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3693B1 -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693B1
KR102463693B1 KR1020160143072A KR20160143072A KR102463693B1 KR 102463693 B1 KR102463693 B1 KR 102463693B1 KR 1020160143072 A KR1020160143072 A KR 1020160143072A KR 20160143072 A KR20160143072 A KR 20160143072A KR 102463693 B1 KR102463693 B1 KR 102463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lay
power supply
unit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211A (ko
Inventor
김현욱
정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6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6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상시전원인 배터리 전원을 트리거신호를 이용하여 필요할때만 차량내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상시전원에 의한 암전류를 저감할 수 있는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reducing dark curr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전자장치의 암전류를 저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전류(Dark Current)란 전력의 소모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전원 발생부와 부하간에 전류의 도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연결되어 있는 부하나 선로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칭하는 것으로, 차량의 경우 운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의미한다.
이렇게 소모되는 전류는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소량의 전류 소모가 발생하더라도 차후의 차량의 기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충전용 배터리의 경우, 암전류로 인한 전류 소모가 계속될 경우 배터리 수명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상시전원인 배터리 전원을 트리거신호를 이용하여 필요할때만 차량내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상시전원에 의한 암전류를 저감할 수 있는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 공급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타임 딜레이시켜 전원공급의 출력을 안전하게 구동할 수 있는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저감 장치는 릴레이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 구동부; 웨이크업 조건 만족 시 상기 릴레이 구동부로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 및 상기 트리거 신호를 미리 정한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딜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도, 상기 딜레이부에 의해 지연된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구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크업 조건은, 캔(CAN) 신호, 도어 스위치 신호, 이그니션 스위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입력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어 스위치 신호가 인가되면 웨이크업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IC; 및 상기 웨이크업 신호 또는 상기 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로 인히빗(INH)신호를 출력하는 B-CAN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래치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미리 정한 시간만큼만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원샷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저감 방법은 웨이크업 조건 만족 시 배터리 전원을 릴레이 구동부로 인가하고 상기 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신호를 미리 정한 시간만큼 지연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구동부에서 상기 지연된 시간만큼 지연된 후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이크업 조건은, 캔(CAN) 신호, 도어 스위치 신호, 이그니션 스위치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입력될 수 있다.
본 기술은 차량의 상시전원인 배터리 전원을 트리거신호를 이용하여 필요할 때만 차량내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상시전원에 의한 암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전원 공급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타임 딜레이시켜 전원공급의 출력을 안전하게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차량의 웨이크업신호 및 이그니션 신호를 활용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복잡한 로직의 필요없이 암전류를 저감하고 차량의 전원 공급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저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저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저감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때, 암전류 저감 장치(100)는 차량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저감 장치(200)는 레귤레이터(regulator:210), 제어부(MCU: 220), 스위치IC(230), B-CAN(240), 전원공급 제어부(250), 딜레이부(260), 릴레이구동부(270), 래치 릴레이1(280), 래치 릴레이2(290)를 포함한다.
레귤레이터(210)는 배터리 전원(101) 및 이그니션(IGN) 스위치(104)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배터리 전원과 이그니션 신호를 제어부(220)로 전달한다.
제어부(MCU:220)는 레귤레이터(210), 스위치IDC(230), B-CAN(240)으로부터 각각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래치 릴레이1(280), 래치 릴레이2(29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 crtl_s를 출력한다.
스위치IC(230)는 도어 스위치(102)로부터 도어 스위치 신호를 수신하면 웨이크업신호 WAKE-UP를 출력한다. 이때, 웨이크업신호 WAKE-UP는 제어부(220) 및 B-CAN(240)으로 제공된다.
B-CAN(240)은 바디 캔(Body CAN)으로서 스위치 IC(230)로부터 웨이크업신호 WAKE-UP가 수신되거나 CAN 통신망(103)으로부터 캔신호가 입력되면 인히빗신호 INH를 출력한다. 이때 B-CAN(240)의 구성은 통상의 바디캔 구성이며 인히빗신호도 통상의 인히빗 신호에 해당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원공급 제어부(250)는 B-CAN(240)으로부터 인히빗신호 INH가 수신되거나 이그니션 스위치(104)로부터 이그니션신호 IGN이 수신되면 온되어 배터리(101)로부터 상시로 인가되는 전원을 VCC로서 릴레이 구동부(270)로 인가하고 트리거 신호 Trig_s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딜레이부(260)는 트리거 신호 Trig_s를 미리 정한 시간만큼 딜레이시켜 딜레이 트리거 신호 D_Trig_s를 출력한다. 이때, 미리 정한 시간은 10ms일 수 있따.
릴레이 구동부(270)는 전원공급 제어부(250)로부터 VCC 전원을 공급받은 후, 딜레이 트리거 신호 D_trig_s가 수신되면 딜레이 트리거 신호 D_trig_s에 따라 래치 릴레이1(280), 래치 릴레이2(29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래치 릴레이1(280), 래치 릴레이2(29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는 100ms이다.
즉, 래치 릴레이1(280) 및 래치 릴레이2(290)는 1분이상 전원이 지속 인가되는 경우 고장날 수 있어, 릴레이 구동부(270)는 한번에 100ms 전원을 출력하는 원샷 회로(one-shot circuit)로서 구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배터리 전원은 상시적으로 레귤레이터(210) 및 전원공급 제어부(250)에 인가되고, 전원 공급 제어부(250)는 B-CAN(240)으로부터 인히빗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그니션신호가 수신되면 전원을 릴레이 구동부(270)로 제공한다. 이에, 상시 전원이 배터리 전원이 릴레이 구동부(270)로 상시 제공되지 않고 전원 공급 제어부(250)에 의해 필요할 때만 제공됨으로써 상시 전원에 의한 릴레이 구동부(270)의 암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웨이크업은 도어 스위치신호, 캔 신호, 이그니션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입력되는 경우 수행된다.
또한, 릴레이 구동부(270)는 전원 공급 제어부(25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전원 공급 제어부(250)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여 트리거 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전원 공급 제어부(250)에서 출력되는 트리거 신호와 전원이 동시에 릴레이 구동부(270)에 수신되는 경우, 타이밍이 맞지 않아 오동작할 가능성이 높고, 릴레이 구동부(270)의 오동작으로 후단의 래치 릴레이1(280), 래치 릴레이2(290)도 오동작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원 공급 제어부(250)가 릴레이 구동부(270)로 VCC 전원을 공급하되 트리거 신호는 딜레이부(260)를 거쳐 일정 시간 딜레이시킨 후 릴레이 구동부(270)로 제공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 내 장치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암전류 저감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공급 제어부(250)는 B-CAN(240)으로부터 웨이크업 신호에 의한 인히빗(inh) 신호가 인가되거나 이그니션 스위치(104)로부터 이그니션 신호가 인가되면(S110), 릴레이 구동부(270)로 VCC 전원을 인가하는 동시에 트리거 신호 Trig_s를 출력한다(S120).
이때, 웨이크업 신호는 캔 통신망(103)으로부터 캔신호가 입력되거나 도어 스위치(102)에서 도어 스위치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즉, 도어 스위치 신호가 스위치IC(230)에 입력되면 스위치IC(230)는 B-CAN(240)으로 웨이크업신호를 출력하고, B-CAN(240)은 인히빗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캔 신호가 B-CAN(240)에 입력되면 B-CAN(240)는 인히빗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인히빗 신호 또는 이그니션 신호가 직접 전원 공급 제어부(250)에 인가되면 전원 공급 제어부(250)가 릴레이 구동부(270)로 VCC 전원을 인가하는 동시에 트리거 신호 Trig_s를 출력한다.
이어, 딜레이부(260)는 트리거 신호 Trig_s를 일정 시간만큼 딜레이 시킨 딜레이 트리거신호 D_trig_s를 릴레이 구동부(270)로 출력한다(S130).
그 후, 릴레이 구동부(270)는 딜레이 트리거신호 D_trig_s에 따라 구동되어 릴레이 구동신호를 출력한다(S140). 이처럼 트리거 신호를 딜레이 시킴으로써, 트리거 신호와 VCC 전원이 동시에 릴레이 구동부(270)에 인가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 또는 미출력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릴레이 구동신호에 따라 래치 릴레이1(280), 래치 릴레이2(290)를 구동한다(S15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제어부를 통해 상시 전원인 배터리 전원(101)을 릴레이 구동부(270)로 상시 제공하지 않고 웨이크업 조건(캔신호, 이그니션 신호, 도어 스위치 신호)을 만족할때만 VCC 전원을 제공함으로써 상시 전원에 의한 암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릴레이 구동부(270)에 인가되는 트리거 신호를 미리 정한 시간만큼 딜레이시켜 인가함으로써, 트리거 신호와 전원이 동시에 인가됨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릴레이 구동부(270)의 출력을 안정화시켜, 릴레이 구동부(270) 후단의 래치 릴레이1,2(280, 290)의 각 부하에 연결된 차량 제어기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배터리 전원으로 릴레이 구동부(270)를 초기 구동하여 레귤레이터(210) 및 제어부(MCU;220)가 페일 모드로 진입하더라도 각 부하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로직의 필요없이 간단한 하드웨어 기능 구현방식을 활용함으로써 시스템의 로직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암전류 저감 장치
210 : 레귤레이터
220 : MCU
230 : 스위치IC
240 : B-CAN
250 : 전원공급제어부
260 : 딜레이부
270 : 릴레이 구동부
280 : 래치 릴레이1
290 : 래치 릴레이2

Claims (8)

  1. 릴레이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릴레이 구동부;
    웨이크업 조건 만족 시 상기 릴레이 구동부로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
    도어 스위치 신호가 인가되면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IC;
    상기 웨이크업 신호 또는 캔(CAN)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로 인히빗(INH) 신호를 출력하는 B-CAN부; 및
    상기 트리거 신호를 미리 정한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딜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는,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상시적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웨이크업 조건은,
    상기 인히빗 신호 또는 이그니션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전류 저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도, 상기 딜레이부에 의해 지연된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전류 저감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래치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전류 저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미리 정한 시간만큼만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원샷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전류 저감 장치.
  7. 차량의 배터리로부터 상시적으로 전원을 전원 공급 제어부에 인가하는 단계;
    도어 스위치 신호가 인가되면 웨이크업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웨이크업 신호 또는 캔 신호가 출력되면 인히빗 신호를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로 출력하는 단계;
    웨이크업 조건 만족 시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로부터 릴레이 구동부로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릴레이 구동부의 구동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신호를 미리 정한 시간만큼 지연하는 단계; 및
    상기 릴레이 구동부에서 상기 지연된 시간만큼 지연된 후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업 조건은,
    상기 인히빗 신호 또는 이그니션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전원 공급 제어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전류 저감 방법.
  8. 삭제
KR1020160143072A 2016-10-31 2016-10-31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Active KR102463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072A KR102463693B1 (ko) 2016-10-31 2016-10-31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072A KR102463693B1 (ko) 2016-10-31 2016-10-31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11A KR20180047211A (ko) 2018-05-10
KR102463693B1 true KR102463693B1 (ko) 2022-11-07

Family

ID=6218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072A Active KR102463693B1 (ko) 2016-10-31 2016-10-31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6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73B1 (ko) * 2012-05-0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션박스의 암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JP2016172503A (ja) * 2015-03-17 2016-09-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及び車両用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154B1 (ko) * 2011-12-09 2014-01-1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암 전류 차단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773B1 (ko) * 2012-05-03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정션박스의 암전류 차단 장치 및 방법
JP2016172503A (ja) * 2015-03-17 2016-09-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及び車両用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11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6464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29509B1 (ko) 차량용 예약충전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8170255B (zh) 一种控制装置
US8593013B2 (en) Switching control method capable of continuously providing power and related apparatus and power supply system
WO2002076794A3 (en) Wake up system for electronic component in a vehicle using a bus technology
US8054120B2 (en) Integrated circuit operable in a standby mode
KR102463693B1 (ko) 암전류 저감 장치 및 그 방법
US102974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high speed vehicle
KR101029941B1 (ko) 차량의 대기 전류 관리 장치
JP5584190B2 (ja) Ic出力ポート切換制御装置
JP3794564B2 (ja) 電源制御装置
US9448618B2 (en) Start-up module of redundant power supply having synchronous and sequential booting modes
JP4453006B2 (ja) リレー駆動回路
KR20120018648A (ko) 캔 버스에 연결된 차량용 전장 유니트 및 상기 유니트를 웨이크-업 하는 방법
US12301038B2 (en) Device for operating an electronic system of a vehicle
CN114211963B (zh) 一种继电器控制装置、电池管理系统及电动汽车
JP5177259B2 (ja) 車両用電源供給装置
US20240244733A1 (en) Power control of a light animation perfomred on a light module
EP4422074A1 (en) Switch control devic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3334678B2 (ja) 車両用制御装置
KR20180105422A (ko) 건설장비의 배터리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장회로 보호장치
WO2017085949A1 (ja) 給電制御装置
JP5319983B2 (ja) 表示システム
JP6956036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回路制御方法
GB2284322A (en) Battery saving operation of a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0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