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1800B1 -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800B1
KR102461800B1 KR1020170159478A KR20170159478A KR102461800B1 KR 102461800 B1 KR102461800 B1 KR 102461800B1 KR 1020170159478 A KR1020170159478 A KR 1020170159478A KR 20170159478 A KR20170159478 A KR 20170159478A KR 102461800 B1 KR102461800 B1 KR 102461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ar pattern
liquid crystal
linear
pixel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647A (ko
Inventor
박경혜
박준형
손정호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800B1/ko
Priority to US16/001,762 priority patent/US10705390B2/en
Publication of KR2019006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8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6Reflective polariz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7Illumination with ultraviolet light; Luminescent elements or materials associated to the cel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1Polaris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polariser or analyser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8Wire-grid 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4Illuminating devices using photoluminescence, e.g. phosphors illuminated by UV or blue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11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organic films, e.g. polymeric films
    • G02F1/133723Polyimide, polyamide-im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46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for high pretilt angles, i.e. higher than 15 degre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2Colour filters incorporated i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색 변환 기판 및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의 투과축을 갖는 제1 편광 소자, 상기 제1 편광 소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투과축을 갖는 제2 편광 소자, 상기 제1 편광 소자와 상기 제2 편광 소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및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제2 편광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선형 패턴층으로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선형 패턴들을 포함하는 선형 패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COLOR CONVERSION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간에 형성된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층 내 액정을 재배열함으로써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편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그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두 개의 편광 소자와 함께 광원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광 셔터(shutt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화소 별로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액정 표시 장치의 크기가 대형화됨에 따라 보다 우수한 측면 시인성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측면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도메인 분할 수단을 갖는 화소 전극을 이용하여 하나의 화소 내에 액정의 배향 방향이 부분적으로 상이한 복수의 도메인을 형성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화소 내에 복수의 도메인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측면 시인성 개선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측면 시인성이 보다 개선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측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색 변환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방향으로의 투과축을 갖는 제1 편광 소자, 상기 제1 편광 소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투과축을 갖는 제2 편광 소자, 상기 제1 편광 소자와 상기 제2 편광 소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및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제2 편광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선형 패턴층으로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선형 패턴들을 포함하는 선형 패턴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광원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제2 편광 소자는 상기 제1 편광 소자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색을 변환하는 색 변환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선형 패턴층과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색 변환 패턴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색을 표시하는 제1 화소, 및 상기 제1 색 보다 긴 피크 파장을 갖는 제2 색을 표시하며 상기 제1 화소의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제2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의 경계에 배치된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선형 패턴층과 상기 액정층은 상기 차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차광 부재는 부분적으로 상기 선형 패턴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가지고, 상기 장변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단변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 상기 선형 패턴층 측으로 입사된 광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상기 선형 패턴의 폭은 상기 제2 편광 소자 측으로부터 상기 액정층 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또, 상기 선형 패턴의 최대 폭에 대한 상기 선형 패턴들 간의 이격 거리의 비는 0.5 이상 2.0 이하일 수 있다.
또, 상기 선형 패턴의 최대 폭에 대한 상기 선형 패턴의 높이의 비는 0.5 이상 1.5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경사를 갖는 상기 선형 패턴의 측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45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의 셀 갭에 대한 상기 선형 패턴의 최대 폭의 비는 0.5 이상 2.0 이하이고, 상기 액정층은 초기 배향 상태에서 수직 배향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선형 패턴의 최대 폭은 상기 액정층의 셀 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편광 소자와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편광 소자와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선형 패턴층은,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들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들과 맞닿는 오버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패턴의 굴절률과 상기 오버코팅층의 굴절률의 차이는 0.15 이상 0.5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 소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와이어 패턴들을 포함하는 와이어 그리드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선형 패턴들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와이어 패턴들 간의 이격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또,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광원 유닛, 및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색을 변환하는 색 변환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제2 편광 소자는 상기 제1 편광 소자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편광 소자와 상기 선형 패턴층은 상기 색 변환 패턴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색을 표시하는 제1 화소, 및 상기 제1 색 보다 긴 피크 파장을 갖는 제2 색을 표시하는 제2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은, 상기 제1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1 선형 패턴, 및 상기 제2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2 선형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선형 패턴의 크기는 상기 제1 선형 패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화소 및 제3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은, 상기 제1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1 선형 패턴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의 일측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타측의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제1 선형 패턴, 및 상기 제3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2 선형 패턴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일측의 제3 측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타측의 제4 측면을 포함하는 제2 선형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의 경사각과 상기 제4 측면의 경사각은 동일하고, 상기 제2 측면의 경사각과 상기 제3 측면의 경사각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화소 및 제4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는 상기 제4 화소에 비해 더 가장자리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은, 상기 제1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1 선형 패턴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의 일측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타측의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제1 선형 패턴, 및 상기 제4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2 선형 패턴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일측의 제3 측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타측의 제4 측면을 포함하는 제2 선형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의 경사각은 상기 제3 측면의 경사각보다 작고, 상기 제2 측면의 경사각은 상기 제4 측면의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 변환 기판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선형 패턴으로서,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선형 패턴,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 상에 직접 배치된 유기층, 및 상기 유기층 상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로서, 평면상 격자 형상인 차광 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선형 패턴들을 포함하는 선형 패턴층을 이용하여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확산시킴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측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광 확산 기능을 갖는 선형 패턴층을 액정층과 편광 소자 사이에 배치함에도 불구하고 투과광의 편광이 해소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표시 패널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임의의 화소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형 패턴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3은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테스트 셀의 시야각 특성 그래프이다.
도 14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테스트 셀의 시야각 특성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는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일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 유닛(BLU)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1) 및 표시 패널(DP)은 평면상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의 각 꼭지점 부근은 부분적으로 비스듬한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모따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변 방향은 제1 방향(X)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단변 방향은 제2 방향(Y)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이라 함은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을 의미한다.
표시 패널(DP)에는 평면상 대략 매트릭스 배열된 복수의 화소들(PX1, PX2)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화소(pixel)'는 평면 시점에서 색 표시를 위해 표시 영역이 구획되어 정의되는 단일 영역을 의미하며, 하나의 화소는 미리 정해진 하나의 기본색을 표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화소는 다른 화소와 서로 독립적으로 색을 표현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일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1, PX2)은 제1 색을 표시하는 제1 화소(PX1) 및 상기 제1 색보다 긴 피크 파장을 갖는 제2 색을 표시하는 제2 화소(PX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화소(PX1)와 제2 화소(PX2)는 반복 단위의 적어도 일부를 이루고 상기 반복 단위는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즉, 제2 화소(PX2)는 제1 화소(PX1)의 제1 방향(X)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제1 화소(PX1)는 제2 방향(Y)을 따라 반복 배치되고, 제2 화소(PX2) 또한 제2 방향(Y)을 따라 반복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화소(PX1)가 표시하는 상기 제1 색은 약 430nm 내지 47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이고, 제2 화소(PX2)가 표시하는 상기 제2 색은 약 530nm 내지 57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에서, 상기 제2 색은 약 610nm 내지 650nm 범위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광원 유닛(BLU)은 표시 패널(DP)의 하측에 배치되어 특정 파장을 갖는 광을 표시 패널(DP) 측으로 출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광원 유닛(BLU)은 광을 직접적으로 방출하는 광원(light source) 및 상기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을 가이드하여 표시 패널(DP) 측으로 출사시키는 도광판(미도시)을 포함하는 엣지형 광원 유닛일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의 재료는 광 투과율이 높은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글라스(glass) 재료, 석영(quartz) 재료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 유닛(BLU)은 표시 패널(DP)과 제3 방향(Z)으로 중첩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는 직하형 광원 유닛일 수도 있다.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D) 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청색 파장 대역, 녹색 파장 대역 및 적색 파장 대역을 모두 포함하는 백색의 광을 방출하거나, 또는 약 430nm 내지 470nm 범위에서 단일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DP)과 광원 유닛(BLU)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광학 시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시트는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반사형)편광 시트, 렌티큘러 렌즈 시트, 마이크로 렌즈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시트는 광원 유닛(BLU)으로부터 제공되어 표시 패널(DP) 측으로 진행하는 광의 광학 특성, 예컨대 집광, 확산, 산란 또는 편광 특성을 변조하여 액정 표시 장치(1)의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더 참조하여 표시 패널(DP)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임의의 화소들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제1 화소(PX1) 및 제1 화소(PX1)의 제1 방향(X) 일측에 위치하는 제2 화소(PX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형 패턴층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하부 기판(11), 하부 기판(11)과 대향하는 상부 기판(21)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3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30)은 하부 기판(11)과 상부 기판(21) 및 이들을 합착시키는 실링 부재(미도시)에 의해 밀봉된 상태일 수 있다. 광원 유닛(BLU)이 제공하는 광은 하부 기판(11), 액정층(30) 및 상부 기판(21)을 순차적으로 투과하여 표시 장치(1)의 영상 표시에 기여할 수 있다.
우선 하부 기판(11)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부 기판(11)은 제1 베이스(110), 스위칭 소자(200), 화소 전극(810) 및 하부 편광 소자(610)를 포함하고, 색 변환 패턴층(301)을 더 포함하는 색 변환 기판일 수 있다.
제1 베이스(110)는 투명한 절연 기판, 또는 투명한 절연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110)는 글라스 재료, 석영 재료 또는 투광성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110)는 가요성을 가지고 액정 표시 장치(1)는 곡면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제1 베이스(110)의 일면(도 2 기준 상면) 상에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2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각 스위칭 소자(200)는 각 화소들(PX1, PX2) 마다 배치되어 후술할 화소 전극(810)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칭 소자(200)는 게이트(210), 게이트(210) 상에 배치된 액티브층(220), 액티브층(220) 상에서 서로 이격 배치된 드레인(230)과 소스(240)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어 단자(예컨대, 게이트(210))는 게이트 배선(G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제공받고, 입력 단자(예컨대, 드레인(230))는 데이터 배선(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제공받으며, 출력 단자(예컨대, 소스(240))는 화소 전극(8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액티브층(220)은 비정질 규소, 다결정 규소 또는 단결정 규소 등의 규소계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산화물 반도체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220)은 스위칭 소자(200)의 채널 역할을 하며, 게이트(21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채널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200) 상에는 색 변환 패턴층(301)이 배치될 수 있다. 색 변환 패턴층(301)은 제1 화소(PX1)에 배치되는 제1 색 변환 패턴(311) 및 제2 화소(PX2)에 배치되는 제2 색 변환 패턴(3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색 변환 패턴(311) 및 제2 색 변환 패턴(321)은 투과광의 색을 입사광, 예컨대 광원 유닛(BLU)으로부터 표시 패널(DP) 측으로 제공되어 제1 색 변환 패턴(311)과 제2 색 변환 패턴(321) 측으로 입사된 광과 상이한 색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 변환 패턴(311) 또는 제2 색 변환 패턴(321)을 투과한 후의 광은 미리 정해진 특정 파장 대역의 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색 변환 패턴(311)과 제2 색 변환 패턴(321)은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는 차단하고, 다른 특정 파장 대역의 광을 투과시켜 일부 파장 대역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파장-선택적 광학 필터일 수 있다.
제1 색 변환 패턴(311)은 광원 유닛(BLU)이 제공하는 광 중에서 청색의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 파장 대역의 광을 투과시키고, 청색 보다 긴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 및/또는 적색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 변환 패턴(311)은 녹색 및/또는 적색 파장 대역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컬러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컬러 필터는 베이스 수지 및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안료(pigment) 또는 염료(dye) 등의 색재(colorant)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제2 색 변환 패턴(321)은 광원 유닛(BLU)이 제공하는 광 중에서 녹색의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 파장 대역의 광을 투과시키고, 녹색 보다 짧은 피크 파장을 갖는 청색 및/또는 녹색 보다 긴 피크 파장을 갖는 적색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색 변환 패턴(321)은 청색 및/또는 적색 파장 대역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컬러 필터일 수 있다.
광원 유닛(BLU)으로부터 시청자(미도시)에 이르는 광 경로 내에서, 청색을 표시하는 제1 화소(PX1)에 투과광을 청색으로 변환하는 제1 색 변환 패턴(311)을 배치하고 녹색을 표시하는 제2 화소(PX2)에 투과광을 녹색으로 변환하는 제2 색 변환 패턴(321)을 배치함으로써 화소들(PX1, PX2)은 각각 서로 상이한 색을 표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액정 표시 장치(1)는 색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색 변환 패턴층(301) 상에는 중간층(410)이 배치될 수 있다. 중간층(410)은 화소(PX1, PX2)의 구분 없이 배치되어 그 상부의 구성요소와 하부의 구성요소를 서로 절연시키고, 및/또는 제1 베이스(110) 상에 배치된 스위칭 소자(200), 전극들(미도시), 게이트 배선(GL)과 데이터 배선(DL)을 포함하는 배선들이 야기하는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중간층(410)은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층(410)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층을 포함하거나,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유기층과 무기층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410) 상에는 복수의 화소 전극(810)들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전극(810)은 후술할 공통 전극(820)과 함께 액정층(30)에 전계를 형성하는 전계 생성 전극일 수 있다. 각 화소들(PX1, PX2)마다 배치된 화소 전극(810)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되며 서로 다른 구동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810)은 중간층(410) 및 색 변환 패턴층(301)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스위칭 소자(200)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810)과 공통 전극(820)이 형성하는 전계는 해당 화소 내의 액정(35)들의 거동을 제어하고 액정(35)을 재배열할 수 있다. 화소 전극(810)은 투명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한 도전성 재료의 예로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n2O3(Indium(Ⅲ) Oxide), IGO(Indium Gallium Oxide) 또는 AZO(Aluminum Zinc Oxide) 등을 들 수 있다. 도면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화소 전극(810)은 평면상 도메인 분할 수단, 예를 들어 미세 슬릿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화소 전극(810) 상에는 제1 액정 배향층(9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액정 배향층(910)은 액정층(30) 내 인접한 액정(35)의 초기 배향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액정의 초기 배향'이라 함은 액정층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액정 배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액정 배향층(910)은 주쇄의 반복 단위 내에 이미드기를 가지고, 측쇄로서 도입된 수직 배향기를 갖는 수직 배향층일 수 있다.
한편, 하부 편광 소자(610)는 그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 성분은 투과시키고, 상기 투과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 성분은 부분적으로 투과를 차단함으로써, 무편광(unpolarized) 상태의 입사광을 특정한 편광 상태를 갖는 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하부 편광 소자(610)는 편광능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편광 소자(610)는 투과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 성분을 흡수하는 흡수형 편광 소자이거나, 또는 투과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 성분을 반사하는 반사형 편광 소자일 수 있다.
하부 편광 소자(610)는 광원 유닛(BLU)과 액정층(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부 편광 소자(610)는 제1 베이스(110)의 타면(도 2 기준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편광 소자(610)는 제1 베이스(110)의 상기 타면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접착층(미도시)을 개재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하부 편광 소자(610)는 제1 베이스(11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편광 소자(610)의 투과축은 제1 방향(X)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편광 소자(610)는 표시 패널(DP)의 장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 성분은 투과시키고, 표시 패널(DP)의 단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 성분은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하부 편광 소자(610)가 제1 베이스(110)의 타면 상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편광 소자(610)는 광원 유닛(BLU)과 액정층(30) 사이의 임의의 위치, 예컨대 제1 베이스(110)와 스위칭 소자(200) 사이, 또는 스위칭 소자(200)와 색 변환 패턴층(301) 사이, 또는 색 변환 패턴층(301)과 중간층(41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액정층(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액정층(30)은 초기 배향된 복수의 액정(35)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액정(liquid crystal)'은 액정 특성을 갖는 단분자 또는 그 단분자들의 집합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정(35)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고 초기 배향 상태에서 그 장축이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액정(35)은 초기 배향 상태에서 소정의 프리 틸트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액정(35)의 장축이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약 80도 이상, 또는 약 85도 이상일 수 있다. 액정(35)의 초기 배향은 제1 액정 배향층(910) 및 후술할 제2 액정 배향층(92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액정층(30)은 하부 편광 소자(610)와 후술할 상부 편광 소자(6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전극(810)과 공통 전극(820)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면 액정(35)은 특정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액정층(30)을 대략 제3 방향(Z)으로 투과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액정층(30)은 하부 편광 소자(610) 및 상부 편광 소자(621)와 함께 광원 유닛(BLU)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투과량을 조절하는 광 셔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액정층(30)의 셀 갭(G)은 약 2.5㎛ 내지 3.5㎛, 또는 약 2.9㎛ 내지 3.3㎛일 수 있다. 액정층(30)의 셀 갭(G)은 유효한 광 투과가 일어나는 영역에서의 액정층(30)의 두께로 정의될 수 있다. 액정층(30)이 실질적으로 수직 배향된 액정(35)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정층(30)의 셀 갭(G)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액정(35)들의 재배열에 따른 광학 이방 특성, 예컨대 편광 상태 조절 특성이 우수하고 높은 광 투과율을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기판(2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 기판(21)은 제2 베이스(120), 공통 전극(820) 및 상부 편광 소자(621)를 포함하고, 선형 패턴층(5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120)는 투명한 기판, 또는 투명한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120)는 제1 베이스(110)와 같은 글라스 재료, 석영 재료 또는 투광성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120)는 가요성을 가지고 액정 표시 장치(1)는 곡면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제2 베이스(120)의 일면(도 2 기준 하면) 상에는 선형 패턴층(501)이 배치될 수 있다. 선형 패턴층(501)은 하부 편광 소자(610)와 후술할 상부 편광 소자(621) 사이, 구체적으로 액정층(30)과 상부 편광 소자(6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형 패턴층(501)은 복수의 선형 패턴(511)들을 포함하고, 선형 패턴(511) 상에 배치된 제1 오버코팅층(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버코팅층(520)은 복수의 선형 패턴(511)들 상에 직접 배치되어 선형 패턴(511)과 제1 오버코팅층(520) 사이에 광학 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선형 패턴(511)과 제1 오버코팅층(520)은 각각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 투광성 유기 재료 또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패턴(511)은 다공성 실록산계 수지, 다공성 실세스퀴옥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틸렌계 수지, 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스티렌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 다공성 규소, 산화규소 또는 질화규소 등의 비금속성 무기 재료, 또는 마그네시아(MgO) 또는 ITO 등의 금속 재료를 포함하고, 제1 오버코팅층(520)은 다공성 실록산계 수지, 다공성 실세스퀴옥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틸렌계 수지, 카보네이트계 수지 또는 스티렌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층이되, 선형 패턴(511)의 굴절률과 제1 오버코팅층(520)의 굴절률 차이는 약 0.10 이상, 또는 약 0.11 이상, 또는 약 0.12 이상, 또는 약 0.13 이상, 또는 약 0.14 이상, 또는 약 0.15 이상, 또는 약 0.20 이상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선형 패턴(511)의 굴절률은 약 1.55 이상 1.8 이하이고, 제1 오버코팅층(520)의 굴절률은 약 1.3 이상 1.55 이하일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이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몇몇 실시예에서, 선형 패턴(511)은 감광성 재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선형 패턴(511)의 굴절률과 제1 오버코팅층(520)의 굴절률 차이는 0.5 미만일 수 있다. 서로 맞닿아 광학 계면을 형성하는 선형 패턴(511)과 제1 오버코팅층(520)의 굴절률 차이가 0.5 이상이면 상기 광학 계면에서 전반사가 발생하는 임계각이 감소하여 전반사되는 광량이 지나치게 증가함으로써 표시 품질이 급격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선형 패턴(511)에 의해 투과광의 편광이 해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오버코팅층(520)은 아크릴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하고 선형 패턴(511)은 아크릴계 수지에 비해 높은 굴절률을 갖는 마그네시아 등의 금속 재료를 포함하거나, 제1 오버코팅층(520)은 다공성 규소를 포함하고 선형 패턴(511)은 다공성 규소에 비해 높은 굴절률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오버코팅층(520)의 굴절률은 선형 패턴(511)의 굴절률보다 클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오버코팅층(520)의 굴절률은 약 1.55 이상 1.8 이하이고, 선형 패턴(511)의 굴절률은 약 1.3 이상 1.55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선형 패턴(511)의 굴절률과 제1 오버코팅층(520)의 굴절률 차이는 약 0.10 이상, 또는 약 0.11 이상, 또는 약 0.12 이상, 또는 약 0.13 이상, 또는 약 0.14 이상, 또는 약 0.15 이상, 또는 약 0.20 이상이고, 선형 패턴(511)의 굴절률과 제1 오버코팅층(520)의 굴절률 차이는 0.5 미만일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선형 패턴(511)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복수의 선형 패턴(511)들은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패턴(511)은 후술할 상부 편광 소자(621)의 투과축(예컨대, 제2 방향(Y))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광원 유닛(BLU)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이 하부 편광 소자(610), 액정층(30) 및 상부 편광 소자(621)를 순차적으로 투과하는 경우, 선형 패턴(511)의 연장 방향과 상부 편광 소자(621)의 투과축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액정층(30) 내 액정(35)의 재배열에 의해 제어된 편광의 방향자가 선형 패턴(511)에 의해 달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의 폭은 제2 베이스(120) 측으로부터 액정층(30) 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패턴(511)은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도 3은 선형 패턴(511)을 제1 방향(X)으로 절개한 단면에서, 선형 패턴(511)의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상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선형 패턴(511)의 단면은 연장 방향(즉, 제2 방향(Y))을 따라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의 폭이 제2 베이스(120) 측으로부터 액정층(30) 측으로 갈수록 감소함에 따라 선형 패턴(511)의 측면은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이 부분적으로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선형 패턴(511)과 제1 오버코팅층(520) 사이에 경사진 광학 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선형 패턴층(501) 측으로 입사된 광을 부분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선형 패턴(511)의 측면의 경사각(θ)은 약 30도 이상 90도 미만, 또는 약 40도 이상 90도 미만, 또는 약 45도 이상 90도 미만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선형 패턴의 경사각'은 선형 패턴(511)을 제1 방향(X)으로 절개한 단면에서, 최대 폭을 갖는 선형 패턴(511)의 상면과 경사를 갖는 선형 패턴(511)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선형 패턴(511)의 경사각(θ)이 45도 이상일 경우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과 선형 패턴(511)의 높이(H) 간에 소정의 비율을 형성할 수 있어 선형 패턴층(501)에 광 확산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의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폭(W1), 예컨대 선형 패턴(511)의 상면의 폭(도 3 기준)의 하한은 약 1.5㎛일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을 입사광의 파장보다 충분히 크도록, 예를 들어 입사광 파장의 두 배 이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액정층(30)에 의해 부여된 투과광의 편광 상태가 선형 패턴(511)에 의해 해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의 상한은 약 5.0㎛ 일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을 5.0㎛ 이하로 함으로써 선형 패턴층(501)을 투과한 후의 광이 직진광 성분에 비해 확산광 성분을 더 많이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을 5.0㎛ 이하로 함으로써 선형 패턴층(501)이 상대적으로 집광 기능보다 확산 기능에 충실하도록 할 수 있다.
인접한 선형 패턴(511)들의 제1 방향(X)으로의 이격 거리(D1)는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에 대한 선형 패턴(511)들의 이격 거리(D1)의 비(D1/W1)는 약 0.5 이상 2.0 이하, 또는 약 0.5 이상 1.5 이하, 또는 약 0.5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에 대한 이격 거리(D1)의 비(D1/W1)가 0.5 이상일 경우 표시 패널(DP)을 투과하는 광의 실질적인 휘도 저하 없이 선형 패턴층(501)에 소정의 확산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에 대한 이격 거리(D1)의 비(D1/W1)가 너무 크면 선형 패턴층(501)에 의한 확산 특성이 미비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인접한 선형 패턴(511)들의 제1 방향(X)으로의 이격 거리(D1)의 하한은 약 0.8㎛이고, 선형 패턴(511)들의 이격 거리(D1)의 상한은 약 10.0㎛, 또는 약 9.0㎛, 또는 약 8.0㎛, 또는 약 7.0㎛, 또는 약 6.0㎛, 또는 약 5.0㎛일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의 제3 방향(Z)으로의 높이(H)는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에 대한 선형 패턴(511)의 높이(H)의 비(H/W1)는 약 0.5 이상 1.5 이하, 또는 약 0.5 이상 1.4 이하, 또는 약 0.5 이상 1.3 이하, 또는 약 0.5 이상 1.2 이하일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에 대한 높이(H)의 비(H/W1)가 0.5 이상일 경우 선형 패턴(511)에 의해 투과광의 편광의 해소 없이 액정층(30)에 의해 제어된 편광의 방향자가 유지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선형 패턴(511)의 높이(H)의 하한은 약 0.75㎛, 또는 약 0.80㎛, 또는 약 0.90㎛, 또는 약 1.0㎛일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의 높이(H)를 입사광의 파장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액정층(30)에 의해 부여된 투과광의 편광 상태가 선형 패턴(511)에 의해 해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에 대한 높이(H)의 비(H/W1)가 1.5 보다 크면 선형 패턴층(501)을 투과한 후의 광이 액정 표시 장치(1)의 영상 표시에 온전히 기여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에 대한 높이(H)의 비(H/W1)가 1.5 보다 클 경우 선형 패턴층(501)과 제2 베이스(120) 사이의 광학 계면 등에서 투과광의 상당량이 전반사되어 표시 패널(DP)의 광 추출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서, 선형 패턴(511)의 높이(H)의 상한은 약 10.0㎛, 또는 약 9.0㎛, 또는 약 8.0㎛, 또는 약 7.0㎛, 또는 약 6.0㎛, 또는 약 5.0㎛일 수 있다.
한편,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은 액정층(30)의 셀 갭(G)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층(30)의 셀 갭(G)에 대한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의 비(W1/G)는 약 0.5 이상 2.0 이하, 또는 약 0.5 이상 1.9 이하, 또는 약 0.5 이상 1.8 이하, 또는 약 0.5 이상 1.7 이하, 또는 약 0.5 이상 1.6 이하, 또는 약 0.5 이상 1.5 이하일 수 있다.
셀 갭(G)에 대한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의 비(W1/G)가 0.5 이상이면, 액정층(30)을 이용하여 소정의 파장을 갖는 입사광의 편광 방향을 충분히 회전, 예컨대 약 90도 이하의 범위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의 편광 상태와 선형 패턴(511)이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셀 갭(G)에 대한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의 비(W1/G)가 1.5 보다 크면 혼색 불량 등이 발생하여 액정 표시 장치(1)의 표시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은 액정층(30)의 셀 갭(G)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액정 표시 장치(1)의 휘도와 측면 시인성은 모두 개선될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의 제1 방향(X)으로의 최소 폭(W2), 예컨대 선형 패턴(511)의 하면의 폭(도 3 기준)은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 보다 작을 수 있다. 선형 패턴(511)의 최소 폭(W2)은 선형 패턴(511)의 최대 폭(W1), 선형 패턴(511)의 높이(H) 및 선형 패턴(511)의 경사각(θ)과 소정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도 3은 선형 패턴(511)의 하면의 폭(W2)이 0 보다 크고 소정의 면적을 갖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선형 패턴(511)의 두 개의 경사면(측면)은 서로 교차하여 꼭지점을 이룰 수도 있다. 즉, 선형 패턴(511)의 최소 폭(W2)은 0일 수도 있다.
복수의 선형 패턴(511)들을 포함하는 선형 패턴층(501)은 그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방향(X) 측면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즉, 제2 방향(Y)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이격된 복수의 선형 패턴(511)들은 투과광을 그 이격 방향(즉, 제1 방향(X)) 측으로 확산시키는 양이 그 연장 방향(즉, 제2 방향(Y)) 측으로 확산시키는 양에 비해 현저하게 클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선형 패턴층(501)은 평면 상 일 방향으로의 확산 특성이 다른 방향으로의 확산 특성보다 큰 광학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1) 및 표시 패널(DP)이 제1 방향(X)으로의 장변 및 제2 방향(Y)으로의 단변을 갖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선형 패턴층(501)을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1)로부터 방출되어 영상 표시를 구현하는 광이 장축 방향으로 퍼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액정 표시 장치(1)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시청자가 인식하는 영상과 액정 표시 장치(1)를 장축 방향의 일측에 치우쳐 바라보는 시청자가 인식하는 영상의 휘도, 콘트라스트, 또는 색 좌표 등의 차이를 근소하게 하여 액정 표시 장치(1)의 상기 장축 방향에서의 측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반면, 영상 표시에 기여하는 광이 액정 표시 장치(1)의 상기 단축 방향으로 광이 퍼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직진광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휘도 저하 등의 불량 없이 선명한 영상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선형 패턴층(501) 상에는 차광 부재(430)가 배치될 수 있다. 차광 부재(430)는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부재(430)는 블랙 안료, 또는 블랙 염료 등의 차광 색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거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광 부재(430)는 인접한 화소들의 평면상 경계에 배치되어 이웃한 화소들 간의 혼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부재(430)는 각 화소들(PX1, PX2)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평면상 대략 격자 형상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을 제1 방향(X)을 따라 절개한 단면에서, 차광 부재(430)는 선형 패턴층(501)의 선형 패턴(511)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중첩'은 양 구성이 제3 방향(Z)으로 중첩하는 것을 의미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부재(430) 상에는 제2 오버코팅층(4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오버코팅층(450)은 제2 베이스(120) 상에 배치된 차광 부재(430) 등이 야기하는 단차를 최소화하는 평탄화층일 수 있다. 제2 오버코팅층(450)은 평탄화 특성과 광 투과율 특성이 우수한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카도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또는 실세스퀴옥산계 수지 등의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층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오버코팅층(450)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제2 오버코팅층(450) 상에는 공통 전극(82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전극(820)은 제2 오버코팅층(450)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전극(820)은 화소(PX1, PX2)의 구분 없이 제1 화소(PX1) 및 제2 화소(PX2)에 걸쳐 배치되며 공통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공통 전극(820)은 화소 전극(810)과 함께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공통 전극(820)은 화소 전극(810)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통 전극(820) 상에는 제2 액정 배향층(9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액정 배향층(920)은 액정층(30)내 인접한 액정(35)의 초기 배향을 유도할 수 있다. 제2 액정 배향층(920)은 제1 액정 배향층(910)과 마찬가지로 주쇄의 반복 단위 내에 이미드기를 가지고, 측쇄로서 도입된 수직 배향기를 갖는 수직 배향층일 수 있다.
한편, 상부 편광 소자(621)는 편광능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편광 소자(621)는 흡수형 편광 소자이거나, 또는 반사형 편광 소자일 수 있다. 상부 편광 소자(621)는 액정층(30)과 시청자(미도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 편광 소자(621)와 하부 편광 소자(610)는 액정층(3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 상부 편광 소자(621)와 액정층(30)은 선형 패턴층(501)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편광 소자(621)는 제2 베이스(120)의 타면(도 2 기준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편광 소자(621)는 제2 베이스(120)의 상기 타면 상에 직접 배치되거나, 또는 접착층(미도시)을 개재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상부 편광 소자(621)는 제2 베이스(120)와 이격될 수 있다. 상부 편광 소자(621)의 투과축은 제2 방향(Y)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편광 소자(621)는 선형 패턴(511)의 연장 방향(즉, 제2 방향(Y))과 평행한 편광 성분은 투과시키고, 선형 패턴(511)의 이격 방향(즉, 제1 방향(X))과 평행한 편광 성분은 차단할 수 있다.
도 2는 상부 편광 소자(621)가 제2 베이스(120)의 타면 상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편광 소자(621)는 시청자(미도시)와 선형 패턴층(501) 사이의 임의의 위치, 예컨대 제2 베이스(120)와 선형 패턴층(501) 사이, 또는 선형 패턴층(501)과 차광 부재(430) 사이, 또는 차광 부재(430)와 제2 오버코팅층(450) 사이, 또는 제2 오버코팅층(450)과 공통 전극(82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앞서 설명한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는 색 변환 패턴층(302)이 액정층(30)과 상부 편광 소자(621) 사이에 배치된 점이 도 2 등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와 상이한 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기판(22)은 제2 베이스(120), 공통 전극(820), 상부 편광 소자(621) 및 선형 패턴층(501)을 포함하고, 색 변환 패턴층(302)을 더 포함하는 색 변환 기판일 수 있다.
색 변환 패턴층(302)은 차광 부재(4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색 변환 패턴층(302)은 제1 화소(PX1)에 배치되는 제1 색 변환 패턴(312) 및 제2 화소(PX2)에 배치되는 제2 색 변환 패턴(3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 변환 패턴(312)은 녹색 및/또는 적색 파장 대역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컬러 필터이고, 제2 색 변환 패턴(322)은 청색 및/또는 적색 파장 대역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컬러 필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는 광원 유닛(BLU)에서 시청자(미도시)에 이르는 광 경로 상에서, 시야각 개선에 기여하는 선형 패턴층(501)을 차광 부재(430) 다음에 배치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2)의 표시 품질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즉, 선형 패턴층(501)과 광원 유닛(BLU)을 색 변환 패턴층(302) 및 차광 부재(430)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2)의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 변환 패턴층(302)을 이용하여 투과광이 특정 색을 갖도록 한 후 차광 부재(430)가 각 화소별로 투과하는 광의 혼색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다음 선형 패턴층(501)을 이용하여 투과광의 적어도 일부가 제1 방향(X)으로 퍼지도록 확산시킴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2)의 제1 방향(X), 예컨대 장축 방향에서의 측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색 변환 패턴층(302)과 공통 전극(820) 사이에는 제2 오버코팅층(45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3)는 선형 패턴층(503)의 선형 패턴(513)의 하면(도 5 기준)이 소정의 면적을 갖지 않고, 선형 패턴(513)의 양 측면이 교차하여 꼭지점을 이루는 점이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와 상이한 점이다.
예를 들어, 어느 선형 패턴(513)을 제1 방향(X)으로 절개한 단면에서, 선형 패턴(513)의 단면은 역삼각형일 수 있다. 즉, 선형 패턴(513)의 단면은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형 패턴(513)의 경사각, 최대 폭, 이격 거리, 높이 등은 도 3 등과 함께 설명한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4)의 선형 패턴층(504)의 복수의 선형 패턴들(514a, 514b)은 서로 크기가 상이한 제1 선형 패턴(514a)과 제2 선형 패턴(514b)을 포함하는 점이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3)와 상이한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화소(PX1)는 청색을 표시하는 화소이고, 제2 화소(PX2)는 청색보다 긴 피크 파장을 갖는 녹색을 표시하는 화소일 수 있다.
선형 패턴층(504)은 복수의 선형 패턴들(514a, 514b)을 포함하고, 복수의 선형 패턴들(514a, 514b)은 제1 화소(PX1) 내에 위치하는 제1 선형 패턴(514a) 및 제2 화소(PX2) 내에 위치하는 제2 선형 패턴(51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형 패턴(514a)과 제2 선형 패턴(514b)은 각각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복수의 제1 선형 패턴(514a)들은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선형 패턴(514b)들은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제1 선형 패턴(514a)과 제2 선형 패턴(514b)은 제1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선형 패턴(514a)과 제2 선형 패턴(514b)은 서로 동일한 투광성 유기 재료 또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고 제1 선형 패턴(514a)과 제2 선형 패턴(514b)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선형 패턴(514b)의 크기는 제1 선형 패턴(514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선형 패턴(514b)의 최대 폭(도 6 기준 상면)은 제1 선형 패턴(514a)의 최대 폭보다 크고, 및/또는 제2 선형 패턴(514b)의 제3 방향(Z)으로의 높이는 제1 선형 패턴(514a)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선형 패턴(514b)과 제1 선형 패턴(514a)의 최대 폭과 높이 중 어느 하나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다.
색 변환 패턴층(302)을 투과한 후에 선형 패턴층(504) 측으로 입사되는 광은 각 화소별로 상이한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소(PX1) 내에서 선형 패턴층(504)으로 입사되는 광은 청색 파장 대역을 가지고, 제2 화소(PX2) 내에서 선형 패턴층(504)으로 입사되는 광은 녹색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투과광이 선형 패턴층(504)에 의해 제1 방향(X)으로 확산되는 효율은 각 파장 대역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형 패턴(514a)에 의한 청색 파장 대역의 확산 효율은 제1 선형 패턴(514a)보다 크기가 큰 제2 선형 패턴(514b)에 의한 청색 파장 대역의 확산 효율보다 높을 수 있고, 제2 선형 패턴(514b)에 의한 녹색 파장 대역의 확산 효율은 제2 선형 패턴(514b)보다 크기가 작은 제1 선형 패턴(514a)에 의한 녹색 파장 대역의 확산 효율보다 높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선형 패턴들(514a, 514b)의 최대 폭과 높이 등을 투과광이 갖는 파장에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선형 패턴들(514a, 514b)에 의해 투과광의 편광 상태가 해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4)는 청색을 표시하는 제1 화소(PX1) 내의 제1 선형 패턴(514a)들은 녹색에 비해 청색에 대해 우수한 확산 효율을 가지고, 나아가 투과광의 편광을 해소하지 않는 크기를 갖도록 구성하고, 또 제2 화소(PX2) 내의 제2 선형 패턴(514b)들은 청색에 비해 녹색에 대해 우수한 확산 효율을 가지고, 나아가 투과광의 편광을 해소하지 않는 크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4)의 측면 시인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제1 선형 패턴(514a)과 제2 선형 패턴(514b) 각각의 경사각, 최대 폭, 이격 거리, 높이 등은 도 3 등과 함께 설명한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화소(PX1) 내의 제1 선형 패턴(514a)의 크기는 제2 화소(PX2) 내의 제2 선형 패턴(514b)의 크기보다 클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선형 패턴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5)의 선형 패턴층(505)은 일측면의 경사각과 타측면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선형 패턴들(515a, 515b)을 포함하되,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 제1 선형 패턴(515a)과 제2 선형 패턴(515b)을 포함하는 점이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3)와 상이한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화소(PX1)와 제3 화소(PX3)는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된 화소들일 수 있다. 즉, 제3 화소(PX3)는 제1 화소(PX1)의 제1 방향(X)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상 표시 패널(DP)의 중심을 지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가상의 선(이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화소(PX1)는 표시 패널(DP)의 좌반면에 위치하고 제3 화소(PX3)는 표시 패널(DP)의 우반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화소(PX1)와 제3 화소(PX3)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선형 패턴층(505)은 복수의 선형 패턴들(515a, 515b)을 포함하고, 복수의 선형 패턴들(515a, 515b)은 제1 화소(PX1) 내에 위치하는 제1 선형 패턴(515a) 및 제3 화소(PX3) 내에 위치하는 제2 선형 패턴(51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형 패턴(515a)과 제2 선형 패턴(515b)은 각각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복수의 제1 선형 패턴(515a)들은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선형 패턴(515b)들은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제1 선형 패턴(515a)과 제2 선형 패턴(515b)은 제1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선형 패턴(515a)은 제1 방향(X) 일측의 제1 측면(S1)과 제1 방향(X) 타측의 제2 측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측면(S1)과 제2 측면(S2)은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면(S1)이 이루는 제1 경사각(θ1)과 제2 측면(S2)이 이루는 제2 경사각(θ2)은 각각 30도 이상 90도 미만의 범위이고, 제2 경사각(θ2)은 제1 경사각(θ1)보다 클 수 있다.
또, 제2 선형 패턴(515b)은 제1 방향(X) 상기 일측의 제3 측면(S3)과 제1 방향(X) 상기 타측의 제4 측면(S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측면(S3)과 제4 측면(S4)은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측면(S3)이 이루는 제3 경사각(θ3)과 제4 측면(S4)이 이루는 제4 경사각(θ4)은 각각 30도 이상 90도 미만의 범위이고, 제3 경사각(θ3)은 제4 경사각(θ4)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선형 패턴(515a)의 제1 경사각(θ1)은 제2 선형 패턴(515b)의 제4 경사각(θ4)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1 선형 패턴(515a)의 제2 경사각(θ2)은 제2 선형 패턴(515b)의 제3 경사각(θ3)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화소(PX1) 내의 제1 선형 패턴(515a)과 제3 화소(PX3) 내의 제2 선형 패턴(515b)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선형 패턴(515a)과 제2 선형 패턴(515b)을 포함하는 선형 패턴층(505)은 투과광을 제1 방향(X)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또, 일측면의 경사각과 타측면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제1 선형 패턴(515a) 또는 제2 선형 패턴(515b)은 확산된 투과광이 제1 방향(X) 일측으로 진행하는 정도와 제1 방향(X) 타측으로 진행하는 정도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화소(PX1)가 표시 패널(DP)의 좌반면에 위치하고 제3 화소(PX3)가 표시 패널(DP)의 우반면에 위치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의 좌반면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는 좌측 시인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측 시인성을 더 강화하도록 구성하고, 표시 패널(DP)의 우반면에 위치하는 제3 화소(PX3)는 우측 시인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좌측 시인성을 더 강화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5)의 표시 품질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화소(PX1) 내의 제1 선형 패턴(515a)의 제1 경사각(θ1)은 제2 경사각(θ2) 보다 크고, 및/또는 제3 화소(PX3) 내의 제2 선형 패턴(515b)의 제4 경사각(θ4)은 제3 경사각(θ3) 보다 클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선형 패턴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6)의 선형 패턴층(506)은 일측면의 경사각과 타측면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선형 패턴들(516a, 516b)을 포함하되,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제1 선형 패턴(516a)과 제2 선형 패턴(516b)을 포함하는 점이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3)와 상이한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화소(PX1)와 제4 화소(PX4)는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된 화소들일 수 있다. 즉, 제4 화소(PX4)는 제1 화소(PX1)의 제1 방향(X)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화소(PX4)는 상기 중심선 부근에 위치하고, 제1 화소(PX1)는 제4 화소(PX4)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1 방향(X) 가장자리 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화소(PX1)와 제4 화소(PX4)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선형 패턴층(506)은 복수의 선형 패턴들(516a, 516b)을 포함하고, 복수의 선형 패턴들(516a, 516b)은 제1 화소(PX1) 내에 위치하는 제1 선형 패턴(516a) 및 제4 화소(PX4) 내에 위치하는 제2 선형 패턴(51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선형 패턴(516a)과 제2 선형 패턴(516b)은 각각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복수의 제1 선형 패턴(516a)들은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제2 선형 패턴(516b)들은 제1 방향(X)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제1 선형 패턴(516a)과 제2 선형 패턴(516b)은 제1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선형 패턴(516a)은 제1 방향(X) 일측의 제1 측면(S1)과 제1 방향(X) 타측의 제2 측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측면(S1)과 제2 측면(S2)은 서로 동일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면(S1)이 이루는 제1 경사각(θ1)과 제2 측면(S2)이 이루는 제2 경사각(θ2)은 각각 30도 이상 90도 미만의 범위이고, 제1 경사각(θ1)과 제2 경사각(θ2)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경사각(θ1)과 제2 경사각(θ2)은 상이할 수도 있다.
또, 제2 선형 패턴(516b)은 제1 방향(X) 상기 일측의 제3 측면(S3)과 제1 방향(X) 상기 타측의 제4 측면(S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측면(S3)과 제4 측면(S4)은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측면(S3)이 이루는 제3 경사각(θ3)과 제4 측면(S4)이 이루는 제4 경사각(θ4)은 각각 30도 이상 90도 미만의 범위이고, 제3 경사각(θ3)은 제4 경사각(θ4)보다 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선형 패턴(516a)의 제1 경사각(θ1)은 제2 선형 패턴(516b)의 제3 경사각(θ3)보다 작고, 제1 선형 패턴(516a)의 제2 경사각(θ2)은 제2 선형 패턴(516b)의 제4 경사각(θ4)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선형 패턴(516a)과 제2 선형 패턴(516b)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선형 패턴(516a)과 제2 선형 패턴(516b)을 포함하는 선형 패턴층(506)은 투과광을 제1 방향(X)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또, 일측면의 경사각과 타측면의 경사각이 서로 상이한 제2 선형 패턴(516b)은 확산된 투과광이 제1 방향(X) 일측으로 진행하는 정도와 제1 방향(X) 타측으로 진행하는 정도를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화소(PX1)가 표시 패널(DP)의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제4 화소(PX4)가 표시 패널(DP)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의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화소(PX1)의 좌측 시인성에 비해, 표시 패널(DP)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제4 화소(PX4)의 좌측 시인성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구성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6)의 표시 품질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4 화소(PX4) 내의 제2 선형 패턴(516b)의 제4 경사각(θ4)은 제3 경사각(θ3) 보다 클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형 패턴층 및 상부 편광 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7)의 상부 편광 소자(627)는 색 변환 패턴(327)과 액정층(30) 사이에 배치되는 점이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2)와 상이한 점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편광 소자(627)는 와이어 그리드 패턴층을 포함하는 반사형 편광 소자일 수 있다. 와이어 그리드 패턴층은 복수의 와이어 패턴(627w)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패턴(627w)의 연장 방향은 선형 패턴층(501)의 선형 패턴(51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패턴(627w)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복수의 와이어 패턴(627w)들은 제2 방향(Y)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Y)으로 이격된 복수의 와이어 패턴(627w)들을 포함하는 상부 편광 소자(627)의 투과축은 제2 방향(Y)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 패턴(627w)들을 포함하는 상부 편광 소자(627)는 상기 투과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 성분은 반사하고 상기 투과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와이어 패턴(627w)은 가공이 용이하고 광 반사율이 우수한 재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 재료로 와이어 패턴(627w)을 형성하여 상기 투과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 성분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료의 예로는 알루미늄(Al), 은(Ag), 금(Au), 구리(Cu), 티타늄(Ti), 몰리브덴(Mo), 니켈(Ni), 또는 이들의 산화물,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몇몇 실시예에서, 와이어 패턴(627w)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금속 패턴과 비금속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패턴의 적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비금속 무기 재료의 예로는 산화규소(silicon oxide), 질화규소(silicon nitride), 산화질화규소 또는 질화산화규소 등을 들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편광 소자(627)는 복수의 와이어 패턴(627w)들을 포함하는 와이어 패턴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배치된 배리어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층은 질화규소, 또는 산화규소 등의 무기 재료 또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지고 외부의 수분, 공기 등의 불순물이 침투하여 와이어 패턴(627w)의 부식 또는 손상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리어층은 제2 오버코팅층(450) 및/또는 공통 전극(820)과 맞닿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선형 패턴층(501)의 인접한 선형 패턴(511)들 간의 제1 방향(X)으로의 이격 거리(D1)는 상부 편광 소자(627)의 인접한 와이어 패턴(627w)들 간의 제2 방향(Y)으로의 이격 거리(D2)보다 클 수 있다. 비제한적인 일례에서, 인접한 와이어 패턴(627w)들 간의 제2 방향(Y)으로의 이격 거리(D2)는 약 20nm 이상 80nm 이하일 수 있다. 선형 패턴(511)들 간의 이격 거리(D1)를 와이어 패턴(627w)들 간의 이격 거리(D2)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부 편광 소자(627)에 우수한 편광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부 편광 소자(627) 다음에 광 확산 기능을 갖는 선형 패턴층(501)을 배치함에도 불구하고 액정층(30)에 의해 제어된 편광의 방향자가 해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차광 부재(430) 상에는 색 변환 패턴(327)이 배치될 수 있다. 색 변환 패턴(327)은 제2 화소(PX2)에 배치되고, 제1 화소(PX1)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색 변환 패턴(327)은 투과광의 색을 입사광과 상이한 색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색 변환 패턴(327)은 입사광의 피크 파장을 다른 특정 피크 파장으로 변환 또는 시프트시키는 물질, 즉 파장 시프트 물질(327q)을 포함할 수 있다. 파장 시프트 물질(327q)의 예로는 양자점, 양자 막대 또는 형광체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점은 전자가 전도대에서 가전자대로 전이하면서 특정한 색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양자점 물질은 코어-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는 반도체 나노 결정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의 코어의 예로는 규소(Si)계 나노 결정, II-VI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III-V족계 화합물 나노 결정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제한적인 일례로, 파장 시프트 물질(327q)은 카드뮴셀레나이드(CdSe), 카드뮴텔루라이드(CdTe), 황화카드뮴(CdS), 또는 인화인듐(In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코어와 황화아연(ZnS)으로 이루어진 외부 쉘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색 변환 패턴(327)의 파장 시프트 물질(327q)은 광원 유닛(BLU)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하여 녹색의 피크 파장을 갖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색 변환 패턴(327)은 입사광을 녹색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고 제2 화소(PX2)는 녹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 색 변환 패턴(327)과 차광 부재(430) 사이에는 제1 파장 대역 필터(7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장 대역 필터(710)는 녹색의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파장 대역의 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파장-선택적 광학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장 대역 필터(710)는 청색 파장 대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컬러 필터일 수 있다. 제1 파장 대역 필터(710)는 녹색의 피크 파장을 투과시키는 반면 청색의 파장 대역의 광의 투과를 차단함으로써 제2 화소(PX2)가 표시하는 녹색의 피크 파장을 중심으로 투과광의 파장 스펙트럼을 더욱 샤프하게 할 수 있고, 제2 화소(PX2)가 표시하는 녹색의 색 순도를 향상시켜 액정 표시 장치(7)의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 부재(430) 상의 제1 화소(PX1)에는 투광 패턴(337)이 배치될 수 있다. 투광 패턴(337)은 입사광의 색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고, 광원 유닛(BLU)이 제공한 광, 예컨대 청색의 광을 그대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화소(PX1)는 청색을 표시할 수 있다.
색 변환 패턴(327) 및 투광 패턴(337) 상에는 제2 파장 대역 필터(7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장 대역 필터(720)는 청색의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파장 대역의 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녹색 및/또는 적색의 파장 대역의 광을 반사하는 파장-선택적 광학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장 대역 필터(720)는 청색 파장 대역의 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분산 브래그 반사체일 수 있다. 제2 파장 대역 필터(720)는 파장 시프트 물질(327q)이 여러 방향으로 방출하는 광 중에서 제2 파장 대역 필터(720) 측으로 방출된 광을 시청자(미도시) 측으로 반사하여 색 표시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의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고 액정 표시 장치(7)의 휘도와 색 순도 등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와 비교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예>
앞서 설명한 도 2 등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테스트 셀을 제조하였다. 이 때 선형 패턴 제1 오버코팅층의 굴절률 차이는 약 0.2였다.
<비교예>
선형 패턴과 제1 오버코팅층의 굴절률 차이는 0.5로 설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와 동일한 구조의 액정 표시 장치의 테스트 셀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제조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테스트 셀의 시야각 특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3은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테스트 셀의 시야각 특성 그래프이고, 도 14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테스트 셀의 시야각 특성 그래프이다.
우선 도 13을 참조하면, 제조예에 따른 테스트 셀의 경우 중앙 방향, 및 좌우 방향에서 우수한 시인성을 나타내며, 상하 방향에서 또한 우수한 시인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테스트 셀의 경우 제조예에 따른 테스트 셀에 비해 전반적으로 표시 품질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좌우 30도 내지 50도 각도, 및 상하 방향에서 시인성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선형 패턴 및 선형 패턴과 광학 계면을 형성하는 제1 오버코팅층의 굴절률 차이가 0.5 이상이 될 경우 정면 방향에서의 휘도 및 좌우 방향, 상하 방향에서의 시인성 특성이 급격하게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1 베이스
120: 제2 베이스
501: 선형 패턴층
511: 선형 패턴
520: 제1 오버코팅층
610: 하부 편광 소자
621: 상부 편광 소자
810: 화소 전극
820: 공통 전극

Claims (20)

  1. 제1 방향으로의 투과축을 갖는 제1 편광 소자;
    상기 제1 편광 소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투과축을 갖는 제2 편광 소자;
    상기 제1 편광 소자와 상기 제2 편광 소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제2 편광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선형 패턴층으로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선형 패턴들을 포함하는 선형 패턴층;
    제1 색을 표시하는 제1 화소; 및
    상기 제1 색 보다 긴 피크 파장을 갖는 제2 색을 표시하는 제2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은,
    상기 제1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1 선형 패턴, 및
    상기 제2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2 선형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선형 패턴의 크기는 상기 제1 선형 패턴의 크기보다 큰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광원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제2 편광 소자는 상기 제1 편광 소자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색을 변환하는 색 변환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선형 패턴층과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색 변환 패턴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제1 색을 표시하는 제1 화소, 및 상기 제1 색 보다 긴 피크 파장을 갖는 제2 색을 표시하며 상기 제1 화소의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제2 화소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소와 상기 제2 화소의 경계에 배치된 차광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선형 패턴층과 상기 액정층은 상기 차광 부재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차광 부재는 부분적으로 상기 선형 패턴과 중첩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가지고,
    상기 장변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단변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액정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 상기 선형 패턴층 측으로 입사된 광은 상기 제1 방향으로 확산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패턴의 폭은 상기 제2 편광 소자 측으로부터 상기 액정층 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패턴의 최대 폭에 대한 상기 선형 패턴들 간의 이격 거리의 비는 0.5 이상 2.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패턴의 최대 폭에 대한 상기 선형 패턴의 높이의 비는 0.5 이상 1.5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경사를 갖는 상기 선형 패턴의 측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45도 이상인 액정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의 셀 갭에 대한 상기 선형 패턴의 최대 폭의 비는 0.5 이상 2.0 이하이고,
    상기 액정층은 초기 배향 상태에서 수직 배향된 액정들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패턴의 최대 폭은 상기 액정층의 셀 갭보다 큰 액정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 소자와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편광 소자와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선형 패턴층은,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들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들과 맞닿는 오버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형 패턴의 굴절률과 상기 오버코팅층의 굴절률의 차이는 0.15 이상 0.5 미만인 액정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 소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와이어 패턴들을 포함하는 와이어 그리드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선형 패턴들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상기 와이어 패턴들 간의 이격 거리보다 큰 액정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광원 유닛; 및
    상기 광원 유닛으로부터 입사된 광의 색을 변환하는 색 변환 패턴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원 유닛과 상기 제2 편광 소자는 상기 제1 편광 소자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 편광 소자와 상기 선형 패턴층은 상기 색 변환 패턴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는 액정 표시 장치.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화소 및 제3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은,
    상기 제1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1 선형 패턴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의 일측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타측의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제1 선형 패턴, 및
    상기 제3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2 선형 패턴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일측의 제3 측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타측의 제4 측면을 포함하는 제2 선형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의 경사각과 상기 제4 측면의 경사각은 동일하고,
    상기 제2 측면의 경사각과 상기 제3 측면의 경사각은 동일한 액정 표시 장치.
  19. 제1 방향으로의 투과축을 갖는 제1 편광 소자;
    상기 제1 편광 소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의 투과축을 갖는 제2 편광 소자;
    상기 제1 편광 소자와 상기 제2 편광 소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제2 편광 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선형 패턴층으로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선형 패턴들을 포함하는 선형 패턴층;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 화소 및 제4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화소는 상기 제4 화소에 비해 더 가장자리 측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은,
    상기 제1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1 선형 패턴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의 일측의 제1 측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타측의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제1 선형 패턴, 및
    상기 제4 화소 내에 위치하는 제2 선형 패턴으로서,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일측의 제3 측면 및 상기 제1 방향의 상기 타측의 제4 측면을 포함하는 제2 선형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의 경사각은 상기 제3 측면의 경사각보다 작고,
    상기 제2 측면의 경사각은 상기 제4 측면의 경사각보다 큰 액정 표시 장치.
  20.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선형 패턴으로서,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선형 패턴;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 상에 직접 배치된 유기층;
    상기 유기층 상에 배치되는 차광 부재로서, 평면상 격자 형상인 차광 부재; 및
    평면 상에서 상기 차광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색 변환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선형 패턴은 제1 선형 패턴, 및 상기 제1 선형 패턴의 제1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선형 패턴보다 큰 제2 선형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색 변환 패턴층은 상기 제1 선형 패턴과 중첩하는 제1 색 변환 패턴, 및 상기 제2 선형 패턴과 중첩하는 제2 색 변환 패턴을 포함하는 색 변환 기판.
KR1020170159478A 2017-11-27 2017-11-27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Active KR102461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478A KR102461800B1 (ko) 2017-11-27 2017-11-27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16/001,762 US10705390B2 (en) 2017-11-27 2018-06-06 Color conversion substr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478A KR102461800B1 (ko) 2017-11-27 2017-11-27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647A KR20190062647A (ko) 2019-06-07
KR102461800B1 true KR102461800B1 (ko) 2022-11-01

Family

ID=6663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478A Active KR102461800B1 (ko) 2017-11-27 2017-11-27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05390B2 (ko)
KR (1) KR1024618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2323B2 (en) * 2017-12-15 2020-10-13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418663B1 (ko) * 2019-01-29 2022-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야각 보상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815498B1 (ko) 2019-09-11 2025-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690397B1 (ko) 2019-10-31 2024-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133719A (ko) * 2022-03-11 2023-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9289A (en) * 1991-06-11 1994-03-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anel with diffraction grating
US6752505B2 (en) * 1999-02-23 2004-06-22 Solid State Opto Limited Light redirecting films and film systems
KR20040060526A (ko) 2002-12-30 2004-07-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오. 씨. 비 모드 액정표시장치
JP4386084B2 (ja) * 2007-03-06 2009-12-16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00104852A (ko) * 2009-03-19 2010-09-29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시야각 제어시트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26883B1 (ko) 2010-04-13 2016-06-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78649B1 (ko) * 2010-09-27 2016-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8926157B2 (en) * 2010-12-24 2015-01-06 Sharp Kabushiki Kaisha Light diffusing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102062687B1 (ko) * 2013-01-23 202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자점 복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2060793B1 (ko) * 2013-04-18 2020-0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059494A (ko) 2013-11-22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색변화 저감용 광학필름이 적용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95976A (ko) 2014-02-13 2015-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00444A (ko) * 2015-06-23 2017-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640715B1 (ko) 2015-09-08 201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665263B1 (ko) 2015-10-01 2016-10-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454988B1 (ko) * 2016-01-06 2022-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발생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48400B1 (ko) * 2016-02-22 2024-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자점 컬러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05390B2 (en) 2020-07-07
US20190163023A1 (en) 2019-05-30
KR20190062647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800B1 (ko) 색 변환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455695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2060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3261128B (zh) 显示装置
KR102427416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1029563B2 (en) Color conversion substrate and related display device
CN107407467B (zh) 照明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KR10248530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761243B1 (ko) 표시 장치
CN109683378A (zh) 一种彩膜基板、阵列基板、液晶显示面板及液晶显示屏
US20220052240A1 (en)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36577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77574B1 (ko) 배선 기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배선 기판의 제조 방법
KR20230017383A (ko) 표시 장치
US10261359B1 (en)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80135A (ko) 액정표시장치
KR2021009527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01483B1 (ko) 표시 장치
US20200012030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21946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0776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70027264A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표시 장치
US12366684B2 (en) Tiled display device
US20220128740A1 (en) Tiled display device
KR20250031083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