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외 유닛(10)과, 제1계통(20A)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유닛(21)(22)과, 제2계통(20B)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을 포함할 수 있다.
실외 유닛(10)은 압축기(31), 실외 열교환기(32), 실외 팽창기구(33), 공통 사방변(40) 및 제1, 2사방변(41)(42)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1)는 흡입 유로(72)로 흡입된 냉매를 토출유로(71)로 토출할 수 있다.
흡입 유로(72)는 압축기(31)에 연결된 흡입 배관과, 상기 흡입 배관에 설치된 어큐뮬레이터(38)를 포함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38)는 액냉매를 저장하고 기체상태의 냉매만이 압축기(31)로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 유로(71)은 압축기(31)에 연결된 토출 배관과, 상기 토출 배관에 설치된 오일 분리기(39)를 포함할 수 있다. 오일 분리기(39)는 압축기(31)에서 냉매와 함께 토출된 오일을 분리하여 압축기(31)로 다시 회수시킬 수 있다.
공통 사방변(40)은 토출 유로(71) 또는 흡입 유로(72)를 실외 열교환기(32)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통 사방변(40)에는 토출측 연결유로(73)와, 흡입측 연결유로(76)와,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가 연결될 수 있다. 토출측 연결유로(73)는 토출유로(71)를 공통 사방변(40)과 연결할 수 있고, 흡입측 연결유로(76)는 흡입유로(72)를 공통 사방변(40)과 연결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는 실외 열교환기(32)를 공통 사방변(40)과 연결할 수 있다. 공통 사방변(40)은 토출측 연결유로(73) 또는 흡입측 연결유로(76)를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즉, 공통 사방변(40)은 토출측 연결 유로(73) 및 흡입측 연결유로(76) 중 어느 하나를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와 연통시키고, 다른 하나를 폐쇄시킬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32)가 토출 유로(71)와 연통되는 경우, 토출 유로(71)의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응축될 수 있다. 반대로 실외 열교환기(32)가 흡입 유로(72)와 연통되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입 유로(72)로 유동될 수 있다. 즉, 공통 사방변(40)이 실외 열교환기(32)와 토출유로(71)를 연통시키면 실외 열교환기(32)는 응축기로 작용하고, 실외 열교환기(32)와 흡입유로(72)를 연통시키면 실외 열교환기(32)는 증발기로 작용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32)는 복수개의 실내 유닛(21)(22)(23)(24)과 액체유로(75)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복수개의 실내 유닛(21)(22)(23)(24)은 복수개의 액체 분지유로(95)(96)(97)(98)에 의해 각각 액체유로(75)와 연결될 수 있다.
액체 유로(75)에는 과냉각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액체 유로(75)에는 실외 팽창기구(33)가 설치될 수 있다. 실외 팽창기구(33)는 개도가 조절될 수 있는 전자 팽창밸브(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32)가 증발기로 작용하는 경우, 실외 팽창기구(33)는 기설정된 개도로 제어될 수 있고, 냉매는 실외 팽창기구(33)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으며,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증발될 수 있다. 반대로 실외 열교환기(32)가 응축기로 작용하는 경우, 실외 팽창기구(33)는 최대 개도로 제어될 수 있고,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응축된 냉매는 실외 팽창기구(33)를 통과하며 팽창되지 않을 수 있다.
실외 팬(32A)은 실외 열교환기(32)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실외 팬(32A)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실외 열교환기(32)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실내유닛(21)(22)(23)(24)은 제1계통(20A)에 포함되는 제1계통 실내유닛(21)(22)과 제2계통(20B)에 포함되는 제2계통 실내유닛(23)(2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은 제1사방변(41)과 연통될 수 있고, 제2계통 실내유닛(22)(23)은 제2사방변(42)과 연통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유닛(21)(22)은 제1사방변(41)에 병렬로 연결되어 토출 유로(71) 또는 흡입 유로(72)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유닛(23)(24)은 제2사방변(42)에 병렬로 연결되어 토출 유로(71) 또는 흡입 유로(72)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2 사방변(41)(42)은 토출 유로(71) 및 흡입 유로(72)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토출 유로(71)의 냉매는 제1사방변(41)과 제2사방변(42)으로 나뉘어 유입되거나, 제1사방변(41)과 제2사방변(42)을 통과한 냉매가 합쳐져 흡입 유로(72)로 유동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사방변(41)에는 제1토출측 연결유로(83), 제1흡입측 연결유로(85) 및 제1가스유로(87)가 연결되고, 제2사방변(42)에는 제2토출측 연결유로(84), 제2흡입측 연결유로(86) 및 제2가스유로(88)가 연결될 수 있다.
제1토출측 연결유로(83) 및 제2토출측 연결유로(84)는 토출측 공통 유로(81)에 의해 토출 유로(7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흡입측 연결유로(85) 및 제2흡입측 연결유로(86)는 흡입측 공통 유로(82)에 의해 흡입 유로(7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가스유로(87)는 복수개의 제1가스 분지유로(91)(92)에 의해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유닛(21)(22)과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제2가스유로(88)는 복수개의 제2가스 분지유로(93)(94)에 의해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유닛(23)(24)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사방변(41)은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을 토출 유로(71) 또는 흡입 유로(72)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사방변(41)은 제1가스유로(87)을 제1토출측 연결유로(83) 또는 제1흡입측 연결유로(85)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즉, 제1사방변(41)은 제1토출측 연결유로(83) 및 제1흡입측 연결유로(85) 중 어느 하나를 제1가스유로(87)과 연통시키고, 다른 하나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사방변(42)은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을 토출 유로(71) 또는 흡입 유로(72)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사방변(42)은 제2가스유로(88)을 제2토출측 연결유로(84) 또는 제2흡입측 연결유로(86)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즉, 제2사방변(42)은 제2토출측 연결유로(84) 및 제2흡입측 연결유로(86) 중 어느 하나를 제2가스유로(88)과 연통시키고 다른 하나를 폐쇄시킬 수 있다.
각 실내유닛(21)(22)(23)(24)은 실내 열교환기(25)(26)(27)(28) 및 실내 팽창기구(34)(35)(36)(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계통 실내유닛(21)(22)에 포함된 실내 열교환기(25)(26)는 제1계통 실내 열교환기로 명명될 수 있고, 제2계통 실내유닛(23)(24)에 포함된 실내 열교환기(27)(28)는 제2계통 실내 열교환기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제1계통 실내유닛(21)(22)에 포함된 실내 팽창기구(34)(35)는 제1계통 실내 팽창기구로 명명될 수 있고, 제2계통 실내유닛(23)(24)에 포함된 실내 팽창기구(36)(37)는 제2계통 실내 팽창기구로 명명될 수 있다.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의 실내 열교환기(25)(26)는 일측이 제1가스 분지유로(91)(92)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액체 분지유로(95)(96)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계통 실내유닛(23)(34)의 실내 열교환기(27)(28)는 일측이 제2가스 분지유로(93)(94)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액체 분지유로(97)(98)에 연결될 수 있다.
각 실내유닛(21)(22)(23)(24)은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계통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실내유닛은 서로 동일한 모드로 운전되거나 서로 다른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반면, 동일한 계통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실내유닛은 서로 동일한 모드로 운전될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모드로는 운전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은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은 냉방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제1계통 실내유닛(21)이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제1계통 실내유닛(22)은 냉방 모드로 운전되지 못할 수 있다.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이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제1사방변(41)은 토출유로(71)와 연통될 수 있고,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의 실내 열교환기(25)(26)는 응축기로 작용하여 냉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25)(26)에서 응축될 수 있다.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이 냉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제1사방변(41)은 흡입유로(72)와 연통될 수 있고,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의 실내 열교환기(25)(26)는 증발기로 작용하여 냉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25)(26)에서 증발될 수 있다.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이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제2사방변(42)은 토출유로(71)와 연통될 수 있고,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의 실내 열교환기(27)(28)는 응축기로 작용하여 냉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27)(28)에서 응축될 수 있다.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이 냉방 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제2사방변(42)은 흡입유로(72)와 연통될 수 있고,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의 실내 열교환기(27)(28)는 증발기로 작용하여 냉매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27)(28)에서 증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실내 팽창기구(34)(35)(36)(37)는 복수개의 액체 분지유로(95)(96)(97)(98)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각 실내 팽창기구(34)(35)(36)(37)는 개도가 조절될 수 있는 전자 팽창밸브(EEV: Electronic Expansion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의 실내 열교환기(25)(26)가 증발기로 작용하는 경우,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의 실내 팽창기구(34)(35)는 기설정된 개도로 제어될 수 있고, 냉매는 상기 실내 팽창기구(34)(35)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25)(26)에서 증발될 수 있다. 반대로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의 실내 열교환기(25)(26)가 응축기로 작용하는 경우,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의 실내 팽창기구(34)(35)는 최대 개도로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25)(26)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실내 팽창기구(34)(35)를 통과하며 팽창되지 않을 수 있다.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의 실내 열교환기(27)(28)가 증발기로 작용하는 경우,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의 실내 팽창기구(36)(37)는 기설정된 개도로 제어될 수 있고, 냉매는 상기 실내 팽창기구(36)(37)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 열교환기(27)(28)에서 증발될 수 있다. 반대로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의 실내 열교환기(27)(28)가 응축기로 작용하는 경우,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의 실내 팽창기구(36)(37)는 최대 개도로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27)(28)에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실내 팽창기구(36)(37)를 통과하며 팽창되지 않을 수 있다.
각 실내유닛(21)(22)(23)(24)에는 실내 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 팬은 실내 열교환기(25)(26)(27)(28)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 팬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실내 열교환기(25)(26)(27)(28)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제1흡입측 연결유로(85)에 구비된 제1온도센서(51)와, 제2흡입측 연결유로(86)에 구비된 제2온도센서(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온도센서(51)는 제1사방변(41)을 통과하여 흡입 유로(72)로 유동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제2온도센서(52)는 제2사방변(42)을 통과하여 흡입 유로(72)로 유동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복수개의 액체 분지유로(95)(96)(97)(98)에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액체 온도센서(61A)(62A)(63A)(64A)와, 복수개의 가스 분지유로(91)(92)(93)(94)에 각각 구비된 복수개의 가스 온도센서(61B)(62B)(63B)(6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액체 온도센서(61A)(62A)(63A)(64A)와 복수개의 가스 온도센서(61B)(62B)(63B)(64B)는 각 실내 열교환기(25)(26)(27)(28)의 입출구 온도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복수개의 액체 온도센서(61A)(62A)(63A)(64A) 및 복수개의 가스 온도센서(61B)(62B)(63B)(64B)에 더하거나 대신하여 복수개의 실내 열교환기(25)(26)(27)(28) 각각에 실내 열교환기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냉방 전실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냉방 전실 운전 시,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유닛(21)(22)과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은 모두 냉방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냉방 전실 운전 시, 공통 사방변(40)은 실외 열교환기(32)를 토출 유로(71)와 연통시키고, 제1사방변(41)은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유닛(21)(22)을 흡입 유로(72)와 연통시키고, 제2사방변(42)은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유닛(23)(24)을 흡입 유로(72)와 연통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통 사방변(40)은 토출측 연결유로(73)를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와 연통시키고 흡입측 연결유로(76)를 폐쇄할 수 있다. 제1사방변(41)은 제1흡입측 연결유로(85)를 제1가스유로(87)와 연통시키고 제1토출측 연결유로(83)를 폐쇄할 수 있다. 제2사방변(42)은 제2흡입측 연결유로(86)를 제2가스유로(88)와 연통시키고 제2토출측 연결유로(84)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냉방 전실 운전 시 실외 팽창기구(33)는 최대 개도로 제어되고 복수개의 실내 팽창기구(34)(35)(36)(37)는 기설정된 팽창 개도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냉방 전실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을 따라 설명한다.
압축기(31)에서 압축되어 토출유로(71)로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는 제1사방변(40) 및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를 통과하여 실외 열교환기(32)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32)를 통과하며 실외 팬(32A)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액체 상태로 응축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응축되어 연결 유로(75)로 유동된 냉매는 복수개의 액체 분지유로(95)(96)(97)(98)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각 액체 분지유로(95)(96)(97)(98)로 유동된 냉매는 각 실내 팽창기구(34)(35)(36)(37)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실내 팽창기구(34)(35)(36)(37)에서 팽창된 냉매는 액체와 가스 상태가 공존하는 2상(two-phase) 상태로 상변화될 수 있다.
각 실내 팽창기구(34)(35)(36)(37)에서 팽창된 냉매는 각 실내 열교환기(25)(26)(27)(28)를 통과하며 실내 팬(미도시)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가스 상태로 증발될 수 있다.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열교환기(25)(26)에서 증발되어 가스 분지유로(91)(92)로 유동된 냉매는 합쳐져 제1가스 유로(87)로 유동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열교환기(27)(28)에서 증발되어 가스 분지유로(93)(94)로 유동된 냉매는 합쳐져 제2가스 유로(88)로 유동될 수 있다.
제1가스유로(87)로 유동된 냉매는 제1사방변(41)을 통과하여 제1흡입측 연결유로(85)로 유동될 수 있고, 제2가스유로(88)로 유동된 냉매는 제2사방변(42)을 통과하여 제2흡입측 연결유로(86)로 유동될 수 있다. 제1흡입측 연결유로(85)로 유동된 냉매와 제2흡입측 연결유로(86)로 유동된 냉매는 합쳐져 흡입측 공통유로(82)로 유동될 수 잇고, 흡입 유로(72)를 통과하여 압축기(31)로 흡입될 수 있다. 이후, 압축기(31)는 다시 냉매를 토출유로(71)로 토출하고,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며 냉각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도 3은 난방 전실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난방 전실 운전 시,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유닛(21)(22)과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은 모두 난방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난방 전실 운전 시, 공통 사방변(40)은 실외 열교환기(32)를 흡입 유로(72)와 연통시키고, 제1사방변(41)은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유닛(21)(22)을 토출 유로(71)와 연통시키고, 제2사방변(42)은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유닛(23)(24)을 토출 유로(71)와 연통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통 사방변(40)은 흡입측 연결유로(76)를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와 연통시키고 토출측 연결유로(73)를 폐쇄할 수 있다. 제1사방변(41)은 제1토출측 연결유로(83)를 제1가스유로(87)와 연통시키고 제1흡입측 연결유로(85)를 폐쇄할 수 있다. 제2사방변(42)은 제2토출측 연결유로(84)를 제2가스유로(88)와 연통시키고 제2흡입측 연결유로(86)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난방 전실 운전 시 실외 팽창기구(33)는 기설정된 팽창 개도로 제어되고 복수개의 실내 팽창기구(34)(35)(36)(37)는 최대 개도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난방 전실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을 따라 설명한다.
압축기(31)에서 압축되어 토출유로(71)로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는 토출측 공통 유로(81)를 통과하고 제1토출측 연결유로(83)와 제2토출측 연결유로(84)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제1토출측 연결유로(83)로 유동된 냉매는 제1사방변(41) 및 제1가스 유로(87)를 통과하여 복수개의 가스 분지유로(91)(92)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계통 실외 열교환기(25)(26)로 유동될 수 있다.
제2토출측 연결유로(84)로 유동된 냉매는 제2사방변(42) 및 제2가스 유로(88)를 통과하여 복수개의 가스 분지유로(93)(94)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계통 실외 열교환기(27)(28)로 유동될 수 있다.
각 실내 열교환기(25)(26)(27)(28)로 유동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5)(26)(27)(28)를 통과하며 실내 팬(미도시)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액체 상태로 응축될 수 있다.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난방시킬 수 있다.
각 실내 열교환기(25)(26)(27)(28)에서 응축되어 각 액체 분지유로(95)(96)(97)(98)로 유동된 냉매는 합쳐져 액체 유로(75)로 유동될 수 있다. 액체 유로(75)로 유동된 냉매는 실외 팽창기구(33)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실외 팽창기구(33)에서 팽창된 냉매는 액체와 가스 상태가 공존하는 2상(two-phase) 상태로 상변화될 수 있다.
실외 팽창기구(33)에서 팽창된 냉매는 각 실외 열교환기(32)를 통과하며 실외 팬(32A)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가스 상태로 증발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증발되어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로 유동된 냉매는 공통 사방변(40) 및 흡입측 연결유로(76)를 통과하여 흡입 유로(72)로 유동될 수 있고 압축기(31)로 흡입될 수 있다. 이후, 압축기(31)는 다시 냉매를 토출유로(71)로 토출하고,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며 냉각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도 4는 제1계통 실내유닛은 난방 운전되고 제2계통 실내유닛은 냉방 운전되는 냉난방 동시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냉난방 동시 운전 시,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은 난방 운전되고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은 냉방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유닛(21)(22)에서 난방이 수행되고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유닛(23)(24)에서 냉방이 수행되는 냉난방 동시운전 시, 공통 사방변(40)은 실외 열교환기(32)를 흡입 유로(72)와 연통시키고, 제1사방변(41)은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유닛(21)(22)을 토출 유로(71)와 연통시키고, 제2사방변(42)은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유닛(23)(24)을 흡입 유로(72)와 연통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통 사방변(40)은 흡입측 연결유로(76)를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와 연통시키고 토출측 연결유로(73)를 폐쇄할 수 있다. 제1사방변(41)은 제1토출측 연결유로(83)를 제1가스유로(87)와 연통시키고 제1흡입측 연결유로(85)를 폐쇄할 수 있다. 제2사방변(42)은 제2흡입측 연결유로(86)를 제2가스유로(88)와 연통시키고 제2토출측 연결유로(84)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실외 팽창기구(33) 및 제2계통 실외 팽창기구(36)(37)는 기설정된 팽창 개도로 제어되고, 제1계통 실외 팽창기구(34)(35)는 최대 개도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유닛(21)(22)에서 난방이 수행되고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유닛(23)(24)에서 냉방이 수행되는 냉난방 동시운전 시 냉매의 흐름을 따라 설명한다.
압축기(31)에서 압축되어 토출유로(71)로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는 토출측 공통 유로(81), 제1토출측 연결유로(83) 및 제1사방변(4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가스 유로(87)로 유동될 수 있다. 제1가스 유로(87)로 유동된 냉매는 복수개의 가스 분지유로(91)(92)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계통 실외 열교환기(25)(26)로 각각 유동될 수 있다.
각 제1계통 실내 열교환기(25)(26)로 유동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5)(26)를 통과하며 실내 팬(미도시)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액체 상태로 응축될 수 있다.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실내로 토출되어 제1계통 실내 유닛(21)(22)이 배치된 실내를 난방시킬 수 있다.
제1계통 실내 열교환기(25)(26)에서 응축되어 각 액체 분지유로(95)(96)로 유동된 냉매는 합쳐져 액체 유로(75)로 유동될 수 있다. 액체 유로(75)로 유동된 냉매 중 일부는 액체 유로(75)를 따라 실외 유닛(10) 측으로 유동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제2계통 실내 유닛(23)(24)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계통 실내 유닛(23)(24) 측으로 유동된 냉매는,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열교환기(27)(28)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액체 분지유로(97)(98)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고, 제2계통 실내 팽창기구(36)(37)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제2계통 실내 팽창기구(36)(37)에서 팽창된 냉매는 액체와 가스 상태가 공존하는 2상(two-phase) 상태로 상변화될 수 있다. 제2계통 실내 팽창기구(36)(37)에서 팽창된 냉매는 제2계통 실내 열교환기(27)(28)를 통과하며 실내 팬(미도시)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가스 상태로 증발될 수 있다.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실내로 토출되어 제2계통 실내 유닛(23)(24)이 배치된 실내를 냉방시킬 수 있다.
각 제2계통 실내 열교환기(27)(28)에서 증발되어 가스 분지유로(93)(94)로 유동된 냉매는 합쳐져 제2가스 유로(88)로 유동될 수 있고, 제2사방변(42), 제2흡입측 연결유로(86), 흡입측 공통 유로(82)를 차례로 통과하여 흡입 유로(72)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액체 유로(75)에서 실외 유닛(10) 측으로 유동된 냉매는, 실외 팽창기구(33)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실외 팽창기구(33)에서 팽창된 냉매는 액체와 가스 상태가 공존하는 2상(two-phase) 상태로 상변화될 수 있다. 실외 팽창기구(33)에서 팽창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32)를 통과하며 실외 팬(32A)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가스 상태로 증발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증발되어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로 유동된 냉매는, 공통 사방변(40) 및 흡입측 연결유로(76)를 차례로 통과하여 흡입 유로(72)로 유동될 수 있다.
흡입측 공통 유로(82)를 통해 흡입 유로(72)로 유동된 냉매와, 흡입측 연결 유로(76)를 통해 흡입 유로(72)로 유동된 냉매는 합쳐져 압축기(31)로 흡입될 수 있다. 이후, 압축기(31)는 다시 냉매를 토출유로(71)로 토출하고,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며 냉각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도 5는 제1계통 실내유닛은 냉방 운전되고 제2계통 실내유닛은 난방 운전되는 냉난방 동시 운전 시 냉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냉난방 동시 운전 시,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은 냉방 운전되고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은 난방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유닛(21)(22)에서 냉방이 수행되고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유닛(23)(24)에서 난방이 수행되는 냉난방 동시운전 시, 공통 사방변(40)은 실외 열교환기(32)를 흡입 유로(72)와 연통시키고, 제1사방변(41)은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유닛(21)(22)을 흡입 유로(72)와 연통시키고, 제2사방변(42)은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유닛(23)(24)을 토출 유로(71)와 연통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통 사방변(40)은 흡입측 연결유로(76)를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와 연통시키고 토출측 연결유로(73)를 폐쇄할 수 있다. 제1사방변(41)은 제1흡입측 연결유로(85)를 제1가스유로(87)와 연통시키고 제1토출측 연결유로(83)를 폐쇄할 수 있다. 제2사방변(42)은 제2토출측 연결유로(84)를 제2가스유로(88)와 연통시키고 제2흡입측 연결유로(86)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실외 팽창기구(33) 및 제1계통 실외 팽창기구(34)(35)는 기설정된 팽창 개도로 제어되고, 제2계통 실외 팽창기구(36)(37)는 최대 개도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유닛(21)(22)에서 냉방이 수행되고 복수개의 제2계통 실내 유닛(23)(24)에서 난방이 수행되는 냉난방 동시운전 시 냉매의 흐름을 따라 설명한다.
압축기(31)에서 압축되어 토출유로(71)로 토출된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는 토출측 공통 유로(81), 제2토출측 연결유로(84) 및 제2사방변(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가스 유로(88)로 유동될 수 있다. 제2가스 유로(88)로 유동된 냉매는 복수개의 가스 분지유로(93)(94)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계통 실외 열교환기(27)(28)로 각각 유동될 수 있다.
각 제2계통 실내 열교환기(27)(28)로 유동된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7)(28)를 통과하며 실내 팬(미도시)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액체 상태로 응축될 수 있다.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실내로 토출되어 제2계통 실내 유닛(23)(24)이 배치된 실내를 난방시킬 수 있다.
제2계통 실내 열교환기(27)(28)에서 응축되어 각 액체 분지유로(97)(98)로 유동된 냉매는 합쳐져 액체 유로(75)로 유동될 수 있다. 액체 유로(75)로 유동된 냉매 중 일부는 액체 유로(75)를 따라 실외 유닛(10) 측으로 유동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제1계통 실내 유닛(21)(22)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계통 실내 유닛(21)(22) 측으로 유동된 냉매는, 복수개의 제1계통 실내 열교환기(25)(26)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액체 분지유로(95)(96)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고, 제1계통 실내 팽창기구(34)(35)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제1계통 실내 팽창기구(34)(35)에서 팽창된 냉매는 액체와 가스 상태가 공존하는 2상(two-phase) 상태로 상변화될 수 있다. 제1계통 실내 팽창기구(34)(35)에서 팽창된 냉매는 제1계통 실내 열교환기(25)(26)를 통과하며 실내 팬(미도시)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가스 상태로 증발될 수 있다.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공기는 실내로 토출되어 제1계통 실내 유닛(21)(22)이 배치된 실내를 냉방시킬 수 있다.
각 제1계통 실내 열교환기(25)(26)에서 증발되어 가스 분지유로(91)(92)로 유동된 냉매는 합쳐져 제1가스 유로(87)로 유동될 수 있고, 제1사방변(41), 제1흡입측 연결유로(85), 흡입측 공통 유로(82)를 차례로 통과하여 흡입 유로(72)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액체 유로(75)에서 실외 유닛(10) 측으로 유동된 냉매는, 실외 팽창기구(33)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실외 팽창기구(33)에서 팽창된 냉매는 액체와 가스 상태가 공존하는 2상(two-phase) 상태로 상변화될 수 있다. 실외 팽창기구(33)에서 팽창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32)를 통과하며 실외 팬(32A)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하여 가스 상태로 증발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증발되어 실외 열교환기 연결유로(74)로 유동된 냉매는, 공통 사방변(40) 및 흡입측 연결유로(76)를 차례로 통과하여 흡입 유로(72)로 유동될 수 있다.
흡입측 공통 유로(82)를 통해 흡입 유로(72)로 유동된 냉매와, 흡입측 연결 유로(76)를 통해 흡입 유로(72)로 유동된 냉매는 합쳐져 압축기(31)로 흡입될 수 있다. 이후, 압축기(31)는 다시 냉매를 토출유로(71)로 토출하고,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며 냉각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컨트롤러(100), 입력부(101), 출력부(102) 및 저장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실외 유닛(10) 및 복수개의 실내 유닛(21)(22)(23)(24)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공기조화 시스템이 설치된 건축물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컨트롤러(100)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운전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앞서 설명한 제1온도센서(51), 제2온도센서(52), 가스 온도센서(61B)(62B)(63B)(64B) 및 액체 온도센서(61A)(62A)(63A)(64A) 각각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공통 사방변(40), 제1사방변(41) 및 제2사방변(42)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앞서 설명한 실외 팽창기구(33), 실내 팽창기구(34)(35)(36)(37), 실외팬(32A) 및 실내팬(미도시)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입력부(101)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이며, 복수개의 실내 유닛(21)(22)(23)(24) 각각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01)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위치, 리모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입력부(101)에 입력된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출력부(102)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운전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이며, 복수개의 실내 유닛(21)(22)(23)(24) 각각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02)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출력부(102)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03)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운전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이며, 컨트롤러(100)는 저장부(103)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부(10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배관탐색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은 배관 탐색을 실시할 수 있다. 배관 탐색이란, 공기조화 시스템의 설치 및 설정 시에 각 실내 유닛(21)(22)(23)(24)이 제1계통(20A) 및 제2계통(20B) 중 어느 쪽에 속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배관 탐색 시 각 실내 유닛(21)(22)(23)(24)은 제1사방변(41)과 제2사방변(42) 중 어느 하나에 매칭될 수 있다.
작업자의 배관 탐색 개시 명령이 입력부(101)에 입력되면 컨트롤러(100)는 배관 탐색을 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탐색방법은, 복수개의 실내 유닛(21)(22)(23)(24) 중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21)을 온 시키는 최초 작동단계(S11); 제1온도센서(51)의 감지 온도에 따라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21)을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키는 최초 매칭단계(S12)(S13)(S14); 복수개의 실내 유닛(21)(22)(23)(24) 중 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2)을 온 시키는 작동단계(S21)(S31); 및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21)이 제1사방변(41)과 매칭된 경우에는 제2온도센서(52)의 감지 온도에 따라 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2)을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키고(S22)(S23)(S24),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21)이 제2사방변(42)과 매칭된 경우에는 제1온도센서(51)의 감지 온도에 따라 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2)을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키는(S32)(S33)(S34) 매칭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최초 매칭 단계(S12)(S13)(S14)는,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21)이 온 되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제1온도센서(51)에서 온도를 감지하는 과정; 및 제1온도센서(51)의 감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면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21)을 제1사방변(41)과 매칭시키고(S12)(S13), 제1온도센서(51)의 감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면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21)을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키는(S12)(S14)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최초 매칭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21)이 제1사방변(41)과 매칭된 경우(S12)(S13), 매칭 단계는, 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2)이 온 되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제2온도센서(52)에서 온도를 감지하는 과정; 및 제2온도센서(52)의 감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면 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2)을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키고(S22)(S23), 제2온도센서(52)의 감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면 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2)을 제1사방변(41)과 매칭시키는(S22)(S24)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최초 매칭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21)이 제2사방변(42)과 매칭된 경우(S12)(S14), 매칭 단계는, 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2)이 온 되고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제1온도센서(51)에서 온도를 감지하는 과정; 및 제1온도센서(52)의 감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면 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2)을 제1사방변(41)과 매칭시키고(S32)(S33), 제1온도센서(51)의 감지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면 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2)을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키는(S32)(S34)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탐색방법은, 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2)을 오프시키는 오프단계(S25)(S35); 복수개의 실내 유닛 중 또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3)을 온 시키는 추가 작동단계(S27)(S21)(S37)(S31); 및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21)이 제1사방변(41)과 매칭된 경우에는 제2온도센서(52)의 감지 온도에 따라 또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3)을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키고(S27)(S22)(S23)(S24),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21)이 제2사방변(42)과 매칭된 경우에는 제1온도센서(51)의 감지 온도에 따라 또다른 하나의 실내 유닛(23)을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키는 (S37)(S32)(S33)(S34) 추가 매칭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탐색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탐색방법은 전실 냉방모드 운전되는 경우(도 2 참조)와 동일하게 공통 사방변(40), 제1사방변(41) 및 제2사방변(42)이 제어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공통 사방변(40), 제1사방변(41) 및 제2사방변(42)은 전부 오프(off)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복수개(N개, 예를 들어 N=4)의 실내 유닛(21)(22)(23)(24) 중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을 온 시킬 수 있다(S11). 상기 어느 하나의 실내 유닛을 제1실내유닛이라 명명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응축되고 상기 제1실내유닛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내 유닛이 온 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 제1온도센서(51)에서 감지된 온도가 컨트롤러(100)로 전달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제1온도센서(51)에서 전달된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1실내 유닛을 제1사방변(41)과 매칭시키고(S12)(S13), 제1온도센서에서 전달된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면 상기 제1실내 유닛을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킬 수 있다(S12)(S14).
예를 들어, 상기 제1실내 유닛이 제1계통(20A)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실내 유닛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1사방변(41)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온도센서(51)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차가운 냉매에 의해 하강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1실내 유닛은 제1사방변(41)과 매칭될 수 있다.
반면, 제1실내 유닛이 제2계통(20B)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1실내 유닛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2사방변(42)을 통과하고 제1사방변(41)은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온도센서(51)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1실내 유닛은 제2사방변(42)와 매칭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상기 제1실내유닛이 제1사방변(41)과 제2사방변(42) 중 어느쪽에 매칭되었는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03)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내유닛이 제1사방변(41)과 매칭된 경우 제1온도 센서(51)의 감지 온도는 이미 내려간 상태이므로, 나머지 실내 유닛의 탐색은 제1온도센서(51)의 감지 온도에 따라 판단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실내유닛이 제1사방변(41)과 매칭된 경우에는 나머지 실내 유닛의 탐색은 제2온도센서(52)의 감지 온도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S20).
반면, 상기 제1실내유닛이 제2사방변(42)과 매칭된 경우 제2온도 센서(52)의 감지 온도는 이미 내려간 상태이므로, 나머지 실내 유닛의 탐색은 제2온도센서(52)의 감지 온도에 따라 판단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실내유닛이 제2사방변(42)과 매칭된 경우에는 나머지 실내 유닛의 탐색은 제1온도센서(51)의 감지 온도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S30).
컨트롤러(100)는 복수개(N개, 예를 들어 N=4)의 실내 유닛(21)(22)(23)(24) 중 상기 제1실내유닛을 제외한 나머지 실내 유닛을 순차적으로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킬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실내 유닛의 매칭 순서에 따라 각 실내유닛을 제K실내유닛으로 명명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00)는 제2실내유닛, 제3실내유닛????제N실내유닛을 순차적으로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실내유닛이 제1사방변(41)과 매칭된 경우(S20), 컨트롤러(100)는 제K실내 유닛을 온 시킬 수 있다(S21). 상기 제1실내 유닛은 온 상태가 유지되므로,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응축되고 상기 제1실내유닛 및 제K실내유닛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K실내 유닛이 온 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 제2온도센서(52)에서 감지된 온도가 컨트롤러(100)로 전달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제2온도센서(52)에서 전달된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K실내 유닛을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키고(S22)(S23), 제2온도센서(52)에서 전달된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면 상기 제K실내 유닛을 제1사방변(41)과 매칭시킬 수 있다(S22)(S24).
예를 들어, 상기 제K실내 유닛이 제1계통(20A)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K실내 유닛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1사방변(41)을 통과하고 제2사방변(42)은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온도센서(52)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K실내 유닛은 제1사방변(41)과 매칭될 수 있다.
반면, 제K실내 유닛이 제2계통(20B)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K실내 유닛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2사방변(42)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온도센서(52)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차가운 냉매에 의해 하강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K실내 유닛은 제2사방변(42)와 매칭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상기 제K실내유닛이 제1사방변(41)과 제2사방변(42) 중 어느쪽에 매칭되었는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03)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100)는 제K실내 유닛을 오프 시키고(S25) K가 N과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S26). K가 N보다 작으면, 아직 모든 실내 유닛이 매칭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K가 1증가하여(S27) 다음 실내 유닛을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킬 수 있다. K가 N과 동일하면, 모든 실내 유닛의 매칭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므로, 배관 탐색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실내유닛이 제2사방변(42)과 매칭된 경우(S30), 컨트롤러(100)는 제K실내 유닛을 온 시킬 수 있다(S31). 상기 제1실내 유닛은 온 상태가 유지되므로,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32)에서 응축되고 상기 제1실내유닛 및 제K실내유닛에서 증발될 수 있다.
상기 제K실내 유닛이 온 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 제1온도센서(51)에서 감지된 온도가 컨트롤러(100)로 전달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제1온도센서(51)에서 전달된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K실내 유닛을 제1사방변(41)과 매칭시키고(S32)(S33), 제1온도센서(51)에서 전달된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면 상기 제K실내 유닛을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킬 수 있다(S32)(S34).
예를 들어, 상기 제K실내 유닛이 제1계통(20A)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K실내 유닛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1사방변(41)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온도센서(51)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차가운 냉매에 의해 하강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K실내 유닛은 제1사방변(41)과 매칭될 수 있다.
반면, 제K실내 유닛이 제2계통(20B)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K실내 유닛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2사방변(42)을 통과하고 제1사방변(41)을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온도센서(51)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K실내 유닛은 제2사방변(42)와 매칭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상기 제K실내유닛이 제1사방변(41)과 제2사방변(42) 중 어느쪽에 매칭되었는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03)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100)는 제K실내 유닛을 오프 시키고(S35) K가 N과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S36). K가 N보다 작으면, 아직 모든 실내 유닛이 매칭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K가 1증가하여(S37) 다음 실내 유닛을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킬 수 있다. K가 N과 동일하면, 모든 실내 유닛의 매칭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므로, 배관 탐색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배관탐색방법의 순서도이다.
작업자의 배관 탐색 개시 명령이 입력부(101)에 입력되면 컨트롤러(100)는 배관 탐색을 개시할 수 있다.
공기조화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탐색 방법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탐색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작업자의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배관탐색 방법은, 제1사방변(41)에 연결된 실내 유닛(21)(22)의 실내 열교환기(25)(26)에서는 냉매가 응축되도록 제1사방변(41)이 제어되고, 제2사방변(42)에 연결된 실내 유닛(23)(24)의 실내 열교환기(27)(28)에서는 냉매가 증발되도록 제2사방변(42)이 제어되는 사방변 제어단계; 복수개의 실내 유닛(21)(22)(23)(24)을 온 시키는 작동 단계; 및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가 상승한 실내 유닛은 제1사방변(41) 매칭시키고, 실내 열교환기의 온도가 하강한 실내 유닛은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키는 매칭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탐색 방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탐색방법은 제1계통 실내유닛(21)(22)은 난방 운전되고 제2계통 실내유닛(23)(24)은 냉방 운전되는 냉난방 동시 운전 (도 4 참조)와 동일하게 공통 사방변(40), 제1사방변(41) 및 제2사방변(42)이 제어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00)는 공통 사방변(40) 및 제1사방변(41)을 온(on) 시키고, 제2사방변(42)은 오프(off)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S41).
이후, 컨트롤러(100)는 모든 실내 유닛(21)(22)(23)(24)을 온 시킬 수 있다(S42). 이 경우, 냉각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는 제1계통 실내 열교환기(25)(26)에서 응축되고 실외 열교환기(32) 및 제2계통 실내 열교환기(27)(28)에서 증발될 수 있다.
모든 실내 유닛(21)(22)(23)(24)이 온 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 각 실내유닛(21)(22)(23)(24)의 온도가 컨트롤러(100)로 전달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각 실내 유닛(21)(22)(23)(24)의 실내 열교환기(25)(26)(27)(28)의 온도가 컨트롤러(100)로 전달될 수 있다. 각 실내 열교환기(25)(26)(27)(28)의 온도는, 각 실내 열교환기(25)(26)(27)(28)의 입출구에 구비된 액체 온도센서(61A)(62A)(63A)(64A)와 가스 온도센서(61B)(62B)(63B)(64B)에서 각각 감지된 온도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의 입출구 온도에 따라 열교환기의 온도를 산출하는 것은 주지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100)는 복수개(N개, 예를 들어 N=4)의 실내 유닛(21)(22)(23)(24)을 순차적으로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킬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실내 유닛의 매칭 순서에 따라 각 실내유닛을 제K실내유닛으로 명명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00)는 제1실내유닛, 제2실내유닛, 제3실내유닛????제N실내유닛을 순차적으로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킬 수 있다.
제K실내유닛의 온도가 상승, 즉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아지면 컨트롤러(100)는 제K실내유닛을 제1사방변(41)과 매칭시킬 수 있다(S43)(S44). 반대로 제K실내유닛의 온도가 하강, 즉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아지면 컨트롤러(100)는 제K실내유닛을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킬 수 있다(S43)(S45).
예를 들어, 상기 제K실내 유닛이 제1계통(20A)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K실내 유닛의 실내 열교환기는 고온의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며, 이로써 상기 제K실내 유닛은 제1사방변(41)과 매칭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K실내 유닛이 제2계통(20B)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K실내 유닛의 실내 열교환기는 저온의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온도가 하강하며, 이로써 상기 제K실내 유닛은 제2사방변(42)과 매칭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상기 제K실내유닛이 제1사방변(41)과 제2사방변(42) 중 어느쪽에 매칭되었는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103)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100)는 K가 N과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S46). K가 N보다 작으면, 아직 모든 실내 유닛이 매칭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므로, K가 1증가하여(S47) 다음 실내 유닛을 제1사방변(41) 또는 제2사방변(42)과 매칭시킬 수 있다. K가 N과 동일하면, 모든 실내 유닛의 매칭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하므로, 배관 탐색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내유닛이 입력된 냉난방 명령에 따라 제어 가능한지를 판별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계통(20A)(20B)에 속하는 실내 유닛(21)(22)(23)(24)은 서로 동일한 모드로만 운전 가능하며, 서로 다른 모드로는 운전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00)는 배관 탐색이 완료된 후 저장부(103)에 저장된 각 실내유닛(21)(22)(23)(24)의 매칭 정보를 사용하여 각 실내 유닛(21)(22)(23)(24)의 냉난방 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개의 실내 유닛(21)(22)(23)(24) 중 일 실내유닛의 냉/난방 모드 개시명령을 입력부(101)에 입력한 경우, 컨트롤러(100)는 상기 일 실내유닛이 입력된 냉난방 명령에 따라 제어 가능한지를 판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100)는 냉/난방 모드 명령이 입력된 상기 일 실내유닛이 해당되는 계통(20A)(20B)에 운전중인 다른 실내유닛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1).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제1계통 실내유닛(21)에 냉/난방 명령이 입력된 경우 컨트롤러(100)는 다른 제1계통 실내유닛(22)이 운전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일 실내유닛이 해당되는 계통(20A)(20B)에 운전중인 실내 유닛이 없으면, 컨트롤러(100)는 상기 일 실내 유닛을 입력된 명령 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S51)(S53).
반면, 상기 일 실내유닛이 해당되는 계통(20A)(20B)에 운전중인 실내 유닛이 있으면, 컨트롤러(100)는 상기 운전 중인 실내 유닛의 냉/난방 모드와 상기 일 실내 유닛의 명령 모드가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2).
상기 운전 중인 실내 유닛의 냉/난방 모드와 상기 일 실내 유닛의 명령 모드가 일치하면, 컨트롤러(100)는 상기 일 실내 유닛을 입력된 명령 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S52)(S53). 예를 들어, 일 제1계통 실내유닛(21)에 냉방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다른 제1계통 실내유닛(22)이 냉방 운전 중이면 컨트롤러(100)는 상기 일 제1계통 실내유닛을 냉방 모드로 운전 개시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운전 중인 실내 유닛의 냉/난방 모드와 상기 일 실내 유닛의 명령 모드가 상이하면, 컨트롤러(100)는 출력부(102)를 통해 이질운전 상태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제1계통 실내유닛(21)에 냉방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다른 제1계통 실내유닛(22)이 난방 운전 중이면 컨트롤러(100)는 현재 제1계통(20A)은 난방 운전 중이므로 냉방 운전이 불가능하다는 내용의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