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2218B1 - 공중합체 및 유성 겔화제 - Google Patents

공중합체 및 유성 겔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218B1
KR102462218B1 KR1020177016668A KR20177016668A KR102462218B1 KR 102462218 B1 KR102462218 B1 KR 102462218B1 KR 1020177016668 A KR1020177016668 A KR 1020177016668A KR 20177016668 A KR20177016668 A KR 20177016668A KR 102462218 B1 KR102462218 B1 KR 10246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delete delete
copolymer
oil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876A (ko
Inventor
마코토 우야마
가즈유키 미야자와
다쿠미 와타나베
미네오 아베
마사토 마츠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고오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고오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70095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21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2C12-(meth)acrylate, e.g. lauryl (meth)acry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6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 (methyl vinyl ether-co-maleic anhydr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8C13or longer chain (meth)acrylate, e.g. stear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8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8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 C08F220/585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e.g. N-methylolacrylamide, N-(meth)acryloylmorpholine and containing other heteroatoms, e.g. 2-acrylamido-2-methylpropane sulfonic acid [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인 유성 겔상 조성물을 조제 가능한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와, 하기 화학식 2 및/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화학식 1에서,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의 16~22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다.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화학식 2에서 R3는 수소원자, 글리세릴기, 직쇄 또는 분지쇄의 1~4의 탄소원자를 갖는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C3H6O)nH로 표시되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기(단, n은 2~10의 정수)이다.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화학식 3에서 R5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6는 직쇄 또는 분지쇄 1~4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Description

공중합체 및 유성 겔화제{COPOLYMER AND OILY GELLING AGENT}
본 발명은 신규의 공중합체에 관하여, 특히 안정적인 유성 겔상 조성물을 조제 가능한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겔상 조성물은 화장료나 식품 등의 모든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 중, 유분을 포함하는 겔상 조성물의 형성에는 일반적으로 유성 겔화제가 사용된다.
유성 겔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질량비 30:70~70:30의 팔미트산과 베헨산을 구성 지방산으로 하는 트리글리세리드 70질량% 이상을 포함하고, 또한 요오드가가 10 이하인 유지(특허문헌 1)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유성겔상 조성물의 안정성이나 온도안정성에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33358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해결해야 할 과제는 신규의 공중합체로, 모노머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유성 겔상 조성물을 조제 가능한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들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의 소수성 모노머 및 특정의 친수성 모노머로 이루어진 공중합체가, 안정적인 유성 겔상 조성물을 조제 가능한 유성 겔화제인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
하기 화학식 2 및/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17057838979-pct00001
(화학식 1에서,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의 16~22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임)
Figure 112017057838979-pct00002
(화학식 2에서 R3는 수소원자, 글리세릴기, 직쇄 또는 분지쇄의 1~4의 탄소원자를 갖는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C3H6O)nH로 표시되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기(단, n은 2~10의 정수)이고,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임)
Figure 112017057838979-pct00003
(화학식 3에서 R5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6는 직쇄 또는 분지쇄 1~4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치환기임)
Figure 112017057838979-pct00004
상기 공중합체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가, (메타)아크릴산 세틸, (메타)아크릴산 스테아릴, (메타)아크릴산 베헤닐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에서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가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에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가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글리세릴,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산 PPG-6,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2-메틸프로필, 아크릴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에서 상기 소수성 모노머와 상기 친수성 모노머가, 구성 모노머 중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에서 소수성 모노머: 친수성 모노머가 3:7~8:2(몰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중합체에서 화학식 2 및/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가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산 글리세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는 실질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와,
하기 화학식 2 및/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성 겔화제는 상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성 겔상 조성물은, 상기 유성 겔화제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성 화장료는 상기 유성 겔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는 상기 유성 겔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의 공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모노머와 친수성 모노머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안정적인 유성 겔상 조성물을 조제 가능한 유성 겔화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레올로지 측정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유분: 2-에틸헥산산 세틸).
도 2는 레올로지 측정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이다(유분: 수첨 폴리데센).
도 3은 레올로지 측정 데이터(온도에 의한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유분: 2-에틸헥산산 세틸).
도 4는 레올로지 측정 데이터(온도에 의한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유분: 수첨 폴리데센).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는 특정의 수소성 모노머와, 특정의 친수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모노머에 대해서 상술한다.
소수성 모노머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57838979-pct00005
화학식 1에서,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의 16~22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다.
직쇄 또는 분지쇄의 16~22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로서는 세틸기, 스테아릴기, 이소스테아릴기, 올레일기, 베헤닐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에서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이와 같은 소수성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C16~C22), 즉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탄소수 16~22의 탄화수소기를 갖는 알콜로 이루어진 에스테르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세틸, 메타크릴산 세틸, 아크릴산 스테아릴, 메타크릴산 스테아릴, 아크릴산 이소스테아릴, 메타크릴산 이소스테아릴, 아크릴산 올레일, 메타크릴산 올레일, 아크릴산 베헤닐, 메타크릴산 베헤닐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2 및/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057838979-pct00006
화학식 2에서 R3는 수소원자, 글리세릴기, 직쇄 또는 분지쇄의 1~4의 탄소원자를 갖는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C3H6O)nH로 표시되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기이다.
이와 같은 히드록시알킬기로서는 2-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2-히드록시에틸-2-메틸프로필기, 2-히드록시부틸기, 3-히드록시부틸기, 4-히드록시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부가몰수를 나타내는 n은 2~10의 정수이다.
화학식 2에서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로서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HEA), 메타크릴산 글리세릴(GLM),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HEMA), 아크릴산 PPG-6(AP-400),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HPMA),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2-메틸프로필(HBMA), 아크릴산(Aa)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17057838979-pct00007
화학식 3에서 R5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6는 직쇄 또는 분지쇄 1~4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 또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4)
Figure 112017057838979-pct00008
R6 중의 알킬기로서는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히드록시알킬기로서는 2-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2-히드록시에틸-2-메틸프로필기, 2-히드록시부틸기, 3-히드록시부틸기, 4-히드록시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로서는 구체적으로는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HEAA),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NIPAM),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AMPS)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는 램덤형과 블럭형 중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지만, 합성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랜덤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이하의 제조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즉, 환류냉각기,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및 교반기가 부착된 4구 플라스크에,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 및 화학식 2 및/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의 혼합물과 에탄올을 넣고, 질소기류하 승온한다. 환류상태가 된 시점에서,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수시간 환류상태를 유지하여 중합반응을 진행한다. 이어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유거한 후, 다시 에탄올을 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중합개시제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개시제 첨가후의 환류시간은 3~5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는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배합함으로써 안정적인 유성 겔상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와 화학식 2 및/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즉 구성 모노머 중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모노머와 상기 친수성 모노머가, 구성 모노머 중 90% 미만인 경우,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에 포함할 수 있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 이외의 소수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스티렌, 스티렌, 아크릴산 벤질, 메타크릴산 벤질, 아크릴산 페닐, 메타크릴산 페닐, 메타크릴산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아크릴산-2-퍼플루오로헥실-2-에틸, 메타크릴산-2-퍼플루오로헥실-2-에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에 포함할 수 있는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 이외의 친수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피롤리돈, 비닐이미다졸, 아크릴산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산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아크로일모르폴린, N-(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에틸렌우레아,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포릴콜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에서 소수성 모노머와 친수성 모노머의 비율, 즉 소수성 모노머: 친수성 모노머가 3:7~8:2(몰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4:6~7:3(몰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친수성 모노머의 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소수성 모노머의 비율이 너무 높은 경우,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한 경우에 불투명하게 되어, 겔의 성상이 고체타입을 띄는 경우가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로서, 아크릴산 세틸, 아크릴산 스테아릴, 아크릴산 베헤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소수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한 경우의 겔화능 및 유분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다.
상기 화학식 2 및/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로서,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HEAA),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HEA), 메타크릴산 글리세릴(GL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친수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한 경우의 겔화능 및 유분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한 경우, 실리콘유에 대한 상용성이 낮아 겔화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알콜을 유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알콜의 합계량은 유분 중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화수소유로서는 유동 파라핀, 테트라이소부탄, 수첨 폴리데센, 올레핀올리고머,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스쿠알란, 수첨 폴리이소부텐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서는 2-에틸헥산산 세틸, 트리에틸헥사노인, 팔미트산 2-에틸헥실, 디카프르산 네오펜틸글리콜, 트리이소스테아린,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피발산 PPG-3, 숙신산 디2-에틸헥실, 2-에틸헥산산 2-에틸헥실, 옥타카프릴산 폴리글리세릴-6, 트리(카프릴산/카프르산) 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알콜로서는 이소스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유성 겔상 조성물을 조제하는 데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탄화수소유, 에스테르유, 알콜에 각각 용해하고 나서 혼합하면, 조제하기 쉽다. 용해·혼합시에는 필요에 따라서 가열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를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유성 겔상 조성물 중 2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2질량% 미만에서는 겔화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배합량은 유성 겔상 조성물 중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8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10질량%를 초과하면, 유분과의 상용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유성 겔화제는 소량으로 겔화할 수 있고, 겔화제에 유래하는 끈적거림이 없고, 바람직하게 유성 겔상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성 겔상 조성물은 유성 화장료 또는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에 바람직하게 배합할 수 있다. 유분을 고화하기 위해, 예를 들어 왁스류 등 상온에서 고체 내지 반고체의 유분을 사용하면 끈적거림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의 유성 겔상 조성물을 배합한 경우에는 끈적거림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유성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어 스킨케어 화장료(예를 들어, 미용액 등), 메이크업 화장료(예를 들어, 립스틱, 글로스 등), 피부세정료(예를 들어, 클렌징 등), 모발화장료(예를 들어, 헤어 트리트먼트 등) 등의 유성 겔상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예를 들어, 마스카라, 마스카라 베이스 등), 피부 세정료(예를 들어, 클렌징 등), 모발 화장료(예를 들어, 헤어오일 등), 선케어 오일 등의 유성 화장료를 들 수 있다.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로서는 예를 들어 스킨케어 화장료(예를 들어, 로션, 유액, 크림, 미용액 등), 메이크업 화장료(예를 들어,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치크, 아이섀도우, 마스카라, 마스카라 베이스 등), 피부세정료(예를 들어, 바디소프, 세안료, 클렌징 등), 모발세정료(예를 들어, 샴푸 등), 모발화장료(예를 들어,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육모료 등), 선스크린 화장료, 염모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성 겔상 조성물을 배합한 유성 화장료 또는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에는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향료, 산화방지제, 방부방미제(防腐防黴劑), 체질안료, 착색안료, 물 등의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해서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그 성분이 배합되는 계에 대한 질량%로 표시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시험의 평가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 (1): 유분과의 상용성
공중합체를 각종 유분에 85℃에서 용해시켰을 때의 유분과의 상용성을 육안으로 관찰했다.
A: 상용(相溶)했다.
B: 약간 침전이 보였다.
C: 전혀 상용하지 않았다.
평가(2): 겔화능
공중합체를 각종 유분에 85℃에서 5% 용해시킨 후,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시켰을 때의 상태에 대해서 경사법에 의해, 유동성이 없는 상태를 겔로 판정했다.
A: 겔화했다.
B: 약간 겔화했다.
C: 겔화하지 않았다.
평가(3): 투명성
시료의 투명성을 육안으로 평가했다.
평가(4): 점도
실온 (25℃)에서 보존한 제조후 1시간 경과한 시료를, B형 점도계(BL형, 12rpm)로 측정했다.
평가(5): 유화 입자직경
시료 조제 후의 유화입자의 평균입자직경을 현미경 관찰에 의해 평가했다.
처음에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환류냉각기, 온도계, 질소가스 도입관 및 교반기가 부착된 용량 1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각 시험예에 나타내는 비율(몰비)의 소수성 모노머 및 친수성 모노머의 혼합물(합계 100질량부)와 에탄올 250질량부를 넣고, 질소 기류하에서 승온했다. 환류상태(약 80℃)가 된 시점에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질량부를 첨가하고, 4시간 환류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중합반응을 진행시켰다. 이어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유거한 후, 다시 에탄올을 가함으로써 고형분 농도 50질량%의 공중합체(수지용액)를 얻었다.
본 발명자들은 공중합체의 겔화능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즉,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소수성 모노머 및 친수성 모노머를 사용한 공중합체를,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상기 평가방법(1) 및 (2)에 대해서 평가했다. 또한, 유분으로서는 2-에틸헥산산 세틸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표에서 소수성 모노머와 친수성 모노머의 배합 비율은 몰비로 표시되어 있다.
이하의 표 중에서 소수성 모노머와 친수성 모노머는 약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표 중에서의 소수성 모노머의 화합물명은 이하와 같다.
SA: 아크릴산 스테아릴(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 R1=스테아릴기, R2=수소)
BEA: 아크릴산 베헤닐(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 R1=베헤닐기, R2=수소)
2EHA: 아크릴산 2-에틸헥실(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 R1=2-에틸헥실기, R2=수소)
LA: 아크릴산 라우릴(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 R1=라우릴기, R2=수소)
CA: 아크릴산 세틸(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 R1=세틸기, R2=수소)
표 중에서의 친수성 모노머의 정식 화합물명은 이하과 같다.
HEAA: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모노머, R5=수소, R6=2-히드록시에틸기)
Aa: 아크릴산(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머, R3=수소, R4=수소)
AMPS: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모노머, R5=수소, R6=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치환기)
DAAM: 다이아세톤아크릴아미드(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모노머)
NIPAM: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모노머, R5=수소, R6=2-이소프로필기)
HEMA: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머, R3=2-히드록시에틸기, R4=메틸기)
HEA: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머, R3=2-히드록시에틸기, R4=수소)
GLM: 메타크릴산 글리세릴(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머, R3=글리세릴기, R4=메틸기)
QA: N, N, N, - 트리메틸-N-(2-히드록시-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모노머)
AE-400: 아크릴산 PEG-10(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모노머)
AP-400: 아크릴산 PPG-6(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머, R3= -(C3H6O)nH(n=6), R4=수소)
HPMA: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머, R3=2-히드록시프로필기, R4=메틸기)
HBMA: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2-메틸프로필(화학식 2로 표시되는 모노머, R3=2-히드록시-2-메틸프로필기, R4=메틸기)
Figure 112017057838979-pct00009
Figure 112017057838979-pct00010
Figure 112017057838979-pct00011
Figure 112017057838979-pct00012
표 1에 따르면, 아크릴산 스테아릴 및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시험예 1-1)는 5%의 배합으로 현저한 겔화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아크릴산 베헤닐 및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시험예 1-2)도, 5%의 배합으로 현저한 겔화능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시험예 1-2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유성 겔화 특성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즉, 시험예 1-2의 공중합체, 공지의 유성 겔화제(디메틸실릴화 무수규산, 팔미트산 덱스트린,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미세결정질 왁스)를 5% 사용한 유성겔에 대해서, 상기 평가방법 (1) 및 (2)에 대해서 평가했다. 또한, 유분으로서는 2-에틸헥산산 세틸 또는 올레핀올리고머30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공지의 유성 겔화제로서는 이하의 상품을 사용하여 검토를 실시했다. 디메틸실릴화 무수규산: 아에로질R972(니혼아에로질사제)
팔미트산 덱스트린: 레오파르 KL(치바세이훈사제)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노무코토HK-G(닛신세이유사제)
미세결정질왁스: 파믹 160(닛코리카사제)
또한, 상기 평가방법(2)에 대해서 평가한 후, 각 시료의 레올로지 측정도 실시했다. 즉, 콘플레이트형 점탄성 측정기 MCR302(Anton Paar Germany GmbH사제)를 사용하여, 측정지그로서 플레이트 PP25(Radius 0.5㎜)를 사용하여, 저장탄성률(G’)과 손실탄성률(G”)을 측정했다. 측정조건은 γ=0.05~500%, f=1Hz, 측정 온도는 20℃에서 실시했다.
유분으로서는 2-에틸헥산산 세틸 이외에, 수첨 폴리데센을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했다. 결과를 각각 도 1, 도 2에 도시한다.
또한, 시험예 1-2의 시료,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미세결정질 왁스에 대해서, 온도를 변화시킨 경우의 레올로지 측정도 실시했다. 측정장치는 상기의 장치에서 측정조건은 γ=1%, f=1㎐, 측정온도는 0~60℃에서 실시되었다.
유분으로서는 2-에틸헥산산 세틸, 수첨 폴리데센을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한 결과를 각각 도 3, 도 4에 도시한다.
Figure 112017057838979-pct00013
표 2에 따르면, 모든 유성 겔화제는 2-에틸헥산산 세틸 및 올레핀 올리고머에 85℃에서 용해했지만, 조합에 의해 겔화하지 않는 것도 있었다.
시험예 1-2의 시료(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미세결정질 왁스는 모두 유분도 겔을 형성할 수 있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시험예 1-2의 시료가 가장 변형에 대해서 강하고, 명료한 선형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그 밖의 시료는 저변형측의 G’는 높지만, 변형에 대해서 약하고, 선형 영역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어느 유분의 경우도 시험예 1-2의 시료는 60℃ 부근까지 안정적이었다.
또한, 2-에틸헥산산 세틸을 사용한 경우, (베헨산/에이코산이산)글리세릴, 미세결정질 왁스는 파괴영역에 있고, 온도에 따르지 않고 불안정했다.
또한, 수첨 폴리데센을 사용한 경우, 미세결정질 왁스는 파괴영역에 있고, 온도에 따르지 않고 불안정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로부터 얻어진 유성 겔상 조성물이 가장 변형과 온도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소수성 모노머의 종류를 검토했다. 즉,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소수성 모노머 및 친수성 모노머를 사용한 공중합체를,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상기 평가방법 (1) 및 (2)에 대해서 평가했다. 또한, 유분으로서는 2-에틸헥산산 세틸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57838979-pct00014
표 3에 따르면, 소수성 모노머로서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C8~C12)를 사용한 경우(시험예 2-1, 2-2), 유성 겔화제로서 기능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소수성 모노머로서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C16~C22)를 사용한 공중합체는 우수한 유성 겔화제였다.
다음에,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친수성 모노머의 종류를 검토했다. 즉,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는 소수성 모노머 및 친수성 모노머를 사용한 공중합체를,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상기 평가방법 (1) 및 (2)에 대해서 평가했다. 또한, 유분으로서는 2-에틸헥산산 세틸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4 및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57838979-pct00015
Figure 112017057838979-pct00016
표 4 및 표 5에 따르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소수성 모노머로서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C16~C22)를 사용한 경우에도 친수성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 유성 겔화제로서 기능하지 않는 것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와, 화학식 2 및/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안정적인 유성 겔상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는 유성 겔화제로, 유분과의 상용성도 양호하다. 또한, 유분과의 상용성 및 겔화능을 고려하면, 친수성 모노머로서 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HEAA),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메타크릴산 글리세릴(GL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소수성 모노머와 친수성 모노머의 비율(몰비)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즉,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6에 나타내는 소수성 모노머 및 친수성 모노머를 사용한 공중합체를,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상기 평가방법 (1)~(3)에 대해서 평가했다. 또한, 유분으로서는 2-에틸헥산산 세틸을 사용했다. 또한, 공중합체의 HLB에 대해서도 산출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57838979-pct00017
표 6에 따르면, 친수성 모노머의 비율(및 공중합체의 HLB)가 너무 높으면, 겔화하지 않았다.
또한, 소수성 모노머의 비율이 너무 높으면, 불투명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겔의 성상도 고체 타입을 띄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를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소수성 모노머와 친수성 모노머의 경우, 즉 소수성 모노머: 친수성 모노머가 3:7~8:2(몰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의 HLB가 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공중합체의 유분중의 배합량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즉,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유성 겔화제를 배합한 하기 표 7에 나타내는 유성겔을, 상기 평가방법 (1)~(3)에 대해서 평가했다. 또한, 유분으로서는 2-에틸헥산산 세틸을 사용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배합량은 질량%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SA 50/HEAA 50은 아크릴산 스테아릴: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50:50(몰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고, BEA 60/HEAA 40은 아크릴산 베헤닐:N-(2-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60:40(몰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Figure 112017057838979-pct00018
표 7에 따르면 유성 겔화제의 배합량이 너무 적으면 겔화능이 떨어지고, 유성 겔화제의 배합량이 너무 많으면 유분과의 상용성에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를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유성 겔화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중 2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유성 겔화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중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8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유분의 종류에 대해서 검토를 실시했다. 즉,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유성 겔화제를 배합한 하기 표 8에 도시한 유성겔을, 상기 평가방법 (1) 및 (2)에 대해서 평가했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배합량은 질량%로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17057838979-pct00019
표 8에 따르면 유분으로서 2-에틸 헥산산 세틸 대신 다른 에스테르유, 탄화 수소유, 알코올을 이용한 경우에도 유성 겔이 얻어졌다.
그러나, 실리콘유를 사용한 경우에는 유성겔은 얻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를 유성 겔화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유분으로서 탄화수소우, 에스테르유,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분으로서 실리콘유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상기 제조방법에서 얻어진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한 유성 겔상 조성물을 배합한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에 대해서 검토했다. 즉, 본 발명자들은 하기 제조방법에 의해 하기 표 9에 나타내는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를 조제하고, 상기 평가방법 (4) 및 (5)에 대해서 평가했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또한, BEA 60/GLM 40은 아크릴산 베헤닐:메타크릴산 글리세릴=60:40(몰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또한, 표 9에서는 유화입자직경이 15㎛ 이하인 것을 종합평가 ○, 유화입자직경이 15㎛ 보다 큰 것을 종합평가 ×라고 평가했다.
(제조방법)
(1)~(5)를 90℃에서 용해시킨 후 25℃까지 빙냉하고, 유성 겔상 조성물을 얻었다. 그 후, (6)을 혼합하여 디스퍼(4000rpm)으로 혼합시키고,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를 얻었다.
Figure 112017057838979-pct00020
표 9에 따르면, 공지의 유성 겔화제인 팔미트산 덱스트린을 사용한 유성 겔상 조성물을 배합한 것보다도, 본 발명에 관한 공중합체를 배합한 유중수형 유화화장료 쪽이, 유화입자직경이 작은 것이 제조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얻은 유성 겔상 조성물을 배합한 유성 화장료 또는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의 처방예를 든다. 본 발명은 이들 처방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립 글로스 조성물〕
배합성분 질량%
(1)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39.9
(2) BEA 60/HEAA 40 6.0
(3) 수첨 레시틴 0.1
(4) 피마자유 5.0
(5) 유동 파라핀 5.0
(6)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40.0
(7)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0.5
(8) 스테아르산 칼슘 0.5
(9) 산화티탄 피복 합성 금운모 1.0
(10) 산화티탄 피복 유리말 1.0
(11) 디프로필렌글리콜 1.0
<제조방법>
1: 성분 (1)~(3)을 95℃에서 용해 혼합시킨다.
2: 성분 (4)~(11)을 85℃에서 용해 혼합시킨다.
3: 2를 1에 서서히 첨가하고 교반 혼합시킨다.
얻어진 립 글로스 조성물의 점도는 85,100 mPa·s(30℃)이고, 안정성은 양호했다.
〔처방예 2: 립 글로스 조성물〕
배합성분 질량%
(1)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39.9
(2) BEA 60/GLM 40 6.0
(3) 수첨 레시틴 0.1
(4) 피마자유 5.0
(5) 유동 파라핀 5.0
(6) 중질 유동 이소파라핀 40.0
(7)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0.5
(8) 스테아르산 칼슘 0.5
(9) 산화티탄 피복 합성 금운모 1.0
(10) 산화티탄 피복 유리말 1.0
(11) 디프로필렌글리콜 1.0
<제조방법>
1: 성분 (1)~(3)을 95℃에서 용해 혼합시킨다.
2: 성분 (4)~(11)을 85℃에서 용해 혼합시킨다.
3: 2를 1에 서서히 첨가하고 교반 혼합시킨다.
얻어진 립 글로스 조성물의 점도는 69,200 mPa·s(30℃)이고, 안정성은 양호했다.
〔처방예 3: 마스카라 베이스 조성물〕
배합성분 질량%
(1) 경질 이소파라핀 41.46
(2) 미세결정질 왁스 20.00
(3) 마카데미아너트유 0.01
(4) 해바라기유 0.01
(5) 이소스테아르산 2.50
(6)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2.00
(7)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02
(8) BEA 60/GLM 40 10.00
(9)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8.00
(10)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0.00
(11)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3.00
(12) 나일론말 3.00
<제조방법>
1: 성분 (1)~(8)을 95℃에서 용해 혼합시킨다.
2: 성분 (9)~(12)를 85℃에서 혼합 분해시킨다.
3: 2를 1에 서서히 첨가하고 교반 혼합시킨다.
얻어진 마스카라 베이스 조성물의 경도는 32(30℃)이고, 안정성은 양호했다.
〔처방예 4: 크림 조성물〕
배합성분 질량%
(1) 수첨 폴리데센 60.000
(2) 바세린 1.000
(3) 이소스테아르산 0.100
(4) 메틸실록산 그물상 중합체 1.000
(5) BEA 60/HEAA 40 6.000
(6) 정제수 15.437
(7) EDTA-3Na 0.100
(8) 시트르산 0.020
(9) 시트르산 나트륨 0.080
(10) 피로 아황산 나트륨 0.003
(11) 메타인산 나트륨 0.010
(12) 알부틴 3.000
(13) 트라넥삼산 1.000
(14) 진한 글리세린 3.000
(15) 디프로필렌글리콜 3.000
(16) 폴리에틸렌글리콜 1000 1.000
(17) 에탄올 5.000
(18) 메틸파라벤 0.150
(19)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0.100
<제조방법>
1: 성분 (1)~(5)를 95℃에서 혼합 분산시킨다.
2: 성분 (6)~(19)를 70℃에서 혼합 분산시킨다.
3: 2를 1에 서서히 첨가하고 교반 혼합시킨다.
얻어진 크림은 W/O형이고 점도는 27,000mPa·s(30℃)이며 안정성은 양호했다.

Claims (2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소수성 모노머:친수성 모노머가 4:6~7:3(몰비)인,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112022041056396-pct00030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의 16~22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임)
    (화학식 2)
    Figure 112022041056396-pct00031

    (상기 화학식 2에서, R3는 글리세릴기 또는 -(C3H6O)nH로 표시되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기(단, n은 2~10의 정수)이고, R4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임)
  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가, (메타)아크릴산 세틸, (메타)아크릴산 스테아릴, (메타)아크릴산 베헤닐로부터 선택되는, 공중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가 메타크릴산 글리세릴, 아크릴산 PPG-6로부터 선택되는, 공중합체.
  4. 제 3 항에 있어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는 메타크릴산 글리세릴인, 공중합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수성 모노머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친수성 모노머가, 구성 모노머 중 90중량% 이상인, 공중합체.
  6. 제 5 항에 기재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유성 겔화제.
  7. 제 6 항에 기재된 유성 겔화제를 배합하는, 유성 겔상 조성물.
  8. 제 7 항에 기재된 유성 겔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성 화장료.
  9. 제 7 항에 기재된 유성 겔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77016668A 2014-12-19 2015-10-27 공중합체 및 유성 겔화제 Active KR102462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7488 2014-12-19
JPJP-P-2014-257488 2014-12-19
PCT/JP2015/080236 WO2016098456A1 (ja) 2014-12-19 2015-10-27 共重合体および油性ゲル化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876A KR20170095876A (ko) 2017-08-23
KR102462218B1 true KR102462218B1 (ko) 2022-11-01

Family

ID=5612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668A Active KR102462218B1 (ko) 2014-12-19 2015-10-27 공중합체 및 유성 겔화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758471B2 (ko)
EP (1) EP3235839B8 (ko)
JP (1) JP6807751B2 (ko)
KR (1) KR102462218B1 (ko)
CN (1) CN107250181B (ko)
SG (1) SG11201705034RA (ko)
TW (1) TWI712622B (ko)
WO (1) WO2016098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71207A1 (en) 2015-06-17 2018-06-21 Clariant International Ltd. Water-Soluble Or Water-Swellable Polymers As Water Loss Reducers In Cement Slurries
ES2867526T3 (es) 2016-12-12 2021-10-20 Clariant Int Ltd Uso de un polímero bioderivado en una composición cosmética, dermatológica o farmacéutica
US11384186B2 (en) 2016-12-12 2022-07-12 Clariant International Ltd Polymer comprising certain level of bio-based carbon
EP3554644B1 (en) 2016-12-15 2025-03-19 Clariant International Ltd Water-soluble and/or water-swellable hybrid polymer
ES3017507T3 (en) 2016-12-15 2025-05-13 Clariant Int Ltd Water-soluble and/or water-swellable hybrid polymer
WO2018108664A1 (en) 2016-12-15 2018-06-21 Clariant International Ltd Water-soluble and/or water-swellable hybrid polymer
ES3031465T3 (en) 2016-12-15 2025-07-09 Clariant Int Ltd Water-soluble and/or water-swellable hybrid polymer
JP6908915B2 (ja) * 2017-03-06 2021-07-28 互応化学工業株式会社 毛髪化粧料、及び多剤式ヘアトリートメント
FR3073408B1 (fr) * 2017-11-15 2019-10-11 L'oreal Compositions comprenant au moins un polymere acrylique et au moins un filtre organique insoluble
FR3073400B1 (fr) * 2017-11-15 2024-08-09 Oreal Emulsion cosmetique contenant un tensioactif gemine et un polymere lipophile
FR3073411B1 (fr) * 2017-11-15 2024-08-02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e phase grasse, un polymere lipophile et une huile hydrocarbonee volatile
FR3073406B1 (fr) * 2017-11-15 2019-10-11 L'oreal Composition comprenant des particules photoniques, un filtre uv et un polymere acrylique
FR3073409B1 (fr) * 2017-11-15 2019-10-11 L'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mprenant une merocyanine et un polymere acrylique.
FR3073407B1 (fr) 2017-11-15 2019-10-11 L'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filtre uv, un polymere acrylique et un ester de dextrine et d’acide gras
FR3073410B1 (fr) * 2017-11-15 2019-10-11 L'oreal Emulsion comprenant un copolymere acrylique anionique et un polymere lipophile
FR3073405B1 (fr) * 2017-11-15 2020-06-19 L'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filtre uv, un copolymere acrylique et un copolymere d’acide acrylamido methylpropane sulfonique
JP7316604B2 (ja) 2018-05-23 2023-07-28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料用オイル増粘剤及び油溶性共重合体
US12090218B2 (en) 2019-06-14 2024-09-17 Shiseido Company, Ltd. Water-in-oil emulsion composition
JP7610365B2 (ja) * 2020-07-10 2025-01-08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化粧料用基剤及び該基剤を含む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7574742B2 (ja) * 2021-05-28 2024-10-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オイルゲル化剤及び化粧料
JP7626045B2 (ja) 2021-12-07 2025-02-0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オイルゲル化剤及び化粧料
FR3143344A1 (fr) * 2022-12-16 2024-06-21 L'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filtre UV, un polymère lipophile convenablement sélectionné, et un carraghéna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9539A (ja) * 1999-09-17 2003-03-11 ランデ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油含有組成物用の高分子増粘剤
WO2003028766A1 (en) * 2001-09-28 2003-04-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in-oil emulsions comprising vinyl polymers carrying acidic groups in side chains,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12233178A (ja) * 2011-04-22 2012-11-29 Mitsubishi Chemicals Corp 共重合体、化粧料組成物及び毛髪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813B2 (ja) * 1987-06-11 1995-03-22 東ソー株式会社 高分子色材
JP2923125B2 (ja) * 1992-05-26 1999-07-26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塗料組成物
US6831116B2 (en) * 1995-03-07 2004-12-14 Landec Corporation Polymeric modifying agents
AU5183496A (en) * 1995-03-07 1996-09-23 Landec Corporation Polymeric composition
JPH0930926A (ja) * 1995-07-20 1997-02-04 Kanebo Ltd 高分子粉体・粉体混合物および配合化粧料
JP3574564B2 (ja) 1998-05-08 2004-10-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及び液晶表示素子
FR2824263B1 (fr) * 2001-05-04 2005-11-18 Oreal Composition a phase grasse liquide gelifiee par un polymere semi-cristallin, contenant une pate particulaire
EP1332753A3 (fr) 2002-01-24 2005-01-26 L'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gélifiée par un polymère semi-cristallin
JP5567760B2 (ja) 2006-11-28 2014-08-06 横関油脂工業株式会社 油性ゲル化剤、それを用いて得られたゲル組成物及びそれらの用途
JP2011079871A (ja) 2009-10-02 2011-04-21 Kao Corp 油性潤滑剤
JP2016503792A (ja) 2012-12-20 2016-02-08 ルブリゾル アドバンス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ポリマー増粘薬/安定剤を含有するカルボキシエチルアクリレートおよびケラチン性基材上のシリコーン沈着の喪失を緩和する方法
JP2015131767A (ja) 2013-12-10 2015-07-23 花王株式会社 乳化化粧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9539A (ja) * 1999-09-17 2003-03-11 ランデ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油含有組成物用の高分子増粘剤
WO2003028766A1 (en) * 2001-09-28 2003-04-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in-oil emulsions comprising vinyl polymers carrying acidic groups in side chains,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12233178A (ja) * 2011-04-22 2012-11-29 Mitsubishi Chemicals Corp 共重合体、化粧料組成物及び毛髪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07751B2 (ja) 2021-01-06
CN107250181B (zh) 2020-02-11
KR20170095876A (ko) 2017-08-23
JPWO2016098456A1 (ja) 2017-11-09
EP3235839B1 (en) 2020-05-06
US20170348219A1 (en) 2017-12-07
EP3235839B8 (en) 2020-07-15
SG11201705034RA (en) 2017-07-28
US10758471B2 (en) 2020-09-01
CN107250181A (zh) 2017-10-13
EP3235839A4 (en) 2018-07-11
EP3235839A1 (en) 2017-10-25
WO2016098456A1 (ja) 2016-06-23
TWI712622B (zh) 2020-12-11
TW201634497A (zh) 201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218B1 (ko) 공중합체 및 유성 겔화제
JP7562599B2 (ja) パーソナルケア処方においてシリコーン流体の代わりに用いられる天然シリコーン代替物
JP6625539B2 (ja) 非水性媒体中のポリマー粒子の分散体及びその美容的使用
US8765109B2 (en) Cosmetics having excellent usability and stability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DE60126649T2 (de) Kosme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heteropolymere und eine feste substanz und anwendungsverfahren
EP3047845B1 (de) Silikongele für insbesondere kosmetische Anwendungen
BRPI0702106B1 (pt) Polímero seqüenciado, composição cosmética, processo cosmético de maquilagem ou de cuidado das matérias queratínicas, uso de um polímero e processo de preparação de um polímero
US20060216257A1 (en) Makeup and/or care kit providing volumizing effect
US20180036221A1 (en) Low-stringiness thickener and cosmetic material admixed with said thickener
JP2004522833A (ja) 水溶性単位及びlcstを有する単位を含むポリマーによって、4から50℃の温度で安定化された分散物
JP2024545431A (ja) 水溶性および/または水膨潤性ハイブリッドポリマー
WO2021048577A1 (en) Oil-in- water emulsion gel composition
JP2013538835A (ja) ワセリ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
JP2020037516A (ja) 整髪料組成物
HK1245307A1 (en) Copolymer and oily gelling agent
CN110167520B (zh) 整发剂组合物
HK1245307B (zh) 共聚物和油性凝膠化劑
JP2021155386A (ja) 油性化粧料
JP5073210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EP4076337A1 (en) Dialiphatic ketone mixtures, compositions comprising same and use thereof
JP2004168664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WO2019064852A1 (ja) 整髪剤組成物
JP2024109107A (ja) 毛髪化粧料
BR112020026499B1 (pt) Composição, método para o cuidado da pele e uso da composição
KR20150063556A (ko) 화장료 조성물 중의 공중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