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961B1 - A power management system of lecture room - Google Patents
A power management system of lecture roo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8961B1 KR102468961B1 KR1020200053952A KR20200053952A KR102468961B1 KR 102468961 B1 KR102468961 B1 KR 102468961B1 KR 1020200053952 A KR1020200053952 A KR 1020200053952A KR 20200053952 A KR20200053952 A KR 20200053952A KR 102468961 B1 KR102468961 B1 KR 1024689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sub
- management system
- cable
- power manag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3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selection of one or more conductors or channels from a plurality of conductors or chan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신호 범위를 넓히고, 통신 선로와는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에 관해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정해진 강의실 공간 내에 마련된 복수개의 전력사용 장치와, 상기 복수개의 전력 사용 장치들이 릴레이 접점을 통해 모두 연결된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들과, 상기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들과 서로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력사용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각각의 서브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를 직접 연결하는 티. 티. 피(TTP) 케이블과,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이더넷(Ethernet) 유. 디. 피(UDP)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이 동작되고, 상기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보여줄 수 있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를 구비하는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widening the signal range and operating independently of a communication line is disclose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power use devices provided in a designated classroom space, a plurality of sub-controllers connect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power use devices through relay contacts,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plurality of sub-controllers, A main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of the plurality of power-using devices and a T directly connecting each of the sub-controllers and the main controller. tea. A TTP cable and an Ethernet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ntroller and the main controller. d. Provided is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having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hrough UDP communication, running a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therein, and including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Description
본 발명은 학교의 강의실이나 복수개의 전력 사용 장치가 일정한 공간 내에 배치된 경우, 이 공간 내 있는 모든 전력 사용 장치의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network) 라인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통신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구축 가능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ly controlling power use of all power using devices in a school classroom or when a plurality of power us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certain sp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other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built independently without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line and without depending on other communication systems.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식 강의 장비가 사용되는 강의실에는 전자 교탁, 음향 장치, 전등 등과 같은 각종 전력 사용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력이 사용되는 장비의 전원을 켜거나/끄는(ON/OFF) 제어 방식은 대부분 사용자의 직접적 제어(control)에 의존하여 전력 사용 장치가 운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정확하게 전력 사용 장치를 켜거나 끄지 않으면 필요 없는 전력을 낭비하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전자 교탁이나 음향 장비와 같은 고가의 전력 사용 장치들은 이를 제대로 운용하지 못하는 사용자에 의해 운용될 경우, 종종 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최적의 상태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In general, lecture rooms in which various types of electronic lecture equipment are used are equipped with various power use devices such as electronic lecture tables, sound devices, and lights. However, most of the control methods for turning on/off the power of equipment using such power depend on the direct control of the user and are operated by the power-using device. Accordingly, when a user does not accurately turn on or off a power-using device, unnecessary power is wasted. At the same time, when operated by a user who is not able to properly operate expensive power-using devices such as electronic lecterns or sound equipment, they often cause problems or are not used optimally.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강의실과 같은 일정한 공간에 배치된 각종 전력 사용 장치들은 최적의 상태에서 전원을 효율적으로 켜거나 끌 수 있는 안정적 전력 제어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stable power control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turning on or off the power of various power-using devices disposed in a certain space such as a classroom is required in an optimal stat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강의실에 설치된 다른 통신 시스템의 신호 라인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운용되며, 학교 건물의 강의실에서 사용하지 않는 전력 사용 장치의 전력의 낭비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전력 사용 장치의 불필요한 조작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전력 사용 장치를 운용할 수 있는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to be achiev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independently without separately using signal lines of other communication systems installed in classrooms, and to efficiently prevent waste of power of power-using devices not used in classrooms of school building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stably operating a power using device by suppressing unnecessary manipulation of the power using devi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은, 정해진 강의실 공간 내에 마련된 복수개의 전력사용 장치와, 상기 복수개의 전력 사용 장치들이 릴레이 접점을 통해 모두 연결된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들과, 상기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들과 서로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력사용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각각의 서브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를 직접 연결하는 티. 티. 피(TTP) 케이블과,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이더넷(Ethernet) 유. 디. 피(UDP)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이 동작되고, 상기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보여줄 수 있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usage device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classroom space, a plurality of sub-controllers connected to all of the plurality of power usage devices through relay contacts, and the A main controll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a plurality of sub-controllers and controlling power of the plurality of power-using devices, and a T directly connecting each of the sub-controllers to the main controller. tea. A TTP cable and an Ethernet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ntroller and the main controller. d.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hrough UDP communication, running a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therein, and including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는, 개수가 2n(n=자연수)개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ub-controllers is 2 n (n = natural numb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 티. 피(TTP) 케이블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서 상기 서브 컨트롤러로 구형파 펄스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서브 컨트롤러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서브 컨트롤러에 연결된 복수개의 전력 사용 장치의 릴레이 접점 상태를 차동모드로 메인 컨트롤러로 보낼 수 있는 제2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e. tea. A TTP cable includes a first cable capable of controlling power of the sub-controller by transmitting a square wave pulse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to the sub-controller, and relay contact states of a plurality of power users connected to the sub-controller. It is suitable to include a second cable to be able to send to the main controller in differential mode.
이때, 상기 차동모드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1 케이블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전압 차이가 -0.2 V 이하이면 "0"으로 인식하고, +0.2 V이상이면 "1"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the differential m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controller recognizes as "0" when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first cable is less than -0.2 V, and recognizes it as "1" when it is greater than +0.2 V. do.
그리고, 상기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은, 상기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의 전력 제어를 개별적으로 할 수 있는 루틴과, 상기 복수개의 서부 컨트롤러의 전력 제어를 일괄적으로 할 수 있는 루틴을 포함할 수도 있다.Further, the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may include a routine capable of individually controlling power of the plurality of sub-controllers and a routine capable of collectively controlling power of the plurality of sub-controllers.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은, 전력을 제어하는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와, 각종 전력 사용 장치가 배치된 강의실에 있는 서브 컨트롤러의 신호 라인 연결이 통신선로와는 무관한 본 발명에 의한 티.티.피(TTP) 케이블에 의하여 차동 모드 전송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온/오프(ON/OFF) 신호의 송수신이 다른 통신 케이블을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더 멀리 있는 강의실까지 잡음 손실이 없고, 프로토콜의 오류없이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위차의 크기에 따른 간단한 전기적 신호의 인식에 의해 온/오프(ON/OFF) 신호의 송수신이 1.2㎞까지 전송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first, in the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lin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controller capable of issuing power control commands and the sub-controller in the classroom in which various power use devices are arranged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line. Since it is performed in differential mode transmission by the TTP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not rela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ON / OFF signals are farther than when using other communication cables. There is no noise loss and it can be transmitted stably without error in the protocol. Specifical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n ON/OFF signal can be transmitted up to 1.2 km by simple recognition of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potential difference.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은, 전력을 제어하는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와, 각종 전력 사용 장치가 배치된 강의실에 있는 서브 컨트롤러의 신호 라인 연결이 통신선로와는 무관한 본 발명에 의한 별도의 티.티.피(TTP) 케이블에 의하여만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통신 선로 혹은 통신 장비의 고장이나 점검과는 무관하게 강의실 전력 제어 시스템을 독립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것은, 통신 선로/장비의 보수 관리 주체가 전력 관리 시스템의 보수 관리 주체와 서로 다른 업체인 경우에 더욱 유리한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line connection between a main controller capable of issuing power control commands and a sub-controller in a classroom in which various power use devices are arranged communicates. It is made only by a separate T.T.P (TTP)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not related to the line. As a result, the classroom power control system can be independently operated regardless of failure or inspection of communication lines or communication equipment. In this case, a more advantageous synergistic effect can be obtained when the main body for maintenance management of the communication line/equipment is a different company from the main body for maintenance management of the power management system.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은, 전력을 제어하는 명령을 내릴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와, 각종 전력 사용 장치가 배치된 강의실에 있는 서브 컨트롤러의 신호 라인 연결에 통신 선로로 사용되는 이더넷 유.디.피 (UDP: User Datagram Protocol, 이하 'UDP'라 칭함) 케이블보다 가격이 저렴한 티.티.피(TTP) 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thernet cable used as a communication line for connecting a main controller capable of issuing power control commands and a signal line of a sub-controller in a classroom in which various power use devices are disposed. Since a TTP cable, which is cheaper than a D.P (User Datagram Protoc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UDP') cable, is used, cost reduction is effective.
마지막으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강의실 내에 배치된 각종 전력 사용 장치들을 온/오프 동작을 정해진 시간에 서브 컨트롤러를 통한 일괄적인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면서, 동시에 강의실 내에 배치된 각종 전력 사용 장치들을 온/오프 동작을 개별적으로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강의실에 배치된 전력 사용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력 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Fi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n/off operation of various power use devices disposed in the classroom can be collectively performed through the sub-controller at a predetermined time,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power use devices disposed in the classroom can be turned on/off. Since the off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dividual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power waste that may occur in power use devices disposed in classroo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Block diagram)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티.티.피(TTP) 케이블에 사용되는 꼬임 쌍선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메인 컨트롤러에서 서브 컨트롤러로 나가는 티.티.피(TTP) 케이블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메인 컨트롤러와 서브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티.티.피(TTP)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서브 컨트롤러에 연결된 전력 사용 장치를 켜는(ON)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서브 컨트롤러에 연결된 전력 사용 장치를 끄는(OFF)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서브 컨트롤러에 연결된 전력 사용 장치를 일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된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일 예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isted pair cable used in a TTP c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a TTP cable going from a main controller to a sub contro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TTP cable connecting a main controller and a sub contro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urning on (ON) a power use device connected to a sub-controller in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urning off a power using device connected to a sub controller in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ollectively controlling power using devices connected to sub-controllers in the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of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personal computer in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해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various changes may be applied.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s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onl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Block diagram) 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은, 정해진 강의실 공간(300) 내에 마련된 복수개의 전력사용 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정해진 강의실은 반드시 강의실이 아니어도 복수개의 전력 사용 장치가 정해진 공간에 밀집되어 배치된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전력 사용 장치(100)는, 전등, 전자교탁, 음향 시스템 등이 될 수 있으며, 기타 전력을 사용하는 다른 전기, 전자 장치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개의 전력 사용 장치들이 릴레이 접점을 통해 모두 연결된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200)들과, 상기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들과 서로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력사용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컨트롤러(200)는 강의실 공간(30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적합하다.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서브 컨트롤러(200)는 개수가 2n(n=자연수)개로서, 16, 32, 64 및 128개가 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전력 사용 장치들(100)의 입력 전원들과 연결되는 다수의 접점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400)는 제어 신호, 예컨대 100㎳ 구형파를 발생시킬 수 있는 파형 발생기 및 차동 모드(differential mode)의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고, 받을 수 있는 신호 처리부, 서브 컨트롤러(200) 및 개인용 컴퓨터(700)와 상호 연결될 수 있는 통신 포트 및 장치 전면에는 동작 상태를 LED로 표시할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각각의 서브 컨트롤러(200)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400)를 직접 연결하는 티. 티. 피(TTP: Two Twisted Pair, 이하 'TTP'라 칭함, 500)케이블과, 상기 메인 컨트롤러(400)와 이더넷(Ethernet) UDP 통신 케이블(600)을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이 동작되고, 상기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보여줄 수 있는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700)를 포함한다. 상기 개인용 컴퓨터(700)는 노트북, 태블릿 등과 같은 기타 단말 장치로 대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connects each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티.티.피(TTP) 케이블에 사용되는 꼬임 쌍선 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메인 컨트롤러에서 서브 컨트롤러로 나가는 티.티.피(TTP) 케이블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wisted pair cable used in a TTP c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tee going out from a main controller to a sub contro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icture showing the shape of a TTP cabl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꼬임 쌍선 케이블(Twisted Pair cable)은 플라스틱 커버(503) 안에 두 가닥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전선(501)이 절연체(502)에 의해 싸여져 있는 것을 개체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꼬임 쌍선 케이블은 도 4에 도시된 제1 케이블(510) 및 제2 케이블의 재질로 사용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a twisted pair cable refers to an object in which an
이때 두개의 전선(501)이 쌍으로 서로 꼬여있는 것은 일직선의 단선은 주변에 강한 전자기 신호가 있을 경우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기가 흐르게 되고, 만약 이러한 단선이 신호 케이블로 사용되면 잡음이 발생하여 신호를 왜곡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도면과 같이 두 개의 전선을 쌍으로 꼬아서 사용하여 전자기적 간섭을 상쇄시키기 위함이다. 도 3은 4개 군(group)의 꼬임 쌍선 케이블(530, 540, 550, 560)들이 서로 모여서 메인 컨트롤러(도1의 400)에서 서브 컨트롤러(도1의 200)로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다.At this time, the two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컨트롤러(400)에서 서브 컨트롤러(200)로 연결되는 TTP 케이블(500)은, 두 개의 신호라인, 예컨대 제1 케이블(510A, 510B, 510C)과 제2 케이블(520A, 520B, 520C)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서브 컨트롤러(200)를 3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2n(n=자연수)개로 적용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4 , the
이때, 상기 제1 케이블(510A, 510B, 510C)과 제2 케이블(520A, 520B, 520C)은 일반적인 통신과 같이 양방향 통신을 하지 않고 화살표와 같이 단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400)에서 상기 서브 컨트롤러(200)로 구형파 펄스 신호, 예컨대 100㎳의 구형파를 1회만 발생시켜 전송함으로써 상기 서브 컨트롤러(200)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케이블(510A, 510B, 510C)과, 상기 서브 컨트롤러(200)에 연결된 복수개의 전력 사용 장치(100)의 릴레이 접점 상태를 TTP+(전력사용장치 ON) 및 TTP-(전력사용장치 OFF) 신호를 통한 차동모드(differential mode) 신호로 상기 메인 컨트롤러(400)로 보낼 수 있는 제2 케이블(520A, 520B, 520C)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서브 컨트롤러(200)와 메인 컨트롤러(400)는 티.티.피 (TTP) 케이블(500), 예컨대 두 개(510, 520)의 꼬임 쌍선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때, 메인 컨트롤러(400)는 제1 케이블(510)을 통해 복수개의 전력 사용 장치(100)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구형파로 전송하고, 서브 컨트롤러(200)는 제2 케이블(520)을 통해 복수개의 전력 사용 장치(100)에 대한 릴레이 접점의 연결 상태를 전송한다.Accordingly, the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서브 컨트롤러에 연결된 전력 사용 장치를 켜는(ON)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urning on (ON) a power use device connected to a sub-controller in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개인용 컴퓨터(PC)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인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의 작동에 의해 전기 장치인 전력 사용 장치들 켜는 신호를 이더넷(Ethernet) UDP 케이블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S100)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TTP+ 신호, 도 4의 제1 케이블에서 + 라인과 - 라인의 전위차가 0.2V 이상 발생하는 100 ㎳ 구형파 차동 모드 신호를 1회만 서브 컨트롤러로 전송(S110)한다.Referring to FIG. 5, first,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which is a program operating on a personal computer (PC), a signal to turn on power consuming devices, which are electric devices,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through an Ethernet UDP cable (S100) do. The main controller transmits the TTP+ signal and the 100 ms square wave differential mode signal in which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 line and the - line in the first cable of FIG. 4 is 0.2 V or more to the sub controller only once (S110).
그러면 상기 서브 컨트롤러는 차동 모드 신호를 인식(S120)하고, 내부에 있는 릴레이 접점의 연결상태를 조정하여 전기 장치인 전력 사용 장치의 전원을 켜는(On) 동작을 수행(S130)한다.Then, the sub-controller recognizes the differential mode signal (S120), adjust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internal relay contact,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turning on the power of the electric device (S130).
이와 동시에 상기 서브 컨트롤러는 도 4의 제2 케이블을 통해 TTP+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에 전송(S140)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모든 전력 사용 장치의 켜진 상태(On)를 이더넷의 UDP 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PC)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개인용 컴퓨터는 도 8과 같은 표시 화면의 상태를 이에 적합하도록 조정한다.At the same time, the sub-controller transmits a TTP+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cable of FIG. 4 (S140), and the main controller transmits the turned-on state (On) of all power-using devices to a personal computer (through Ethernet UDP cable). PC) is sent. At this time, the personal computer adjusts the state of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8 appropriately.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서브 컨트롤러에 연결된 전력 사용 장치를 끄는(OFF)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urning off a power using device connected to a sub controller in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개인용 컴퓨터(PC)의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의 작동에 의해 전기 장치인 전력 사용 장치들 끄는 신호(OFF)를 이더넷(Ethernet) UDP 케이블을 통해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S200)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TTP+ 신호, 구체적으로 도 4의 제1 케이블에서 + 라인과 - 라인의 전위차가 0.2V 이상 발생하는 100 ㎳ 구형파 차동 모드 신호를 1회만 서브 컨트롤러로 전송(S210)한다.Referring to FIG. 6 ,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of the personal computer (PC), a signal (OFF) for power consuming devices, which are electrical devices,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through an Ethernet UDP cable (S200). The main controller transmits a TTP+ signal, specifically a 100 ms square wave differential mode signal in which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 line and the - line in the first cable of FIG. 4 is 0.2 V or more, to the sub controller only once (S210).
그러면 상기 서브 컨트롤러는 차동 모드 신호를 인식(S220)하고, 내부에 있는 릴레이 접점의 연결상태를 조정하여 전기 장치인 전력 사용 장치의 전원을 끄는(Off) 동작을 수행(S230)한다.Then, the sub-controller recognizes the differential mode signal (S220), adjusts the connection state of the internal relay contact,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electric device (S230).
한편, 상기 서브 컨트롤러는 도 4의 제2 케이블을 통해 TTP- 신호, 구체적으로 제2 케이블인 꼬임 쌍선 케이블의 +라인과 - 라인의 전위차가 -0.2V 이하인 신호를 메인 컨트롤러에 전송(S240)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모든 전력 사용 장치의 꺼진 상태(Off)를 이더넷의 UDP 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PC)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개인용 컴퓨터는 도 8과 같은 표시 화면의 상태를 이에 적합하도록 조정한다.Meanwhile, the sub-controller transmits a TTP- signal, specifically a signal in which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 line and the - line of the second cable, the twisted pair cable, is less than -0.2V to the main controller through the second cable of FIG. 4 (S240), , The main controller transmits the off state (Off) of all power using devices to a personal computer (PC) through an Ethernet UDP cable. At this time, the personal computer adjusts the state of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8 appropriately.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서브 컨트롤러에 연결된 전력 사용 장치를 일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ollectively controlling power using devices connected to sub-controllers in the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일괄 전력 제어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전력 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해서 진행되며, 강의실에 있는 모든 전력 사용 장치를 정해진 시간에 켜거나 끄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7, batch power control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a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which is an application program running on a personal computer, and can perform a function of turning on or off all power consuming devices in the classroom at a fixed time. , in detail, it is as follows.
먼저 개인용 컴퓨터의 전력 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내장된 시계를 모니터링 하다가 모든 전력 사용 장치의 전원을 일괄적으로 켜야(on) 할 시간인 제1 시간이 되면 동작을 시작(S300)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는 TTP+ 신호, 구체적으로는 100㎳의 구형파 신호를 서브 컨트롤러로 전송(S310)한다. 그러면 서브 컨트롤러는 상기 TTP+ 신호를 인식(S320)하고, 모든 전기 장치인 전력 사용 장치의 전원을 켜는 동작(On)을 수행(S330)한다.First, the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of the personal computer monitors the clock built into the personal computer, and when the first time, which is the time to collectively turn on the power of all power-using devices, starts operation (S300). Then, as shown in FIG. 5, the main controller transmits the TTP+ signal, specifically, the square wave signal of 100 ms to the sub controller (S310). Then, the sub-controller recognizes the TTP+ signal (S320) and performs an operation (S330) of turning on the power of all electric devices, that is, power users.
이어서 개인용 컴퓨터의 전력 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에서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내장된 시계를 계속 모니터링 하다가 모든 전력 사용 장치의 전원을 일괄적으로 꺼야(Off) 할 시간인 제2 시간이 되면 다시 동작을 시작(S340)한다. 그러면 앞서 설명된 도 6과 같이 메인 컨트롤러는 TTP+ 신호, 구체적으로는 100㎳의 구형파 신호를 서브 컨트롤러로 전송(S350)한다. 그러면 서브 컨트롤러는 상기 TTP+ 신호를 인식(S360)하고, 모든 전기 장치인 전력 사용 장치의 전원을 끄는 동작(Off)을 수행(S370)한다.Subsequently, the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of the personal computer continues to monitor the clock built into the personal computer, and when the second time, which is the time to collectively turn off the power of all power-using devices, starts operating again (S340). . Then, as shown in FIG. 6 described above, the main controller transmits a TTP+ signal, specifically, a square wave signal of 100 ms to the sub controller (S350). Then, the sub-controller recognizes the TTP+ signal (S360), and performs an operation (S370) to turn off the power of all electrical devices that use power.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강의실 전력 관리 시스템에서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된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일 예이다.8 is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of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 personal computer in a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개인용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에서 서브 컨트롤러의 전력 제어를 개별적으로 할 수 있는 루틴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표시 화면(710)은 전력 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상태를 보여준다.Referring to FIG. 8 , a routine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power of sub-controllers in a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operating in a personal computer will be described. The
상단 좌측에 표시된 아이콘인 "Setting"(712)은 설정 화면을 팝업(pop-up)으로 띄울 때 사용된다. 도면에서 가로 방향의 아이콘들(210A, 210B, 210C, 210D)는 각각의 서브 컨트롤러의 상태를 표시하는 아이콘이다. 상기 각각의 서브 컨트롤러(210A, 210B, 210C, 210D)에는 8개의 전력 사용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8개의 전력 사용 장치는 예시적일 뿐, 그 개수는 설계자에 따라 조정이 가능한다. “Setting” 712, an icon displayed on the upper left, is used to open a setting screen as a pop-up. In the drawing,
상기 각각의 전력 사용 장치(4 X 8)들은 각각 온 오프(On/Off) 아이콘을 포함하고 있으며, 운용자는 상기 온 오프(On/Off) 아이콘을 클릭하여 각각의 전력 사용 장치에 대한 켜거나 끄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320 및 330은 "All On", "All Off"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콘으로 표시화면에서 시간에 관계없이 모든 전력 사용 장치를 동시에 켜거나 끌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일 우측 상단에 있는 "Close" 아이콘(714)은 전력 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의 표시 화면(710)을 종료할 때 사용하는 아이콘이다.Each of the power consuming devices (4 X 8) includes an on/off icon, and the operator clicks the on/off icon to turn on or off each power consuming device. action can be performed. In the draw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0: 전력 사용 장치, 200: 서브 컨트롤러들,
300: 강의실 공간, 400: 메인 컨트롤러,
500: TTP 케이블, 510: 제1 케이블,
520: 제2 케이블, 600: 이더넷 UDP 통신 케이블,
700: 개인용 컴퓨터, 710: 개인용 컴퓨터의 표시화면.100: power usage device, 200: sub-controllers,
300: classroom space, 400: main controller,
500: TTP cable, 510: first cable,
520: second cable, 600: Ethernet UDP communication cable,
700: personal computer, 710: display screen of a personal computer.
Claims (7)
상기 복수개의 전력 사용 장치들이 릴레이 접점을 통해 모두 연결된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들;
상기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들과 서로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력사용 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각각의 서브 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를 직접 연결하되,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서 상기 서브 컨트롤러로 TTP+ 신호인 구형파 펄스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서브 컨트롤러의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케이블과, 상기 서브 컨트롤러에 연결된 복수개의 전력사용 장치의 릴레이 접점 상태를 TTP+ 혹은 TTP-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할 수 있는 제2 케이블을 포함하는 티. 티. 피(TTP) 케이블;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이더넷(Ethernet) 유. 디. 피(UDP)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이 동작되고, 상기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보여줄 수 있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개인용 컴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실 전력관리 시스템. A plurality of power use devices provided within a designated classroom space;
a plurality of sub-controllers to which all of the plurality of power usage devices are connected through relay contacts;
a main controll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plurality of sub-controllers and controlling power of the plurality of power-using devices;
A first cable capable of directly connecting each of the sub-controllers and the main controller and controlling power of the sub-controller by transmitting a square wave pulse signal, which is a TTP+ signal, from the main controller to the sub-controller; A T including a second cable capable of transmitting relay contact states of a plurality of connected power devices to the main controller using a TTP+ or TTP- signal. tea. blood (TTP) cable;
The above main controller and Ethernet connection. d. Classroom power management comprising a personal computer connected through a UDP communication cable, running a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therein, and including a display device capable of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system.
상기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는, 개수가 2n(n=자연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실 전력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ub-controllers, the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2 n (n = natural number).
상기 제2 케이블의 TTP+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2 케이블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전압 차이가 +0.2 V이상으로 이를 "1"로 인식하고, 서브 컨트롤러의 전기 장치가 켜진 온(ON) 상태의 값을 이더넷의 UDP 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게 하고,
상기 제2 케이블의 TTP- 신호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2 케이블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의 전압 차이가 -0.2 V 이하로 이를 "0"으로 인식하고, 서브 컨트롤러의 전기 장치가 꺼진 오프(OFF) 상태의 값을 이더넷의 UDP 케이블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실 전력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TTP+ signal of the second cable,
The main controller recognizes that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second cable is +0.2 V or more as “1”, and the value of the ON state in which the electrical device of the sub controller is turned on is converted to the Ethernet UDP cable. to a personal computer via
The TTP-signal of the second cable is
The main controller recognizes that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second cable is less than -0.2 V as "0", and the value in the OFF state when the electric device of the sub controller is turned off is converted to the Ethernet UDP cable.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a personal computer through.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은,
상기 복수개의 서브 컨트롤러의 전력 제어를 개별적으로 할 수 있는 루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실 전력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of the personal computer,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utine capable of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sub-controllers.
상기 개인용 컴퓨터의 전력관리 시스템 프로그램은,
상기 복수개의 서부 컨트롤러의 전력 제어를 일괄적으로 할 수 있는 루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실 전력관리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management system program of the personal computer,
Classroom power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utine capable of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plurality of sub-controll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952A KR102468961B1 (en) | 2020-05-06 | 2020-05-06 | A power management system of lecture roo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952A KR102468961B1 (en) | 2020-05-06 | 2020-05-06 | A power management system of lecture roo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5825A KR20210135825A (en) | 2021-11-16 |
KR102468961B1 true KR102468961B1 (en) | 2022-11-21 |
Family
ID=7871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3952A Active KR102468961B1 (en) | 2020-05-06 | 2020-05-06 | A power management system of lecture roo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8961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3762A (en) * | 1991-09-21 | 1993-04-02 | Hitachi Ltd | Home automation system |
KR100951087B1 (en) | 2009-05-19 | 2010-04-05 | 주식회사 로보티어 | Automation system for watching and managing power in school |
KR20130103095A (en) * | 2012-03-09 | 2013-09-23 | 최훈규 | Classroom controlling system |
-
2020
- 2020-05-06 KR KR1020200053952A patent/KR102468961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5825A (en) | 2021-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60105021A1 (en) | Optical Wiring Systems and Methods | |
CN108647164B (en) | Cable with circuit arrangement for communicating transmission performance information | |
CN103534657B (en) | A kind of power supply circuits and power supply panel | |
US20090234990A1 (en) | Kvm switch system supporting dvi video format | |
KR102468961B1 (en) | A power management system of lecture room | |
WO2023226770A1 (en) | Lighting device and system, and connection method | |
CN201821447U (en) | Device for transmitting videos, audios, control signals and power supplies in long distance | |
CN109359078A (en) | A kind of self-adapting serial port interface circuit and its control method for middle control host | |
JPH0628064A (en)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 |
US8295702B2 (en) | Optical media converter system | |
CN216249208U (en) | MIC circuit of intelligent networking equipment | |
US20190372928A1 (en) | Ip address display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unit and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using the same | |
CN114966134A (en) | A full-signal testing device and method | |
JP2001134346A (en) | Remote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 |
CN203368655U (en) | Television one body machine with wireless WIFI signal transmitting function | |
CN203967398U (en) | A kind of wall formula supply socket with EOC function | |
CN107562165B (en) | A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management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a server | |
US20070115136A1 (en) | Contact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 |
CN209298917U (en) | Power supply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217467980U (en) | Electronic piano | |
CN210776275U (en) | Motion sensing special effect control system based on network communication | |
CN217088074U (en) | Remote maintenance connection module | |
US9281867B2 (en) | Power line communication device switchable between noise detecting and filtering functions | |
US20100061387A1 (en) | Network signal auto switching device that prevents interruption of wan signal | |
CN207408849U (en) | A kind of central control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6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10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