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558B1 -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6558B1 KR102466558B1 KR1020210042463A KR20210042463A KR102466558B1 KR 102466558 B1 KR102466558 B1 KR 102466558B1 KR 1020210042463 A KR1020210042463 A KR 1020210042463A KR 20210042463 A KR20210042463 A KR 20210042463A KR 102466558 B1 KR102466558 B1 KR 1024665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sture
- pressure sensor
- user
- seating area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10000003049 pelvic bo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8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1461 Bone Retrover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509 Kyph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391 Musculoskelet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39 ischium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220 muscl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2 soft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세를 측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에서 경사면에 압력 센서가 배치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에 사용자가 착석했을 시, 압력센서에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장치를 기반으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자세를 구분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0: 제1 착석영역 20: 제2 착석영역
110: 센서부 111: 제1 압력센서모듈
112: 제2 압력센서모듈 120: 저장부
130: 출력부 131: 음향 출력모듈
132: 햅틱 모듈 140: 통신부
150: 프로세서 160: 전원공급부
200: 사용자 단말 201 : 디스플레이부
203: 음향 출력부
1111, 1112, 1121a, 1121b, 1122a, 1122b : 압력센서
Claims (32)
- 복수의 착석영역을 포함한 자세 측정 장치에 있어서,
제1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제1 압력센서모듈;
제2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제2 압력센서모듈; 및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 및 제2 압력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되는 압력값 및 기 설정된 임계값의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대퇴부가 착석되는 영역은,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좌골(ichium)부가 위치하는 영역은, 복수의 면 중 적어도 두 면에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이 각각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착석영역은, 상기 제1 착석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두면은, 전방을 기준으로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은, 상기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전면 및 후면은, 각각 기 설정된 각도의 경사면을 가지는, 자세 측정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면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은,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다각형의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 각각에 배치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준 자세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 해당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는, 기준 자세,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앞 또는 뒤로 기울어진 자세,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자세, 골반골을 유지한 상태로 등받이에 기댄 자세 및 골반골이 후향 회전하도록 등받이에 기댄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준 자세에 해당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에, 상기 판단된 자세가 상기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근거리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교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인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상기 교정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자세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된 자세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관리되도록, 상기 확인된 자세의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음향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모듈은, 상기 제2 착석영역의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스피커 중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석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을 출력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모듈은, 상기 제2 착석영역의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햅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햅틱부 중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부가 진동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자세 측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석영역에서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영역과 상기 제2 착석영역에서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영역을 입체적 또는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착석위치를 가이드하는, 자세 측정 장치.
- 복수의 착석영역을 포함한 자세 측정 장치의 자체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착석영역 중 제1 착석영역에 제1 압력센서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착석영역 중 제2 착석영역에 제2 압력센서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 및 제2 압력센서모듈을 통해 센싱되는 압력값 및 기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자세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대퇴부가 착석되는 영역은,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수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착석영역 내의 상기 사용자의 좌골(ichium)부가 위치하는 영역은, 복수의 면 중 적어도 두 면에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이 각각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착석영역은, 상기 제1 착석영역의 후방에 위치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두면은, 전방을 기준으로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은, 상기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전면 및 후면은, 각각 기 설정된 각도의 경사면을 가지는, 자세 측정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면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은,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다각형의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 각각에 배치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준 자세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는, 기준 자세,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앞 또는 뒤로 기울어진 자세,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자세, 골반골을 유지한 상태로 등받이에 기댄 자세 및 골반골이 후향 회전하도록 등받이에 기댄 자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준 자세에 해당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판단된 자세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될 경우에, 상기 판단된 자세가 상기 기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자세 중 어느 하나의 자세에 해당되는지 확인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교정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인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상기 교정 정보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자세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며,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자세가 상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관리되도록, 상기 확인된 자세의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더 전송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더 전송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더 전송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석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모듈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음향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출력모듈은, 상기 제2 착석영역의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스피커 중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상기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착석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햅틱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햅틱 모듈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도록 가이드하는 진동음을 출력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모듈은, 상기 제2 착석영역의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햅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동작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햅틱부 중 상기 확인된 자세가 기준 자세로 교정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햅틱부가 진동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자세 측정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착석영역에서 상기 제1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영역과 상기 제2 착석영역에서 상기 제2 압력센서모듈이 배치되는 영역을 입체적 또는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착석위치를 가이드하는, 자세 측정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463A KR102466558B1 (ko) | 2021-04-01 | 2021-04-01 |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463A KR102466558B1 (ko) | 2021-04-01 | 2021-04-01 |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6611A KR20220136611A (ko) | 2022-10-11 |
KR102466558B1 true KR102466558B1 (ko) | 2022-11-11 |
Family
ID=8359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2463A Active KR102466558B1 (ko) | 2021-04-01 | 2021-04-01 |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655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84886A (ko) | 2023-12-04 | 2025-06-11 | 노영근 | 골반저근 운동 판단을 위한 회음부 표면 압력 측정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42785A (ja) | 2012-08-24 | 2014-03-13 | Shinichi Makise | 腰痛改善器 |
JP2016002439A (ja) | 2014-06-16 | 2016-01-12 | 木夢株式会社 | 禅チェアー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3556B1 (ko) * | 2010-04-22 | 2011-12-13 | 주식회사 자세과학 | 앉은 자세 측정장치 |
KR20150072957A (ko) | 2013-12-20 | 2015-06-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자세 측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그에 따른 시스템 |
KR20170047160A (ko) * | 2015-10-22 | 2017-05-04 | 곽정오 | 단말과 연동 가능한 자세 교정 모듈 |
KR20170112058A (ko) * | 2016-03-30 | 2017-10-1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사용자 자세 분석 방법 |
KR20180092456A (ko) * | 2017-02-09 | 2018-08-20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압력센서를 이용한 자세측정정보기반 바른 자세 유도 시스템 |
KR102082510B1 (ko) * | 2017-11-23 | 2020-02-27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앉은 자세를 측정 및 평가하여 피드백하는 방법 및 장치 |
-
2021
- 2021-04-01 KR KR1020210042463A patent/KR10246655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42785A (ja) | 2012-08-24 | 2014-03-13 | Shinichi Makise | 腰痛改善器 |
JP2016002439A (ja) | 2014-06-16 | 2016-01-12 | 木夢株式会社 | 禅チェア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6611A (ko) | 2022-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69668B2 (en) | Occupant and fidget detection of a seat assembly | |
Jeong et al. | Developing and evaluating a mixed sensor smart chair system for real-time posture classification: Combining pressure and distance sensors | |
US2017002043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ser posture | |
KR101183580B1 (ko) | 스마트기기 연동형 착용식 자세교정 유도장치 | |
KR101547653B1 (ko) | 압력 분포도의 비교 분석을 통한 자세 교정 시스템 | |
US20110275939A1 (en) | Ergonomic Sensor Pad with Feedback to User and Method of Use | |
KR101842067B1 (ko) | 스마트 섬유를 이용한 자세 제어 시스템 | |
KR20110049941A (ko) | 자세교정의자 및 방석 | |
KR102082510B1 (ko) | 앉은 자세를 측정 및 평가하여 피드백하는 방법 및 장치 | |
WO2019208764A1 (ja) | Ecu装置、車両シート、着座者の下肢の長さ推定システム及び座高検出センサーの取付構造 | |
KR102466558B1 (ko) | 자세 측정 장치 및 방법 | |
WO2005074754A1 (en) | Posture sensing | |
KR20110089646A (ko) | 기능성 의자 | |
KR20160069699A (ko) | 바른 자세 유지용 의자 | |
EP3452803B1 (en) | Mattress indentation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 |
TW201818880A (zh) | 坐姿評估系統及方法 | |
KR101622480B1 (ko) | 방석형 자세교정 시스템 | |
JP2019194062A (ja) | Ecu装置、車両シート及び着座者の下肢の長さ推定システム | |
KR20170069822A (ko) | 헬스케어체어 구조 | |
WO2018230202A1 (ja) | 椅子及び姿勢判定方法 | |
KR20170078481A (ko) | 자세 감지 및 교정용 장치 | |
KR20160048617A (ko) | 압력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앉은 자세 모니터링 시스템 | |
KR20230041306A (ko) | 자세 교정 훈련 시스템 | |
JP7003714B2 (ja) | マットレス選定システム | |
JP7274165B2 (ja) | 着座姿勢判定装置、椅子、着座姿勢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