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127B1 - Family-based remote medical care system and methods of using it - Google Patents
Family-based remote medical care system and methods of us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70127B1 KR102470127B1 KR1020200083472A KR20200083472A KR102470127B1 KR 102470127 B1 KR102470127 B1 KR 102470127B1 KR 1020200083472 A KR1020200083472 A KR 1020200083472A KR 20200083472 A KR20200083472 A KR 20200083472A KR 102470127 B1 KR102470127 B1 KR 1024701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family
- app
- medical care
- remote med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족 추가/수정/제거 기능, 간병인 추가/수정/제거 기능, 처방전 표시 기능, 질환별 표시 기능, 처방전 등록/수정/삭제 기능, 의약품 정보 획득 기능, 의약품 정보 표시 기능, 복약 기록 기능, 및 분석(그래프)표시 기능을 갖는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viding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based on a whole family care app,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mily add/modify/remove function, a caregiver add/modify/remove function, a prescription display function, a disease display function, a prescription registration/removal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based on a family care app having a function of modifying/deleting medicine information, obtaining medicine information, displaying medicine information, taking medication records, and displaying an analysis (graph).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당 가족의 자료를 진료일순, 질환별, 또는 병원별로 찾아 현재 질병의 원인과 해결에 도움을 주는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ole-family care app-based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whole-family care that helps find the cause and solution of a current disease by finding family data by treatment date, disease, or hospital. It relates to an app-based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종래의 일본등록특허 제6591409호는 환자 케어 시스템으로서, 환자에게 치료를 실시하기 위한 의료 장치와, 환자 및 의료 전문가를 포함한 사용자와의 사이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서버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 시스템은 또한 환자 케어에 관하는 데이터를 처리해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버 시스템은 환자 케어에 관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와, 질병 관리 및 환자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환자 케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인터넷 경유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웹 서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통신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환자 케어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의료 장치의 사용에 관하는 데이터를 포함한 의료 장치 사용 데이터를 받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의료 장치 사용 데이터를 환자 데이터와 관련지어 처리해 상기 환자의 치료에 관련된 한 개의 리포트 또는 복수의 리포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Conventional Japanese Registered Patent No. 6591409 is a patient care system, comprising a medical device for administering treatment to a patient and a server system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a patient and a user including a medical professional. , the server system is also configured to process and store data related to patient care, the server system including a database configured to store data related to patient care and patient care software components for disease management and patien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s. and a communication server including a web server software application for data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wherein the patient care software component includes data relating to the use of the medical device transmitted over the communication network. A care system configured to receive usage data and to process the medical device usage data in relation to patient data to generate a report or reports related to treatment of the patient.
한편 최근 들어 의료기술이 발전하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IoT와 의료기술을 접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medical technology has recently developed and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IoT and medical technology are grafted.
일반적으로,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게 되면, 직접 방문하여 접수하고 진료를 보거나, 전화 또는 인터넷으로 예약을 하고 진료를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In general, when a patient visits a hospital, in most cases, the patient directly visits the hospital to register and see medical treatment, or makes a reservation over the phone or the Internet to see medical treatment.
하지만, 진료예약을 하여도 단순히 시간 약속에 관한 것일 뿐, 의사가 환자의 기록을 미리 살펴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효율적인 환자 관리가 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efficient patient management is not possible because even if a medical appointment is made, it is simply about a time appointment and the doctor does not review the patient's record in advance.
따라서, 진료를 시작하면 환자의 건강 상태, 이전 진료 경험, 증상들에 대한 질문을 하고, 답변에 따라서 처방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오랜시간이 소요되고, 환자로부터 얻은 정보가 불확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a medical treatment starts, questions about the patient's health status, previous medical treatment experience, and symptoms are asked, and a prescription is given according to the answers, which takes a long time and has problems in that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atient may be uncertain.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2020284호는 서버가 의료진 클라이언트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개인건강데이터 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개인건강데이터 열람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열람 승인을 수신하면, 사용자의 열람 승인에 따라, 상기 의료진 클라이언트의 상기 사용자, 사용자의 가족 또는 사용자의 아이의 개인건강데이터 열람을 허가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일정시간 경과 또는 의료진의 차트데이터 저장에 따라 열람 허가를 종료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특정 의료진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용자의 개인건강데이터 열람 요청을 수신할 경우, 해당 의료진 클라이언트의 전문분야를 조회하여 응급분야에 해당하면 사용자가 응급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의료진 클라이언트의 상기 개인건강데이터 열람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아이의 신체에 착용 또는 부착된 센서로부터 아이의 산소포화도 및 맥박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 중에 아이의 이상 증세를 발견할 경우,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고, 해당하는 측정데이터 및 아이의 이상 증세를 아이의 개인건강데이터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경고 메시지를 확인하지 않을 경우, 타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타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외 추가 보호자로 입력된 것이고, 상기 개인건강데이터(Personal Health Record)는 건강정보 또는 의료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내에 저장되는 것이고, 상기 사용자의 가족의 개인건강데이터는, 사용자와 개인건강데이터 공유 승인이 이루어진 가족 구성원의 개인건강데이터이고, 상기 건강정보는 사용자의 신체정보, 가족력, 사회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의료정보는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증상정보, 병원 진료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차트데이터는 의료진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데이터가 열람된 후 의료진의 조작에 따라 의료정보를 추가하여 저장되는 것인, 건강관리 데이터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To solve this problem, Korean Registered Patent No. 2020284 includes the steps of a server receiving a request to read personal health data of a specific user from a medical staff client; transmitting, by the server, a personal health data reading request message to a user application; if the server receives a viewing approval from the user application, allowing the medical staff client to view personal health data of the user, the user's family, or the user's child, according to the user's reading approval; terminating, by the server, permission to read according to elapse of a certain period of time or when chart data is stored by a medical staff; When the server receives a request to view the user's personal health data from a specific medical staff client, it searches the professional field of the medical staff clien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tate if it falls under the emergency field, and determines the personal health data of the corresponding medical team client. Including, the user application receives and monitors measurement data for at least one of the child's oxygen saturation and pulse rate from a sensor worn or attached to the user's child's body, and monitors the child's oxygen saturation during the monitoring. When abnormal symptoms are found, a warning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user application, the corresponding measurement data and abnormal symptoms of the child are stored in the child's personal health data, and the user does not check the warning message for a preset time. If not, a warning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other user's terminal, and the other user is entered as an additional guardian other than the user through the user application, and the personal health record is health information or It includes medical information, which is stored in a user application, and the personal health data of the user's family is the personal health data of family members who have been approved to share personal health data with the user, and the health information is the user's body information,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family history and a social history, and the medical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symptom information about a user's symptoms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hospital treatment, and the chart data is provided by a medical staff client to the user.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health management data, in which personal health data is read and then stored after adding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manipulation by a medical staff.
그러나 현재 의료법상 원격의료가 명문적으로는 제한되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지만 일반인들의 실제적인 접근이 어려운게 현실이다.However, under the current medical law, telemedicine is explicitly limited, and many people try to solve it, but the reality i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approach it.
또 한편 최근 우리 사회는 출산율의 저하와 의학의 발전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 등으로 급격히 고령화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our society is rapidly aging due to a decrease in the birth rate and a decrease in mortality due to medical advances.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만성 질환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치매에 대한 관심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As the population ages, the rate of chronic diseases increases, and interest in dementia is also increasing.
치매는 사람의 정신능력과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의 소실을 말하며, 어떤 사람의 일상생활 장애를 가져올 정도로 충분히 심할 때, 우리는 이것을 치매라고 이야기한다. Dementia refers to the loss of a person's mental capacity and ability to perform social activities, and when it is severe enough to cause a person's daily life impairment, we call it dementia.
즉 치매는 그 자체가 어떤 활동을 이야기하는 진단명이 아니라 단지 특정한 증상들이 나타나서 어떤 기준을 만족시키는 경우를 이야기하는 하나의 증후군이다.In other words, dementia itself is not a diagnosis that refers to a certain activity, but a syndrome that refers to a case in which specific symptoms appear and satisfy certain criteria.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치매 환자에 있어 우울증과 인지 기능 장애에 대해 밀접한 관계를 시사하고 있다.Recent research results suggest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dementia patients.
그러나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우울증과 인지 기능 장애의 관계에 대한 연구와 제품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Howeve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product development are lack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족 추가/수정/제거 기능, 간병인 추가/수정/제거 기능, 처방전 표시 기능, 질환별 표시 기능, 처방전 등록/수정/삭제 기능, 의약품 정보 획득 기능, 의약품 정보 표시 기능, 복약 기록 기능, 및 그래프 표시 기능을 갖는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family addition/modification/removal function, caregiver addition/modification/removal function, prescription display function, disease-specific display function, prescription registration/modification/delete function, drug information acquis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ole family care app-based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having functions, medicine information display function, medication record function, and graph display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치매와 우울증 약 등을 적절히 분배하여 차후 진행 과정을 살펴 볼 수 있어 현재 질병의 원인과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hole family care app-based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at can help solve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current disease by properly distributing dementia and depression medications and the like to look at the subsequent progress. hav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족 구성원의 가족별 정보를 이미지로 입력받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부터 가족별 정보를 입력받아 분석하고 저장하는 앱; 상기 앱을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치;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가족별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검색 정보를 되돌려 주는 약학 정보 관련 서버; 상기 가족별 정보와 약학 정보 관련 서버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저장하는 DB;를 포함하되, 상기 DB를 통해 온가족의 전 생애에 걸친 의료 케어 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필요시 해당 가족의 자료를 진료일순, 질환별, 또는 병원별로 찾아 현재 질병의 원인과 해결에 도움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for receiving family information of family members as an image; An app that analyzes and stores famil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amera; a network device that connects the app to a network and transmits related information; a pharmacy information-related server that transmits the family-specific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network device and returns corresponding search information; A DB for storing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server related to the family information and pharmacy information; including, but through the DB, medical care information throughout the entire life of the family can be stored and stored, and if necessary, the family dat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elps to find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current disease by finding the date of treatment, by disease, or by hospital.
상기 앱은, 상기 가족별 정보 중 급여정보코드, 약이름, 1일투약량, 1회투약량, 1일투여횟수, 총투약일수를 포함하는 처방전을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를 광학문자인식 방법으로 처리하여 저장하는 처방전 등록 모듈;을 더 포함한다.The app processes and stores the image of the camera using the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including the salary information code, drug name, daily dose, dose per dose, number of doses per day, and total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among the family information. It further includes; a prescription registration module that does.
상기 약학 정보 관련 서버의 약물 투여 대비 부작용 지수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분석 모듈;을 더 포함한다.An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and displaying a side effect index against drug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information related server.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원격 의료 서버에 접속할 경우 전문의가 질병 상태를 원격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ccessing the remote medical server through the network device, a specialist remotely determines a disease state.
본 발명은 앱이 카메라로부터 가족별 정보를 입력받아 분석 및 저장시키는 단계;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앱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관련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약학 정보 관련 서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가족별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검색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족별 정보와 약학 정보 관련 서버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는 DB를 통해 온가족의 전 생애에 걸친 의료 케어 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필요시 해당 가족의 자료를 진료일순, 질환별, 또는 병원별로 찾아 현재 질병의 원인과 해결에 도움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app receiving, analyzing and storing family information from the camera; Receiving related information by connecting a network device to a network through the app; A database for storing the family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pharmacy information related server, including the steps of a pharmaceutical information related server transmitting the family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network device and receiving corresponding search informat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ave and store medical care information throughout the entire lifespan of the entire family, and if necessary, it is characterized by helping to find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current disease by finding the data of the family by date of treatment, by disease, or by hospital. .
상기 앱의 처방전 등록 모듈이 상기 가족별 정보 중 급여정보코드, 약이름, 1일투약량, 1회투약량, 1일투여횟수, 총투약일수를 포함하는 처방전을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를 광학문자인식 방법으로 처리 및 저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prescription registration module of the app converts the prescription including the benefit information code, drug name, daily dose, dose per dose, number of doses per day, and total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among the family information into the image of the camera by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Processing and storing; further includes.
분석 모듈이 가족 구성원이 1 단계 내지 10 단계로 나누어 입력한 약물 투여 대비 부작용 지수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analysis module further includes analyzing and displaying an index of side effects compared to drug administration inputted by family members in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원격 의료 서버에 접속할 경우 전문의가 질병 상태를 원격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further includes remotely determining a disease state by a specialist when accessing a remote medical server through the network devic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온가족의 전 생애에 걸친 의료 케어 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필요시 해당 가족의 자료를 진료일순, 질환별, 또는 병원별로 찾아 현재 질병의 원인과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can store and store medical care information throughout the entire life of the entire family, and if necessary, find the data of the family by date of treatment, by disease, or by hospital to help find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current disease. can give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진료가 어려운 지역에서도 가족들 중심으로 최선의 의료 케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best medical care to be performed centering on the family even in areas where remote medical treatment is difficult.
또한 본 발명은 DB를 통해 온가족의 전 생애에 걸친 의료 케어 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필요시 해당 가족의 자료를 찾아 현재 질병의 원인과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and store medical care information over the entire lifespan of the entire family through the DB, and when necessary, find the family's data to help find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current disease.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의료에 응용할 경우 추가 질문 없이 전문의가 직접 접속하여 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elemedicine, a medical specialist can directly connect to a situation without additional questions and quickly and accurately determine the situation.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건강 정보를 이용한 케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방전을 광학문자인식 방법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이 자신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입력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족 구성원 중 하나의 질환을 확인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작용의 단계별 그래프가 표시되는 단계를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작용 지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일순으로 나누면 일정표가 표시되는 단계 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병 이름과 기간과 약품과 약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정 기간 내에 특정 질병의 부작용이 항목별로 표시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일순으로 나뉜 각 질병에 대해 질환별 건수가 표시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 질병의 부작용이 표시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계를 표시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re device using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2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based on the whole family care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step of processing a prescrip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checking or inputting information of a family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step of identifying a disease of one of family memb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ep by step graph of side effec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7 is a diagram showing a step of displaying a side effect index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login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 step in which a schedule is displayed when divided into treatment day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show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disease name, period, drug, an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dru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steps in which side effects of a specific disease are displayed by item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howing steps in which the number of cases for each disease is displayed for each disease divided by treatment d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howing a step of displaying side effects of each dise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showing a step of displaying data statis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s are sometime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10), 앱(20), 약학 정보 관련 서버(30), DB(25)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카메라(10)는 가족 구성원의 가족별 정보를 이미지로 입력받는 장치로서, DSP를 통해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처방전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카메라(10)는 가족 구성원이 소지한 개별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 이용 가능하다.The
또한 상기 카메라(10) 이외에 의학 영상, 생체 신호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장치가 추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앱(20)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가족별 정보를 입력받아 분석하고 저장하는 소프트웨어로서, 이하 설명하는 Rest API(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네트워크 관련 코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족별 정보 중 급여정보코드, 약이름, 1일투약량, 1회투약량, 1일투여횟수, 총투약일수를 포함하는 처방전을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를 광학문자인식 방법으로 처리하여 저장하는 처방전 등록 모듈을 동작하도록 하는 처방전 등록 버튼(a4)으로 처방전을 입력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prescription including the benefit information code, drug name, daily dosage amount, dosage amount per day, number of times of daily administration, and total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among the information for each family is converted into an image of the camera using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 prescription is input through the prescription registration button a4 that operates the prescription registration module that processes and stores the prescription.
상기 등록 모듈이 질병(a4-1), 약제(a4-2), 약이름(a4-3), 1일투약량, 1회투약량, 1일투여횟수, 총투약일수(a4-4)로 나누어 DB(25)에 저장한다.The registration module is divided into disease (a4-1), drug (a4-2), drug name (a4-3), daily dose, daily dose, number of doses per day, total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a4-4), and DB Save to (25).
또한 등록된 처방전은 가족 구성원 중 하나의 진료일순(a1), 질환별(a2), 병원별(a3)로 나누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registered prescriptions may be divid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date (a1) of one of the family members, each disease (a2), and each hospital (a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족 구성원 중 하나(예 : 나)의 진료일순을 누르면 특정 질병(예 : 감기)이 화면에 나타나고, 상기 질병을 누르면, 상기 질병(a4-1)의 약제(a4-2)이 나타나며, 약이름의 평가를 누르면 복약(a4-6), 부작용(a4-7)이 나타나고, 부작용 중 메스꺼움(a4-9)을 클릭하면 날짜와 이에 대한 1단계에서 10단계로 나눈 정도를 표시(a4-8)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pressing the treatment date of one of the family members (eg B), a specific disease (eg cold) appears on the screen, and when the disease is pressed, the drug (a4-1) of the disease (a4-1) 2) appears, and if you click the evaluation of the drug name, medications taken (a4-6) and side effects (a4-7) appear, and among the side effects, if you click nausea (a4-9), the date and the degree of division from 1 to 10 can be displayed (a4-8).
이러한 표시 기준은 가족 구성원이 자신의 부작용 정도에 따라 1단계에서 10단계로 나누어 입력할 수도 있지만 일정 객관적 판단기준에 의해 설문 형식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These display criteria may be entered by family members by dividing them into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족 구성원 중 하나의 질환별을 클릭하면 상기 DB(25)에 저장된 날짜별 질환이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되고, 각각의 남은 복용일이 표시된다. 그리고 분석 아이콘(b1)이 활성화되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5, when one disease of a family member is clicked, diseases by date stored in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 아이콘(b1)을 클릭하면 x축으로 기간이 표시되고, y축으로 부작용의 단계별 그래프가 표시된다.As shown in FIG. 6 , when the analysis icon (b1) is clicked, the period is displayed on the x-axis and the side effect graph is displayed on the y-axis.
만일 메스꺼움을 청색, 어지러움을 적색으로 표현하다고 할 때 특정 일자 기준으로 어떠한 부작용이 동시에 일어나거나 상호 역전된 것인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If nausea is expressed in blue and dizziness in red, it is possible to grasp at a glance which side effects occur simultaneously or are reversed on a specific date basis.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 아이콘(b1)을 클릭하면 x축으로 부작용 단계와 투약량이 표시되고, y축으로 약 이름(예 : A, B, C, D)에 따른 단계별 그래프가 표시된다.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when the analysis icon (b1) is clicked, the side effect stage and dosage are displayed on the x-axis, and the y-axis shows the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drug name (eg A, B, C, D) A graph is displayed.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앱을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로서, 상기 Rest API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가족별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검색 정보를 되돌려 준다.The network device is a device that transmits related information by connecting the app to a network, and the Rest API transmits the information for each family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network device and returns corresponding search information.
DB(25)는 상기 가족별 정보와 약학 정보 관련 서버(30)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저장한다.Th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DB를 통해 온가족의 전 생애에 걸친 의료 케어 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필요시 해당 가족의 자료를 진료일순, 질환별, 또는 병원별로 찾아 현재 질병의 원인과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and store medical care information throughout the entire life of the family through the DB, and if necessary, find the data of the family by date of treatment, by disease, or by hospital to help find the cause and solution of the current disease. can give
또한 상기 약학 정보 관련 서버(30)는 Query(약이름검색)과 결과(기본/효능/용법/주의/복약/식별 등)를 획득하며, 부작용의 종류로서 위장장애, 어지러움 등을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armaceutical information-related
또한 상기 앱(20)은 상기 가족별 정보 중 급여정보코드, 약이름, 1일투약량, 1회투약량, 1일투여횟수, 총투약일수를 포함하는 처방전을 누적하여 분석하고, 부작용의 종류에 따라 분석하면 온가족만의 가족 병력 지도를 생성할 수 있고, 치료나 복약에 참고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앱(20)의 분석 모듈은 가족 구성원의 개인 느낌을 입력 받아 표시하거나, 상기 약학 정보 관련 서버(30)의 약물 투여 대비 부작용 지수(약물 투여 대비 부작용을 수치화한 지수)를 전달받아 분석하여 표시하고, 그래프를 보면 최근에 매스꺼움 지수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세로축의 각 단계는 부작용을 10단계로 나누어 입력하는 입력부를 통해 저장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analysis module of the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원격 의료 서버에 접속할 경우 전문의가 질병 상태를 원격 판단한다.When accessing the remote medical server through the network device, a specialist remotely determines a disease state.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의료는 의료 데이터 축적 전송, 원격 모니터링, 실시간 쌍방향 서비스 등을 주요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elemedic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major categories such as accumulation and transmission of medical data, remote monitoring, and real-time interactive service.
상기 의료 데이터 축적 전송 방식은 의학 데이터(의학 영상, 생체 신호 등)를 수집하고, 상기 앱(20)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로 의사나 전문의가 편한 시간 때에 전송할 수 있다.The medical data storage and transmission method collects medical data (medical images, bio signals, etc.) and transmits the data to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이하 도 8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As shown in FIGS. 8 to 14 , a method for providing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using a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based on an entire family care app for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전원을 온(on)한 후 도 8의 (a)에서 (d)로 이동하며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한다.First, after turning on the power, the member sign-up procedure is performed moving from (a) to (d) in FIG. 8 .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가 가족 구성원의 가족별 정보를 이미지로 입력받고, 앱이 상기 카메라로부터 가족별 정보를 입력받아 텍스트 분석 및 저장시킨다.And, as shown in FIG. 8, the camera receives family information of family members as an image, and the app receives the family information from the camera, analyzes and stores text.
계속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앱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관련 정보를 전달받는다.Subsequently, the network device connects to the network through the app and receives related information.
그리고 약학 정보 관련 서버(30)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가족별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검색 정보를 수신 받는다.Then, the pharmacy information related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일순으로 나누면 일정표가 표시되고 질병이름이 표시된다.And, as shown in FIG. 9, when divided into treatment days, a schedule is displayed and the disease name is displayed.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병 이름과 기간과 약품과 약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 보기(r1)가 가능하다.Also, as shown in FIG. 10, it is possible to view disease names, periods, drugs,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drugs (r1).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기간 내에 특정 질병의 부작용이 항목별로 표시되면 진료일순에는 가족 구성원의 각종 질병이 진료일순으로 나누어 표시된다(c1, c2, c3).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when the side effects of a specific disease are displayed for each item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various diseases of family members are displayed in the order of treatment days in the order of treatment (c1, c2, c3).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료일순으로 나뉜 각 질병에 대해 질환별 건수가 표시되고, 각 질병의 부작용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 the number of cases for each disease divided by treatment date is displayed, and the side effects of each disease are displayed.
상기 앱의 처방전 등록 모듈이 상기 가족별 정보 중 급여정보코드, 약이름, 1일투약량, 1회투약량, 1일투여횟수, 총투약일수를 포함하는 처방전을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를 광학문자인식 방법으로 처리 및 저장시키는 단계;와 분석 모듈이 상기 약물 투여 대비 부작용 지수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cription registration module of the app converts the prescription including the benefit information code, drug name, daily dose, dose per dose, number of doses per day, and total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among the family information into the image of the camera by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processing and storing; and a step of analyzing and displaying, by an analysis module, a side effect index against drug administration.
상기 가족별 정보와 약학 정보 관련 서버(30)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는 DB를 통해 온가족의 전 생애에 걸친 의료 케어 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필요시 해당 가족의 자료를 진료일순, 질환별, 또는 병원별로 찾아 현재 질병의 원인과 해결에 도움을 준다.Through the DB that stores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amily information and pharmacy information related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계로 보았을 때 대표 증상이 메스꺼움이고 복용율은 60%이며, 병원 방문을 높은 수준으로 권장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4, the representative symptom is nausea and the dose rate is 60% when viewed from data statistics, and a hospital visit is highly recommended.
이러한 분석 결과는 "최근 7일간 메스꺼움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빠른 시일 내로 병원 방문을 권장 드립니다.The result of this analysis is "Nausea has been prominent for the past 7 days, and it is recommended to visit a hospital as soon as possible.
공복에 약을 복용하거나, 약이 장에 자극을 주면 복통이나 메스꺼운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식사 후 약을 섭취하시거나…" 등과 같은 내용으로 요약될 수 있다.You may experience abdominal pain or nausea if you take the medicine on an empty stomach or if the medicine irritates your intestines. In this case, take the medicine after eating or… “It can be summarized as such.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원격 의료 서버에 접속할 경우 전문의가 질병 상태를 원격으로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accessing a remote medical server through the network device, a medical specialist may remotely determine a disease state.
즉 치매와 우울증 약 등을 복용하는 경우 앱을 통한 전문의의 질병 상태를 원격 판단하는 도움을 받을 수 있다.In other words, if you are taking medications for dementia and depression, you can receive help from a specialist to remotely determine your disease status through the app.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 중의 치매 등의 치료는 매우 어렵고 효과도 지속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많이 안타까운 상황을 발생시킨다.For example, it is very difficult to treat dementia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effect does not appear continuously, resulting in a very unfortunate situation.
특히 치매의 경과 중에는 인지장애뿐 아니라 다양한 정서장애, 혹은 비인지적 장애가 흔히 나타난다. 불안, 초조, 우울, 정신증, 수면 장애 등의 이런 증상군을 포괄적으로 치매의 행동 정신증상군(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 of dementia;BPSD)이라고 칭하기도 하는데, 이는 비슷한 연령층의 일반인에 비해 3, 4배의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증상군의 대표적인 것으로 우울 증상을 들 수 있다.In particular, during the course of dementia, not only cognitive disorders but also various emotional disorders or non-cognitive disorders often appear. This group of symptoms, such as anxiety, agitation, depression, psychosis, and sleep disturbance,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 of dementia (BPSD), which is three to four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population in the same age group. It is known that the frequency of An example of this group of symptoms is depressive symptoms.
치매 환자에서 우울증이 얼마나 흔하게 나타나느냐는 우울증의 심각도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How common depression is in people with dementia depends on how the severity of depression is defined.
단순히 우울감을 가지고 있는 경우, 혹은 감정부전증(dysthymia)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경도우울증(minor depressive disorder)을 기준으로 삼는 경우, 주요우울증(major depressive disorder)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등이 있다.There are cases of simply having depression, or dysthymia as criteria, minor depressive disorder as criteria,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as criteria.
또한 알쯔하이머병 우울증은 주요우울증과 달리 단기적이면서 또 일시적인 우울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unlike major depression, Alzheimer's disease depression often shows short-term and temporary depressive symptoms.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앱의 처방전 등록 모듈이 치매 또는 우울증 가족 정보 중 급여정보코드, 약이름, 1일투약량, 1회투약량, 1일투여횟수, 및 총투약일수를 포함하는 처방전을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를 광학문자인식 방법으로 처리 및 저장시키고, 분석 모듈이 상기 약학 정보 관련 서버(30)의 약물 투여 대비 부작용 지수를 분석하여, 치매 환자에서 우울증 약을 동시에 복용할 경우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reminds the prescription registration module of the app to register a prescription including a benefit information code, drug name, daily dose, dose per dose, number of doses per day, and total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among dementia or depression family information. The image of the camera is processed and stored in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the analysis module analyzes the side effect index against drug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information related
만일 부작용이 특정약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라면 치매와 우울증 약 중 하나를 의사의 상담 내용을 참고하여 적절히 분배하여 차후 진행 과정을 살펴 볼 수 있다. If the side effects are caused by a specific drug, one of the dementia and depression drugs can be appropriately distributed by referring to the doctor's consultation, and the subsequent progress can be monitored.
예를 들어 의사의 상담을 거쳐 특정약에 대한 허용치와 부작용시 복용량을 의사가 허가한 범이 내에서 줄이거나 늘릴 수 있는 처방에 따라 가족 구성원이 치매 환자의 복용량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는 치매나 혈압 치료제 등은 15일 또는 1개월 치를 한 번에 처방받아 약을 구매하여 장기복용하는 경우에 빈번히 의사를 찾지 않고도 가족이이 효과적으로 환자를 증상에 맞게 대처하거나 간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r example, a family member can change the dose of a patient with dementia according to a doctor's consultation to reduce or increase the tolerance for a specific drug and the dosage in case of side effects within the range permitted by the doctor.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family can effectively cope with the patient's symptoms or care for them without having to visit a doctor frequently when drugs such as dementia or blood pressure are prescribed for 15 days or 1 month at a time and are purchased and taken for a long time.
이러한 복용량 변동에 따른 부작용의 결과를 1단계에서 10단계로 나누어 날자별로 상기 앱(20)에 저장한 후 의사의 상담시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sults of the side effects according to the dose change are divided into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웨어러블 워치를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watch may be used.
왜냐하면 가족 구성원의 스마트 단말기 보다 몸에 착용한 채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작용의 원인을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t can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easily determine the cause of side effects because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hile worn on the body rather than a family member's smart terminal.
상기 웨어러블 워치는 피칭(pitching) 혹은 롤링(rolling)으로 구성된 사전에 결정된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전에 결정된 제스처를 인식할 때, 요(yaw)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 등을 통하여 어지러움 또는 신체의 이상 반응을 기 기록된 DB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는 부작용 판단 모듈을 포함한다.Recognizing, by the wearable watch, a predetermined gesture consisting of pitching or rolling; setting a yaw reference value when recognizing the predetermined gesture; It includes a side effect judgment module that can compare dizziness or abnormal body reactions through the back with the previously recorded DB.
상기 부작용 판단 모듈은 팔의 움직임에 따른 롤링(rolling) 정보와 요(yaw) 정보에 의하여 부작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약물 투여 대비 부작용 지수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객관화할 수 있다.The side effect determination module can easily identify side effects by means of rolling information and yaw information according to arm movement, and thus can objectify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displaying the side effect index compared to drug administration.
특히 치매와 우울증에 따른 부작용은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웨어러블 워치를 통한 24시간 동안 입력받은 정보를 분석 모듈이 분석하여 위험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side effects caused by dementia and depression can occur in combination, the analysis module can analyze the information input for 24 hours through the wearable watch to warn of dangerous situations.
이러한 경우 가족 구성원은 치매와 우울증 약을 적절히 분배하여 차후 진행 과정을 살펴 볼 수 있어 현재 질병의 원인과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this case, family members can properly distribute dementia and depression medications to monitor the progress of the disease, helping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current disease and solve it.
10 : 카메라
20 : 앱
25 : DB
30 : 약학 정보 관련 서버10 : Camera
20: App
25 : DB
30: Server related to pharmaceutical information
Claims (8)
상기 가족 구성원의 몸에 착용한 채 일정 시간 이상 일정 정보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워치;
상기 카메라로부터 가족별 정보를 입력받아 광학문자인식 방법으로 분석하고 저장하는 앱;
상기 앱을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상기 가족별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 장치;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가족별 정보와 웨어러블 워치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가족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정보를 되돌려 주는 약학 정보 관련 서버;
상기 가족별 정보와 웨어러블 워치의 정보와 약학 정보 관련 서버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저장하는 DB;를 포함하되,
상기 DB를 통해 온가족의 전 생애에 걸친 의료 케어 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해당 가족의 자료를 진료일순, 질환별, 또는 병원별로 찾아 상기 웨어러블 워치에 표시하고,
상기 웨어러블 워치는 피칭(pitching) 혹은 롤링(rolling)으로 구성된 사전에 결정된 제스처를 인식하며, 상기 사전에 결정된 제스처를 인식할 때, 요(yaw) 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을 통하여 어지러움 또는 신체의 이상 반응을 기 기록된 DB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는 부작용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부작용 판단 모듈은 팔의 움직임에 따른 롤링(rolling) 정보와 요(yaw) 정보에 의하여 약물 부작용을 파악할 수 있어 상기 롤링(rolling) 정보와 요(yaw) 정보에 따른 약물 투여 대비 부작용을 수치화한 지수를 분석하여 상기 웨어러블 워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A camera that receives family information including the family member's salary information code, drug name, daily dose, dose per dose, number of doses per day, and total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as images;
a wearable watch worn on the body of the family member and providing certain information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An app that receives family information from the camera, analyzes it using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stores it;
a network device that connects the app to a network and transmits the family-specific information;
a pharmacy information-related server receiving the information for each family member and information of the wearable watch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network device and returning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for each family member;
A DB for storing the family information, wearable watch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 pharmacy information related server; including,
Through the DB, it is possible to store and store medical care information for the entire life of the entire family, and to search for data of the family by date of treatment, by disease, or by hospital, and display them on the wearable watch,
The wearable watch recognizes a predetermined gesture consisting of pitching or rolling, and when recognizing the predetermined gesture, dizziness or abnormal body reaction is prevented by setting a yaw reference value. Including a side effect judgment module that can be judged by comparing with the previously recorded DB,
The side effect determination module can identify drug side effects by rolling information and yaw information according to arm movement, thereby quantifying side effects compared to drug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olling information and yaw information An apparatus for providing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based on the whole family care app,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ex is analyzed and displayed on the wearable watch.
상기 앱은,
상기 가족별 정보의 처방전을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를 광학문자인식 방법으로 처리하여 저장하는 처방전 등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pp,
The device for providing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based on the whole family care app, further comprising: a prescription registration module for processing and storing the prescription of the information for each family by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of the image of the camera.
웨어러블 워치를 통해 상기 가족 구성원의 몸에 착용한 채 일정 시간 이상 일정 정보를 약학 정보 관련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앱을 통해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상기 가족별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약학 정보 관련 서버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가족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가족별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족별 정보와 약학 정보 관련 서버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저장하는 DB를 통해 온가족의 전 생애에 걸친 의료 케어 정보를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고, 해당 가족의 자료를 진료일순, 질환별, 또는 병원별로 찾아 상기 웨어러블 워치에 표시하고,
상기 웨어러블 워치는 피칭(pitching) 혹은 롤링(rolling)으로 구성된 사전에 결정된 제스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사전에 결정된 제스처를 인식할 때, 요(yaw)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통하여 어지러움 또는 신체의 이상 반응을 기 기록된 DB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는 부작용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부작용 판단 모듈은 팔의 움직임에 따른 롤링(rolling) 정보와 요(yaw) 정보에 의하여 부작용을 파악하고, 약물 투여 대비 부작용을 수치화한 지수를 분석하여 상기 웨어러블 워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방법.The step in which the app analyzes and stores information for each family member from the camera, including the family member's salary information code, drug name, daily dose, dose per dose, number of doses per day, and total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through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
providing certain information to a server related to pharmaceutical information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or more while being worn on the body of the family member through a wearable watch;
receiving information for each family by connecting a network device to a network through the app;
A pharmaceutical information-related serve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for each family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network device and receiving search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for each family;
Through the DB that stores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rver related to the family information and pharmacy information, medical care information throughout the entire life of the family can be stored and stored, and the data of the family can be stored by date of treatment, by disease, or by hospital. Find each star and display it on the wearable watch,
Recognizing, by the wearable watch, a predetermined gesture consisting of pitching or rolling; When recognizing the predetermined gesture, setting a yaw reference value; including a side effect judgment module that can compare dizziness or an abnormal reaction of the body with a previously recorded DB,
The side effect determination module identifies side effects by rolling information and yaw information according to arm movements, analyzes an index that quantifies side effects compared to drug administration, and displays them on the wearable watch. A method for providing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using a family care app-based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상기 앱의 처방전 등록 모듈이 상기 가족별 정보 중 급여정보코드, 약이름, 1일투약량, 1회투약량, 1일투여횟수, 총투약일수를 포함하는 처방전을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를 광학문자인식 방법으로 처리 및 저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가족 케어 앱 기반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원격 의료 케어 정보 제공 방법.According to claim 5,
The prescription registration module of the app converts the prescription including the benefit information code, drug name, daily dose, dose per dose, number of doses per day, and total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among the family information into the image of the camera by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Processing and storing;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 remote medical car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based on the whole family care ap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472A KR102470127B1 (en) | 2020-07-07 | 2020-07-07 | Family-based remote medical care system and methods of us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3472A KR102470127B1 (en) | 2020-07-07 | 2020-07-07 | Family-based remote medical care system and methods of using 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5826A KR20220005826A (en) | 2022-01-14 |
KR102470127B1 true KR102470127B1 (en) | 2022-11-23 |
Family
ID=7934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3472A Active KR102470127B1 (en) | 2020-07-07 | 2020-07-07 | Family-based remote medical care system and methods of us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70127B1 (en)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G11201602398VA (en) | 2013-10-25 | 2016-05-30 | Ares Trading Sa | Patient care system reporting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n |
KR20170087299A (en) * | 2016-01-20 | 2017-07-28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A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using smart device |
KR20180041930A (en) * | 2016-10-17 | 2018-04-25 | 주식회사 크론티어스 | Apparatus for managing health, method of managing health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
KR20190006755A (en) * | 2017-07-11 | 2019-01-21 | 주식회사 큐티티 | Medication counseling system and method |
KR102057760B1 (en) | 2017-07-20 | 2019-12-18 | 주식회사 티엔드티굳텀스 | 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thereof |
KR102124249B1 (en) | 2018-06-29 | 2020-06-17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abolic Syndrome Prevention Program for Early Adults Using Health-related Apps and Wearable Devices |
KR20200063761A (en) * | 2018-11-28 | 2020-06-05 | 이상곤 | Drug Information Retrieval and Medication Counseling System |
KR102113806B1 (en) | 2019-07-10 | 2020-05-21 | (주) 프로큐라티오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data |
-
2020
- 2020-07-07 KR KR1020200083472A patent/KR102470127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5826A (en) | 2022-0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oulet et al. | Health care use and health and functional impact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US children, 1997-2005 | |
US1086769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mprehensive health and wellness mobile management | |
US20140257837A1 (en) | Automated interactive health care application for patient care | |
US20140206964A1 (en) | Data Analytic System | |
US2007003307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mprehensive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 |
US20150213194A1 (en) |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Multi-Format Data Aggregation | |
US20090259493A1 (en) | Mobile health book | |
US20180052958A1 (en) | Patient-owned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and method | |
CA2630225A1 (en) | Healthcare manageme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 |
US20110144518A1 (en) | System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Disease Over Time | |
CN110459311B (en) | Medication reminder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of patient medication | |
CN10261270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ication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adherence | |
US20180301211A1 (en) | Electronic community medical marijuana network | |
US2018027988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patient monitoring and care | |
Patterson et al. | The effect of maternity practices on exclusive breastfeeding rates in US hospitals | |
Khalil | Understanding the adoption and diffusion of a telemonitoring solution i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qualitative study | |
Keikhosrokiani et al. | A sustainable artificial-intelligence-augmented digital care pathway for epilepsy: Automating seizure tracking based on electroencephalogram data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
KR102470127B1 (en) | Family-based remote medical care system and methods of using it | |
US20240074703A1 (en) | Wearable monitor | |
Mandellos et al. | e‐SCP‐ECG+ Protocol: An Expansion on SCP‐ECG Protocol for Health Telemonitoring—Pilot Implementation | |
Olusanya et al. | HemPHL: A personal health library and mHealth recommender to promote self-management of hemophilia | |
EP4345827A1 (en) | A prototype method for the communication and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physical and emotional state of the patients through a bedside system | |
KR20220134879A (en) | Guardian care system based on app | |
Chew et al. | Evaluation of an electronic clinical decision support algorithm to improve primary care management of acute febrile illness in rural Cambodia: protocol for a cluster-randomised trial | |
Orlov | The future of wearab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5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