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70037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037B1
KR102470037B1 KR1020150187980A KR20150187980A KR102470037B1 KR 102470037 B1 KR102470037 B1 KR 102470037B1 KR 1020150187980 A KR1020150187980 A KR 1020150187980A KR 20150187980 A KR20150187980 A KR 20150187980A KR 102470037 B1 KR102470037 B1 KR 102470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play
display unit
case
refrige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247A (ko
Inventor
구건표
서용범
신춘엽
유우열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6/00909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39194A1/ko
Priority to CN201680063063.9A priority patent/CN108351152B/zh
Priority to EP16842160.0A priority patent/EP3336463B1/en
Publication of KR2017002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247A/ko
Priority to US15/700,856 priority patent/US9958199B2/en
Priority to US15/935,362 priority patent/US10317133B2/en
Priority to US16/395,934 priority patent/US106904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0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유닛(Display unit)을 가지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냉장고는 본체,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상기 도어에 고정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 중 일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에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Display unit)을 가지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기기이다.
저장실은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전기기의 첨단화 추세에 따라, 입출력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냉장고가 개발, 출시되고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의 도어에 디스플레이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킴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전반적인 디자인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의 조립구조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는 도어의 조립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도어 및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조화를 통해 세련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다양한 편의기능을 구비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보다 큰 면적을 가지고,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상기 도어에 고정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 중 일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에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후면(後面)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가압편이 마련되고, 상기 가압편은 상기 고정 유닛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후면(後面)에 고정되는 고정 바디 및 상기 고정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가압편을 상기 냉장고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는 베이스 및 상기 냉장고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벽은 상기 가압편이 고정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내벽 및 상기 내벽의 외측에서 상기 내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 상기 냉장고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삽입 프레임 및 상기 삽입 프레임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는 베이스 및 상기 냉장고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은 내벽 및 상기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삽입 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벽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벽과 마주하는 상기 외벽의 내면 및 상기 외벽과 마주하는 상기 내벽의 외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벽과 마주하는 상기 외벽의 내면 및 상기 외벽과 마주하는 상기 내벽의 외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삽입공간으로의 상기 삽입 프레임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실과 마주하는 일 면을 가지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상기 도어 패널은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지는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핸들이 장착되는 핸들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 장착부는 상기 핸들의 일부가 삽입되는 개구부 및 상기 핸들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은 상기 핸들의 일부가 상기 냉장고의 전후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제 1결합프레임 및 상기 핸들의 다른 일부가 상기 냉장고의 좌우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제 2결합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글라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 1영역 및 상기 제 1영역 이외의 제 2영역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사사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 2영역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 2영역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확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접근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를 가지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글라스는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상기 도어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글라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상기 도어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가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도어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일체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복수의 도어 캡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복수의 도어 캡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도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어 캡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도어 캡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2도어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도어 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상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 1도어 캡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도어 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하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 2도어 캡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보스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보스부 및 상기 제 2보스부 중 적어도 하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를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 상기 냉장고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삽입 프레임 및 상기 삽입 프레임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는 베이스 및 상기 냉장고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측벽은 내벽 및 상기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삽입 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벽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벽과 마주하는 상기 외벽의 내면 및 상기 외벽과 마주하는 상기 내벽의 외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벽과 마주하는 상기 외벽의 내면 및 상기 외벽과 마주하는 상기 내벽의 외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삽입공간으로의 상기 삽입 프레임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실과 마주하는 일 면을 가지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상기 복수의 도어 캡 및 상기 도어 패널은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지는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글라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 1영역 및 상기 제 1영역 이외의 제 2영역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제 2영역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 2영역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확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제 2영역 후방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접근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를 가지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글라스는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상기 도어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글라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 유닛의 가압부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케이스로부터 연장되는 가압편을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측벽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밀어 넣음으로써 디스플레이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에 마련되는 보스부를 관통하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도어,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글라스 후방에 통신모듈 및 접근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배치시킴으로써 금속 소재의 도어 프레임에 의한 전자파 송수신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를 디스플레이 전방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부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트림(trim)구조를 생략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세련된 외관을 가지는 냉장고의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장 구조물들의 배치구조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글라스가 분리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장 구조물들의 배치구조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글라스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어의 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핸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과 다른 각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핸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핸들의 제 1핸들부재가 도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 9의 A-A'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핸들의 제 2핸들부재가 도어 프레임 및 핸들의 제 1핸들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 11의 B-B'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핸들의 제 3핸들부재가 도어 프레임 및 핸들의 제 1핸들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 13의 C-C'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핸들을 생략하고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15와 다른 각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핸들을 생략하고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결합구조가 보이도록 도 18의 D-D'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고정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전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고정부재에 의한 도어 캡,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5는 도 24와 다른 각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고정부재에 의한 도어 캡,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 23의 E-E'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내장 구조물들의 배치구조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글라스가 분리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 28과 다른 각도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고정부재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 31과 다른 각도로 고정부재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고정부재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어(300,1000)의 방향성은 도어(300,1000)가 저장실(20)을 폐쇄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어(300,1000)의 상하방향은 냉장고(1)의 상하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어(300,1000)의 좌우방향은 냉장고(1)의 좌우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어(300,1000)의 전후방향은 냉장고(1)의 전후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본체(10)와,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와, 송풍팬과, 냉기덕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수평 격벽(21)과, 수직 격벽(22)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실(20)은 상부 저장실(20a)과, 하부 저장실(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23)과, 식품을 밀폐 보관하는 밀폐 용기(24)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前面)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0a)은 복수의 도어(300a,300b)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0b)은 복수의 도어(300c,300d)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도어(300)에 마련되는 핸들(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00)을 파지하여 도어(300)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다. 핸들(100)은 도어(300)의 상하방향(Z)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핸들(10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냉장고(1)는 디스펜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40)는 도어(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디스펜서(40)는 좌측 상부도어(300a)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디스펜서(40)가 좌측 상부도어(300a)에 설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디스펜서(40)를 통해 사용자는 도어(300a)를 열지 않고도 물 또는 얼음을 외부로 직접 취출할 수 있다. 디스펜서(40)는 취출 공간을 형성하도록 도어(300a)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캐비티(41)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41)에는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취출구(미도시)와,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도록 하는 취출 레버(42)가 마련될 수 있다. 취출 레버(42)를 가압하면 취출구로부터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된다. 디스펜서(40)는 디스펜서(4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펜서 상태표시창(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상태표시창(43)은 터치(touch)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냉장고(1)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3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도어(300)의 전면(301)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우측 상부도어(300b)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설치될 수 있는 위치는 도어(300)면 충분하고, 우측 상부도어(300b)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우측 상부도어(300b)에 설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상단부(201)는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핸들(100)의 상단부(101)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하단부(202)는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디스펜서(40)의 하단부(44)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핸들(100)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일 측단부(203b)는 핸들(10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핸들(100)에 인접한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일 측단부(203b)와 마주하는 다른 측단부(203a)는 도어(300)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장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도어(300)의 우측을 향하는 우측 장변(203a), 도어(300)의 좌측을 향하는 좌측 장변(203b), 도어(300)의 상측을 향하는 상측 단변(201) 및 도어(300)의 하측을 향하는 하측 단변(202)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장변(203a)은 도어(300)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도어(300)의 좌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장변(203b)은 핸들(100)로부터 도어(300)의 우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측 단변(201)은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핸들(100)의 상단부(101)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하측 단변(202)은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디스펜서(40)의 하단부(44)와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배치를 통해 깔끔하고, 안정감 있는 냉장고(1)의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200)과 디스펜서(40) 및 핸들(100)의 배치관계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접근할 때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웨이크 업(wake up)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웨이크 업 기능은 접근감지센서(50)(도5참고)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감지센서(50)가 일정 범위 이내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활성화된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온(on)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감지센서(50)가 일정 범위 이내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지 못하면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활성화되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오프(off)상태로 유지된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활성화되면 디스플레이(210)에 다양한 영상 내지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장 구조물들의 배치구조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글라스가 분리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어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설치된 도어, 즉, 우측 상부도어(300b)를 의미한다. 도 5에서 결합 커버(260)는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디스플레이(210)의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에는 터치 스크린(221)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에 터치 스크린(221)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210)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후면(後面)에 증착필름을 부착한다. 그 후,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내부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후면을 인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내부구성 내지 조립구조의 차폐를 위해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후면 가장자리를 인쇄한다. 후술할 제 1영역(22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인쇄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제 2영역(223)은 차폐를 위해 인쇄될 수 있다. 인쇄 처리 후,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후면에 터치필름을 부착한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에 터치 스크린(221)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210)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후면(後面)에 편광필름을 부착한다. 그 후,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내부구성 내지 조립구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후면 가장자리를 인쇄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영역(222)은 인쇄되지 않을 수 있고, 제 2영역(223)은 인쇄될 수 있다. 인쇄 처리 후,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후면에 터치필름을 부착한다.
터치 스크린(221)은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터치 스크린(221)의 형성방법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디스플레이(210)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210)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이용하면, 디스플레이(210)를 침범하지 않고, 별도의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제 1영역(222) 및 제 2영역(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영역(222)은 디스플레이(210)에 대응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 2영역(223)은 제 1영역(222) 이외의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 2영역(223)은 인쇄처리로 인해 차폐되어 있으므로 제 2영역(223)의 후방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부품들의 배치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이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은 일 예로써, 카메라(60)를 실행시키는 카메라 아이콘(70a), 냉장고(1) 기능에 관련된 다양한 목록을 나열시키는 목록 아이콘(70b), 시작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홈 아이콘(70c), 실행 전 단계로 되돌리는 되돌리기 아이콘(70d) 및 냉장고(1)의 전반적인 기능 내지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전반적인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아이콘(70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은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간섭하지 않도록 제 1영역(222) 하부의 제 2영역(223)에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210)를 활성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접근감지센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접근감지센서(50)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마이컴(9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마이컴(90)은 디스플레이(210)를 활성화시킨다.
냉장고(1)는 통신모듈(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80)을 구비한 냉장고(1)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통신모듈(80)을 구비한 냉장고(1)의 경우, 터치 스크린(221)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핑을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하여 통신모듈(80)을 구비한 냉장고(1)에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가정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경우, 통신모듈(80)을 구비한 냉장고(1)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중앙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즉, 통신모듈(80)을 구비한 냉장고(1)의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221)을 조작하여 인터넷 명령 또는 냉장고(1)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221)을 통해 입력된 인터넷 명령 또는 냉장고(1) 제어 명령은 마이컴(90)으로 전달되고, 마이컴(90)은 인터넷 연결에 따른 웹 페이지 또는 제어 명령의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도록 한다. 통신모듈(80)은 일 예로써,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지웨이브(Z-Wa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인물 내지 사물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60)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은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다.
냉장고(1)는 음성인식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를 통해 입력된 음성 명령은 마이컴(90)으로 전달되고, 마이컴(90)은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하여 음성 명령 결과를 표시하게 한다.
냉장고(1)는 조도센서(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센서(55)는 밝은 곳에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조명을 밝게 조절하고, 어두운 곳에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조명을 어둡게 조절하여 냉장고(1)의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조도센서(55)의 감지결과는 마이컴(90)으로 전달되고, 마이컴(90)은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210)의 조도를 조절한다.
접근감지센서(50), 통신모듈(80), 카메라(6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및 조도센서(55)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근감지센서(50), 통신모듈(80), 카메라(6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및 조도센서(55)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제 2영역(223)과 마주하도록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제 2영역(223)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80)은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제 2영역(223)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어 프레임(310)의 금속재질이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으므로, 통신모듈(80)이 금속재질의 도어 프레임(310) 후방에 배치될 경우,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접근감지센서(50), 통신모듈(80), 카메라(6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및 조도센서(55)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접근감지센서(50), 통신모듈(80), 카메라(6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및 조도센서(55)가 모두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제 2영역(223) 후방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에 배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감지센서(50), 통신모듈(80), 카메라(6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및 조도센서(55)는 디스플레이(2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60)는 디스플레이(210)와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80)은 디스플레이(210)와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접근감지센서(50) 및 조도센서(5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는 복수의 마이크를 의미한다. 접근감지센서(50), 조도센서(55)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접근감지센서(50)는 디스플레이(2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前面)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접근감지센서(50)를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 하단부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어린이와 같이 신장이 작은 사용자의 접근 여부 또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접근감지센서(50), 통신모듈(80), 카메라(6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및 조도센서(55)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은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제 1영역(222) 과, 접근감지센서(50), 통신모듈(80), 카메라(6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및 조도센서(55)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 2영역(223)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의 배치구조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장 구조물들의 배치구조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글라스를 생략하고 도시한 도어의 전면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감지센서(50), 카메라(6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및 조도센서(55)는 디스플레이(2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60)는 디스플레이(210)와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접근감지센서(50) 및 조도센서(5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는 복수의 마이크를 의미한다. 접근감지센서(50), 조도센서(55)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80)은 디스플레이(2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접근감지센서(50), 통신모듈(80), 카메라(6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및 조도센서(55)의 배치구조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핸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과 다른 각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핸들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00)은 도어(3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100)은 도어 프레임(310)에 마련되는 핸들 장착부(31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핸들 장착부(311)는 핸들(100)의 일부가 삽입되는 개구부(312) 및 핸들(100)이 고정 결합되는 결합프레임(313,31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프레임(313,314)은 개구부(3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313,314)은 도어 프레임(3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313,314)은 제 1결합프레임(313) 및 제 2결합프레임(3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결합프레임(313)에는 핸들(100)의 일부가 냉장고(1)의 전후방향(X)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1결합프레임(313)은 도어(300)의 전방을 향하는 전면(313a) 및 도어(300)의 후방을 향하는 후면(미도시)을 가지도록 개구부(312)를 향해 도어 프레임(3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 2결합프레임(314)에는 핸들(100)의 다른 일부가 냉장고(1)의 좌우방향(Y)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2결합프레임(314)은 도어(300)의 측방을 향하는 측면(314a)을 가지도록 개구부(312)를 향해 도어 프레임(3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313,314)에는 복수의 결합홀(313b,314b)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결합프레임(313)에는 복수의 제 1결합홀(313b)이 형성될 수 있고, 제 2결합프레임(314)에는 복수의 제 2결합홀(314b)이 형성될 수 있다.
핸들(100)은 제 1핸들부재(110), 제 2핸들부재(120) 및 제 3핸들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핸들부재(110)는 개구부(312)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핸들부재(110)는 제 1핸들부재(110)가 개구부(312)에 삽입되었을 때, 냉장고(1)의 전후방향(X)으로 제 1결합프레임(313)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 1고정프레임(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고정프레임(111)에는 제 1결합프레임(313)에 형성된 복수의 제 1결합홀(313b)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 1체결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핸들부재(110)는 제 1핸들부재(110)가 개구부(312)에 삽입되었을 때, 냉장고(1)의 좌우방향(Y)으로 제 2결합프레임(314)의 우측방에 위치하는 제 2고정프레임(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핸들부재(110)는 제 1핸들부재(110)가 개구부(312)에 삽입되었을 때, 제 2결합프레임(314)보다 도어(3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고정프레임(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고정프레임(112)에는 제 2결합프레임(314)에 형성된 복수의 제 2결합홀(314b)에 대응하는 복수의 체결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부(112a)는 복수의 제 2결합홀(314b)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체결부(112a)는 복수의 제 2결합홀(314b)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부(112a) 및 복수의 제 2결합홀(314b)의 결합에 의해 제 1핸들부재(110)의 제 2고정프레임(112)은 도어 프레임(310)의 제 2결합프레임(314)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2고정프레임(112)에는 복수의 제 2체결홀(112b)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체결홀(112b)은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복수의 체결부(112a)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체결홀(112b)은 제 2고정프레임(112)의 복수의 면 중 복수의 체결부(112a)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 2체결홀(112b) 및 복수의 체결부(112a)는 제 2고정프레임(112)의 복수의 면 중 냉장고(1)의 좌우방향(Y)으로 좌측을 향하는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핸들부재(110)는 제 1고정프레임(111) 및 제 2고정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13)은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프레임(113)은 제 1고정프레임(111)과 연결되는 제 1연결부(113a) 및 제 2고정프레임(112)과 연결되는 제 2연결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연결부(113a)는 냉장고(1)의 좌우방향(Y)으로 제 1고정프레임(111)에 연결되고, 제 2연결부(113b)는 냉장고(1)의 전후방향(X)으로 제 2고정프레임(112)에 연결되므로, 연결프레임(113)은 제 1연결부(113a) 및 제 2연결부(113b)의 연결부위에 절곡부(113c)를 가질 수 있다.
제 2핸들부재(120)는 제 1핸들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핸들부재(120)는 제 1핸들부재(110)의 제 1고정프레임(11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2핸들부재(120)는 후술할 제 3핸들부재(130)와 함께 핸들(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핸들부재(120)는 복수의 고정체결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체결부(112a)는 제 1결합프레임(313)과 마주하는 제 2핸들부재(120)의 일 면(120a)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고정체결부(112a)는 냉장고(1)의 전후방향(X)으로 후방을 향하는 제 2핸들부재(120)의 일 면(120a)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체결부(112a)는 제 1결합프레임(313)에 형성된 복수의 제 1결합홀(313b)을 관통하여 제 1고정프레임(111)에 형성된 복수의 제 1체결홀(111a)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체결부(112a)는 복수의 제 1결합홀(313b)을 관통하여 복수의 제 1체결홀(111a)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제 3핸들부재(130)는 제 1핸들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핸들부재(130)는 제 1핸들부재(110)의 제 2고정프레임(11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3핸들부재(130)는 복수의 고정결합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결합부(131)는 제 2결합프레임(314)과 마주하는 제 3핸들부재(130)의 일 면(130a)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결합부(131)는 제 1결합프레임(313)에 형성된 복수의 통과홀(313c)을 통과하여 제 2고정프레임(112)에 형성된 복수의 제 2체결홀(112b)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결합부(131)는 복수의 통과홀(313c)을 통과하여 복수의 제 2체결홀(112b)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통과홀(313c)은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복수의 제 2결합홀(314b)과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통과홀(313c)은 개방된 일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핸들(100)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핸들의 제 1핸들부재가 도어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 9의 A-A'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핸들부재(110)는 도어 프레임(310)의 핸들 장착부(31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1핸들부재(110)는 제 1핸들부재(110)의 연결프레임(113)이 개구부(3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도어(300)의 후방에서 도어 프레임(310)의 핸들 장착부(311)에 장착된다. 이 때, 제 1핸들부재(110)의 제 1고정프레임(111)은 제 1체결홀(111a)과 제 1결합홀(313b)이 일치하도록 핸들 장착부(311)의 제 1결합프레임(313)의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 1핸들부재(110)의 제 2고정프레임(112)은 복수의 체결부(112a)와 제 2결합홀(314b)이 일치하도록 핸들 장착부(311)의 제 2결합프레임(314)의 우측방에 위치한다.
제 1핸들부재(110)는 복수의 체결부(112a) 및 제 2결합홀(314b)의 결합에 의해 1차적으로 도어 프레임(310)에 고정 결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핸들의 제 2핸들부재가 도어 프레임 및 핸들의 제 1핸들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 11의 B-B'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핸들부재(120)는 제 1핸들부재(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2핸들부재(120)는 개구부(3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연결프레임(113)의 제 1연결부(113a)를 덮도록 제 1결합프레임(313)의 전방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제 2핸들부재(120)는 제 2핸들부재(120)의 일 면(120a)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체결부(112a), 제 1결합프레임(313)의 제 1결합홀(313b) 및 제 1고정프레임(111)의 제 1체결홀(111a)이 일치하도록 제 1결합프레임(313)의 전방에 위치한다.
제 2핸들부재(120)의 일 면(120a)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체결부(112a)는 제 1결합프레임(313)의 제 1결합홀(313b)을 관통한 후, 제 1고정프레임(111)의 제 1체결홀(111a)에 결합된다.
제 1핸들부재(110)는 복수의 고정체결부(112a) 및 제 1체결홀(111a)의 결합에 의해 2차적으로 도어 프레임(310)에 고정 결합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핸들의 제 3핸들부재가 도어 프레임 및 핸들의 제 1핸들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 13의 C-C'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핸들부재(130)는 제 1핸들부재(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3핸들부재(130)는 제 3핸들부재(130)의 일 면(130a)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결합부(131), 제 2결합프레임(314)의 복수의 통과홀(313c) 및 제 2고정프레임(112)의 제 2체결홀(112b)이 일치하도록 제 2결합프레임(314)의 좌측방에 위치한다.
제 3핸들부재(130)의 일 면(130a)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결합부(131)는 제 2결합프레임(314)의 복수의 통과홀(313c)을 통과한 후, 제 2고정프레임(112)의 제 2체결홀(112b)에 결합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핸들을 생략하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와 다른 각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핸들을 생략하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결합구조가 보이도록 도 18의 D-D'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고정 유닛에 의한 디스플레이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한다.
도 15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는 도어 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10)은 도어(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프레임(310)은 도어(300)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321) 및 도어(300)의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도어(300)의 상면외관은 제 1 도어 캡(371)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도어(300)의 하면외관은 제 2 도어 캡(37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0)의 후면외관은 도어 패널(36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10)은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330)에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가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330)는 도어 프레임(310)의 전면부(321)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10)은 삽입 프레임(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프레임(340)은 냉장고(1)의 후방을 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33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10)은 삽입 프레임(340)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결합부(350)는 냉장고(1)의 후방을 향하도록 삽입 프레임(340)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결합편(340a)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350)는 홀(hole)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 프레임(310)은 핸들(100)이 장착되는 핸들 장착부(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 장착부(311)는 도어 프레임(310)의 일 측면부(322)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0)는 도어 패널(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패널(360)은 저장실(20)과 마주하는 일 면(360a)을 가질 수 있다. 저장실(20)과 마주하는 도어 패널(360)의 일 면(360a)에는 각종 양념 또는 음료수와 같은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 포켓(25)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 패널(360)은 도어 프레임(3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패널(360)은 도어 프레임(3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도어 프레임(3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10) 및 도어 패널(360)은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지는 단열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공간(S)은 도어 프레임(310),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330)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 핸들 장착부(311)에 장착되는 핸들(100), 복수의 도어 캡(371,372) 및 도어 패널(36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0)는 복수의 도어 캡(371,3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371,372)은 도어 프레임(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도어 캡(371) 및 도어 프레임(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2도어 캡(37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371,372)에는 공기유동부(373)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0)는 복수의 도어 캡 커버(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 커버(380)는 공기유동부(373)를 덮도록 복수의 도어 캡(371,372)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 커버(380)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381)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0)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덕트(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덕트(390)는 도어(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덕트(390)는 복수의 도어 캡(371,372)에 형성되는 공기유동부(373)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형성되는 공기이동부(231)를 연결하도록 도어(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이동부(231), 복수의 덕트(390), 공기유동부(373) 및 적어도 하나의 슬릿(381)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냉장고(1)는 방열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구조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고자 도어(3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방열구조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형성되는 공기이동부(231), 복수의 덕트(390), 복수의 도어 캡(371,372)에 형성되는 공기유동부(373) 및 복수의 도어 캡 커버(38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38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300)의 내부공기 및 외부공기는 방열구조를 통해 순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200)에서 발생한 열은 공기의 순환과정에서 도어(3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도어(300)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디스플레이(210)의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터치 스크린(221)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디스플레이(210)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34)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는 냉장고(1)의 전방을 향하는 제 1면(232) 및 냉장고(1)의 후방을 향하는 제 2면(23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착부(234)는 제 1면(232)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면(232)에는 카메라(60), 접근감지센서(50) 등과 같은 내장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는 내장부품 배치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내장부품 배치부(235)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34)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 1면(232)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후면(後面)에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후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가압편(236)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제 2면(233)에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제 2면(233)으로부터 냉장고(1)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가압편(236)이 마련될 수 있다. 가압편(236)은 제 2면(233)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면(233)의 가장자리에는 4 개의 가압편(236)이 형성될 수 있다. 4 개의 가압편(236)은 각각 우측 상부 가장자리, 우측 하부 가장자리, 좌측 상부 가장자리 및 좌측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가압편(236)은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제 2면(233)으로부터 냉장고(1)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236a) 및 지지부(236a)로부터 도어(300)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236b)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36b)는 도어(300)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지지부(236a)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236b)는 도어(300)의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도록 지지부(236a)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도어(30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연장부(236b)의 일 단부에는 고정홈(245)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후크부(236c)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제 2면(233)에는 지지 보스부(237)가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할 고정 유닛(250)은 지지 보스부(237)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보스부(237)는 가압편(236)과 인접하도록 도어(30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 보스부(237)는 냉장고(1)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 2면(233)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에는 마이컴(9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95)이 배치될 수 있다. 마이컴(9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95)은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제 2면(233)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도어(300)에 고정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는 도어 프레임(310)의 후방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前面)을 가지는 박스(box)형상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는 베이스(241) 및 냉장고(1)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베이스(241)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측벽(242,24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242,243)은 내벽(242) 및 내벽(242)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벽(243)을 포함할 수 있다. 외벽(243)은 내벽(242)의 외측에서 내벽(242)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벽(243)은 내벽(242)과의 사이에 삽입 프레임(34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44)을 형성하도록 내벽(242)의 외측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내벽(242)에는 가압편(236)이 고정 결합되는 고정홈(245)이 형성될 수 있다.
내벽(242) 및 외벽(243)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걸림부(246)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걸림부(246)는 내벽(242)과 마주하는 외벽(243)의 내면 및 외벽(243)과 마주하는 내벽(242)의 외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246)는 복수의 결합부(35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246)는 복수의 결합부(35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걸림부(246) 및 복수의 결합부(350)의 결합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는 도어 프레임(3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내벽(242) 및 외벽(243)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가이드돌기(247)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가이드돌기(247)는 내벽(242)과 마주하는 외벽(243)의 내면 및 외벽(243)과 마주하는 내벽(242)의 외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돌기(247)는 삽입공간(244)으로의 삽입 프레임(340)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걸림부(246) 및 복수의 가이드돌기(247)는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의 측벽(242,243)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걸림부(246)가 내벽(242)과 마주하는 외벽(243)의 내면 및 외벽(243)과 마주하는 내벽(242)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면, 복수의 가이드돌기(247)는 내벽(242)과 마주하는 외벽(243)의 내면 및 외벽(243)과 마주하는 내벽(242)의 외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 유닛(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250)은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중 일 부분을 가압하여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 유닛(250)은 고정 바디(251) 및 가압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바디(251)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후면(後面)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 바디(251)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제 2면(233)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바디(251)는 고정 스크루(253)에 의해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제 2면(233)에 형성되는 지지 보스부(237)에 고정될 수 있다.
가압부재(252)는 고정 바디(251)를 관통하여 가압편(236)을 냉장고(1)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편(236)은 고정 유닛(250)의 가압부재(252)에 의해 가압되어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245)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결합 커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커버(260)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조립 편의를 위한 구성이다. 결합 커버(26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는 결합 커버(260)에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부(224,238)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오목부(224)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오목부(238)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가압편(236)을 향해 가압부재(252)를 가압하기 위한 공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공구를 이용하여 가압편(236)을 고정홈(245)에 고정 결합시킨 후, 결합 커버(260)로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오목부(224)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오목부(238)가 형성하는 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도어 프레임(310)과 함께 도어(300)의 전면(前面)외관을 형성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제 1면(232)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액상 접착제 및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제 1면(232)의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330)의 가장자리로부터 도어(30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간격(t) 이격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에 부착할 경우,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위한 별도의 트림(trim) 구조를 생략할 수 있어 도어 프레임(310)과 디스플레이 글라스(220) 사이에 끊어짐이 없는 매끄러운 형상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구비하는 도어(300)의 조립과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어 프레임(310)의 핸들 장착부(311)에 핸들(10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가 도어 프레임(3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도어 프레임(310)에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를 결합시킨다. 도어 프레임(310)의 삽입 프레임(340)은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돌기(247)에 의해 삽입공간(244)으로 안내되고,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246)는 삽입 프레임(34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부(350)에 후크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 및 도어 프레임(310)의 결합이 완성되면 복수의 도어 캡(371,372) 및 도어 패널(360)을 도어 프레임(31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디스플레이 장착부(234)에 디스플레이(210)를 장착한 후, 디스플레이 글라스(220)가 디스플레이(210) 전면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에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부착한다. 그 후, 디스플레이 케이스(230)가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오목부(224)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오목부(238)가 형성하는 공간에 공구(미도시)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를 결합시키기 위해 가압부재(252)를 가압편(236) 방향으로 가압한다. 가압편(236)의 후크부(236c)가 고정홈(245)에 고정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결합이 완성되면 결합 커버(260)로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오목부(224)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오목부(238)가 형성하는 공간을 폐쇄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전면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21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조립방법을 변형시킬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200)과 다른 외형을 가지게 된다.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결합시킬 경우, 결합 커버(260),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오목부(224)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오목부(238)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확대된 터치 스크린(221)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외관상 더욱 깔끔한 디자인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어(300)의 상하방향(Z)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고정부재에 의한 도어 캡,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와 다른 각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고정부재에 의한 도어 캡,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도 23의 E-E'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21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700)은 디스플레이(210)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34)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케이스(7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착부(234)는 디스플레이 케이스(730)의 제 1면(232)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730)에는 후술할 고정부재(800)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지지부(735)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735)는 디스플레이 케이스(730)의 제 2면(233)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735)는 냉장고(1)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730)의 제 2면(233)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730)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34)가 마련되는 바디(7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케이스(730)는 냉장고(1)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바디(736)의 상단부에서 연장되는 상면(737) 및 냉장고(1)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바디(736)의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하면(7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700)은 도어(1000)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에 디스플레이 케이스(730)가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는 바디(736)와 마주하는 베이스(74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는 냉장고(1)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베이스(746)의 상단부에서 연장되는 상면(747) 및 냉장고(1)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베이스(746)의 하단부에서 연장되는 하면(7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700)은 도어(1000)의 상하방향(Z)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730)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재(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800)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800)는 도어(100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도어(1000),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730)를 일체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800)는 복수의 도어 캡(971,972)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도어(1000),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730)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971,972)은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의 상면(747)과 마주하도록 도어 프레임(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도어 캡(97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971,972)은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의 하면(748)과 마주하도록 도어 프레임(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2도어 캡(9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971,972)에는 도어(1000)의 상하방향(Z)으로 도어(100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보스부(971a,972a)가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971a,972a)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의 상면(747)을 향하도록 제 1도어 캡(971)의 내면으로부터 도어(1000)의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보스부(971a)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971a,972a)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의 하면(748)을 향하도록 제 2도어 캡(972)의 내면으로부터 도어(1000)의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보스부(97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971a,972a)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로부터 일정 간격(d) 이격되도록 복수의 도어 캡(971,972)으로부터 도어(100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보스부(971a,972a)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부재(800)는 제 1보스부(971a) 및 제 2보스부(972a) 중 적어도 하나,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의 상면(747) 및 하면(748) 중 적어도 하나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의 내측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730)의 상면(737) 및 하면(738) 중 적어도 하나를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971,972),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730)를 차례로 관통한 고정부재(800)의 일 단부는 디스플레이 케이스(730)에 마련된 지지부(735)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보스부(971a) 및 제 2보스부(972a) 중 적어도 하나,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의 상면(747) 및 하면(748) 중 적어도 하나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730)의 상면(737) 및 하면(738) 중 적어도 하나를 차례로 관통한 고정부재(800)의 일 단부가 지지부(735)에 지지됨으로써, 도어(1000)의 상하방향(Z)으로의 고정부재(80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재(800)는 도어(1000)의 좌측 상방에서 제 1보스부(971a),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의 상면(747)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730)의 상면(737)을 관통하는 제 1고정부재, 도어(1000)의 우측 상방에서 제 1보스부(971a),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의 상면(747)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730)의 상면(737)을 관통하는 제 2고정부재, 도어(1000)의 좌측 하방에서 제 2보스부(972a),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의 하면(748)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730)의 하면(738)을 관통하는 제 3고정부재, 도어(1000)의 우측 하방에서 제 2보스부(972a),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740)의 하면(748)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730)의 하면(738)을 관통하는 제 4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재(800)의 개수는 4 개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내장 구조물들의 배치구조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 글라스가 분리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21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디스플레이(210)의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에는 터치 스크린(221)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에 터치 스크린(221)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디스플레이(210)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210)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이용하면, 디스플레이(210)를 침범하지 않고, 별도의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는 제 1영역(222) 및 제 2영역(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영역(222)은 디스플레이(210)에 대응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 2영역(223)은 제 1영역(222) 이외의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제 2영역(223)은 인쇄처리로 인해 차폐되어 있으므로 제 2영역(223)의 후방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부품들의 배치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이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은 일 예로써, 냉장고(1) 기능에 관련 다양한 목록을 나열시키는 목록 아이콘(70b), 시작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홈 아이콘(70c), 실행 전 단계로 되돌리는 되돌리기 아이콘(70d) 및 냉장고(1)의 전반적인 기능 내지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전반적인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아이콘(70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아이콘은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간섭하지 않도록 제 1영역(222) 하부의 제 2영역(223)에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확인되면 디스플레이(210)를 활성화시키도록 마련되는 접근감지센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일정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접근감지센서(50)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마이컴(9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마이컴(90)은 디스플레이(210)를 활성화시킨다. 접근감지센서(50)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근감지센서(50)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제 2영역(223)과 마주하도록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제 2영역(223)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근감지센서(50)는 제 1영역(222) 하부의 제 2영역(223)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접근감지센서(50)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1)는 통신모듈(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80)을 구비한 냉장고(1)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통신모듈(80)을 구비한 냉장고(1)의 경우, 터치 스크린(221)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핑을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하여 통신모듈(80)을 구비한 냉장고(1)에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가정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될 경우, 통신모듈(80)을 구비한 냉장고(1)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를 중앙 제어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 서버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즉, 통신모듈(80)을 구비한 냉장고(1)의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221)을 조작하여 인터넷 명령 또는 냉장고(1)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221)을 통해 입력된 인터넷 명령 또는 냉장고(1) 제어 명령은 마이컴(90)으로 전달되고, 마이컴(90)은 인터넷 연결에 따른 웹 페이지 또는 제어 명령의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되도록 한다. 통신모듈(80)은 일 예로써,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지웨이브(Z-Wav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80)은 냉장고(1)의 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모듈(80)은 탑 커버(14)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탑 커버(14)는 냉장고(1)의 상측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의 상면(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인물 내지 사물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60)는 냉장고(1)를 이용한 영상통화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카메라(60)로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은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다. 카메라(60)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60)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제 2영역(223)과 마주하도록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제 2영역(223)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60)는 제 1영역(222) 상부의 제 2영역(223)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60)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음성인식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를 통해 입력된 음성 명령은 마이컴(90)으로 전달되고, 마이컴(90)은 디스플레이(210)를 제어하여 음성 명령 결과를 표시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제 2영역(223)과 마주하도록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제 2영역(223)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는 제 1영역(222) 하부의 제 2영역(223) 후방에 배치되는 제 1마이크(85a) 및 제 1영역(222) 상부의 제 2영역(223) 후방에 배치되는 제 2마이크(85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와 마주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접근감지센서(50), 카메라(60) 및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가 모두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제 2영역(223) 후방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前面)에 배치되고, 통신모듈(80)이 탑 커버(14) 내부에 수용되도록 본체(10)에 구비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근감지센서(50) 및 제 1마이크(85a)는 디스플레이(2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60) 및 제 2마이크(85b)는 디스플레이(210) 상부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접근감지센서(50)를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전면 하단부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어린이와 같이 신장이 작은 사용자의 접근 여부 또한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접근감지센서(50), 통신모듈(80),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85) 및 카메라(60)의 배치구조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 28과 다른 각도로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로부터 USB 포트를 보호하기 위해 USB 포트에 포트 커버(22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21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0)에는 냉장고(1)의 마이컴(90), 구체적으로, 마이컴(90)의 메모리부(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USB포트가 설치될 수 있다. USB포트는 도어(20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SB포트는 복수의 도어 캡(371,372) 중 제 1도어 캡(371)에 설치될 수 있다. USB포트는 도어(2000)의 상면 및 도어(2000)의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223)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공간(2222)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버(2223)는 제 1도어 캡(37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2223)는 포트 커버(2200)와 함께 USB포트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2223)는 평소에 USB포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USB포트의 존재가 도어(2000) 내지 냉장고(1)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USB포트에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로부터 USB포트를 보호하기 위한 포트 커버(22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000)로부터 커버(2223)를 분리한 후, USB포트에 결합되어 있는 포트 커버(2200)를 분리한다. 그 후, USB(미도시)를 USB포트에 연결한다. USB포트가 USB를 인식하면 USB 및 냉장고(1)의 마이컴(90)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고정부재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도 31과 다른 각도로 고정부재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있어서, 고정부재에 의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1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21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31 및 도 32에서 내장부품 중 일부는 생략한다.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0)는 도어 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10)은 도어(20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프레임(310)은 도어(2000)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321) 및 도어(2000)의 측면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도어(2000)의 상면외관은 제 1도어 캡(371)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도어(2000)의 하면외관은 제 2도어 캡(37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2000)의 후면외관은 도어 패널(36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310)은 디스플레이 유닛(200)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330)에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가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330)는 도어 프레임(310)의 전면부(321)에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의 도어 프레임(310)에 대한 설명은 도 15 내지 도 2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어 패널(360)에 대한 설명 역시 도 15 내지 도 2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어(2000)는 복수의 도어 캡(371,3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371,372)은 도어 프레임(3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도어 캡(371) 및 도어 프레임(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2도어 캡(37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371,372)에는 공기유동부(373)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00)는 복수의 도어 캡 커버(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 커버(380)는 공기유동부(373)를 덮도록 복수의 도어 캡(371,372)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 커버(380)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381)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도어 캡 커버(380)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격자형상의 공기통과부(384)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도어 캡 커버(380)는 제 1도어 캡(371)에 결합되는 제 1도어 캡 커버(382) 및 제 2도어 캡(372)에 결합되는 제 2도어 캡 커버(3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도어 캡 커버(382)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381)이 형성되고, 제 2도어 캡 커버(383)에는 격자형상의 공기통과부(384)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00)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덕트(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덕트(390)는 도어(20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덕트(390)는 복수의 도어 캡(371,372)에 형성되는 공기유동부(373)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형성되는 공기이동부(231)를 연결하도록 도어(20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슬릿(381), 공기통과부(384), 공기이동부(231), 복수의 덕트(390), 공기유동부(373) 및 회로기판 커버(2100)에 형성되는 개구(2111)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냉장고(1)는 방열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구조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고자 도어(20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방열구조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형성되는 공기이동부(231), 복수의 덕트(390), 복수의 도어 캡(371,372)에 형성되는 공기유동부(373), 복수의 도어 캡 커버(38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381)과 공기통과부(384) 및 회로기판 커버(2100)에 형성되는 개구(21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00)의 내부공기 및 외부공기는 방열구조를 통해 순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유닛(200)에서 발생한 열은 공기의 순환과정에서 도어(20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냉장고(1)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도어(2000)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에 대한 설명은 도 15 내지 도 2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디스플레이(210)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34)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는 냉장고(1)의 전방을 향하는 제 1면(232) 및 냉장고(1)의 후방을 향하는 제 2면(23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착부(234)는 제 1면(232)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면(232)에는 접근감지센서(50) 등과 같은 내장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에는 마이컴(9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95)이 배치될 수 있다. 마이컴(90)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95)은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제 2면(233)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는 디스플레이 장착부(234)가 마련되는 바디(23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는 바디(230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상면(2302) 및 바디(230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하면(23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부(239a)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부(239a)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상면(2302)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부(239a)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부(239a)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상면(2302)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40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부(239a)를 관통하여 후술할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결합부(249)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는 결합커버(260)의 결합편(261)이 장착되는 결합편 장착부(23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편 장착부(239b)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부(239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결합편 장착부(239b)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부(239a)로부터 도어(200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상면(2302)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편 장착부(239b)는 함몰부(239c)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커버(260)의 결합편(261)은 결합편 장착부(239b)의 함몰부(239c)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도어(2000)에 고정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는 도어 프레임(310)의 후방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는 회로기판 커버(210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前面)을 가지는 박스(box)형상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는 내측에 회로기판 커버(210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가 안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는 바디(2301)와 마주하는 베이스(250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결합부(2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결합부(249)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부(239a)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결합부(249)는 도어(2000)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베이스(250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결합부(249)는 보스(boss)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는 결합커버(260)의 체결편(262)이 장착되는 체결편 장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편 장착부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결합부(249)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회로기판 커버(2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2100)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2100)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 도어 프레임(31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회로기판 커버(2100)에는 개구(211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2111)는 방열구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예로써, 회로기판(95)에서 발생한 열은 개구(2111), 공기이동부(231), 덕트(390), 공기유동부(373) 및 적어도 하나의 슬릿(381) 또는 개구(2111), 공기이동부(231), 덕트(390), 공기유동부(373) 및 공기통과부(384)를 통과하여 도어(2000)의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결합커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커버(260)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의 조립 편의를 위한 구성이다. 결합커버(26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는 결합커버(260) 분리 후 고정부재(2400)에 의해 도어(2000)의 전후방향(X)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어(2000)의 전후방향(X)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어(2000)의 전후방향(X)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결합시킬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200)과 다른 외형을 가지게 된다.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오목부(224)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오목부(238)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외관상 더욱 깔끔한 디자인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조립이 용이하다.
디스플레이 유닛(200)은 도어(2000)의 전후방향(X)으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재(2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400)는 스크루(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400)는 도어(2000)의 전후방향(X)으로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2400)는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부(239a)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결합부(249)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유닛(200)을 구비하는 도어(2000)의 조립과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어 프레임(310)의 핸들 장착부(311)에 핸들(100)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가 도어 프레임(3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도어 프레임(310)에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를 결합시킨다. 도어 프레임(310)의 삽입 프레임(340)은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돌기(247)에 의해 삽입공간(244)으로 안내되고,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246)는 삽입 프레임(34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부(350)에 후크 결합된다.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 및 도어 프레임(310)의 결합이 완성되면 복수의 도어 캡(371,372) 및 도어 패널(360)을 도어 프레임(31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디스플레이 장착부(234)에 디스플레이(210)를 장착한 후, 디스플레이 글라스(220)가 디스플레이(210) 전면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에 디스플레이 글라스(220)를 부착한다. 그 후, 회로기판 커버(210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가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회로기판 커버(2100) 및 디스플레이 케이스(230)를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체결부(239a)를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 결합부(249)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24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를 도어(2000)의 전후방향(X)으로 고정 결합시킨다. 고정부재(2400)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케이스(230) 및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결합이 완료되면 외부에서 도어(2000) 내부의 구조가 보이지 않도록 결합커버(260)를 도어(2000)의 전면(前面)에 결합시킨다. 결합커버(260)는 디스플레이 글라스(2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도어(2000)의 전면(前面)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결합커버(260)의 결합편(261)은 디스플레이 케이스(230)의 결합편 장착부(239b)에 결합되고, 결합커버(260)의 체결편(262)은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240)의 체결편 장착부에 결합된다.
냉장고(1)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950)는 도어(20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950)는 도어(2000)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950)는 제 2도어 캡(372) 및 제 2도어 캡 커버(38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950)는 제 2도어 캡(372) 및 제 2도어 캡 커버(383)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4 도어 냉장고뿐만 아니라, SBS(Side by Side)형, TMF(Top Mounted Freezer)형, BMF(Bottom Mounted Freezer)형, FDR(French Door Refrigerator)형, 1 도어 형 등 냉장고의 타입에 구애됨이 없이 회전하는 도어를 가지는 냉장고에 두루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냉장고 10: 본체
11: 내상 12: 외상
20: 저장실 20a: 상부 저장실
20b: 하부 저장실 21: 수평 격벽
22: 수직 격벽 40: 디스펜서
41: 캐비티 42: 취출 레버
43: 디스펜서 상태표시창 44: 디스펜서의 하단부
50: 접근감지센서 55: 조도센서
60: 카메라 70a: 카메라 아이콘
70b: 목록 아이콘 70c: 홈 아이콘
70d: 되돌리기 아이콘 70e: 정보제공 아이콘
80: 통신모듈 85: 마이크
85a: 제 1마이크 85b: 제 2마이크
90: 마이컴 95: 회로기판
100: 핸들 101: 핸들의 상단부
110: 제 1핸들부재 111: 제 1고정프레임
111a: 제 1체결홀 112: 제 2고정프레임
112a: 체결부 112b: 제 2체결홀
113: 연결프레임 113a: 제 1연결부
113b: 제 2연결부 113c: 절곡부
120: 제 2핸들부재 120a: 일 면
121: 고정체결부 130: 제 3핸들부재
130a: 일 면 131: 고정결합부
200, 700: 디스플레이 유닛 201: 디스플레이 유닛 상단부
202: 디스플레이 유닛 하단부 340a: 결합편
203a: 우측 장변 203b: 좌측 장변
210: 디스플레이 220: 디스플레이 글라스
221: 터치 스크린 222: 제 1영역
223: 제 2영역 224: 오목부
230, 730: 디스플레이 케이스 231: 공기이동부
232: 제 1면 233: 제 2면
234: 디스플레이 장착부 235: 내장부품 배치부
236: 가압편 236a: 지지부
236b: 연장부 236c: 후크부
237: 지지 보스부 238: 오목부
240, 740: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241: 베이스
242: 내벽 243: 외벽
244: 삽입공간 245: 고정홈
246: 걸림부 247: 가이드돌기
250: 고정 유닛 251: 고정 바디
252: 가압부재 253: 고정 스크루
260: 결합 커버 300,300a,300b,300c,300d,1000: 도어
301: 도어의 전면 310: 도어 프레임
311: 핸들 장착부 312: 개구부
313: 제 1결합프레임 313a: 전면
313b: 제 1결합홀 313c: 통과홀
314: 제 2결합프레임 314a: 측면
314b: 제 2결합홀 321: 전면부
322: 측면부 330: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
340: 삽입 프레임 350: 결합부
360: 도어 패널 360a: 일 면
371, 971: 제 1도어 캡 372, 972: 제 2도어 캡
373: 공기유동부 380: 도어 캡 커버
381: 슬릿 390: 덕트
735: 지지부 736: 바디
737: 상면 738: 하면
746: 베이스 747: 상면
748: 하면 800: 고정부재
971a: 제 1보스부 972a: 제 2보스부
23: 선반 24: 밀폐 용기
25: 도어 포켓 382: 제 1도어 캡 커버
383: 제 2도어 캡 커버 384: 공기통과부
950: 스피커 13: 상면
14: 탑 커버 261: 결합편
262: 체결편 239a: 고정부재 체결부
239b: 결합편 장착부 239c: 함몰부
249: 고정부재 결합부 2000: 도어
2100: 회로기판 커버 2111: 개구
2200: 포트 커버 2222: 내부공간
2223: 커버 2400: 고정부재
2301: 바디 2302: 상면
2303: 하면 2501: 베이스

Claims (30)

  1. 본체;
    전면(前面)이 개방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前面)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글라스;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상기 도어에 고정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가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도어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일체로 고정 결합시키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를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복수의 도어 캡;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복수의 도어 캡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의 상하방향으로 상기 도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고정 결합시키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어 캡은,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도어 캡;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2도어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도어 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상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 1도어 캡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보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도어 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하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 2도어 캡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보스부가 마련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 1보스부 및 상기 제 2보스부 중 적어도 하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를 차례로 관통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부재의 일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
    상기 냉장고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삽입 프레임; 및
    상기 삽입 프레임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는,
    베이스; 및
    상기 냉장고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벽은,
    내벽; 및
    상기 내벽과의 사이에 상기 삽입 프레임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벽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벽과 마주하는 상기 외벽의 내면 및 상기 외벽과 마주하는 상기 내벽의 외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과 마주하는 상기 외벽의 내면 및 상기 외벽과 마주하는 상기 내벽의 외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삽입공간으로의 상기 삽입 프레임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실과 마주하는 일 면을 가지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도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스, 상기 복수의 도어 캡 및 상기 도어 패널은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지는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글라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 1영역; 및
    상기 제 1영역 이외의 제 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영역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 2영역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접근이 확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활성화시키도록 상기 제 2영역 후방에 대응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접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를 가지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글라스는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상기 도어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부착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글라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장착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부착되는 냉장고.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50187980A 2015-09-01 2015-12-28 냉장고 Active KR102470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9096 WO2017039194A1 (ko) 2015-09-01 2016-08-18 냉장고
CN201680063063.9A CN108351152B (zh) 2015-09-01 2016-08-18 冰箱
EP16842160.0A EP3336463B1 (en) 2015-09-01 2016-08-18 Refrigerator
US15/700,856 US9958199B2 (en) 2015-09-01 2017-09-11 Refrigerator
US15/935,362 US10317133B2 (en) 2015-09-01 2018-03-26 Refrigerator
US16/395,934 US10690404B2 (en) 2015-09-01 2019-04-2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23373 2015-09-01
KR1020150123373 2015-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247A KR20170027247A (ko) 2017-03-09
KR102470037B1 true KR102470037B1 (ko) 2022-11-23

Family

ID=58402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980A Active KR102470037B1 (ko) 2015-09-01 2015-12-28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9958199B2 (ko)
EP (1) EP3336463B1 (ko)
KR (1) KR102470037B1 (ko)
CN (1) CN1083511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372B1 (ko) * 2015-09-01 201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0037B1 (ko) * 2015-09-01 2022-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845999B1 (ko) * 2016-07-28 2018-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7763945B (zh) * 2016-08-19 2021-07-0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冰箱的门以及冰箱
KR102345097B1 (ko) * 2016-11-29 2021-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73092B1 (ko) * 2016-12-12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766528A (zh) * 2016-12-27 2017-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冷藏冷冻装置
US10275044B2 (en) * 2017-01-24 2019-04-3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ppliance with user presence detection
CN109974381B (zh) * 2017-12-27 2022-01-04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ES2923577T3 (es) 2018-01-17 2022-09-28 Anthony Inc Puerta para el montaje de un medio de visualización electrónico extraíble
KR102499468B1 (ko) * 2018-02-12 202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0873497A (zh) * 2018-08-30 2020-03-10 Lg电子株式会社 冰箱
KR102211191B1 (ko) 2018-12-07 202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168703B1 (ko) * 2018-12-10 2020-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633905B1 (ko) 2019-01-31 202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리 입력이 가능한 냉장고
DE102019203114A1 (de) * 2019-03-07 2020-09-10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r Anzeige- und/oder Bedieneinheit
CN111698849B (zh) * 2019-03-14 2023-09-1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
US10514722B1 (en) 2019-03-29 2019-12-24 Anthony, Inc. Door for mounting a removable electronic display
CN112304009B (zh) * 2019-08-02 2022-01-21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冰箱的门体及其装配方法
CN112797711A (zh) * 2019-11-13 2021-05-14 Lg电子株式会社 冰箱
KR20210125376A (ko)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28689A (ko) 2020-04-17 2021-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CN113865182B (zh) * 2020-06-30 2023-02-0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可更换门面的冰箱门
JP7369955B2 (ja) * 2020-07-14 2023-10-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KR20240102715A (ko) * 2022-12-26 202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81B1 (ko) * 2006-07-20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정보 관리 장치
US20100043466A1 (en) * 2005-06-23 2010-02-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152A (ko) 2001-12-20 2003-06-2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KR20030084071A (ko) 2002-04-24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김치냉장고의 데코레이션패널 고정구조
KR100488074B1 (ko) 2003-03-22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구조
KR100638898B1 (ko) 2004-07-31 2006-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 부설 냉장고
KR100690157B1 (ko) 2005-07-06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마이컴
KR100683816B1 (ko) * 2005-07-20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면글래스형 냉장고
KR20070035830A (ko) 2005-09-28 2007-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고정구조
KR100683818B1 (ko) 2005-09-28 200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고정구조
KR101167746B1 (ko) 2005-09-21 2012-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WO2007060188A2 (en) * 2005-11-24 2007-05-31 Arcelik Anonim Sirketi A household appliance
KR100663866B1 (ko) 2006-01-03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플레이의 결합구조
CN200965383Y (zh) * 2006-10-26 2007-10-24 海信集团有限公司 带有便于安装和维修的显示装置的门及带有这种门的冰箱
KR100886169B1 (ko) 2007-10-24 2009-02-2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터치버튼 장착구조
CN101469933B (zh) * 2007-12-28 2012-03-14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具有多媒体装置的家用电器
KR101346502B1 (ko) * 2008-02-21 201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조방법
KR101201511B1 (ko) 2010-07-15 2012-11-1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아웃도어의 디스플레이유닛 장착장치
KR101249495B1 (ko) * 2010-07-19 2013-04-0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디스플레이패널유닛 장착장치
KR20130021680A (ko) 2011-08-23 2013-03-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캡 구조
KR20130141975A (ko) 2012-06-18 2013-12-2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인체감지 방식의 김치냉장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EP2813884A1 (en) * 2013-02-21 2014-12-17 Onyx Display Media (Pty) Ltd. Transparent liquid crystal display arrangement for attachment to a transparent base structure
JP6240891B2 (ja) 2013-04-12 2017-12-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KR101728196B1 (ko) * 2013-04-26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20809B1 (ko) * 2013-08-22 2021-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954749B1 (ko) * 2014-04-01 2019-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5588400B (zh) * 2014-11-07 2018-04-13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冰箱控制方法
KR101659181B1 (ko) * 2014-12-22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2058456B1 (ko) * 2015-08-31 2019-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170026991A (ko) * 2015-09-01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0037B1 (ko) * 2015-09-01 2022-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736608B1 (ko) * 2015-11-27 201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10760B1 (ko) * 2016-01-05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2601892B1 (ko) * 2017-01-02 202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59753B1 (ko) * 2017-03-24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378360B1 (en) * 2017-03-24 2022-07-2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3466A1 (en) * 2005-06-23 2010-02-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0764281B1 (ko) * 2006-07-20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정보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6463A1 (en) 2018-06-20
US10690404B2 (en) 2020-06-23
US9958199B2 (en) 2018-05-01
US20180209722A1 (en) 2018-07-26
EP3336463B1 (en) 2024-02-28
CN108351152A (zh) 2018-07-31
CN108351152B (zh) 2020-08-28
US20170370636A1 (en) 2017-12-28
EP3336463A4 (en) 2018-09-05
KR20170027247A (ko) 2017-03-09
US10317133B2 (en) 2019-06-11
US20190249919A1 (en)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037B1 (ko) 냉장고
US12163733B2 (en) Refrigerator
US20240102727A1 (en) Refrigerator
CN111503960B (zh) 可输入声音的冰箱用帽装饰件
JP6458249B2 (ja) 冷蔵庫
JP6240890B2 (ja) 冷蔵庫
JP6240891B2 (ja) 冷蔵庫
CN112797711A (zh) 冰箱
AU2020393453B2 (en) Refrigerator
JP6201142B2 (ja) 冷蔵庫
JP6240889B2 (ja) 冷蔵庫
EP4212806A1 (en) Refrigerator
US20240210102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US20240125539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