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6024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242B1
KR102460242B1 KR1020170079716A KR20170079716A KR102460242B1 KR 102460242 B1 KR102460242 B1 KR 102460242B1 KR 1020170079716 A KR1020170079716 A KR 1020170079716A KR 20170079716 A KR20170079716 A KR 20170079716A KR 102460242 B1 KR102460242 B1 KR 102460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refrigerator
recessed
bas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084A (ko
Inventor
손수형
구양렬
이형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861,22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17128B2/en
Publication of KR2018008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2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도어와, 제1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제1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제1도어를 지지하는 힌지 부재와, 힌지 부재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2도어를 포함하고, 제2도어는 도어 바디와 힌지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도어 트림을 포함하고, 힌지 부재는 본체 결합부와 도어 지지부를 포함하고, 도어 지지부의 저면은 기본면과 함몰면을 포함한다. 함몰면은 도어 트림의 상면과 도어 바디의 상면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도록 기본면에서 함몰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의 힌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본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구획되는 복수개의 저장실이 마련되고, 각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복수의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에 냉장실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형성되는 BMF(Bottom Mounted Freezer)형 또는 FDR(French Door Refrigeratro)형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실 도어는 상부 힌지 부재와 중간 힌지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냉동실 도어는 슬라이딩 장치에 의해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된다.
중간 힌지 부재는 냉장고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냉장실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냉장실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핀을 포함한다. 중간 힌지 부재는 본체에 결합되도록 본체 전면에 대략 평행하게 마련되는 본체 결합부와, 도어를 지지하도록 본체 결합부에 직교하도록 돌출되는 도어 지지부를 포함한다. 힌지핀은 도어 지지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냉장실 도어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힌지 부재와 냉동실 도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냉장실 도어 및 중간 힌지 부재의 처짐 현상에 따른 중간 힌지 부재와 냉동실 도어의 간섭을 방지하고, 냉장고의 전체적인 외관 향상 등을 위함이다.
다만, 냉동실 도어의 일부가 중간 힌지 부재 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중간 힌지 부재와 냉동실 도어 사이의 간격이 돌출된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간 힌지의 아래에 위치하는 도어의 상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고 돌출된 부분이 있는 경우에 중간 힌지의 저면의 전체 영역에서 중간 힌지의 저면과 도어의 상면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개선된 형상을 갖는 중간 힌지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장고의 도어를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개선된 형상의 도어 및 이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도어;와, 상기 제1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도어를 지지하는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부재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2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에서 상기 힌지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도어 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결합부와, 상기 본체 결합부에서 상기 본체 결합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지지부의 저면은 기본면과, 상기 도어 트림의 상면과 상기 도어 바디의 상면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도록 상기 기본면에서 함몰된 함몰면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지지부의 저면은 상기 기본면과 상기 함몰면을 연결하고 수직하게 형성되는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면은 상기 냉장고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기본면과 상기 함몰면의 높이 차이는 상기 도어 트림의 상면과 상기 도어 바디의 상면의 높이 차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기본면과 상기 함몰면의 높이 차이는 상기 도어 지지부의 두께의 절반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함몰면은 상기 기본면 보다 상기 냉장고의 중심부의 반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본면과 상기 함몰면은 각각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본면과 상기 함몰면은 각각 상기 도어 지지부의 상면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결합부와 상기 도어 지지부는 금속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는 손잡이 홈이 형성된 상부캡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 트림은 상기 상부캡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트림은 사용자가 잡고 상기 제2도어를 열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손잡이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트림은 상기 제2도어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홈이 형성된 상부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어 트림은 상기 상부판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은 상기 도어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힌지 어셈블리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힌지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장착부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부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핀을 갖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핀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고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힌지 장착부는 기본 단차부와, 상기 힌지 브라켓이 장착되도록 상기 기본 단차부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힌지 브라켓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장착부는 상기 탄성 부재가 장착되도록 상기 기본 단차부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탄성 부재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서 상기 냉장고를 바라볼 때 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장착부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브라켓은 각각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브라켓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브라켓의 사이에 마련되는 수지 재질의 그로밋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중간 힌지의 아래에 위치하는 도어의 상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고 돌출된 부분이 있는 경우에 중간 힌지의 강도가 충분하게 유지되면서도 중간 힌지의 저면과 도어의 상면의 간격이 중간 힌지의 저면의 전체 영역에서 일정할 수 있다. 이로써, 도어 개폐 동작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고 냉장고의 외관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 정면에서 냉장고를 바라볼 때 힌지 어셈블리의 노출이 최소화되므로 냉장고의 외관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간 힌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간 힌지 어셈블리가 상부 도어의 저면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상부 도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힌지 부재가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상부 도어는 생략).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간 힌지 어셈블리 부근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간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간 도어를 분해사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힌지 부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힌지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힌지 부재를 도시한 탑 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힌지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저장실(17, 18, 19)을 갖는 본체(10)와, 저장실(17, 18, 19)을 개폐하도록 저장실(17, 18, 19)의 전방에 마련되는 도어(20, 30, 40, 60)와, 저장실(17, 18, 19)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증발기(2)와, 압축기(6)와, 응축기(미도시)와, 팽창 장치(미도시)와, 송풍팬을 포함하고,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17, 18, 19)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고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과, 저장실(17, 18, 19)을 단열하도록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내상(11)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외상(12)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재(13)로는 우레탄 폼 단열재(urethane foam insulation) 또는 진공 단열재(VIP)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체(10)는 중간벽(15, 1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간벽(15, 16)에 의해 저장실(17, 18, 19)은 상부 저장실(17)과 중간 저장실(18)과 하부 저장실(19)로 구획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중간벽은 하나만 마련되고 중간 저장실이 없이 상부 저장실과 하부 저장실만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17)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고, 하부 저장실(19)은 대략 섭씨 영하 30 ~ 0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으며, 중간 저장실(18)은 온도가 가변하는 변온실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각 저장실의 용도가 특별히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각 저장실(17, 18, 19)은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저장실(17, 18, 19)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20, 30, 40, 6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17)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도어(20, 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중간 저장실(18)과 하부 저장실(19)은 각각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되는 중간 도어(40) 및 하부 도어(6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중간 저장실(18)과 하부 저장실(19)도 서랍식이 아닌 회전식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부 저장실(17) 내부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6)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20, 30)는 각각 저장실(17)의 좌측 및 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20) 및 상부 도어(30)의 상부에는 각각 상부 힌지(66)가 결합되고, 상부 도어(20) 및 상부 도어(30)의 하부에는 각각 중간 힌지 어셈블리(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힌지(66)와 중간 힌지 어셈블리(70)는 상부 도어(20, 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중간 힌지 어셈블리(70)는 상부 도어(20, 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상부 도어(20, 30)의 하중을 지지한다. 중간 힌지 어셈블리(70)는 상부 도어(20, 30)와 중간 도어(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도어(20, 30)의 배면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도어 가드(7)가 마련될 수 있고, 상부 도어(20, 30)의 전면에는 손으로 잡고 상부 도어(20, 30)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21, 31)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도어(20)에는 상부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물 또는 얼음을 공급할 수 있는 디스펜서(29)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상부 힌지(66)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 힌지(66)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65)가 결합될 수 있다.
중간 도어(40)와 하부 도어(60)의 배면에는 각각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바스켓(8, 9)이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8, 9)은 도어(40, 60)의 인입 및 인출 시에 도어(40, 60)와 함께 저장실(18, 19)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간 힌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간 힌지 어셈블리가 상부 도어의 저면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상부 도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힌지 부재가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상부 도어는 생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간 힌지 어셈블리 부근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간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중간 도어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힌지 부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힌지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힌지 부재를 도시한 탑 뷰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힌지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중간 힌지 어셈블리(70), 중간 도어(40), 상부 도어(20, 3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좌측 상부 도어(20)를 지지하는 중간 힌지 어셈블리(70)와, 우측 상부 도어(30)를 지지하는 중간 힌지 어셈블리(70)의 구조는 서로 대칭되므로 좌측 상부 도어(20)를 지지하는 중간 힌지 어셈블리(7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하에서, 편의상 중간 힌지 어셈블리(70)를 단순히 힌지 어셈블리(70)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20) 및 중간 도어(40)를 각각 도어(20) 및 도어(40)라고 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70)는 본체에(10)에 결합되는 힌지 부재(71)와, 도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85)과, 힌지 부재(71)와 힌지 브라켓(85)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힌지 부재(71)와 힌지 브라켓(85)의 사이에 마련되는 그로밋 부재(95)와, 도어(20)가 소정 각도 이상 닫히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탄성 부재(9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부재(71)는 본체(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결합부(72)와, 도어(20)를 지지하도록 본체 결합부(72)에서 본체 결합부(7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어 지지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본체 결합부(72)는 본체(10)의 전면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도어 지지부(75)는 본체 결합부(72)에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 결합부(72)는 체결 부재(S1)에 의해 본체(10)의 전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체 결합부(72)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73, 도 12)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S1)는 나사, 못, 리벳, 핀, 볼트 등의 각종 결합 기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결합부(72)는 힌지 부재(71)를 본체(10)의 전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본체 결합부(7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74, 도 1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74)는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결합홀(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돌기(74)를 결합홀에 삽입한 후에 체결 부재(S1)를 체결공(73)에 체결함으로써, 힌지 부재(71)를 본체(10)의 전면에 체결할 수 있다.
도어 지지부(75)는 도어(20)의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힌지핀(81)과, 도어(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스토퍼 간섭 돌기(83)와, 탄성 부재(90)와 상호 작용하도록 마련되는 클로저 간섭 돌기(84)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핀(81)은 도어(20)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핀(81)은 그로밋 부재(95)의 내부의 중공에 삽입되고, 그로밋 부재(95)는 힌지 브라켓(85)의 관통홀(87)을 관통하여 도어(20)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것은 힌지 부재(71)와 힌지 브라켓(85)이 모두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도어(20)의 회전 시에 힌지 부재(71)와 힌지 브라켓(85)의 마찰에 의해 분진,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힌지 부재(71)와 힌지 브라켓(85)의 사이에 수지 재질의 그로밋 부재(95)를 배치하기 때문이다.
그로밋 부재(95)는 대략 중공을 갖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중공 원통부(96)와, 중공 원통부(96)의 하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97)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원통부(96)의 중공에는 힌지핀(81)이 삽입되고, 중공 원통부(96)는 힌지 브라켓(85)의 관통홀(87)을 관통하여 도어(20)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힌지핀(81)에는 회전 방지부(82)가 마련되고, 중공 원통부(96)의 중공 내주면에는 회전 방지부(82)에 대응하는 간섭면(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회전 방지부(82)와 간섭면의 걸림에 의해 그로밋 부재(95)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플랜지부(97)는 힌지 브라켓(95)과 도어 지지부(75)가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힌지 브라켓(85)의 저면과 도어 지지부(75)의 상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 간섭 돌기(83)는 도어(20)가 소정 각도 이상 열리면 힌지 브라켓(85)의 스토퍼 돌기(88)와 간섭하여 도어(2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스토퍼 간섭 돌기(83)는 냉장고(1)의 중심부의 반대 측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클로저 간섭 돌기(84)는 도어(20)의 개폐 과정에서 탄성 부재(90)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클로저 간섭 돌기(84)는 스토퍼 간섭 돌기(83)와 반대로 냉장고의 중심부 측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탄성 부재(90)는 도어(20)에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90)는 도어(20)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단(91)과, 클로저 간섭 돌기(84)에 간섭되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작용단(93)을 갖고, 'C'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90)는 판 스프링의 일종일 수 있다.
고정단(91)에는 체결 부재(S3, 도 3)가 체결되는 체결공(92)이 마련되어서, 고정단(91)은 체결 부재(S3)에 의해 도어(2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어(20)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작용단(93)이 클로저 간섭 돌기(84)에 간섭되어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탄성 부재(90)의 형상이 변화하면서 탄성 부재(90)에 탄성력이 축적될 수 있다.
탄성 부재(90는 도어(20)가 닫혀진 상태에서 탄성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20)가 점차 열리면서 클로저 간섭 돌기(84)와 작용단(93)이 간섭하여 탄성 부재(90)에 탄성력이 점차 축적되고 도어(20)와 본체(10) 사이의 각도가 소정의 각도가 되면 탄성력이 최대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가 소정 각도 보다 더 열리게 되면 클로저 간섭 돌기(84)와 작용단(93)의 간섭이 해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가 열리는 과정에서 도어(20)와 본체(10) 사이의 각도가 소정 각도가 될 때까지 탄성 부재(90)는 도어(20)에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도어(20)가 닫히는 과정에서도 도어(20)와 본체(10) 사이의 각도가 소정 각도가 되게 되면 그 때부터 탄성 부재(90)는 도어(20)에 도어(20)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즉, 도어(20)가 닫히는 과정에서 도어(20)와 본체(10) 사이의 각도가 소정 각도가 되게 되면 그 때부터 도어(20)가 탄성 부재(90)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이러한 도어 지지부(75)는 상면(76)과 저면(77)을 가질 수 있다. 도어 지지부(75)의 상면(76)에서 전술한 힌지핀(81)이 돌출될 수 있다. 도어 지지부(75)의 상면(76)은 대략 도어 지지부(75)의 상면(76)의 전체 영역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어 지지부(75)의 저면(77)은 전체 영역에서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의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즉, 도어 지지부(75)의 저면(77)은 기본면(78)과, 기본면(78) 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기본면(78)에서 함몰되게 형성되는 함몰면(79)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지지부(75)의 저면(77)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기본면(78)과 함몰면(79)을 갖는 이유는, 힌지 부재(71)의 아래에 위치하는 도어(40)의 상면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고 돌출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즉, 도어(40)의 상면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여 도어 지지부(75)의 저면(77)과 도어(40)의 상면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어(40)의 돌출된 부분은 도어 트림(51)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어(4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어(40)는 도어 바디(41)와, 도어 바디(41)에 결합되는 도어 트림(5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디(41)는 전면판(42)과, 후면판(43)과, 전면판(42)과 후면판(43)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캡(46)과, 전면판(42)과 후면판(43)의 상부에 결합되고 손잡이 홈(44a, 도 10)이 형성된 상부캡(44)과, 전면판(42)과 후면판(43)의 상부에 결합되고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6)가 장착되는 상부판(45)과, 도어 바디(41)의 내부에 마련되는 단열재(47)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판(42)과, 후면판(43)과, 상부판(45)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캡(46)과, 상부캡(44)은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부캡(44)의 손잡이 홈(44a)에 손을 집어 넣어 도어(40)를 잡아 당김으로써 도어(40)를 개방할 수 있다. 상부판(45)에는 디스플레이(56)를 장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착홈(45a, 도 9)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판(45)의 아래에는 디스플레이(56)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회로부(57, 도 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 트림(51)은 도어(40)의 외관 향상, 도어(40) 개폐 시에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진동 완화, 도어(40)를 구성하는 각 부속품 간의 결합력 강화 등을 위해 도어 바디(41)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 트림(51)은 상부캡(44) 및 상부판(45)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 트림(51)은 도어(40)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어 트림(5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어 트림 바디(52)와, 도어 트림 바디(52)의 좌우측 양단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는 도어 트림 날개(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트림 바디(52)와 도어 트림 날개(5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트림(51)은 손으로 접촉하여 잡고 도어(40)를 열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그립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53)는 도어 트림 바디(52)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상부캡(44)의 손잡이 홈(44a)에 삽입될 수 있다.
도어 트림(51)이 상부판(45)의 상측에 결합되므로, 도어 바디(41)의 상면(41a) 보다 도어 트림(51)의 상면(51a)이 위로 돌출될 수 있다(도 6). 도어 트림(51)의 좌우 방향 폭(W2)은 힌지 부재의 도어 지지부(75) 저면의 전체 영역(W1) 보다 좁을 수 있다(도 6).
따라서, 도어 지지부(75)의 함몰면(79)은 도어 트림(51)의 상면(51a)과 도어 바디(41)의 상면(41a)의 높이 차이(H2)를 보상하도록 도어 지지부(75)의 기본면(78)에서 함몰될 수 있다.
기본면(78)가 함몰면(79)의 높이 차이(H1)는 도어 트림 상면(51a)과 도어 바디 상면(41a)의 높이 차이(H2)와 동일할 수 있다.
도어 지지부(75)의 강성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기본면(78)과 함몰면(79)의 높이 차이(H1)는 상면(76)과 기본면(78) 사이의 두께인 도어 지지부(75)의 두께(D)의 절반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면(78)과 함몰면(79)은 각각 편평하게 형성되고,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트림(51)의 위치가 냉장고(1)의 중심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므로, 이에 대응하여 함몰면(79) 역시 기본면(78) 보다 냉장고(1)의 중심부의 반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본면(78)과 함몰면(79)은 연결면(8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면(80)은 대체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면(80)은 냉장고(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본면(78)과 함몰면(79)의 후방에는 도어 지지부(75)와 본체 결합부(72)의 강성 강화를 위해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78a)와 라운드부(79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 결합부(72)와 도어 지지부(75)는 금속 재질로써 다이캐스팅 등의 공법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힌지 부재(71)의 아래에 위치하는 도어(40)의 상면 일부분이 돌출된 구조여도, 힌지 부재(71)의 도어 지지부(75)의 저면(77)이 도어(40)의 돌출된 부분에 대응한 함몰면(79)을 가지므로, 힌지 부재(71)의 강성이 충분히 유지되면서도 힌지 부재(71)의 저면과 도어(40)의 상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 부재(71)와 도어(40)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현상이나 도어 처짐에 따른 힌지 부재와 도어의 간섭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도어 개폐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냉장고의 전체적인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부 도어(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 어셈블리(70)는 상부 도어(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 도어(20)와 중간 도어(40)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도어(20)는 전면판(22)과, 후면판(23)과, 상부캡(미도시)과, 하부캡(24)이 조립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된다. 힌지 어셈블리(70)는 하부캡(24)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캡(24)은 도어(20)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25)와, 힌지 어셈블리(70)가 장착되는 힌지 장착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장착부(26)는 냉장고(1)를 냉장고(1)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힌지 어셈블리(7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바닥부(25)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냉장고(1)를 냉장고(1)의 정면에서 바라볼 때 힌지 장착부(26)에 장착된 힌지 어셈블리(70)의 적어도 일부는 힌지 장착부(26)의 전방에 형성되는 바닥부의 일부(25a)에 가려져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도 7).
이와 같이 힌지 어셈블리(7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냉장고(1)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냉장고(1)의 전체 높이가 낮아지거나 또는 저장실의 공간이 더 확보될 수 있다.
힌지 장착부(26)에는 전술한 힌지 브라켓(85)과, 탄성 부재(9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힌지 장착부(26)는 바닥부(25)에서 함몰된 기본 단차부(27a)와, 힌지 브라켓(85)이 장착되도록 기본 단차부(27a)에서 더 함몰된 힌지 브라켓 장착부(27b)와, 탄성 부재(90)가 장착되도록 기본 단차부(27a)에서 더 함몰된 탄성 부재 장착부(27c)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장착부(26)에는 힌지 부재(71)의 힌지핀(81)이 삽입되는 힌지홀(28)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7, 18, 19 : 저장실 20 : 상부 도어
25, 25a : 바닥부, 적어도 일부 26 : 힌지 장착부
30 : 상부 도어 40 : 중간 도어
41 : 도어 바디 41a : 도어 바디 상면
44 : 상부캡 44a : 손잡이 홈
45 : 상부판 45a : 디스플레이 장착홈
46 : 하부캡 47 : 단열재
51 : 도어 트림 51a : 도어 트림 상면
52 : 도어 트림 바디 53 : 그립부
54 : 도어 트림 날개 56 : 디스플레이
70 : 중간 힌지 어셈블리 71 : 힌지 부재
72 : 본체 결합부 75 : 도어 지지부
76 : 상면 77 : 저면
78 : 기본면 79 : 함몰면
81 : 힌지핀 85 : 힌지 브라켓
87 : 관통홀 90 : 탄성 부재
95 : 그로밋 부재

Claims (19)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도어;
    상기 제1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도어를 지지하는 힌지 부재;
    상기 힌지 부재의 아래에 마련되는 제2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는 도어 바디와, 상기 도어 바디의 상면에서 상기 힌지 부재를 향해 돌출하는 도어 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본체 결합부와, 상기 본체 결합부에서 냉장고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어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지지부의 저면은 상기 도어 바디에 대응되는 기본면과, 상기 도어 트림의 상면과 상기 도어 바디의 상면의 높이 차이를 보상하도록 상기 기본면에서 함몰되고 상기 도어 트림에 대응되는 함몰면을 포함하고,
    상기 함몰면은, 상기 도어 트림의 상면과 상기 함몰면 사이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상면과 상기 기본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지지부의 저면은 상기 기본면과 상기 함몰면을 연결하고 수직하게 형성되는 연결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상기 냉장고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면과 상기 함몰면의 높이 차이는 상기 도어 트림의 상면과 상기 도어 바디의 상면의 높이 차이와 동일한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면과 상기 함몰면의 높이 차이는 상기 도어 지지부의 두께의 절반 보다 작은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면은 상기 기본면 보다 상기 냉장고의 중심부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면과 상기 함몰면은 각각 편평하게 형성된 냉장고.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면과 상기 함몰면은 각각 수평하게 형성된 냉장고.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결합부와 상기 도어 지지부는 금속 재질로 일체로 형성된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는 손잡이 홈이 형성된 상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트림은 상기 상부캡의 상측에 결합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트림은 사용자가 잡고 상기 제2도어를 열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손잡이 홈에 삽입되는 냉장고.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트림은 상기 제2도어의 좌측 단부에서 우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홈이 형성된 상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트림은 상기 상부판의 상측에 결합되는 냉장고.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를 지지하고, 상기 도어에 닫히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하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은 상기 도어의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힌지 어셈블리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힌지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장착부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닥부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힌지 장착부는 상기 탄성 부재가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탄성 부재 장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힌지핀을 갖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핀이 관통하는 관통홀을 갖고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장착부는 기본 단차부와, 상기 힌지 브라켓이 장착되도록 상기 기본 단차부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힌지 브라켓 장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 장착부는 상기 기본 단차부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서 상기 냉장고를 바라볼 때 상기 힌지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지 않는 냉장고.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힌지 장착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냉장고.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브라켓은 각각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브라켓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힌지 부재와 상기 힌지 브라켓의 사이에 마련되는 수지 재질의 그로밋 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70079716A 2017-01-03 2017-06-23 냉장고 Active KR102460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61,223 US10317128B2 (en) 2017-01-03 2018-01-0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41801P 2017-01-03 2017-01-03
US62/441,801 2017-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084A KR20180080084A (ko) 2018-07-11
KR102460242B1 true KR102460242B1 (ko) 2022-10-31

Family

ID=6291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716A Active KR102460242B1 (ko) 2017-01-03 2017-06-2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667B1 (ko) 2019-04-15 2021-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20213861A1 (en) 2019-04-15 2020-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21033977A1 (en) 2019-08-20 2021-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10125379A (ko) 2020-04-08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764U (ko) * 1998-05-07 1999-12-06 전주범 냉장고의 도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084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7128B2 (en) Refrigerator
US11287174B2 (en) Refrigerator
US11402147B2 (en) Refrigerator
US9702614B2 (en) Refrigerator
KR102460242B1 (ko) 냉장고
US9791197B2 (en) Refrigerator with rear panel for accommodating water hose
US11821676B2 (en) Refrigerator
AU2021209313B2 (en) Multi-joint link hing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2044462B2 (en) Refrigerator
KR20170082090A (ko) 냉장고
KR20170082089A (ko) 냉장고
US20240044570A1 (en) Refrigerator
KR20200132608A (ko) 냉장고
CN111742186A (zh) 冰箱
KR20050096341A (ko) 매입형 냉장고
KR20100107161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조립 방법
KR20210157286A (ko) 냉장고
US20230243575A1 (en) Refrigerator
US20240044569A1 (en) Refrigerator
EP3130872B1 (en) Refrigerator
KR101653312B1 (ko) 냉장고
JP2010078282A (ja) 冷蔵庫の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6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