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333B1 - Wiring package connector of vehicle - Google Patents
Wiring package connector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4333B1 KR102474333B1 KR1020210045545A KR20210045545A KR102474333B1 KR 102474333 B1 KR102474333 B1 KR 102474333B1 KR 1020210045545 A KR1020210045545 A KR 1020210045545A KR 20210045545 A KR20210045545 A KR 20210045545A KR 102474333 B1 KR102474333 B1 KR 1024743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male
- wire
- opening
- housing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패키지커넥터는: 제 1개방구와 제 2개방구로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피메일패키지하우징, 제 1개방구에 삽입되고 제 1전류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 제 2개방구에 삽입되고 제 2전류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 및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접속되고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에 접속되는 제 1메일접속핀과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에 접속되는 제 2메일접속핀을 구비하는 메일패키지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for a vehicle package connector is disclosed. The disclosed vehicle package connector includes: a female package housing formed to partition into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 first female connecting wire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and guiding a flow of a first current, and a second opening. A second female connecting wire inserted into the second female connecting wire for guiding the flow of the second current, and a first male connecting pin connected to the opened side of the female packag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first female connecting wire and the second female connecting p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ail package housing having a second male connection pin connected to the mail connection wire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피메일하우징에 다른 전류를 흐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전선접속부를 조립 후 대응되는 메일하우징을 접속함에 따라 기존에 전류(전압)별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 대비 배선의 소형화와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각 전선접속부와 피메일하우징 간의 방수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커넥터 내부의 차폐 영역의 내부식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ackag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for guiding the flow of different currents in one female housing and then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male housing, connectors for each current (voltage) have been previously develop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ackage connector capable of realizing miniaturization and cost reduction of wiring compared to those provided, and improving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hielding area inside the connector by improving the waterproof ability between each wire connection part and the female housing.
커넥터는 신호와 전원을 부품들에 전달하거나 부품들 사이에서 전달할 수 있도록 전기적 연결을 하는 것이다.A connector is an electrical connection to transmit signals and power to or between parts.
커넥터를 통해 전원이나 신호가 전달될 때 전기적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커넥터가 더욱 전기적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When power or 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connector, it is important to prevent electrical interference. In particular, a connector used at a high voltage should not cause electrical interference.
최근에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개발되면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커넥터들 중에 고전압용이 많이 있다.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고전압 커넥터는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의 사이에 차폐를 위해 쉴드쉘을 사용하는데, 쉴드쉘은 일반적으로 내부하우징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전자파 차폐를 위해 와이어의 도전성 메쉬망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or hybrid vehicles, there are many connectors for high voltage among connectors used in vehicles. High-voltage connectors used in high voltage use a shield shell for shielding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outer housing. The shield shell is generally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a conductive mesh network of wires and electrical connected to
특히, 쉴드쉘 중에는 내부하우징에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되어 내부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되는 것이 있는데, 이들 2개의 쉴드쉘과 와이어, 특히 메쉬망과의 결합을 위해서 별도의 서포트링과 클림프링을 사용한다.In particular, among the shield shells, there are some that are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at the top and bottom to surround the inner housing, and separate support rings and crimp rings are used to couple these two shield shells with wires, particularly mesh networks.
관련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0127호(발명의 명칭: 고전압 커넥터용 와이어 연결장치, 등록일: 2017.12.12.)As related technolog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10127 (Title of Invention: Wire Connection Device for High Voltage Connector, Registration Date: 2017.12.12.)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art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차량에는 48V의 전압이 필요한 전장품과 20V의 전압이 필요한 전장품이 구비되는데, 두 개(종류)의 고전압용 커넥터가 별도로 구비됨으로써, 배선 시간과 배선을 위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vehicle is provided with electrical components requiring a voltage of 48V and electrical components requiring a voltage of 20V. Since two (types) of high voltage connectors are separately provided, wiring time and cost for wiring increase.
아울러, 두 개(종류)의 고전압용 커넥터는 각각의 피메일 하우징이 조립 후 와이어를 연결한 터미널을 삽입 완료한 상태에서, 외부의 물기가 와이어를 따라 피메일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피메일 하우징 내부의 차폐 영역의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wo (types) of high voltage connectors, as external moisture flows into the female housing along the wire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to which the wire is connected is inserted after each female housing is assembl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irtightness of the shielding area inside the male housing is lowered.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피메일하우징에 다른 전류를 흐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전선접속부를 서로 구획되도록 조립 후 대응되는 메일하우징을 접속함에 따라 기존에 전류(전압)별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 대비 배선의 소형화와 원가절감을 실현하고자 하는 차량용 패키지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result of assembling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for guiding the flow of different currents in one female housing to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nd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male housing, the existing current (voltage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hicle package connector to achieve miniaturization and cost reduction of wiring compared to having connectors for each.
본 발명은 각 전선접속부와 피메일하우징 간의 방수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커넥터 내부의 차폐 영역의 내부식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차량용 패키지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e connector for a vehicle to increase corrosion resistance of a shielding area inside the connector by improving waterproofing ability between each wire connection part and a femal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에 격벽을 구비하여 제 1개방구와 제 2개방구로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피메일패키지하우징; 상기 제 1개방구에 삽입되고, 제 1전류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 상기 제 2개방구에 삽입되고, 제 2전류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 및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접속되고, 상기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에 접속되는 제 1메일접속핀과, 상기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에 접속되는 제 2메일접속핀을 구비하는 메일패키지하우징을 포함한다.A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emale package housing formed to partition an inner space opened to both sides along an axial direction with partition walls to divide into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 first female connection wire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and guiding a flow of a first current; a second female connection wire part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and guiding a flow of a second current; and a first male connection pin connected to one open side of the female packag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first female connection wire part, and a second male connection pin connected to the second female connection wire part. It includes a mail package housing that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은 삽입된 상기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와 상기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를 동시에 감싸는 피메일이너씰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emale packag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emale inner sealing member for simultaneously covering the inserted first female connection wire portion and the second female connection wire portion.
상기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는, 상기 제 1개방구에 삽입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어 제 1와이어를 연결한 제 1터미널을 삽입하는 제 1피메일이너하우징; 상기 제 1피메일이너하우징의 둘레면을 감싸는 제 1피메일쉴드쉘; 및 유체가 상기 제 1와이어를 따라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와이어의 둘레면에 구비된 채 상기 제 1개방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1밀봉부를 포함한다.The first female connection wire unit may include a first female inner housing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and opened to both sides along an axial direction to insert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wire; a first female shield shell surround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emale inner housing; and a first sealing portion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re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to prevent fluid from flowing into the female package housing along the first wire. .
상기 제 1밀봉부는, 상기 제 1터미널과 연결되는 상기 제 1와이어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 1차폐망; 상기 제 1와이어의 적어도 가장자리를 감싸서 상기 제 1차폐망을 고정하는 제 1외피; 상기 제 1외피를 감쌈으로써, 상기 제 1차폐망이 상기 제 1와이어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제 1쉴드클림프; 상기 제 1쉴드클림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1차폐망을 절곡하여 상기 제 1쉴드클림프의 둘레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쉴드클림프를 감싸는 제 1클림프링; 상기 제 1와이어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개방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1밀봉씰; 및 상기 제 1와이어를 축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채 상기 제 1개방구를 막아 밀봉하는 제 1마감캡을 포함한다.The first sealing unit may include a first shielding network surrounding an edge of the first wir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 first sheath fixing the first shielding network by surrounding at least an edge of the first wire; a first shield crimp for inducing the first shielding network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re by wrapping the first sheath; a first crimp ring surrounding the first shield crimp to fix the first shielding net extending outside the first shield crimp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ield crimp by bending it; a first sealing seal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re,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and a first closing cap that closes and seals the first opening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emale packag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ire is shaft-inserted.
상기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는, 상기 제 2개방구에 삽입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어 제 2와이어를 연결한 제 2터미널을 삽입하는 제 2피메일이너하우징; 상기 제 2피메일이너하우징의 둘레면을 감싸는 제 2피메일쉴드쉘; 및 유체가 상기 제 2와이어를 따라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와이어의 둘레면에 구비된 채 상기 제 2개방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2밀봉부를 포함한다.The second female connection wire unit may include a second female inner housing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and opened to both sides along an axial direction to insert a second terminal connecting a second wire; a second female shield shell surround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emale inner housing;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ire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to prevent fluid from flowing into the female package housing along the second wire. .
상기 제 2밀봉부는, 상기 제 2터미널과 연결되는 상기 제 2와이어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 2차폐망; 상기 제 2와이어의 적어도 가장자리를 감싸서 상기 제 2차폐망을 고정하는 제 2외피; 상기 제 2외피를 감쌈으로써, 상기 제 2차폐망이 상기 제 2와이어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제 2쉴드클림프; 상기 제 2쉴드클림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2차폐망을 절곡하여 상기 제 2쉴드클림프의 둘레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2쉴드클림프를 감싸는 제 2클림프링; 상기 제 2와이어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개방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2밀봉씰; 및 상기 제 2와이어를 축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채 상기 제 2개방구를 막아 밀봉하는 제 2마감캡을 포함한다.The second seal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shielding network surrounding an edge of the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shell for fixing the second shielding network by surrounding at least an edge of the second wire; a second shield crimp for inducing the second shielding net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ire by wrapping the second sheath; a second crimp ring surrounding the second shield crimp to fix the second shield crimp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hield crimp by bending the second shielding net extending outward of the second shield crimp; a second sealing seal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ire,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and a second closing cap that closes and seals the second opening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emale packag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ire is shaft-inser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하나의 피메일하우징에 다른 전류를 흐름 안내하는 복수 개의 전선접속부를 서로 구획되도록 조립 후 대응되는 메일하우징을 접속함에 따라 기존에 전류(전압)별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 대비 배선의 소형화와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connects the corresponding male housing after assembling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for guiding the flow of different currents to one female housing to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Compared to having connectors for each current (voltage), miniaturization of wiring and cost reduction can be realized.
본 발명은 각 전선접속부와 피메일하우징 간의 방수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커넥터 내부의 차폐 영역의 내부식성을 증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shielding area inside the connector by improving the waterproof ability between each wire connection part and the female hous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피메일패키지하우징과 메일패키지하우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메일패키지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메일패키지하우징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emale package housing and a male package housing of a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emale package housing of a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of the female package housing of the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l package housing of a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of the mail package housing of the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 1 .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FIG. 7 .
9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BB of FIG. 1 .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FIG. 9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피메일패키지하우징과 메일패키지하우지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emale package housing and a male package housing of the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emale package housing of a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ide of the female package housing of a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메일패키지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의 메일패키지하우징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l package housing of a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of the mail package housing of a vehicle packag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FIG.
도 9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and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of FIG.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키지커넥터(100)는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300),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400) 및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을 포함한다.1 to 10, the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은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며, 내부공간에 격벽(210)을 구비한다. 그래서,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은 격벽(210)을 기준으로 제 1개방구(220)와 제 2개방구(230)를 축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한다.The
이때, 제 1개방구(220)와 제 2개방구(230)는 개수 및 크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개방구(220)와 제 2개방구(230)가 하나씩 구비되고, 제 1개방구(220)의 단면적이 제 2개방구(230)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number and size of the
물론,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그리고,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은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개방된 일측에 접속된다.Also, the
이때,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은 제 1개방구(220)에 제 1터미널(314)을 삽입하고, 제 2개방구(230)에 제 2터미널(414)을 삽입한다.At this time, the female package housing 200 inserts the
아울러, 제 1터미널(314)은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와이어(3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 2터미널(414)은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와이어(4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 1터미널(314)과 제 2터미널(414)은 격벽(210)에 의해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내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은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300) 특히 제 1터미널(314)과 접촉되는 제 1메일접속핀(510)을 구비하고,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400) 특히 제 2터미널(414)과 접촉되는 제 2메일접속핀(520)을 구비한다. 이때, 제 1메일접속핀(510)과 제 2메일접속핀(520)은 신호나 전원의 송수신을 위해 인쇄회로기판(10)에 접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특히, 제 1와이어(312)와 제 1터미널(314)을 통해 흐르는 전류와 전압은 제 2와이어(412)와 제 2터미널(414)을 통해 흐르는 전류와 전압과 상이하다.In particular, the current and voltage flowing through the
그래서,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과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이 접속시, 제 1터미널(314)에 접촉되는 제 1메일접속핀(510)과 제 2터미널(414)에 접촉되는 제 2메일접속핀(520)은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의 내부에서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Thus, when the female package housing 200 and the
이를 위해,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은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되고, 구획벽(502)에 의해 내부를 제 1삽입구(504)와 제 2삽입구(506)로 구획한다.To this end, the
그리고, 메일이너하우징(530)은 제 1메일접속핀(510)이 삽입되는 제 1삽입돌부(534), 및 제 2메일접속핀(520)이 삽입되는 제 2삽입돌부(536)를 구비한다.Further, the male
제 1삽입돌부(534)는 제 1삽입구(504)에 삽입되고, 제 2삽입돌부(536)는 제 2삽입구(506)에 삽입된다.The
아울러, 제 1삽입돌부(534)는 둘레면에 차폐성 재질의 제 1메일쉴드쉘(540)을 구비하고, 제 2삽입돌부(536)는 둘레면에 차폐성 재질의 제 2메일쉴드쉘(550)을 구비한다. 그래서, 제 1메일쉴드쉘(540)과 제 1삽입돌부(534)는 제 1삽입구(504)에 삽입되고, 제 2메일쉴드쉘(550)과 제 2삽입돌부(536)는 제 2삽입구(506)에 삽입된다.In addition, the
그래서,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과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이 접속시, 제 1터미널(314)은 제 1메일접속핀(510)과 접촉(통전)되고, 제 2터미널(414)은 제 2메일접속핀(520)과 접촉(통전)된다.Thus, when the
한편,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300)는 제 1개방구(220)에 삽입되고, 제 1전류의 흐름을 안내한다. 아울러,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400)는 제 2개방구(230)에 삽입되고, 제 2전류의 흐름을 안내한다. 이때, 제 1전류의 전류량과 제 2전류의 전류량은 상이한 것으로 한다.Meanwhile, the first female
이때,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은 삽입된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300)와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400)를 동시에 감싸는 피메일이너씰링부재(240)를 구비한다. 특히, 피메일이너씰링부재(240)는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이 삽입되는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일측 내부에 삽입된다. 이로써, 외부로부터 유체(물기)가 메일패키지하우징(500)과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접속 부위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물론, 피메일이너씰링부재(24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특히,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300)는 제 1피메일이너하우징(310), 제 1피메일쉴드쉘(320) 및 제 1밀봉부(330)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first female
제 1피메일이너하우징(310)은 제 1개방구(220)에 삽입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며,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타측을 통해 제 1와이어(312)를 연결한 제 1터미널(314)을 삽입 허용한다. 이때, 제 1피메일이너하우징(310)은 제 1터미널(314)과 제 1메일접속핀(510)이 접촉진 전류와 전압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부도체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first female
물론, 제 1피메일이너하우징(3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first female
그리고, 제 1피메일쉴드쉘(320)은 제 1피메일이너하우징(310)의 둘레면을 감싸며, 차폐를 위해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Also, the first
특히,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과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이 접속시, 제 1피메일쉴드쉘(320)은 제 1메일쉴드쉘(540)과 접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이때, 제 1피메일쉴드쉘(320)은 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되며 제 1피메일이너하우징(310)의 둘레면을 감쌀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또한, 제 1밀봉부(330)는 유체가 제 1와이어(312)를 따라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와이어(312)의 둘레면에 구비된 채 제 1개방구(22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In addition, the
상세히, 제 1밀봉부(330)는 제 1차폐망(331), 제 1외피(332), 제 1쉴드클림프(333), 제 1클림프링(334), 제 1밀봉씰(335) 및 제 1마감캡(336)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제 1차폐망(331)은 제 1와이어(312)의 축 방향을 따라 전체 또는 제 1터미널(314)을 연장한 가장자리를 감싸서 차폐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 1차폐망(331)은 금속성 메쉬망 등으로 제작된다.The
이때, 제 1와이어(312)가 복수 가닥일 경우, 제 1차폐망(331)은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 가닥의 제 1와이어(312)를 한꺼번에 감싼다.At this time, when the
제 1외피(332)는 제 1와이어(312)의 적어도 가장자리를 감싸서 제 1차폐망(331)을 제 1와이어(312)의 둘레면에 고정한다. 제 1외피(332)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제 1쉴드클림프(333)는 제 1외피(332)를 감쌈으로써, 제 1차폐망(331)이 제 1와이어(312)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아울러, 제 1클림프링(334)은 제 1쉴드클림프(333)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연장되는 제 1차폐망(331)을 절곡하여 제 1쉴드클림프(333)의 둘레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제 1쉴드클림프(333)를 감싼다. 이 후, 제 1클림프링(334)과 제 1쉴드클림프(333)는 압착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 1와이어(312) 측으로 압착된다. 그래서, 제 1차폐망(331)은 견고하게 고정된다.In addition, the
특히, 제 1쉴드클림프(333)와 제 1클림프링(334)은 차폐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300)가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에 조립시 제 1피메일쉴드쉘(320)과 접촉된다.In particular, the
이로써, 제 1와이어(312)의 차폐 성능이 향상된다.Thus, the shielding performance of the
물론, 제 1쉴드클림프(333)와 제 1클림프링(33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그리고, 제 1밀봉씰(335)은 제 1와이어(312)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 1개방구(22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제 1밀봉씰(335)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한 가닥 이상의 제 1와이어(312)를 삽입한다. 물론, 제 1밀봉씰(335)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Also, the
또한, 제 1마감캡(336)은 제 1와이어(312)를 축 삽입한 상태에서,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 채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타측에서 제 1개방구(220)를 막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제 1마감캡(336)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 또는 수축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 1마감캡(336)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또한,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400)는 제 2피메일이너하우징(410), 제 2피메일쉴드쉘(420) 및 제 2밀봉부(4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female
제 2피메일이너하우징(410)은 제 2개방구(230)에 삽입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며,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타측을 통해 제 2와이어(412)를 연결한 제 2터미널(414)을 삽입 허용한다. 이때, 제 2피메일이너하우징(410)은 제 2터미널(414)과 제 2메일접속핀(520)이 접촉진 전류와 전압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부도체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female
물론, 제 2피메일이너하우징(4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second female
그리고, 제 2피메일쉴드쉘(420)은 제 2피메일이너하우징(410)의 둘레면을 감싸며, 차폐를 위해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And, the second
특히,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과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이 접속시, 제 2피메일쉴드쉘(420)은 제 2메일쉴드쉘(550)과 접하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이때, 제 2피메일쉴드쉘(420)은 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결되며 제 2피메일이너하우징(410)의 둘레면을 감쌀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또한, 제 2밀봉부(430)는 유체가 제 2와이어(412)를 따라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2와이어(412)의 둘레면에 구비된 채 제 2개방구(23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In addition, the
상세히, 제 2밀봉부(430)는 제 2차폐망(431), 제 2외피(432), 제 2쉴드클림프(433), 제 2클림프링(434), 제 2밀봉씰(435) 및 제 2마감캡(436)을 포함한다.In detail, the
제 2차폐망(431)은 제 2와이어(412)의 축 방향을 따라 전체 또는 제 2터미널(414)을 연장한 가장자리를 감싸서 차폐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 2차폐망(431)은 금속성 메쉬망 등으로 제작된다.The
이때, 제 2와이어(412)가 복수 가닥일 경우, 제 2차폐망(431)은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 가닥의 제 2와이어(412)를 한꺼번에 감싼다.At this time, when the
제 2외피(432)는 제 2와이어(412)의 적어도 가장자리를 감싸서 제 2차폐망(431)을 제 2와이어(412)의 둘레면에 고정한다. 제 2외피(432)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제 2쉴드클림프(433)는 제 2외피(432)를 감쌈으로써, 제 2차폐망(431)이 제 2와이어(412)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아울러, 제 2클림프링(434)은 제 2쉴드클림프(433)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연장되는 제 2차폐망(431)을 절곡하여 제 2쉴드클림프(433)의 둘레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제 2쉴드클림프(433)를 감싼다. 이 후, 제 2클림프링(434)과 제 2쉴드클림프(433)는 압착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 2와이어(412) 측으로 압착된다. 그래서, 제 2차폐망(431)은 견고하게 고정된다.In addition, the
특히, 제 2쉴드클림프(433)와 제 2클림프링(434)은 차폐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400)가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에 조립시 제 2피메일쉴드쉘(420)과 접촉된다.In particular, the
이로써, 제 2와이어(412)의 차폐 성능이 향상된다.Thus, the shielding performance of the
물론, 제 2쉴드클림프(433)와 제 2클림프링(43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그리고, 제 2밀봉씰(435)은 제 2와이어(412)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 2개방구(23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제 2밀봉씰(435)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한 가닥 이상의 제 2와이어(412)를 삽입한다. 물론, 제 2밀봉씰(435)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And, the
또한, 제 2마감캡(436)은 제 2와이어(412)를 축 삽입한 상태에서,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 채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타측에서 제 2개방구(230)를 막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제 2마감캡(436)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 또는 수축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 2마감캡(436)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결과적으로,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과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이 접속 상태에서, 유체는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과 메일패키지하우징(500)의 연결 부위를 통해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일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피메일패키지하우징(200)의 타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As a result, whe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0: 패키지커넥터 200: 피메일패키지하우징
210: 격벽 220: 제 1개방구
230: 제 2개방구 240: 피메일이너씰링부재
300: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 310: 제 1피메일이너하우징
320: 제 1피메일쉴드쉘 330: 제 1밀봉부
331: 제 1차폐망 333: 제 1쉴드클림프
334: 제 1클림프링 400: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
410: 제 2피메일이너하우징 420: 제 2피메일쉴드쉘
430: 제 2밀봉부 431: 제 2차폐망
433: 제 2쉴드클림프 434: 제 2클림프링
500: 메일패키지하우징 510: 제 1메일접속핀
520: 제 2메일접속핀 530: 메일이너하우징
540: 제 1메일쉴드쉘 550: 제 2메일쉴드쉘 100: package connector 200: female package housing
210: bulkhead 220: first opening
230: second opening 240: female inner sealing member
300: first female connection wire part 310: first female inner housing
320: first female shield shell 330: first sealing part
331: 1st shielding network 333: 1st shield clamp
334: first crimping ring 400: second female connection wire
410: second female inner housing 420: second female shield shell
430: second sealing part 431: second shielding network
433: second shield crimp 434: second crimp ring
500: mail package housing 510: first mail connection pin
520: second mail connection pin 530: mail inner housing
540: first mail shield shell 550: second mail shield shell
Claims (6)
상기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는, 상기 제 1개방구에 삽입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어 제 1와이어를 연결한 제 1터미널을 삽입하는 제 1피메일이너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는, 상기 제 2개방구에 삽입되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어 제 2와이어를 연결한 제 2터미널을 삽입하는 제 2피메일이너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일패키지하우징은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측으로 개방되고, 구획벽에 의해 내부를 제 1삽입구와 제 2삽입구로 구획하며,
상기 메일패키지하우징의 메일이너하우징은 상기 제 1메일접속핀이 삽입되는 제 1삽입돌부, 및 상기 제 2메일접속핀이 삽입되는 제 2삽입돌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삽입돌부는 상기 제 1삽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제 2삽입돌부는 상기 제 2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 1삽입돌부는 둘레면에 차폐성 재질의 제 1메일쉴드쉘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삽입돌부는 둘레면에 차폐성 재질의 제 2메일쉴드쉘을 구비하여,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과 상기 메일패키지하우징이 접속시, 상기 제 1터미널은 상기 제 1메일접속핀과 접촉되고, 상기 제 2터미널은 상기 제 2메일접속핀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키지커넥터.
a female package housing formed to partition an inner space opened to both sides along an axial direction with a partition wall into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 first female connection wire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and guiding a flow of a first current; a second female connection wire part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and guiding a flow of a second current; and a first male connection pin connected to one open side of the female packag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first female connection wire part, and a second male connection pin connected to the second female connection wire part. Including a mail package housing that
The first female connection wire unit includes a first female inner housing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and opened to both sides in an axial direction to insert a first terminal connecting a first wire,
The second female connection wire unit includes a second female inner housing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and opened to both s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to insert a second terminal connecting a second wire,
The mail package housing is open to at least one s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divides the inside into a first insertion hole and a second insertion hole by a partition wall,
The male inner housing of the mail package housing has a first insertion protrusion into which the first male connecting pin is inserted, and a second insertion protrusion into which the second male connecting pin is inserted,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The first insertion protrusion has a first mail shield shell made of a shielding material on its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insertion protrusion has a second mail shield shell made of a shielding material on its circumferential surface,
When the female package housing and the male package housing are connected, the first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male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ale connection pin. .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은 삽입된 상기 제 1피메일접속전선부와 상기 제 2피메일접속전선부를 동시에 감싸는 피메일이너씰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키지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emale package connector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emale package housing comprises a female inner sealing member for simultaneously covering the first female connection wire portion and the second female connection wire portion inserted therein.
상기 제 1피메일이너하우징의 둘레면을 감싸는 제 1피메일쉴드쉘; 및
유체가 상기 제 1와이어를 따라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와이어의 둘레면에 구비된 채 상기 제 1개방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1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키지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female connection wire unit,
a first female shield shell surround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emale inner housing; and
In order to prevent the fluid from flowing into the female package housing along the first wire, a first sealing portion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r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is included. Featured vehicle package connector.
상기 제 1터미널과 연결되는 상기 제 1와이어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 1차폐망;
상기 제 1와이어의 적어도 가장자리를 감싸서 상기 제 1차폐망을 고정하는 제 1외피;
상기 제 1외피를 감쌈으로써, 상기 제 1차폐망이 상기 제 1와이어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제 1쉴드클림프;
상기 제 1쉴드클림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1차폐망을 절곡하여 상기 제 1쉴드클림프의 둘레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쉴드클림프를 감싸는 제 1클림프링;
상기 제 1와이어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개방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1밀봉씰; 및
상기 제 1와이어를 축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채 상기 제 1개방구를 막아 밀봉하는 제 1마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키지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ealing part,
a first shielding network surrounding an edge of the first wir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a first sheath fixing the first shielding network by surrounding at least an edge of the first wire;
a first shield crimp for inducing the first shielding network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re by wrapping the first sheath;
a first crimp ring surrounding the first shield crimp to fix the first shielding net extending outside the first shield crimp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hield crimp by bending it;
a first sealing seal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wire,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opening; and
and a first closing cap that closes and seals the first opening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emale packag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wire is shaft-inserted.
상기 제 2피메일이너하우징의 둘레면을 감싸는 제 2피메일쉴드쉘; 및
유체가 상기 제 2와이어를 따라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와이어의 둘레면에 구비된 채 상기 제 2개방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2밀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키지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econd female connection wire portion,
a second female shield shell surround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emale inner housing; and
In order to prevent the fluid from flowing into the female package housing along the second wire, a second sealing portion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ir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is included. Featured vehicle package connector.
상기 제 2터미널과 연결되는 상기 제 2와이어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 2차폐망;
상기 제 2와이어의 적어도 가장자리를 감싸서 상기 제 2차폐망을 고정하는 제 2외피;
상기 제 2외피를 감쌈으로써, 상기 제 2차폐망이 상기 제 2와이어의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제 2쉴드클림프;
상기 제 2쉴드클림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2차폐망을 절곡하여 상기 제 2쉴드클림프의 둘레면에 접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2쉴드클림프를 감싸는 제 2클림프링;
상기 제 2와이어의 둘레면에 구비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개방구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 2밀봉씰; 및
상기 제 2와이어를 축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피메일패키지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채 상기 제 2개방구를 막아 밀봉하는 제 2마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키지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sealing part,
a second shielding network surrounding an edge of the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shell for fixing the second shielding network by surrounding at least an edge of the second wire;
a second shield crimp for inducing the second shielding net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ire by wrapping the second sheath;
a second crimp ring surrounding the second shield crimp to fix the second shield crimp in a state in contact wit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hield crimp by bending the second shielding net extending outward of the second shield crimp;
a second sealing seal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wire,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nd in close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opening; and
The vehicle packag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closing cap that closes and seals the second opening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emale packag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wire is shaft-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5545A KR102474333B1 (en) | 2021-04-07 | 2021-04-07 | Wiring package connector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5545A KR102474333B1 (en) | 2021-04-07 | 2021-04-07 | Wiring package connector of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9192A KR20220139192A (en) | 2022-10-14 |
KR102474333B1 true KR102474333B1 (en) | 2022-12-06 |
Family
ID=8359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5545A Active KR102474333B1 (en) | 2021-04-07 | 2021-04-07 | Wiring package connector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433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12112B1 (en) * | 2023-07-12 | 2025-05-26 | 주식회사 유라 | High voltage connec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7308Y1 (en) * | 2006-02-28 | 2006-05-26 | 경신공업 주식회사 | High Voltage Cable Fastening Structure |
KR102056934B1 (en) * | 2018-09-14 | 2020-01-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Assembly of shield shell and wire and high voltage connector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8354B1 (en) * | 2013-10-10 | 2016-04-01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High voltage connector |
KR102633954B1 (en) * | 2018-12-12 | 2024-02-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Integrated multipole connector |
-
2021
- 2021-04-07 KR KR1020210045545A patent/KR10247433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7308Y1 (en) * | 2006-02-28 | 2006-05-26 | 경신공업 주식회사 | High Voltage Cable Fastening Structure |
KR102056934B1 (en) * | 2018-09-14 | 2020-01-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Assembly of shield shell and wire and high voltage connector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9192A (en) | 2022-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490410B (en) | Connector assembly | |
CN103378496B (en) | Shielded connector | |
EP3621158B1 (en) | Connector and wire harness | |
US20130023154A1 (en) | Shielded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hielded Connector | |
US20120034817A1 (en) | Shielded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 |
US20200005966A1 (en) | Cable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 | |
JP4074097B2 (en) | plug | |
CN110034451B (en) | Electrical connectors with cable seals provid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 |
CN110021846B (en) | Shielded Connectors and Wire Harnesses | |
JP2003100399A (en) | connector | |
JP2018181456A (en) | Inner conductor terminal and shield connector | |
CN101630781A (en) | Coaxial cable connector housing | |
JPH0722107A (en) | Shielded wire connector structure | |
EP0125760A1 (en) | Connector plug having shielding enclosure | |
KR102474333B1 (en) | Wiring package connector of vehicle | |
WO2017026251A1 (en) | Shield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US20220181812A1 (en) | Female terminal, connector module, communication cable with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US12191598B2 (en) | Connector, wiring harness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 |
KR100803437B1 (en) | Shield connector | |
US20220224061A1 (en) | Communication cable with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JP7128511B2 (en) | shield connector | |
JP3237818U (en) | Angle connector | |
JP5325698B2 (en) | Wire connection unit | |
JP2009252356A (en) | Connector terminal | |
CN116169524A (en) | Shield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