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413B1 - Snow removal material crush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Snow removal material crushing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2413B1 KR102462413B1 KR1020220033490A KR20220033490A KR102462413B1 KR 102462413 B1 KR102462413 B1 KR 102462413B1 KR 1020220033490 A KR1020220033490 A KR 1020220033490A KR 20220033490 A KR20220033490 A KR 20220033490A KR 102462413 B1 KR102462413 B1 KR 1024624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now removal
- crushing
- removal material
- cutting
- cutting bla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4—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flui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설재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지자체나 공항, 도로공사 등에 비축된 제설재가 하절기와 춘추기에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단단하게 굳어 사용하기 어려운 제설재를 파설하여 도로에 제설재의 도포가 용이하도록 하는 제설재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 pulveriz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e snow plows stored in each local government, airport, road construction, etc. are hardened due to rain or moisture in the summer and spring and autumn, and the snow plows that are difficult to use are laid out on the road. It relates to a snow removal material crushing device that facilitates the application of ash.
일반적으로 제설재라 함은 동절기에 도로에 쌓이는 눈을 신속히 녹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염화칼슘이나 소금이 사용되거나 소금과 염화칼슘의 혼합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하 서술함에 있어서 제설재라 한다.In general, the snow removal material is used to quickly melt the snow that accumulates on the road in winter, and calcium chloride or salt is used, or a mixture of salt and calcium chloride is used.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설재는 폭설시 신속히 사용할 수 있도록 도로 근처의 야외 또는 별도의 야적장 등에 구비된 보관함에 보관된다. 그런데 제설재는 동절기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하절기와 춘,추기에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The conventionally known snow removal material is stored in a storage box provided outdoors or in a separate yard near the road so that it can be used quickly during heavy snowfall. However, snow removal materials are used only in winter, and are not used at all in summer, spring, and autumn.
따라서, 하절기나 춘추기에 빗물이나 보관함 내부의 온도 차이로 인한 습기 등으로 인하여 제설재를 구성하는 소금 및 염화칼슘에 수분이 침투되면 액상으로 녹는 현상이 발생된다.Therefore, when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salt and calcium chloride constitut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due to rainwater or moisture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inside the storage box in the summer or spring, the liquid melts.
그리고 빗물로 인하여 액상으로 변화된 제설재는 일정 기간이 경과되어 침투 되었던 수분이 증발되면 소금 및 염화칼슘이 상호 흡착된 상태에서 거의 돌처럼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And when the moisture that has penetra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e snow removal material that has been changed to liquid due to rainwater becomes almost stone-like in a state where salt and calcium chloride are adsorbed to each other.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하절기와 춘추기에 굳어진 제설재는 거의 돌덩이처럼 굳어져 동절기에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now removal material hardened in the summer and spring and autumn as described above is hardened almost like a stone and cannot be reused in the winter.
그리고, 부득이 굳어진 제설재를 이용하여 제설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삽 등으로 제설재를 덩어리로 쪼갠 상태에서 다시 작게 분쇄하여 제설 작업을 하고 있으나, 제설재 덩어리가 도로에 직접적으로 뿌려디는 경우 제설이 거의 안 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오히려 제설재 덩어리로 인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And, in the case of snow removal work using the hardened snow removal material, the operator is crush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into small chunks again with a shovel, etc.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snow removal hardly occurs, but rather, a traffic accident is caused due to a lump of snow removal material.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372호(2006.01.31. 공고)의 "고형화된 제설재 분쇄장치"가 알려져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olidified snow-removing material crushing device" of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7372 (2006.01.31. Announcement) is known.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372호의 고형화 된 제설재 분쇄장치는,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부에는 투입호퍼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축을 포함하며 각각의 외측면에는 상호 충돌되지 않게 위치를 달리하면서 제설재 덩어리를 1차 분쇄하는 다수의 돌출날이 구비된 한 쌍의 분쇄롤과, 상기 한 쌍의 분쇄롤의 하부인 케이스 내부의 하부양측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을 통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밀착 회전되어 1차 분쇄된 제설재를 압착을 통해 2차 분쇄하고 회전축을 포함하는 한 쌍의 압축롤로 구성된다.The solidified snow removal device crushing device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7372 is driven by a case having an upper and lower opening, an input hopper at the top and an outlet at the bottom, and an upper side inside the case A pair of grinding rolls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blades that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hrough a means and include a rotating shaft, and which first crush the snow removal material while changing positions so as not to collide with each other on each outer surface; It is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inner case,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crushing rolls, is rotat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opposite directions through a driving means, and the primary crushed snow removal material is secondarily crushed through compression. Consists of a pair of compression rolls including a rotating shaft do.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한 쌍의 분쇄롤의 회전축에 상호 맞물리게 구비된 한 쌍의 기어와, 상기 한쌍의 압축롤의 회전축에 상호 맞물리게 구비된 한 쌍의 기어와, 상기 양 분쇄롤 중 하나 및 양 압축롤 중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각각의 회전축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driving means includes a pair of gears provided to be intermeshed with the rotation shafts of the pair of crushing rolls, a pair of gears provided to mesh with the rotation shafts of the pair of compression rolls, one of the both crushing rolls,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motor connected to one of the rotation shafts of both compression rolls to rotate each rotation shaft at the same time.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의 모터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부 한 쌍의 분쇄롤과 하부 한 쌍의 압축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런 다음 투입호퍼로 제설재 덩어리를 투입하게 되면 투입된 제설재 덩어리는 상부양측에 구비된 분쇄롤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1차 분쇄된 다음, 1차 분쇄된 작은 덩어리가 하부에 구비된 한쌍의 압축롤의 사이로 투입되면서 2차적으로 압착 분쇄되어 하부로 배출된다. Therefore, when the motor of the driving means is driven, the upper pair of crushing rolls and the lower pair of compression rolls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n, when the snow removal material is put into the input hopper, the injected snow removal material is first crushed while passing between the crushing rol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and then a pair of compression rolls with the small primary crushed material at the bottom It is secondarily compressed and pulverized as it enters the space and is discharged to the bottom.
즉 상기와 같이 1차 분쇄된 작은 덩어리를 압착하게 되면 작은 덩어리가 압착되면서 부서지게 되면서, 고형화 된 제설재 덩어리가 작은 입자로 압착 분쇄되어 하부로 배출된다.That is, when the first crushed small mass is compressed as described above, the small mass is crushed while being compressed, and the solidified snow removal material is crushed and crushed into small particles and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상기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372호는 톤백마대에 담기 상태에서 굳어진 제설재를 분쇄할 때에는 톤백마대에서 제설재를 꺼내어 투입호퍼에 넣어 분쇄가 되도록 함에 따라 이중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는 단점과 분쇄롤에서 1차로 분쇄된 제설재를 다시 한 쌍의 압착롤에 의해 압착되면서 2차로 분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량의 제설재를 빠르게 분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The above-mentioned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7372 discloses that when the hardened snow removal material is crushed in the state of being placed in the tonnage bag, the snow removal material is taken out from the tonnage bag and put into the input hopper to be pulveriz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arge amount of snow removal material cannot be rapidly crushed because the snow removal material pulverized first in the crushing roll is crushed again by a pair of pressing rolls and is crushed secondarily.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각 지자체나 공항, 도로공사 등에 비축된 제설재가 하절기와 춘추기에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단단하게 굳어 사용하기 어려운 제설재를 분쇄할 때 제설재가 담긴 톤백마대를 그대로 이동하여 톤백마대의 저부를 파손시켜 굳은 제설재가 커팅날에 의해 1차로 분쇄로 이루어지고 분쇄날에 의해 2차로 분쇄가 이루지도록 하여 제설재를 도포가 용이하도록 한 제설재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When the snow removal material stored in each local government, airport, road construction, etc. is hardened due to rain or moisture in summer and spring and autumn and is difficult to use, the tonbaekmahdae contain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is moved as it is, and the bottom of the tonbaekmahdae is damag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now removal material crushing device in which the hardened snow removal material is primarily crushed by a cutting blade and secondarily crushed by a crushing blade to facilitate application of the snow removal material.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커팅수단, 분쇄수단이 소정높이로 설치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포스트와 작업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작업대와: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커팅날에 의해 톤백마대의 하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분쇄수단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팅수단과: 커팅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제설재를 분쇄드럼으로 분쇄시킬 수 있도록 작업대프레임에 설치되는 분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분쇄장치를 제공한다. A workbench comprising a plurality of posts and a workbench frame installed on the ground so that the cutting means and the pulverizing means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t provides a snow removal crushing device comprising: a cutting means installed;
본 발명의 커팅수단은, 커팅기가 내측에 위치되게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팅기고정프레임과: 커팅기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어 일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톤백마대의 하부를 커팅하는 커팅기와: 커팅날고정체에 설치된 복수의 커팅날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커팅기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ut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tter fixed frame having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cutter is located inside: a cutter positioned inside the cutter fixed frame and installed to be movable in one direction to cut the lower part of the tonbaek horse stand: cutting blade height A hydraulic cylind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utter so as to move the plurality of cutting blades installed in the stagna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의 커팅기는, 커팅기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위치되게 형성되어 복수의 커팅날고정체가 상부에 설치되는 커팅기브라켓과: 커팅기브라켓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커팅날고정체와: 톤백마대의 하부를 커팅할 수 있도록 커팅날고정부재에 복수로 설치되어 커팅날고정체에 설치되는 커팅날과: 커팅날에 의해 톤백마대의 하부를 커팅할 수 있도록 복수의 커팅날고정체의 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t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utter bracket form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utter fixing frame and having a plurality of cutting blade fixtures installed thereon; a plurality of cutting blade fixtures mov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utter bracket; A plurality of cutting blades are installed on the cutting blade fixing member so as to cut the lower part and are installed on the cutting blade fixture: Hydraulically installed at the side ends of the plurality of cutting blade fixtures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tonbaek horse stand can be cut by the cutting blade Moving means moved by the cylin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분쇄수단은, 내측에 복수의 분쇄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설재가 투입되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분쇄함체와: 제설재를 분쇄할 수 있도록 분쇄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분쇄드럼과: 분쇄함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분쇄드럼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ush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ushing box in which a plurality of crushing drums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side to penetrate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snow removal material is input and discharg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grinding drums installed to be possible; and a plurality of motor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grinding box to rotate the grinding drum.
본 발명의 분쇄함체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면서 내측에 분쇄날가이드가 설치되어 제설재가 복수의 분쇄드럼 사이로만 분쇄된 제설재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ush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crushing blade guide is installed on the inside while the top and the bottom are penetrated so that the snow removal material is discharged only between the plurality of crushing drums.
본 발명의 복수의 분쇄드럼은, 외주연에 복수의 분쇄날이 사선방향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grinding dru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ar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in an oblique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본 발명의 복수의 분쇄드럼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grinding dru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rotated at different speeds.
본 발명의 분쇄함체는, 분쇄드럼에 의해 분쇄되는 제설재가 한 곳으로 모아져 배출되도록 배출호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ush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ischarge hopper is further installed so that the snow removal material crushed by the crushing drum is collected and discharged in one pla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지자체나 공항, 도로공사 등에 비축된 제설재가 하절기와 춘추기에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단단하게 굳어 사용하기 어려운 제설재를 분쇄할 때 제설재가 담긴 톤백마대를 그대로 이동하여 톤백마대의 저부를 파손시켜 굳은 제설재가 커팅날에 의해 1차로 분쇄로 이루어지고 분쇄날에 의해 2차로 분쇄가 이루지도록 하여 제설장치를 통해 제설재의 도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now removal material stored in each local government, airport, road construction, etc. is hardened due to rain or moisture in summer and spring and autumn, and is difficult to use, when crush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the tonbaekmahdae contain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is moved as it is. Thus, the snow removing material that has been hardened by breaking the bottom of the tonbaek horse stand is firstly pulverized by the cutting blade and secondarily pulverized by the pulverizing blade, so that the snow removal device facilitates the application of the snow removal material.
또한 하절기와 춘추기에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하여 굳게되었던 제설재를 간단히 분쇄함으로써, 동절기에 재 사용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제설작업시 고형화된 제설재의 분쇄에 따른 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simply crush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that has hardened due to rain or moisture in summer and spring and autumn, it can be reused in the winter season, as well as reducing costs due to the crushing of the solidified snow removal material during snow removal. have.
또한 제설재를 원래의 상태로 분쇄하여 제설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예산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by pulveriz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to its original stat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the snow removal performance, thereby preventing wastage of the budg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재 분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제설재 분쇄장치의 A-A선 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제설재 분쇄장치의 B-B선 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출호퍼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팅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팅수단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 및 6에 도시된 커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팅기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분쇄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분쇄함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분쇄드럼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w removal device crus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AA line of the snow removing material crushing device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BB line of the snow removing material crushing device in Figure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hopper shown in FIG.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tting means shown in Figure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utting means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tting machine shown in FIGS. 5 and 6;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utting machine shown in FIG.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ushing means shown in Figure 2;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ushing box shown in Figure 9.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nding drum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재 분쇄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now removal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재 분쇄장치는 커팅수단(200), 분쇄수단(300)이 소정높이로 설치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포스트(110)와 작업대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 작업대(100)와: 톤백마대(400)가 커팅날(223)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하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분쇄수단(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팅수단(200)과: 커팅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제설재를 분쇄드럼(320)으로 분쇄시킬 수 있도록 작업대프레임(120)에 설치되는 분쇄수단(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now removal material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재 분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snow removing material cru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재 분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제설재 분쇄장치의 A-A선 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제설재 분쇄장치의 B-B선 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출호퍼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커팅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팅수단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 및 6에 도시된 커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팅기의 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2에 도시된 분쇄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분쇄함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분쇄드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w removal cr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line A-A of the snow removal crusher in Fig. 1, Figure 3 is B-B of the snow removal crusher in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in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hopper shown in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tting means shown in FIG. 2, and FIG. 6 is shown in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utting means,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utting machine shown in Figures 5 and 6,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utting machine shown in Figure 7, Figure 9 is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nding means shown in FIG. 2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nding box shown in FIG. 9 ,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inding drum shown in FIG. 9 .
도 1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작업대(100), 커팅수단(200) 및 분쇄수단(300)을 포함한다.1 to 11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 table 100 , a cutting means 200 , and a crushing means 300 .
상기 작업대(100)는 지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의 포스트(110)가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110)의 상부에는 커팅수단(200), 분쇄수단(300)이 소정 높이로 위치될 수 있도록 작업대프레임(120)이 설치된다. The work table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상기 작업대프레임(120)의 저부에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30)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30)에는 분쇄수단(300)의 배출호퍼(140)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호퍼(140)의 상부에는 호퍼패널(141)이 설치되어 분쇄수단(3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A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작업대프레임(120)의 상부에는 평패널(150)이 설치되어 작업자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제설재가 담긴 톤백마대(400)를 놓을 수 있도록 한다. And a
또한, 상기 작업대프레임(120)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커팅수단(200) 또는 분쇄수단(300)이 위치된 곳으로 이동할 있도록 사다리(160)가 설치되며, 상기 사다리(160)는 작업자가 이동하던 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다리가드(170)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
상기 커팅수단(200)은 커팅기(220)가 내측에 위치되게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팅기고정프레임(210)과, 커팅기고정프레임(2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일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톤백마대(400)의 하부를 커팅하는 커팅기(220)와, 커팅날고정체(222)에 설치된 복수의 커팅날(223)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커팅기(220)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tting means 200 is a cutting
상기 커팅기고정프레임(21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게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작업대프레임(120)의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커팅기고정프레임(210)의 가장자리에는 펜스가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거나 또는 작업대프레임(120)의 평패널(150)에 놓인 톤백마대(400)와 커팅기(220) 상부에 놓인 톤백마대(400)와의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그리고 상기 커팅기고정프레임(210)은 하부에 톤백마대(400)의 하부를 커팅기(220)에 의해 절삭이 이루어져 쏟아지는 제설재가 분쇄수단(30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부에 공급호퍼(240)가 설치된다. And the cutting
상기 커팅기(220)는 커팅기브라켓(221), 커팅날고정체(222), 커팅날(223), 이동수단(224)을 포함한다.The
상기 커팅기브라켓(221)은 공급호퍼(240)의 내측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브라켓몸체(221-1)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몸체(221-1)의 외주면에는 공급호퍼(240)의 내측면 경사도에 대응되게 복수의 브라켓지지체(221-2)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The
또한 브라켓몸체(221-1)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는 레일(221-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팅기브라켓(2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레일(221-3)에는 커팅날고정체(222)에 설치된 크랭크바퀴(222-3)가 각각 설치되어 유압실린더(230)에 의해 이동되는 커팅날고정체(222)의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한다. In addition, rails 221-3 are formed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racket body 221-1, and the cutting
상기 커팅날고정체(222)는 복수로 구성되어 상부에 복수의 커팅날(223)이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커팅날고정체(222)는 유압실린더(23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커팅날(223)에 의해 톤백마대(400)의 저부를 커팅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utting
복수의 횡파이프(222-2)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횡파이프(222-2) 양측 끝단에 상부와 하부에 복수의 종파이프(222-1)가 각각 설치된다. A plurality of transverse pipes 222-2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pipes 222-1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pipe 222-2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상기 복수의 종파이프(222-1) 양측 끝단에는 크랭크바퀴(222-3)가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바퀴(222-3)는 커팅기브라켓(221)에 설치된 레일(221-3)을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설치된다. Crank wheels 222-3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pipes 222-1, and the crank wheels 222-3 move along the rails 221-3 installed in the
상기 커팅날고정체(222)의 종파이프(222-1)에는 톤백마대(400)의 저부를 커팅할 수 있도록 커팅날(223)이 구비되고, 상기 커팅날(223)은 복수로 이루어져 복수의 커팅날고정부재(223-1)에 설치된다. 상기 커팅날(223)이 설치된 커팅날고정부재(223-1)는 커팅날고정체(222)의 복수의 종파이프(222-1) 중에서 중앙에 위치된 종파이프(222-1)에 설치된다. A
상기 커팅날(223)은 복수로 이루어져 톤백마대(400)의 저부를 커팅하여 공급호퍼(240)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수단에 의해 왕복으로 이동하면서 1차로 굳은 제설재를 작은 덩어리로 잘라져 공급되도록 한다.The
상기 커팅날(223)은 복수의 커팅날(223) 중 일측단 즉 커팅기브라켓(221)의 중앙에 위치되는 커팅날(223)은 다른 커팅날고정체(222)에 설치된 커팅날(223)과 중첩되게 위치되어 톤백마대(400)의 저부의 커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굳어진 제설재의 작은 덩어리로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상기 커팅날고정체(222)의 일측에는 이동수단(224)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224)은 고정체결합부재(224-1)와 이동축(224-2), 체결고리(224-3) 및 유압실린더(230)를 포함한다.A moving means 22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상기 고정체결합부재(224-1)는 복수로 이루어져 판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커팅날고정체(222)의 종파이프(222-1) 일측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고정체결합부재(224-1)의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동축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fixture coupling members 224-1 ar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re respectively fixed to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pipe 222-1 of the plurality of cutting
상기 이동축(224-2)은 고정체결합부재(224-1)의 관통공에 끼워져 커팅날고정체(222)의 중앙부분에 위치되는 복수의 종파이프(222-1)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다. The moving shaft 224-2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fixture coupling member 224-1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pipes 222-1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상기 체결고리(224-3)는 이동축(224-2)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유압실린더(230)의 실린더로드(231)와 결합되어 유압실린더(230)의 작동에 의해 커팅기브라켓(221)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양측 방향으로 복수의 커팅날고정체(222)를 이동시켜 커팅날(223)이 종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한다.The fastening ring 224-3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oving shaft 224-2, is coupled to the
상기 유압실린더(230)는 이동수단(224)의 이동축(224-2)의 일측에 위치되어 체결고리(224-3)에 유압실린더(230)의 실린더로드(231)가 체결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수단(224)은 유압실린더(230)의 구동에 의해 커팅날고정체(222)를 커팅기브라켓(221)의 측방향으로 커팅날(223)을 종파이프(222-1)가 설치된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도록 하여 커팅날(223) 상방향에 위치된 톤백마대(400)의 저부를 커팅하여 굳어진 제설재가 분쇄수단(30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The moving means 22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oves the
상기 분쇄수단(300)은 분쇄함체(310), 분쇄드럼(320) 및 모터(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공급호퍼(240)로부터 공급되는 제설재를 분쇄하여 제설재를 원래의 상태로 분쇄하여 제설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rushing means 300 includes a crushing
또한 상기 분쇄수단(300)은 배출호퍼(140)의 상단에 설치된 호퍼패널(141)의 상부에 분쇄함체가 설치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rushing means 300 allows the crushing box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상기 분쇄함체(3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분쇄드럼(320)의 회전축(322)이 분쇄함체(310)의 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도록 돌출공(311)이 복수로 형성된다. The crushing
상기 분쇄함체(310)의 양측 외주면에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함체고정부재(312)가 각각 설치되어 배출호퍼(140)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분쇄함체(310)는 배출호퍼(140)의 상부에 고정되므로 분쇄드럼(320)에 의해 분쇄된 제설재가 버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분쇄함체(310)는 내측에 분쇄날가이드(313)가 설치되고 상기 분쇄날가이드(313)는 재설재가 복수의 분쇄드럼(320) 사이로만 인입되어 분쇄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제설재가 버려지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crushing
상기 분쇄드럼(320)은 복수로 구성되어 분쇄함체(3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커팅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설재를 분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쇄드럼(320)은 외주연에 복수의 분쇄날(321)이 사선방향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상기 분쇄함체(310)의 내측에 설치된다. The pulverizing
또한 상기 분쇄드럼(320)의 양측단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축(322)은 분쇄함체(310)의 돌출공(311)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상기 분쇄드럼(320)의 회전축(322)에는 드럼스프로켓(323)이 결합된다. 상기 드럼스프로켓(32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져 분쇄드럼(320)의 반대방향에 각각 결합되어 모터(33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분쇄드럼(320)이 회전되도록 한다. A
상기 복수의 분쇄드럼스프로켓(323)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속도로 분쇄드럼(32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plurality of grinding
상기 모터(330)는 복수로 구성되어 분쇄함체(310)의 측방향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모터(330)는 배출호퍼(14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모터브라켓(331)이 구성되며, 상기 모터브라켓(331)은 모터(330)와 결합된 감속기(340)에 고정되어 호퍼패널(141)의 상부에 고정된다. The
상기 모터(330)의 회전수를 감속할 수 있도록 모터(330)의 일측에는 감속기(340)가 설치되며, 상기 감속기(340)의 출력축에는 감속기스프로켓(341)이 설치된다. 상기 감속기스프로켓(341)과 드럼스프로켓(323)에는 감속기(340)의 회전력에 의해 분쇄드럼(3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체인(350)이 설치된다. A
상기 체인(3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복수로 구성된 감속기스프로켓(341)과 드럼스프로켓(323)에 각각 설치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쇄수단(300)은 커팅수단(2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제설재를 분쇄하여 제설재 살포차량에 공급하여 제설재를 도로에 살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쇄수단으로부터 제설재가 분쇄되면 제설재를 원래의 상태로 분쇄하여 제설 성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하절기와 춘추기에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하여 굳게되었던 제설재를 간단하게 분쇄함으로써 동절기에 사용이 가능하다.The crushing means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ulverizes the snow removal material supplied from the cutting means 200 and supplies the snow removal material to the snow removal vehicle to spray the snow removal material on the road. When the snow removal material is pulverized from the crushing means, the snow removal performance is improved by pulveriz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to its original state.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설재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제설재를 분쇄하여 제설재 살포차량에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a process of pulveriz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us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crus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pplying it to the snow removal material spraying vehicle will be described.
먼저,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 등을 이용하여 제설재를 분쇄하기 위한 톤백마대(400)를 작업대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분쇄할 톤백마대(400)를 커팅기(22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First, using a crane or a hoist, the
상기 커팅기(220)의 상부에 톤백마대(400)가 위치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230)를 작동시켜 이동축(224-2)이 왕복으로 이동되도록 작동시키면, 상기 이동축(224-2)과 연결된 커팅날고정체(222)가 이동축(224-2)에 의해 왕복으로 이동되어 커팅날고정체(222)에 설치된 커팅날(223)이 왕복으로 이동하면서 톤백마대(400)의 저부를 커팅한다. When the
이때 커팅기브라켓(221)은 브라켓몸체(221-1)에 형성된 레일(221-3)을 따라 횡파이프(222-2)에 설치된 크랭크바퀴(222-3)가 이동하므로 유압실린더(230)에 의해 커팅날고정체(222)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상기 유압실린더(230)의 작동에 의해 커팅날(223)이 왕복으로 이동하면서 톤백마대(400)의 저부를 커팅하면, 굳어진 상태의 제설재가 커팅날(223)에 의해 조각나면서 커팅기브라켓(221) 하부에 설치된 공급호퍼(240)를 통해 분쇄수단(300)으로 공급된다. When the
상기 분쇄수단(300)으로 공급된 제설재는 분쇄함체(310)에 설치된 복수의 분쇄드럼(320) 사이로 유입이 이루어지고, 모터(33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드럼(320)에 의해 덩어리 형태의 제설재를 분쇄한다.The snow removal material supplied to the pulverizing means 300 is introduced between the plurality of pulverizing
상기 분쇄드럼(320)은 모터(330)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감속기(340)를 통해 소정 회전수로 감속되어 출력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때 복수의 분쇄드럼(320)에 각각 설치된 드럼스프로켓(323)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때문에 복수의 분쇄드럼(320)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제설재를 분쇄한다. The grinding
또한, 상기 복수의 분쇄드럼(320)에 사선방향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대향되게 분쇄날(321)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제설재가 분쇄되면서 하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분쇄드럼(320)이 설치된 분쇄함체(310)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 분쇄날가이드(313)에 의해 공급되는 제설재를 복수의 분쇄드럼(320) 사이로 공급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grinding
상기 복수의 분쇄드럼(320)을 통해 분쇄되는 제설재는 배출호퍼(140)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호퍼(140)로 공급된 제설재는 배출호퍼(140)의 하부에 위치된 제설재 살포차량으로 공급된다. The snow removal material pulverized through the plurality of crush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지자체나 공항, 도로공사 등에 비축된 제설재가 하절기와 춘추기에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단단하게 굳어 사용하기 어려운 제설재를 분쇄할 때 제설재가 담긴 톤백마대(400)를 그대로 이동하여 톤백마대(400)의 저부를 파손시켜 굳은 제설재가 커팅날(223)에 의해 1차로 분쇄로 이루어지고 분쇄날(321)에 의해 2차로 분쇄가 이루짐으로써 제설재를 원래의 상태로 분쇄가 이루어져 제설재 살포차량에 설치된 살포장치를 통해 제설재의 도포가 용이하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now removal material stored in each local government, airport, road construction, etc. is hardened due to rain or moisture in summer and spring and autumn, and is difficult to use, when crush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the
또한 하절기와 춘추기에 빗물이나 습기 등으로 인하여 굳게되었던 제설재를 간단히 분쇄함으로써, 동절기에 재 사용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제설작업시 고형화된 제설재의 분쇄에 따른 비용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제설재를 원래의 상태로 분쇄하여 제설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예산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by simply crush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that has been hardened due to rain or moisture in summer and spring and autumn, it can be reused in the winter season, as well as reducing costs due to the crushing of the solidified snow removal material during snow removal. By pulverizing the snow removal material to its original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now removal performance, thereby preventing wastage of the budge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explain,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작업대 110: 포스트
120: 작업대프레임 130: 수직프레임
140: 배출호퍼 141: 호퍼패널
150: 평패널 160: 사다리
170: 사다리가드 200: 커팅수단
210: 커팅기고정프레임 220: 커팅기
221: 커팅기브라켓 221-1: 브라켓몸체
221-2: 브라켓지지체 221-3: 레일
222: 커팅날고정체 222-1: 종파이프
222-2: 횡파이프 222-3: 크랭크바퀴
223: 커팅날 223-1: 커팅날고정부재
224: 이동수단 224-1: 고정체결합부재
224-2: 이동축 224-3: 체결고리
230: 유압실린더 231: 실린더로드
240: 공급호퍼 300: 분쇄수단
310: 분쇄함체 311: 돌출공
312: 함체고정부재 313: 분쇄날가이드
320: 분쇄드럼 321: 분쇄날
322: 회전축 323: 드럼스프로켓
330: 모터 331: 모터브라켓
340: 감속기 341: 감속기스프로켓
350: 체인 400: 톤백마대100: workbench 110: post
120: workbench frame 130: vertical frame
140: discharge hopper 141: hopper panel
150: flat panel 160: ladder
170: ladder guard 200: cutting means
210: cutter fixed frame 220: cutter
221: cutter bracket 221-1: bracket body
221-2: bracket support 221-3: rail
222: cutting blade fixture 222-1: longitudinal pipe
222-2: transverse pipe 222-3: crank wheel
223: cutting blade 223-1: cutting blade fixing member
224: moving means 224-1: fixed body coupling member
224-2: moving shaft 224-3: fastening ring
230: hydraulic cylinder 231: cylinder rod
240: supply hopper 300: grinding means
310: crushing enclosure 311: protruding hole
312: enclosure fixing member 313: grinding blade guide
320: grinding drum 321: grinding blade
322: rotation shaft 323: drum sprocket
330: motor 331: motor bracket
340: reducer 341: reducer sprocket
350: chain 400: ton white horse
Claims (9)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커팅날(223)에 의해 톤백마대(400)의 하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분쇄수단(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팅수단(200)과:
커팅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제설재를 분쇄드럼(320)으로 분쇄시킬 수 있도록 작업대프레임(120)에 설치되는 분쇄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커팅수단(200)은,
커팅기(220)가 내측에 위치되게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팅기고정프레임(210)과:
커팅기고정프레임(210)의 내측에 위치되어 일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톤백마대(400)의 하부를 커팅하는 커팅기(220)와:
커팅날고정체(222)에 설치된 복수의 커팅날(223)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커팅기(220) 일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230);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기(220)는,
커팅기고정프레임(210)의 내측에 위치되게 형성되어 복수의 커팅날고정체(222)가 상부에 설치되는 커팅기브라켓(221)과:
커팅기브라켓(221)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커팅날고정체(222)와:
톤백마대(400)의 하부를 커팅할 수 있도록 커팅날고정부재(223-1)에 복수로 설치되어 커팅날고정체(222)에 설치되는 복수의 커팅날(223)과:
복수의 커팅날(223)에 의해 톤백마대(400)의 하부를 커팅할 수 있도록 복수의 커팅날고정체(222)의 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유압실린더(230)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수단(224):을 포함하고,
상기 커팅기브라켓(221)은 공급호퍼(240)의 내측에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으로 브라켓몸체(221-1)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몸체(221-1)의 외주면에는 공급호퍼(240)의 내측면 경사도에 대응되게 복수의 브라켓지지체(221-2)가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몸체(221-1)의 양측 상부와 하부에는 레일(221-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커팅기브라켓(22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레일(221-3)에는 커팅날고정체(222)에 설치된 크랭크바퀴(222-3)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커팅날(223)은 복수의 커팅날(223) 중 커팅기브라켓(221)의 중앙에 위치되는 커팅날(223)은 다른 커팅날고정체(222)에 설치된 커팅날(223)과 중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분쇄장치.A workbench 100 comprising a plurality of posts 110 and a workbench frame 120 installed on the ground so that the cutting means 200 and the crushing means 300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cutting means 20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rushing means 300 so as to open the lower portion of the tonbaek horse sack 400 by the cutting blade 223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Grinding means 300 installed in the workbench frame 120 so that the snow removal material supplied by the cutting means 200 can be crushed by the grinding drum 320: includes,
The cutting means 200,
A cutter fixing frame 210 made of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cutter 220 is located inside and:
The cutter 220 is located inside the cutter fixing frame 210 and is installed to be movable in one direction to cut the lower part of the tonbaek horse pole 400 and:
and a hydraulic cylinder 2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utting machine 220 so as to move the plurality of cutting blades 223 installed on the cutting blade fixing body 222;
The cutter 220,
A cutter bracket 221 forme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cutter fixing frame 210 and having a plurality of cutting blade fixing bodies 222 installed thereon;
A plurality of cutting blade fixtures 222 mov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utter bracket 221 and:
A plurality of cutting blades 223 installed in the cutting blade fixing member 223-1 and installed in the cutting blade fixing body 222 so as to cut the lower part of the tonnage white horse pole 400, and:
A moving means 224 installed at the side ends of the plurality of cutting blade fixtures 222 and moved by the hydraulic cylinder 230 so as to cut the lower portion of the tonbaek machete 400 by the plurality of cutting blades 223 . contains :
The cutter bracket 221 is positioned inside the supply hopper 240 so that the bracket body 22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o be fixed, and a supply hopper 24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cket body 221-1. ), a plurality of bracket supports 221-2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surface, and rails 221-3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racket body 221-1, and the The crank wheels 222-3 installed on the cutting blade fixture 222 are installed on the rails 221-3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utter bracket 221, respectively,
The cutting blade 223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utter bracket 221 among the plurality of cutting blades 223 so as to overlap the cutting blade 223 installed in the other cutting blade fixing body 222 . Snow removal material crush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분쇄수단(300)은,
내측에 복수의 분쇄드럼(3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설재가 투입되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분쇄함체(310)와:
제설재를 분쇄할 수 있도록 분쇄함체(3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분쇄드럼(320)과:
분쇄함체(310)의 외측에 설치되어 분쇄드럼(320)을 회전시키는 복수의 모터(3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분쇄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grinding means 300,
A plurality of crushing drums 320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side, and the crushing box 310 is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top to the bottom so that the snow removal material is input and discharged;
A plurality of grinding drums 320 rotatably installed in the grinding box 310 to grind the snow removal material and:
A plurality of motors 330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grinding box 310 to rotate the grinding drum 320:
Snow removal crusher comprising a.
상기 분쇄함체(310)는,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면서 내측에 분쇄날가이드(313)가 설치되어 제설재가 복수의 분쇄드럼(320) 사이로만 분쇄된 제설재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분쇄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crushing box 310 is,
Snow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now removal material is formed so that the snow removal material is discharged only between the plurality of crushing drums (320) by installing a crushing blade guide (313) inside whil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rmed to penetrate.
상기 복수의 분쇄드럼(320)은,
외주연에 복수의 분쇄날(321)이 사선방향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분쇄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grinding drums 320,
A plurality of crushing blades 321 are continuously and repeated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in an oblique direction to face each other.
상기 분쇄함체(310)는,
분쇄드럼(320)에 의해 분쇄되는 제설재가 한 곳으로 모아져 배출되도록 배출호퍼(14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분쇄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crushing box 310 is,
Snow removal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now removal hopper (140) is further installed so that the snow removal material crushed by the crushing drum (320) is collected and discharged in one place.
상기 복수의 분쇄드럼(320)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재 분쇄장치.8. The method of claim 5 or 7,
The plurality of grinding drums 320,
Snow removal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rotated at different speed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3490A KR102462413B1 (en) | 2022-03-17 | 2022-03-17 | Snow removal material crushing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3490A KR102462413B1 (en) | 2022-03-17 | 2022-03-17 | Snow removal material crushing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2413B1 true KR102462413B1 (en) | 2022-11-04 |
Family
ID=8410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3490A Active KR102462413B1 (en) | 2022-03-17 | 2022-03-17 | Snow removal material crushing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241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0537B1 (en) * | 2023-12-28 | 2024-03-22 | 주식회사 동일인더스트리 | Roating type snow removal agent ton bag cutting device and snow removal agent loa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4326B1 (en) * | 2005-03-08 | 2005-07-28 | 주식회사 자동기 | Apparatus for cuting tonbag |
KR200407372Y1 (en) | 2005-10-28 | 2006-01-31 | 이충규 | Solidified Snow Removal Machine |
KR20170006471A (en) * | 2015-07-08 | 2017-01-18 | 김철환 | Creshing Deduster Of Municipal Waste Manufacturing System |
KR101931066B1 (en) * | 2018-09-28 | 2018-12-19 | 류태환 | Cutting Apparatus for Ton bag |
KR101988542B1 (en) * | 2016-12-14 | 2019-06-12 | 주식회사 자동기 | Deicer storage tank with the deicer loading function |
-
2022
- 2022-03-17 KR KR1020220033490A patent/KR1024624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4326B1 (en) * | 2005-03-08 | 2005-07-28 | 주식회사 자동기 | Apparatus for cuting tonbag |
KR200407372Y1 (en) | 2005-10-28 | 2006-01-31 | 이충규 | Solidified Snow Removal Machine |
KR20170006471A (en) * | 2015-07-08 | 2017-01-18 | 김철환 | Creshing Deduster Of Municipal Waste Manufacturing System |
KR101988542B1 (en) * | 2016-12-14 | 2019-06-12 | 주식회사 자동기 | Deicer storage tank with the deicer loading function |
KR101931066B1 (en) * | 2018-09-28 | 2018-12-19 | 류태환 | Cutting Apparatus for Ton ba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0537B1 (en) * | 2023-12-28 | 2024-03-22 | 주식회사 동일인더스트리 | Roating type snow removal agent ton bag cutting device and snow removal agent loa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6746670U (en) | A kind of Garden Architecture afforests waste treatment apparatus | |
CN210700317U (en) | Building foundation engineering waste recycling device | |
CN204620162U (en) | Movable crusher | |
CN110252492B (en) | Construction waste treatment device | |
KR102462413B1 (en) | Snow removal material crushing equipment | |
CN112844591A (en) | Construction waste classified screening collection device | |
JP2741155B2 (en) | Gala reproduction machine | |
JP200104689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inely dividing waste wood | |
CN111979889A (en) | Laying and maintaining device for short-distance repair of expressway | |
CN114985414A (en) | Method and equipment for screening and separating urban muck | |
CN218654851U (en) | Recovery plant is smashed to building abandonment timber | |
KR20080077482A (en) | Self-Driven Forest Shredding Equipment | |
KR101025494B1 (en) | Waste Wood Recycling System Using Schrader Hydraulic Shredder | |
KR200407372Y1 (en) | Solidified Snow Removal Machine | |
GB234347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cycling materials | |
CN215164465U (en) | Asphalt pavement milling machine | |
CN213494202U (en) | Be used for civil engineering to sieve husky equipment | |
CN111889176B (en) | Building rubbish soil material recovery unit | |
JPH048998Y2 (en) | ||
CN201176558Y (en) | Crushing cutter for maintaining wellhead | |
CN107199100A (en) | Civil engineering work waste material reducing mechanism with precomminution function | |
JP3670855B2 (en) | Soil improvement method by smashing and mixing, and soil improvement device with smashing and mixing machine | |
KR100469677B1 (en) | Tree-waste crusher | |
CN221245372U (en) | Auxiliary dust-proof equipment for asphalt concrete | |
JP3676087B2 (en) | Crusher and soil quality improvement equipment with crush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3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