련 정보는 도로의 속성 예컨대, 부식 발생 가능한 도로, 오르막길, 터널, 및/또는 교차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도로 관련 정보 예컨대, 부식이 발생 가능한 도로인지 여부에 기반하여 살포할 제설제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부식이 발생 가능한 도로에 제설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이를 고려하여 예컨대, 염화계 제설제를 살포할 제설제로서 배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오르막 구간에 제설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이를 고려하여 오르막길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모래를 살포할 제설제로서 결정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lthough not shown, the snow removal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미도시 되었으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제설 장치(220)가 수행할 제설 작업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제설 작업은 밀어내기 제설, 블로우어로 투설, 및/또는 운반 제설을 포함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although not shown,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740동작에서,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제설 구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제설 장치에 결정된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송신한 후, 특정 구역에서 수행되는 제설 작업 현황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예: 도 6의 디스플레이(630))에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미도시 되었으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제설 작업 현황을 모니터링하며,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수신되는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제설 장치의 제설 작업을 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the snow removal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 간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800)이다.8 is a diagram 800 for explaining signal flow between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8을 참조하면, 제설 정보 수집 장치(예: 도 2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는 810동작에서,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는 820동작에서,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를 제설 작업 관리 장치(예: 도 2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에 송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eg,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830동작에서,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획득한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제설 구역 및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도로 상태(예: 건조, 결빙, 융해, 적설량)를 확인하고, 이에 기반하여 제설 작업을 수행할 제설 구역 및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840동작에서, 결정된 제설 구역에 위치하는 제설 장치에 결정된 제설제의 양을 송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제의 양을 수신한 제설 장치(220)는 850동작에서, 수신한 제설제의 양에 기반하여 제설제를 살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서, 미도시 되었으나, 제설 장치(220)는 제설 장치(22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830동작에서, 제설 장치(220)로부터 수신되는 제설 장치(220)의 위치 정보를 더 고려하여 우선 제설 구역 및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the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도를 통해 제설 작업 현황을 도시한 도면(900)이다.9 is a diagram 900 illustrating a snow removal operation status through a map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9를 참조하면, 제설 작업 관리 장치(예: 도 2의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제설 정보 수집 장치(210)로부터 수신한 기상 정보 및 도로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도로 상태를 확인하고, 이에 기반하여 제설 작업을 수행할 제설 구역 및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제설 구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device (eg,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는 제설 장치에 결정된 제설제의 양을 송신한 후, 특정 구역에서 수행되는 제설 작업 현황(910)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예: 도 6의 디스플레이(630))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설 작업 현황(910)에 대한 화면은 제설 장치 예컨대,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예: 도 1의 이동형 제설 작업 차량(120))의 경로 및 제설 작업 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설 작업 현황(910)에 대한 화면은 적설량 정보, 노면 온도 정보, 교통량 정보, 및/또는 도로 형상을 더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now removal
일 실시예에서, 제설 작업 현황(910)에 대한 화면을 표시함에 따라 제설 작업 관리 장치(230)의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가 수행하는 제설 작업 현항(910)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s the screen for the snow removal work status 910 is displayed, the user of the snow removal
210: 제설 정보 수집 장치 220: 제설 장치
230: 제설 작업 관리 장치210: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220: snow removal device
230: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device
Claims (15)
통신 회로;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복수의 제설 장치들; 및
제설 작업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의 위치와 관련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우선 제설 구역을 결정하고,
상기 우선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종류와 제설제의 양을 결정하고, 및
상기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결정된 우선 제설 구역에 살포할 상기 제설제의 종류 및 상기 제설제의 양을 포함하는 상기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제설 장치들 중 상기 결정된 우선 제설 구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은, 기상 정보, 도로의 상태 정보, 상기 도로의 속성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및 상기 위치를 포함하는 지역의 교통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상기 우선 제설 구역의 상기 기상 정보, 상기 도로의 속성 정보, 및 적설량에 따라 소요된 제설 시간에 따른 제설제의 양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결정된 제설제의 종류 및 제설제의 양을 살포하고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로부터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분석된 상기 우선 제설 구역에서 적설이 제거된 면적의 비율 및 상기 적설이 제거된 면적의 비율이 지정된 비율에 도달하는 데 경과된 시간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소요된 제설 시간에 따른 제설제의 양, 상기 적설이 제거된 면적의 비율, 및 상기 적설이 제거된 면적의 비율이 상기 지정된 비율에 도달하는 데 경과된 시간을 빅 데이터(big data)로 구축하고, 및
상기 빅 데이터를 딥 러닝(deep learning) 방식으로 분석하여, 상기 제설제의 양을 결정하는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In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circuit;
a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a plurality of snow removal devices; and
Including a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receiving a plurality of parameter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from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Based on the received plurality of parameters, first determine a snow removal area,
Determining the type and amount of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in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circuit,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snow removal operation including the type and amount of the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in the determined priority snow removal area is transmitted to the determined priority snow removal area among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devices. Sending to at least one snow removal device located,
The plurality of parameters include weather information, road condition information, road attribute information,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and traffic network information of a region including the location,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Storing the amount of snow removal agent according to the snow removal time required according to the weather information of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road, and the amount of snow in a memory,
After the determined type and amount of the snow removal agent are sprayed and a specified time elapses, imag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and snow is accumulated in the priority snow removal area analyzed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Storing in the memory the time elapsed for the ratio of the removed area and the ratio of the area from which the snow cover has been removed to reach a specified ratio;
The amount of snow removal agent according to the required snow removal time stored in the memory, the ratio of the area from which the snow is removed, and the ratio of the area from which the snow is removed are stored in the big data (big data) data), and
A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the snow removal agent by analyzing the big data in a deep learning method.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각각은 센서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각각에 포함된 센서 노드는 상기 복수의 제설 장치들과 서로 연결되어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includes a sensor node,
A sensor node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is set to configure a wireless sensor network by being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devices.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 각각은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에 기반하여 강설 여부 또는 차량의 통행량과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를 포함하는 상기 교통 상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및
상기 측정된 차량의 이동 속도, 상기 차량의 통행량, 또는 상기 강설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further includes a camera,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Measuring at least one of the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or not it snows or the amount of traffic of a vehicle and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an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and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system set to transmit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measured moving speed of the vehicle, the amount of traffic of the vehicle, or whether the snow is snowing to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상기 복수의 제설 장치들은, 이동형 제설 장치 및 고정형 제설 장치를 포함하는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devices,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mobile snow removal device and a fixed snow removal device.
상기 이동형 제설 장치는 속도 센서 및 GPS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형 제설 장치는,
상기 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이동형 제설 장치의 속도 정보 및 상기 GPS를 통해 획득되는 상기 이동형 제설 장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행 정보를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4,
The mobile snow removal device further includes a speed sensor and a GPS,
The mobile snow removal device,
A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set to transmit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mobile snow removal device obtained through the speed senso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snow removal device obtained through the GPS to 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devi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는,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설 작업과 관련된 제어 신호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snow removal device includes a display,
The at least one snow removal device,
A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to display a user interface for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snow removal work received from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on the display.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는,
상기 우선 제설 구역 또는 상기 살포할 제설제의 양 중 적어도 하나의 조정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6,
The at least one snow removal device,
A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set to display a user interface capable of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or the amount of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on the display.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상기 도로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제설 구역에서 수행 가능한 제설 작업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Based on the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road, a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set to determine a snow removal operation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상기 우선 제설 구역 및 상기 우선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종류와 제설제의 양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device further includes a memory,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and 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set to store the type and amount of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in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in the memory.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우선 제설 구역 및 상기 우선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종류를 빅 데이터(big data)로 구축하고, 상기 빅 데이터(big data)를 딥 러닝(deep learning) 방식으로 분석하여, 상기 우선 제설 구역 및 상기 우선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종류를 결정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9,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stored in the memory and the type of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in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are built as big data, and the big data is analyzed by a deep learning method, A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set to determine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and the type of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on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0,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A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configured to store the plurality of parameter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s in the memory.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의 제설 작업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설 장치의 제설 작업 현황, 상기 제설 구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설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복수의 파라미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우선 제설 구역 및 상기 우선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조정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The snow removal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snow removal device is monitored, and based on the snow removal operation status of the at least one snow removal device and the plurality of parameters received from at least one snow removal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located in the snow removal area. 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set to adjust the amount of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in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and the priority snow removal zone.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상기 우선 제설 구역 및 상기 우선 제설 구역에 살포할 제설제의 양을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해 지도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device further includes a display,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A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set to display the priority snow removal area and the amount of snow removal agent to be sprayed in the priority snow removal area on the display as a map throug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상기 제설 작업 관리 장치는,
상기 도로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적설량이 지정된 값을 초과하고, 도로의 온도가 지정된 값 이하인 구역, 상기 도로의 상태 정보 및 도로의 속성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된 도로 제설 취약 구역, 상기 교통 상황 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이동 속도와 상기 차량의 통행량, 상기 지역의 교통망 정보에 기반한 네트워크 분석, 및 메모리에 누적된 상기 제설 작업과 관련된 빅 데이터에 기반한 딥 러닝을 통해 상기 우선 제설 구역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device,
Based on the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road, an area where the amount of snow cover exceeds a specified value and the temperature of the road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an area vulnerable to snow removal identified based on the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road and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road, and the traffic condition information Snow removal set to determine the priority snow removal area through deep learning based on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included in and the traffic volume of the vehicle, network analysis based on traffic network information in the area, and big data related to the snow removal operation accumulated in memory work management system.
상기 도로의 속성 정보는, 부식 발생 가능한 도로, 오르막길, 터널, 또는 교차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및
상기 지역의 교통망 정보는, 상기 지역의 형상, 차로 수, 통행량, 도로 포장 종류, 방향성, 일조량, 또는 유지보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road includes at least one of a road where corrosion may occur, an uphill road, a tunnel, or an intersection, and
The traffic network information of the region is a snow removal work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hape of the region, the number of lanes, traffic volume, road pavement type, directionality, amount of sunlight, or maintenance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9499A KR102475003B1 (en) | 2020-07-20 | 2020-07-20 | SYSTEM FOR MANAGING SNOW REMOVAL USING IoT |
PCT/KR2021/009307 WO2022019603A1 (en) | 2020-07-20 | 2021-07-20 |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s (i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9499A KR102475003B1 (en) | 2020-07-20 | 2020-07-20 | SYSTEM FOR MANAGING SNOW REMOVAL USING I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0859A KR20220010859A (en) | 2022-01-27 |
KR102475003B1 true KR102475003B1 (en) | 2022-12-06 |
Family
ID=7972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9499A Active KR102475003B1 (en) | 2020-07-20 | 2020-07-20 | SYSTEM FOR MANAGING SNOW REMOVAL USING Io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5003B1 (en) |
WO (1) | WO2022019603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8842B1 (en) * | 2022-05-20 | 2023-06-28 | (주) 제이진 | Smart box containing liquid snow remover |
JP7326560B1 (en) * | 2022-08-19 | 2023-08-15 | 章史 葛西 | System and program for snow removal decision support, road management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99983A (en) * | 2000-09-21 | 2002-04-05 | Casio Comput Co Ltd | Car allocation indicating device, car allocation system, car allo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
KR101599507B1 (en) * | 2013-10-10 | 2016-03-03 | 주식회사 자동기 | management system for Snow removal medicine chloride sprinkler using artificial satellite and management method using Thereof |
KR101581299B1 (en) | 2015-08-03 | 2016-01-04 |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 Smart comprehensive control system for road snow removal |
KR101682940B1 (en) * | 2016-05-03 | 2016-12-07 |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 Total management system for removing snow and ice on road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
KR102034027B1 (en) * | 2019-04-26 | 2019-10-18 | (주)씨앤에스아이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preading liquid snow removal for road having black ice removal function |
-
2020
- 2020-07-20 KR KR1020200089499A patent/KR102475003B1/en active Active
-
2021
- 2021-07-20 WO PCT/KR2021/009307 patent/WO202201960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1926호(2015.04.20.) 1부* |
등록특허공보 제10-1581299호(2016.01.04.) 1부* |
등록특허공보 제10-1682940호(2016.11.30.) 1부* |
등록특허공보 제10-2034027호(2019.10.1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0859A (en) | 2022-01-27 |
WO2022019603A1 (en) | 2022-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6131B1 (en) | Automatic road ice predic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2380856B1 (en) | Deicer scatter system and method with autonomous operation function of winter service truck | |
US11312383B2 (en) | Road surface condition prediction system, driving assistance system, road surface condition prediction method, and data distribution method | |
JP6902774B2 (en) | Data collection device, road condition evaluation support device, and program | |
KR10183427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raffic safety information | |
KR10238085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decision on snow removal work | |
US20110112720A1 (en) | Road Conditions Reporting | |
KR102173797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Road Surface State | |
KR100801718B1 (en) | Customized driving safety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ystem in consideration of vehicle characteristics | |
KR20190105165A (en) | Road Weather Information Forecasting System | |
KR102475003B1 (en) | SYSTEM FOR MANAGING SNOW REMOVAL USING IoT | |
CN116189446A (en) | All-weather traffic comprehensive treatment method and system for mountain highway ice and snow weather | |
JP7593474B2 (en) | Risk of occurrence calculation device, risk of occurrence display system, risk of occurrence calculation method, and risk of occurrence calculation program | |
KR102380853B1 (en) | Road deiceing solution injection system with autonomous operation function | |
CN106408857A (en) | Highway road surface icing monitoring device and monitoring method | |
Kociánová | The intelligent winter road maintenance management in Slovak conditions | |
KR101409222B1 (en) |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road conditions | |
US20230245509A1 (en) | Safety system and method for motor vehicles | |
JP2024046257A (en) | Emergency traffic regulation determination support system, program, and road management method | |
RU2232427C2 (en) | Method and alarm device for generating alarm signal about icy conditions of roads | |
KR102442865B1 (en) | Snow removal oper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IoT (internet of thing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 |
KR20230164945A (en) | System for providing black ice information according to freezing of road surface, and method for the same | |
KR20130123181A (en) | Traffic system to notice status of road condition | |
KR101144280B1 (en) | Traffic system to notice status of road condition | |
JP7387041B1 (en) | Emergency traffic regulation decision support system and program, road management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227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106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7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10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7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2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7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