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4232B1 -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based on online - Google Patents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based on on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232B1
KR102464232B1 KR1020220035193A KR20220035193A KR102464232B1 KR 102464232 B1 KR102464232 B1 KR 102464232B1 KR 1020220035193 A KR1020220035193 A KR 1020220035193A KR 20220035193 A KR20220035193 A KR 20220035193A KR 102464232 B1 KR102464232 B1 KR 102464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information
virtual
design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1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영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피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피엠
Priority to KR102022003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2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23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 전시회 공간을 식별하는 태그정보에 대한 선택여부에 기초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전시회 현장영상과 전시회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전시회 현장영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 전시회 공간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시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가상 전시회 공간들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전시회 공간에 접속된 복수의 관람객 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에 요청함에 따라 응답받는 관람객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회 공간별로 관람 권한이 단계적으로 부여되는 아바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아바타의 조작데이터로부터 상기 태그정보에 대한 선택 조작이 확인된 경우,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회 공간의 전시품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and more particularly, a question-and-answer service based on whether ta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is selected. It relates to an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selectively provided through To this end, in the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collecting an exhibition site image and exhib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exhibition site image, a plurality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Generating, on the basis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determining ta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lurality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as a request is made to any one visitor terminal among a plurality of visitor terminals connected 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providing an avatar to which viewing rights are granted step by step for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received visitor information; and selectively providing exhibit content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Description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BASED ON ONLINE}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BASED ON ONLINE

본 발명은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 전시회 공간을 식별하는 태그정보에 대한 선택여부에 기초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and more particularly, a question-and-answer service based on whether ta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is selected. It relates to an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selectively provided through

일반적으로 박람회나 전시회 또는 놀이공원 등(이하 '전시회'로 통칭한다)은 전시회의 규모 및 방문객이나 참관객의 수에 따라 시간적/공간적으로 많은 혼잡과 이용에 제약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전시회의 물리적 규모가 커서 이동에 대한 시간적 제약이 발생하기도 하고,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시설물(이하 '부스'라 통칭한다)을 이용함에 있어, 이용자가 많아 이용자들의 혼잡으로 인하여 관람 및 이용에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In general, fairs, exhibitions, amusement parks, etc.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xhibitions') may have a lot of time/space congestion and restrictions on us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exhibition and the number of visitors or visitors. For example, because the physical scale of the exhibition is large, there may be time restrictions on movement, and when using the facilities that users want to u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oths'), there are many users, so viewing and Inconvenience to use arise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사이버 상에 전시회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온라인 상에서 전시회를 관람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8336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VR(Superscape Virtual Reality),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VOD(Video On Demand), QTVR(QuickTime VR), Flash 등을 이용하여 가상의 전시관을 구성하고, 온라인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에게, 전시관 및 제품, 제품 상세정보 등을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recently,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that allows users to view and participate in the exhibition online by configuring an exhibition on the Interne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1-0098336 discloses, as shown in FIG. 1, using SVR (Superscape Virtual Reality), VRML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VOD (Video On Demand), QTVR (QuickTime VR), Flash, etc. A technology for configuring a virtual exhibition hall and providing an exhibition hall, products,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etc. to a user connected through online is disclosed.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는 관람객이 원하고자 하는 맞춤형 전시품콘텐츠를 찾는데에 어려움이 따르고, 많은 가상 전시회 공간들을 탐색하는 시간과 해당 공간의 영상을 시청해야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it is difficult to find customized exhibition contents that visitors wa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time to explore many virtual exhibition spaces and watch an image of the spac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9833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1-009833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전시회 공간을 식별하는 태그정보에 대한 선택여부에 기초하여 전시회콘텐츠를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basis that can selectively provide exhibition contents through a question-and-answer service based on whether or not ta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is selected. To provide an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a virtual exhibition of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은 전시회 현장영상과 전시회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전시회 현장영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 전시회 공간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시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가상 전시회 공간들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전시회 공간에 접속된 복수의 관람객 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에 요청함에 따라 응답받는 관람객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회 공간별로 관람 권한이 단계적으로 부여되는 아바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아바타의 조작데이터로부터 상기 태그정보에 대한 선택 조작이 확인된 경우,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회 공간의 전시품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질의-응답 서비스는 상기 전시회정보, 상기 전시품콘텐츠에 포함된 전시품영상, 전시품정보 및 이벤트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관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The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exhibition site images and exhibition information, the exhibition site Based on the image, generating a plurality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determining ta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lurality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a plurality of visitor terminals connected 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visitor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a request to any one of the visitor terminals, providing an avatar to which viewing rights are granted step by step for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a selection operation for the tag information from the manipulation data of the avatar If it is confirmed, the method comprising: selectively providing exhibit contents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through a question-and-answer service; This is a service to check whether you are interested in any one of exhibi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입력받는 특정응답 키워드를 기초로 결정되는 상기 아바타의 성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전시회 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은 상기 아바타의 성향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단색 이미지 스케일정보에 대응된다. In an embodiment, the selectively providing may include correcting the desig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tendency information of the avatar determined based on a specific response keyword input through the question-and-answer service. and the design corresponds to monochromatic image scale information preset according to the disposition information of the avatar.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로부터 전송받는 상기 전시품정보에 대한 구매요청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업체판매 사이트로 페이지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전시품콘텐츠가 재생됨에 따라 요청가능한 공동구매신청 신호를 전송받아 업체 단말에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공동구매신청 신호에 따른 승인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공동구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시품정보에 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구매 정보는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둘 이상의 관람객들에 제공되는 상기 전시품정보에 해당하는 전시품의 할인 금액 정보이다. In an embodiment, the selectively providing step may include converting a page to a corresponding company sales site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signal for the exhibit information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visitor terminals, and requesting as the exhibit content is played. Receiving a possible group purchase application signal and relaying it to the company terminal, and when receiving an approval signal according to the group purchase application signal from the company terminal, generating group purchase information and merging it into the exhibit information, and , The group purchase information is discount amount information of an exhibition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to at least two or more visitor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회 현장영상에서 확인되는 관람객 방문횟수 및 업체규모에 따라 제한되는 섬네일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시품콘텐츠로부터 섬네일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태그정보에 이웃하게 배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n embodiment, the determining of the tag information includes extracting a thumbnail image from the exhibition contents based on the thumbnail environment information limi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or visits and the size of the company confirmed in the exhibition site image, and adding it to the tag information. and outputting by arranging them adjacent to each other.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회정보로부터 추출되는 키워드에 대한 빅데이터 기반 키워드 분석 플랫폼을 통해 연관키워드들을 검색하고, 검색빈도수에 따라 특징키워드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특징키워드에 대한 웹검색을 통해 복수의 학습이미지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학습이미지들로부터 검출되는 특징객체들을 특징키워드로 분류하며, 이를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특징키워드별 결정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시회 현장영상으로부터 각 가상 전시회 공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현장이미지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현장이미지들로부터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물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객체를 특징키워드별 결정 알고리즘에 적용함에 따라 도출되는 출력확률값에 기초하여, 해당 특징키워드를 상기 가상 전시회 공간의 태그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n embodiment, the determining of the tag information includes searching for related keywords through a big data-based keyword analysis platform for keywords extracted from the exhibition information, and selecting the characteristic keyword according to the search frequency, the characteristic keyword Collecting a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through a web search for generating, extracting a plurality of field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from the exhibition site image, detecting an object object having a size larger than a preset size from the plurality of field images, and characterizing the object object by feature keywor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keyword as tag informa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output probability value derived by applying it to the determination algorith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전시회 공간을 식별하는 태그정보에 대한 선택여부에 기초하여 전시회콘텐츠를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에서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관람객의 조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lectively providing exhibition contents through a question-and-answer service based on whether or not ta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contents required in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peration time of the spectators 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전시회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고, 도 2(B)는 태그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3(A)는 아바타의 성향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고, 도 3(B)는 디자인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1의 서비스제공부(150)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결정부(130)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대한 프로세스이다.
도 7은 도 1의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1의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that provides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exhibition information, and Fig. 2(B)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ag information.
Fig. 3(A)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tendency information of the avatar, and Fig. 3(B)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design.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13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process for an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that provides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of FIG. 1 .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of FIG.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of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ese examples are only presented as example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Further,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n case of conflict,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definitions description will take precedence.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invention proposed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he "uni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one unit or block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first, second,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does not clearly describe a specific order in context. It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above. That is,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고, 도 2(A)는 전시회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고, 도 2(B)는 태그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며, 도 3(A)는 아바타의 성향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고, 도 3(B)는 디자인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that provides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A)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exhibition information, Fig. 2(B)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ag information, Fig. 3(A)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tendency information of the avatar, and Fig. 3(B) is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design.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시회 서비스 관리시스템(100)은 수집부(110), 생성부(120), 결정부(130), 아바타제공부(140) 및 서비스제공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B), the exhibi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100 includes a collection unit 110, a generation unit 120, a determination unit 130, an avatar providing unit 140,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150).

먼저, 수집부(110)는 전시회 의뢰자 단말(10)로부터 전송받는 전시회 현장영상과 전시회정보를 수집하여 저장DB(200)에 저장할 수 있다. First, the collection unit 110 may collect the exhibition site image and exhib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hibition client terminal 10 and store it in the storage DB 200 .

여기서, 전시회정보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회사업 개요정보, 전시회 공간정보, 전시회 상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exhib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exhibition business summary information, exhibition space information, and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2A .

다음으로, 생성부(120)는 전시회 현장영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 전시회 공간들을 생성할 수 있다. Next, the generator 12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based on the exhibition site image.

여기서, 복수의 가상 전시회 공간들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재 전시회를 가상으로 온라인에서 재현한 3차원의 증강현실 영상으로, 관람객이 단말이나 컴퓨터를 통해 온라인으로 접속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2(B), the plurality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is a three-dimensional augmented reality image that reproduces an actual exhibition on-line in a virtual way, and may be in a form that visitors can access online through a terminal or computer. have.

다음으로, 결정부(130)는 전시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가상 전시회 공간들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Next, the determination unit 130 may determine ta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lurality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여기서, 태그정보는 전시회정보에 따라 인공지능 기반의 특징키워드별 결정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되는 특징키워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태그정보는 도 (B)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매이벤트, 탈의실, 창고, 휴게공간, 제작체험, 포토존2종, 소셜 모자이크 월, 1DA 클래스 체험 등의 공간 식별용 키워드들일 수 있다. Here, the tag information may be a feature keyword derived through an algorithm for determining each feature keywor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exhibi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B) and 2(C), the tag information is a space such as an event event, a dressing room, a warehouse, a rest space, a production experience, two photo zones, a social mosaic wall, and a 1DA class experience. They may be keywords for identification.

실시예에 따라, 결정부(130)는 전시회 현장영상에서 확인되는 관람객 방문횟수 및 업체규모에 따라 결정되는 섬네일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제공부(150)를 제공되는 전시품콘텐츠로부터 섬네일 영상을 추출하여 태그정보에 이웃하게 배치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termining unit 130 extracts a thumbnail image from the exhibit contents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based on the thumbnail environment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or visits and the size of the company confirmed in the exhibition site image. Thus, it can be output by arranging it adjacent to the tag information.

여기서, 섬네일 환경정보는 태그정보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섬네일 영상을 업로드시키기 위한 섬네일 프레임 개수와 재생 설정 시간을 포함하는 설정정보일 수 있다.Here, the thumbnail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thumbnail frames for uploading a thumbnail image disposed adjacent to the tag information and a reproduction setting time.

구체적으로, 결정부(130)는 전시회 현장영상에서 확인되는 관람객 방문횟수 및 업체규모에 비례하여, 섬네일 환경정보에 포함된 섬네일 프레임 개수와 재생 설정 시간을 조절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결정부(130)는 섬네일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제공부(150)를 제공되는 전시품콘텐츠로부터 섬네일 영상을 추출하여 태그정보에 이웃하게 배치하여 출력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etermining unit 130 may determine to adjust the number of thumbnail frames and the playback setting time included in the thumbnail environment information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visits by visitors and the size of the company confirmed in the exhibition site image. Then, based on the thumbnail environment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unit 130 may extract a thumbnail image from the exhibit contents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and arrange it adjacent to the tag information and output it.

다음으로, 아바타제공부(140)는 복수의 관람객 단말들(20_1~20_N) 중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전송받는 관람객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회 공간별로 관람 권한이 단계적으로 부여되는 아바타를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에 제공할 수 있다. Next, the avatar providing unit 140 grants viewing rights for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step by step based on the visitor information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visitor terminals (eg, 20_1) among the plurality of visitor terminals 20_1 to 20_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vatar to any one visitor terminal (eg, 20_1).

여기서, 관람객정보는 성별정보, 연령별정보, 직업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isitor information may include gender information, age-specific information, and occupation-specific informa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아바타제공부(140)는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입력받는 아바타에 대한 조작데이터에 기초하여 아바타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고, 해당 이동 동선을 성별, 연령별, 직업별로 분류하여 누적함에 따라 적어도 기설정된 횟수 이상 중첩되는 이동 동선을 추천 이동 동선으로 선정하여 가이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vatar providing unit 140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avatar based on the manipulation data for the avatar input from any one visitor terminal (eg, 20_1), and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avatar by gender, age, According to classification and accumulation by occupation, a movement line that overlaps at least a preset number of times may be selected and guided as a recommended movement line.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바타제공부(140)는 아바타를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에 제공할 때, 관람객 방문횟수가 가장 높은 업체의 가상 전시회 공간의 인접한 위치에 생성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providing the avatar to any one visitor terminal (eg, 20_1), the avatar providing unit 140 may manage to generate it in a location adjacent 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of the company with the highest number of visits by visitors. hav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바타제공부(140)는 아바타에 대한 조작데이터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관람객 단말(20)로부터 입력받지 않는 경우, 화재나 지진 등의 이벤트 피난상황에 따른 비상탈출로 지도와 탈출방향을 따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대피교육 프로그램을 게임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아바타제공부(140)는 대피교육 프로그램을 시뮬레이션 진행함에 따라 기등록된 경품 응모권 또는 할인권 정보를 관람객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anipulation data for the avatar is not received from the visitor terminal 20 for a preset period of time, the avatar providing unit 140 provides an emergency escape route map according to an event evacuation situation such as fire or earthquake, and An evacuation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simulated along the escape direction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ame. In this case, the avatar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information on a pre-registered gift voucher or discount voucher to the visitor terminal 20 as the evacuation education program is simulated.

다음으로, 서비스제공부(150)는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을 통해 입력받는 아바타의 조작데이터로부터 태그정보에 대한 선택 조작이 확인된 경우,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회 공간의 전시품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Next,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responds to the tag information through a question-and-answer service when a selection operation for tag information is confirmed from the manipulation data of the avatar input through any one of the visitor terminals (eg, 20_1). Exhibit content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an be selectively provided.

여기서, 전시품콘텐츠는 전시품영상, 전시품정보 및 이벤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시품영상은 가상 전시회 공간을 대여한 업체가 제공한 홍보영상이고, 전시품정보는 해당 업체가 전시하고자 하는 전시품에 대한 정보이며, 이벤트정보는 전시품에 대한 할인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exhibit content may include an exhibit image, exhibi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exhibit image may be a promotional image provided by a company that rents a virtual exhibition space, the exhibi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the exhibits that the company wants to display, and the event information may mean discount information on the exhibits.

이때, 질의-응답 서비스는 전시회정보, 전시품콘텐츠에 포함된 전시품영상, 전시품정보 및 이벤트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관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로서, 서비스제공부(150)는 가상 전시회 공간별로 등록된 전시품콘텐츠의 기설정된 간격의 프레임들을 분석함에 따라 도출된 질의-응답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서비스를 사전에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question-and-answer service is a service for confirming whether any one of exhibition information, exhibition image included in exhibition contents, exhibi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is interested,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is registered for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A question-and-answer service can be generated in advance by using the question-and-answer information derived by analyzing the frames at a preset interval of the exhibit content.

즉, 서비스제공부(150)는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관람객이 원하는 전시품콘텐츠의 원하는 장면을 검색하여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일 수 있다. That is,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may be a service for searching for and providing a desired scene of exhibit contents desired by a visitor through a question-and-answer service.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제공부(150)는 섬네일 재생횟수 대비 전시품콘텐츠의 재생횟수 비율에 기초하여, 관람객 단말(20)에 구비된 레이저 센서를 통해 관람객 객체로부터 반사된 임펄스 라디오 신호를 주파수 도메인 신호로 변환하여 관람객의 호흡 및 심박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transmits the impulse radio signal reflected from the visitor object through the laser sensor provided in the visitor terminal 20 on the basis of the ratio of the number of reproductions of the exhibition contents to the number of times of thumbnail reproduction in the frequency domain. By converting it into a signal,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audience's breathing and heart rate signals.

이때, 서비스제공부(150)는 관람객의 호흡 및 심박신호가 불안정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관람객 단말(20)에 출력되는 섬네일 영상을 제거하도록 제어하고, 관람객의 호흡 및 심박신호가 안정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전시품콘텐츠의 재생유도를 위하여 섬네일 영상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controls to remove the thumbnail image output to the visitor terminal 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isitor's breathing and heart rate signals are in an unstable state, and the visitor's breathing and heart rate signals are determined to be in a stable stat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change the thumbnail image in order to induce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s of the exhibit.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제공부(150)는 전시품판매 사이트를 통해 생성되는 전시품에 대한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전시품콘텐츠로부터 전시품에 대응되는 전시품객체를 추출하고, 전시품객체에 블록체인 기반의 NFT 정보를 발급하여 관람객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extracts an exhibi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exhibit from the exhibit content, based on transaction information on the exhibit generated through the exhibit sale site, and adds the block chain-based NFT to the exhibit object. Information may be issued and provided to the visitor terminal 20 .

여기서, NFT 정보는 전시품 식별번호, 암호화키, 전시품 거래정보, 수령 방법 정보, 원본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NFT information may include an exhibition product identification number, an encryption key, exhibition product transaction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information, and original authentication informa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제공부(150)는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에 제공되는 전시품콘텐츠, 전시품정보 및 이벤트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호감도를 타 관람객에게 공유할 수 있도록 게시판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is a bulletin board to share with other visitors a favorable feeling for any one of exhibit content, exhibit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provided to any one visitor terminal (eg, 20_1). Web services can be provid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제공부(150)는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입력받는 특정응답 키워드를 기초로 결정되는 아바타의 성향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회 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보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is configured to perform a virtual virtual You can calibrate the design for the exhibition space.

여기서, 아바타의 성향정보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에 기설정된 특정응답 키워드들을 포함하고, 디자인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바타의 성향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단색 이미지 스케일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3(A), the avatar's disposition information includes preset specific response keywords, and the design is set according to the avatar's disposition information as shown in FIG. 3(B). Monochrome image scal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제공부(150)는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에 의해 설정되는 언어에 상응하도록 질의-응답 서비스를 자동으로 번역하여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may automatically translate and provide a question-and-answer service to correspond to a language set by any one visitor terminal (eg, 20_1).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ffec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도 4는 도 1의 서비스제공부(150)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제공부(150)는 페이지전환부(151), 중계부(152) 및 병합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service providing unit 150 may include a page switching unit 151 , a relay unit 152 , and a merging unit 153 .

먼저, 페이지전환부(151)는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전송받는 전시품정보에 대한 구매요청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업체판매 사이트로 페이지 전환시킬 수 있다. First, the page conversion unit 151 may convert a page to a corresponding company sales site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signal for exhibit information received from any one visitor terminal (eg, 20_1).

다음으로, 중계부(152)는 전시품콘텐츠가 재생완료됨에 따라 요청가능한 공동구매신청 신호를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전송받아 업체 단말(30)에 중계할 수 있다. Next, the relay unit 152 may receive a requestable group purchase application signal from any one visitor terminal (eg, 20_1 ) as the exhibition content is reproduced and relay it to the company terminal 30 .

다음으로, 병합부(153)는 업체 단말(20)로부터 공동구매신청 신호에 따른 승인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공동구매 정보를 생성하여 전시품정보에 병합시켜 관리할 수 있다. Next, when receiving the approval signal according to the group purchase application signal from the company terminal 20 , the merging unit 153 may generate group purchase information and manage it by merging it with the exhibit information.

여기서, 공동구매 정보는 일정기간 동안, 적어도 둘 이상의 관람객들에 제공되는 상기 전시품정보에 해당하는 전시품의 할인 금액 정보일 수 있다. Here, the group purchase information may be discount amount information of an exhibition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exhibition product information provided to at least two or more visitor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도 5는 도 1의 결정부(130)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13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결정부(130)는 키워드분석부(131), 이미지 수집부(132), 알고리즘 생성부(133), 이미지추출부(134), 객체검출부(135) 및 태그결정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5 , the determination unit 130 includes a keyword analysis unit 131 , an image collection unit 132 , an algorithm generation unit 133 , an image extraction unit 134 , an object detection unit 135 , and a tag. A decision unit 136 may be included.

먼저, 키워드분석부(131)는 전시회정보로부터 추출되는 키워드에 대한 빅데이터 기반 키워드 분석 플랫폼(131_1)을 통해 검색된 연관키워드들로부터 검색빈도수에 따라 특징키워드를 선별할 수 있다. First, the keyword analysis unit 131 may select a feature keyword according to a search frequency from related keywords searched for through the big data-based keyword analysis platform 131_1 for a keyword extracted from exhibition information.

여기서, 빅데이터 기반 키워드 분석 플랫폼은 블랙키위나 네이버를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big data-based keyword analysis platform may use Black Kiwi or Naver.

다음으로, 이미지수집부(132)는 특징키워드에 대한 웹페이지(132_1)의 검색을 통해 복수의 학습이미지들을 수집할 수 있다. Next, the image collection unit 132 may collect a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through a search of the web page 132_1 for the feature keyword.

다음으로, 알고리즘생성부(133)는 복수의 학습이미지들로부터 검출되는 특징객체들을 특징키워드마다 분류하며, 이를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특징키워드별 결정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Next, the algorithm generating unit 133 classifies the feature objects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for each feature keyword, and may generate an AI-based decision algorithm for each feature keyword by learning it through machine learning.

여기서, 인공지능 기반의 특징키워드별 결정 알고리즘은 전시품객체를 입력받아 특징키워드에 대한 매칭상태를 출력확률값으로 도출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Here, the AI-based decision algorithm for each feature keyword may be an algorithm that receives an exhibit object and derives a matching state for the feature keyword as an output probability value.

이러한 인공지능 기반의 특징키워드별 결정 알고리즘은 머신 러닝을 통해 생성되는 인공 신경 회로망(Artificial Neural Network), SVM(Support Vector Machine),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 및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중 어느 하나의 알고리즘일 수 있다. The AI-based decision algorithm for each feature keyword is any on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a decision tree, and a random forest gener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may be an algorithm of

예를 들면, 인공 신경 회로망은 주로 딥러닝에서 사용되어 지고, 기계학습과 생물학의 신경망에서 영감을 얻은 통계학적 학습 알고리즘으로서, 특징 추출 신경망과 분류 신경망을 포함하는 컨볼루션 신경망일 수 있다. 이때, 컨볼루션 신경망은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깊고 피드포워드적인 인공 신경 회로망의 한종류로,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고 클래스를 분류하는 과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특정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For example, artificial neural networks are mainly used in deep learning and are statistical learning algorithms inspired by neural networks in machine learning and biology, and may b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cluding feature extraction neural networks and classification neural networks. At this time, th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s a kind of deep, feed-forward artificial neural network used to analyze visual images. Images can be recognized based on the acquired features.

구체적으로, 특징 추출 신경망은 입력 신호를 컨볼루션 계층과 풀링 계층을 차례로 쌓아 진행한다. 컨볼루션 계층은 컨볼루션 연산, 컨볼루션 필터 및 활성 함수를 포함하고 있다. 컨볼루션 필터의 계산은 대상 입력의 행렬 크기에 따라 조절되나 일반적으로 9X9 행렬을 사용한다. 활성 함수는 일반적으로 ReLU 함수, 시그모이드 함수 및 tanh 함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풀링 계층은 입력의 행렬 크기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계층으로, 특정 영역의 픽셀을 묶어 대표값을 추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풀링 계층의 연산에는 일반적으로 평균값이나 최대값을 많이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해당 연산은 정방 행렬을 사용하여 진행되는데 일반적으로 9X9 행렬을 사용한다. 컨볼루션 계층과 풀링 계층은 해당 입력이 차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충분히 작아질 때까지 번갈아 반복 진행된다.Specifically, the feature extraction neural network proceeds by sequentially stacking a convolutional layer and a pooling layer on an input signal. The convolution layer contains convolution operations, convolution filters, and activation functions. The calculation of the convolution filt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matrix size of the target input, but a 9X9 matrix is generally used. The activation function may generally use a ReLU function, a sigmoid function, a tanh functi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oling layer is a layer that reduces the size of the input matrix, and uses a method of extracting representative values by tying pixels in a specific area. In general, the average value or the maximum value is often us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pooling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a square matrix, which is usually a 9x9 matrix. The convolutional layer and the pooling layer are repeated alternately until the corresponding input becomes small enough while maintaining the difference.

또한, 분류 신경망은 은닉층과 출력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분류 신경망(520)은 일반적으로 5개 이상의 은닉층을 포함하며, 각 은닉층의 노드는 80개로 지정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그 이상으로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은닉층의 활성 함수는 ReLU 함수, 시그모이드 함수 및 tanh 함수 등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lso, the classification neural network has a hidden layer and an output layer. The classification neural network 520 generally includes five or more hidden layers, and 80 nodes of each hidden layer can be designat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set more than one in some cases. The activation function of the hidden layer uses a ReLU function, a sigmoid function, a tanh functi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이미지추출부(134)는 전시회 현장영상으로부터 각 가상 전시회 공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현장이미지들을 추출하여 분류할 수 있다. Next, the image extraction unit 134 may extract and classify a plurality of field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from the exhibition site image.

다음으로, 객체검출부(135)는 가상 전시회 공간별로 분류된 복수의 현장이미지들로부터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물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Next, the object detection unit 135 may detect an object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from a plurality of field images classified for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다음으로, 태그결정부(136)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물객체를 특징키워드별 결정 알고리즘에 적용함에 따라 도출되는 출력확률값의 최대값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특징키워드를 태그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Next, the tag determination unit 136 may determine any one characteristic keyword as tag information based on the maximum value of the output probability value derived by applying an object object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o the determination algorithm for each characteristic keyword.

도 6은 도 1의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대한 프로세스이다. 6 is a process for an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that provides the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of FIG. 1 .

도 1과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110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전시회 의뢰자 단말(10)로부터 전송받는 전시회 현장영상과 전시회정보를 수집하여 저장DB(200)에 저장할 수 있다. 1 and 6, first, in step S110,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collects the exhibition site image and exhibi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hibition requester terminal 10, and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DB (200). have.

그런 다음, S120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전시회 현장영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 전시회 공간들을 생성할 수 있다. Then, in step S120 ,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based on the exhibition site image.

그런 다음, S130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전시회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 전시회 공간들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Then, in step S130 ,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may determine ta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lurality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이때, S130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전시회 현장영상에서 확인되는 관람객 방문횟수 및 업체규모에 따라 결정되는 섬네일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제공부(150)를 제공되는 전시품콘텐츠로부터 섬네일 영상을 추출하여 태그정보에 연동시켜 출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step S130,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provides the service provider 150 from the exhibit contents provided based on the thumbnail environment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or visits and the size of the company confirmed in the exhibition site image. Thumbnail images can be extracted and output by linking with tag information.

그런 다음, S140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복수의 관람객 단말들(20_1~20_N) 중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전송받는 관람객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회 공간별로 관람 권한이 단계적으로 부여되는 아바타를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에 제공할 수 있다. Then, in step S140,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is based on the visit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visitor terminals 20_1 to 20_N (eg, 20_1), for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An avatar to which viewing rights are granted in stages may be provided to any one visitor terminal (eg, 20_1).

이후, S150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을 통해 입력받는 아바타의 조작데이터로부터 태그정보에 대한 선택 조작이 확인된 경우,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회 공간의 전시품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Then, in step S150,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provides a question-and-answer service when a selection operation for tag information is confirmed from the operation data of the avatar input through any one of the visitor terminals (eg, 20_1).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rovide the exhibition contents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한편, S150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입력받는 특정응답 키워드를 기초로 결정되는 아바타의 성향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회 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보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step S150,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based on the tendency information of the avatar determined based on the specific response keyword received from any one visitor terminal (eg, 20_1) through the question-and-answer service, You can calibrate the design for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도 7은 도 1의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 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of FIG.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151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전송받는 전시품정보에 대한 구매요청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업체판매 사이트로 페이지 전환시킬 수 있다. 1, 6 and 7, first, in step S151,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responds to a purchase request signal for exhibit information received from any one visitor terminal (eg, 20_1) You can convert the page to the company's sales site.

이때, S152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전시품콘텐츠가 재생완료됨에 따라 요청가능한 공동구매신청 신호를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예컨대, 20_1)로부터 전송받아 업체 단말(30)에 중계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step S152,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receives the requestable group purchase application signal from any one visitor terminal (eg, 20_1) as the exhibition content is reproduced and relays it to the company terminal 30. can

이후, S153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업체 단말(20)로부터 공동구매신청 신호에 따른 승인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공동구매 정보를 생성하여 전시품정보에 병합시켜 관리할 수 있다. Thereafter, in step S153 , when receiving an approval signal according to the group purchase application signal from the company terminal 20 ,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may generate group purchase information and manage it by merging it with the exhibit information.

도 8은 도 1의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이다.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of FIG.

도 1,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131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전시회정보로부터 추출되는 키워드에 대한 빅데이터 기반 키워드 분석 플랫폼을 통해 검색된 연관키워드들로부터 검색빈도수에 따라 특징키워드를 선별할 수 있다. 1, 6 and 8 , first, in step S131,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searches the related keywords from the related keywords searched through the big data-based keyword analysis platform for 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exhibition information. Feature keywords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그런 다음, S132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특징키워드에 대한 웹검색을 통해 복수의 학습이미지들을 수집할 수 있다. Then, in step S132,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may collect a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through a web search for the feature keyword.

이때, S133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복수의 학습이미지들로부터 검출되는 특징객체들을 특징키워드마다 분류하며, 이를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특징키워드별 결정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step S133,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classifies the feature objects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for each feature keyword, and generates an AI-based decision algorithm for each feature keyword by learning it through machine learning. can do.

그런 다음, S134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전시회 현장영상으로부터 각 가상 전시회 공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현장이미지들을 추출하여 분류할 수 있다. Then, in step S134 ,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may extract and classify a plurality of field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from the exhibition site image.

이때, S135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가상 전시회 공간별로 분류된 복수의 현장이미지들로부터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물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step S135 ,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may detect an object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from a plurality of field images classified for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이후, S136 단계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100)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물객체를 특징키워드별 결정 알고리즘에 적용함에 따라 도출되는 출력확률값의 최대값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특징키워드를 태그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Then, in step S136, the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100 assigns any one feature keyword to tag information based on the maximum value of the output probability value derived by applying the object objec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o the feature keyword-specific determination algorithm. can be decided with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is specification, only a few examples among the various embodiments performed by the present inventors will be described,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that it may be modified and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전시회 서비스 관리시스템
110: 수집부
120: 생성부
130: 결정부
140: 아바타제공부
150: 서비스제공부
100: Exhibi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110: collection unit
120: generator
130: decision unit
140: avatar provider
150: service provider

Claims (5)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전시회 현장영상과 전시회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전시회 현장영상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 전시회 공간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시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가상 전시회 공간들을 식별하기 위한 태그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전시회 공간에 접속된 복수의 관람객 단말들 중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에 요청함에 따라 응답받는 관람객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전시회 공간별로 관람 권한이 단계적으로 부여되는 아바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아바타의 조작데이터로부터 상기 태그정보에 대한 선택 조작이 확인된 경우,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태그정보에 대응되는 가상 전시회 공간의 전시품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질의-응답 서비스는 상기 전시회정보, 상기 전시품콘텐츠에 포함된 전시품영상, 전시품정보 및 이벤트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관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서비스이며,
상기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응답 서비스를 통해 입력받는 특정응답 키워드를 기초로 결정되는 상기 아바타의 성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전시회 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은 상기 아바타의 성향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단색 이미지 스케일정보에 대응되며,
상기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하나의 관람객 단말로부터 전송받는 상기 전시품정보에 대한 구매요청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업체판매 사이트로 페이지 전환시키는 단계;
상기 전시품콘텐츠가 재생됨에 따라 요청가능한 공동구매신청 신호를 전송받아 업체 단말에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업체 단말로부터 상기 공동구매신청 신호에 따른 승인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공동구매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시품정보에 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구매 정보는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둘 이상의 관람객들에 제공되는 상기 전시품정보에 해당하는 전시품의 할인 금액 정보인,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 공간을 활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
In the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a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Collecting exhibition site images and exhibition information;
generating a plurality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based on the exhibition site image;
determining ta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plurality of virtual exhibition spaces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ing an avatar to which viewing rights are granted step-by-step for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visitor information received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visitor terminals connected 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and selectively providing exhibit contents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through a question-and-answer service when selection manipulation for the tag information is confirmed from the manipulation data of the avatar;
The question-and-answer service is a service for confirming whether you are interested in any one of the exhibition information, the exhibition image included in the exhibition contents, and the exhibition information and event information,
The selectively providing includes correcting the desig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tendency information of the avatar determined based on a specific response keyword input through the question-and-answer service,
The design corresponds to monochromatic image scale information preset according to the tendency information of the avatar,
The selectively providing may include: converting a page to a sales site of a corresponding company in response to a purchase request signal for the exhibit information received from any one of the visitor terminals;
receiving a requestable group purchase application signal as the exhibit content is reproduced and relaying it to a company terminal; and
When receiving an approval signal according to the group purchase application signal from the company terminal, generating group purchase information and merging it into the exhibit information,
The group purchase information is discount amount information of exhibits corresponding to the exhibit information provided to at least two or more visitor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회 현장영상에서 확인되는 관람객 방문횟수 및 업체규모에 따라 제한되는 섬네일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시품콘텐츠로부터 섬네일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태그정보에 이웃하게 배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 공간을 활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determining of the tag information, the thumbnail image is extracted from the exhibition contents based on the thumbnail environment information limi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sitor visits and the size of the company confirmed in the exhibition site image, and the thumbnail image is placed adjacent to the tag information and output An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a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space, comprising the step 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시회정보로부터 추출되는 키워드에 대한 빅데이터 기반 키워드 분석 플랫폼을 통해 연관키워드들을 검색하고, 검색빈도수에 따라 특징키워드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특징키워드에 대한 웹검색을 통해 복수의 학습이미지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학습이미지들로부터 검출되는 특징객체들을 특징키워드로 분류하며, 이를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특징키워드별 결정 알고리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시회 현장영상으로부터 각 가상 전시회 공간에 대응되는 복수의 현장이미지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현장이미지들로부터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사물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물객체를 특징키워드별 결정 알고리즘에 적용함에 따라 도출되는 출력확률값에 기초하여, 해당 특징키워드를 상기 가상 전시회 공간의 태그정보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기반의 가상 전시회 공간을 활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시회 설계 및 관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termining of the tag information may include: searching for related keywords through a big data-based keyword analysis platform for keywords extracted from the exhibition information, and selecting a feature keyword according to a search frequency;
collecting a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through a web search for the feature keyword;
classifying the feature objects detected from the plurality of learning images into feature keywords and learning them through machine learning to generate an AI-based decision algorithm for each feature keyword;
extracting a plurality of field images corresponding to each virtual exhibition space from the exhibition site image;
detecting an object of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from the plurality of field images; and
Based on the output probability value derived by applying the object object to the determination algorithm for each characteristic keywor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 keyword as tag information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using an online-based virtual exhibition space How to design and manage an exhibition in a content delivery system.
KR1020220035193A 2022-03-22 2022-03-22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based on online Active KR1024642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193A KR102464232B1 (en) 2022-03-22 2022-03-22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based on on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193A KR102464232B1 (en) 2022-03-22 2022-03-22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based on on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232B1 true KR102464232B1 (en) 2022-11-09

Family

ID=8404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193A Active KR102464232B1 (en) 2022-03-22 2022-03-22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based on on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23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5987A (en) * 2023-01-19 2024-07-29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Apparatus and method for exploring digital assets using metaverse exhibition technique
KR102775669B1 (en) 2024-02-14 2025-03-11 주식회사 넘버제로 Automated content creation method for exhibition planning guid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KR102789075B1 (en) * 2024-08-12 2025-03-31 주식회사 에이블피엔디 Method for creating 3d modeling for exhibitions and convention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614A (en) * 1995-09-21 1999-07-26 엘로 터치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of multi-user / multi pointing device
KR20010098336A (en) 2000-04-20 2001-11-08 이영규 Cyber pavilion system and exhibition method using 3-dimentional virtual reality space
KR20130109894A (en) * 2012-03-28 2013-10-08 안종오 Method for providing joint-buying service using wish-items which is provided by remote direct control of homescreen wallpaper pages of smart terminal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wish-item based joint-buying program for the same
KR20170121902A (en)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User device of filed and remote-control system using 360-degree camera of the user device and virtual reality device
KR20190106865A (en) * 2019-08-2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video and equipment with video search function
KR20190118904A (en) * 2018-04-11 2019-10-21 김진회 Topic modeling multimedia search system based on multimedia analysis and method thereof
KR20200018230A (en)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센스톤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leakage of surveyor information based on virtual code
KR102122565B1 (en) * 2019-11-25 2020-06-12 류경희 Virtual reality exhibition platform building system that can be entered based on access authority
KR20200115531A (en) * 2018-01-30 2020-10-07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Eclipse cursor for virtual content in mixed reality displays
KR102308678B1 (en)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space provide service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614A (en) * 1995-09-21 1999-07-26 엘로 터치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of multi-user / multi pointing device
KR20010098336A (en) 2000-04-20 2001-11-08 이영규 Cyber pavilion system and exhibition method using 3-dimentional virtual reality space
KR20130109894A (en) * 2012-03-28 2013-10-08 안종오 Method for providing joint-buying service using wish-items which is provided by remote direct control of homescreen wallpaper pages of smart terminal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wish-item based joint-buying program for the same
KR20170121902A (en) * 2016-04-26 2017-11-03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User device of filed and remote-control system using 360-degree camera of the user device and virtual reality device
KR20200115531A (en) * 2018-01-30 2020-10-07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Eclipse cursor for virtual content in mixed reality displays
KR20190118904A (en) * 2018-04-11 2019-10-21 김진회 Topic modeling multimedia search system based on multimedia analysis and method thereof
KR20200018230A (en)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센스톤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leakage of surveyor information based on virtual code
KR20190106865A (en) * 2019-08-2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searching video and equipment with video search function
KR102122565B1 (en) * 2019-11-25 2020-06-12 류경희 Virtual reality exhibition platform building system that can be entered based on access authority
KR102308678B1 (en) * 2020-12-28 2021-10-06 주식회사 믐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space provide ser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15987A (en) * 2023-01-19 2024-07-29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Apparatus and method for exploring digital assets using metaverse exhibition technique
KR102744582B1 (en) * 2023-01-19 2024-12-23 주식회사 심시스글로벌 Apparatus and method for exploring digital assets using metaverse exhibition technique
KR102775669B1 (en) 2024-02-14 2025-03-11 주식회사 넘버제로 Automated content creation method for exhibition planning guid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KR102789075B1 (en) * 2024-08-12 2025-03-31 주식회사 에이블피엔디 Method for creating 3d modeling for exhibitions and convention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232B1 (en) Exhibition design and management method of virtual reality content management system providing virtual exhibition based on online
US10617568B2 (en) Image capture and identification system and process
US9844467B2 (en) Image capture and identification system and process
US9953288B2 (en) Virtual planogram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2008090838A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capture and identification
TW201001207A (en) Application of user context to searches in a virtual universe
KR102346137B1 (en) System for providing local cultural resources guidnace service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based augmented reality contents
US1169870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collaborative virtual experience of a building
US202301624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virtual experience based on reaction data
US2022031844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virtual experience of a building
JP2009267474A (en) Moving image adaptive advertisement device and method associated with tv program
KR20230128833A (en) Method for providing exhibition service
US20210374199A1 (e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he data communication system
CN111225282A (en) Video information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g data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7197702B (en) Trai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of video recognition model
US20200226379A1 (en) Computer system, pavilion content changing method and program
CN116977812A (en) Image data det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KR102228791B1 (en) Device for matching roommates to share real estate based on image recognition
KR1025460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travel images using panoramic image conversion
KR102402901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travel contents classifying apparatus and method
US12373783B2 (en) Virtual planogram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ilser et al. Experience as an academic object and managerial realities
Gauch et al. Markets Potentially Affected by the ATP Digital Video Program
KR20230128832A (en) A curation method using an interactive avatar
KR20240169881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sulting service for minting non-fungible token of cre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