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73437B1 - 메추리 도순 방법 - Google Patents

메추리 도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3437B1
KR102473437B1 KR1020220057458A KR20220057458A KR102473437B1 KR 102473437 B1 KR102473437 B1 KR 102473437B1 KR 1020220057458 A KR1020220057458 A KR 1020220057458A KR 20220057458 A KR20220057458 A KR 20220057458A KR 102473437 B1 KR102473437 B1 KR 10247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il
water
washing
scalding
cu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균
Original Assignee
김홍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균 filed Critical 김홍균
Priority to KR102022005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4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3/00Slaughtering or stunn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3/00Slaughtering or stunning
    • A22B3/06Slaughtering or stunning by electric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3/00Slaughtering or stunning
    • A22B3/08Slaughtering or stunning for poultry or fish, e.g. slaughtering pliers, slaughtering shears
    • A22B3/086Stun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3/00Slaughtering or stunning
    • A22B3/10Slaughtering tools; Slaughtering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005Eviscerating devices, e.g. removing rectum, anus, intestines, brain tissue, hypophysi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076Chilling 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carcass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082Cleaning, washing or disinfecting carcass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4Blood-collecting apparatus; Blood-stir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8Scalding; Scraping; Dehairing; Singe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7/00Slaughterhouse arrangements
    • A22B7/001Conveying arrangements
    • A22B7/002Devices for hanging animal carcasses while being conveyed or stored, e.g. gambrels, hook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7/00Slaughterhouse arrangements
    • A22B7/001Conveying arrangements
    • A22B7/004Rails for conveying suspended carcasses, e.g. configurations,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추리 도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추리를 현수실에 투입하는 투입공정; 메추리를 현수기에 다리를 걸어 현수한 후 생체를 검사하는 검사공정; 전기 충격을 주기 위해 전기충격기에 넣고 감전시켜 기절시키는 전기실신공정; 상기 기절한 메추리의 목에 있는 경동맥을 칼날로 절단하고 피를 빼내어 순체를 가공하는 킬링 및 방혈공정; 상기 방혈된 순체를 탕적기로 이송한 후 탕적기에서 뜨거운 물과 찬물에 번갈아 담그는 탕적공정; 상기 탕적공정에서 탕적된 순체를 꺼내어 깃털을 벗겨내는 탈모공정; 상기 탈모공정을 마친 순체의 깃털이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고, 수조에 순체를 저온 상태에서 냉각시키는 수처리공정; 상기 수처리공정을 마친 순체의 머리와 다리를 절단하는 절단공정; 머리와 다리가 절단된 순체의 항문을 제거하고 배를 갈라 개복한 후 내장을 제거하는 내장적출공정; 내장이 제거된 후 순체를 흡입기에 밀착시켜 흡입력으로 인해 허파를 제거시키는 허파제거공정; 허파 제거를 마친 순체의 내부 및 외부를 세척시키는 세척공정; 상기 세척공정에서 세척된 순체를 탈수시키는 탈수공정; 상기 탈수통의 출구측에 구비된 에어블로워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샤워에 의해 물기를 제거하고, 자외선 살균기를 통과시켜 자외선 살균을 실시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를 마친 순체를 선별하고, 일정량씩 묶어 포장하는 포장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추리 도순 방법{quail slaughter method}
본 발명은 메추리 도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추리를 대량으로 도순할 수 있고, 크기가 작은 메추리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는 메추리 도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추리는 정식명칭으로는 메추라기라고 하는데, 이는 닭목 꿩과의 한 종으로 병아리 크기 정도의 작은 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겨울 철새로 알려져 있는데, 이를 대량으로 사육하여 장조림용 메추리알과 메추리육을 생산하기도 한다.
메추리는 인공사육을 하면 1년에 100개 정도의 알을 받을 수 있고, 메추리 고기와 관련하여 동의보감에는 "메추리 고기인 순육은 오장을 보강하고 힘줄과 뼈를 튼튼히 한다. 우유로 달여 먹으면 정수(精髓)가 풍부해지고 양념해 구워 먹으면 정력을 굳건히 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본초강목에는 "오장육부를 보양하고 중기를 북돋아주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는 좋은 약재"라고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메추리산업은 대부분 알 위주로 생산되었으며, 메추리 고기는 양이 적어 식용으로는 인기가 없었으나, 프랑스 등 유럽에서는 오래전부터 즐겨온 전통음식이다.
메추리 고기에는 비타민 B1, B2가 풍부하고, 지방, 회분, 칼슘, 니아신 등의 영양소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뼈와근육을 강하게 하여 성장기 발육에 좋은 효과가 있고, 탈모예방 및 스태미너를 증진시키며, 뼈까지 먹을 수 있어서 출산 후 부족한 칼슘 등의 영양소를 보충하는데 적합한 음식으로 최근 그 소비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메추리 고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닭 도순 시설에서 가공을 해야 하는데, 메추리는 닭과는 달리 크기가 왜소하여 도계 가공 시설을 그대로 적용할 경우 고온에 탕적된 이후이므로 육질이 흐물흐물한 상태가 되어 머리와 다리를 절단하고 개복하여 내장을 적출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5875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깃털의 제거를 위하여 고온수에 탕적 과정을 진행하되, 탕적 후 메추리 육질이 물러지지 않도록 하여 절단 및 개복과 내장 적출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메추리 도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살아있는 상태로 무게를 측정한 후 적정 무게 범위에 속하는 메추리를 현수실에 투입하는 투입공정; 메추리를 컨베이어에 구비된 현수기에 다리를 걸어 현수한 후 생체를 검사하는 검사공정; 상기 검사공정 후 메추리에 전기 충격을 주기 위해 전기충격기에 넣고 감전시켜 기절시키는 전기실신공정; 상기 전기실신공정에서 기절한 메추리의 목에 있는 경동맥을 칼날로 절단하고 피를 빼내어 순체를 가공하는 킬링 및 방혈공정; 상기 방혈된 순체를 탕적기로 이송한 후 탕적기에서 뜨거운 물과 찬물에 번갈아 담그는 탕적공정; 상기 탕적공정에서 탕적된 순체를 꺼내어 깃털을 벗겨내는 탈모공정; 상기 탈모공정을 마친 순체를 세척통에 넣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외부에 묻은 깃털이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고, 수조에 순체를 담궈서 10℃~15℃의 저온 상태에서 30분~1시간동안 냉각시키는 수처리공정; 상기 수처리공정을 마친 순체를 컨베어벨트로 이송하여 작업대로 공급한 후 순체의 머리와 다리를 절단하는 절단공정; 머리와 다리가 절단된 순체의 항문을 제거하고 배를 갈라 개복한 후 내장을 제거하는 내장적출공정; 내장이 제거된 후 순체를 흡입기에 밀착시켜 흡입력으로 인해 허파를 제거시키는 허파제거공정; 허파 제거를 마친 순체를 드럼에 넣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드럼 내부 및 외부에 구비된 물분사관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여 순체의 내부 및 외부를 세척시키는 세척공정; 상기 세척공정에서 세척된 순체를 탈수통에 넣고, 탈수통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수분을 배출하고, 배출된 수분은 탈수통의 외부에 구비된 집수통로를 통해 집수하여 배출시키는 탈수공정; 상기 탈수통의 출구측에 구비된 에어블로워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샤워에 의해 물기를 제거하고, 자외선 살균기를 통과시켜 자외선 살균을 실시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를 마친 순체를 선별하고, 일정량씩 묶어 포장하는 포장공정;을 포함하는 메추리 도순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공정은 순체를 클램프로 협지한 후 양측으로 벌려서 내부가 드러나도록 한 후 순체가 협지된 클램프가 다수 부착된 걸이대의 양단부를 드럼 내에 장착하여 다수개의 걸이대를 거치시키는 거치공정; 상기 드럼의 양단부에 고정된 걸이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순체가 주기적으로 자전되면서 순체의 내,외부가 물분사관의 분사노즐을 향하도록 하는 순회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공정은 UV-C를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갖는 자외선 살균기가 건조기의 내부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건조기를 순체가 통과하는 동안 살균되도록 하는 살균공정과, 에어샤워에 의해 물기를 제거한 순체를 냉동기에 넣고 5~10분간 급속냉동시키는 급속냉동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공정의 현수기는 양다리를 함께 걸어 고정시키는 'W'자 형 걸고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킬링 및 방혈공정은 길이방향으로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슬릿의 일측에 칼날이 회전되게 장착되는 절단기에 의하고, 현수된 순체의 목이 이동슬릿을 통과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절단기의 후방측에 현수된 순체에서 흘러나오는 피를 수거하는 수납통을 구비한 방혈기에서 일정시간 정체된 상태로 유지되어 순체로부터 피가 빠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처리공정은
소독약이 혼합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통에서 실시되고,
상기 세척통에는 분사된 세척수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커튼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세척통의 하부에 형성되어 세척수이 수집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배출구로 구성된 회수부와, 상기 세척통에 연결되어 세척수을 저장하는 환수탱크와, 상기 환수탱크에 연결되며 세척수공급관과 연결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환수탱크의 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미세통공을 갖는 거름망과, 거름망의 내부에 형성되며 세척수를 통과시키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환수탱크의 입구에는 필터부재가 거치되는 거치바가 양측에 각기 형성되며, 상기 거름망은 상부에 거치바에 걸려지는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메추리 도순방법은 탕적, 탈모를 한 후 바로 절단 및 개복을 실시하지 않고 소정 온도의 물에 탈모된 메추리를 소정 시간 동안 담가둠으로써 메추리 도체가 흐물거리지 않고 단단하며 탄력있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 후에 이를 절단하고 개복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왜소한 크기의 메추리 도체를 취급하기 편리함은 물론 절단도구에 의한 절단 및 개복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메추리 가공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의 세척공정의 드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의 건조공정의 건조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의 검사공정의 걸고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의 킬링 및 방혈공정의 절단기 및 방혈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의 수처리공정의 세척통 및 회수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상기 도 6의 배출구를 확대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을 나타낸 공정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의 세척공정의 드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의 건조공정의 건조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의 검사공정의 걸고리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의 킬링 및 방혈공정의 절단기 및 방혈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의 수처리공정의 세척통 및 회수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상기 도 6의 배출구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추리 도순 방법은, 투입공정(S1), 검사공정(S2), 전기실신공정(S3), 킬링 및 방혈공정(S4), 탕적공정(S5), 탈모공정(S6), 수처리공정(S7), 절단공정(S8), 내장적출공정(S9), 허파제거공정(S10), 세척공정(S11), 탈수공정(S12), 건조공정(S13), 포장공정(S14) 순으로 진행된다.
투입공정(S1)은 살아있는 상태로 무게를 측정한 후 적정 무게 범위에 속하는 메추리를 상자에 담아 일정 수량씩 현수실에 투입한다.
검사공정(S2)은 작업자가 메추리를 꺼내어 육안검사를 한 후 컨베이어에 구비된 현수기에 다리를 걸어 현수한 후 생체를 검사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검사공정(S2)의 현수기는 양다리를 함께 걸어 고정시키는 'W'자 형 걸고리(M-2)를 구비한 것으로, 걸고리(M-2) 한개마다 한마리의 순체(M)의 다리 2개를 동시에 걸어 현수시킬 수 있다.
전기실신공정(S3)은 전기 충격을 주기 위해 전기충격기에 넣고 감전시켜 기절시킨다. 메추리(이하 '순체(M)'라 함)가 기절한 상태이므로 목이 늘어지면서 하방으로 길게 매달린 상태가 된다.
소정 길이의 수조에 물을 담고 물 속에 전기를 인가하여 순체(M)의 머리가 충격기에 잠겨진 상태에서 전기충격이 가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일부분에서는 30V의 전압으로 전기 충격이 가해지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50V의 전압으로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하여 완전히 기절상태가 될 수 있다.
킬링 및 방혈공정(S4)은 전기 충격에 의해 기절한 채 늘어진 순체(M)의. 목에 있는 경동맥을 칼날로 절단하고 피를 빼내어 순체를 가공하게 된다. 이렇게 피를 제거함으로써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가공 공정에서 충돌에 의한 멍이 생기지 않게 된다.
킬링 및 방혈공정(S4)은 도 5를 참조하면, 길이방향으로 이동슬릿(2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슬릿의 일측에 칼날(24)이 회전되게 장착되는 절단기(20)에 의하고, 현수된 순체의 목의 경동맥이 이동슬릿(22)을 통과하면서 절단된다.
절단기(20)의 후방측에 방혈기(26)가 배치된다. 따라서 현수된 순체(M)에서 흘러나오는 피를 방혈기의 수납통에 수거토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방혈기(26)에서 일정시간 정체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순체로부터 피가 빠지도록 하고 이를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탕적공정(S5)은 방혈된 순체(M)를 탕적기로 이송한 후 탕적기에서 약 60~70 ℃의 온수와 찬물에 번갈아 담궈서 털이 잠기게 한다.
탈모공정(S6)은 탕적공정(S5)에서 탕적된 순체(M)를 꺼내어 깃털을 벗겨내는 것으로 지름 60mm의 원형 탈모기를 통과하면서, 탕적된 순체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서로 번갈아 가면서 30초~40초 사이에 털을 제거한다.
수처리공정(S7)은 탈모공정(S6)을 마친 순체(M)를 세척통(30)에 넣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외부에 묻은 깃털이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후 수조에 순체(M)를 담궈서 10℃~15℃의 저온 상태에서 30분~1시간동안 냉각함으로써 순체의 육질이 탄력을 갖도록 하여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절단공정(S8)은 상기 수처리공정(S7)을 마친 순체(M)를 컨베어벨트로 이송하여 작업대로 공급한 후 순체(M)의 머리와 다리를 절단한다.
내장적출공정(S9)은 머리와 다리가 절단된 순체의 항문을 제거하고 배를 갈라 개복한 후 내장을 제거한다.
허파제거공정(S10)은 내장이 제거된 후 순체를 흡입기에 밀착시켜 흡입력으로 인해 허파를 제거시킨다. 흡입기는 진공흡입펌프와 연결되어 고압의 흡입력을 발휘함으로써 허파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세척공정(S11)은 허파 제거를 마친 순체(M)를 드럼(40)에 넣고, 드럼(40)을 회전시키면서 드럼 내부 및 외부에 구비된 물분사관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여 순체의 내부 및 외부를 세척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세척공정(S11)은, 순체를 클램프(42)로 협지한 후 양측으로 벌려서 내부, 즉 복강이 드러나도록 한 후 순체가 협지된 클램프가 다수 부착된 걸이대(44)의 양단부를 드럼(40) 내에 장착하여 다수개의 걸이대(44)를 거치시키는 거치공정(S11-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럼(40)의 양단부에 고정된 걸이대(4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순체가 주기적으로 자전되면서 순체의 내,외부가 물분사관(W)의 분사노즐(41)을 향하도록 하는 순회공정(S11-2);을 포함한다.
탈수공정(S12)은 상기 세척공정(S11)에서 세척된 순체(M)를 탈수통에 넣고, 탈수통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수분을 배출하고, 배출된 수분은 탈수통의 외부에 구비된 집수통로를 통해 집수하여 배출시킨다.
건조공정(S13)은 상기 탈수통의 출구측에 구비된 에어블로워(52)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샤워에 의해 물기를 제거하고, 자외선 살균기(53)를 통과시켜 자외선 살균을 실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살균공정은 UV-C를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갖는 자외선 살균기(53)가 건조기(60)의 내부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건조기(62) 내에 순체(M)가 통과하는 동안 살균되도록 한다.
이후 에어샤워에 의해 물기를 제거한 순체(M)를 냉동기에 넣고 5~10분간 급속냉동시키는 급속냉동공정을 포함한다.
건조 및 살균공정을 마친 순체는 육심의 온도가 35~40℃까지 상승된 상태이므로 부패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급속냉동을 통해 20~25℃로 냉각시킨다.
포장공정(S14)은 건조를 마친 순체를 선별하고, 일정량씩 묶어 포장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처리공정(S7)은 소독약이 혼합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650)이 구비된 세척통(200)에서 실시된다.
세척통(200)의 출구에는 분사된 세척수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커튼부재(220)가 형성된다.
세척통(200)의 하부에는 회수부(260)가 형성되어 세척수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회수부(260)는 세척수가 수집되는 트레이(262)와, 상기 트레이(262)에 형성된 배출구(264)로 구성된다.
배출구(264)에 대응하여 환수탱크(270)가 배치되어 세척수를 회수토록 한다.
환수탱크(270)는 기대(1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수부(260)의 하부에 배치되어 세척수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환수탱크(270)에 연결되며 세척수공급부(600)의 세척수공급관(620)과 연결되는 순환관(272)과, 상기 순환관(272)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274)를 포함한다.
세척수공급관(620)에는 다수개의 노즐(650)이 형성된다.
따라서 펌프(274)의 작동에 의해 환수탱크(270)에 집수된 세척수를 다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환수탱크(270)의 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264)에 대응되는 필터부재(28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280)는, 미세통공을 갖는 거름망(282)과, 거름망(282)의 내부에 형성되며 세척수를 통과시키는 필터(284)를 포함한다. 따라서 거품을 제거할 수 있고 흙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부재(28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 환수탱크(270)의 입구에는 필터부재(280)가 거치되는 거치바(271)가 양측에 각기 형성되며, 거름망(282)은 상부에 거치바(271)에 걸려지는 단턱(283)이 형성된다.
따라서 거름망(282)에서 이물질과 거품 등을 걸러서 제거함으로써 세척수의 재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배출구(264)는 레일(265)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265)에 결합되어 탈착되는 분리판(20)이 포함된다.
분리판(20)은 세척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배출공(22)이 형성되며, 상면에 경사돌기(24)가 다수 형성된다.
경사돌기(24)는 세척수가 배출공(22)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배출공(22)들 사이에 형성되며, 대략 판재를 접어서 단면이 삼각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세척수가 경사돌기(24)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려서 배출공(22)으로 흘러내려갈 수 있도록 하였고, 큰 입자의 이물질은 걸러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S1 : 투입공정 S2 : 검사공정
S3 : 전기실신공정 S4 : 킬링 및 방혈공정
S5 : 탕적공정 S6 : 탈모공정
S7 : 수처리공정 S8 : 절단공정
S9 : 내장적출공정 S10 : 허파제거공정
S11 : 세척공정 S12 : 탈수공정
S13 : 건조공정 S14 : 포장공정

Claims (3)

  1. 살아있는 상태로 무게를 측정한 후 적정 무게 범위에 속하는 메추리를 현수실에 투입하는 투입공정;
    메추리를 컨베이어에 구비된 현수기에 다리를 걸어 현수한 후 생체를 검사하는 검사공정;
    상기 검사공정 후 메추리에 전기 충격을 주기 위해 전기충격기에 넣고 감전시켜 기절시키는 전기실신공정;
    상기 전기실신공정에서 기절한 메추리의 목에 있는 경동맥을 칼날로 절단하고 피를 빼내어 순체를 가공하는 킬링 및 방혈공정;
    상기 방혈된 순체를 탕적기로 이송한 후 탕적기에서 뜨거운 물과 찬물에 번갈아 담그는 탕적공정;
    상기 탕적공정에서 탕적된 순체를 꺼내어 깃털을 벗겨내는 탈모공정;
    상기 탈모공정을 마친 순체를 세척통에 넣고 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외부에 묻은 깃털이나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고, 수조에 순체를 담궈서 10℃~15℃의 저온 상태에서 30분~1시간동안 냉각시키는 수처리공정;
    상기 수처리공정을 마친 순체를 컨베어벨트로 이송하여 작업대로 공급한 후 순체의 머리와 다리를 절단하는 절단공정;
    머리와 다리가 절단된 순체의 항문을 제거하고 배를 갈라 개복한 후 내장을 제거하는 내장적출공정;
    내장이 제거된 후 순체를 흡입기에 밀착시켜 흡입력으로 인해 허파를 제거시키는 허파제거공정;
    허파 제거를 마친 순체를 드럼에 넣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드럼 내부 및 외부에 구비된 물분사관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여 순체의 내부 및 외부를 세척시키는 세척공정;
    상기 세척공정에서 세척된 순체를 탈수통에 넣고, 탈수통을 저속으로 회전시켜 수분을 배출하고, 배출된 수분은 탈수통의 외부에 구비된 집수통로를 통해 집수하여 배출시키는 탈수공정;
    상기 탈수통의 출구측에 구비된 에어블로워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샤워에 의해 물기를 제거하고, 자외선 살균기를 통과시켜 자외선 살균을 실시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를 마친 순체를 선별하고, 일정량씩 묶어 포장하는 포장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 도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공정은,
    순체를 클램프로 협지한 후 양측으로 벌려서 내부가 드러나도록 한 후 순체가 협지된 클램프가 다수 부착된 걸이대의 양단부를 드럼 내에 장착하여 다수개의 걸이대를 거치시키는 거치공정;
    상기 드럼의 양단부에 고정된 걸이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순체가 주기적으로 자전되면서 순체의 내,외부가 물분사관의 분사노즐을 향하도록 하는 순회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 도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은,
    UV-C를 방사하는 자외선 램프를 갖는 자외선 살균기가 건조기의 내부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건조기를 순체가 통과하는 동안 살균되도록 하는 살균공정과,
    에어샤워에 의해 물기를 제거한 순체를 냉동기에 넣고 5~10분간 급속냉동시키는 급속냉동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킬링 및 방혈공정은,
    길이방향으로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슬릿의 일측에 칼날이 회전되게 장착되는 절단기에 의하고, 현수된 순체의 목이 이동슬릿을 통과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절단기의 후방측에 현수된 순체에서 흘러나오는 피를 수거하는 수납통을 구비한 방혈기에서 일정시간 정체된 상태로 유지되어 순체로부터 피가 빠지도록 한 것이며,
    상기 수처리공정은,
    소독약이 혼합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이 구비된 세척통에서 실시되고,
    상기 세척통의 출구에는 분사된 세척수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커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통의 하부에 형성되어 세척수이 수집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배출구로 구성된 회수부;
    상기 세척통에 연결되어 세척수을 저장하는 환수탱크;
    상기 환수탱크에 연결되며 세척수공급관과 연결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환수탱크의 입구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 도순 방법.
KR1020220057458A 2022-05-10 2022-05-10 메추리 도순 방법 Active KR10247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458A KR102473437B1 (ko) 2022-05-10 2022-05-10 메추리 도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458A KR102473437B1 (ko) 2022-05-10 2022-05-10 메추리 도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437B1 true KR102473437B1 (ko) 2022-12-06

Family

ID=8440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458A Active KR102473437B1 (ko) 2022-05-10 2022-05-10 메추리 도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58550A (zh) * 2023-09-11 2023-12-05 南京市畜牧家禽科学研究所(南京市畜牧技术推广站) 一种盐水鸭新加工工艺
KR102647138B1 (ko) * 2023-03-23 2024-03-12 지경환 위생성 향상을 위한 가금류 가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019A (ja) * 1994-12-21 1996-07-09 Miki:Kk 枝肉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WO2000040094A1 (en) * 1998-12-31 2000-07-13 Stork Pmt B.V.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laughter products
JP2001061403A (ja) * 1999-08-31 2001-03-13 Sanyo Electric Co Ltd 枝肉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060017187A (ko) * 2004-08-20 2006-02-23 홍병환 자동 엽채류 탈수기
US20110065097A1 (en) * 2004-11-29 2011-03-17 Jones Jr Arthur 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nt Detection for Food Industry
KR20120107154A (ko) * 2011-03-17 2012-10-02 주식회사 매산씨앤에프 냉장용 육계의 가공방법
US20150366229A1 (en) * 2013-07-25 2015-12-2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ryogenic poultry chilling system and method
KR101658753B1 (ko) 2016-05-10 2016-09-30 김준형 도계가공방법 및 도계가공시스템
KR20180077348A (ko) * 2016-12-28 2018-07-09 김홍균 메추리 도순 방법
KR20210138935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왕건 가금류 자동 분류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019A (ja) * 1994-12-21 1996-07-09 Miki:Kk 枝肉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WO2000040094A1 (en) * 1998-12-31 2000-07-13 Stork Pmt B.V.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laughter products
JP2001061403A (ja) * 1999-08-31 2001-03-13 Sanyo Electric Co Ltd 枝肉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060017187A (ko) * 2004-08-20 2006-02-23 홍병환 자동 엽채류 탈수기
US20110065097A1 (en) * 2004-11-29 2011-03-17 Jones Jr Arthur 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aminant Detection for Food Industry
KR20120107154A (ko) * 2011-03-17 2012-10-02 주식회사 매산씨앤에프 냉장용 육계의 가공방법
US20150366229A1 (en) * 2013-07-25 2015-12-24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ryogenic poultry chilling system and method
KR101658753B1 (ko) 2016-05-10 2016-09-30 김준형 도계가공방법 및 도계가공시스템
KR20180077348A (ko) * 2016-12-28 2018-07-09 김홍균 메추리 도순 방법
KR20210138935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왕건 가금류 자동 분류 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138B1 (ko) * 2023-03-23 2024-03-12 지경환 위생성 향상을 위한 가금류 가공 시스템 및 방법
CN117158550A (zh) * 2023-09-11 2023-12-05 南京市畜牧家禽科学研究所(南京市畜牧技术推广站) 一种盐水鸭新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3437B1 (ko) 메추리 도순 방법
US5178890A (en) Method for improving the bacteriological quality of slaughtered poultry
EP13021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faecel matter from slaughtered poultry suspended by the legs and for cleaning said poultry
US20040115322A1 (en) Animal carcass microbial reduction method
CN102113536B (zh) 冰鲜分割猪肉的加工方法
CN110999943A (zh) 肉鸡屠宰分割生产工艺及设备系统
EP2519110A1 (en) Processing of fish
CN104286133A (zh) 自动挂鸭头装置,浸蜡传送系统,及其方法
JP2010246495A (ja) 魚の活きしめ採血方法および装置
JP5351537B2 (ja) 家禽の処理加工方法
CN104542873A (zh) 清真鸡肉屠宰标准化加工生产线
US461770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hygienic extraction and collection of animal blood fit and unfit for human consumption
Kaufman et al. Plant processing of sub-atmospheric steam scalded poultry
RU2601573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тушек птицы на конвейерных линиях
KR20180077348A (ko) 메추리 도순 방법
CN111972469A (zh) 一种烧鸡清洗工段生产装置
US4715091A (en) Process for preparing clam cutlet
US1746100A (en) Process of dressing poultry and fowls
Troeger Overview of current and alternative slaughter practices
Fernández‐López et al. Slaughtering equipment and operations
US3116515A (en) Method of processing hogs in a meat packing plant
KR20120107155A (ko) 냉장용 육계의 탕적방법
CN115363079A (zh) 一种维持羊肉口感的羔羊屠宰分割方法
KR20240000985A (ko) 어류 자동 손질 건조시스템
CN107047708A (zh) 一种宰家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