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73505B1 - 볼밸브 스템 지그 - Google Patents

볼밸브 스템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505B1
KR102473505B1 KR1020200189593A KR20200189593A KR102473505B1 KR 102473505 B1 KR102473505 B1 KR 102473505B1 KR 1020200189593 A KR1020200189593 A KR 1020200189593A KR 20200189593 A KR20200189593 A KR 20200189593A KR 102473505 B1 KR102473505 B1 KR 10247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valve
stem
upper plate
insertion hole
valve 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813A (ko
Inventor
백영호
Original Assignee
서울도시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도시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도시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5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5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2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mounting or demoun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26Easy mounting or dis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ps Or Cock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볼밸브 스템 지그는 볼밸브 바디의 양단에 배치된 플랜지에 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와 축 결합되는 서포트, 서포트를 고정하는 상판 고정틀, 상판 고정틀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부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봉 형상의 회전부 및, 회전부와 상판 고정틀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패킹글랜드를 잡아주는 워킹암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유체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볼밸브 스템을 안전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볼밸브 스템 지그{JIG FOR BALL-BALVE STEM}
본 발명은 볼밸브 스템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체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볼밸브 스템을 안전하게 유지 보수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밸브(ball valve)는 밸브 바디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연결통로 상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볼이 설치되어 볼의 회전 동작에 의해 고압의 증기, 가스, 물, 오일 등의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밸브를 의미한다.
이러한 볼밸브는 밸브 바디와 볼 사이에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볼이 밸브 바디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경우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스템(stem)을 구비하고 있다.
스템(stem)의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하부는 유체 내에 잠기고, 스템의 상부는 스템을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 등에 연결되며, 스템의 하부로부터 스템의 외주면을 통해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킹글랜드가 구비되어 있다.
볼밸브의 밀폐를 위한 패킹글랜드는 소모성 부품으로, 반복적인 스템의 개폐운동에 의해 밀폐성이 저하된다. 밀폐성이 저하된다는 것은 특히 가스 배관의 가스가 유출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폐력이 저하된 패킹글랜드를 새로운 패킹글랜드로 교환해야 한다.
종래에는 볼밸브 스템의 패킹글랜드가 밀폐력이 저하되거나 노후되어 교체할 때 유체가 가스인 경우, 가스 공급을 중단하고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유지 보수를 하는 동안 유체 공급 중단에 대한 경제적 손실과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반면, 가스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볼밸브 스템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 구간내 중압(5~8kg/cm2)의 가스가 공급되고 있어 가스켓의 밀림현상에 따른 가스농도 급증 관련 화재의 위험과 질식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는 위험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이에, 작업 환경에서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볼밸브 스템의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수반되는 지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체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볼밸브 스템을 안전하게 유지 보수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밸브 스템 지그는 볼밸브 바디의 양단에 배치된 플랜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축 결합되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를 고정하는 상판 고정틀; 상기 상판 고정틀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부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봉 형상의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상기 상판 고정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패킹글랜드를 잡아주는 워킹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밸브 바디와 상기 상판 고정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상기 패캥글랜드를 교체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이 스템부를 가압하고 있는 동안 상기 상부 가이드와 하부 가이드를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부가 고정되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승 후 상기 패킹글랜드를 제거하고, 씰링보강 패캥글랜드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링보강 패킹글랜드는, 내측면 및 하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된 씰링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브라켓 형상의 몸체와 결합되는 조임블럭과 조임축을 포함하며, 상기 조임블럭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부재삽입공과 상기 브라켓 몸체에 형성된 조임블럭삽입공을 관통하여 너트와 결합되며, 상기 조임축의 머리는 상기 플랜지에 걸어 두고 상기 브라켓 몸체에 형성된 조임축삽입공을 관통하여 너트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삽입공은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가 삽입되는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고정틀에 형성된 회전축삽입공과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워킹암은 스템부와 수직선상에서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고정틀은 상기 스템부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각 사각의 판 형상이며, 상기 수평방향의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중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스템부를 가압할 수 있는 핸들;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은 상기 스템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볼밸브 스템 지그는 유체 공급을 중단하지 않고 볼밸브 스템을 안전하게 유지 보수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그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함으로써 협소한 작업공간에서의 볼밸브 스템의 유지 보수가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밸브 스템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밸브 스템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보강 패킹글랜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밸브 스템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면들 중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을 부여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장치와 방법을 함께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밸브 스템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밸브 스템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볼밸브 스템 지그는 가스 배관의 볼밸브 스템의 패킹글랜드와 볼트가 노후되어 교체하거나 스템에 누기가 발생하였을 경우, 가스 공급의 중단없이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지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 저압 또는 중압의 가스가 계속 공급되는 상태에서도 패킹글랜드 및 볼트를 교체하는 작업의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밀폐력이 우수한 씰링보강 패킹글랜드로의 교체를 통해 동일 지점에서의 누기 발생을 방지함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편의를 향상시킨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볼밸브는 양측으로 개방되어 유체의 흐름을 안내하는 채널을 형성하고, 일측으로 개방되는 장착구를 채널에 연결되게 형성하는 바디(1), 바디(1)의 외측으로 장착구에 설치되어 채널을 개폐하며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볼을 개폐 작동하는 스템부(5), 바디(1)의 외측으로 노출된 채 스템부(5)가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 고정하는 패킹글랜드(7)를 포함할 수 있다.
볼밸브 스템 지그는 볼밸브 바디(1)의 양단에 배치된 플랜지(3)에 고정되는 고정부(10), 고정부(10)와 축 결합되는 서포트(20), 서포트(20)를 고정하는 상판 고정틀(30), 상판 고정틀(30)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삽입공(30h)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회전축(40) 및, 회전축(40)과 상판 고정틀(30)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축(40)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패킹글랜드(7)를 잡아주는 워킹암(50)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패캥글랜드(7)를 교체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0)는 볼밸브 바디(1)의 양단에 배치된 플랜지(3) 상에 배치되어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0)는 브라켓 형상의 몸체(11a, 11b, 11c), 조임블럭(13), 조임축(15)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임축(15)은 플랜지(3)를 잡아 주기 위하여 마름모 형상의 머리와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임축(15)은 머리를 플랜지(3)에 걸어 두고 브라켓 몸체(11b, 11c)에 형성된 조임축삽입공(11h1)을 관통하여 너트(15b)와 결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조임축(15)의 하부는 조임블럭(13)을 통해 플랜지(3)와 브라켓 몸체(11a, 11b, 11c) 사이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조임블럭(13)은 브라켓 몸체(11a, 11b, 11c)에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부재삽입공(13h)를 형성할 수 있다. 조임블럭(13)에 형성된 고정부재삽입공(13h)은 고정부재(17a1)의 머리가 삽입되는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재(17a1)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조임블록(13)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임블럭(13)은 고정부재(17a1)에 의해 브라켓 몸체(11b)에 형성된 조임블럭삽입공(11h2)을 관통하여 너트(17b1)와 결합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 몸체(11b)에 형성된 조임블록삽입공(11h2)은 조임블록(13)에 형성된 고정부재삽입공(13h)보다 작은 직경의 크기를 가짐으로써 고정부재(17a1)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17a)는 브라켓 몸체(11a)에 형성된 서포트삽입공(11a1)과 서포트(20)에 형성된 고정부재삽입공(20h1)을 관통하여 너트(17b)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서포트(20)는 브라켓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포트(20)는 볼밸브 바디(1)를 기준으로 하부는 고정부(10)와 결합되고, 상부는 상판 고정틀(30)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20)는 고정부(10)와 상판 고정틀(30)과 축 결합되며,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서포트(20)는 고정부(10)와 상판 고정틀(3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스템부(5)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상판 고정틀(30)은 스템부(5)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회전축삽입공(30h)의 위치를 맞추어 배치될 수 있다. 상판 고정틀(30)은 스템부(5)와 상호 수평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양측으로 서포트(2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판 고정틀(30)과 서포트는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상판 고정틀(30)은 스템부(5)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각 사각의 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판 고정틀(30)은 수평방향의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중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중간판이 형성된 직각 사각의 판 형상의 상판 고정틀(30)의 중심부에 회전축삽입공(30h)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축삽입공(30h)은 스템부(5)와 수직선상에서 일치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판 고정틀(30)에 형성된 회전축삽입공(30h)에 회전축(40)이 삽입되더라도 회전축(40)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회전축(40)은 스템부(5)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 고정틀(30)에 형성된 회전축삽입공(30h)에 삽입되어 상판 고정틀(30)을 관통할 수 있다. 회전축(40)은 핸들(41)과 나사산이 형성된 봉 형상의 축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41)은 복수 개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템부(5)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회전축(40)의 일단인 스템부(5)와 상판 고정틀(30) 사이, 워킹암(50) 상부, 그리고 회전축(40) 최상단에 핸들을 구비함으로써 구간별로 회전축(40)을 회전하여 스템부(5)를 가압할 수 있다.
회전축(40)의 타단인 최하단에는 스템부(5)의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43)를 구비하여 스템부(5)를 더욱 정밀하게 가압할 수 있다. 헤드(43)는 스템부(5)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헤드(43)는 30A, 40A, 50A, 60A의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워킹암(50)은 패킹글랜드(7)를 안전하게 잡아 주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40)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공(51a), 결합지지대(51b), 및 한 쌍의 암(5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지지대(51b)와 한 쌍의 암(53)의 일 단은 결속부재(52)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암은 수직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한 쌍의 암의 타 단은 패킹글랜드(7)를 잡아 주기 위한 평편한 홀드면(53c)를 포함할 수 있다. 워킹암(50)은 홀드면(53c)을 통해 패킹글랜드(7)을 잡아 주었을 때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54)는 홀드면(53c)에 형성된 고정홀(53b)를 관통하여 패킹글랜드(7)을 더욱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부(60)는 패킹글랜드(7)를 교체하기 위한 가이드로, 볼밸브 바디(1)와 상판 고정틀(3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축(40)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60)는 상부 가이드(61)와 하부 가이드(6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60)는 스템부(5)의 패킹을 가압하기 위해 회전축(40)이 스템부(5)를 가압하고 있는 동안 상부 가이드(61)와 하부 가이드(63)을 체결할 수 있다. 이때, 고정용 너트(65)를 통해 상부 가이드(61)와 하부 가이드(63)를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부(60)가 고정되면 스템부(5)를 가압하던 회전축(40)을 회전시켜 상승 후 교체대상의 패킹글랜드(7)를 제거하고, 새로운 씰링보강 패킹글랜드(70)을 교체한다. 이 후, 회전축(40)을 다시 회전하여 하강시켜 스템부(5)를 가압한다. 그리고, 가이드부(60)의 고정을 해체시켜 하부 가이드(63)을 제거한다. 상부 가이드(61)을 통해 씰링보강 패킹글랜드(70)를 누른 상태에서 글랜드 볼트(75)를 체결하여 씰링보강 패킹글랜드(7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상부 가이드(61)를 제거하고, 회전축(40)을 제거함으로써 볼밸브 스템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보강 패킹글랜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씰링보강 패킹글랜드(70)는 스템부(5)와 일치하도록 내측은 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내측면에는 씰링패드(77)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씰링보강 패킹글랜드(70)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는 씰링패드(77)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씰링보강 패킹글랜드(70)의 하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도 씰링패드(77)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씰링패드(77)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현되며, 스템부(5)와 씰링보강 패킹글랜드(90) 및 바디(1)와 씰링보강 패킹글랜드(70)의 접촉면을 기밀할 수 있다. 이에, 씰링보강 패킹글랜드(70)는 스템부(5)와 바디(1) 사이를 더욱 밀접하게 밀폐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씰링보강 패킹글랜드(7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외측에 글랜드 볼트(75)에 의해 바디(1)에 결속하기 위하여 타원 형상으로 이루질 수 있다. 이에 씰링보강 패킹글랜드(70)는 장착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디(1)의 외측면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템부(5)는 씰링보강 패킹글랜드(7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밸브 스템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밸브 스템 지그는 패킹글랜드(7)의 볼트(8)를 교체하기 위한 지그로, 볼밸브 바디(1)의 양단에 배치된 플랜지(3)를 고정되는 고정부(10), 고정부(10)와 축 결합되는 서포트(20), 서포트(20)를 고정하는 상판 고정틀(30), 상판 고정틀(30)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삽입공(30h)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회전축(40) 및, 회전축(40)과 상판 고정틀(30)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축(40)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패킹글랜드(7)를 잡아주는 워킹암(5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볼밸브 바디(1)의 양단에 배치된 플랜지(3)에 고정부(10)를 설치한 후, 서포트(20)를 고정부(10)에 결합한다. 볼밸브 바디(1)의 양단에 설치된 고정부(10)와 서포트(20) 상부에 상판 고정틀(30)을 결합한다. 이때, 상판 고정틀(30)에 형성된 회전축 삽입공(30h) 상에 회전축(40)과 워킹암(50)을 스템부(5)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회전축(40)은 헤드(43)가 스템부(5)를 가압하도록 핸들(41)을 회전하여 하강시킬 수 있다. 워킹암(50)은 패킹글랜드(7)의 상단을 잡아 줌으로써 스템부(5)의 이탈 및 가스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스템부(5), 패킹글랜드(7) 상단의 안전여부를 확인한 후 글랜드 볼트(8)을 제거한 후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볼밸브 스템 지그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및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비록 본 명세서에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 단계는 반드시 기재된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선택적 또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형태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균등물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볼밸브 바디 3: 플랜지
5: 스템부 7: 패킹글랜드
8, 75: 글랜드 볼트
10: 고정부 20: 서포트
30: 상부 고정틀 40: 회전축
50: 워킹암 60: 가이드부
70: 씰링보강 패킹글랜드
77: 씰링패드

Claims (9)

  1. 볼밸브 바디의 양단에 배치된 플랜지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축 결합되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를 고정하는 상판 고정틀;
    상기 상판 고정틀의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축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 설치되는 봉 형상의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상판 고정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패킹글랜드를 잡아주는 워킹암;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브라켓 형상의 몸체;
    상기 플랜지에 접촉하는 머리 및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을 포함하는 조임축; 및
    상기 몸체 및 상기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부재삽입공을 포함하는 조임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조임블럭은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삽입공과 상기 몸체에 형성된 조임블럭삽입공이 관통되어 너트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조임축은 상기 머리를 상기 플랜지에 걸어 두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조임축삽입공을 관통하여 너트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밸브 스템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 바디와 상기 상판 고정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상기 패킹글랜드를 교체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밸브 스템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이 스템부를 가압하고 있는 동안 상기 상부 가이드와 하부 가이드를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부가 고정되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승 후 상기 패킹글랜드를 제거하고, 씰링보강 패킹글랜드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밸브 스템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보강 패킹글랜드는,
    내측면 및 하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된 씰링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밸브 스템 지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삽입공은 상기 고정부재의 머리가 삽입되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밸브 스템 지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고정틀에 형성된 상기 회전축삽입공과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워킹암은 스템부와 수직선상에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밸브 스템 지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 고정틀은 상기 스템부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직각 사각의 판 형상이며, 상기 수평방향의 중심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중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밸브 스템 지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스템부를 가압할 수 있는 핸들;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은 상기 스템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밸브 스템 지그.
KR1020200189593A 2020-12-31 2020-12-31 볼밸브 스템 지그 Active KR10247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93A KR102473505B1 (ko) 2020-12-31 2020-12-31 볼밸브 스템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593A KR102473505B1 (ko) 2020-12-31 2020-12-31 볼밸브 스템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13A KR20220096813A (ko) 2022-07-07
KR102473505B1 true KR102473505B1 (ko) 2022-12-01

Family

ID=8239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593A Active KR102473505B1 (ko) 2020-12-31 2020-12-31 볼밸브 스템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0865B1 (ko) * 2023-05-18 2025-02-24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그랜드 패킹 제거를 위한 도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5851B2 (ja) * 2004-04-02 2009-08-19 東京瓦斯株式会社 バルブ修理治具及びその修理方法
KR101359506B1 (ko) * 2012-01-10 2014-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플랜지홀 정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675U (ko) * 2014-03-21 2015-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용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5851B2 (ja) * 2004-04-02 2009-08-19 東京瓦斯株式会社 バルブ修理治具及びその修理方法
KR101359506B1 (ko) * 2012-01-10 2014-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플랜지홀 정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813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843B2 (en) Gate valve assembly for installation in pressurized pipes
KR102200861B1 (ko) 가스공급관로 응급 보수 장치 및 가스공급관로 응급 보수 방법
RU12102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трубопровода при ремонте шарового крана под давлением
KR102473505B1 (ko) 볼밸브 스템 지그
US10612672B2 (en) Pipeline control unit
US62446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trusive on-line leak sealing of flanged piping connections
KR20030069089A (ko) 급속 해제형 피팅 조립체
KR102739154B1 (ko) 도통구와 배관 단부를 접속한 접속 구조, 개폐 밸브 장치 및 봉지부재의 제거 방법
KR101559681B1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스템 밸브
KR20150098109A (ko) 버터플라이 밸브 면간길이를 갖는 신축관 일체형 밸브
NO315758B1 (no) Armatur, s¶rlig regulerings- og stengeklaff
JP5430340B2 (ja) 配管補修器具及び補修方法
CN209599127U (zh) 法兰张开装置
KR200496519Y1 (ko) 배관차단용 플러깅머신의 유체누출방지용 클램핑장치
RU2769792C1 (ru) Способ герметизации устья скважины, эксплуатирующейся установкой скважинного штангового насоса с подъёмом продукции по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й колонне, и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альника устьевого самоустанавливающегося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устья при замене сальниковых уплотнителей
KR20160049560A (ko) 플러깅 시스템
RU2698537C2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действующего газопровода с локальным сквозным дефектом без прекращения подачи газа
CN214579684U (zh) 带压更换封堵件的装置
CA2365756C (en) External pipe leak repair arrangement
KR101733626B1 (ko) 고압 터빈의 수압시험장치 및 수압시험방법
US5878769A (en) Maintenance method and maintenance kit for a gate valve
RU28122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рметизации трубопровода при ремонте и замене шарового крана
CN222164054U (zh) 一种石油天然气管道带压堵漏装置
US5288055A (en) Brace for a valve packing gland flange
CN102455146B (zh) 空气冷却器丝堵的堵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