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902B1 - Hydraulic supply device for rotary quick coupler - Google Patents
Hydraulic supply device for rotary quick coup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7902B1 KR102467902B1 KR1020210186419A KR20210186419A KR102467902B1 KR 102467902 B1 KR102467902 B1 KR 102467902B1 KR 1020210186419 A KR1020210186419 A KR 1020210186419A KR 20210186419 A KR20210186419 A KR 20210186419A KR 102467902 B1 KR102467902 B1 KR 1024679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aulic
- line
- block
- hydraulic pressure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energy coupler, e.g. coupler for hydraulic or electric lines, to provide energy to drive(s) mounted on the too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redundant latching means, e.g. for safety purpos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블록의 제1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구동블록 및 회전플레이트를 지나 공급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회전플레이트에 구동블록의 제2유압라인과 연결되는 제3유압라인이 구비되므로 공급관의 커넥터가 설치되는 장착돌기와 회전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던 유압튜브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 유압공급장치의 설치구조가 간소화되고, 유압공급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for a rotary quick coupler, and more particularly,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a first hydraulic line of a fixed block is driven to a rotating plate so that it can be supplied to a supply pipe through a driving block and a rotating plate Since the third hydraulic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hydraulic line of the block is provided,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hydraulic supply device is simplified because the installation of the hydraulic tube installed between the mounting protrusion and the rotating plate where the connector of the supply pipe is installed can be omitted. It relates to a hydraulic supply device for a rotary quick coupler that can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installing the supply device.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의 건설, 토목용 중장비에서는 브레이커, 버킷, 크러셔 등의 작업기구를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땅에서 파낸 흙을 처리하거나 암석 등을 파쇄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게 되며, 이들 작업기구들은 작업의 내용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in heavy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work tools such as breakers, buckets, and crushers are used to dig the ground, treat soil dug out from the ground, or crush rocks, etc. These work tools are They are used interchangeably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work.
종래에 작업기구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는, 굴삭기의 암대 선단에 한 쌍의 결합핀으로 커플러가 결합되고, 커플러 일측에는 고정후크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가동후크가 회동 가능케 결합되며, 가동후크는 커플러 내에 장착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Conventionally, in a device for coupling working tools, a coupler is coupled with a pair of coupling pins to the front end of an arm of an excavator, a fixed hook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pler, and a movable hoo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the movable hook is inside the coupler. It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operation of the mounted cylinder.
그리고 고정후크 및 가동후크에는 작업기구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핀이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a fixing pi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ing tool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ok and the movable hook so that the coupling is made.
따라서 암대의 선단에 결합된 커플러를 작업기구의 상측에 근접시키고 고정후크에는 고정핀을 삽입시키고 타측의 가동후크에는 다른 고정핀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가동후크는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개폐작동되어 내부에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coupler coupled to the tip of the arm stand is brought close to the upper side of the work tool, a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ok, and another fixing pin is coupled to the movable hook on the other side. The movable hook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to The fixing pin is engag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가동후크를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유압의 작용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석에서 작업기구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함은 있으나 커플러의 내측에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라인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장치가 복잡해지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is made by a cylinder operated by the action of hydraulic pressure as a means of operating the movable hook, so it is convenient to combine or separate work tools from the driver's seat, but it is difficult to supply hydraulic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coupler to the cylinder. There were inherent problems such as complexity of the device and increase in cost due to the need for a hydraulic lin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굴삭기용 퀵커플러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굴삭기용 퀵커플러에는 퀵커플러의 가동후크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과, 퀵커플러에 설치되는 어태치먼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공급하도록 암대를 따라 제공되는 유압을 퀵커플러 또는 어태치먼트에 공급하는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quick coupler for an excavator has been developed, and in the quick coupler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ydraulic pressure for driving the movable hook of the quick coupler and hydraulic pressure for driving an attachment installed in the quick coupler are supplied. A hydraulic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provided along the arm to a quick coupler or attachment is installe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8331호(2009년 11월 18일 공개, 발명의 명칭 : 굴삭기용 퀵커플러)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18331 (published on November 18, 2009, title of the invention: quick coupler for excavator).
종래기술에 따른 유압공급장치는, 퀵커플러가 본체와 회전블록으로 구분되는 회전형 퀵커플러에 적용되는 경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본체로부터 회전블록에 유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정블록 및 구동블록이 구비되고, 구동블록을 지나 공급되는 유압을 어태치먼트에 연결할 수 있도록 별도의 유압튜브 및 커넥터가 설치되므로 유압라인의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공간이 협소한 구동블록과 어태치먼트 사이의 간격에서 유압튜브와 커넥터를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없고, 유압공급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e hydraulic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quick coupler is applied to a rotary quick coupler divided into a main body and a rotary block, a fixed block and a driving block are provided to provide hydraulic pressure from a main body rotatably connected to a rotary block. Since a separate hydraulic tube and connector are installed to connect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driving block to the attachment,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hydraulic line is complicated and the hydraulic tube and Since the connector must be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and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installing the hydraulic supply device.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고정블록의 제1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구동블록 및 회전플레이트를 지나 공급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회전플레이트에 구동블록의 제2유압라인과 연결되는 제3유압라인이 구비되므로 공급관의 커넥터가 설치되는 장착돌기와 회전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던 유압튜브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 유압공급장치의 설치구조가 간소화되고, 유압공급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ird hydraulic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hydraulic line of the driving block is provided on the rotating plate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first hydraulic line of the fixed block can be supplied to the supply pipe through the driving block and the rotating plate, the supply pipe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hydraulic supply device is simplified because the installation of the hydraulic tube installed between the mounting protrusion and the rotating plate where the connector is installed can be omitted, and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installing the hydraulic supply device can be reduce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hydraulic supply device for couplers.
본 발명은, 중장비의 암대에 설치되는 본체의 고정블록에 구비되고, 유압이 통과되는 제1유압라인; 상기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제1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통과되는 제2유압라인; 및 상기 구동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블록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제2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통과되는 제3유압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블록을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작업만으로 상기 제2유압라인과 상기 제3유압라인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ixed block of the main body installed on the arm of the heavy equipment, the first hydraulic line through which the hydraulic pressure passes; a second hydraulic line provided in a driving bloc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lock and through which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first hydraulic line passes; and a third hydraulic line coupled to the driving block, provided on a rotation plate installed on a rotation block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rough which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hydraulic line passes, wherein the dri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work of the second hydraulic line and the third hydraulic line is completed only by the operation of coupling the block to the rotation plat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유압라인은, 상기 구동블록이 삽입되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단차홈부에 형성되는 연결홀부; 상기 연결홀부로부터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따라 측 방향으로 분기되는 수평라인; 및 상기 수평라인으로부터 굴곡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장착돌기까지 연장되는 수직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hydraulic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hole formed in a stepped groove of the rotating plate into which the driving block is inserted; a horizontal line branching from the connection hole in a lateral direction along the rotating plate; and a vertical line bent from the horizontal line and extending to the mounting protrusion of the rotating plat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장착돌기에는 상기 수직라인과 공급관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설치되도록 장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라인은 상기 장착홀부와 통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protru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unting hole portion is formed so that a connector connecting the vertical line and the supply pipe is installed, and the vertical line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mounting hol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홀부, 상기 수평라인 및 상기 수직라인은, 각각 한 쌍씩 구비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연결홀부, 상기 수평라인 및 상기 수직라인이 구비되어 유압 공급라인과 회수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hole part, th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provided with a pair, and the connection hole part, th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ar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to connect the hydraulic supply line and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recovery line.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는, 고정블록으로부터 구동블록까지 연결되는 제1유압라인 및 제2유압라인과 연결되는 제3유압라인이 구동블록이 연결되는 회전플레이트에 구비되고, 회전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장착돌기까지 제3유압라인이 연장되므로 장착돌기에 설치되는 커넥터에 별도의 유압튜브 없이 유압을 공급할 수 있어 어태치먼트까지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장치의 부품수가 감소되고, 작업자가 용이하게 유압공급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어태치먼트까지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장치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Hydraulic supply device for a rotary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hydraulic line connected from a fixed block to a driving block and a third hydraulic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hydraulic line are provided on a rotating plate to which the driving block is connected, Since the third hydraulic line extends to the mount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rotating plate, it is possible to supply hydraulic pressure to the connector installed on the mounting protrusion without a separate hydraulic tube,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of the hydraulic supply device that supplies hydraulic pressure to the attachment and making it easier for the operator. It is possible to install a hydraulic supply device,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installation of a hydraulic supply device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n attach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는, 구동블록이 연결되는 회전플레이트의 단차홈부에 제2유압라인과 연결되는 연결홀부가 형성되고, 연결홀부로부터 장착돌기까지 연장되는 수평라인 및 수직라인이 구비되어 제3유압라인을 이루므로 구동블록을 회전플레이트의 단차홈부에 삽입하고 연결하는 작업만으로 구동블록으로부터 장착돌기까지 연결되는 제3유압라인의 설치가 이루어져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유압공급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hydraulic supply device for a rotary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on hol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hydraulic line is formed in the stepped groove portion of the rotation plate to which the driving block is connected, and a horizontal line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hole portion to the mounting protrusion And since the vertical line is provided to form the third hydraulic line, the third hydraulic line connected from the driving block to the mounting protrusion can be installed only by inserting and connecting the driving block into the stepped groove of the rotating plate to promote operator convenien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re effectively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installing the hydraulic suppl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메인핀 고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메인핀 고정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간극조절부, 메인핀 고정부 및 구동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고정블록 회전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고정블록 회전방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quick coupler in which a hydraulic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in fixing device of a quick coupler in which a hydraulic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in fixing device of a quick coupler in which a hydraulic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p adjustment unit, a main pin fixing unit and a driving unit of a quick coupler in which a hydraulic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block anti-rotation portion of the quick coupler to which the hydraulic supply devic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ed block anti-rotation portion of the quick coupler to which the hydraulic supply devic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ydraulic supply of the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hydraulic pressure supply unit of a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ydraulic supply unit of a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a hydraulic supply device for a rotary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메인핀 고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메인핀 고정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quick coupler in which a hydraulic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2 is a main pin fixing device of a quick coupler in which a hydraulic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 perspective view, and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in fixing device of a quick coupler in which a hydraulic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간극조절부, 메인핀 고정부 및 구동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고정블록 회전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장치가 설치되는 퀵커플러의 고정블록 회전방지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ap adjusting unit, a main pin fixing unit and a driving unit of a quick coupler in which a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hydraulic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rotation part of a fixed block of a quick coupler in which a supply device is installed,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rotation part of a fixed block of a quick coupler in which a hydraulic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유압공급부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ydraulic supply of the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hydraulic supply of the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hydraulic supply unit of the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는, 중장비 암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플레이트(12)를 구비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양한 어태치먼트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플레이트(32)를 구비하는 회전블록(30)과, 회전블록(3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연결플레이트(12)와 회전플레이트(32)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부(34)와, 암대를 따라 본체(10)에 공급되는 유압을 회전블록(30) 또는 어태치먼트에 공급하는 유압공급부(90)와, 본체(10)에 암대 또는 스마트집게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메인핀(14)과, 메인핀(14)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10) 또는 스마트집게가 암대로부터 오작동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메인핀(14) 고정부(70)와, 유압공급부(90)의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블록(52)을 구속하는 고정블록(52) 회전방지부(80)를 포함한다.1 to 9, the quick coup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installed on a heavy equipment arm, and has a
따라서 본 실시예는, 유압공급부(90)를 통해 본체(10)를 지나 회전블록(30)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가동후크가 구동되면서 회전블록(30)에 어태치먼트를 연결할 수 있게 되고, 구동부(34)의 작동에 의해 회전블록(30)이 회전되면서 어태치먼트가 구동되어 다양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movable hook is driven by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이때, 유압연결부(50)를 통해 어태치먼트에 전달되는 유압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구동되어 땅을 파거나 흙, 자갈, 모레 등의 이송대상물을 나르는 등의 다양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attachment is driven by the hydraulic pressure transmitted to the attachment through the
또한, 본체(10)의 메인핀(14)에 연결되는 스마트집게를 구동시켜 다양한 크기의 작업대상물을 거치하거나 분쇄할 수 있는데, 이때, 메인핀(14)에 연결되는 스마트집게 또는 암대의 회전운동에 의해 메인핀(14)이 본체(10)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메인핀(14) 고정부(70)에 의해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driving the smart tongs connected to the
본 실시예의 메인핀(14) 고정부(70)는, 본체(10)에 일체로 결합되고, 메인핀(14)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정편(72)과, 고정편(72)에 조립되어 상기 메인핀(14)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편(74)과, 체결편(74)을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부(76)를 포함한다.The
따라서 메인핀(14)을 고정시킬 때에는 고정편(72)을 본체(10)의 외벽과 메인핀(14)의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하여 메인핀(14)의 둘레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고정시키고, 메인핀(14)의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체결편(74)을 본체(10)의 외벽과 메인핀(14)의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에 삽입하여 고정편(72)과 체결편(74)을 조립하고, 체결편(74)에 착탈부(76)를 결합시켜 체결편(74)을 본체(10)에 고정함과 동시에 체결편(74)이 고정편(72)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메인핀(14)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게 된다.Therefore, when fixing the
본 실시예의 고정편(72)은, 메인핀(14)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1안착홈부(72a)와, 제1안착홈부(72a)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고, 체결편(74)에 삽입되는 제1조립돌기(72b)와, 제1조립돌기(72b)와 제1안착홈부(72a) 사이에 구비되는 제1결합단차(72c)를 포함한다.The
또한, 본 실시예의 체결편(74)은, 메인핀(14)의 나머지 부분이 삽입되는 제2안착홈부(74a)와, 제2안착홈부(74a) 양단부에 배치되고, 제1결합단차(72c)에 안착되는 제2조립돌기(74b)와, 제2조립돌기(74b)의 외측부에 구비되고, 제1조립돌기(72b)가 안착되는 제2결합단차(74c)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고정편(72)을 메인핀(14)의 둘레면 일부분에 밀착되도록 본체(10) 외벽과 메인핀(14)의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에 고정편(72)을 삽입하면 메인핀(14)의 둘레면 일부분이 제1안착홈부(72a)에 삽입되어 밀착되고, 메인핀(14)의 둘레면 나머지 부분을 감싸도록 체결편(74)을 본체(10) 외벽과 메인핀(14)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에 삽입하면 제1조립돌기(72b)가 제2결합단차(74c)에 안착되고, 제2조립돌기(74b)가 제1결합단차(72c)에 안착되면서 고정편(72)과 체결편(74)이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된다.Therefore, when the
이후에, 체결편(74)의 타측 단부를 착탈부(76)에 의해 본체(10)에 결합시키면 고정편(72) 및 체결편(74)에 의해 메인핀(14)의 둘레면이 모두 구속되므로 메인핀(14)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n, when the other end of the
메인핀(14)의 양단부에는 메인핀(14)의 단면적과 비교하여 넓은 스토퍼(14b)가 형성되므로 스마트집게의 단부가 본체(10) 외벽과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마트집게와 본체(10) 사이의 간격에 고정편(72) 및 체결편(74)이 개재되어 고정편(72)과 체결편(74)이 조립된다.At both ends of the
본 실시예의 고정편(72)은, 메인핀(14) 둘레면 일부분을 감싸도록 본체(10) 외벽과 스토퍼(14b) 사이의 간격에 삽입된 후에 용접작업에 의해 본체(10) 외벽에 일체로 고정되고, 체결편(74)은 고정편(72)과 조립되도록 본체(10) 외벽과 스토퍼(14b) 사이에 삽입된 후에 착탈부(76)를 체결편(74) 및 본체(10)에 체결하여 체결편(74)을 본체(10)에 일체로 결합시키게 된다.The
본 실시예의 착탈부(76)는, 체결편(74) 일측부에 구비되고 본체(1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76b)가 관통되는 체결홀부(76a)와, 체결홀부(76a)를 관통하여 본체(1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76b)를 포함한다.The
체결편(74)의 일단에는 제2안착홈부(74a), 제2조립돌기(74b) 및 제2결합단차(74c)가 형성되고, 체결편(74)의 타단에는 체결홀부(76a)가 형성되므로 체결부재(76b)를 체결홀부(76a)에 삽입하여 본체(10)에 체결하면 체결편(74)이 본체(10)에 결합되어 고정편(72)과 체결편(74)의 조립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A
본 실시예의 고정편(72)과 체결편(74)은, 제1조립돌기(72b) 및 제2조립돌기(74b)가 제1결합단차(72c) 및 제2결합단차(74c)에 의해 구속되도록 조립되므로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고정편(72)과 체결편(74)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고정편(72)과 체결편(74)의 조립을 손쉽게 이룰 수 있고, 고정편(72)과 체결편(74) 조립에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In the fix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고정편(72) 및 체결편(74)의 간단한 조립에 의해 메인핀(14)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암대로부터 본체(10)가 회전되거나 스마트집게가 회전될 때에 메인핀(14)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메인핀(14) 공회전에 의한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dle rotation of the
또한, 본 실시예는, 본체(10)에 연결되는 회전블록(30)이 구동부(34)의 작동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다양한 작동을 구현하게 되는데, 이때, 본체(10)에 고정되고, 회전블록(30)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블록(52) 회전방지부(80)가 구비므로 회전블록(30)의 회전운동에 의해 고정블록(52)이 공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ile the
본 실시예의 고정블록(52) 회전방지부(80)는, 본체(10)에 공급되는 유압이 연결되도록 유압라인을 구비하고, 본체(10)에 설치되는 고정블록(52)과, 고정블록(5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본체(10)에 결합되는 구속부재(82)와, 구속부재(82)와 고정블록(52)을 연결하여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고정부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의 고정블록(52)은 수직방향으로 긴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의 단면적이 보다 넓게 형성되어 볼트 모양과 유사한 모양으로 형성되고, 고정블록(52)의 상부에는 다수 개의 유압홀부(92a)가 형성되고, 각각의 유압홀부(92a)에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다수 개의 유압튜브가 연결되고, 유압튜브 및 연결부재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은 고정블록(5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유압라인(92)을 따라 고정블록(52)의 하측으로 공급되고, 고정블록(52)의 하부에 연결되는 구동블록(54)에 유압을 제공하게 된다.The fixing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고정블록(52)은 연결플레이트(12)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고, 고정블록(52)의 상부는 구속부재(82) 및 구속고정부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2)에 고정되고, 고정블록(52)의 하부에는 구동블록(54)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구동블록(54)은 회전플레이트(32)에 결합되어 회전블록(30)에 일체로 연결된다.The fixing
따라서 고정블록(52)에 공급되는 유압은 유압공급부(90)에 의해 구동블록(54)을 지나 회전플레이트(32)에 공급되고, 회전플레이트(32)에 연결되는 공급관(99)을 따라 회전블록(30)에 구비되는 실린더 또는 회전블록(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태치먼트에 유압을 공급하게 된다.Therefore,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fixed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공급부(90)의 작동에 의해 본체(10)에 고정된 고정블록(52)과, 회전블록(30)에 설치되는 구동블록(54)을 따라 유입이 공급되고, 구동부(34)의 작동에 의해 회전블록(30) 및 구동블록(54)이 고정블록(5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도 고정블록(52)으로부터 구동블록(54), 회전플레이트(32)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므로 회전블록(30)에 설치되는 실린더의 구동 및 어태치먼트의 구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flow is supplied along the fixed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블록(30)이 고정블록(52)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안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고정블록(52) 회전방지부(80)의 작용에 의해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 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블록(52) 공회전에 의한 유압의 유실과, 고정블록(52), 연결플레이트(12) 또는 회전블록(3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본 실시예의 구속고정부는,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구속홈부(84)와, 구속홈부(84)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도록 구속부재(8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돌기(86)와, 구속부재(82)를 관통하여 본체(10)에 결합되어 본체(10)와 구속부재(82)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구속볼트(88)를 포함한다.The restraining fixing part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restraining
따라서 구속돌기(86)가 구속홈부(84)에 삽입되도록 구속부재(82)를 고정블록(52) 주변에 안착시킨 후에 구속볼트(88)로 구속부재(82)를 연결플레이트(12)에 고정시키면 구속부재(82)가 연결플레이트(12)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블록(52)의 회전운동을 구속하게 되므로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fter the restraining
본 실시예의 구속돌기(86)는, 구속부재(82)의 일단으로부터 고정블록(52)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기(86a)와, 구속부재(82)의 타단으로부터 고정블록(52)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기(86b)와, 구속부재(82)의 중앙부로부터 고정블록(52)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는 제3돌기(86c)를 포함한다.The restraining
또한, 본 실시예의 구속홈부(84)는, 제1돌기(86a)가 삽입되도록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제1홈부(84a)와, 제2돌기(86b)가 삽입되도록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제2홈부(84b)와, 제3돌기(86c)가 삽입되도록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제3홈부(84c)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straining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블록(52)의 둘레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제1홈부(84a), 제2홈부(84b) 및 제3홈부(84c)가 형성되고, 제1홈부(84a), 제2홈부(84b) 및 제3홈부(84c)에 삽입되는 제1돌기(86a), 제2돌기(86b) 및 제3돌기(86c)가 형성되는 구속부재(82)가 구속볼트(88)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2)에 일체로 결합되므로 고정블록(52)은 구속부재(82)에 의해 회전운동이 구속된 상태로 연결플레이트(12)에 결합되어 본체(10)로부터 고정블록(52)이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본 실시예는, 제1돌기(86a) 내지 제3돌기(86c)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구속돌기(86)가 각각 제1홈부(84a) 내지 제3홈부(84c)로 이루어지는 구속홈부(84)에 삽입되므로 구속부재(82)로부터 고정블록(52)이 공회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고정블록(52)이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는 것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restraining
본 실시예의 구속부재(82)는, 고정블록(52)의 둘레면을 감싸며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곡선모양으로 형성되는 구속부재(82)의 양단부 및 중앙부에 형성되는 제1돌기(86a), 제2돌기(86b) 및 제3돌기(86c)는 고정블록(52)의 중심 측으로 연장되고,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제1홈부(84a), 제2홈부(84b) 및 제3홈부(84c)에 제1돌기(86a), 제2돌기(86b) 및 제3돌기(86c)가 삽입되면 제1돌기(86a), 제2돌기(86b) 및 제3돌기(86c)가 고정블록(52)의 중심 측으로 연장되게 삽입되므로 고정블록(52)의 회전운동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restraining
또한, 본 실시예는 연결플레이트(12)와 구동부(34) 사이의 간격을 상쇄시켜 본체(10)와 구동부(34)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에 의해 본체(10)로부터 구동부(34)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극조절부(12a)가 구비되므로 회전형 퀵커플러를 장기간 구동시켜 본체(10)와 구동부(3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 작업자는 간극조절부(12a)를 조작하여 본체(10)와 구동부(34) 사이의 간격을 상쇄시키면서 구동부(34)가 본체(10)로부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is embodiment offsets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본 실시예의 간극조절부(12a)는, 연결플레이트(12)에 체결되는 조절볼트(12b)와, 조절볼트(12b)와 체결되고 연결플레이트(12)에 밀착되어 구동부(34)의 작동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조절볼트(12b)가 연결플레이트(12)로부터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부재(12c)를 포함한다.The
따라서 회전형 퀵커플러가 장기간 구동되어 본체(10)와 구동부(34)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면 작업자는 공구를 사용하여 조절볼트(12b)를 회전시키면서 조절볼트(12b)의 단부를 구동부(34) 측으로 돌출시키므로 연결플레이트(12)와 구동부(34) 사이의 간격에 조절볼트(12b)가 위치되면서 구동부(34)의 링플레이트(39)를 가압하게 되므로 구동부(34)가 본체(10) 측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otational quick coupler is driven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a gap is formed between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구속부재(82)에 의해 고정블록(52)의 공회전이 방지되고, 조절볼트(12b)에 의해 구동부(34)가 연결플레이트(12) 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퀵커플러가 장기간 구동되면서 고정블록(52) 또는 구동부(34)가 유동되면서 발생되는 퀵커플러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퀵커플러의 수명이 연장되고, 퀵커플러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또한, 본 실시예의 유압공급부(90)는, 중장비의 암대에 설치되는 본체(10)의 고정블록(52)에 구비되고, 유압이 통과되는 제1유압라인(92)과, 고정블록(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블록(54)에 구비되고, 제1유압라인(92)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통과되는 제2유압라인(94)과, 구동블록(54)과 결합되고,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블록(30)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32)에 구비되고, 제2유압라인(94)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통과되는 제3유압라인(96)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ydraulic
따라서 고정블록(52)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1유압라인(92), 제2유압라인(94) 및 제3유압라인(96)을 따라 회전플레이트(32)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돌기(97)의 장착홀부(98)까지 공급되므로 장착홀부(98)에 설치되는 커넥터(99a)를 통해 어태치컨트에 연결되는 공급관(99)에 유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fixed
따라서 제2유압라인(94)을 따라 회전블록(30)의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로로부터 별도의 유압튜브를 분기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생략하고, 구동블록(54)을 회전플레이트(32)에 설치하는 작업만으로 고정블록(52)에 공급되는 유압을 어태치먼트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branching and installing a separate hydraulic tube from the flow path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 of the
본 실시예의 제3유압라인(96)은, 구동블록(54)이 삽입되는 회전플레이트(32)의 단차홈부(32a)에 형성되는 연결홀부(96a)와, 연결홀부(96a)로부터 회전플레이트(32)를 따라 측 방향으로 분기되는 수평라인(96b)과, 수평라인(96b)으로부터 굴곡되어 회전플레이트(32)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돌기(97)를 따라 연장되어 장착홀부(98)까지 연장되는 수직라인(96c)을 포함한다.The third
따라서 구동블록(54)을 회전플레이트(32)에 설치할 때에 회전플레이트(3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단차홈부(32a)에 구동블록(54)의 하단을 삽입하고, 구동블록(54)의 저면에 형성되는 제2유압라인(94)의 연결라인(94b)이 연결되어 통하도록 배치시키면 제1유압라인(92)과 제3유압라인(96)이 통하도록 연결된다.Therefore, when the
본 실시예의 제1유압라인(92)은, 고정블록(52)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유압홀부(92a)와, 유압홀부(92a)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압라인과 통하도록 연결되고, 고정블록(52)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유압홈부(92b)를 포함한다.The first
또한, 본 실시예의 제2유압라인(94)은, 제1유압홈부(92b)와 대향되도록 구동블록(54)의 내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유압홈부(94a)와, 제2유압홈부(94a)로부터 연장되고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회전플레이트(32) 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라인(94b)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구동블록(54)은 고정블록(52)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벽에 복수 개의 제2유압홈부(94a)가 형성되므로 구동블록(54)에 고정블록(52)이 삽입된 상태에서 구동블록(54) 및 회전블록(30)이 회전되어도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1유압홈부(92b) 및 제2유압홈부(94a)에 의해 제1유압라인(92)과 제2유압라인(94)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따라서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유압홀부(92a)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제1유압홈부(92b)에 충전되고, 제1유압홈부(92b)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유압홈부(94a)를 따라 유압이 전달되어 연결라인(94b)을 따라 하측으로 공급되어 회전블록(30)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또는 회전블록(30) 하단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에 유압이 전달되면서 어태치먼트와 퀵커플러의 착탈작동 및 어태치먼트의 구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hrough the plurality of
구동블록(54)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연결라인(94b) 중 한 쌍의 연결라인(94b)은, 구동블록(54)의 하단에 구비되는 유압튜브와 연결되어 회전블록(30)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게 되고, 연결라인(94b) 중 나머지 한 쌍의 연결라인(94b)은, 회전플레이트(32)의 단차홈부(32a) 상면으로 노출되는 연결홀부(96a)와 통하도록 연결되어 수평라인(96b) 및 수직라인(96c)을 따라 어태치먼트에 유압을 공급하게 된다.Among the plurality of
또한, 본 실시예의 장착돌기(97)에는 수직라인(96c)과 공급관(99)을 연결하는 커넥터(99a)가 설치되도록 장착홀부(98)가 형성되고, 수직라인(96c)은 장착홀부(98)와 통하도록 연결되므로 회전플레이트(32) 저면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장착홀부(98)에 커넥터(99a)가 설치되어 어태치먼트의 구동을 진행하는 유압의 공급라인 및 회수라인을 이루게 된다.In addition, a mount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연결홀부(96a), 수평라인(96b) 및 수직라인(96c)은, 각각 한 쌍씩 구비되고, 회전플레이트(32)의 일측 및 타측에 연결홀부(96a), 수평라인(96b) 및 수직라인(96c)이 구비되어 유압 공급라인과 회수라인을 형성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어태치먼트에 공급되는 유압을 공급 또는 회수하기 위해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별도의 유압튜브를 설치하지 않고, 구동블록(54)을 회전플레이트(32)에 결합시키는 작업만으로 어태치먼트에 공급되는 유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supply or recover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attachment, a separate hydraulic tube branching from the hydraulic line supplied to the cylinder is not installed, and only the operation of coupling the driving
이로써, 고정블록의 제1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구동블록 및 회전플레이트를 지나 공급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회전플레이트에 구동블록의 제2유압라인과 연결되는 제3유압라인이 구비되므로 공급관의 커넥터가 설치되는 장착돌기와 회전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던 유압튜브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 유압공급장치의 설치구조가 간소화되고, 유압공급장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since the third hydraulic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hydraulic line of the driving block is provided on the rotating plate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first hydraulic line of the fixed block can be supplied to the supply pipe through the driving block and the rotating plate, A rotary quick coupler that simplifie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hydraulic supply device by omitting the installation of the hydraulic tube installed between the mounting protrusion and the rotating plate where the connector is installed, and can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installing the hydraulic supply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ydraulic supply device fo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또한,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유압공급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hydraulic supply device for the rotary quick coupl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e hydraulic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other products other than the hydraulic supply device for the rotary quick coupler.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 : 본체 12 : 연결플레이트
12a : 간극조절부 12b : 조절볼트
12c : 너트부재 14 : 메인핀
14a : 구속홈부 14b : 스토퍼
30 : 회전블록 32 : 연결플레이트
34 : 구동부 36 : 모터
37 : 기어샤프트 38 : 전달기어
39 : 링플레이트 50 : 유압연결부
52 : 고정블록 54 : 구동블록
57 : 체결볼트 70 : 고정부
72 : 고정편 72a : 제2안착홈부
72b : 제1조립돌기 72c : 제1결합단차
74 : 체결편 74a : 제2안착홈부
74b : 제2조립돌기 74c : 제2결합단차
76 : 착탈부 76a : 체결홀부
76b : 체결부재 80 : 회전방지부
82 : 구속부재 84 : 구속홈부
84a : 제1홈부 84b : 제2홈부
84c : 제3홈부 86 : 구속돌기
86a : 제1돌기 86b : 제2돌기
86c : 제3돌기 88 : 구속볼트
90 : 유압공급부 92 : 제1유압라인
92a : 유압홀부 92b : 제1유압홈부
94 : 제2유압라인 94a : 제2유압홈부
94b : 연결라인 96 : 제3유압라인
96a : 연결홀부 96b : 수평라인
96c : 수직라인 97 : 장착돌기
98 : 장착홀부 99 : 공급관
99a : 커넥터10: body 12: connection plate
12a:
12c: nut member 14: main pin
14a: restraining
30: rotation block 32: connection plate
34: driving unit 36: motor
37: gear shaft 38: transmission gear
39: ring plate 50: hydraulic connection
52: fixed block 54: driving block
57: fastening bolt 70: fixing part
72: fixing
72b:
74:
74b:
76:
76b: fastening member 80: anti-rotation part
82: restraining member 84: restraining groove
84a:
84c: third groove 86: restraining protrusion
86a:
86c: third projection 88: restraint bolt
90: hydraulic supply unit 92: first hydraulic line
92a:
94: second
94b: connection line 96: third hydraulic line
96a:
96c: vertical line 97: mounting protrusion
98: mounting hole 99: supply pipe
99a: connector
Claims (4)
상기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블록에 구비되고, 상기 제1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통과되는 제2유압라인; 및
상기 구동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블록에 설치되는 회전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제2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통과되는 제3유압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는 장착돌기에는 상기 제3유압라인을 이루는 수직라인과 공급관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설치되도록 장착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라인은 상기 장착돌기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장착홀부와 통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록(52)에 공급되는 유압이 상기 제1유압라인(92), 상기 제2유압라인(94) 및 상기 제3유압라인(96)을 따라 상기 장착돌기(97)의 상기 장착홀부(98)까지 공급되므로 상기 장착홀부(98)에 설치되는 상기 커넥터(99a)를 통해 어태치먼트에 연결되는 상기 공급관(99)에 유압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고정블록(52)이 상기 본체(10)로부터 공회전되어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블록(52)을 구속하는 회전방지부(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방지부(80)는,
상기 고정블록(5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구속부재(82); 및
상기 구속부재(82)와 상기 고정블록(52)을 연결하여 상기 고정블록(52)이 상기 본체(10)로부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속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속고정부는,
상기 고정블록(52)에 형성되는 구속홈부(84);
상기 구속홈부(84)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도록 상기 구속부재(8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돌기(86); 및
상기 구속부재(82)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구속부재(82)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구속볼트(8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
A first hydraulic line provided in a fixing block of a main body installed on an arm stand of a heavy equipment and through which hydraulic pressure passes;
a second hydraulic line provided in a driving bloc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block and through which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first hydraulic line passes; and
A third hydraulic line coupled to the driving block and provided on a rotating plate installed on a rotating block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which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hrough the second hydraulic line passes,
A mounting hole portion is formed in the mounting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on the rotating plate to install a connector connecting a vertical line constituting the third hydraulic line and a supply pipe, and the vertical line extends along the mounting protrusion to connect to the mounting hole portion. connected through,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fixing block 52 flows along the first hydraulic line 92, the second hydraulic line 94 and the third hydraulic line 96 to the mounting hole portion 98), it is possible to provide hydraulic pressure to the supply pipe 99 connected to the attachment through the connector 99a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98,
Further comprising an anti-rotation part 80 for restraining the fixing block 52 to prevent the fixing block 52 from being idle and malfunctioning from the main body 10,
The anti-rotation part 80,
a restraining member 82 coupled to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xing block 52; and
A restraining fixing part connecting the restraining member 82 and the fixing block 52 to prevent the fixing block 52 from rotating from the main body 10,
The restraining unit,
a restraining groove 84 formed in the fixing block 52;
a restraining protrusion 86 protruding from the restraining member 82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estraining groove 84 and engage; and
A rotational quick coupler comprising a restraining bolt 88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restraining member 82 to integrally couple the main body 10 and the restraining member 82 Hydraulic supply device for
상기 구동블록이 삽입되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단차홈부에 형성되는 연결홀부;
상기 연결홀부로부터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따라 측 방향으로 분기되는 수평라인; 및
상기 수평라인으로부터 굴곡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기 장착돌기까지 연장되는 상기 수직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hydraulic line,
a connecting hole formed in a stepped groove of the rotating plate into which the driving block is inserted;
a horizontal line branching from the connection hole in a lateral direction along the rotating plate; and
Hydraulic supply device for a rotary quick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vertical line that is bent from the horizontal line and extends to the mounting protrusion of the rotating plate.
상기 연결홀부, 상기 수평라인 및 상기 수직라인은, 각각 한 쌍씩 구비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연결홀부, 상기 수평라인 및 상기 수직라인이 구비되어 유압 공급라인과 회수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퀵커플러용 유압공급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nection hole, th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are each provided with a pair, and the connection hole, the horizontal line, and the vertical line ar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plate to form a hydraulic supply line and a recovery line. Hydraulic supply device for a rotary quick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6419A KR102467902B1 (en) | 2021-12-23 | 2021-12-23 | Hydraulic supply device for rotary quick coup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86419A KR102467902B1 (en) | 2021-12-23 | 2021-12-23 | Hydraulic supply device for rotary quick coup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7902B1 true KR102467902B1 (en) | 2022-11-16 |
Family
ID=8423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86419A Active KR102467902B1 (en) | 2021-12-23 | 2021-12-23 | Hydraulic supply device for rotary quick coup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7902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3958B1 (en) * | 2016-10-21 | 2017-10-10 | 주식회사 제이케이 | Rotational quick couple |
KR20210006198A (en) * | 2019-07-08 | 2021-01-18 | 주식회사 제이케이 | Fastening device for piping inlet and rotary quick coupler with them |
KR102323923B1 (en) * | 2021-02-26 | 2021-11-08 | 정일 | Quick coupler flow path structure |
-
2021
- 2021-12-23 KR KR1020210186419A patent/KR10246790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83958B1 (en) * | 2016-10-21 | 2017-10-10 | 주식회사 제이케이 | Rotational quick couple |
KR20210006198A (en) * | 2019-07-08 | 2021-01-18 | 주식회사 제이케이 | Fastening device for piping inlet and rotary quick coupler with them |
KR102323923B1 (en) * | 2021-02-26 | 2021-11-08 | 정일 | Quick coupler flow path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7205B1 (en) | Fastening device for piping inlet and rotary quick coupler with them | |
KR200271162Y1 (en) | coupler for excavator | |
CN110453742B (en) | Full-automatic quick change device of hydraulic excavator | |
US6308442B1 (en) | Working machine attachment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 | |
CN101449006A (en) | Quick coupler | |
KR102383152B1 (en) | Gap adjustment device for rotary quick coupler | |
CN103958786A (en) | Hydraulic line fixing apparatus for boom swing-type excavators | |
KR101640387B1 (en) | Arm for excavator with rotating device | |
KR102383153B1 (en) | Anti-fall device for rotary quick coupler | |
EP3757296B1 (en) | Quick coupler with hydraulic coupling manifold | |
KR102354497B1 (en) | Gap adjustment for rotary quick coupler | |
JP2008031836A (en) | Cutter head for excavator | |
EP1124017B1 (en) | Hydraulically driven working machine | |
KR102467902B1 (en) | Hydraulic supply device for rotary quick coupler | |
KR101212306B1 (en) | Vibrator with mounting clamp | |
KR102425356B1 (en) | Fixed block rotation prevention device for quick coupler | |
EP1580330B1 (en) | Quick-change device for connecting implements to a work machine | |
CN101426981A (en) | Arm of excavating work machine | |
KR20010090657A (en) | Rotary-type clamp for excavator | |
JP3616408B2 (en) | Hydraulic equipment for work machine vehicles | |
KR102425355B1 (en) | Main pin fixture for quick coupler | |
JP4706532B2 (en) | Piping tool and work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 |
JP3030396B2 (en) | Actuator for working tools such as buckets in excavator | |
KR102323923B1 (en) | Quick coupler flow path structure | |
KR102713421B1 (en) | Handle apparatus for wheel exca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3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5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10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5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