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652B1 - fishing rod handle - Google Patents
fishing rod hand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4652B1 KR102474652B1 KR1020220088952A KR20220088952A KR102474652B1 KR 102474652 B1 KR102474652 B1 KR 102474652B1 KR 1020220088952 A KR1020220088952 A KR 1020220088952A KR 20220088952 A KR20220088952 A KR 20220088952A KR 102474652 B1 KR102474652 B1 KR 1024746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fishing rod
- fastening
- clamping
- part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대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 손잡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낚시대 사용자가 손목을 꺾지 않고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는 낚시대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for a fishing r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e for a fishing rod, which is mou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andle of a fishing rod so that a user of a fishing rod can conveniently hold the handle without breaking the wrist.
낚시는 온가족이 안전하게 함께 즐길 수 있으면서도 물고기를 잡는 어종에 따라 달리 준비하는 채비와 그 채비로 미끼가 움직이듯 낚시대를 흔들어 입질하면 챔질로 낚아채서 끌어올리는 일련의 짜릿한 손맛을 느낄 수 있어 많은 사람이 즐기고 있다.Fishing can be safely enjoyed by the whole family, but many people can feel the thrill of catching and pulling up with a chamfer by shaking the fishing rod and taking a bite with the equipment prepa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pecies of fish to be caught and the bait moving with the equipment. Enjoying this.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낚시대 손잡이를 파지할 때는 도 16과 같이 손목이 꺾인 상태로 엄지와 팔이 일직선이 되도록 파지하는데, 이 경우 손목이나 팔에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when a user grips a fishing rod handle, as shown in FIG. 16, the thumb and arm are hel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wrist bent,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rist or arm easily feels tired.
특히, 루어 낚시에서는 릴의 조작을 통해 루어의 움직임을 살아 있는 미끼와 같이 연출하기 위해서 루어 낚싯대의 손잡이를 견고하게 파지해야 함과 동시에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조작을 장시간 수행하는 경우에는 손과 손목, 팔(어깨)에 통증을 유발시킨다.In particular, in lure fishing, in order to make the lure move like a live bait through reel manipulation, the handle of the lure fishing rod must be firmly gripped, while the thumb and forefinger must be able to move freely while holding the handle. When such manipulation is performed for a long time, pain is caused to the hand, wrist, and arm (shoulde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낚시대 손잡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낚시대 사용자가 손목을 꺾지 않고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는 낚시대용 핸들을 연구·개발하게 된 것이다.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applicant has researched and developed a fishing rod handle that can be conveniently gripped by a fishing rod user without breaking the wrist by being mou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shing rod handle.
본 발명은 낚시대 손잡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낚시대 사용자가 손목을 꺾지 않고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는 낚시대용 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ndle for a fishing rod that can be conveniently gripped by a fishing rod user without breaking a wrist by being mou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fishing rod hand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낚시대(10)의 손잡이(11)을 수용하면서 장착되는 장착부(100); 상기 장착부(100)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100)는 그 내주면이 낚시대(10)의 손잡이(11)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낚시대(10)의 손잡이(1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낚시대수용홀(111)이 마련되되, 일측에 절개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12)의 이격거리에 따라 내주면이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밀착되거나 낚시대(10)의 손잡이(11)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 한쌍의 클램핑부(110,110')와, 상기 클램핑부(110,110')의 절개된 단부에 각각 낚시대수용홀(11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세로로 절단된 반원기둥 형상을 갖는 한쌍의 체결부(120,12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120,120')는 클램핑부(110,110')의 내주면이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밀착될 때 체결부(120,120') 각각이 상호 밀착되어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손잡이부(300)는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체결부(120,120')에 체결되는 체결홈(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핸들 및 낚시대(10)의 손잡이(11)을 수용하면서 장착되는 장착부(1000); 상기 장착부(1000)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1000)는제1절곡부재(1100)와, 상기 제1절곡부재(1100)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절곡부재(1200) 및 제3절곡부재(1300)를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3절곡부재(1300)를 관통하는 체결홀(1310)에 결합되는 클램핑수단(1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절곡부재(1200)는 제2절곡부재(120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체결부(121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수단(1400)은 제3절곡부재(1300)의 체결홀(1310)에 체결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체결부(1410)와, 상기 체결부(1410)의 일단에 형성되어, 낚시대(10)의 손잡이(11)를 클램핑하는 압박부(1420)와, 상기 체결부(1410)의 타단에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체결부(1410)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143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2000)는 검지(1b), 중지(1c), 약지(1d) 및 소지(1e)에 의해 감싸지면서 파지되는 파지부(2100)와, 상기 파지부(210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파지부(2100)가 검지(1b), 중지(1c), 약지(1d) 및 소지(1e)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엄지(1a)와 검지(1b)를 연결하는 피부부위(A)에 밀착되어 손(1)이 파지부(210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손이탈방지부(2200)와, 상기 파지부(210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장착부(1000)의 제2절곡부재(1200)를 수용하여 장착부(10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장착부고정부(2300)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2100)는 장착부(1000)의 제2절곡부재(1200)가 장착부고정부(2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절곡부재(1200)의 체결부(1210)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체결홀(2110)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2100)는 그 평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장착부(1000)를 장착시 낚시대(10)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축이 장축(a)으로, 낚시대(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축이 단축(b)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손이탈방지부(220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핸들을 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은 낚시대 사용자가 손목을 꺾지 않고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대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 및 몸 전체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gripped by a fishing rod user without breaking his or her wrist, fatigue of the user's wrist or arm and the entire body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을 파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낚시대 파지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10 are use state diagrams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for a fishing rod is grippe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ront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shing rod gripping meth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n addition, descriptions of known technologies tha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However,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various parts and regions. was
또한,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또는 도면)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revealed that the direction limitation such as "top" and "bottom" is only indicated based on the shape of FIG. put
본 발명은 낚시대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 손잡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낚시대 사용자가 손목을 꺾지 않고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는 낚시대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for a fishing r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e for a fishing rod, which is mou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andle of a fishing rod so that a user of a fishing rod can conveniently hold the handle without breaking the wrist.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은 여러 개의 피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루어 낚시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여러개의 속대로 구성되는 일반 낚시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by being mounted on a lure fishing rod that connects several pieces, but can be applied to a general fishing rod composed of several rods in a telescopic manner.
본 발명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은 2가지 실시예로 제시된다.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제2실시예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in two embodiments. The first embodiment is shown in Figs. 1 to 11, and the second embodiment is shown in Figs. 12 to 15.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정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을 파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정면도이고, 도 16은 종래의 낚시대 파지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Specifically, FIG.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front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 and 14 are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ront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shing rod gripping method.
우선,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에 대해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은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장착부(100)와, 지지부(200)와, 손잡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shing rod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mounted on the
장착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부(100)는 낚시대(10)의 손잡이(11)을 수용하면서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클램핑부(110,110')와, 체결부(120,120')와, 보조손잡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클램핑부(110,110')에 대해 설명한다. 클램핑부(110,110')는 그 내주면이 낚시대(10)의 손잡이(11)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밀착되도록 낚시대수용홀(111)이 마련되되, 일측에 절개부(112)가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절개부(112)의 이격거리에 따라 내주면이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밀착되거나 낚시대(10)의 손잡이(11)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The
즉, 절개부(112)에 의해 상기 클램핑부(110,110')는 각각 세로로 절단된 반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클램핑부(110,110') 각각의 내주면이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밀착될 때 원통 형상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클램핑부(110,110')는 절개부(112)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체결부(120,120')에 대해 설명한다. 체결부(120,120')는 상기 클램핑부(110,110')의 절개된 단부에 각각 낚시대수용홀(11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세로로 절단된 반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한쌍으로 구비되는 부분이다.The
상기 체결부(120,120')는 그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핑부(110,110')의 내주면이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밀착될 때 체결부(120,120') 각각이 상호 밀착되어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ale threads may be formed on outer surfaces of the
보조손잡이부(130)에 대해 설명한다. 보조손잡이부(130)는 상기 체결부(120,120')와 대향되는 장착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파지부(131)와, 손이탈방지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보조손잡이부(130)는 도 1의 A-A' 라인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후술할 손잡이부(300)도 보조손잡이부(1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보조손잡이부(130)가 제외된 형태로도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보조손잡이부(130)를 파지한 모습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A state in which the
파지부(131)에 대해 설명한다. 파지부(13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1b), 중지(1c), 약지(1d) 및 소지(1e)에 의해 감싸지면서 파지되는 부분이다.The gripping
손이탈방지부(132)에 대해 설명한다. 손이탈방지부(13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3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파지부(131)가 검지(1b), 중지(1c), 약지(1d) 및 소지(1e)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엄지(1a)와 검지(1b)를 연결하는 피부부위(A)에 밀착되어 손(1)이 파지부(131)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으로서,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and
지지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부(200)는 장착부(100)와 손잡이부(300) 사이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관통공(210)과, 클램핑부고정부(220)와, 손잡이부수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관통공(210)에 대해 설명한다. 관통공(210)은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체결부(120,120')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부분이다.The through
클램핑부고정부(220)에 대해 설명한다. 클램핑부고정부(220)는 상기 관통공(210)에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체결부(120,120')가 동시에 삽입될 때 클램핑부(110,110')의 하측부 일부를 수용하여 장착부(10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부분이다.The clamping
클램핑부고정부(220)에 클램핑부(110,110')의 하측부 일부를 수용된 모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clamping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핑부고정부(220)는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제1벽(221)과, 상기 회전방지제1벽(221)과 평행되게 이격되어 배치되고,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제2벽(2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lamping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제1벽(221)과 회전방지제2벽(222) 사이의 이격거리(d2,도2)는 낚시대(10)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축을 기준으로 한 상기 원통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클램핑부(110,110')의 양 단부 사이의 길이(d1)에 대응되어, 낚시대(10)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축을 기준으로 한 클램핑부(110,110')의 양 단부가 회전방지제1벽(221)과 회전방지제2벽(222) 사이에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nd, the separation distance (d2, FIG. 2) between the anti-rotation
즉, 상기 회전방지제1벽(221)과 회전방지제2벽(222)은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클램핑부(110,110')의 하측부 일부가 클램핑부고정부(220)에 수용될 때 클램핑부(110,110')의 양 단부가 회전방지제1벽(221)과 회전방지제2벽(222)에 의해 간섭되어 회전되지 못한다.That is, the anti-rotation
상기 클램핑부(110,110')의 양 단부가 회전방지제1벽(221)과 회전방지제2벽(222) 사이에 밀착되면, 회전방지제1벽(221)과 회전방지제2벽(222)가 클램핑부(110,11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는 것이다.When both ends of the clamping
손잡이부수용부(230)에 대해 설명한다. 손잡이부수용부(230)는 상기 관통공(210)에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체결부(120,120')가 동시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120,120')가 손잡이부(300)의 체결홈(310)에 체결될 때 손잡이부(300)의 상측부 일부를 수용하는 부분이다.The handle
손잡이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손잡이부(300)는 상기 장착부(1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체결홈(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체결홈(310)은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체결부(120,120')에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체결홈(310)의 내측면에는 체결부(120,120')의 수나나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나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만약, 체결부(120,120')의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체결홈(310)의 내측면에도 암나사산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이 경우에는 체결부(120,120')가 체결홈(310)에 끼워맞춤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If male threads are not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을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5 to 10 are use state diagrams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10, a process of mounting the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클램핑부(110,110')를 벌려서 절개부(112)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한 다음에 손잡이(11)보다 직경이 작은 로드(12)를 통과시킨다. 클램핑부(110,110')가 로드(12)를 통과한 모습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5, the pair of clamping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용 핸들을 낚시대의 길이방향(K)으로 이동시켜 손잡이(11)에 밀착시킨다. 도 8은 도 7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도면이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handle for the fishing rod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K) of the fishing ro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20,120')를 지지부(200)의 관통공(210)에 통과시킨 후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20,120')를 손잡이부(300)의 체결홈(310)에 체결함으로써,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Next, as shown in FIG. 9, after passing the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5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은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장착부(1000)와, 손잡이부(20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shing rod hand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being mounted on the
장착부(1000)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부(1000)는 낚시대(10)의 손잡이(11)을 수용하면서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제1절곡부재(1100)와, 상기 제1절곡부재(1100)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절곡부재(1200) 및 제3절곡부재(1300)를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3절곡부재(1300)를 관통하는 체결홀(1310)에 결합되는 클램핑수단(1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상기 제2절곡부재(1200)는 제2절곡부재(120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체결부(1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1210)의 외주면에는 수나나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상기 제3절곡부재(1300)를 관통하는 체결홀(1310)의 내주면에는 암나나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수단(1400)은 체결부(1410)와, 압박부(1420)와, 조절부(1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n internal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체결부(1410)는 제3절곡부재(1300)의 체결홀(1310)에 체결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부분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체결홀(1310)의 암나나산에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압박부(1420)는 상기 체결부(1410)의 일단에 형성되어, 낚시대(10)의 손잡이(11)를 클램핑하는 부분이고, 상기 조절부(1430)는 상기 체결부(1410)의 타단에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체결부(1410)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부분이다.The
손잡이부(2000)에 대해 설명한다. 손잡이부(2000)는 상기 장착부(10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파지부(2100)와, 손이탈방지부(2200)와, 장착부고정부(2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파지부(2100)에 대해 설명한다. 파지부(2100)는 검지(1b), 중지(1c), 약지(1d) 및 소지(1e)에 의해 감싸지면서 파지되는 부분으로서, 장착부(1000)의 제2절곡부재(1200)가 장착부고정부(2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절곡부재(1200)의 체결부(1210)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체결홀(2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2110)의 내주면에는 체결부(1210)의 수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파지부(2100)는 그 평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장착부(1000)를 장착시 낚시대(10)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축이 장축(a)으로, 낚시대(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축이 단축(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른 형상에 따른 효과로서, 사용자가 파지부(2100)를 파지시 손의 피로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gripping
손이탈방지부(2200)에 대해 설명한다. 손이탈방지부(2200)는 상기 파지부(210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파지부(2100)가 검지(1b), 중지(1c), 약지(1d) 및 소지(1e)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엄지(1a)와 검지(1b)를 연결하는 피부부위(A)에 밀착되어 손(1)이 파지부(210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으로서,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and
제2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손잡이부(2000)를 파지한 모습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차이가 없으므로, 제1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의 파지모습을 나타내는 도 11을 참조한다.Since there is no difference in how the
장착부고정부(2300)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부고정부(2300)는 상기 파지부(210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장착부(1000)의 제2절곡부재(1200)를 수용하여 장착부(10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부분이다.The mounting
상술한 본 발명에 제1.2실시예에 따른 낚시대용 핸들은 낚시대 사용자가 손목을 꺾지 않고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대 사용자의 손목이나 팔 및 몸 전체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fishing rod hand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fatigue of the fishing rod user's wrist, arm, and entire body because the user can conveniently hold the fishing rod user without breaking the wris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00 : 장착부
110,110' : 클램핑부
111 : 낚시대수용홀
112 : 절개부
120,120' : 체결부
130 : 보조손잡이부
131 : 파지부
132 : 손이탈방지부
200 : 지지부
210 : 관통공
220 : 클램핑부고정부
221 : 회전방지제1벽
222 : 회전방지제2벽
230 : 손잡이부수용부
300 : 손잡이부
310 : 체결홈
1000 : 장착부
1100 : 제1절곡부재
1200 : 제2절곡부재
1210 : 체결부
1300 : 제3절곡부재
1310 : 체결홀
1400 : 클램핑수단
1410 : 체결부
1420 : 압박부
1430 : 조절부
2000 : 손잡이부
2100 : 파지부
2110 : 체결홀
2200 : 손이탈방지부
2300 : 장착부고정부
10 : 낚시대
11 : 손잡이
12 : 로드
1: 손
1a : 엄지
1b : 검지
1c : 중지
1d : 약지
1e : 소지100: mounting part
110,110': clamping part
111: Fishing rod accommodation hall
112: incision
120,120': fastening part
130: auxiliary handle part
131: gripping part
132: hand separation prevention unit
200: support
210: through hole
220: clamping part fixing part
221: first anti-rotation wall
222: anti-rotation second wall
230: handle part receiving part
300: handle part
310: fastening groove
1000: mounting part
1100: first bending member
1200: second bending member
1210: fastening part
1300: third bending member
1310: fastening hole
1400: clamping means
1410: fastening part
1420: compression unit
1430: control unit
2000: handle part
2100: gripping part
2110: fastening hole
2200: hand separation prevention unit
2300: Mounting part fixing part
10 : Fishing rod
11: handle
12: load
1: hand
1a: thumb
1b: index finger
1c: stop
1d: ring finger
1e: Possession
Claims (7)
낚시대(10)의 손잡이(11)을 수용하면서 장착되는 장착부(100);
상기 장착부(100)에 결합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100)는
그 내주면이 낚시대(10)의 손잡이(11)의 단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밀착되도록 낚시대수용홀(111)이 마련되되, 일측에 절개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112)의 이격거리에 따라 내주면이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밀착되거나 낚시대(10)의 손잡이(11)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 한쌍의 클램핑부(110,110')와,
상기 클램핑부(110,110')의 절개된 단부에 각각 낚시대수용홀(11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세로로 절단된 반원기둥 형상을 갖는 한쌍의 체결부(120,12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120,120')는
클램핑부(110,110')의 내주면이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밀착될 때 체결부(120,120') 각각이 상호 밀착되어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손잡이부(300)는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체결부(120,120')에 체결되는 체결홈(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핸들.
In the fishing rod handle used by attaching to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Mounting portion 100 mounted while accommodating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A handle portion 300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00; includes,
The mounting part 100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and a fishing rod accommodating hole 111 is provided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and a cutout 112 is provided on one side. A pair of clamping parts 110 and 110 'form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or away from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cutout 112;
A pair of fastening parts 120 and 120 'protru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fishing rod accommodating hole 111 at the cut ends of the clamping parts 110 and 110' and having a semi-cylindrical shape cut vertically,
The fastening parts 120 and 120' ar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lamping parts 110 and 110'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the fastening parts 120 and 120' are arrang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handle part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groove 310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s 120 and 120' dispos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handle for fishing rod.
장착부(100)와 손잡이부(300) 사이에 장착되는 지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0)는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체결부(120,120')가 동시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관통공(210)과,
상기 관통공(210)에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체결부(120,120')가 동시에 삽입될 때 클램핑부(110,110')의 하측부 일부를 수용하여 장착부(10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클램핑부고정부(220)와,
상기 관통공(210)에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체결부(120,120')가 동시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120,120')가 손잡이부(300)의 체결홈(310)에 체결될 때 손잡이부(300)의 상측부 일부를 수용하는 손잡이부수용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핸들.
According to claim 1,
It includes; a support part 200 mounted between the mounting part 100 and the handle part 300;
The support part 200 is
A through hole 210 provided to simultaneously insert the fastening parts 120 and 120' arrang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When the fastening parts 120 and 120' dispos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0 at the same time,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clamping parts 110 and 110' is accommodated to prevent the mounting part 100 from rotating. (220),
When the fastening parts 120 and 120' arrang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0 at the same time, when the fastening parts 120 and 120'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310 of the handle part 300, the handle part ( 3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andle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230 for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handle for fishing rod.
상기 클램핑부(110,110')는
세로로 절단된 반원통 형상을 가지되, 각각의 내주면이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밀착될 때 원통 형상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클램핑부고정부(220)는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제1벽(221)과,
상기 회전방지제1벽(221)과 평행되게 이격되어 배치되고, 수직 상방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제2벽(222)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제1벽(221)과 회전방지제2벽(222) 사이의 이격거리(d2)는 낚시대(10)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축을 기준으로 한 상기 원통 형상을 갖도록 배치된 클램핑부(110,110')의 양 단부 사이의 길이(d1)에 대응되어, 클램핑부(110,110')의 하측부 일부가 클램핑부고정부(220)에 수용될 때 낚시대(10)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축을 기준으로 한 클램핑부(110,110')의 양 단부가 회전방지제1벽(221)과 회전방지제2벽(222)에 의해 간섭되어 회전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핸들.
According to claim 2,
The clamping parts 110 and 110'
It has a longitudinally cut semi-cylindrical shape, characterized in that eac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arranged to have a cylindrical shape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The clamping part fixing part 220 is
A first anti-rotation wall 221 formed vertically upward;
It includes a second anti-rotation wall 222 disposed parallel to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nti-rotation wall 221 and formed vertically upward,
The distance d2 between the anti-rotation first wall 221 and the second anti-rotation wall 222 is the clamping parts 110 and 110 'arranged to have the cylindrical shape based on the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10. Corresponding to the length d1 between both ends of the clamping part based on the axis di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10 when some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clamping parts 110 and 110' are accommodated in the clamping part fixing part 220 (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110 and 110 ') are prevented from rotating due to interference by the first anti-rotation wall 221 and the second anti-rotation wall 222
handle for fishing rod.
상기 장착부(100)는
상기 체결부(120,120')와 대향되는 장착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손잡이부(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손잡이부(130)는
검지(1b), 중지(1c), 약지(1d) 및 소지(1e)에 의해 감싸지면서 파지되는 파지부(131)와,
상기 파지부(13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파지부(131)가 검지(1b), 중지(1c), 약지(1d) 및 소지(1e)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엄지(1a)와 검지(1b)를 연결하는 피부부위(A)에 밀착되어 손(1)이 파지부(131)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손이탈방지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핸들.
According to claim 3,
The mounting part 100 is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handle 130 form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part 100 opposite to the fastening parts 120 and 120',
The auxiliary handle 130 is
A gripping portion 131 gripped while wrapped by the index finger 1b, middle finger 1c, ring finger 1d, and small finger 1e;
The thumb 1a and the index finger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ripping portion 131, and the gripping portion 131 is gripped by the index finger 1b, the middle finger 1c, the ring finger 1d, and the small finger 1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and release prevention unit 132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portion (A) connecting (1b) to prevent the hand (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gripping unit (131)
handle for fishing rod.
상기 손이탈방지부(132)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핸들.
According to claim 4,
The hand separation prevention unit 132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ith a diameter increasing toward the top
handle for fishing rod.
상기 체결부(120,120')는
그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결홈(310)은
그 내측면에 상기 체결부(120,120')의 수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핸들.
According to claim 5,
The fastening parts 120 and 120' are
Characterized in that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fastening groove 310 is
Characterized in that a female thread screwed to the male thread of the fastening portion (120, 120 ')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handle for fishing rod.
낚시대(10)의 손잡이(11)을 수용하면서 장착되는 장착부(1000);
상기 장착부(1000)에 결합되는 손잡이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1000)는
제1절곡부재(1100)와, 상기 제1절곡부재(1100)의 양단이 절곡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절곡부재(1200) 및 제3절곡부재(1300)를 포함하여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3절곡부재(1300)를 관통하는 체결홀(1310)에 결합되는 클램핑수단(1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절곡부재(1200)는
제2절곡부재(120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체결부(121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수단(1400)은
제3절곡부재(1300)의 체결홀(1310)에 체결되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체결부(1410)와,
상기 체결부(1410)의 일단에 형성되어, 낚시대(10)의 손잡이(11)를 클램핑하는 압박부(1420)와,
상기 체결부(1410)의 타단에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체결부(1410)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143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2000)는
검지(1b), 중지(1c), 약지(1d) 및 소지(1e)에 의해 감싸지면서 파지되는 파지부(2100)와,
상기 파지부(2100)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파지부(2100)가 검지(1b), 중지(1c), 약지(1d) 및 소지(1e)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엄지(1a)와 검지(1b)를 연결하는 피부부위(A)에 밀착되어 손(1)이 파지부(2100)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손이탈방지부(2200)와,
상기 파지부(210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장착부(1000)의 제2절곡부재(1200)를 수용하여 장착부(10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장착부고정부(2300)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2100)는
장착부(1000)의 제2절곡부재(1200)가 장착부고정부(2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절곡부재(1200)의 체결부(1210)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체결홀(2110)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2100)는
그 평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낚시대(10)의 손잡이(11)에 장착부(1000)를 장착시 낚시대(10)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는 축이 장축(a)으로, 낚시대(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축이 단축(b)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손이탈방지부(220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핸들.
In the fishing rod handle used by attaching to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A mounting portion 1000 mounted while accommodating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A handle portion 2000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1000; includes,
The mounting part 1000 is
The first bent member 1100 and the second bent member 1200 and the third bent member 1300 provided by bending and extending both ends of the first bent member 1100 are formed in a c-shape,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amping means 1400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1310 penetrating the third bending member 1300,
The second bending member 1200 is
It includes a fastening part 1210 form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ent member 1200,
The clamping means 1400 is
A fastening part 1410 that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310 of the third bent member 1300 and moves upward or downward,
A pressing portion 1420 formed at one end of the fastening portion 1410 and clamping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I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part 1410 and includes an adjusting part 1430 for adjus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1410 by rotation,
The handle part 2000 is
A gripping portion 2100 gripped while being wrapped by the index finger 1b, middle finger 1c, ring finger 1d, and small finger 1e;
The thumb 1a and the index finger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ripping portion 2100, and the gripping portion 2100 is gripped by the index finger 1b, the middle finger 1c, the ring finger 1d, and the small finger 1e. A hand release prevention unit 220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portion A connecting (1b) to prevent the hand 1 from escaping out of the gripping unit 2100;
A mounting part fixing part 230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ripping part 2100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bent member 1200 of the mounting part 1000 to prevent the mounting part 1000 from moving,
The gripping part 2100 is
In a state where the second bent member 1200 of the mounting part 1000 is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part fixing part 2300, it includes a fastening hole 2110 provided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part 1210 of the second bent member 1200,
The gripping part 2100 is
The flat cross section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nd when the mounting portion 1000 is mounted on the handle 11 of the fishing rod 10, the axis di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10 is the long axis a,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shing rod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axis orthogonal to is formed as a short axis (b),
The hand separation prevention unit 220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with a diameter increasing toward the top
handle for fishing r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952A KR102474652B1 (en) | 2022-07-19 | 2022-07-19 | fishing rod hand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8952A KR102474652B1 (en) | 2022-07-19 | 2022-07-19 | fishing rod hand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74652B1 true KR102474652B1 (en) | 2022-12-05 |
Family
ID=84392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8952A Active KR102474652B1 (en) | 2022-07-19 | 2022-07-19 | fishing rod hand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4652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2496A (en) * | 2004-08-03 | 2006-02-08 | 신재훈 | Fishing rod armrest |
KR20130007250U (en) * | 2012-06-11 | 2013-12-19 | 한진기 | The Armnest for Fishing Rod |
KR20140009050A (en) * | 2012-07-13 | 2014-01-22 | 임헌성 | Apparatus for a handle of a fishing rod |
KR200483992Y1 (en) * | 2016-09-29 | 2017-07-17 | 구자훈 | Handle for lure fishing |
KR20220000447U (en) * | 2020-08-13 | 2022-02-22 | 조경진 | Grip for fishing rod |
-
2022
- 2022-07-19 KR KR1020220088952A patent/KR10247465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12496A (en) * | 2004-08-03 | 2006-02-08 | 신재훈 | Fishing rod armrest |
KR20130007250U (en) * | 2012-06-11 | 2013-12-19 | 한진기 | The Armnest for Fishing Rod |
KR20140009050A (en) * | 2012-07-13 | 2014-01-22 | 임헌성 | Apparatus for a handle of a fishing rod |
KR101451231B1 (en) | 2012-07-13 | 2014-10-15 | 임헌성 | Apparatus for a handle of a fishing rod |
KR200483992Y1 (en) * | 2016-09-29 | 2017-07-17 | 구자훈 | Handle for lure fishing |
KR20220000447U (en) * | 2020-08-13 | 2022-02-22 | 조경진 | Grip for fishing r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11721B1 (en) | Knot tying implement | |
US20100095978A1 (en) | Dental floss tool device and method | |
US8511722B1 (en) | Knot tying device | |
US3410016A (en) | Fishing rod handling device | |
US5274948A (en) | Fish hook disengaging tool | |
US4697376A (en) | Palming grip fishing rod | |
KR102474652B1 (en) | fishing rod handle | |
JP5455316B2 (en) | Cylindrical reel seat and fishing rod | |
KR101702242B1 (en) | Hiking stick having self-camera monopad function | |
EP3167711B1 (en) | A handgrip for a leash | |
TW200942162A (en) | Cylindrical reel seat and fishing rod | |
US10076107B2 (en) | Belt engageable fishing pole holder | |
JP5376556B2 (en) | Cylindrical reel seat and fishing rod | |
JP2012187009A (en) | Auxiliary tool for grip | |
CN211657212U (en) | Fixing device for wire winder | |
JP3202614U (en) | Fishing rod threader | |
US20090199455A1 (en) | Rod trigger grip/hook holder | |
US10791723B2 (en) | Combination spinning reel seat handle system | |
JP6723189B2 (en) | Fishing balance | |
KR101832035B1 (en) | Knife | |
JP5219193B2 (en) | Cylindrical reel seat and fishing rod | |
JP3203090U (en) | Half-hitch aid | |
JP6905263B2 (en) | Auxiliary tool when holding a fishing rod | |
AU2016250566B2 (en) | Fishing rod | |
US9743652B2 (en) | Fishing line knot ty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7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