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6090B1 - Improved back counter and shoe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mproved back counter and shoe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090B1
KR102466090B1 KR1020220025568A KR20220025568A KR102466090B1 KR 102466090 B1 KR102466090 B1 KR 102466090B1 KR 1020220025568 A KR1020220025568 A KR 1020220025568A KR 20220025568 A KR20220025568 A KR 20220025568A KR 102466090 B1 KR102466090 B1 KR 10246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moon
shaped body
heel
cushion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5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세광
Original Assignee
세라블라썸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라블라썸코리아 (주) filed Critical 세라블라썸코리아 (주)
Priority to KR102022002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0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09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5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st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월형의 상단 라인과 스펀지의 상단 라인 간 단차가 최소화되게 하여 발 뒤꿈치에 대응되는 구두 뒤축 부분의 상하방향 폭에 있어서 구두가 벗겨지지 않도록 확보되어야 하는 폭에 근접하도록 디자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월형 및 이를 구비한 구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두는 구두의 뒤축을 형성하는 뒤 외피와 뒤 내피, 상기 뒤 외피와 상기 뒤 내피의 사이에 배치되어 구두 뒤축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측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절개부에 의해 하방으로 패인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 월형 바디, 및 적어도 하부가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된 채 상기 월형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뒤 내피와 사용자의 발 뒤꿈치를 밀착시키는 쿠션 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ine of the wall type and the upper line of the sponge, so that the width of the heel part corresponding to the heel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lose to the width that must be secured so that the shoe does not come off. It relates to a moon shape and a shoe having the same.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a rear outer skin and a rear endothelial that form the heel of a shoe, and between the rear outer skin and the rear endothelium so that the shape of the heel of the shoe is maintained, and the upper side A wall-shaped body in which an incision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space concave downward by the incision is formed, and at least the lower part is inserted into the space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on-shaped body so that the rear endothelial and the user's heel are in close contact. It includes a cushion member that does.

Description

월형 및 이를 구비한 구두{IMPROVED BACK COUNTER AND SHOES HAVING THE SAME}Moon type and shoes having it {IMPROVED BACK COUNTER AND SHO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월형 및 이를 구비한 구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월형의 상단 라인과 스펀지의 상단 라인 간 단차가 최소화되게 하는 월형 및 이를 구비한 구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n shape and shoes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on shape that minimizes a step difference between an upper line of the moon shape and an upper line of a sponge and a shoe including the same.

구두는 착용 과정에서 뒤꿈치 부분이 내려앉고 착용 후 구두가 쉽게 벗겨지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작시 그 뒤축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이른바 '월형'(back counter)이라는 삽입물이 삽입되어 성형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heel part falling down during the wearing process and the shoes coming off easily after wearing, an insert called a so-called 'back counter' is inserted and molded between the inner skin and the outer skin of the heel during manufacture.

종래 월형은 대체로 반원형으로 둥글게 성형된 것으로, 구두의 뒤축에 삽입되어 구두를 구조적으로 보강함으로써 구두의 뒤축을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구두가 쉽게 벗겨지지 않게 하면서 사용자의 뒤꿈치 및 발목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ventional moon type is generally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heel of the shoe to structurally reinforce the shoe, thereby maintaining the heel of the shoe in a constant shape and protecting the user's heel and ankle while preventing the shoe from being easily peeled off. Do it.

전술한 월형은 예컨대 가죽을 갈아서 뒤꿈치 모양에 맞게 만들어져 나오거나 전통 방식으로 직접 가죽을 깎아 제조되기도 하며, 구두의 종류에 따라 형태가 다르고 또한 일반 월형과 부츠용 월형으로 형태가 구분되어 제조되기도 한다.For example, the above-mentioned moon mold is made to fit the shape of a heel by grinding leather, or it is manufactured by directly cutting leather in a traditional way.

그리고 이러한 월형의 상측을 덮는 갑피 부분에는 뒤꿈치나 발목과의 접촉시 불편감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내부에 탄력적 소재로 된 스펀지가 내장되고 있다.In addition, a spong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embedded i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moon shape so as not to cause discomfort when contacting the heel or ankle.

한편, 구두는 쉽게 벗겨지지 않기 위해 발 뒤꿈치에 대응되는 구두 뒤축 부분이 적절한 상하방향 폭을 가져야 한다. 예컨대 235mm 구두의 경우 구두 뒷굽의 상단부로부터 구두 뒤축의 최상단까지 상하방향 폭이 대략 50mm 이상 확보되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그리고 구두에 있어서 발을 넣는 입구를 탑라인(top-line)이라 하는데, 이러한 탑라인에서 뒤축 부분은 스펀지 및 월형에 의해 그 형태가 정해진다. 그런데 종래의 구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형 및 스펀지가 배치된 탑라인의 뒤축 상단부(10)에서 월형의 상단으로부터 스펀지 자체의 높이만큼 상향 돌출되도록 스펀지가 배치됨으로써, 월형의 상단 라인과 스펀지의 상단 라인 간 단차가 크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not to easily come off, the heel part of the shoe corresponding to the heel must have an appropriat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235mm shoes, it should be designed so that a vertical width of about 50mm or more is secured from the upper end of the heel of the shoe to the uppermost end of the heel of the shoe. In addition, the entrance to which the foot is put in the shoe is called the top-line, and the shape of the heel part in this top-line is determined by the sponge and the moon shape. However, 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shoe, the sponge is disposed so as to protrude upward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sponge itself from the top of the moon at the upper end 10 of the heel of the top line where the moon and sponge are disposed, so that the upper line of the moon and the sponge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ines of is large.

이러한 단차는 탑라인(T) 중 뒤축 부분에서 스펀지 부분에 의해 지나치게 상향 돌출되는 형태를 취하면서, 상기한 발 뒤꿈치에 대응되는 구두 뒤축 부분의 상하방향 폭이 60mm 이상까지 지나치게 높게 디자인되는 실정이다. 또한 스펀지 및 월형이 내장된 갑피 부분에서 스펀지의 좌우 단부와 그 아래 월형의 상단부 사이 부분(11)의 내부에 빈 공간을 발생시킴으로써 구두의 착용에 따라 이 부분에서 주름이 생기는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하면서 구두의 미감을 해친다.This step is designed to be excessively upwardly protruded by the sponge part at the heel part of the top line T, and the vertical width of the heel part corresponding to the heel is designed to be too high, up to 60 mm or more. In addition, by creating an empty space inside the part 11 betwee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ponge and the upper end of the moon form below, in the upper part where the sponge and moon form are embedded, wrinkles occur in this part according to the wear of the shoe, causing various problems. It spoils the aesthetics of shoes.

또한 상향으로 지나치게 돌출되어 배치되는 스펀지 부분으로 인해 발목 뒷부분에의 접촉에 따른 불편감을 유발하며, 접촉 과정에서 탑라인의 뒤축 상단부 부분의 변형 내지 손상이 발생됨에 따라 구두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In addition, the sponge part protrudes excessively upward, causing discomfort due to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ankle, and deformation or damage to the upper part of the heel of the top line during the contact process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durability of the shoe deteriorates. and needs improvement.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foregoing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technology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1311호(등록일: 2016. 09. 05.)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1311 (registration date: 2016. 09. 0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월형의 상단 라인과 스펀지의 상단 라인 간 단차를 최소화함으로써 구두의 미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착용감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월형 및 이를 구비한 구두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minimizes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ine of the wall type and the upper line of the sponge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shoe, as well as a wall type that can improve comfort and durability, and it It is to provide the equipped sho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는, 구두의 뒤축을 형성하는 뒤 외피와 뒤 내피, 상기 뒤 외피와 상기 뒤 내피의 사이에 배치되어 구두 뒤축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측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절개부에 의해 하방으로 패인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 월형 바디, 및 적어도 하부가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된 채 상기 월형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뒤 내피와 사용자의 발 뒤꿈치를 밀착시키는 쿠션 부재를 포함한다.The sho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outer skin and the rear inner skin forming the heel of the shoe, and between the rear outer skin and the rear inner skin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heel of the shoe. A wall-shaped body in which a space concave downward by the incision is formed, and a cushion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ll-shaped body with at least a lower part inserted in the space to bring the back endothelium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eel.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에 있어서, 상기 월형 바디가 구두의 뒤축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쉽게 굽혀지도록, 상기 월형 바디의 저면부의 중앙에 제1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ho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moon-shaped body so that the moon-shaped body is easily bent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eel of the sho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에 있어서, 상기 월형 바디의 상기 제1 홈으로부터 직상의 위치이면서 상기 절개부 상에 제2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ho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groove may be formed on the cutout while being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first groove of the wall-shaped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두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상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ho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member may have a flat to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월형은, 구두의 뒤축을 형성하는 뒤 외피와 뒤 내피의 사이에 배치되어 구두 뒤축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월형으로서, 월형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월형 바디의 상측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절개부에 의해 하방으로 패인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뒤 외피와 상기 뒤 내피의 사이이면서 상기 월형 바디의 상측에 쿠션 부재가 배치될 때 상기 쿠션 부재의 적어도 하부가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된 채 배치될 수 있게 한다.A moon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a rear outer skin and a rear inner skin forming the heel of a sho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heel of the shoe, and includes a moon body, the upper center of the moon body. As the incision is formed, a downward space is formed by the incision, so that when a cushion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outer skin and the rear inner skin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on-shaped body, at least the lower portion of the cushion member is in the space. Allow it to be placed while being inserted into it.

본 발명에 따르면, 월형 바디에 마련된 절개부 내에 쿠션 부재를 배치하여 월형 바디의 상단 라인과 쿠션 부재의 상단 라인 간 단차를 최소화 함으로써 구두의 뒤축 영역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감을 개선함과 아울러 구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osing the cushion member in the cutout provided in the moon-shaped body to minimize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ine of the moon-shaped body and the upper line of the cushion memb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heel area of the shoe and improve the wearing comfort. It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shoes.

도 1은 종래 구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월형과 그 상측에 배치되는 쿠션 부재를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월형 및 쿠션 부재를 구비한 구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월형 바디가 뒤 외피에 부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월형 바디의 상측에 도 2에 도시된 쿠션 부재가 배치된 채 뒤 외피에 부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hoe.
FIG. 2 is a view showing a moon type and a cushion member disposed thereon in an unfolded man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hoe having a moon shape and a cushion member shown in FIG. 2 .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moon-shaped body shown in FIG. 2 is attached to the rear shell.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cushion member shown in FIG. 2 is attached to the rear shell while being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on-shaped body shown in FIG. 4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월형 및 이를 구비한 구두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moon type and shoe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월형과 그 상측에 배치되는 쿠션 부재를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월형 및 쿠션 부재를 구비한 구두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월형 바디가 뒤 외피에 부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월형 바디의 상측에 도 2에 도시된 쿠션 부재가 배치된 채 뒤 외피에 부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a moon shape and a cushion member disposed thereon in an expanded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hoe provided with a moon shape and a cushion member shown in FIG. 2, and FIG.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at the moon-shaped body shown in FIG. 2 is attached to the rear shell, and FIG. 5 is attached to the rear shell with the cushion member shown in FIG. 2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on-shaped body shown in FIG. 4.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월형(100)은 월형 바디(110)를 포함한다. 월형 바디(110)는 상측 중앙에 절개부(111)가 형성되면서 절개부(111)에 의해 월형 바디(110)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패인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 the moon typ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on type body 110 . The wall-shaped body 110 has a cutout 1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and a space in the form of a depression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wall-shaped body 110 is formed by the cutout 111 .

쿠션 부재(200)는 구두 뒤축을 형성하는 갑피 내에서 월형 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때 쿠션 부재(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부재(200)의 적어도 하부가 절개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삽입된 채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쿠션 부재(200)는 그 전체가 절개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월형 바디(110)는 쿠션 부재(200)의 상하방향 폭을 고려하여 절개부(111)의 하방 깊이가 설계될 수 있다.The cushion member 200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on-shaped body 110 in the upper forming the heel of the shoe. At this time, as shown, the cushion member 200 has at least a lower part of the cushion member 200 cut It may be plac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unit 111 .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entirety of the cushion member 200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cutout 111 . In the wall-shaped body 110 , the downward depth of the cutout 111 may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vertical width of the cushion member 200 .

쿠션 부재(200)의 적어도 하부가 절개부(111) 내에 삽입된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월형 바디(110)의 최상단 라인으로부터 쿠션 부재(200)의 상향 돌출되는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만약 월형 바디(110)에서 본 실시예와 같은 절개부(111)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쿠션 부재(200)의 최상단 라인은 월형 바디(110)의 최상단 라인으로부터 쿠션 부재(200)의 상하방향 폭 이상으로 차이를 가지면서 높게 위치될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 따라 월형 바디(110)의 상측에 절개부(111)가 형성되어 쿠션 부재(200)의 적어도 하부가 절개부(111) 내에 삽입된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쿠션 부재(200)의 최상단 라인이 월형 바디(110)의 최상단 라인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양자 간의 단차가 줄어 구두 뒤축 영역의 탑라인(T)이 크게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미려한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미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발목에 과하게 접촉하는 일이 생기지 않아 착용감과 구두의 내구성 또한 향상된다.Since at least the lower part of the cushion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cutout 111, the upwardly protruding height of the cushion member 200 from the uppermost line of the wall-shaped body 110 can be minimized. If the cutout 111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formed in the wall-shaped body 110, the uppermost line of the cushion member 200 extends beyond the vertical width of the cushion member 200 from the uppermost line of the wall-shaped body 110. Although it will be positioned higher with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tout 11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on-shaped body 110, and at least the lower part of the cushion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cutout 111 and disposed. As a result, the uppermost line of the cushion member 200 can be arranged so as to be close to the uppermost line of the moon-shaped body 110, and as a result,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reduced, so that the topline (T) of the shoe heel area does not protrude greatly, resulting in a beautiful shape. By being able to have, not only the aesthetic sense is improved, but also the wearing comfort and durability of the shoe are improved because excessive contact with the ankle does not occur.

월형 바디(110)의 저면부의 중앙에는 제1 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월형 바디(110)는 구두 뒤축의 형태에 대응하는 굽은 형태로 구두 뒤축의 갑피 내에 배치되는데, 월형 바디(110)는 제1 홈(112)에 의해 이와 같이 굽은 형태를 취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제1 홈(112)의 직상 위치이면서 절개부(111) 상에 제1 홈(112)보다 작은 크기의 제2 홈(119)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2 홈(119) 또한 월형 바디(110)가 용이하게 굽은 형태를 취하는데 기여한다.A first groove 112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all-shaped body 110 . The moon-shaped body 110 is disposed in the upper of the shoe heel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hoe heel. In addition, a second groove 119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groove 112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cutout 111 while being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first groove 112, and the second groove 119 is also a moon shape. It contributes to the body 110 easily taking a bent shape.

월형 바디(110)는 제1 홈(112)의 일측 방향 예를 들어 도 2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에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1 경사부(113)가 마련되고, 제1 경사부(113)의 단부에는 쿠션 부재(200)의 방향으로 굴곡지게 제1 곡선부(114)가 마련되고, 제1 곡선부(114)의 상단부에는 절개부(111)의 방향으로 제1 연장부(11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연장부(115)의 단부는 절개부(111)의 좌측 영역(111a)과 만나게 된다. 또한 월형 바디(110)는 제1 홈(112)의 타측 방향 예를 들어 도 2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에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2 경사부(116)가 마련되고, 제2 경사부(116)의 단부에는 쿠션 부재(200)의 방향으로 굴곡지게 제2 곡선부(117)가 마련되고, 제2 곡선부(117)의 상단부에는 절개부(111)의 방향으로 제2 연장부(118)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연장부(118)의 단부는 절개부(111)의 우측 영역(111b)과 만나게 된다. 월형 바디(110)가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제1 경사부(113)와 제1 곡선부(114)와 제1 연장부(115)에 의해 형성되는 월형 바디(110)의 일측 형상이 제2 경사부(116)와 제2 곡선부(117)와 제2 연장부(118)에 의해 형성되는 월형 바디(110)의 타측 형상과 가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절개부(111)에 의해 감소되는 월형 바디(110)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wall-shaped body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inclined portion 113 inclined in an upward direction in one direction of the first groove 112, for example, in the left direction relative to FIG. 2, and the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 A first curved portion 114 is provided to be curved in the direction of the cushion member 200, and a first extension portion 115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114 in the direction of the cutout 111. In addition,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15 meets the left area 111a of the cutout part 111 . In addition, the wall-shaped body 110 is provided with a second inclined portion 116 inclined upward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2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rst groove 112, for exampl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16 A second curved portion 117 is provided at the end portion to be curved in the direction of the cushion member 200,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118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117 in the direction of the cutout portion 111.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118 meets the right area 111b of the cutout part 111 . As the moon-shaped body 110 is formed in this way, the shape of one side of the moon-shaped body 110 formed by the first inclined portion 113, the first curved portion 114,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15 is changed to the second inclined portion. It may have a shape horizontally symmetrical to the shape of the other side of the wall-shaped body 110 formed by (116), the second curved portion 117,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18. Due to this shap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moon-shaped body 110 reduced by the cutout 111 can be improved.

이와 같은 월형 바디(110)는 다소 강성을 가지면서 가볍고 굽힘이 용이하도록 예컨대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Such a wall-shaped body 110 may be made of, for example, TPU (Thermo Plastic Polyurethane) material so as to be light and easy to bend while having some rigidity.

쿠션 부재(200)는 예컨대 라텍스 소재 등과 같이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지며, 구두 뒤축의 갑피 내이면서 월형 바디(110)의 절개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채로 월형 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뒤 내피(400)와 사용자의 발 뒤꿈치를 밀착시키면서 사용자의 발 뒤꿈치에 대한 탄력적인 접촉에 따른 양호한 착용감을 제공한다.The cushion member 20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latex, and is inside the upper of the heel of the shoe and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cutout 111 of the moon-shaped body 110. 110), it provides a good wearing feeling according to elastic contact with the user's heel while keeping the back endothelium 400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eel.

쿠션 부재(200)는 적어도 상부(201)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쿠션 부재(200)의 상부(201)의 면이 돌출되는 부분 없이 이와 같이 평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두의 탑라인(T) 중 뒤축 영역에서 돌출 형태를 취하지 않는 미려한 라인을 형성하게 되어 구두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The cushion member 200 may have at least an upper portion 201 of a plane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Since the surface of the upper part 201 of the cushion member 200 is made of a flat surface without protruding parts, a beautiful line that does not protrude in the heel area of the top line T of the shoe is formed,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shoe. It can be.

쿠션 부재(200)의 좌측부(202)는 절개부(111)의 굴곡지게 경사진 좌측 영역(111a)과 대응되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우측부(203) 또한 절개부(111)의 굴곡지게 경사진 우측 영역(111b)과 대응되게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ft portion 202 of the cushion member 200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curvedly inclined left region 111a of the cutout 111, and the right portion 203 also curves the cutout 111. It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inclined right area 111b.

쿠션 부재(200)의 하부(204)는 상부(201)와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쿠션 부재(200)의 적어도 하부가 절개부(111) 내 공간에 삽입된 채 배치될 때 절개부(111)상에 접촉된 채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될 수도 있다.Like the upper portion 201, the lower portion 204 of the cushion member 200 may be formed of a flat surfac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t least the lower portion of the cushion member 200 may be dispos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within the cutout 111. It may be dispos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cutout 111, or may be disposed with a gap as shown.

쿠션 부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력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형 바디(110)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shion member 200 is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and may be thicker than the wall-shaped body 110 as shown in FIG. 5 .

본 실시예에 따른 월형(100)이 구비된 구두(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 외피(300)와, 뒤 외피(300)에 결합되는 뒤 내피(400)를 포함하며, 뒤 외피(300)와 뒤 내피(400)의 사이에 도 2에 도시된 월형 바디(110)가 삽입 배치되어 구두의 뒤축이 일정한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쿠션 부재(200)가 구두의 갑피 내이면서 월형 바디(110)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발 뒤꿈치에 대해 탄력적으로 접촉됨으로써 구두(1)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As shown in FIG. 3, the shoe 1 equipped with the moon shap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ar outer shell 300 and a rear inner shell 400 coupled to the rear outer shell 300, The moon-shaped body 110 shown in FIG. 2 is inserted and disposed between the outer skin 300 and the rear inner skin 400 so that the heel of the shoe can be maintained in a constant shape. In addition, the cushioning member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on-shaped body 110 while being inside the upper of the shoe, so that it elastically contacts the heel, thereby improving the wearing comfort of the shoe 1.

뒤 외피(300)와 뒤 내피(400)는 구두 뒤축의 갑피를 형성하는 것으로 가죽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뒤 외피(300)와 뒤 내피(400)는 예컨대 박음질 방식 및/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outer skin 300 and the rear inner skin 400 form the upper of the heel of the sho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including leather. I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n adhesive method by.

뒤 외피(300) 및 뒤 내피(400) 사이에 월형 바디(110) 및 쿠션 부재(200)가 배치되는 구조를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구성에 있어서 구두의 외측 방향을 향하는 면은 ‘외면’으로, 발을 향하는 내측 방향의 면은 ‘내면’으로 지칭하기로 한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moon-shaped body 110 and the cushion member 200 are disposed between the rear outer shell 300 and the rear inner shell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u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configuration faces the outer direction of the shoe. The surface will be referred to as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foot will be referred to as 'inner surface'.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형 바디(110)의 외면이 뒤 외피(300)의 내면에 그리고/또는 월형 바디(110)의 내면이 뒤 내피(400)의 외면에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식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쿠션 부재(200)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형 바디(110)의 상측에서, 월형 바디(110)의 절개부(111) 내로 쿠션 부재(200)의 하부(204)가 삽입된 채, 배치되도록 쿠션 부재(200)의 외면이 뒤 외피(300)의 내면에 및/또는 쿠션 부재(200)의 내면이 뒤 내피(400)의 외면에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방식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outer surface of the moon-shaped body 110 is bond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outer shell 300 and/or the inner surface of the moon-shaped body 11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inner shell 400 using, for example, an adhesive. It can be attached in any way. As shown in FIG. 5, the cushion member 200 is also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on-shaped body 110, with the lower part 204 of the cushion member 200 inserted into the cutout 111 of the moon-shaped body 110. The outer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200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outer shell 300 and/or the inner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20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inner shell 400 by, for example, an adhesive bonding method.

한편, 쿠션 부재(200)는 월형 바디(110)의 상측에서 월형 바디(110)와 이격되면서 배치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쿠션 부재(200)의 좌측부(402), 우측부(403), 및 하부(204)로 이어지는 면은 월형 바디(110)의 절개부(111) 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격됨으로써 월형 바디(110)와 쿠션 부재(200) 사이에서 뒤 외피(300)와 뒤 내피(400) 간 직접 마주하게 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을 따라 뒤 외피(300)와 뒤 내피(400)를 박음질 결합시킴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음질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쿠션 부재(200)는 박음질부(500)에 의해 뒤 외피(300) 및 뒤 내피(400) 사이에서 배치된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cushion member 20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side of the moon-shaped body 11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moon-shaped body 110, specifically, the left part 402, the right part 403, and the lower part of the cushion member 200. The surface leading to 204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utout 111 surface of the moon-shaped body 110 . By being spaced apart in this way,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wall-shaped body 110 and the cushion member 200 in which the rear outer shell 300 and the rear endothelium 400 directly face each other. Along this space, the rear outer shell 300 and the rear endothelium ( 400), as shown in FIG. 3, a stitched portion 500 may be formed. The cushion member 200 can more stably maintain a state disposed between the back outer skin 300 and the back inner skin 400 by the stitching part 500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월형(100) 및 이를 구비한 구두(1)는 월형 바디(110)에 형성된 절개부(111) 내에 쿠션 부재(200)가 배치됨으로써 월형 바디(110)의 상단 라인과 쿠션 부재(200)의 상단 라인 간 단차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예컨대 235mm 구두의 경우 발 뒤꿈치에 대응되는 구두 뒤축 부분의 상하방향 폭에 있어서 구두가 벗겨지지 않도록 확보되어야 하는 폭(대략 50mm)에 근접하도록 구두를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구두 뒤축 영역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착용감을 개선함과 아울러 구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ushion member 200 is disposed in the cutout 111 formed in the moon-shaped body 110 of the moon-shaped body 100 and the shoe 1 including the moon-shaped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line and the upper line of the cushion member 200 is minimized. Therefore, in the case of, for example, 235 mm shoes, it is possible to design shoes so that the width (approximately 50 mm) is close to the width (approx.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heel region of the shoe, improve the wearing comfort,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ho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나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is only a preferred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embodiment.

1 : 구두 100 : 월형
110 : 월형 바디 111 : 절개부
112 : 제1 홈 119 : 제2 홈
200 : 쿠션 부재 300 : 뒤 외피
400 : 뒤 내피 500 : 박음질부
1: shoe 100: moon type
110: moon-shaped body 111: incision
112: first groove 119: second groove
200: cushion member 300: back shell
400: back endothelial 500: stitched part

Claims (5)

구두의 뒤축을 형성하는 뒤 외피와 뒤 내피;
상기 뒤 외피와 상기 뒤 내피의 사이에 배치되어 구두 뒤축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측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절개부에 의해 하방으로 패인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 월형 바디; 및
적어도 하부가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된 채 상기 월형 바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뒤 내피와 사용자의 발 뒤꿈치를 밀착시키는 쿠션 부재를 포함하는 구두.
a posterior outer skin and a posterior inner skin forming the heel of a shoe;
a moon-shaped body disposed between the rear outer skin and the rear inner skin to maintain the shape of a heel of the shoe, and having a cutout formed in the upper center and a space concave downward by the cutout; and
A shoe comprising a cushion member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moon-shaped body with at least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space and bringing the rear endothelium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형 바디가 구두의 뒤축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쉽게 굽혀지도록, 상기 월형 바디의 저면부의 중앙에 제1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According to claim 1,
A sho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groov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moon-shaped body so that the moon-shaped body is easily bent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eel of the sho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월형 바디의 상기 제1 홈으로부터 직상의 위치이면서 상기 절개부 상에 제2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According to claim 2,
A sho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groove is formed on the incision part while being directly above the first groove of the wall-shape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상부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
According to claim 1,
Shoe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cushion member is made of a plane.
구두의 뒤축을 형성하는 뒤 외피와 뒤 내피의 사이에 배치되어 구두 뒤축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월형으로서,
월형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월형 바디의 상측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절개부에 의해 하방으로 패인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뒤 외피와 상기 뒤 내피의 사이이면서 상기 월형 바디의 상측에 쿠션 부재가 배치될 때 상기 쿠션 부재의 적어도 하부가 상기 공간 내에 삽입된 채 배치될 수 있게 하는 월형.
A moon type disposed between the rear outer skin and the rear inner skin forming the heel of the sho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heel of the shoe,
Including a moon-shaped body, a cutout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moon-shaped body, and a space in the form of a downward concave shape is formed by the cutout, and a cushion member is located between the rear outer skin and the rear endothelial and is on the upper side of the moon-shaped body. When the is disposed, at least a lower part of the cushion member can be dispos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KR1020220025568A 2022-02-25 2022-02-25 Improved back counter and shoes having the same Active KR1024660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568A KR102466090B1 (en) 2022-02-25 2022-02-25 Improved back counter and shoe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568A KR102466090B1 (en) 2022-02-25 2022-02-25 Improved back counter and shoe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090B1 true KR102466090B1 (en) 2022-11-14

Family

ID=8404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568A Active KR102466090B1 (en) 2022-02-25 2022-02-25 Improved back counter and shoe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09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805U (en) * 1999-09-29 2000-04-11 請吉 山本 Shoes with heel restraint pads
KR200436751Y1 (en) * 2007-07-16 2007-10-04 권용국 Cushion member in heel implant
JP2007313052A (en) * 2006-05-26 2007-12-06 Simon Corp Heel structure of shoe and work shoe using the heel structure
KR20090119571A (en) * 2008-05-16 2009-11-19 이창수 Shoe heel reinforcement
KR200481311Y1 (en) 2015-01-05 2016-09-09 신선필 Back counter for shoes with thickness control and restor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805U (en) * 1999-09-29 2000-04-11 請吉 山本 Shoes with heel restraint pads
JP2007313052A (en) * 2006-05-26 2007-12-06 Simon Corp Heel structure of shoe and work shoe using the heel structure
KR200436751Y1 (en) * 2007-07-16 2007-10-04 권용국 Cushion member in heel implant
KR20090119571A (en) * 2008-05-16 2009-11-19 이창수 Shoe heel reinforcement
KR200481311Y1 (en) 2015-01-05 2016-09-09 신선필 Back counter for shoes with thickness control and resto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7734B2 (en) Shoes with composite insole
US20210112916A1 (en) Footwear
JP4908209B2 (en) Footwear articles with toes that are enclosed and connected like joints
US6092305A (en) Footwea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5222311A (en) Shoe with cushioning wedge
JP5148276B2 (en) Footwear with multi-piece midsole
EP2529638A2 (en) Heel counter structure for a shoe
US11116283B2 (en) Shoe having cushion within heel member
CN108135325A (en) For the method for the device and construction high-heeled shoes of high-heeled shoes
US2300681A (en) Resilient insert
CN102920101B (en) Midsole of high-elasticity shoe with elastic support sheet and high-heeled shoe
KR102466090B1 (en) Improved back counter and shoes having the same
EP1565297B1 (en) Method of forming a shell construction for footwear
US6718657B2 (en) Shoe with ergonomic foot pad
US4073074A (en) Ladies shoe construction
EP3384798A1 (en) Non-slip shoes with webfoot
US6662473B2 (en) Shoe with ergonomic insole unit
WO2001082732A1 (en) Footwea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S60171002A (en) Inner sole of shoes
JP7638580B1 (en) Short shoes
US20030182822A1 (en) Shoe with ergonomic insole unit
CN222303219U (en) Easy-to-wear shoe with heel elasticity
KR102337374B1 (en) insole for correcting posture
EP4529799A2 (en) Footwear sole and related method of use
CN209898416U (en) Bottom layer structure of sports shoe-pad and special wedge position embedded pie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