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229B1 - Outer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effective for control thermal bridge phenomenon - Google Patents
Outer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effective for control thermal bridge phenomen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6229B1 KR102466229B1 KR1020200129310A KR20200129310A KR102466229B1 KR 102466229 B1 KR102466229 B1 KR 102466229B1 KR 1020200129310 A KR1020200129310 A KR 1020200129310A KR 20200129310 A KR20200129310 A KR 20200129310A KR 102466229 B1 KR102466229 B1 KR 1024662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ermal
- insulating material
- outer insulation
- vertical
- vertical 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1—Filling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외단열재 상호간 및 보 또는 슬래브와의 연결 부위에서 열교현상으로 인해 감소되는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열교현상 제어에 효과적인 외단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외단열재와 보 또는 슬래브 사이의 열교 차단 시스템으로서, 제1 수직부, 제2 수직부 및 수평부로 이루어진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가 설치되어 열교를 차단하되, 상기 제1 수직부는 제1 외단열재 상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홈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2 수직부는 상기 제1 외단열재 상부에 적층되는 제2 외단열재 하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홈부에 매립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제2 외단열재에 접하는 상기 보 또는 슬래브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단열재 및 상기 제2 외단열재 사이의 틈은 그라우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 시스템을 제공한다.Disclosed is an external insulation system effective for controlling thermal bridging, which can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a building, which is reduced due to thermal bridging between external insulation materials and at a joint between beams or slabs.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between an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and a beam or slab, wherein a T-bar type thermal meta structure consisting of a first vertical part, a second vertical part and a horizontal part is installed to block the thermal bridge, The first vertical part is embedded in the first groove part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outer insulating material, and the second vertical part has a second outer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outer insulating material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outer insulating material. Is embedded in the groove, the horizont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eam or slab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insulation, and the gap between the first outer insulation and the second outer insulation is grouted. to prov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단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단열재의 수직 및 수평상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외단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ernal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thermal bridging occurring at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ion portions of external insulation materials.
건축물의 외피 구조 중 콘크리트 건축물의 외벽 면은 건축물의 단열성능과 미려한 외관 구현을 위해 벽체의 외부면에 단열층을 형성하고, 그 외부면에 다양한 재료의 외장재료로 마감하여 이루어진 복합구조로 구성된다.Among the outer shell structures of buildings, the outer wall of a concrete building is composed of a composite structure consisting of forming a heat insulating lay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and finishing with various exterior materials on the outer surface to realize the insulation performance and beautiful appearance of the building.
이러한 복합구조는 콘크리트 벽체가 형성되면 그 외벽면에 단열재료인 우레탄이나 스티로폼 등을 설치하고, 그 외부면에 최종적인 마감처리를 위해 마감재료인 타일이나 석재 또는 금속 예컨대, 알루미늄패널 등으로 마감한다.In this composite structure, when a concrete wall is formed,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urethane or styrofoam i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is finished with a tile, stone or metal, such as an aluminum panel, as a finishing material for the final finishing treatment. .
일반적으로 구조체(콘크리트)를 기준으로 단열재가 외부로 설치되는 외단열 시스템은 단열재가 내부로 설치되는 내단열 시스템에 비해 차가운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기 어려워 단열성능 측면에서는 유리한 구조이다.In general, an external insulation system in which insulation is installed outside based on a structure (concret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insulation performance because it is difficult for cold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interior compared to an internal insulation system in which insulation is installed inside.
그러나 종래 외단열 시스템은 외단열재의 수직 및 수평상 연결부 내지 조인트, 즉, 외단열재가 적층되는 부위, 보 또는 슬래브의 하단 부위, 외단열재의 수평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열교현상 방지를 위한 대책은 마련되지 않고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xternal insulation system, measures are taken to prevent thermal bridges occurring 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ions or joints of the external insulation materials, that is, the area where the external insulation materials are laminated, the lower part of the beam or slab,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area of the external insulation materials. It's not happening.
[선행특허문헌][Prior patent literature]
- 한국 공개특허 제2018-0130973호(2018.12.10. 공개)-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130973 (published on December 10, 2018)
- 한국 공개특허 제2019-0060510호(2019.06.03. 공개)-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60510 (2019.06.03. Publication)
본 발명은 외단열재 상호간 및 보 또는 슬래브와의 연결 부위에서 열교현상으로 인해 감소되는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열교현상 제어에 효과적인 외단열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effective external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mal bridging, which can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of a building that is reduced due to thermal bridging at the connection between external insulation materials and beams or slab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외단열재와 보 또는 슬래브 사이의 열교 차단 시스템으로서, 제1 수직부, 제2 수직부 및 수평부로 이루어진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가 설치되어 열교를 차단하되, 상기 제1 수직부는 제1 외단열재 상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홈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2 수직부는 상기 제1 외단열재 상부에 적층되는 제2 외단열재 하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홈부에 매립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제2 외단열재에 접하는 상기 보 또는 슬래브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단열재 및 상기 제2 외단열재 사이의 틈은 그라우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 시스템을 제공한다.As one aspec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between an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and a beam or slab, a T-bar type heat consisting of a first vertical part, a second vertical part and a horizontal part A meta structure is installed to block the thermal bridge, the first vertical part is embedded in the first groove part of the corresponding shape formed on the top of the first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and the second vertical part is laminated on the top of the first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It is embedded in a second groove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ulator, the horizontal por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eam or slab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insulator, and the gap between the first outer insulator and the second outer insulator is Provided is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grouted.
또한 상기 열메타 구조는 외부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 내부에 채워지는 단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hermal meta structure provides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structure maintaining an external shap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ed inside the structure.
또한 상기 구조체는 종이 계열의 라미네이트, 골판지, 열가소성 폴리머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이고, 상기 단열 소재는 공기, 파라핀, 폴리머, 물, 에어로겔, 우레탄폼 및 스티로폼 알갱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per-based laminate, corrugated board, thermoplastic polymer, and metal,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ir, paraffin, polymer, water, airgel, urethane foam, and styrofoam pellets. It provides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ed one or more materials.
또한 본 발명은, (a) 제1 외단열재를 기초에 연결하는 단계; (b) 제1 수직부, 제2 수직부 및 수평부로 이루어진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를 설치하되, 상기 제1 수직부를 상기 제1 외단열재 상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홈부에 매립하고, 상기 수평부를 상기 제2 외단열재에 접하는 상기 보 또는 슬래브의 하단에 연결하는 단계; (c) 하단에 상기 제2 수직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홈부가 형성된 제2 외단열재를 상기 제1 외단열재 상부에 적층하여 상기 제2 수직부를 상기 제2 홈부에 매립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외단열재 및 상기 제2 외단열재 사이의 틈을 그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단열재와 보 또는 슬래브 사이의 열교 차단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ng the first external insulation to the foundation; (b) A T-bar type thermal meta structure consisting of a first vertical part, a second vertical part and a horizontal part is installed, and the first vertical part has a corresponding shape formed on the top of the first outer insulation material. Embedding the first groove and connecting the horizontal part to the lower end of the beam or slab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insulation; (c) stacking a second outer insulating material on top of the first outer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second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ertical part at a lower end thereof, and burying the second vertical part in the second groove; and (d) grouting a gap between the first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and the second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또한 상기 열메타 구조는 외부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 내부에 채워지는 단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수직부의 구조체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수직 돌출부에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단열재와 고정하고, 상기 수평부의 구조체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 돌출부에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상기 보 또는 슬래브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hermal meta structure is made of a structure maintaining an external shap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ed inside the structure, and in the step (b), a connection hardware is applied to the first vertical protrusion formed by extending the structure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art. It provides a thermal bridge blocking method characterized by fixing to the first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and fixing to the beam or slab by using a connection hardware to the horizontal protrusion formed by extending the structure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외단열재간 수평 접합 구조의 열교 차단 시스템으로서, 제1 측부, 제2 측부 및 전면부로 이루어진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가 상기 외단열재 사이에 설치되어 열교를 차단하되, 상기 제1 측부와 상기 전면부의 일부는 제3 외단열재 일측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3 홈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측부와 상기 전면부의 타부는 제4 외단열재 일측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4 홈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 시스템을 제공한다.As another aspec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of a horizontal bonding structure between external insulation materials, a T-bar type thermal meta structure consisting of a first side part, a second side part and a front part It is installed between the external insulation materials to block thermal bridges, and a portion of the first side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is fitted into a third groove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formed at one end of the third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and the second side portion and the oth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are inserted. provides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fourth groove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formed at one end of the fourth outer insulation material.
본 발명에 따르면 외단열재의 수직 및 수평 접합부에 특정 구조의 열메타 소재를 설치함으로써 열교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al bridge phenomenon can be completely prevented by installing a thermal meta material having a specific structure 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junctions of the outer insulation material.
또한 열교현상의 제어로 외단열재의 단열성능을 극대화시켜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a building by maximizing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by controlling the thermal bridge phenomenon.
또한 외단열재의 수직 및 수평 접합부에 특정 구조의 열메타 소재를 최단 시간으로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단순 시공방법을 통한 현장 시공성이 향상된 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with improved field workability through a simple construction method by providing a method for installing a thermal meta material of a specific structure in the shortest time 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junctions of the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열교 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열메타 구조의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제1 외단열재를 기초에 연결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열메타 구조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제2 외단열재를 적층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열교 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모델링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모델링의 열 전달 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따른 모델링을 나타낸 수평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 따른 모델링의 열 전달 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pecific shape of a thermal meta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explaining the step of connecting the first outer insulation to the foundation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installing a thermal meta structure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laminating a second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odeling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8 is a view showing the heat transfer analysis results of modeling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9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odeling according to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10 is a diagram showing heat transfer analysis results of modeling according to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본 발명의 세부구성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detailed configuration dire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자들은 종래 외단열 시스템이 내단열 시스템에 비해 단열성능 측면에서는 유리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외단열재의 수직 및 수평상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열교현상 방지를 위한 대책은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을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 구조의 열메타 소재를 설치함으로써 열교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face the situation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 conventional external insulation system has an advantageous structure in terms of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internal insulation system, measures for preventing thermal bridge phenomenon occurring 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ion parts of the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are not prepared, As a result of repeated research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rmal bridge phenomenon can be completely prevented by installing a thermal meta material having a specific structure,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ach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열교 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1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ermal bridge barrier system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1 양태에 따른 열교 차단 시스템(100)은 외단열재(110)와 보 또는 슬래브(120) 사이, 즉, 외단열재(110)의 수직 연결 및 보 또는 슬래브(120)와의 수평 연결에서의 열교 차단 시스템으로서, 제1 수직부(131), 제2 수직부(132) 및 수평부(133)로 이루어진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130)가 설치되어 열교를 차단하되, 상기 제1 수직부(131)는 제1 외단열재(110-1) 상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홈부(111)에 매립되고, 상기 제2 수직부(132)는 상기 제1 외단열재(110-1) 상부에 적층되는 제2 외단열재(110-2) 하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홈부(112)에 매립되고, 상기 수평부(133)는 상기 제2 외단열재(110-2)에 접하는 상기 보 또는 슬래브(12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단열재(110-1) 및 상기 제2 외단열재(110-2) 사이의 틈(113)은 그라우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thermal
본 발명에서 열메타 구조(130)는 외단열재(110)의 수직 및 수평 접합부에 설치되어 열교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T-바(T-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2에 열메타 구조(130)의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내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al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열메타 구조(130)는 설치되는 현장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나, 가로, 세로 및 두께가 각각 500 내지 2,500 mm, 2,000 내지 3,000 mm 및 50 내지 300 mm 범위에서 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al
상기 열메타 구조(130)는 외부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체(134) 내부에 단열 소재(135)가 채워지는 형태이다. 상기 구조체(134) 및 단열 소재(135)로서 외단열재(110)의 수직 및 수평 접합부에 설치되어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체(134) 소재 및 단열 소재(135)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구조체(134)는 종이 계열의 라미네이트, 골판지, 열가소성 폴리머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단열 소재(135)는 공기, 파라핀, 폴리머, 물, 에어로겔, 우레탄폼 및 스티로폼 알갱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일 수 있다.The thermal
여기서, 상기 단열 소재(135)의 밀도에 있어 당 업계에서 요청되는 열전도율 수준인 0.03 w/m·k 이하의 단열성 충족을 고려할 때, 상기 파라핀은 0.7 내지 0.9 g/㎤, 바람직하게는 0.75 내지 0.8 g/㎤, 상기 폴리머는 1.01 내지 1.1 g/㎤,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1.07 g/㎤, 상기 물은 냉각수로서 1.05 내지 1.15 g/㎤,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12 g/㎤, 상기 에어로겔은 0.05 내지 0.15 g/㎤,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09 g/㎤, 상기 우레탄폼 및 스티로폼 알갱이는 0.025 내지 0.045 g/㎤,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04 g/㎤의 소재로서, 열전도율 0.05 내지 0.015 w/m·k 수준의 소재가 선택될 수 있다.Here, considering the density of the
본 발명에서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130)는 제1 수직부(131), 제2 수직부(132) 및 수평부(133)로 이루어져, 제1 수직부(131) 및 제2 수직부(132)는 적층되는 제1 외단열재(110-1) 및 제2 외단열재(110-2)의 외면을 가로질러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홈(111, 112)에 매립되고, 수평부(133)는 보 또는 슬래브(120)의 하단에 연결되어, 외단열재(110)의 수직 연결 부위, 즉, 제1 외단열재(110-1) 및 제2 외단열재(110-2) 사이에서의 열교현상과, 외단열재(110)의 수평상 연결 부위, 즉, 제2 외단열재(110-2) 및 보 또는 슬래브(120) 사이에서의 열교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al
구체적으로, 제1 수직부(131)는 제1 외단열재(110-1) 상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홈부(111)에 매립되고, 상기 제2 수직부(132)는 상기 제1 외단열재(110-1) 상부에 적층되는 제2 외단열재(110-2) 하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홈부(112)에 매립되고, 상기 수평부(133)는 상기 제2 외단열재(110-2)에 접하는 상기 보 또는 슬래브(120)의 하단에 연결된다.Specifically, the first
이때 제1 외단열재(110-1) 및 상기 제2 외단열재(110-2) 사이의 틈은 그라우팅 처리하여 메워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gap between the first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110-1 and the second outer heat insulating material 110-2 may be filled by grouting.
이하, 본 발명에서 외단열재의 수직 연결 및 보 또는 슬래브와의 수평 연결에서의 열교 차단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blocking thermal bridges in the vertical connection of external insulation materials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with beams or slabs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외단열재(110)의 수직 연결 및 보 또는 슬래브(120)와의 수평 연결에서의 열교 차단 방법은, (a) 제1 외단열재(110-1)를 기초(140)에 연결하는 단계; (b) 제1 수직부(131), 제2 수직부(132) 및 수평부(133)로 이루어진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130)를 설치하되, 상기 제1 수직부(131)를 상기 제1 외단열재(110-1) 상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홈부(111)에 매립하고, 상기 수평부(133)를 상기 제2 외단열재(110-2)에 접하는 상기 보 또는 슬래브(120)의 하단에 연결하는 단계; 및 (c) 하단에 상기 제2 수직부(132)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홈부(112)가 형성된 제2 외단열재(110-2)를 상기 제1 외단열재(110-1) 상부에 적층하여 상기 제2 수직부(132)를 상기 제2 홈부(112)에 매립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외단열재(110-1) 및 상기 제2 외단열재(110-2) 사이의 틈(113)을 그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al bridge blocking method in the vertical connection of the
상기 (a) 제1 외단열재(110-1)를 기초(140)에 연결하는 단계는 그 방식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내부에 미리 설치된 스플라이스(141) 또는 외부에 설치된 연결재(142)를 이용하여 기초(140)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 각각 스플라이스(141) 및 연결재(142)를 이용하여 제1 외단열재(110-1)를 기초에 연결하는 방식을 나타내었다.The (a) step of connecting the first outer insulation material 110-1 to the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외단열재(110-1) 내부에 스플라이스(141)를 미리 설치한 후 기초(140)에 미리 삽입된 철근 또는 와이어메쉬(143)와 결합하고, 이후, 스플라이스(141) 내의 그라우팅을 통해 제1 외단열재(110-1)를 기초에 고정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 (a), the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외단열재(110-1) 외부에 설치된 연결재(142)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기초(140) 상부에 미리 설치된 강판(144)에 구비된 연결재(142)와 볼팅(145) 또는 용접(146)을 통해 제1 외단열재(110-1)를 기초(140)에 고정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3 (b), in the case of using the
상기 (b) 단계는 열메타 구조(130)를 위치시키는 단계로서, 도 4에 열메타 구조(130)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Step (b) is a step of locating the
도 4를 참조하면, 제1 수직부(131), 제2 수직부(132) 및 수평부(133)로 이루어진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130) 설치는 제1 수직부(131)를 제1 외단열재(110-1) 상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홈부(111)에 매립하고, 상기 수평부(133)를 상기 제2 외단열재(110-2)에 접하는 상기 보 또는 슬래브(120)의 하단에 연결하여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4 , installation of a T-bar type
열메타 구조(130)의 설치는 상기 (a) 단계에 따라 기초(140)에 제1 외단열재(110-1)을 고정시킨 이후 진행되는 것이나, 설치되는 열메타 구조(130)와 제1 외단열재(110-1) 및 보 또는 슬래브(120) 사이의 유격 조정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기초(140)에 제1 외단열재(110-1)가 완전히 고정되기 이전에 열메타 구조(130)를 설치한 후 제1 외단열재(110-1)를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다.The installation of the thermal
이때, 열메타 구조(130)와 제1 외단열재(110-1), 그리고 열메타 구조(130)와 보 또는 슬래브(120)의 연결은 열메타 구조(130)의 구조체(134) 부분에서 연장된 스테이블을 이용하여 간편한 시공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수직부(131)의 구조체(134)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수직 돌출부(134a)에 연결철물(I)을 이용하여 열메타 구조(130)를 제1 외단열재(110-1)에 고정되도록 하고, 수평부(133)의 구조체(134)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 돌출부(134b)에 연결철물(I)을 이용하여 열메타 구조(130)를 보 또는 슬래브(120)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ermal
상기 (c) 단계는 제2 외단열재(110-2)를 제1 외단열재(110-1) 상부에 적층하면서 열메타 구조(130)가 매립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도 5에 제2 외단열재(110-2)를 적층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The step (c) is a step of stacking the second outer insulator 110-2 on top of the first outer insulator 110-1 so that the thermal
도 5를 참조하면, 제2 외단열재(110-2)의 적층은 하단에 상기 제2 수직부(132)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홈부(112)가 형성된 제2 외단열재(110-2)를 제1 외단열재(110-1) 상부에 적층하여 제2 수직부(132)를 상기 제2 홈부(112)에 매립하여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5, the stacking of the second outer insulator 110-2 includes a second outer insulator 110-2 having a
여기서, 제2 외단열재(110-2)를 제1 외단열재(110-1)로의 적층 연결은 그 방식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내부에 미리 설치된 철근 또는 와이어메쉬(143)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Here, the laminated connection of the second outer insulation material 110-2 to the first outer insulation material 110-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method, but, for example, connecting to a reinforcing bar or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1 외단열재(110-1) 및 제2 외단열재(110-2) 사이의 틈(113)을 그라우팅하는 단계로서, 제2 외단열재(110-2)의 적층 이후, 제1 외단열재(110-1) 및 제2 외단열재(110-2) 사이에 발생하는 틈(113)을 최종적으로 그라우팅 공법으로 메우는 단계이다. 상기 그라우팅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d) is a step of grouting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열교 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2 양태에 따른 외단열재간 열교 차단 시스템(200)은, 외단열재(210)간 수평 접합 구조에서의 열교 차단 시스템으로서, 제1 측부(231), 제2 측부(232) 및 전면부(233)로 이루어진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230)가 상기 외단열재(210) 사이에 설치되어 열교를 차단하되, 상기 제1 측부(231)와 상기 전면부(233)의 일부분은 제3 외단열재(210-1) 일측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3 홈부(211)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측부(232)와 상기 전면부(233)의 나머지 부분은 제4 외단열재(210-2) 일측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4 홈부(212)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메타 구조(230)는 전술한 바와 같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열메타 소재가 외단열재(210) 내부에도 형성된 예를 들고 있다.Referring to FIG. 6 , a thermal
외단열재(210)간의 수평 접합은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230)에 이와 대응되는 측부 형상을 가진 외단열재(210)가 열메타 구조의 양측에서 대칭되도록 삽입된 형태이며, 제3 외단열재(210-1)를 설치한 이후,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230)의 제1 측부(231)를 제3 외단열재(210-1) 일측단에 형성된 제3 홈부(211)에 끼운 후, 제4 외단열재(210-2) 일측단에 형성된 제4 홈부(212)를 이용하여 열메타 구조(230)의 제2 측부(232)에 끼워 설치된다.The horizontal bonding between the outer insulation materials 210 is a type in which the outer insulation materials 210 having side shapes corresponding to the T-bar type
이후, 제3 외단열재(210-1) 및 제4 외단열재(210-2) 사이에 발생하는 틈(213)을 최종적으로 그라우팅 공법으로 메워 외단열재(210)간 수평 접합 시 열교 차단 공법을 마무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실시예 1 및 비교예 1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상기 제1 양태에 따라 도 7(a)와 같이 모델링하였다(실시예 1). 외단열재(110)와 보(120) 사이에 매립 설치된 열메타 구조(130)는 종이 계열의 라미네이트 구조체(134)에 밀도 0.08 g/㎤의 에어로겔(135)이 채워진 엘메타 구조(130)이다. 비교를 위해 도 7(b)와 같이 열메타 구조를 설치하지 않은 형태로도 모델링하였다(비교예 1). 본 모델링에서는 외단열재(110) 내부에도 동일한 재료의 열메타 소재가 충진된 것으로 하여 수행되었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it was modeled as shown in FIG. 7 (a) (Example 1). The thermal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모델에 대하여 열 전달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외단열재(110)의 초기 온도를 20로 설정하고, 외단열재(110) 외면에 50의 열원 및 -20의 냉원을 위치시켜, 외단열재(110)의 타면에서 온도 변화를 시뮬레이션하고, 1,000분 후의 온도 분포와, '' 지점에서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각각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었다.For the models of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initial temperature of each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외단열재(110)의 수직 및 수평 연결 부위에서 T-바 형태의 열메타 구조(130)를 이용하여 열의 흐름의 차단함으로써, 열메타 구조(130)의 돌출상세와 스테이블을 이용한 간편한 시공으로 공정을 간소화하면서도 1층의 천장부와 2층의 바닥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교현상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음이 확인된다.Referring to FIG. 8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al
실시예 2 및 비교예 2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상기 제2 양태에 따라 도 9(a)와 같이 모델링하였다(실시예 2). 외단열재(210) 사이에 끼움 설치된 열메타 구조(230)는 종이 계열의 라미네이트 구조체(234)에 밀도 0.08 g/㎤의 에어로겔(235)이 채워진 엘메타 구조(230)이다. 비교를 위해 도 9(b)와 같이 열메타 구조를 설치하지 않은 형태로도 모델링하였다(비교예 2). 본 모델링 역시 외단열재(210) 내부에도 동일한 재료의 열메타 소재가 충진된 것으로 하여 수행되었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it was modeled as shown in FIG. 9 (a) (Example 2). The thermal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2의 모델에 대하여 열 전달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외단열재(210)의 초기 온도를 20로 설정하고, 외단열재(210) 외면에 50의 열원 및 -20의 냉원을 위치시켜, 외단열재(210)의 타면에서 온도 변화를 시뮬레이션하고, 1,000분 후의 온도 분포와, '' 지점에서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각각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었다.With respect to the models of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initial temperature of each outer insulation material 210 was set to 20 , and 5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insulation material 210 heat source of and -20 By locating the cooling source of, simulating the temperature change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insulation 210,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fter 1,000 minutes, ' ' The temperature change with time at the point is shown in FIGS. 10(a) and 10(b), respectively.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외단열재(210)의 수평 접합 연결 부위에서 T-바 형태의 열메타 구조(230)를 이용하여 열의 흐름의 차단함으로써, 연결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교현상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음이 확인된다.Referring to FI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locking the flow of heat using the thermal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 열교 차단 시스템 110, 210 : 외단열재
110-1 : 제1 외단열재 110-2 : 제2 외단열재
111 : 제1 홈부 112 : 제2 홈부
113, 213 : 외단열재 사이의 틈 120 : 보 또는 슬래브
130, 230 : 열메타 구조 131 : 제1 수직부
132 : 제2 수직부 133 : 수평부
134, 234 : 구조체 134a : 제1 수직 돌출부
134b : 수평 돌출부 135, 235 : 단열 소재
140 : 기초 141 : 스플라이스
142 : 연결재 143 : 철근 또는 와이어메쉬
144 : 강판 145 : 볼팅
146 : 용접 210-1 : 제3 외단열재
210-2 : 제4 외단열재 211 : 제3 홈부
212 : 제4 홈부 231 : 제1 측부
232 : 제2 측부 233 : 전면부100, 200: thermal
110-1: 1st outer insulation 110-2: 2nd outer insulation
111: first groove 112: second groove
113, 213: gap between outer insulation 120: beam or slab
130, 230: thermal meta structure 131: first vertical part
132: second vertical portion 133: horizontal portion
134, 234:
134b:
140: base 141: splice
142: connecting material 143: reinforcing bar or wire mesh
144: steel plate 145: bolting
146: welding 210-1: third outer insulation
210-2: 4th outer insulation 211: 3rd groove
212: fourth groove 231: first side
232: second side part 233: front part
Claims (6)
제1 수직부, 제2 수직부 및 수평부로 이루어진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가 설치되어 열교를 차단하되,
상기 제1 수직부는 제1 외단열재 상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홈부에 매립되고, 상기 제2 수직부는 상기 제1 외단열재 상부에 적층되는 제2 외단열재 하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홈부에 매립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제2 외단열재에 접하는 상기 보 또는 슬래브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외단열재 및 상기 제2 외단열재 사이의 틈은 그라우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 시스템.As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between an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and a beam or slab,
A thermal meta structure in the form of a T-bar consisting of a first vertical part, a second vertical part and a horizontal part is installed to block thermal bridge,
The first vertical part is embedded in the first groove part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outer insulating material, and the second vertical part has a second outer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corresponding shape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outer insulating material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outer insulating material. It is embedded in the groove, and the horizontal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eam or slab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insulation,
The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outer insulation material and the second outer insulation material is grouted.
상기 열메타 구조는 외부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 내부에 채워지는 단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thermal meta structure is a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ructure maintaining an external shap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ed inside the structure.
상기 구조체는 종이 계열의 라미네이트, 골판지, 열가소성 폴리머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이고, 상기 단열 소재는 공기, 파라핀, 폴리머, 물, 에어로겔, 우레탄폼 및 스티로폼 알갱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 시스템.According to claim 2,
The structure i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aper-based laminate, corrugated board, thermoplastic polymer, and metal,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ir, paraffin, polymer, water, airgel, urethane foam, and styrofoam pellets Thermal bridge blo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material to be.
(b) 제1 수직부, 제2 수직부 및 수평부로 이루어진 T-바(T-bar) 형태의 열메타 구조를 설치하되, 상기 제1 수직부를 상기 제1 외단열재 상단에 형성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홈부에 매립하고, 상기 수평부를 상기 제2 외단열재에 접하는 상기 보 또는 슬래브의 하단에 연결하는 단계;
(c) 하단에 상기 제2 수직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홈부가 형성된 제2 외단열재를 상기 제1 외단열재 상부에 적층하여 상기 제2 수직부를 상기 제2 홈부에 매립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외단열재 및 상기 제2 외단열재 사이의 틈을 그라우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외단열재와 보 또는 슬래브 사이의 열교 차단 방법.(a) connecting the first external insulation to the foundation;
(b) A T-bar type thermal meta structure consisting of a first vertical part, a second vertical part and a horizontal part is installed, and the first vertical part has a corresponding shape formed on the top of the first outer insulation material. Embedding the first groove and connecting the horizontal part to the lower end of the beam or slab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insulation;
(c) stacking a second outer insulating material on top of the first outer insulating material having a second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vertical part at a lower end thereof, and burying the second vertical part in the second groove; and
(d) grouting a gap between the first outer insulation material and the second outer insulation material;
Thermal bridge blocking method between the outer insulation and the beam or slab comprising a.
상기 열메타 구조는 외부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 내부에 채워지는 단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수직부의 구조체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수직 돌출부에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단열재와 고정하고, 상기 수평부의 구조체 부분이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 돌출부에 연결철물을 이용하여 상기 보 또는 슬래브와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 차단 방법.According to claim 4,
The thermal meta structure is made of a structure that maintains an external shap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ed inside the structure,
In the step (b), the first vertical protrusion formed by extending the structure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portion is fixed to the first external insulation material using a connection hardware, and the connection hardware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rotrusion formed by extending the structure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Thermal bridge block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fixing with the beam or slab 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9310A KR102466229B1 (en) | 2020-10-07 | 2020-10-07 | Outer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effective for control thermal bridge phenomen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9310A KR102466229B1 (en) | 2020-10-07 | 2020-10-07 | Outer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effective for control thermal bridge phenomen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6183A KR20220046183A (en) | 2022-04-14 |
KR102466229B1 true KR102466229B1 (en) | 2022-11-11 |
Family
ID=8121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9310A Active KR102466229B1 (en) | 2020-10-07 | 2020-10-07 | Outer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effective for control thermal bridge phenomen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622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26884B1 (en) * | 2023-12-12 | 2025-07-02 | 송문종 | Crack prevention insulation construction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3837U (en) * | 2011-12-11 | 2012-02-23 | 今泉 太爾 | Structural insulation |
-
2020
- 2020-10-07 KR KR1020200129310A patent/KR10246622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6183A (en) | 2022-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10293B2 (en) | Multiple layer polymer foam and concrete system for forming concrete walls, panels, floors, and decks | |
JP2008503670A (en) | Isolated concrete formwork system with variable length wall connections | |
NO325695B1 (en) | Wall construction, method of making a wall construction and a mold assembly. | |
CA2902628C (en) | Building block system | |
US10961701B2 (en) | Interlocking construction block | |
KR102466229B1 (en) | Outer insulation system and method effective for control thermal bridge phenomenon | |
US6735914B2 (en) | Load bearing wall | |
US20120124927A1 (en) | Foam injected wall panel | |
US20040003565A1 (en) | Composite wall tie | |
KR100736752B1 (en) | I-slab joint structure using hetero beam | |
EP1605112B1 (en) |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building construction as well as formwork therefor | |
US20040003550A1 (en) | Earth coupled geo-thermal energy free building | |
WO2014030111A1 (en) | A modular assembly for the construction of insulated building structures | |
JPH0739700B2 (en) | Insulated wall structure | |
KR20060042051A (en) | Multi-lightweight insulation soundproof space brick | |
EP0940516A1 (en) | A structural panel | |
JP4488371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pre-insulated precast concrete wall | |
KR102480855B1 (en) | Honeycomb meta-based high insulation precast concrete panels with excellent earthquake and wind resistances | |
US20060016143A1 (en) | Insulated tile and stone block wall | |
JP2793498B2 (en) | Wall structure | |
US12091855B1 (en) | Insulated tilt-up wall panel | |
JP3652406B2 (en) | How to install basement insulation | |
WO1988006220A1 (en) | Method of flooring ground in a house | |
JP2018168605A (en) | Heat storage structure of building | |
JP4062603B2 (en) | Concrete placing form and outer heat insulation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