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568B1 - 공기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 Google Patents
공기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3568B1 KR102463568B1 KR1020200097149A KR20200097149A KR102463568B1 KR 102463568 B1 KR102463568 B1 KR 102463568B1 KR 1020200097149 A KR1020200097149 A KR 1020200097149A KR 20200097149 A KR20200097149 A KR 20200097149A KR 102463568 B1 KR102463568 B1 KR 1024635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tive material
- electrochemical device
- cathode
- cell
- an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16—Oxides, hydroxides or oxygenated metallic sal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16—Oxides, hydroxides or oxygenated metallic salts
- H01M4/9025—Oxides specially used in fuel cell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SOF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8—Fuel 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s
- H01M8/083—Alkaline fuel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 H01M8/124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 H01M8/125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or by the material of the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nsisting of oxides the electrolyte containing zirconium oxi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6—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electrolytic decomposition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or the formed water produc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2004/8678—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8689—Positiv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01M4/8615—Bifunctional electrodes for rechargeable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b는 도 1a의 공기극 내 활물질의 결정구조를 구체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하기 반쪽전지 제조예들에 따른 반쪽전지(a)와 하기 완전전지 제조예들에 따른 완전전지(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는 활물질 제조예들 B1, B3, 및 B5에 따른 활물질들의 엑스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그래프이고, 도 3b는 활물질 제조예들 B6 내지 B10에 따른 활물질들의 엑스선 회절 그래프이고, 도 3c는 활물질 제조예들 B11, B13, 및 B15에 따른 활물질들의 엑스선 회절 그래프이다.
도 4는 활물질 제조예 A8에 따른 활물질을 촬영한 SEM 이미지이다.
도 5는 활물질 제조예 B8에 따른 활물질을 촬영한 SEM 이미지(a)와 입자사이즈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를 나타낸 그래프(b)이다.
도 6은 활물질 제조예 B13에 따른 활물질을 촬영한 SEM 이미지(a)와 입자사이즈 분포(PSD)를 나타낸 그래프(b)이다.
도 7은 활물질 제조예 B10에 따른 활물질을 촬영한 SEM 이미지이다.
도 8은 반쪽전지 제조예들 B1, B3, 및 B5, 그리고 반쪽전지 비교예에 따른 전지의 건조 공기 분위기(a)와 가습 공기 분위기(b)에서의 전기전도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반쪽전지 제조예들 B6 내지 B10, 그리고 반쪽전지 비교예에 따른 전지의 건조 공기 분위기(a)와 가습 공기 분위기(b)에서의 전기전도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반쪽전지 제조예들 B11, B13, 및 B15에 따른 전지의 건조 공기 분위기(a)와 가습 공기 분위기(b)에서의 전기전도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반쪽전지 제조예들 B1, B6, 및 B11, 그리고 반쪽전지 비교예에 따른 전지의 건조 공기 분위기(a)와 가습 공기 분위기(b)에서의 전기전도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완전전지 제조예 B6, B8, 및 B10에 따른 전지들을 연료전지 모드로 운전하면서 얻어진 분극 및 전력밀도 그래프들(a, c, e)과 임피턴스 그래프들(b, d, f)을 보여준다.
도 13은 완전전지 제조예 B8에 따른 전지를 연료전지 모드로 운전할 때의 내구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완전전지 제조예 B8에 따른 전지를 전해전지 모드로 운전하면서 얻어진 초기 I-V 그래프(a)와 정전류(200mA/cm2) 조건에서 50시간 내구성 테스트를 진행한 후 얻어진 I-V 그래프(b)를 보여준다.
도 15는 완전전지 제조예 B8에 따른 전지를 전해전지 모드로 정전류(200mA/cm2) 조건에서 50시간 내구성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얻어진 그래프이다.
도 16은 완전전지 제조예 B6 내지 B10에 따른 전지들을 연료전지 모드(건조공기)와 전해전지 모드(가습 공기)로 650도에서 운전할 때 얻은 Rp(Polarization resistance)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완전전지 제조예 B8에 따른 전지의 내구성 평가(도 13)이후, 사후분석 결과를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SEM)이미지로서, (a)와 (b)는 전지 전체의 단면, (c)는 연료극(anode)의 단면, (d)는 공기극(cathode)의 단면, 그리고 (e)는 전해질의 단면을 보여준다.
몰비 | 얻어진 활물질 | Ca 자리에서 M의 함량 | |||
MNO3 | Ca(NO3)2 | Co(NO3)2 | |||
제조예 A1 | M=Li, 0.1 | 2.9 | 4 | Li0.1Ca2.9Co4O9-δ | 3.3 mol% |
제조예 A2 | M=Li, 0.12 | 2.88 | 4 | Li0.12Ca2.88Co4O9-δ | 4 mol% |
제조예 A3 | M=Li, 0.15 | 2.85 | 4 | Li0.15Ca2.85Co4O9-δ | 5 mol% |
제조예 A4 | M=Li, 0.21 | 2.79 | 4 | Li0.21Ca2.79Co4O9-δ | 7 mol% |
제조예 A5 | M=Li, 0.3 | 2.7 | 4 | Li0.3Ca2.7Co4O9-δ | 10 mol% |
제조예 A6 | M=Na, 0.1 | 2.9 | 4 | Na0.1Ca2.9Co4O9-δ | 3.3 mol% |
제조예 A7 | M=Na, 0.12 | 2.88 | 4 | Na0.12Ca2.88Co4O9-δ | 4 mol% |
제조예 A8 | M=Na, 0.15 | 2.85 | 4 | Na0.15Ca2.85Co4O9-δ | 5 mol% |
제조예 A9 | M=Na, 0.21 | 2.79 | 4 | Na0.21Ca2.79Co4O9-δ | 7 mol% |
제조예 A10 | M=Na, 0.3 | 2.7 | 4 | Na0.3Ca2.7Co4O9-δ | 10 mol% |
제조예 A11 | M=K, 0.1 | 2.9 | 4 | K0.1Ca2.9Co4O9-δ | 3.3 mol% |
제조예 A12 | M=K, 0.12 | 2.88 | 4 | K0.12Ca2.88Co4O9-δ | 4 mol% |
제조예 A13 | M=K, 0.15 | 2.85 | 4 | K0.15Ca2.85Co4O9-δ | 5 mol% |
제조예 A14 | M=K, 0.21 | 2.79 | 4 | K0.21Ca2.79Co4O9-δ | 7 mol% |
제조예 A15 | M=K, 0.3 | 2.7 | 4 | K0.3Ca2.7Co4O9-δ | 10 mol% |
얻어진 활물질 | Ca 자리에서 M의 함량 |
활물질 제조예 | 반쪽전지 제조예 | 완전전지 제조예 | |
Li0.1Ca2.9Co4O9-δ | 3.3 mol% | A1 | B1 | B1 | B1 |
Li0.12Ca2.88Co4O9-δ | 4 mol% | A2 | B2 | B2 | B2 |
Li0.15Ca2.85Co4O9-δ | 5 mol% | A3 | B3 | B3 | B3 |
Li0.21Ca2.79Co4O9-δ | 7 mol% | A4 | B4 | B4 | B4 |
Li0.3Ca2.7Co4O9-δ | 10 mol% | A5 | B5 | B5 | B5 |
Na0.1Ca2.9Co4O9-δ | 3.3 mol% | A6 | B6 | B6 | B6 |
Na0.12Ca2.88Co4O9-δ | 4 mol% | A7 | B7 | B7 | B7 |
Na0.15Ca2.85Co4O9-δ | 5 mol% | A8 | B8 | B8 | B8 |
Na0.21Ca2.79Co4O9-δ | 7 mol% | A9 | B9 | B9 | B9 |
Na0.3Ca2.7Co4O9-δ | 10 mol% | A10 | B10 | B10 | B10 |
K0.1Ca2.9Co4O9-δ | 3.3 mol% | A11 | B11 | B11 | B11 |
K0.12Ca2.88Co4O9-δ | 4 mol% | A12 | B12 | B12 | B12 |
K0.15Ca2.85Co4O9-δ | 5 mol% | A13 | B13 | B13 | B13 |
K0.21Ca2.79Co4O9-δ | 7 mol% | A14 | B14 | B14 | B14 |
K0.3Ca2.7Co4O9-δ | 10 mol% | A15 | B15 | B15 | B15 |
20: 전해질층
30: 공기극
Claims (18)
- 연료극;
상기 연료극 상에 위치하는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 상에 위치하고, 산소의 환원 또는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공기극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극 내 활물질은 MxCa3-xCo4O9-δ (0< δ <1)조성을 갖고, 상기 x는 0.1 내지 0.3이고, 상기 M은 Li, Na, 또는 K이며, 연료전지 또는 전해전지인 전기화학 소자.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은 Na이고, 상기 x는 0.13 내지 0.18인, 전기화학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Na0.15Ca2.85Co4O9-δ인, 전기화학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CdI2]의 결정구조를 갖는 CoO2층과, 암염(Rock-salt)구조를 갖는 MaCa2-aCoO3-δ층(M은 알칼리 금속, 0.06≤a≤0.3, 0≤ δ ≤1)이 교호적층된 결정구조를 갖는 것인, 전기화학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수십 내지 수백 nm의 직경을 갖는 입자들인, 전기화학 소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100 내지 200 nm의 평균직경을 갖는 입자들인, 전기화학 소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 소자는 프로톤 전도성 세라믹 전지인, 전기화학 소자.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극은 상기 활물질 및 프로톤 전도성 산화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전기화학 소자.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톤전도성 산화물은 BZY(yttrium-doped barium zirconate), BCY(yttrium-doped barium cerate), BZCY(yittrium-doped barium-zirconate-cerate) 또는 BCZYYb(Yttrium- and ytterbium-doped barium-cerate-zirconate)인, 전기화학 소자. - 연료극;
상기 연료극 상에 위치하는 전해질층; 및
상기 전해질층 상에 위치하고, [CdI2]의 결정구조를 갖는 CoO2층과, 암염(Rock-salt)구조를 갖는 MaCa2-aCoO3-δ층(M은 알칼리 금속, 0.06≤a≤0.3, 0≤ δ ≤1)이 교호적층된 결정구조를 갖는 활물질을 구비하고, 산소의 환원 또는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공기극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또는 전해전지인 전기화학 소자.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aCa2-aCoO3-δ층에서 a는 0.09 내지 0.12인, 전기화학 소자.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수십 내지 수백 nm의 직경을 갖는 입자들인, 전기화학 소자. - 삭제
- MxCa3-xCo4O9-δ (0< δ <1)조성을 갖고,
상기 x는 0.1 내지 0.3이고,
상기 M은 Li, Na, 또는 K인, 산소의 환원 또는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공기극용 활물질. - [CdI2]의 결정구조를 갖는 CoO2층과,
암염(Rock-salt)구조를 갖고 MaCa2-aCoO3-δ층(M은 알칼리 금속, 0.066≤a≤0.2, 0≤ δ ≤1)이 교호적층된 결정구조를 갖는, 산소의 환원 또는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공기극용 활물질. -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수십 내지 수백 nm의 직경을 갖는 입자들인, 활물질.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은 100 내지 200 nm의 평균직경을 갖는 입자들인, 활물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7149A KR102463568B1 (ko) | 2020-08-04 | 2020-08-04 | 공기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7149A KR102463568B1 (ko) | 2020-08-04 | 2020-08-04 | 공기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7081A KR20220017081A (ko) | 2022-02-11 |
KR102463568B1 true KR102463568B1 (ko) | 2022-11-03 |
Family
ID=8026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7149A Active KR102463568B1 (ko) | 2020-08-04 | 2020-08-04 | 공기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356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70478B1 (ko) * | 2022-10-31 | 2025-02-18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공기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4269B1 (ko) * | 2007-07-11 | 2010-11-1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신규의 칼슘-코발트 산화물계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572545B1 (ko) * | 2013-07-25 | 2015-11-27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해질 재료 입자가 내부 혼합된 산화물계 전극재료 복합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
2020
- 2020-08-04 KR KR1020200097149A patent/KR102463568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7081A (ko) | 2022-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37821B2 (ja) | 機械的健全性および効率を向上させた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用複合アノード | |
EP3430666B1 (en) | Solid oxide fuel cells with cathode functional layers | |
WO2019107194A1 (ja) | プロトン伝導体、プロトン伝導型セル構造体、水蒸気電解セルおよび水素極-固体電解質層複合体の製造方法 | |
KR20130099704A (ko)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기능층 소재, 및 상기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층과 상기 기능층을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 |
KR20130123188A (ko)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소재, 상기 소재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양극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 |
JP6573243B2 (ja) | 空気極組成物、空気極およ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 | |
KR20130123189A (ko)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음극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 |
KR102080961B1 (ko) | 공기극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상기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및 공기극 구조체의 제조방법 | |
KR102330590B1 (ko) | 공기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 |
KR102463568B1 (ko) | 공기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 |
KR20120135463A (ko) | 연료전지용 양극 소재, 상기 소재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양극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 |
KR101218980B1 (ko) | 연료 전지용 전극 재료,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JP7194936B2 (ja) | 混合伝導体層を有する固体酸化物燃料電池 | |
KR102111859B1 (ko) |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JP7592986B2 (ja) | 電気化学セル | |
KR102770478B1 (ko) | 공기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 |
KR102823136B1 (ko) | 공기극 내에 공기극 물질과 더불어 프로톤 전도체를 갖는 가역고체산화물 전지 | |
KR101927306B1 (ko) | 산화물 입자,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 |
JP2005243473A (ja) | セリア系固体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2074304A (ja)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発電セル | |
JP2012074305A (ja)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発電セル | |
WO2020158341A1 (ja) | 電気化学セル | |
KR20250083170A (ko) | 공기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 |
WO2020158346A1 (ja) | 電気化学セル | |
Pikalova | Progress in infiltration technology applied to air electrodes with proton-conducting electrolyte backbon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3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0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10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3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