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7738B1 -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738B1
KR102467738B1 KR1020177021128A KR20177021128A KR102467738B1 KR 102467738 B1 KR102467738 B1 KR 102467738B1 KR 1020177021128 A KR1020177021128 A KR 1020177021128A KR 20177021128 A KR20177021128 A KR 20177021128A KR 102467738 B1 KR102467738 B1 KR 102467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reamble
information
physical layer
ti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532A (ko
Inventor
라클란 브루스 마이클
가즈유키 다카하시
사토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2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7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8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broadcast or distribution via plur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04J3/0661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 H04J3/0667Bidirectional timestamps, e.g. NTP or PTP for compensation of clock drift and for compensation of propagation 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multicast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5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 H04J3/0661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 H04J3/0664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packet nodes using timestamps unidirectional time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시각 정보 등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신 장치는, 프리앰블과 페이로드를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프리앰블에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한다. 수신 장치는, 물리층 프레임을 수신하고,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IP 패킷 등의 방송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본 기술은,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시각 정보 등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차세대 지상 방송 규격의 하나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 Committee) 3.0에서는, 데이터 전송에, 주로, TS(Transport Stream) 패킷이 아니라, UDP/IP, 즉, UDP(User Datagram Protocol) 패킷을 포함하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을 사용하는 것이 결정되어 있다. ATSC 3.0 이외의 방송 방식에서도, 장래적으로, IP 패킷을 사용할 것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TS를 방송하는 경우에는,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동기를 취하기 위한 시각 정보로서, PCR(Program Clock Reference)이 전송된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을 참조).
「ARIB STD-B44 2.0판」, 일반사단법인 전파산업회
ATSC 3.0 등의 방송 방식에 있어서,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동기를 취하기 위한 시각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 시각 정보의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것이 요청된다.
시각 정보 이외의 오버헤드로 되는 정보의 전송도 효율적으로 행할 것이 요청된다.
본 기술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시각 정보 등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송신 장치는, 프리앰블과 페이로드를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상기 프리앰블에 포함하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1 송신 방법은, 프리앰블과 페이로드를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상기 프리앰블에 포함하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1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있어서는, 프리앰블과 페이로드를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상기 프리앰블에 포함하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이 생성되어 송신된다.
본 기술의 제1 수신 장치는, 프리앰블과 페이로드를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상기 프리앰블에 포함하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상기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1 수신 방법은, 프리앰블과 페이로드를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상기 프리앰블에 포함하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과, 상기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상기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1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있어서는, 프리앰블과 페이로드를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상기 프리앰블에 포함하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이 수신되고, 상기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상기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가 행해진다.
본 기술의 제2 송신 장치는, BB(BaseBand) 프레임의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BB 헤더에 포함하는 상기 BB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BB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2 송신 방법은, BB(BaseBand) 프레임의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BB 헤더에 포함하는 상기 BB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BB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2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있어서는, BB(BaseBand) 프레임의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BB 헤더에 포함하는 상기 BB 프레임이 생성되어 송신된다.
본 기술의 제2 수신 장치는, BB(BaseBand) 프레임의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BB 헤더에 포함하는 상기 BB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BB 프레임의 상기 BB 헤더에 포함되는 상기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2 수신 방법은, BB(BaseBand) 프레임의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BB 헤더에 포함하는 상기 BB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과, 상기 BB 프레임의 상기 BB 헤더에 포함되는 상기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2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있어서는, BB(BaseBand) 프레임의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BB 헤더에 포함하는 상기 BB 프레임이 수신되고, 상기 BB 프레임의 상기 BB 헤더에 포함되는 상기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송신 장치나 수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본 기술에 의하면, 시각 정보 등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전송 시스템에서 행해지는 방송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시각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NTP 패킷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시각 정보의 배치 위치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시각 정보를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에 배치하는 경우의 제1 배치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Generic 패킷의 타입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시각 정보를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에 배치하는 경우의 제2 배치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시각 정보를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에 배치하는 경우의 제3 배치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확장 타입 정보(EXT_TYPE)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순서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순서 정보를 BB 프레임의 BB 헤더에 포함시키는 일이 있는 경우의 확장 타입 정보(EXT_TYPE)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순서 정보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순서 정보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순서 정보의 제2 예로서의 16비트의 오프셋 시각을 생성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순서 정보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송신 장치(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송신 장치(10)가 행하는 송신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수신 장치(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수신 장치(20)가 행하는 수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DVB-T.2의 물리층 프레임인 T2 프레임(T2frame)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기술을 적용한 컴퓨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전송 시스템은, 송신 장치(10)와 수신 장치(20)로 구성된다.
송신 장치(1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의 송신(디지털 방송이나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즉, 송신 장치(1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로서의 화상이나 음성의 데이터 등의 송신의 대상인 대상 데이터의 스트림을,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전송로(30)를 통하여 송신(전송)한다.
수신 장치(20)는, 송신 장치(10)로부터 전송로(30)를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원래의 스트림으로 복원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는,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로서의 화상이나 음성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도 1의 전송 시스템은,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 Committee standards)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등에 준거한 데이터 전송, 그 외의 데이터 전송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송로(30)로서는, 지상파나, 위성 회선, 케이블 텔레비전망(유선 회선)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
도 2는, 도 1의 전송 시스템에서 행해지는 방송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 2는, 도 1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취급되는 데이터(패킷 및 프레임)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전송 시스템에서는, OSI(Open Syste㎳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의 제1 층(물리층) L1, 제2 층(데이터 링크층) L2, 및 제3 층(네트워크층) L3의 데이터가 취급된다.
도 2에 있어서, IP 패킷(IP Packet)은, 제3 층 L3의 데이터이고, Generic 패킷(Generic Packet)은, 제2 층 L2의 데이터이다. BB 프레임(Baseband Frame), FEC 프레임(FEC Frame), 및 물리층 프레임(Physical Frame)은, 제1 층 L1의 데이터이다.
도 1의 전송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방송이, IP 패킷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IP 패킷은, IP 헤더(IP Header)와 데이터(Data)로 구성된다. IP 패킷의 데이터에는, 화상이나 음성 등의 데이터가 배치된다.
송신 장치(10)에서는, IP 패킷으로부터, Generic 패킷이 구성(생성)된다.
Generic 패킷은, Generic 헤더(Generic 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IP 패킷이 배치된다.
송신 장치(10)에서는, Generic 패킷으로부터, BB 프레임이 구성된다.
BB 프레임은, BB 헤더(Baseband Frame Header)와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BB 프레임의 페이로드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Generic 패킷이 배치된다.
송신 장치(10)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BB 프레임이 필요에 따라 스크램블되고, 그 BB 프레임에, 물리층의 에러 정정용 패리티(Parity)가 부가됨으로써, FEC 프레임이 구성된다.
또한, 송신 장치(10)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FEC 프레임에 대하여, 비트 인터리브나, 콘스텔레이션 상의 신호점으로의 맵핑, 시간 방향이나 주파수 방향으로의 인터리브 등의 물리층의 처리가 필요에 따라 행해진다. 그리고, 송신 장치(10)에서는, 물리층의 처리 후의 FEC 프레임에, 프리앰블이 부가되어, 물리층 프레임이 구성된다.
즉, 물리층 프레임은, 프리앰블(BS, Preamble)과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는, FEC 프레임이 배치된다.
도 2에서는, 물리층 프레임은, 예를 들어, ATSC 3.0의 ATSC 프레임과 마찬가지로, 프리앰블로서, "BS(BootStrap)"와 "Preamble"을 갖는다.
여기서, "BS"를, 제1 프리앰블 BS라고도 하기로 함과 함께, "Preamble"을, 제2 프리앰블 Preamble이라 하기로 한다.
제1 프리앰블 BS는, 예를 들어, DVB-T.2의 T2 프레임을 구성하는 P1 심볼에 대응하고, 제2 프리앰블 Preamble은, 예를 들어, T2 프레임을 구성하는 P2 심볼에 대응한다.
또한,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는, 예를 들어, T2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 심볼에 대응한다.
DVB-T2나 ATSC 3.0에서 사용되는 물리층 프레임 구조는, 100㎳ 내지 200㎳ 정도의 길이로 구성된다. 물리층 프레임에 대해서는, 프리앰블을 취득한 후에, 그 뒤의 페이로드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수신 장치(20)는, 물리층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을 복조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그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처리하고, 물리층 프레임으로부터, FEC 프레임, BB 프레임, Generic 패킷 및 IP 패킷을, 그 순서대로 복원한다.
또한,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 처리에는, 그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이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물리층 프레임의 도중부터 수신이 개시된 경우에는, 수신 개시 후, 다음으로 프리앰블이 출현하기까지의 동안에 수신된 데이터는 파기된다.
<시각 정보>
도 3은, 시각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의 전송 시스템에서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10)에 있어서, IP 패킷으로부터, 물리층 프레임이 구성되고, 그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이, 수신 장치(20)에 송신된다.
IP 패킷에서는, TS의 PCR과 같은 시각 정보가 송신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송신 장치(10)와 수신 장치(20) 사이에서 동기를 취하기 위해서는, 시각 정보를,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송신 장치(10)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시각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시각 정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 중 제1 프리앰블 BS로서는, 예를 들어, ATSC 3.0에서는, 30 내지 40비트 정도가 상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프리앰블 BS는, 시각 정보를 포함시키기 때문에 충분한 비트 수가 아닌 경우가 있다.
그래서, 시각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 중 제2 프리앰블 Preamble에 포함시킬 수 있다.
시각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절대적인 시각을 나타낸다.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이란, 소정의 위치의 비트가, 송신 장치(10)에서 한창 처리되고 있는 중의 소정의 타이밍의 시각이다. 소정의 위치의 비트가 송신 장치(10)에서 한창 처리되고 있는 중의 소정의 타이밍의 시각으로서는,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의 어느 블록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의 비트가 출력되었을 때의 타이밍 시각이나, 송신 장치(10)의 어느 블록에서, 소정의 위치의 비트 처리가 행해진 타이밍의 시각 등이 있다.
여기서, 시각 정보가 시각을 나타내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를, 시각 위치라 하는 것으로 한다.
시각 위치로서는, 예를 들어,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프리앰블을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선두의 위치(제1 프리앰블 BS의 선두의 위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위치로서는, 예를 들어,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프리앰블을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제1 프리앰블 BS와 제2 프리앰블 Preamble의 경계의 위치(제1 프리앰블 BS의 최후의 위치)(제2 프리앰블 Preamble의 선두의 위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위치로서는, 예를 들어,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프리앰블을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제2 프리앰블 Preamble의 최후의 위치를 채용할 수 있다.
그 외에, 시각 위치로서는, 물리층 프레임의 임의의 위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 제1 프리앰블 BS의 샘플링 주파수와, 제2 프리앰블 Preamble 이후의 샘플링 주파수는, 상이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제1 프리앰블 BS의 샘플링 주파수와, 제2 프리앰블 Preamble 이후의 샘플링 주파수가 상이한 경우, 제1 프리앰블 BS와, 제2 프리앰블 Preamble 이후는, 시각의 카운트 방법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시각 위치로서, 제1 프리앰블 BS의 선두의 위치를 채용한 경우, 그 시각 위치를 기준으로 한 시각의 카운트에 대해서는, 제1 프리앰블 BS와, 제2 프리앰블 Preamble 이후에, 카운트의 방법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한편, 시각 위치로서, 제2 프리앰블 Preamble의 선두의 위치를 채용한 경우, 그 시각 위치를 기준으로 한 시각의 카운트, 즉, 제2 프리앰블 Preamble 이후의 시각의 카운트에 대해서는, 그 카운트의 방법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도 3에서는, 시각 위치로서, 시각 정보가 포함되는 프리앰블을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제2 프리앰블 Preamble의 선두의 위치(제1 프리앰블 BS와 제2 프리앰블 Preamble의 경계의 위치)가 채용되어 있다.
프리앰블(제1 프리앰블 BS, 제2 프리앰블 Preamble)은, 각 물리층 프레임의 정해진 위치, 즉, 선두에 존재하며, 물리층 프레임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맨 처음에 처리된다. 따라서, 수신 장치(20)에서는,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리앰블은, 비교적 로버스트하게 전송되므로, 그러한 프리앰블도 비교적 로버스트하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NTP(Network Time Protocol)에서 규정되어 있는 시각의 정보나,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규정되어 있는 시각의 정보, PTP(Precise Time Protocol)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에 포함되는 시각의 정보, 그 외에 독자적으로 결정된 형식의 시각 정보 등의 임의의 시각의 정보를 채용할 수 있다.
도 4는, NTP 패킷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비트의 L1은, Leap Indicator의 약기이며, 현재 달의 마지막 1분에, 윤초를 삽입 또는 삭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3비트의 VN은, Version Number의 약기이며, NTP의 버전을 나타낸다. 3비트의 Mode는, NTP의 동작 모드를 나타낸다.
8비트의 Stratum은, 계층을 나타내며, 당해 계층에 따라 부호화된다. 8비트의 Poll은, 폴링 간격으로서, 연속되는 NTP 메시지의 최대 간격(초 단위)을 나타낸다. 8비트의 Precision은, 시스템 클록의 정밀도(초 단위)를 나타낸다.
Root Delay는, 루트 지연으로서, 참조 시각까지의 왕복의 지연을 NTP 단형식으로 나타낸다. Root Dispersion은, 참조 시각까지의 합계 지연의 분산을 NTP 단형식으로 나타낸다. Reference ID는, 참조 시각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나타낸다. 방송 시스템에서는, NULL을 나타내는 "0000"을 저장할 수 있다.
Reference Timestamp는, 참조 타임 스탬프로서, 시스템 시각이 마지막으로 보정된 시각을 NTP 장형식으로 나타낸다. Origin Timestamp는, 개시 타임 스탬프로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에 리퀘스트 송출한 클라이언트의 시각을 NTP 장형식으로 나타낸다. 방송 시스템에서는, "0"을 저장할 수 있다.
Receive Timestamp는, 수신 타임 스탬프로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리퀘스트를 수신한 서버의 시각을 NTP 장형식으로 나타낸다. 방송 시스템에서는, "0"을 저장한다. Transmit Timestamp는, 송신 타임 스탬프로서, 클라이언트으로의 응답을 송출한 서버의 시각을 NTP 장형식으로 나타낸다.
그 외에, NTP 패킷은, 확장용 필드인 Extension Field 1이나, Extension Field 2, 나아가, Key Identifier나 dgst(메시지 다이제스트)를, 필요에 따라 갖는다.
시각 정보로서는, NTP 패킷의 Reference Timestamp 등의 타임 스탬프와 마찬가지의 형식로 표시되는 64비트의 시각의 정보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NTP 패킷의 타임 스탬프의 64비트의 시각에 대해서는, 윤초에 기인하여, 시각이 불연속으로 되는 문제가 있지만,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시키는 시각 정보로서는, 충분한 정밀도가 있다.
또한, 시각 정보로서는, NTP 패킷의 타임 스탬프 외에, 3GPP에서 규정되어 있는 시각의 정보, 즉, 예를 들어, 3GPP TS 36 331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시각의 정보인 timeInfo-r11을 채용할 수 있다.
timeInfo-r11은, 39비트의 timeInfoUTC-r11, 2비트의 dayLightSavingTime-r11, 8비트의 leapSeconds-r11, 및 7비트의 localTimeOffset-r11의 56비트로 구성된다. timeInfo-r11에 대해서는,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시키는 시각 정보로서는, 정밀도가 약간 부족한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윤초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 외에, 시각 정보로서는, PTP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 즉, PTP 패킷에 대하여, IEEE1588에서 규정되어 있는 시각을 나타내는 80비트를 채용할 수 있다. PTP 패킷의 시각을 나타내는 80비트에 대해서는, 그 80비트 중 48비트가, 초 단위의 시각을 나타내고, 나머지 32비트가 나노초 단위의 시각을 나타낸다. 따라서, PTP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시키는 시각 정보로서는, 충분한 정밀도가 있어, 정확한 시각을 나타낼 수 있다. 시각 정보는, 수신 장치(10)에서 정확한 시각을 재생하는 관점에서, 보다 정확한 시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PTP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를,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시키는 시각 정보로서 채용한 경우에는, 정확한 시각 정보를 전송하여, 수신 장치(10)에서 정확한 시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PTP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에 대해서는, 윤초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시각 정보의 배치 위치>
도 5는, 시각 정보의 배치 위치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시각 정보를,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배치하는(포함시키는) 것으로 했지만, 시각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 외에, 예를 들어,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시각 정보가,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시각 정보를,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 부분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수신 장치(20)에서는,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제1 프리앰블 BS, 제2 프리앰블 Preamble)의 처리 후에, 페이로드의 선두에 배치된 시각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시각 정보를 페이로드에 배치하는 경우의 제1 배치예>
도 6은, 시각 정보를,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에 배치하는 경우의 제1 배치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배치예에서는, 시각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로서의,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의 BB 프레임의 선두의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된다.
도 6은, Generic 패킷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Generic 패킷에 있어서, Generic 헤더의 선두에는, 3비트의 타입 정보(Type)가 설정된다. 이 타입 정보에는,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의 타입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에, 시각 정보, 그 외에, 시그널링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가 배치되는 경우, Generic 헤더의 타입 정보에는, 예를 들어 "100"이 설정된다. 또한, Generic 헤더에 있어서, "100"이 설정된 타입 정보의 다음은, 1비트의 리저브드 영역(Res: Reserved)으로 되고, 그 다음에, 헤더 모드(HM: Header Mode)가 배치된다.
헤더 모드로서, "0"이 설정된 경우, 그에 이어서, 11비트의 렝스 정보(Length(LSB))가 배치된다. 이 렝스 정보는,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의 길이로 설정된다. 한편, 헤더 모드로서, "1"이 설정된 경우, 그에 이어서, 11비트의 렝스 정보(Length(LSB))와, 5비트의 렝스 정보(Length(MSB))의 합계 16비트의 렝스 정보가 배치되고, 나아가, 3비트의 리저브드 영역(Res)이 형성된다.
헤더 모드로서 "0"이 설정된 경우, 렝스 정보(Length(LSB))는 11비트이며, 그 11비트의 렝스 정보에 의하여,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의 길이로서, 0 내지 2047(=211-1) 바이트의 범위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11비트의 렝스 정보에서는, 2048바이트 이상의 페이로드의 길이를 나타낼 수 없다. 그래서, 페이로드에, 2048바이트 이상의 데이터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헤더 모드로서 "1"이 설정된다. 이 경우, Generic 헤더의 영역으로서 1바이트가 추가되어, 렝스 정보가, 16비트로 된다. 이 16비트의 렝스 정보에 의하여, 2048바이트 이상의 페이로드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Generic 패킷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Generic 헤더에 이어서, 페이로드가 배치된다. 여기서는, Generic 헤더의 타입 정보로서, "100"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페이로드에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가 배치된다.
도 7은, 도 6의 Generic 패킷의 타입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에 IPv4의 IP 패킷이 배치되는 경우, 타입 정보에는, "000"이 설정된다. 또한, 페이로드에, 압축된 IP 패킷이 배치되는 경우, 타입 정보에는, "001"이 설정된다. 또한, 페이로드에, MPEG2-TS 방식의 TS 패킷이 배치되는 경우, 타입 정보에는, "010"이 설정된다.
또한, 페이로드에, 시각 정보 등의 시그널링 정보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타입 정보에는, "100"이 설정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011", "101", "110"의 3값의 타입 정보는, 미정의(Reserved)로 되어 있다. 또한, 3값의 미정의(Reserved)만으로는, 타입 정보의 확장에 부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타입 정보에, "111"을 설정함으로써, 타입 정보(의 영역)를, 더 확장할 수 있다.
<시각 정보를 페이로드에 배치하는 경우의 제2 배치예>
도 8은, 시각 정보를,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에 배치하는 경우의 제2 배치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 배치예에서는, 시각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로서의,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의 BB 프레임의 선두의 Generic 패킷의 헤더에 배치된다.
도 8은, Generic 패킷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Generic 패킷에 있어서, Generic 헤더의 선두의 3비트의 타입 정보(Type)에는,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데이터의 타입에 관한 타입 정보가 설정된다.
제2 배치예에서는, Generic 헤더에 있어서, 3비트의 타입 정보에는, "000", "001", 또는 "010"이 설정된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입 정보로서, "000"이 설정된 경우, 페이로드에는, IPv4의 IP 패킷이 배치되고, "001"이 설정된 경우, 페이로드에는, 압축된 IP 패킷이 배치된다. 또한, 타입 정보로서, "010"이 설정된 경우, 페이로드에는, TS 패킷이 배치된다.
Generic 헤더에 있어서, "000", "001", 또는 "010"이 설정된 타입 정보의 다음에는, 1비트의 패킷 설정 정보(PC: Packet Configuration)가 배치된다. 패킷 설정 정보로서, "0"이 설정된 경우, Generic 헤더는 노멀 모드(Normal mode)로 되고, 그 다음에 배치되는 헤더 모드(HM)에 따라, 11비트의 렝스 정보(Length), 또는 16비트의 렝스 정보 및 3비트의 리저브드 영역(Res)이 배치된다. 그리고, Generic 헤더에 이은 페이로드에는, Generic 헤더의 타입 정보에 따라, IPv4의 IP 패킷, 압축된 IP 패킷, 또는 TS 패킷이 배치된다.
한편, 패킷 설정 정보(PC)로서, "1"이 설정된 경우에는, Generic 헤더는 시그널링 모드(Signaling mode)로 되고, 그 다음에 배치되는 헤더 모드(HM)에 따라, 렝스 정보(Length)가 배치된다. 즉, 헤더 모드로서, "0"이 설정된 경우, 그에 이어서, 11비트의 렝스 정보(Length(LSB))가 배치된다. 또한, Generic 헤더가 확장되고, 렝스 정보의 다음에,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Signaling)가 배치된다.
또한, 패킷 설정 정보(PC)로서 "1"이 설정된 경우에, 헤더 모드(HM)로서 "1"이 설정되어 있을 때는, 헤더 모드에 이어서, 16비트의 렝스 정보(Length)와 3비트의 리저브드 영역(Res)이 배치된다. 또한, Generic 헤더가 확장되고, 리저브드 영역(Res)의 다음에,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Signaling)가 배치된다.
이상의 시그널링 정보까지를, Generic 헤더(확장 헤더)로 하고, 그 뒤에, 페이로드가 배치된다. 페이로드에는, Generic 헤더의 타입 정보에 따라, IPv4나 압축된 IP 패킷 등이 배치된다.
<시각 정보를 페이로드에 배치하는 경우의 제3 배치예>
도 9는, 시각 정보를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에 배치하는 경우의 제3 배치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3 배치예에서는, 시각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로서의,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의 BB 프레임의 BB 헤더에 배치된다.
도 9는, BB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BB 프레임은, BB 헤더와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BB 헤더에는, 1 또는 2바이트의 헤더(Header) 외에, 1 또는 2바이트의 옵셔널 필드(Optional Field)와, 확장 필드(Extension Field)를 배치할 수 있다.
헤더(Header)의 선두에는, 1비트의 모드(MODE)가 설정된다.
1비트의 모드(MODE)로서, "0"이 설정된 경우에는, 7비트의 포인터 정보(Pointer(LSB))가 배치된다. 또한, 포인터 정보는, BB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Generic 패킷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어느 BB 프레임에 최후에 배치된 Generic 패킷의 데이터가, 다음의 BB 프레임에 걸쳐져서 배치되는 경우에, 포인터 정보로서, 다음의 BB 프레임의 선두에 배치되는 Generic 패킷의 위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드(MODE)로서, "1"이 설정된 경우에는, 7비트의 포인터 정보(Pointer(LSB))와, 6비트의 포인터 정보(Pointer(MSB))와, 2비트의 옵셔널 플래그(OPTI: OPTIONAL)가 배치된다. 옵셔널 플래그는, 옵셔널 필드(Optional Field)와, 확장 필드(Extension Field)를 배치하여, BB 헤더를 확장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옵셔널 필드와 확장 필드의 확장을 행하지 않는 경우, 옵셔널 플래그는, "00"이 설정된다. 또한, 옵셔널 필드의 확장만을 행하는 경우, 옵셔널 플래그는, "01"또는 "10"이 설정된다. 또한, 옵셔널 플래그로서 "01"이 설정된 경우, 옵셔널 필드에는, 1바이트(8비트)의 패딩이 행해진다. 또한, 옵셔널 플래그로서 "10"이 설정된 경우, 옵셔널 필드에는, 2바이트(16비트)의 패딩이 행해진다.
또한, 옵셔널 필드와 확장 필드의 확장을 행하는 경우, 옵셔널 플래그는, "11"이 설정된다. 이 경우, 옵셔널 필드의 선두에는, 3비트의 확장 타입 정보(TYPE(EXT_TYPE))가 설정된다. 이 확장 타입 정보에는, 확장 타입 정보의 다음에 배치되는 확장 렝스 정보(EXT_Length(LSB))와 확장 필드의 타입(Extension type)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제3 배치예에서는, 확장 필드(확장 헤더)에,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가 배치된다.
즉, 제3 배치예에서는, 옵셔널 플래그(OPTI)로서 "11"이 설정되어, 옵셔널 필드와 확장 필드의 확장이 행해진다. 또한, 옵셔널 필드의 확장 타입 정보(TYPE(EXT_TYPE))로서 "011"이 설정되어, 확장 필드에,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가 배치된다.
도 10은, 도 9의 확장 타입 정보(TYPE(EXT_TYPE))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확장 타입 정보에는, 그 확장 타입 정보의 다음에 배치되는 확장 렝스 정보(EXT_Length(LSB))와 확장 필드의 타입(Extension type)에 관한 정보가 설정된다.
즉, 확장 렝스 정보를 배치하고, 스터핑 바이트(Stuffing Bytes)만이 배치되는 경우, 확장 타입 정보는, "000"이 설정된다. 또한, 확장 렝스 정보를 배치하지 않고, 확장 필드에, ISSY(Input Stream Synchronizer)가 배치되는 경우, 확장 타입 정보는, "001"이 설정된다. 또한, 확장 렝스 정보를 배치하고, 확장 필드에, ISSY와 함께, 스터핑 바이트가 배치되는 경우, 확장 타입 정보는, "010"이 설정된다.
또한, 확장 렝스 정보를 배치하고, 확장 필드에,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정보가 배치되는 경우, 확장 타입 정보는, "011"이 설정된다. 이 경우, 스터핑 바이트를 배치할지 여부는 임의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100" 내지 "111"의 확장 타입 정보는, 미정의(Reserved)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시각 정보는,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선두에 배치할 수 있다.
<순서 정보>
도 11은, 순서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의 전송 시스템에 대해서는,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BB 프레임을 순서대로 처리하는 구조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송신 장치(10)는, BB 프레임의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BB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있다.
순서 정보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BB 프레임의 BB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하에서는, 시각 정보는, 예를 들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제1 프리앰블 BS, 제2 프리앰블 Preamble)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도 11은, BB 프레임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있어서, BB 프레임은, BB 헤더와 페이로드(Payload)로 구성된다.
BB 헤더는, 1 또는 2바이트의 헤더(Base Header)로 구성된다.
또한, BB 헤더에는, 헤더(Base Header) 외에, 1 또는 2바이트의 옵셔널 필드(Optional Field)와, 확장 필드(Extension Field)를 배치할 수 있다.
헤더(Header)의 선두에는, 1비트의 모드(MODE)가 설정된다.
1비트의 모드(MODE)로서, "0"이 설정된 경우에는, 7비트의 포인터 정보(Pointer(LSB))가 배치된다. 포인터 정보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BB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Generic 패킷의 위치를 나타낸다.
모드(MODE)로서, "1"이 설정된 경우에는, 13=7+6비트의 포인터 정보(Pointer(LSB) 및 Pointer(MSB))와, 2비트의 옵셔널 플래그(OPTI: OPTIONAL)가 배치된다.
13비트의 포인터 정보는, 7비트의 포인터 정보(Pointer(LSB))와, 6비트의 포인터 정보(Pointer(MSB))로 구성된다. 7비트의 포인터 정보(Pointer(LSB)), 및 6비트의 포인터 정보(Pointer(MSB))는, 13비트의 포인터 정보의 하위 비트 및 상위 비트를, 각각 나타낸다. 옵셔널 플래그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옵셔널 필드(Optional Field)와, 확장 필드(Extension Field)를 배치하여, 헤더를 확장할지 여부를 나타낸다.
옵셔널 필드와 확장 필드의 확장을 행하지 않는 경우, 옵셔널 플래그는, "00"이 설정된다. 또한, 옵셔널 필드의 확장만을 행하는 경우, 옵셔널 플래그는, "01" 또는 "10"이 설정된다.
옵셔널 필드의 선두에는, 확장 필드(Extension Field)에 관한 3비트의 확장 타입 정보(EXT_TYPE)가 설정된다.
옵셔널 플래그가, "01" 또는 "10"인 경우, 확장 타입 정보는, "000"으로 설정된다. 또한, 옵셔널 필드의 3비트의 확장 타입 정보 "000" 뒤에, 5비트의 "00000"이 설정된다.
옵셔널 플래그가, "10"인 경우, 옵셔널 필드에 대해서는, 3비트의 확장 타입 정보 "000", 및 5비트의 "00000"에 이어서, 8비트의 "00000000"이 설정된다.
옵셔널 플래그가, "11"인 경우, 확장 타입 정보는, 확장 필드의 타입(type of Extention field)에 따라 설정되고, 확장 타입 정보 뒤에, 5비트의 EXT_Length(LSB), 또는 그 5비트의 EXT_Length(LSB)와, 8비트의 EXT_Length(MSB)가 설정된다.
EXT_Length(LSB)는, 예를 들어, 확장 필드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의 하위 6비트를 나타내고, EXT_Length(MSB)는, 예를 들어, 확장 필드의 사이즈에 관한 정보의 상위 8비트를 나타낸다.
또한, EXT_Length(MSB)는, 확장 타입 정보(EXT_TYPE)가 소정값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EXT_Length(MSB)가 존재하는 경우, 확장 필드의 사이즈는, 5비트의 EXT_Length(LSB)를 하위 비트로 함과 함께, 8비트의 EXT_Length(MSB)를 상위 비트로 하는 13비트로 나타난다. 또한, EXT_Length(MS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확장 필드의 사이즈는, 5비트의 EXT_Length(LSB)만으로 나타난다.
옵셔널 필드와 확장 필드의 확장을 행하는 경우, 옵셔널 플래그는, "11"이 설정된다.
그리고, 순서 정보는, 확장 타입 정보(EXT_TYPE)에 따라, 확장 필드(확장 헤더)에 배치된다.
즉, 순서 정보를, BB 프레임의 BB 헤더에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옵셔널 플래그(OPTI)로서 "11"이 설정되어, 옵셔널 필드와 확장 필드의 확장이 행해진다. 또한, 옵셔널 필드의 확장 타입 정보(EXT_TYPE)로서, 예를 들어 "001"이 설정되어, 확장 필드에, 순서 정보가 배치된다.
도 12는, 순서 정보를, BB 프레임의 BB 헤더에 포함시키는 일이 있는 경우의 도 11의 확장 타입 정보(EXT_TYPE)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확장 타입 정보가 "000"인 경우, 확장 필드(Extension Field)에는, 예를 들어, 스터핑 바이트(Stuffing Bytes)가 배치된다.
또한, 확장 타입 정보가 "001"인 경우, 확장 필드(Extension Field)에는, 예를 들어, 순서 정보가 배치된다.
도 12에서는, 그 외의 값의 확장 타입 정보는, 예약(Reserved)으로 되어 있다.
또한, BB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Generic 패킷은, 순서대로 배치되고,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IP 패킷도,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BB 프레임의 순서가, 순서 정보에 의하여 유지될 때는, BB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Generic 패킷의 순서도 유지되고,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IP 패킷의 순서도 유지된다.
<순서 정보의 제1 예>
도 13은, 순서 정보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순서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소정의 클럭을 카운트한 클럭 카운트값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DVB-T2이나 C2, S2에서는, ISSY가 규정되어 있다.
ISSY의 구성 요소에는, 타임 스탬프로서 기능하는 ISCR(Input Stream Clock Reference)이 있다.
ISSY의 사이즈는, 2바이트 또는 3바이트이고, ISCR에는, Short와 Long의 2종류가 있다.
Short의 ISCR의 사이즈는, 15비트이며, 그 15비트의 Short의 ISCR은, ISCR이 Short의 ISCR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1비트의 식별 정보와 함께, 2바이트(16비트)의 ISSY를 구성한다.
Long의 ISCR의 사이즈는, 22비트이며, 그 22비트의 Long의 ISCR은, ISCR이 Long의 ISCR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2비트의 식별 정보와 함께, 3바이트(24비트)의 ISSY를 구성한다.
ISCR은, 샘플링 클럭을 카운트한 카운트값이며, 순서 정보로서는, 이러한 ISCR와 마찬가지의 정보인 클럭 카운트값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에 있어서, 그 송신 장치(10)의 시스템 클록이, 카운터에 의하여 카운트되고, 그 시스템 클록을 카운트한, 예를 들어, 24비트의 클럭 카운트값이 출력된다.
프레임의 BB 헤더에 포함시키는 순서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그 BB 프레임이 구성될 때 등에 카운터가 출력하는 클럭 카운트값을 채용할 수 있다.
순서 정보로서, 클럭 카운트값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순서 정보로서의 클럭 카운트값을 이용하여, BB 프레임끼리(나아가, Generic 패킷끼리, 더 나아가, IP 패킷끼리)의 사이의 순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BB 프레임끼리의 사이의 시간의 조정(유지)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순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24비트의 클럭 카운트값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카운터가 카운트하는 클럭이, 예를 들어, ATSC 3.0의 샘플링 클럭과 마찬가지의 6.144㎒의 클럭이라고 하면, 24비트의 클럭 카운트값에 의하면, 1/(6.144㎒)×224=2.73초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순서 정보로서, 예를 들어 16비트의 클럭 카운트값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카운터가 카운트하는 클럭이,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6.144㎒의 클럭이라고 하면, 16비트의 클럭 카운트값에 의하면, 1/(6.144㎒)×216=10.6밀리초를 카운트할 수 있다.
순서 정보로서, 6.144㎒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클럭 카운트값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물리층 프레임의 길이를 고려하면, 클럭 카운트값은, 16비트보다도 24비트(3바이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서 정보의 제2 예>
도 14는, 순서 정보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순서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BB 프레임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기준으로 하는, BB 프레임의 위치의 상대적인 시각을 나타내는 오프셋 시각을 채용할 수 있다.
소정의 위치로서는, 예를 들어,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가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위치, 즉, 예를 들어, 제2 프리앰블 Preamble의 선두의 위치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BB 프레임의 BB 헤더에 포함되는 순서 정보로서의 오프셋 시각은, 그 BB 프레임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을 기준으로 하는, BB 프레임의 위치의 시각으로 된다.
도 14에서는,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 위치의 시각을 기준으로 하는, 그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 최초의 BB 프레임(BBF)의 위치의 시각이, 50.5밀리초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서는,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 위치의 시각을 기준으로 하는, 그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의 2번째의 BB 프레임(BBF)의 위치의 시각이, 73.79밀리초로 되어 있다.
여기서, 순서 정보로서의 오프셋 시각의 단위 시간이, 예를 들어 10마이크로초라고 하면, 예를 들어, 16비트(2바이트)의 오프셋 시각에 의하면, 0.65536초(약 655밀리초)=10마이크로초×216의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0.65536초는, 예를 들어, ATSC 3.0의 물리층 프레임 등의 최대의 길이 이상의 시간이다. 따라서, 16비트의 오프셋 시각을 순서 정보로서 이용함으로써, 각 BB 프레임의 시각을, 그 BB 프레임이 포함되는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가 나타내는 시각 위치의 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15는, 순서 정보의 제2 예로서의 16비트의 오프셋 시각을 생성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에서는,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에 있어서, 시각 위치, 즉, 물리층 프레임의 제2 프리앰블의 선두의 위치의 시각과, 그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되는 BB 프레임(BBF)의 선두의 위치의 시각의 차분이, 16비트의 오프셋 시각으로서, 연산부에서 연산된다.
순서 정보로서, 오프셋 시각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클럭 카운트값을 채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순서 정보로서의 클럭 카운트값을 이용하여, BB 프레임끼리의 사이의 순서나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순서 정보의 제3 예>
도 16은, 순서 정보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순서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BB 프레임을 카운트한 프레임 카운트값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에 있어서, 그 송신 장치(10)에서 구성되는 BB 프레임이, 카운터에 의하여 카운트되고, 그 BB 프레임을 카운트한, 예를 들어 8비트의 프레임 카운트값이 출력된다.
프레임의 BB 헤더에 포함시키는 순서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그 BB 프레임이 구성되었을 때 등에 카운터가 출력하는 프레임 카운트값을 채용할 수 있다.
순서 정보로서, 프레임 카운트값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클럭 카운트값이나, 오프셋 시각을 채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순서 정보로서의 프레임 카운트값을 이용하여, BB 프레임끼리의 사이의 순서를 유지할 수 있다. 단, 순서 정보로서, 프레임 카운트값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BB 프레임끼리의 사이의 시간을 유지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또한, 순서 정보로서, 프레임 카운트값을 채용하는 경우, 각 물리층 프레임에 있어서, BB 프레임의 순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카운트값은, 물리층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있는 최대의 BB 프레임 수까지를 카운트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프레임 카운트값의 사이즈로서는, 예를 들어 8비트(1바이트)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클럭 카운트값, 오프셋 시각, 및 프레임 카운트값의 사이즈로서, 각각, 24비트, 16비트, 및 8비트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BB 프레임의 오버헤드가 적다는 관점에서는, 8비트의 프레임 카운트값이 가장 유리하다.
<송신 장치(10)의 구성예>
도 17은, 도 1의 송신 장치(1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송신 장치(10)는, 순서 정보 취득부(61), 시각 정보 취득부(62), 프리앰블 생성부(63), 컴포넌트 취득부(64), 인코더(65), 프레임 생성부(66), 송신부(67), 및 안테나(68)를 갖는다.
순서 정보 취득부(61)는, 순서 정보를 취득(생성)하여, 프레임 생성부(66)에 공급한다.
시각 정보 취득부(62)는, 시각 정보를 취득하여, 프리앰블 생성부(63)에 공급한다. 시각 정보의 취득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BB 프레임의 구성에 필요한 패킷이, 도시하지 않은 스케줄러에 도착하면, 프레임 생성부(66)에서의 BB 프레임이 생성될 때의 시각 t로부터, 그 BB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물리층 프레임이 구해지고, 그 물리층 프레임의 제2 프리앰블 Preamble의 선두의 시각 T가 구해진다. 그리고, 시각 T는, 스케줄러로부터 컨트롤 신호로서, 시각 정보 취득부(62)에 공급된다. 시각 정보는, 후술하는 프리앰블 생성부(63)에서 제2 프리앰블 Preamble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시각 정보는, SFN 동기에 이용할 수 있다.
프리앰블 생성부(63)는, 시각 정보 취득부(62)로부터의 시각 정보를, 예를 들어, 제2 프리앰블 Preamble에 포함시킨 프리앰블(제1 프리앰블 BS, 제2 프리앰블 Preamble)을 생성하여, 프레임 생성부(66)에 공급한다.
컴포넌트 취득부(64)는, 서비스(예를 들어, 프로그램)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로서의 화상이나 음성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인코더(65)에 공급한다.
즉, 컴포넌트 취득부(64)는, 예를 들어, 이미 수록된 콘텐츠의 보관 장소로부터, 방송 시간대에 따라 해당하는 콘텐츠를 취득하거나, 또는 스튜디오나 로케이션 장소로부터 라이브의 콘텐츠를 취득하여, 그 콘텐츠(의 데이터)를, 인코더(65)에 공급한다.
인코더(65)는, 컴포넌트 취득부(64)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이나 음성의 데이터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을 따라 부호화하여, 예를 들어, IP 패킷의 형태로, 프레임 생성부(66)에 공급한다.
프레임 생성부(66)는, 순서 정보 취득부(61)로부터의 순서 정보, 프리앰블 생성부(63)로부터의 프리앰블, 및 인코더(64)로부터의 IP 패킷을 적절히 이용하여, 물리층 프레임을 생성(구성)하여, 송신부(67)에 공급한다.
즉, 프레임 생성부(66)는, 인코더(65)로부터의 IP 패킷을 배치한 Generic 패킷을 구성한다. 또한, 프레임 생성부(66)는, Generic 패킷을 BB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함과 함께, 순서 정보 취득부(61)로부터의 순서 정보를 BB 헤더에 포함시킨 BB 프레임을 구성한다.
또한, 프레임 생성부(66)는, BB 프레임으로부터 FEC 프레임을 구성하고,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배치한다.
그리고, 프레임 생성부(66)는,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에, 프리앰블 생성부(63)로부터의 프리앰블을 부가함으로써, 물리층 프레임을 구성하여, 송신부(67)에 공급한다.
송신부(67)는, 프레임 생성부(66)로부터의 물리층 프레임의 디지탈 변조나 업 컨버트 등의 처리를 행하고, 안테나(68)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송신한다.
또한, 도 17의 송신 장치(10)에 있어서, 모든 기능 블록이, 물리적으로 단일의 장치 내에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일부의 기능 블록이, 다른 기능 블록과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장치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송신 처리>
도 18은, 도 17의 송신 장치(10)가 행하는 송신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11에 있어서, 시각 정보 취득부(62)는, 시각 정보를 취득하여, 프리앰블 생성부(63)에 공급하고, 처리는, 스텝 S12로 나아간다.
스텝 S12에서는, 프리앰블 생성부(63)는, 시각 정보 취득부(62)로부터의 시각 정보를, 제2 프리앰블 Preamble에 포함시킨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을 생성하여, 프레임 생성부(66)에 공급하고, 처리는, 스텝 S13으로 나아간다.
스텝 S13에서는, 순서 정보 취득부(61)는, 순서 정보를 취득하여, 프레임 생성부(66)에 공급하고, 처리는, 스텝 S14로 나아간다.
스텝 S14에서는, 컴포넌트 취득부(64)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로서의 화상이나 음성의 데이터를 취득하여, 인코더(65)에 공급한다.
인코더(65)는, 컴포넌트 취득부(64)로부터 공급되는 화상이나 음성의 데이터 부호화 등의 처리를 행하여, IP 패킷의 형태로, 프레임 생성부(66)에 공급하고, 처리는, 스텝 S14에서 스텝 S15로 나아간다.
스텝 S15에서는, 프레임 생성부(66)는, 순서 정보 취득부(61)로부터의 순서 정보, 프리앰블 생성부(63)로부터의 프리앰블, 및 인코더(64)로부터의 IP 패킷을 적절히 이용하여, 물리층 프레임을 생성하여, 송신부(67)에 공급하고, 처리는, 스텝 S16으로 나아간다.
스텝 S16에서는, 송신부(67)는, 프레임 생성부(66)로부터의 물리층 프레임을, 안테나(68)를 통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송신한다.
<수신 장치(20)의 구성예>
도 19는, 도 1의 수신 장치(2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에 있어서, 수신 장치(20)는, 안테나(71), 튜너(72), 복조부(73), 처리부(74), 표시부(75), 및 스피커(76)로 구성된다.
안테나(71)는, 송신 장치(10)로부터의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튜너(72)에 공급한다.
튜너(72)는, 안테나(71)로부터의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소정의 주파수 채널의 성분을 선국함으로써, 그 주파수 채널에서 송신되어 오는 물리층 프레임을 수신하여, 복조부(73)에 공급한다.
복조부(73)는, 튜너(72)로부터 공급되는 물리층 프레임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즉, 복조부(73)는,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제1 프리앰블 BS, 제2 프리앰블 Preamble)을 복조하고, 나아가, 그 프리앰블의 복조 결과를 필요에 따라 이용하여,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를 복조한다.
또한, 복조부(73)는, 물리층 프레임의 페이로드 복조에 의하여 얻어지는 FEC 프레임을 복조(복호)한다.
그리고, 복조부(73)는, FEC 프레임의 복조의 결과 얻어지는 BB 프레임으로부터, Generic 패킷을 복조하고, 그 Generic 패킷으로부터, IP 패킷을 복조하여, 처리부(74)에 공급한다.
또한, 복조부(73)는, 복조 처리에 있어서,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나, BB 프레임의 BB 헤더에 포함되는 순서 정보를 취득하여, 처리부(74)에 공급한다.
처리부(74)는, 복조부(73)로부터의 IP 패킷으로부터 프로그램의 화상이나 음성을 복호하여, 화상을 표시부(75)에 공급함과 함께, 음성을 스피커(76)에 공급한다.
또한, 처리부(74)(또는 복조부(73))는, 복조부(73)로부터의 시각 정보나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즉, 처리부(74)(또는 복조부(73))는,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송신 장치(10)와의 동기를 취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또한, 처리부(74)는,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BB 프레임(에 배치된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IP 패킷)의 순서나 시간을 유지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또한, 시각 정보는, 그 외에, 예를 들어, DVB-T.2의 SFN 동기와 같은 동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표시부(75)는, 처리부(74)로부터의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76)는, 처리부(74)로부터의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도 19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표시부(75) 및 스피커(76)가 내장되어 있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표시부(75) 및 스피커(76)는, 외부에 설치해도 된다.
<수신 처리>
도 20은, 도 19의 수신 장치(20)가 행하는 수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21에 있어서, 튜너(72)는, 안테나(71)로부터의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물리층 프레임을 수신하여, 복조부(73)에 공급하고, 처리는, 스텝 S22로 나아간다.
스텝 S22에서는, 복조부(73)는, 튜너(72)로부터 공급되는 물리층 프레임의 복조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IP 패킷이나, 시각 정보, 순서 정보를, 처리부(74)에 공급하고, 처리는, 스텝 S23으로 나아간다.
스텝 S23에서는, 처리부(74)는,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장치(10)와의 동기를 취하는 처리를 행하고, 또한,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BB 프레임(에 배치된 Generic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되는 IP 패킷)의 순서를 유지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처리부(74)는, 송신 장치(10)와의 동기가 취해지고, BB 프레임의 순서가 유지된 상태 하에서, 복조부(73)로부터의 IP 패킷으로부터 프로그램의 화상이나 음성을 복호하고, 화상을 표시부(75)에 공급하여 표시시킴과 함께, 음성을 스피커(76)에 공급하여 출력시킨다.
이상과 같이, 도 1의 전송 시스템에서는, 송신 장치(10)가,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시각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함과 함께, BB 프레임의 BB 헤더에, 순서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므로, 시각 정보나 순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전송 시스템에서는, 수신 장치(20)가,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시각 정보나, BB 프레임의 BB 헤더에 포함되는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므로, 신속히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있어서는, 도 1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IP 패킷을 전송하는 것으로 했지만, IP 패킷 이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순서 정보로서, BB 프레임끼리의 사이의 시간의 조정을 행할 수 있는 클럭 카운트값이나 오프셋 시각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TS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전송 시스템은, 예를 들어, ATSC 3.0이나, DVB, ISDB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전송에 적용할 수 있다.
<DVB-T.2의 물리층 프레임>
도 21은, DVB-T.2의 물리층 프레임인 T2 프레임(T2frame)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T2 프레임은, 프리앰블로서의 P1 및 P2와, 페이로드로서의 데이터 심볼(Data Symbols)을 갖는다.
P1은, P1 signaling을 갖고, P2는, L1-pre signaling 및 L1-post signaling을 갖는다.
L1-post signaling은, Configurable, Dynamic, Extension, CRC, L1 padding을 갖는다.
시각 정보는, 이상과 같은 T2 프레임의 프리앰블(중, 예를 들어, P2)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순서 정보는, 이상과 같은 T2 프레임의 데이터 심볼로서 배치되는 BB 프레임의 BB 헤더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본 기술을 적용한 컴퓨터의 설명>
다음으로, 송신 장치(10)나 수신 장치(20)의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하여 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도 22는,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는 컴퓨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 디스크(105)나 ROM(103)에 미리 기록해 둘 수 있다.
혹은 또,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111)에 저장(기록)해 둘 수 있다. 이러한 리무버블 기록 매체(111)는, 소위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리무버블 기록 매체(111)로서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O(Magneto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이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111)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 외에, 통신망이나 방송망을 통하여, 컴퓨터에 다운로드하여, 내장한 하드 디스크(105)에 인스톨할 수 있다. 즉,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디지털 위성 방송용 인공위성을 통하여, 컴퓨터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컴퓨터에 유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2)를 내장하고 있으며, CPU(102)에는, 버스(101)를 통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110)가 접속되어 있다.
CPU(10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유저에 의하여, 입력부(107)가 조작되거나 함으로써 명령이 입력되면, 그에 따라, ROM(Read Only Memory)(10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는, CPU(102)는, 하드 디스크(10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104)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CPU(102)는, 상술한 흐름도에 따른 처리, 또는 상술한 블록도의 구성에 의하여 행해지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CPU(102)는, 그 처리 결과를,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입출력 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출력부(106)로부터 출력시키거나, 또는, 통신부(108)로부터 송신시키거나, 나아가, 하드 디스크(105)에 기록시키거나 한다.
또한, 입력부(107)는, 키보드나, 마우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출력부(10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 행하는 처리는,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또는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하여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멀리 떨어진 곳의 컴퓨터에 전송되어 실행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구성 요소(장치, 모듈(부품) 등)의 집합을 의미하며,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한 하우징 내에 있는지 여부는 불문이다. 따라서, 별개의 하우징에 수납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및 하나의 하우징 중에 복수의 모듈이 수납되어 있는 하나의 장치는, 모두, 시스템이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은, 하나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 공동하여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흐름도에서 설명한 각 스텝은,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텝에 복수의 처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하나의 스텝에 포함되는 복수의 처리는,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프리앰블과 페이로드를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상기 프리앰블에 포함하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2>
상기 프리앰블은, 제1 프리앰블과, 상기 제1 프리앰블에 이은 제2 프리앰블을 갖고,
상기 시각 정보는,
상기 제2 프리앰블에 포함되고,
상기 제2 프리앰블의 선두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1>에 기재된 송신 장치.
<3>
상기 시각 정보는,
NTP(Network Time Protocol)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 또는 PTP(Precise Time Protocol)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1> 또는 <2>에 기재된 송신 장치.
<4>
프리앰블과 페이로드를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상기 프리앰블에 포함하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
<5>
프리앰블과 페이로드를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상기 프리앰블에 포함하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상기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6>
상기 프리앰블은, 제1 프리앰블과, 상기 제1 프리앰블에 이은 제2 프리앰블을 갖고,
상기 시각 정보는,
상기 제2 프리앰블에 포함되고,
상기 제2 프리앰블의 선두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5>에 기재된 수신 장치.
<7>
상기 시각 정보는,
NTP(Network Time Protocol)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 또는 PTP(Precise Time Protocol)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5> 또는 <6>에 기재된 수신 장치.
<8>
프리앰블과 페이로드를 갖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상기 프리앰블에 포함하는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과,
상기 물리층 프레임의 프리앰블에 포함되는 상기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수신 방법.
<9>
BB(BaseBand) 프레임의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BB 헤더에 포함하는 상기 BB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BB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10>
상기 순서 정보는, 상기 BB 프레임을 카운트한 프레임 카운트값인,
<9>에 기재된 송신 장치.
<11>
상기 순서 정보는, 상기 BB 프레임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BB 프레임의 위치의 상대적인 시각을 나타내는 오프셋 시각인,
<9>에 기재된 송신 장치.
<12>
상기 순서 정보는, 소정의 클럭을 카운트한 클럭 카운트값인,
<9>에 기재된 송신 장치.
<13>
BB(BaseBand) 프레임의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BB 헤더에 포함하는 상기 BB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BB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
<14>
BB(BaseBand) 프레임의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BB 헤더에 포함하는 상기 BB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BB 프레임의 상기 BB 헤더에 포함되는 상기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15>
상기 순서 정보는, 상기 BB 프레임을 카운트한 프레임 카운트값인,
<14>에 기재된 수신 장치.
<16>
상기 순서 정보는, 상기 BB 프레임을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의 스트림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의 시각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BB 프레임의 위치의 상대적인 시각을 나타내는 오프셋 시각인,
<14>에 기재된 수신 장치.
<17>
상기 순서 정보는, 소정의 클럭을 카운트한 클럭 카운트값인,
<14>에 기재된 수신 장치.
<18>
BB(BaseBand) 프레임의 순서에 관한 순서 정보를 BB 헤더에 포함하는 상기 BB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과,
상기 BB 프레임의 상기 BB 헤더에 포함되는 상기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수신 방법.
10: 송신 장치
20: 수신 장치
30: 전송로
61: 순서 정보 취득부
62: 시각 정보 취득부
63: 프리앰블 생성부
64: 컴포넌트 취득부
65: 인코더
66: 프레임 생성부
67: 송신부
68, 71: 안테나
72: 튜너
73: 복조부
74: 처리부
75: 표시부
76: 스피커
101: 버스
102: CPU
103: ROM
104: RAM
105: 하드 디스크
106: 출력부
107: 입력부
108: 통신부
109: 드라이브
110: 입출력 인터페이스
111: 리무버블 기록 매체

Claims (14)

  1. 송신 장치로서,
    부트스트랩, 상기 부트스트랩에 후속하는 프리앰블, 및 상기 프리앰블에 후속하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부 - 상기 프리앰블은 상기 부트스트랩의 선두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정보는 상기 부트스트랩이 상기 송신 장치에 의해 처리된 시각을 나타냄 - 와,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PTP(Precise Time Protocol)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송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IEEE1588 PTP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송신 장치.
  4. 부트스트랩, 상기 부트스트랩에 후속하는 프리앰블, 및 상기 프리앰블에 후속하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 - 상기 프리앰블은 상기 부트스트랩의 선두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정보는 상기 부트스트랩이 송신 장치에 의해 처리된 시각을 나타냄 - 과,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PTP(Precise Time Protocol)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송신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IEEE1588 PTP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송신 방법.
  7. 부트스트랩, 상기 부트스트랩에 후속하는 프리앰블, 및 상기 프리앰블에 후속하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 상기 프리앰블은 상기 부트스트랩의 선두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정보는 상기 부트스트랩이 송신 장치에 의해 처리된 시각을 나타냄 - 와,
    상기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PTP(Precise Time Protocol)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수신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IEEE1588 PTP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수신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층 프레임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튜너
    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에 의해 공급되는 패킷들로부터 화상들 및 음성들을 복호하도록 구성되는 처리부와,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화상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표시부와,
    처리부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들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스피커
    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12. 부트스트랩, 상기 부트스트랩에 후속하는 프리앰블, 및 상기 프리앰블에 후속하는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물리층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 - 상기 프리앰블은 상기 부트스트랩의 선두의 위치의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 정보는 상기 부트스트랩이 송신 장치에 의해 처리된 시각을 나타냄 - 과,
    상기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수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PTP(Precise Time Protocol)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수신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 정보는,
    IEEE1588 PTP에서 규정되는 시각의 정보인
    수신 방법.
KR1020177021128A 2015-03-04 2016-02-22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Active KR102467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2247 2015-03-04
JP2015042247 2015-03-04
PCT/JP2016/055041 WO2016140089A1 (ja) 2015-03-04 2016-02-22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532A KR20170124532A (ko) 2017-11-10
KR102467738B1 true KR102467738B1 (ko) 2022-11-17

Family

ID=5684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128A Active KR102467738B1 (ko) 2015-03-04 2016-02-22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574375B2 (ko)
EP (1) EP3267692A4 (ko)
JP (1) JPWO2016140089A1 (ko)
KR (1) KR102467738B1 (ko)
CA (1) CA2977201C (ko)
MX (2) MX374008B (ko)
WO (1) WO2016140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738B1 (ko) 2015-03-04 2022-11-17 소니그룹주식회사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US10432680B2 (en) 2015-06-02 2019-10-01 Sony Corporation System time frequency and time information
CN110474702A (zh) * 2018-05-10 2019-11-19 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System Clock,并且依赖服务端自动修复的时间服务的实现方法
US12267150B2 (en) * 2021-04-27 2025-04-01 National Association Of Broadcasters Broadcast positioning system supporting location services through over-the-air television (TV) signa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9431A1 (en) * 2010-09-14 2013-08-2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through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6575B2 (en) * 1988-08-04 2009-10-20 Broadcom Corporation Remote radio data communication system with data rate switching
WO2002028057A2 (en) * 2000-09-29 2002-04-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US20030069988A1 (en) * 2001-10-09 2003-04-10 Johan Rune In-band signaling
US20030081603A1 (en) * 2001-10-26 2003-05-01 Johan Rune Pending data announcements
US7197685B2 (en) * 2003-01-02 2007-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bust signal transmission in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GB2417866B (en) * 2004-09-03 2007-09-19 Sony Uk Ltd Data transmission
WO2006063922A1 (de) 2004-12-16 2006-06-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Synchronisiermodul
US20080044012A1 (en) * 2006-08-15 2008-02-21 Nokia Corporation Reducing Security Protocol Overhead In Low Data Rate Applications Over A Wireless Link
JP4221676B2 (ja) * 2006-09-05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315571B1 (ko) 2006-10-27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탐색 제어 장치 및 방법.
US7730230B1 (en) 2006-12-29 2010-06-01 Marvell International Ltd. Floating frame timing circuits for network devices
JP5162939B2 (ja) * 2007-03-30 2013-03-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405967B1 (ko) 2007-06-28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4935661B2 (ja) * 2007-12-14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プログラム
KR101498063B1 (ko) * 2008-03-04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8155695B2 (en) * 2008-07-29 2012-04-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pparatus and method to improve WLAN performance in a dual WLAN modality environment
US20100043038A1 (en) 2008-08-14 2010-02-18 Zora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video and audio instant replay for digital television
JP4748211B2 (ja) * 2008-12-02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並びに適応等化装置
US8379757B1 (en) * 2009-05-29 2013-02-19 Marvell International Ltd. Narrow-band OFDM mode for WLAN
US8958490B2 (en) * 2009-12-31 2015-02-17 Allen LeRoy Limberg COFDM broadcasting with single-time retransmission of COFDM symbols
JP2011160075A (ja) * 2010-01-29 2011-08-18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EP2362650A1 (en) * 2010-02-26 2011-08-31 Panasonic Corporation Efficient physical layer signalling for a digital broadcast system
CN102474723A (zh) * 2010-07-13 2012-05-23 三洋电机株式会社 终端装置
US9606219B2 (en) 2010-08-02 2017-03-28 Progeny System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ng a target in a GPS-denied environment
US20150033271A1 (en) * 2011-02-15 2015-01-29 Joonhui Lee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ervice,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US20120300877A1 (en) * 2011-05-27 2012-11-29 Yutaka Murakami Precod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FR2978319B1 (fr) * 2011-07-20 2013-07-05 Enensys Technologies Systeme de diffusion de programmes videos
US9713019B2 (en) * 2011-08-17 2017-07-18 CBF Networks, Inc. Self organizing backhaul radio
US20130205343A1 (en) 2012-02-03 2013-08-08 John J. Kirby Method & Apparatus for an Enhanced Television Viewing Experience
JP2013172280A (ja) 2012-02-21 2013-09-02 Sony Corp 送信装置、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US9544641B2 (en) * 2012-05-10 2017-01-10 Humax Co., Ltd. Hybrid transmission method through MMT packet format extension
KR20140008237A (ko) 2012-07-10 2014-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엠엠티의 하이브리드 전송 서비스에서 패킷 전송 및 수신 장치 및 방법
US9246788B2 (en) * 2012-11-09 2016-01-26 Cisco Technology,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ergy management, profiles, and message blocks in a cable service environment
US9118352B2 (en) * 2012-12-26 2015-08-25 Allen LeRoy Limberg Remedying low densities of ONEs in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8842571B1 (en) * 2013-02-22 2014-09-23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time of arrival of a data unit
US9300421B2 (en) 2013-03-14 2016-03-29 Altera Corporation Methods to achieve accurate time stamp in IEEE 1588 for system with FEC encoder
JP6123481B2 (ja) 2013-05-23 2017-05-10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タイミング調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87216B1 (ko) * 2013-07-05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US9838748B2 (en) * 2013-07-05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814400B1 (ko) * 2013-08-19 2018-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방송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US10623534B2 (en) * 2013-09-26 2020-04-1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ing information, apparatus for receiving signaling informatio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signaling information
US9681407B2 (en) * 2013-12-28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Time synchronization function rollover solution
KR102033742B1 (ko) * 2014-04-16 2019-11-08 상하이 내셔널 엔지니어링 리서치 센터 오브 디지털 텔레비전 컴퍼니, 리미티드 프리앰블 심볼의 수신방법 및 장치
US9974056B2 (en) * 2014-05-02 2018-05-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n wireless distributed system
KR20150128613A (ko) * 2014-05-09 2015-11-18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프레임 전송 및 수신 방법
WO2015178603A1 (ko) 2014-05-20 2015-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전송 장치, 방송 전송 장치의 동작 방법.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US9780808B2 (en) 2014-05-21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er apparatus and bit interleaving method thereof
US9602245B2 (en) * 2014-05-21 2017-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pparatus and interleaving method thereof
WO2015199420A1 (ko) * 2014-06-24 2015-12-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시스템 시간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법
CN106537822B (zh) * 2014-07-17 2019-07-05 Lg 电子株式会社 广播发送设备及其处理数据的方法、广播接收设备及其处理数据的方法
KR101758882B1 (ko) * 2014-08-01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신호 전송방법, 방송신호 수신방법, 방송신호 전송장치, 방송신호 수신장치
CN105659613B (zh) * 2014-08-12 2019-01-25 Lg 电子株式会社 广播信号发送方法、广播信号接收方法、广播信号发送设备、以及广播信号接收设备
KR102384790B1 (ko) 2014-08-25 2022-04-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이어드 디비전 멀티플렉싱을 이용한 방송 신호 프레임 생성 장치 및 방송 신호 프레임 생성 방법
US9451571B2 (en) * 2014-09-22 2016-09-20 Alcatel Lucent Determining uplink and downlink delays between a baseband unit and a remote radio head
WO2016072747A1 (en) * 2014-11-04 2016-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60052313A (ko) *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CN114827299B (zh) * 2014-11-11 2024-06-28 三星电子株式会社 发送设备、接收设备及其控制方法
CN112468846B (zh) * 2014-12-05 2023-06-02 Lg 电子株式会社 广播信号发送方法和装置以及广播信号接收方法和装置
KR101764635B1 (ko) * 2014-12-10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EP3242485A4 (en) * 2014-12-31 2018-08-0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9763074B2 (en) * 2015-01-01 2017-09-12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beacon frame
CA2963063C (en) 2015-02-04 2019-06-0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receiving broadcast signals
EP3255882A4 (en) * 2015-02-04 2019-01-0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S
KR102467738B1 (ko) * 2015-03-04 2022-11-17 소니그룹주식회사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KR102454643B1 (ko) * 2015-03-06 2022-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부트스트랩 및 프리앰블을 이용한 방송 신호 프레임 생성 장치 및 방송 신호 프레임 생성 방법
JP2016225906A (ja) * 2015-06-02 2016-12-2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WO2017026249A1 (ja) * 2015-08-07 2018-06-0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19431A1 (en) * 2010-09-14 2013-08-2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through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7010954A (es) 2017-10-20
JPWO2016140089A1 (ja) 2017-12-14
WO2016140089A1 (ja) 2016-09-09
US20180048410A1 (en) 2018-02-15
US11451315B2 (en) 2022-09-20
US20200169346A1 (en) 2020-05-28
US20200044761A1 (en) 2020-02-06
EP3267692A4 (en) 2018-12-05
CA2977201A1 (en) 2016-09-09
US11290200B2 (en) 2022-03-29
EP3267692A1 (en) 2018-01-10
CA2977201C (en) 2024-02-20
MX374008B (es) 2020-07-23
MX2020006949A (es) 2020-09-09
KR20170124532A (ko) 2017-11-10
US10574375B2 (en)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919B1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KR102533481B1 (ko)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US11032338B2 (en) Determining time at which transmission frames were transmitted
US11290200B2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US10291945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20180039023A (ko)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JPWO2017073336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107984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ending and data processing information related to time such as leap second and daylight saving time (D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