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821B1 - 증강 현실 장치 및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장치 및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0821B1 KR102460821B1 KR1020200141524A KR20200141524A KR102460821B1 KR 102460821 B1 KR102460821 B1 KR 102460821B1 KR 1020200141524 A KR1020200141524 A KR 1020200141524A KR 20200141524 A KR20200141524 A KR 20200141524A KR 102460821 B1 KR102460821 B1 KR 1024608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md
- pattern
- relationship
- user
- positional relationshi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25 sku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시스템 내 패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에서 패턴 장치와 사용자의 눈 간의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장치에서 산출하는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시스템에서의 증강현실 구현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동차변환 행렬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20: 패턴 장치 130: 위치 추적 장치
140: 증강 현실 장치
Claims (18)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HMD(Head Mounted Display)의 프로젝트 화면과 기준 위치에 배치된 패턴 장치의 패턴 간의 투영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 간의 제1 위치 관계를 산출하고,
마커가 배치된 공간 좌표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마커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 간의 제2 위치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위치 관계 및 상기 제2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HMD 간의 제3 위치 관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는 상기 패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는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위치 추적 장치 간의 패턴_추적 위치 관계를 포함하되,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는 상기 HM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는 상기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HMD 간의 추적_HMD 위치 관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 간의 제1 위치 관계()와,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위치 추적 장치 간의 패턴_추적 위치 관계() 및 상기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HMD 간의 추적_HMD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제2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HMD 간의 제3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증강 현실 장치.
[수학식 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패턴이 상기 HMD의 프로젝트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HMD의 프로젝트 화면에서 상기 패턴의 기설정된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한 상기 프로젝트 화면에서의 2차원 좌표 및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한 상기 패턴의 3차원 좌표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투영 관계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증강 현실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체스판 형태이고,
상기 지점은 상기 패턴에 포함되는 사각형의 코너 부분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복수 개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마커로부터 반사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복수 개의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 간의 제2 위치 관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증강 현실 장치.
- 삭제
- 삭제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착용한 HMD(Head Mounted Display)의 프로젝트 화면과 기준 위치에 배치된 패턴 장치의 패턴 간의 투영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 간의 제1 위치 관계를 산출하고,
마커가 배치된 공간 좌표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마커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 간의 제2 위치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위치 관계 및 상기 제2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HMD 간의 제3 위치 관계를 산출하고,
상기 제3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HMD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바라보는 객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눈의 제4 위치 관계를 산출하고,
상기 제4 위치 관계를 산출한 시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객체가 기설정된 간격 이상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상기 제2 위치 관계 및 상기 제3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상기 제4 위치 관계를 산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는 상기 패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는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위치 추적 장치 간의 패턴_추적 위치 관계를 포함하되,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는 상기 HM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는 상기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HMD 간의 추적_HMD 위치 관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 간의 제1 위치 관계()와,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위치 추적 장치 간의 패턴_추적 위치 관계() 및 상기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HMD 간의 추적_HMD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제2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HMD 간의 제3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증강 현실 장치.
[수학식 1]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 이미지를 상기 HMD의 프로젝트 화면에 투영하도록 더 구성되는,
증강 현실 장치.
- 삭제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투영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HMD의 프로젝트 화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시야각을 산출하도록 더 구성되는,
증강 현실 장치.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 관계는,
상기 사용자의 눈과 상기 HMD 간의 위치 변환에 대한 회전 행렬 및 이동 벡터를 포함하는 동차변환 행렬로 표현되는,
증강 현실 장치.
- 사용자가 착용한 HMD의 프로젝트 화면과 기준 위치에 배치된 패턴 장치의 패턴 간의 투영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 간의 제1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
마커가 배치된 공간 좌표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마커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 간의 제2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관계 및 상기 제2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HMD 간의 제3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는 상기 패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위치 관계로서,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위치 추적 장치 간의 패턴_추적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는 상기 HM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위치 관계로서, 상기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HMD 간의 추적_HMD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 간의 제1 위치 관계()와,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위치 추적 장치 간의 패턴_추적 위치 관계() 및 상기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HMD 간의 추적_HMD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제2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HMD 간의 제3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
[수학식 1]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상기 HMD의 프로젝트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HMD의 프로젝트 화면에서 상기 패턴의 기설정된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한 상기 프로젝트 화면에서의 2차원 좌표 및 상기 선택된 지점에 대한 상기 패턴의 3차원 좌표 간의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투영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복수 개이고,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마커로부터 반사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복수 개의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 간의 제2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
- 삭제
- 사용자가 착용한 HMD의 프로젝트 화면과 기준 위치에 배치된 패턴 장치의 패턴 간의 투영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 간의 제1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
마커가 배치된 공간 좌표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마커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 간의 제2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위치 관계 및 상기 제2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HMD 간의 제3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3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상기 HMD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바라보는 객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눈의 제4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4 위치 관계를 산출한 시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객체가 기설정된 간격 이상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상기 제2 위치 관계 및 상기 제3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상기 제4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는 상기 패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위치 관계로서,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위치 추적 장치 간의 패턴_추적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마커가 표시하는 장치는 상기 HM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위치 관계로서, 상기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HMD 간의 추적_HMD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아래 수학식 1을 통해,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사용자의 눈 간의 제1 위치 관계()와, 상기 패턴 장치와 상기 위치 추적 장치 간의 패턴_추적 위치 관계() 및 상기 위치 추적 장치와 상기 HMD 간의 추적_HMD 위치 관계()를 포함하는 제2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눈과 상기 사용자가 착용한 HMD 간의 제3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
[수학식 1]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위치 관계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 이미지를 상기 HMD의 프로젝트 화면에 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1524A KR102460821B1 (ko) | 2020-10-28 | 2020-10-28 | 증강 현실 장치 및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1524A KR102460821B1 (ko) | 2020-10-28 | 2020-10-28 | 증강 현실 장치 및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6702A KR20220056702A (ko) | 2022-05-06 |
KR102460821B1 true KR102460821B1 (ko) | 2022-10-28 |
Family
ID=8158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41524A Active KR102460821B1 (ko) | 2020-10-28 | 2020-10-28 | 증강 현실 장치 및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0821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7467B1 (ko) | 2015-06-05 | 2016-08-11 | 주식회사 메드릭스 | 증강현실을 이용한 외과 수술용 3d 안경 시스템 |
US9983709B2 (en) * | 2015-11-02 | 2018-05-29 | Oculus Vr, Llc | Eye tracking using structured light |
KR20180075099A (ko) * | 2016-12-26 | 2018-07-04 | 주식회사 팝스라인 | Hmd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2020
- 2020-10-28 KR KR1020200141524A patent/KR102460821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6702A (ko) | 2022-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59261B2 (en) | Augmented reality pre-registration | |
US12197637B2 (en) | Medical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 |
US11928838B2 (en) |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to align a 3D virtual scene and a 3D real world for a stereoscopic head-mounted display | |
US1102588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s in telemedicine application | |
JP7189939B2 (ja) | 手術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 |
US12178520B2 (en) | Model registration system and method | |
US11961193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computer program and mixed reality display device | |
US777404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in a medical intervention procedure | |
US10359916B2 (en) | Virtual object display device, method, program, and system | |
EP2153794B1 (en) | System for and method of visualizing an interior of a body | |
US20170315364A1 (en) | Virtual object display device, method, program, and system | |
Hu et al. | Head-mounted augmented reality platform for markerless orthopaedic navigation | |
JP2019177134A (ja) | ロボット外科手術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拡張現実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 |
KR102582154B1 (ko) |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증강현실 의료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증강현실 의료영상 제공 방법 | |
US20240390102A1 (en) | Method for operating a visualization system in a surgical application, and visualization system for a surgical application | |
US12053243B2 (en) | Positioning and navigation system for surger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460821B1 (ko) | 증강 현실 장치 및 증강 현실 장치의 동작 방법 | |
US20220022964A1 (en) | System for displaying a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augmented reality | |
EP365591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s in telemedicine application | |
US2024033132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superimposing two-dimensional (2d) images over deformed surfaces | |
US20240074813A1 (en) | Medical imaging system and method | |
Bianchi | Exploration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surgical training simulato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