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4486B1 - 자동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486B1
KR102464486B1 KR1020150188181A KR20150188181A KR102464486B1 KR 102464486 B1 KR102464486 B1 KR 102464486B1 KR 1020150188181 A KR1020150188181 A KR 1020150188181A KR 20150188181 A KR20150188181 A KR 20150188181A KR 102464486 B1 KR102464486 B1 KR 10246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vehicle
elastically deformable
extension
lower 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059A (ko
Inventor
최병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48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4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mechanical damper or dynamic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로워패드의 강건화를 통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현가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로워암과, 상기 로워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로워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패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현가장치{SUSPENSION APPARATUS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륜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서스펜션은 액슬(axle)과 차체(chassis)를 연결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때 노면으로부터 자동차의 바퀴로 전달된 진동 또는 충격이 상기 액슬을 통해 상기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크게 프런트 서스펜션(Front suspension)과, 리어 서스펜션(Rear suspension)로 분류되며, 그 중 상기 리어 서스펜션에는 차종에 따라 3 내지 5개의 링크가 설치된 멀티링크 리어 서스펜션이 적용되기도 한다.
상기 멀티링크 리어 서스펜션은 상기 링크와 연결된 로워암과, 상기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로워암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워암에는 상기 스프링과 상기 로워암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진동 흡수 및 상기 스프링의 안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무재질의 로워패드가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로워패드는 고무재질로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차체의 반복적인 상하 운동에 의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워암으로부터 들뜨면서 상기 로워암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찢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로워패드의 강건화를 통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로워암과, 상기 로워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로워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패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로워패드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변형부를 통해 상기 스프링의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상기 탄성변형부를 강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암이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암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패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패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암이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에는, 후방에 크로스멤버(1)가 설치된다. 크로스멤버(1)는 좌우로 길게 배치되어, 로워암(2,3) 및 링크부재(4,5)를 통해 액슬(6,7)과 연결된다.
액슬(6,7)은 좌측 차륜에 배치되는 좌측 액슬(6)과, 우측 차륜에 배치되는 우측 액슬(7)을 포함한다. 링크부재(4,5)는 좌측 액슬(6)에 연결되는 좌측 링크부재(4)와, 우측 액슬(7)에 연결되는 우측 링크부재(5)를 포함한다. 좌측 링크부재(4) 및 우측 링크부재(5)는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각각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로워암(2,3)은 크로스 멤버(1) 및 좌측 링크부재(4)에 결합되는 좌측 로워암(2)과, 크로스 멤버(1) 및 우측 링크부재(5)에 결합되는 우측 로워암(3)을 포함한다. 좌측 로워암(2)은 일단이 크로스멤버(1)의 좌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좌측 링크부재(4)에 결합된다. 우측 로워암(3)은 일단이 크로스멤버(1)의 우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우측 링크부재(5)에 결합된다.
좌측 로워암(2)에는 차체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고, 우측 로워암(3)도 동일하게 스프링이 설치된다. 이하, 설명의 이해를 위해, 좌측 로워암(2)만을 예로 들어 로워암(2)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암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로워암(2) 내부가 빈 대략 사각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로워암(2)의 일단에는 크로스멤버(1)와 볼트 체결되는 체결홀(2a)이 형성되고, 로워암(2)의 타단에는 링크부재(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2b)가 형성된다.
로워암(2)의 상측에는 상기 스프링(10)이 설치된다. 즉, 로워암(2)은 스프링(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스프링(10)을 지지한다. 스프링(10)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서, 차체의 하중을 지지한다. 스프링(10)은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압착되면서 발생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진동이 상기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스프링(10)의 상단에는 상기 차체와 연결되는 어퍼패드(20)가 결합된다. 그리고, 로워암(2)의 상측에는 스프링(10)의 하단이 안착되는 로워패드(30)가 결합된다.
로워패드(30)는 아래의 두가지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
첫 번째로, 로워패드(30)는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로, 로워패드(30)는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로워암(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패드(2)는 상술한 두가지 기능을 모두 갖추기 위해 두가지 재질로 형성된다. 즉, 로워패드(2)는 일부가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로워암(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패드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로워패드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로워패드(30)는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32)와, 탄성변형부(32)의 내부에 배치되고 탄성변형부(32)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변형부(32)는 고무로 형성되고, 베이스부(34)는 상기 고무보다 경질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탄성변형부(32) 및 베이스부(34)는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부(34)를 먼저 성형한 후, 성형이 완료된 베이스부(34)를 금형 내에 삽입하고, 탄성변형부(34)가 될 고무용액을 상기 금형 내에 주입하여서, 탄성변형부(32) 및 베이스부(34)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상기 금형 내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변형부(32)는, 스프링(10)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32a)와, 스프링 안착부(32a)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스프링(10)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부(32b)와, 스프링 안착부(32a)의 하측에서 돌출되고 로워암(2)에 결합되는 제1 조립돌기부(32c)를 포함한다.
스프링 안착부(32a)에는 스프링(10)의 하단에 접촉되어 스프링(10)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돌기(32f)와, 스프링(10)의 측면에 접촉되어 스프링(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32g)가 형성된다. 즉, 스프링(10)은 차체의 상하운동에 의해 압착될 때, 회전방지 돌기(32f)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압착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 돌기(32g)에 의해 스프링 안착부(32a)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회전방지 돌기(32f)는 스프링 안착부(32a)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되, 스프링 삽입부(32b)에서 연장되고, 이탈방지 돌기(32g)는 스프링 안착부(32a)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되, 스프링 안착부(32a)의 외측 둘레면에서 연장된다.
스프링 삽입부(32b)는 둘레면(32d)이 스프링 안착부(32a) 내측에서 상측으로 곧게 연장되고, 상측면(32e)은 둘레면(32d)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둘레면(32d)과 직교되고 평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 삽입부(32b)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스프링 안착부(32a)는 로워암(2)에 접촉되는 하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부(32h)가 형성된다. 홈부(32h)는 반드시 복수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홈부(32h)는 스프링 안착부(32a)의 하측면에 상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된다. 탄성변형부(32)는 복수의 홈부(32h)로 인해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면서 상기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조립돌기부(32c)는 스프링 안착부(32a)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가 형성된다. 제1 조립돌기부(32c)의 개수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만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립돌기부(32c)는 로워암(2)의 상측면에 형성된 홀(미도시)로 삽입되어 로워암(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립돌기부(32c)는, 스프링 안착부(32a)에서 연장되고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제1 연장부(32i)와, 제1 연장부(32i)에서 연장되고 상단은 제1 연장부(32i)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1 원추부(32j)를 포함한다. 제1 조립돌기부(32c)가 로워암(2)에 결합된 상태일 때, 제1 연장부(32i)는 로워암(2)의 상측면에 형성된 상기 홀에 위치하고, 제1 원추부(32j)는 상기 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면이 로워암(2)에 접촉되어 걸림된다.
베이스부(34)는, 탄성변형부(32)의 스프링 안착부(32a)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부(34a)와, 몸체부(34a)의 하측에서 돌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 조립돌기(32c)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조립돌기부(34c)를 포함한다. 몸체부(34a)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제2 조립돌기부(34c)는 몸체부(34a)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가 형성된다. 제2 조립돌기부(34c)의 개수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조립돌기부(32c)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제2 조립돌기부(34c)는, 몸체부(34a)에서 연장되어 몸체부(34a)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연장부(34i)와, 제2 연장부(34i)에서 연장되어 제2 연장부(34i)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 원추부(34j)를 포함한다.
제2 연장부(34i)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제2 원추부(34d)는 상단이 제2 연장부(34i)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로워패드(30)가 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32)와, 탄성변형부(32)의 내부에 배치되고 탄성변형부(32)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탄성변형부(32)를 통해 스프링(10)의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을 유지하면서, 베이스부(34)를 통해 탄성변형부(32)를 강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로워암 10: 스프링
30: 로워패드 32: 탄성변형부
32a: 스프링 안착부 32b: 스프링 삽입부
32c: 제1 조립돌기부 32i: 제1 연장부
32j: 제1 원추부 32f: 회전방지 돌기
32g: 이탈방지 돌기 34: 베이스부
34a: 몸체부 34c: 제2 조립돌기부
34i: 제2 연장부 34j: 제2 원추부

Claims (10)

  1.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로워암; 및
    상기 로워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로워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패드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변형부보다 경질로 형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와,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부와,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하측에서 돌출되고, 상기 로워암에 결합되는 제1 조립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립돌기부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에서 연장되고,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상단은 상기 제1 연장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1 원추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측에서 돌출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조립돌기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조립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립돌기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단에서 하단까지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에서 연장되고, 상단은 상기 제2 연장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2 원추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안착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하단에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 돌기와, 상기 스프링의 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 돌기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 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이탈방지 돌기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 안착부의 외측 둘레면에서 연장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안착부에는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 및 상기 베이스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20150188181A 2015-12-29 2015-12-29 자동차의 현가장치 Active KR10246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81A KR102464486B1 (ko) 2015-12-29 2015-12-29 자동차의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81A KR102464486B1 (ko) 2015-12-29 2015-12-29 자동차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059A KR20170078059A (ko) 2017-07-07
KR102464486B1 true KR102464486B1 (ko) 2022-11-07

Family

ID=5935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181A Active KR102464486B1 (ko) 2015-12-29 2015-12-29 자동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4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542B1 (ko) * 2019-09-26 2023-12-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 장치
KR102745131B1 (ko) * 2020-05-07 2024-1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772A (ja) * 2008-06-27 2010-01-14 Tokai Rubber Ind Ltd スプリングシート
JP2010228732A (ja) * 2009-03-30 2010-10-14 Suzuki Motor Corp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スプリングシートの取り付け構造
JP2012240458A (ja) 2011-05-16 2012-12-10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組み付け構造、スプリング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組み付け方法
JP2014199134A (ja) 2013-03-12 2014-10-23 株式会社ショーワ 弾性体シート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5492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7772A (ja) * 2008-06-27 2010-01-14 Tokai Rubber Ind Ltd スプリングシート
JP2010228732A (ja) * 2009-03-30 2010-10-14 Suzuki Motor Corp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スプリングシートの取り付け構造
JP2012240458A (ja) 2011-05-16 2012-12-10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組み付け構造、スプリング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組み付け方法
JP2014199134A (ja) 2013-03-12 2014-10-23 株式会社ショーワ 弾性体シート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059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12904U (zh) 车辆悬架装置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2019830A (zh) 弹性支承部件
US8931768B2 (en) Mount assembly for suspension damper
KR101072325B1 (ko)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로어 암 장착유닛
KR101887391B1 (ko) 플라스틱 보강부재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246448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2617707B1 (ko) 차량용 코일스프링 고정장치
CN216280569U (zh) 用于车辆的支柱轴承组合件
KR10175889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1639787B1 (ko) 차량용 에어스프링 설치 구조
KR101766067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20140044654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차체 마운팅 구조물
CN209683370U (zh) 一种汽车控制臂
KR101162309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2529387B1 (ko)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102546369B1 (ko) 로어암 어셈블리
KR10241862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438361Y1 (ko) 차량 코일스프링용 완충기
KR101724457B1 (ko)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080051720A (ko) 차량용 스트럿 어셈블리
CN209852010U (zh) 一种新型上弹簧垫结构
JP4941114B2 (ja) アッパーサポート
KR20170089706A (ko) 어퍼컵일체형 인슐레이터
KR101552151B1 (ko) 분리 결합이 가능한 차량용 이중 지지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