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849B1 - Bi-phased on-off keying(ook)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method - Google Patents
Bi-phased on-off keying(ook)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9849B1 KR102459849B1 KR1020150110586A KR20150110586A KR102459849B1 KR 102459849 B1 KR102459849 B1 KR 102459849B1 KR 1020150110586 A KR1020150110586 A KR 1020150110586A KR 20150110586 A KR20150110586 A KR 20150110586A KR 102459849 B1 KR102459849 B1 KR 102459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ase
- carrier
- controlled oscillator
- transmission sequence
- power ampl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0363 phase shif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1100029848 Arabidopsis thaliana PIP1-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VLBCYQITXONBZ-UHFFFAOYSA-N trimethyl phosphate Chemical compound COP(=O)(OC)OC WVLBCYQITXON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03272 Hyaluronate ly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150 encor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426 transform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4—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28—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 H04L25/03834—Arrangements for spectral shap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signals with specified spectral properties using pulse shap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입력된 데이터를 송신 시퀀스 형태로 부호화하는 데이터 인코더,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쉐이퍼,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두 개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2-위상 컨트롤러,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캐리어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는 2-위상 스위치, 및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 및 펄스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OOK(On Off Keying) 송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A data encoder that encodes input data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sequence, a pulse shaper that generates a pulse based on the time unit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nd randomizes two phases in time units of each element of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a two-phase controller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switch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n Off Keying (OOK) transmitter that includes a power amplifier to generate it.
Description
아래의 실시예들은 바이 페이즈드 온-오프 키잉 송신기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a bi-phased on-off keying transmitter and a communication method.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을 근간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인체에 부착되어 주변의 모바일 장치 또는 인체에 부착된 센서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battery recharge)에 대한 부담 없이 오랜 시간 동안 동작하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에 장착되는 송수신기(transceiver)는 저복잡도 및 저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저전력 RF 구조의 사용과 함께 모뎀(modem)의 변조 복잡도(modulation complexity)가 낮은 송수신기의 사용이 가능하다. 수신 캐리어(carrier)의 위상(phase) 정보 없이 포락선 검출(envelope detection)만으로 데이터의 복구(recovery)가 가능한 OOK 송, 수신기가 WBAN의 저전력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A wearable device based on a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 may be attached to a human body and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nearby mobile device or a sensor attached to the human body. A transceiver mounted in a wearable device to operate for a long time without a burden on battery recharge may be implemented with low complexity and low power.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use a transceiver having a low modulation complexity of a modem along with the use of an ultra-low-power RF structure. An OOK transmitter and receiver capable of data recovery only by envelope detection without phase information of a receiving carrier can be applied to low-power communication of WBAN.
일 실시예에 따르면, OOK(On Off Keying) 송신기는 입력된 데이터를 송신 시퀀스 형태로 부호화하는 데이터 인코더;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비트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쉐이퍼;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element)의 시간 단위로 두 개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2-위상 컨트롤러(Bi-phase controller);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에서 생성된 캐리어(carrier)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는 2-위상 스위치(bi-phased switch); 및 상기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 및 상기 펄스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On Off Keying (OOK) transmitter includes: a data encoder for encoding input data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sequence; a pulse shaper for generating pulses based on bits of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a bi-phase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andomly switching two phases in time units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 two-phase switch (bi-phased switch) for randomly switching a phase of a carrier (carrier) generated by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a power amplifier (PA)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using the phase-shifted carrier and the pulse.
상기 2-위상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랜덤하게 전환할 수 있다. The two-phase switch may randomly switch the phase of the carrier in time units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2-위상 스위치는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할 수 있다. The two-phase switch may randomly switch the phase of the carrier by 0 degrees or 180 degrees in time units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상기 데이터 인코더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시퀀스 패턴(pre-determined sequence pattern)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The data encoder may encode the input data into a pre-determined sequence pattern.
상기 OOK 송신기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상기 2-위상 스위치에게 전달하는 제1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OK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uffer buffering the carrier generated by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transferring the buffer to the two-phase switch.
상기 OOK 송신기는 상기 2-위상 스위치에서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에게 전달하는 제2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OK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ffer for buffering the carrier whose phase is switched in the two-phase switch and transferring the buffer to the power amplifier.
상기 OOK 송신기는 상기 2-위상 스위치에서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에게 전달하는 제2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OK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ffer for buffering the carrier whose phase is switched in the two-phase switch and transferring the buffer to the power amplifier.
일 실시에에 따르면, OOK 송신기는 입력된 데이터를 송신 시퀀스 형태로 부호화하는 데이터 인코더;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쉐이퍼;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두 개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2-위상 컨트롤러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서 생성된 캐리어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고, 상기 펄스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Bi-phasing PA)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OK transmitter includes a data encoder for encoding input data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sequence; a pulse shaper for generating a pulse based on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A two-phase controller tha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randomly switching two phases based on a time unit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nd a phase of a carrier generated by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a bi-phasing power amplifier (Bi-phasing PA) that randomly converts , and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상기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주기 단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may generate the transmission signal by randomly changing the phase of the carrier in units of the period of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는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주기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may generate the transmission signal by randomly changing the phase of the carrier by 0 degrees or 180 degrees in units of a period of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상기 데이터 인코더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시퀀스 패턴(pre-determined sequence pattern)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The data encoder may encode the input data into a pre-determined sequence pattern.
상기 OOK 송신기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상기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에게 전달하는 제1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OK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uffer buffering the carrier generated by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transferring the buffer to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상기 OOK 송신기는 상기 제1 버퍼의 출력을 버퍼링하는 제2 버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OK transmitt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uffer for buffering the output of the first buff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OOK 송신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한 캐리어를 버퍼링하는 버퍼; 및 상기 버퍼링된 캐리어의 위상을 제어 신호에 따라 랜덤하게 전환하고, 펄스- 상기 펄스는 입력된 데이터를 부호화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임 -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OK transmitter includes a buffer for buffering the carrier generated by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a bi-phasing power amplifier that randomly switches the phase of the buffered carri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pulse - the pulse is generated based on a transmission sequence encoding input data. include
상기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는 상기 버퍼링된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주기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상기 펄스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may generate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by randomly changing the phase of the buffered carrier by 0 degrees or 180 degrees in units of the period of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방법은 입력된 데이터를 송신 시퀀스 형태로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 의 각 요소(element)의 시간 단위로 두 개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캐리어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 및 상기 펄스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encoding input data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sequence; generating a pulse based on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andomly switching two phases in units of time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randomly switching a phase of a carrier generated by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using the phase-shifted carrier and the pulse.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andomly shifting the phase of the carrier may include randomly shifting the phase of the carrier by 0 degrees or 180 degrees in time units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생성된 캐리어를 버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buffering the generated carriers generated by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방법은 입력된 데이터를 송신 시퀀스 형태로 부호화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두 개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캐리어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고, 상기 펄스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mmunication method includes: encoding input data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sequence; generating a pulse based on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andomly switching two phases based on a time unit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nd randomly changing a phase of a carrier generated by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주기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transmission signal may include generating the transmission signal by randomly shifting the phase of the carrier by 0 degrees or 180 degrees in units of a period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2-위상 스위치(bi-phased switch)를 포함하는 OOK 송신기의 구조 블록도들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2-위상 스위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Bi-phasing PA)를 포함하는 OOK 송신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의 활성 신호 경로(Active signal Path)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를 다른 형태로 구현한 회로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의 활성 신호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의 위상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OOK 송신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오류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OOK 송신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오류 보상을 위한 코스 튜닝(coarse tuing)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코스 튜닝 회로의 동작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에서 캐리어의 위상을 전환하기 전과 후의 스펙트럼 비교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수신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including a bi-phased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two-phas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timing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including a bi-phasing power amplifier (Bi-phasing PA)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of a bi-phasing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e signal path of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shown in FIG. 6 .
8 is a circuit in which a bi-phasing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another form.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e signal path of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shown in FIG. 8 .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ulation result for a phase change of a bi-phasing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1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including a bi-phasing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including a frequency error compensation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arse tuing circuit for frequency error compens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4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the course tuning circuit shown in FIG. 13 .
15 is a graph illustrating a spectrum comparison result before and after switching a phase of a carrier in an OOK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6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nd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thereto.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2-위상 스위치(bi-phased switch)를 포함하는 OOK 송신기의 구조 블록도들이다. 1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including a bi-phased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100)는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110), 2-위상 스위치(bi-phased switch)(130),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150), 데이터 인코더(Data Encoder)(160), 2-위상 컨트롤러(Bi-phase controller)(170), 및 펄스 쉐이퍼(Pulse Shaper)(180)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110)는 캐리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압 제어 발진기(110)는 캐리어 주파수에 해당하는 RF 발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A , the
전압 제어 발진기(110)에서 생성된 캐리어는 데이터 인코더(160)로부터 펄스 쉐이퍼(180)를 거쳐 전달된 데이터 인코딩된 신호에 의해 이후 전력 증폭기(150)에서 OOK 변조될 수 있다.The carrier generated by the voltage-controlled
2-위상 스위치(130)는 2-위상 컨트롤러(17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110)에서 생성된 캐리어(carrier)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한다. 2-위상 스위치(13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캐리어의 위상을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element)의 시간 단위로 랜덤하게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는 예를 들어, 도 3에서 데이터(310) '0'에 해당하는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320) {0, 1, 1, 0}의 각 요소인 0 또는 1을 전송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2-위상 스위치(130)의 회로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two-
2-위상 스위치(130)는 라인 스펙트럼의 억제를 위해, 예를 들어, 캐리어의 위상을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만큼 랜덤하게 전환할 수 있다. 전압 제어 발진기(110)로부터 출력된 캐리어의 위상이 2-위상 스위치(130)를 거쳐 0도 또는 180 도만큼 랜덤하게 전환된 결과는 도 3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위상 스위치(130)는 전압 제어 발진기(110)와 전력 증폭기(1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OOK 송신기(100)는 2-위상 스위치(130)에 의해 캐리어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여 캐리어가 0도와 180도의 2개의 위상을 가지도록 하는 바이-페이징(Bi-Phas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2-위상 스위치(130)는 2-위상 컨트롤러(17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캐리어의 위상으로 0도와 180도 2개의 값 중에서 어느 한 값을 랜덤하게 취할 수 있다. The two-
전력 증폭기(PA)(150)는 2-위상 스위치(130)를 거쳐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예를 들어, 도 3의 360 참조) 및 펄스 쉐이퍼(180)에서 생성된 펄스(예를 들어, 도 3의 330 참조)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예를 들어, 도 3의 370 참조)를 생성한다. 전력 증폭기(150)는 펄스 쉐이퍼(180)에서 오는 신호에 따라 각 15개의 unit cell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로 제어함으로써 캐리어의 OOK 변조를 수행할 수 있다. A power amplifier (PA) 150 is a phase-shifted carrier (eg, see 360 in FIG. 3 ) via a two-
데이터 인코더(160)는, 시스템에서 미리 주어진 변환 방식을 이용해, 입력된 데이터 시퀀스를 송신 시퀀스로 부호화한다. 데이터 인코더(160)는 예를 들어, 디지털 베이스밴드(Digital baseband)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시퀀스(Data sequence)를 디지털(digital) 값으로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시퀀스 패턴(pre-determined sequence pattern)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인코더(160)는 입력 데이터 시퀀스 1에 해당하는 송신 시퀀스를 그대로 1로 부호화하고, 입력 데이터 시퀀스 0에 해당하는 송신 시퀀스를 그대로 0로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인코더(160)는 입력 데이터 시퀀스 1 에 해당하는 송신 시퀀스를 [1,0,0,1]로 부호화하고, 입력 데이터 시퀀스 0에 해당하는 송신 시퀀스를 [0,1,1,0]로 부호화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데이터 인코더(160)는 입력 데이터 시퀀스의 원소들을 특정한 M개의 복수 개로 구성한 뒤, 서로 다른 입력 데이터 시퀀스에 대해, 특정한 L개의 복수 개의 원소로 구성된 서로 다른 송신 시퀀스를 매핑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data encoder 160 encodes an input data sequence into a transmission sequence by using a transformation scheme previously given in the system. The data encoder 160 may encode, for example, a data sequence provided from a digital baseband into a pre-determined sequence pattern composed of digital values. . For example, the
위 실시예들에서, 데이터 인코더(160)는 송신 시퀀스의 각 원소를 집합 {-1, 0, 1}에서 선택된 원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송신 시퀀스의 각 원소의 종류가 3개인 ternary sequence spreading 에 해당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2-위상 컨트롤러(170)는 데이터 인코더(160)에서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두 개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2-위상 컨트롤러(170)의 제어 신호에 의한 2- 위상 쉬프트(Bi-phase shift)는 데이터 인코더(160)의 출력에 동기를 맞춰 구현될 수 있다. The two-
펄스 쉐이퍼(180)는 스펙트럼 효율(Spectrum Efficienc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데이터 인코더(160)에서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예를 들어, 도 3의 320 참조)에 기초하여 입력된 데이터(예를 들어, 도 3의 310 참조)에 대응하는 펄스(예를 들어, 도 3의 330 참조)를 생성한다. 이때, 펄스 쉐이퍼(180)가 생성하는 펄스의 모양은 디지털 펄스 쉐이핑 필터(digital pulse shaping filter)에 의해 구현된, 양자화된 펄스(quantized pulse)의 모양일 수 있다. The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100)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110), 제1 버퍼(120), 2-위상 스위치(bi-phased switch)(130), 전력 증폭기(150), 데이터 인코더(160), 2-위상 컨트롤러(170), 및 펄스 쉐이퍼(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버퍼(120)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110)와 2-위상 스위치(bi-phased switch)(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버퍼(120)는 전압 제어 발진기(110)에서 생성된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2-위상 스위치(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리어를 버퍼링한다"는 것은 전압 제어 발진기(110)의 주파수가 2-위상 컨트롤러(170)의 제어에 대해 주파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1B , the
도 1(b)의 실시예에서는 전압 제어 발진기(110)와 2-위상 스위치(130) 사이에 제1 버퍼(120)를 추가함으로써 2-위상 스위치(130)의 바이-페이징 동작에 의해 전압 제어 발진기(110)에서 발생하는 위상 잡음 저하(phase noise degradation)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 ( b ), voltage is controlled by the bi-phasing operation of the two-
제1 버퍼(120)는 2-위상 스위치(130) 및 전력 증폭기(150)에 의해 전압 제어 발진기(110)의 출력에 나타나는 임피던스 변화를 최소화 함으로써 바이-페이징 동작으로 인해 전압 제어 발진기(110)에서 발생하는 위상 잡음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도 1(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100)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110), 2-위상 스위치(bi-phased switch)(130), 제2 버퍼(140), 전력 증폭기(150), 데이터 인코더(160), 2-위상 컨트롤러(170), 및 펄스 쉐이퍼(1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C , the
제2 버퍼(140)는 2-위상 스위치(bi-phased switch)(130)와 전력 증폭기(15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버퍼(140)는 2-위상 스위치(130)에서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전력 증폭기(15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력 증폭기(150)의 앞에 제2 버퍼(140)를 추가함으로써 펄스 쉐이퍼(180)의 펄스 쉐이핑(pulse-shaping) 동작으로 인해 전압 제어 발진기(110)의 캐리어에서 발생하는 위상 잡음(phase noise)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제2 버퍼(140)는 전력 증폭기(150)의 펄스 쉐이핑(pulse-shaping) 동작으로 인해 전압 제어 발진기(110)의 부하 임피던스를 흔들어 줌으로써 전암 제어 발진기(110)의 캐리어에 발생하는 위상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도 1(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100)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110), 제1 버퍼(120), 2-위상 스위치(bi-phased switch)(130), 제2 버퍼(140), 전력 증폭기(150), 데이터 인코더(160), 2-위상 컨트롤러(170), 및 펄스 쉐이퍼(1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d ), the
도 1을 통해 설명한 제1 버퍼(120)와 제2 버퍼(10)는 절전(Power saving) 또는 그 밖의 이유들로 인해 1(a)와 같이 그 사용이 배제될 수도 있고, 1(b) 또는 1(c)와 같이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1(d)와 같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The use of the
일 실시예에서는 캐리어의 위상을 칩 레이트(chip rate)의 동기에 맞춰 랜덤하게 바꿔 줌으로써 OOK 송신기(100)의 출력 파형에서 칩 레이트(chip rate) 또는 1/2 칩 레이트로 나타나는 조화 스퍼(Harmonic spur)를 제거할 수 있다. 칩 레이트(chip rate)는 데이터 인코더(160)의 출력에 해당하는 디지털 시퀀스(digital sequence)의 전송율로 이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by randomly changing the phase of the carrier in accordance with the synchronization of the chip rate, the harmonic spur appearing at the chip rate or 1/2 chip rate in the output waveform of the OOK transmitter 100 ) can be removed. The chip rate may be understood as a data rate of a digital sequence corresponding to an output of the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2-위상 스위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2-위상 스위치의 심볼을 나타내고 도 2(b)는 심볼(a)에 대한 상세 회로를 나타낸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two-phas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a) shows a symbol of a two-phase switch and Fig. 2(b) shows a detailed circuit for symbol (a).
일 실시예에 따른 2-위상 스위치의 회로는 총 4개의 전송 게이트(Transmission Gate)들(210, 220, 230, 240)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전송 게이트들(210, 220, 230, 240) 중 2개의 전송 게이트들(210,240)은 0도의 위상 전환(Inphase)을 위한 신호 경로로 이용되고, 나머지 2개의 전송 게이트들(220,230)은 180도의 위상 전환을 위한 신호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때, 180도의 위상 전환을 위한 신호 경로로 이용되는 2개의 전송 게이트들(220,230)은 위상 전환을 위해 신호 경로의 + 단자와 -단자가 서로 크로스(cross)로 연결될 수 있다. A circuit of a two-phase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total of four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3 is a timing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된 데이터(Data)(310), 데이터 인코더에 의해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Encoded data)(320), 펄스 쉐이퍼에 의해 생성된 펄스(Pulse shaping code)(330), 2-위상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Bi-phased control signal)(340), 2-위상 스위치의 입력(350), 2-위상 스위치의 출력(360) 및 OOK 송신기의 송신 신호(OOK TX output)(370)가 도시된다. 여기서, 2-위상 스위치의 입력(350)은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서 생성된 캐리어에 해당하고, OOK 송신기의 송신 신호(OOK TX output)(370)는 전력 증폭기의 출력에 해당한다. Referring to FIG. 3 ,
입력된 데이터(310)의 한 비트(bit)는 데이터 인코어에 의해 예를 들어 '0'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4개의 송신 시퀀스들(320)로 부호화될 수 있다. 입력된 데이터(310)에서 '0'은 송신 시퀀스들(320) '0110'으로 부호화되고, 데이터(310) '1'은 송신 시퀀스들(320) '1001'로 부호화될 수 있다. 이는 데이터 인코더에서 스프레딩 펙터(Spreading factor)가 4인 OOK4로 부호화가 진행된 경우의 예를 나타내지만, 이외에 다른 인코딩 방식으로 부호화 될 수도 있다.One bit of the
펄스 쉐이퍼에 의해 생성된 펄스(330)는 스펙트럼 효율(Spectrum Efficienc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펄스 쉐이퍼가 데이터 인코더에서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320)를 기초로 입력된 데이터(310)에 대응되도록 생성한 펄스이다. 이때, 펄스(330)의 모양은 양자화된 펄스의 모양일 수 있다. The
제어 신호(340)는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320)와 동일한 주기로 '1'과 '-1' 두 개의 위상 상태를 랜덤한 순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1'은 0도 위상 전환(Phase conversion)(Inphase)을, 그리고, '-1'은 180도 위상 전환(Out of phase)을 의미할 수 있다. The
2-위상 스위치의 입력(350), 다시 말해 도 1의 경우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서 생성된 캐리어는 2-위상 스위치를 거쳐 0도와 180도의 2개의 위상을 가지도록 하는 바이-페이징(Bi-Phasing)될 수 있다. 이때, 2-위상 스위치의 출력(360)은 2-위상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캐리어의 위상으로 0도와 180도 2개의 값 중에서 어느 한 값이 랜덤하게 취해질 수 있다. The
2-위상 스위치의 출력(360)은 전력 증폭기에서 펄스 쉐이퍼에 의해 생성된 펄스(330)와 결합되어 OOK 송신기의 송신 신호(OOK TX output)(370)와 같이 출력된다. 2-위상 스위치의 입력(350)에 해당하는 캐리어는 제어 신호(340)에 따라 송신 신호(370)와 같이 가우시안 펄스 형태의 코드(Gaussian Pulse-shaped Code)로 변조될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는 가우시안 펄스 형태를 가정했지만, 인코딩 방식과 마찬가지로 펄스 코드도 가우시안 외에 다른 펄스 형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들은 위상이 전환된 부분들을 나타내고, 이들 중 0도에서 180도로 위상이 전환된 한 예가 301, 303으로 표시되었다.The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4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400)는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410), 버퍼(Buffer)(420),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430), 데이터 인코더(Data Encoder)(440), 2-위상 컨트롤러(Bi-phase controller)(450), 펄스 쉐이퍼(Pulse Shaper)(460), 및 매칭(matching) 블록(47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전압 제어 발진기(410)는 캐리어(carrier)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전압 제어 발진기(410)는 캐리어 주파수에 해당하는 RF(Radio Frequency) 발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The voltage controlled
버퍼(420)는 전압 제어 발진기(110)에서 생성된 캐리어를 버퍼링할 수 있다. The
전력 증폭기(430)는 2-위상 컨트롤러(45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 및 펄스 쉐이퍼(460)에서 생성된 펄스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일 실시예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410)에서 발생한 캐리어는 버퍼(420)를 통과한 후, 전력 증폭기(430)로 연결되어 안테나를 통해 OOK 수신기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전력 증폭기(430)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로 제어함으로써 캐리어의 OOK 변조(On-Off keying Modul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430)는 펄스 형성(Pulse shaping)을 위해 예를 들어, 써모메터 코드(thermometer code)(혹은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로 이루어진 다수(N) 개의 디지털 전력 증폭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디지털 전력 증폭기들을 사용함으로써 캐리어가 온(On) 되는 경우, 전력 증폭기(430)의 진폭(Amplitude)은 N개의 상태(State)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너리 코드의 경우, 전력 증폭기(430)의 진폭은 2^N 개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arrier generated in the voltage controlled
데이터 인코더(440)는, 미리 주어진 변환 방식을 이용해, 입력된 데이터 시퀀스를 송신 시퀀스로 부호화한다. 데이터 인코더(440)는 예를 들어, 디지털 베이스밴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시퀀스를 디지털 값으로 구성된 미리 설정된 시퀀스 패턴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인코더(440)에서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대비하여 M 배로 오버 샘플링(oversampling)된 펄스 쉐이핑 코드(Pulse shaping Code) 값을 N개의 써모메터 코드로 변환하여 N개의 디지털 전력 증폭기들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로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N개의 디지털 전력 증폭기들은 N개의 바이너리 코드로 이루어진 전력 증폭기들일 수 있다. The data encoder 440 encodes an input data sequence into a transmission sequence using a previously given transformation method. The data encoder 440 may encode, for example, a data sequence provided from a digital baseband into a preset sequence pattern composed of digital values. In one embodiment, the
2-위상 컨트롤러(450)는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캐리어의 위상을 0도 및 180도 2개의 위상으로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 신호는 데이터 인코더(440)에서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랜덤하게 캐리어의 위상을 전환함으로써 OOK 송신기에서 나타나는 하모닉 라인 스퍼(Harmonic Line Spur)를 억제(Suppression)할 수 있다. The two-
펄스 쉐이퍼(460)는 데이터 인코더(440)에서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펄스를 생성한다. 데이터 인코더(440)에서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는 예를 들어, 펄스 쉐이퍼(460)에 포함된 디지털 필터(Digital Filter)에 의해 오버 샘플링되어 펄스 쉐이핑 코드로 변환(conversion)될 수 있다. The
매칭 블록(470)은 전력 증폭기(430)의 출력 전력이 최소의 손실로 안테나에게 전달되도록 임피던스를 정합한다. The
일 실시예에서는 RF 영역에서 캐리어의 위상을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예를 들어, 심볼(symbol))의 주기 단위로 0도와 180도로 랜덤하게 전환함으로써 기저대역 심볼(baseband symbol)이 가지는 파워 스펙트럼의 주기성, 예를 들어, 라인 스펙트럼(line spectrum)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eriodicity of the power spectrum of the baseband symbol by randomly switching the phase of the carrier in the RF domain by 0 degrees and 180 degrees in the unit of the period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eg, symbol) , for example, a line spectrum phenomenon may be removed.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Bi-phasing PA)를 포함하는 OOK 송신기의 구조 블록도이다.5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including a bi-phasing power amplifier (Bi-phasing PA)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500)는 전압 제어 발진기(VCO)(410), 버퍼(420),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Bi-phasing PA)(530), 데이터 인코더(440), 2-위상 컨트롤러(450), 및 펄스 쉐이퍼(4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 the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53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410)에서 생성된 캐리어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여 펄스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530)는 제어 신호에 따라 캐리어의 위상을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530)는 라인 스펙트럼의 억제를 위해, 캐리어의 위상을 예를 들어,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530)는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로 제어함으로써 캐리어의 OOK 변조를 수행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530)의 회로 구성은 도 6 또는 도 9와 같다.The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530)를 제외한 구성들은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of a bi-phasing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X-coupled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의 심볼(a) 및 상세 회로(b)가 도시된다. 6, a symbol (a) and a detailed circuit (b) of an X-coupled bi-phasing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shown.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예를 들어, 2-위상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 캐리어의 위상을 0도와 180도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춘 전력 증폭기이다. A bi-phasing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power amplifier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a phase of an output carrier by 0 degrees and 180 degrees according to an externally applied control signal (eg, a control signal of a two-phase controller).
도 6(b)에서 제어 신호는 2-위상 컨트롤러에서 생성되어 1 MHz의 인코딩 데이터 레이트(encoding data rate)로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Unit_PA[15:1])로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는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를 구성하는 커먼 소스 타입(Common Source type)에 연결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인 M1, M2, M3, M4의 게이트 터미널(Gate terminal)로 인가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1과 0의 스위치 컨트롤 신호인 위상 쉬프팅(Phase shifting)(PS) 신호(Our-of-phase, In-phase)일 수 있다. In FIG. 6B , the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two-phase controller and applied to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Unit_PA[15:1]) at an encoding data rate of 1 MHz.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gate terminals of M1, M2, M3, and M4, which are switching transistors (Switching TR) connected to the common source type constituting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The control signal may be, for example, a phase shifting (PS) signal (Our-of-phase, In-phase) that is a switch control signal of 1 and 0.
예를 들어, 제어 신호가 '1'인 경우, 신호의 이득 경로(gain path)로 트랜지스터 M1[15:1]과 M4[15:1]가 턴-온(turns on)될 수 있다. 제어 신호가 '0'인 경우, 신호의 이득 경로로 트랜지스터 M5와 M8이 턴-온 될 수 있다. 제어 신호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의 활성 신호 경로(Active signal Path)는 도 7에 도시된다.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signal is '1', the transistors M1[15:1] and M4[15:1] may be turned on as a gain path of the signal. When the control signal is '0', the transistors M5 and M8 may be turned on as a gain path of the signal. An active signal path of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s shown in FIG. 7 .
가우시안 펄스 쉐이핑(Gaussian Pulse shaping)을 위한 서모메터 코드(thermometer code) TMPA[15:1]은 해당 Unit_PA[15:1]의 케스코드 증폭기(Cascode Amp)의 트랜지스터 M10과 M11의 게이트 각각에 인가될 수 있다. The thermometer code TMPA[15:1] for Gaussian pulse shaping is to be applied to each gate of the transistors M10 and M11 of the Cascode Amp of the Unit_PA[15:1]. can
TMPA 신호는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 예를 들어 인코딩 심볼(encoding symbol)의 6배에 해당하는 6 MHz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로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에 인가될 수 있다. 이때, 한 개의 가우시안 펄스(Gaussian Pulse)를 위해 예를 들어 1, 4, 9, 11, 9, 4, 1 의 총 7개의 샘플링 데이터가 인가될 수 있다. The TMPA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at a sampling rate of 6 MHz corresponding to 6 times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for example, an encoding symbol. In this case, for one Gaussian pulse, for example, a total of 7 sampling data, eg, 1, 4, 9, 11, 9, 4, 1, may be applied.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의 활성 신호 경로(Active signal Path)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e signal path of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shown in FIG. 6 .
도 7을 참조하면, Inphase 신호가 '1'인 경우의 활성 신호 경로(a)와 Inphase 신호가 '0'인 경우의 활성 신호 경로(b)가 도시된다. Inphase 신호가 '1' 인 경우에는 입력 신호의 위상과 출력 신호의 위상이 동일하게 되고, Inphase 신호가 '0' 인 경우에는 입력 신호의 위상과 출력 신호의 위상이 180 도 반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n active signal path (a) when the inphase signal is '1' and an active signal path (b) when the inphase signal is '0' are shown. When the inphase signal is '1', the phase of the input signal and the phase of the output signal are the same, and when the inphase signal is '0', the phase of the input signal and the phase of the output signal may be inverted by 180 degrees.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를 다른 형태로 구현한 회로이다. 상기 예에서 (a)는 다른 형태로 구현된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 회로를 나타내고, (b)는 Unit_PA[N:1]에 대한 상세 회로를 나타낸다.8 is a circuit in which a bi-phasing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another form. In the above example, (a) shows a bi-phasing power amplifier circuit implemented in another form, and (b) shows a detailed circuit for Unit_PA[N:1].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의 활성 신호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Inphase 신호가 '1' 인 경우에는 입력 신호의 위상과 출력 신호의 위상이 동일하게 되고, Inphase 신호가 '0' 인 경우에는 입력 신호의 위상과 출력 신호의 위상이 180 도 반전될 수 있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e signal path of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shown in FIG. 8 . In FIG. 9, when the inphase signal is '1', the phase of the input signal and the phase of the output signal are the same, and when the inphase signal is '0', the phase of the input signal and the phase of the output signal can be inverted by 180 degrees have.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의 위상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mulation result for a phase change of a bi-phasing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 신호에 따라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의 위상이 180도 전환되는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시된다. Inphase 신호가 '1'에서 '0'으로 바뀔 때 및 '0'에서 '1'로 바뀔 때,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에 입력된 캐리어의 위상이 각각 180도씩 반전되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a simulation result in which the phase of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is changed by 180 degre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s shown. When the inphase signal is changed from '1' to '0' and from '0' to '1', it can be seen that the phase of the carrier input to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is inverted by 180 degrees and output.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Bi-phasing PA)를 포함하는 OOK 송신기의 구조 블록도이다.11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including a bi-phasing power amplifier (Bi-phasing P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싱예에 따른 OOK 송신기(1100)는 전압 제어 발진기(410), 제3 버퍼(1120), 제4 버퍼(1130),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530), 데이터 인코더(440), 2-위상 컨트롤러(450), 및 펄스 쉐이퍼(4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1 , the
제3 버퍼(1120)는 전압 제어 발진기(410)에서 생성된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제4 버퍼(1120)에게 전달할 수 있다. The
제4 버퍼(1130)는 제3 버퍼(1120)의 출력을 버퍼링하여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53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2 버퍼(1130)에 의해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1140)로 인한 전압 제어 발진기(VCO)(410)의 로드 풀링(Load pulling)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제3 버퍼(1120) 및 제4 버퍼(1130)를 제외한 구성들은 도 4 및 도 5의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실시예에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전압 제어 발진기(VCO)(410), 제3 버퍼(1120) 및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530)만을 포함하는 형태의 OOK 송신기를 고려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3 버퍼(1120)는 전압 제어 발진기(410)에서 생성한 캐리어를 버퍼링하고,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530)는 제3 버퍼(1120)에서 버퍼링된 캐리어의 위상을 제어 신호에 따라 랜덤하게 전환하여, 펄스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펄스는 입력된 데이터를 부호화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530)는 버퍼링된 캐리어의 위상을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펄스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OOK transmitter including only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410 , a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오류(error)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OOK 송신기의 구조 블록도이다.12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transmitter including a frequency error compensation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는 크리스탈 오실레이터(XO)(1205), 코스 튜닝부(CT)(1210), 전압 제어 발진기(VCO)(1215), 버퍼(1220), 전력 증폭기(1230), 매칭 블록(1240), 데이터 인코더(1250), 2-위상 컨트롤러(1260), 및 펄스 쉐이퍼(1270)를 포함한다. 12 , the OOK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rystal oscillator (XO) 1205 , a coarse tuning unit (CT) 1210 ,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1215 , a buffer 1220 , and a power amplifier. 1230 , a matching block 1240 , a data encoder 1250 , a two-phase controller 1260 , and a pulse shaper 1270 .
여기서, 전압 제어 발진기(1215), 버퍼(1220), 전력 증폭기(1230), 매칭 블록(1240), 데이터 인코더(1250), 2-위상 컨트롤러(1260), 및 펄스 쉐이퍼(1270)의 동작은 도 1에서 설명한 전압 제어 발진기(110), 버퍼(120), 전력 증폭기(130), 데이터 인코더(140), 2-위상 컨트롤러(150), 펄스 쉐이퍼(160), 및 매칭 블록(17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해당 부분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Here, the operation of the voltage controlled
크리스탈 오실레이터(XO)(1205)는 기준 주파수(Reference Frequency)를 생성한다. A crystal oscillator (XO) 1205 generates a reference frequency.
코스 튜닝부(CT)(1210)는 전압 제어 발진기(1315)의 발진 주파수를 코스 튜닝(coarse tuning)할 수 있다. 코스 튜닝부(CT)(1210)의 코스 튜닝 방법에 대하여는 도 1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도 13에서 설명하는 코스 튜닝(coarse tuing)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The coarse tuning unit (CT) 1210 may coarsely tune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15 . A course tuning method of the course tuning unit (CT) 12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12 may constitute a coarse tuning circuit described in FIG. 13 .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수신기는 OOK 변조를 사용하므로 데이터의 복조 시에 포락선 검출을 수행한다. 때문에, 캐리어의 정확한 위상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송신기의 주파수 정확도(frequency accuracy)에 대한 민감도(sensitivity)에 비해 수신기의 민감도 또한 낮다. Since the OOK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uses OOK modulation, envelope detection is performed when demodulating data. Therefore, accurate phase information of the carrier is not required, and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r is also low compared to the sensitivity of the transmitter for frequency accuracy.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 수신기는 상술한 특성들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전력 소비량이 큰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 PLL)를 계속 구동하는 대신에, 온/오프 사이클에 따른 코스 튜닝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위상 고정 루프는 온/오프 사이클에 따라 송신 및 수신 캐리어의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OOK transmitter and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use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to continuously drive a phase locked loop (PLL) with a large relative power consumption, instead of continuously driving a phase locked loop (PLL) with a large relative power consumption, it is driven in a course tuning method according to the on/off cycle. can In this case, the phase locked loop may control the frequencies of the transmit and receive carriers according to the on/off cycle.
일 실시예에서는 다중 채널의 주파수 튜닝을 위해 코스 튜닝을 사용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coarse tuning may be used for frequency tuning of multiple channels.
코스 튜닝부(CT)(1210)는 고분해능(fine resolution)을 갖는 15-비트 커패시터 뱅크(미도시)를 사용해 주파수를 추적(tracking)할 수 있다. 15-비트 커패시터 뱅크는 전압 제어 발진기(1215)의 구성 요소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커패시터 뱅크를 사용함으로써 타겟 채널 주파수를 고정(lock)한 후에 코스 튜닝부(CT)(1210)를 불활성화(deactivation)하더라도 주파수 드리프트(frequency drift)가 많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coarse tuning unit (CT) 1210 may track the frequency using a 15-bit capacitor bank (not shown) having fine resolution. The 15-bit capacitor bank is a component of the voltage controlled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송신 신호의 전송이 시작되기 전에 코스 튜닝부(CT)(1210)를 이용하여 주파수 튜닝을 진행하고,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에는 코스 튜닝부(CT)(1210)의 전원을 오프하는 주기적인 듀티 사이클(Periodic duty-cycle)에 따라 주파수를 합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기적인 듀티 사이클에 따라 주파수를 합성함으로써 위상 고정 루프에서의 주파수 합성으로 인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the frequency tuning is performed using the coarse tuning unit (CT) 1210 before the transmission of the transmission signal starts, and the power of the coarse tuning unit (CT) 1210 is turned on while the transmission signal is transmitted. The frequency may be synthesized according to a periodic duty cycle that is turned off. By synthesizing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eriodic duty cycle as described above, power consumption due to frequency synthesizing in the phase-locked loop can be minimized.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오류 보상을 위한 코스 튜닝(coarse tuing) 회로의 개략도이다.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arse tuing circuit for frequency error compens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주기적인 듀티 사이클에 따라 동작하는 코스 튜닝부(1330)의 기능 블록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13 , a functional block of the
코스 튜닝부(1330)가 채널 정보(channel information) CH_SEL<4:0>을 수신하면, 맵핑 테이블(Mapping table)(1335)은 그 채널 정보를 해당 참조 채널 코드(reference channel code) CH_REF<17:0>으로 전환(conversion)한다. When the
전압 제어 발진기(1350)에서 생성된 발진 주파수는 디바이더(divider)(1331)에 의해 2로 나누어져 18-비트 카운터(1332)로 입력될 수 있다. 카운터(1332)의 출력 VCO_CNT<17:0>은 코스 튜닝 제어부(CT Controller)(1333)에서 참조 채널 코드 CH_REF<17:0>과 비교될 수 있다.The oscillation frequency generated by the voltage controlled
이후, 코스 튜닝 제어부(1333)는 카운터(1332)의 출력과 참조 채널 코드 간의 비교 및 연속적인 SAR(Successive Approximation Register) 로직을 바탕으로 튜닝 제어부(Tuning Controller)(1334)에게 업(Up) 또는 다운(Down)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urse
이러한 주파수 추적 루프(tracking loop)를 통해 전압 제어 발진기(1350)의 Coarse Cap[9:0], Fine Cap[4:0]은 타겟 주파수에 맞게 조정되고 고정될 수 있다. 이때, 18-비트 카운터(1332)의 활성화 시간(Activation time)에 따라 추적 루프의 정확도 및 고정 시간이 트레이드-오프(trade-off)될 수 있다. 18-비트 카운터(1332)는 EN_CNT = '1'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Coarse Cap[9:0] and Fine Cap[4:0] of the voltage controlled
일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코스 튜닝은 120xREF_CLK의 활동 시간을 가지는 코스 트랙킹(Coarse Tracking)과 1000xREF_CLK 의 활동 시간을 가지는 파인 트랙킹(Fine Tracking)의 2개의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Course tuning performed in an embodiment may be performed in two steps: coarse tracking having an active time of 120xREF_CLK and fine tracking having an active time of 1000xREF_CLK.
먹스 (MUX)(1337)는 C/F_MODE 신호에 따라 코스 트랙킹 제어신호 C_R<12:0>과 파인 트랙킹 제어신호 F_R<12:0>를 선택하여 레퍼런스 디바이더(Reference Divider)(1336)으로 전송 할 수 있다.The
주파수 계산이 완료된 이후에, 코스 튜닝부(1330)에서는 튜닝 제어부(Tuning Controller)(1334)를 제외한 거의 모든 블록들의 전력이 오프될 수 있다. 도 1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각 블록들(1331, 1332, 1333, 1335, 1336, 1337)은 주파수 연산이 완료된 이후에 전력이 오프 됨을 나타낸다. After the frequency calculation is completed, in the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코스 튜닝 회로의 동작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14에서 18-비트 카운터는 해당 카운터에 인가되는 신호 EN_CNT가 하이(High) 또는 '1' 일 때, 카운팅을 시작한다. 신호 EN_CNT가 로우(Low) 또는 '0'이 되면, 코스 튜닝 제어부로 인가되는 신호(EN_COMP), 튜닝 제어부로 인가되는 신호(EN_CTUNE), 및 18 비트 카운터로 인가되는 리셋 신호(RST_CNT)가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면서 코스 튜닝 제어부에서의 비교, 커패시터 뱅크 값의 갱신 및 카운터의 리셋 동작 등이 진행될 수 있다. 각 신호들(RST_CNT, EN_CNT, EN_COMP, EN_CTUNE)은 크리스탈 오실레이터에서 생성된 기준 클럭을 기준 디바이더(Reference Divider)에 의해 디바이딩하여 얻을 수 있다. 14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the course tuning circuit shown in FIG. 13 . 14 , the 18-bit counter starts counting when the signal EN_CNT applied to the counter is high or '1'. When the signal EN_CNT becomes low or '0', the signal EN_COMP applied to the coarse tuning control unit, the signal EN_CTUNE applied to the tuning control unit, and the reset signal RST_CNT applied to the 18-bit counter are sequentially While being activated, comparison in the course tuning controller, updating of capacitor bank values, and resetting of counters may be performed. Each of the signals RST_CNT, EN_CNT, EN_COMP, and EN_CTUNE may be obtained by dividing the reference clock generated by the crystal oscillator by a reference divider.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송신기에서 캐리어의 위상을 전환하기 전(a)과 후(b)의 스펙트럼 비교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5 is a graph illustrating a spectrum comparison result before (a) and after (b) changing a phase of a carrier in an OOK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1 M chip/sec의 레이트로 랜덤하게 캐리어의 위상을 바꿔준 결과, 1 MHz 간격으로 나타났던 라인 스퍼가 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 as a result of randomly changing the phase of a carrier at a rate of 1 M chip/sec, it can be seen that line spurs appearing at intervals of 1 MHz disappear.
일 실시예에서는 2-위상 스위치 또는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에 의해 캐리어를 바이 페이징 함으로써 전송 스펙트럼 상에 존재하는 하모닉 스퍼를 제거할 수 있으며, OOK 송신기의 스펙트럼 마스크 정합 및 송신 신호 품질의 저하 또한 해소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by bi-phasing the carrier by a two-phase switch or a bi-phasing power amplifier, harmonic spurs present on the transmit spectrum can be removed, and the spectral mask matching of the OOK transmitter and deterioration of the transmit signal quality can also be eliminated. have.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수신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16 is a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n OOK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OOK 수신기(1600)는 RF/아날로그 블록(1610), 포락선 검출기(Envelope Detector)(1620), ADC(Analog-Digital Converter)(1630), 데이터 디코더(Data Decoder)(16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6 , an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RF/아날로그 블록(1610)을 통해 증폭되고, 증폭된 변조 캐리어(modulated carrier)는 포락선 검출기(1620)를 통해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될 수 있다.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may be amplified through the RF/
이때, 포락선 검출기(1620)는 제곱(Square) 연산에 의해 신호를 복조하므로 일 실시예에서 라인 스퍼를 제거하기 위해 삽입한 바이 페이징은 복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ADC(1630)(혹은 비교기(Comparator))를 통해 디지털화 된 신호는 데이터 디코더(1640)를 통해 데이터 시퀀스로 복원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OOK 수신기(1600)는 포락선 검출을 통해 신호를 복조하므로,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주기로 나타나는 캐리어의 랜덤화된 부호 전환은 복조 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입력된 데이터를 송신 시퀀스 형태로 부호화한다(1710).Referring to FIG. 17 ,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encodes input data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sequence ( 1710 ).
송신기는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펄스를 생성한다(1720).The transmitter generates a pulse corresponding to the input data based on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 1720 ).
송신기는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두 개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1730).The transmitt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randomly switching two phases based on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1730).
송신기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캐리어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한다(1740). 송신기는 제어 신호에 따라 캐리어의 위상을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randomly switches the phase of the carrier generated by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1740). The transmitter may randomly switch the phase of the carrier by 0 degrees or 180 degrees in time units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송신기는 단계(1740)에서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 및 단계(1720)에서 생성된 펄스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1750).The transmitter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using the phase-shifted carrier in
송신기는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생성된 캐리어를 버퍼링한 후, 단계(1740)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송신기는 단계(1740)에서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를 버퍼링한 후, 단계(1750)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may perform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입력된 데이터를 송신 시퀀스 형태로 부호화한다(1810).Referring to FIG. 18 ,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encodes input data into a transmission sequence form ( 1810 ).
송신기는 단계(1810)에서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펄스를 생성한다(1820).The transmitter generates a pulse corresponding to the input data based on the transmitted sequence encoded in step 1810 ( 1820 ).
송신기는 단계(1810)에서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1830). 제어 신호는 두 개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The transmitter generate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in step 1810 ( 1830 ). The control signal is for randomly switching the two phases.
송신기는 단계(183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캐리어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여 펄스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1840). 단계(1840)에서, 송신기는 제어 신호에 따라 캐리어의 위상을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randomly switches the phase of the carrier generated by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도 1 내지 도 15를 통하여 전술한 사항들은 도 17 및 도 18의 통신 방법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 to 15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communication method of FIGS. 17 and 18 , and thu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array (FP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OOK 송신기
110: 전압 제어 발진기(VCO)
120: 버퍼(Buffer)
130: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140: 데이터 인코더(Data Encoder)
150: 2-위상 컨트롤러(Bi-phase controller)
160: 펄스 쉐이퍼(Pulse Shaper)
170: 매칭(matching) 블록100: OOK transmitter
110: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120: Buffer
130: Power Amplifier (Power Amplifier)
140: data encoder (Data Encoder)
150: Bi-phase controller
160: Pulse Shaper
170: matching block
Claims (20)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비트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쉐이퍼;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element)의 시간 단위로 캐리어의 위상을 두 개의 위상들 사이에서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2-위상 컨트롤러(Bi-phase controller);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에서 생성된 상기 캐리어(carrier)의 위상을 바이-페이징 동작에 의해 랜덤하게 전환하는 2-위상 스위치(bi-phased switch);
상기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 및 상기 펄스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 및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와 상기 2-위상 스위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바이-페이징 동작에 의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줄이기 위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서 생성된 상기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상기 2-위상 스위치에게 전달하는 제1 버퍼를 포함하는 OOK(On Off Keying) 송신기.a data encoder that encodes the input data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sequence;
a pulse shaper for generating pulses based on bits of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a bi-phase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andomly switching a phase of a carrier between two phases in units of time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 bi-phased switch that randomly switches a phase of the carrier generated by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by a bi-phasing operation;
a power amplifier (PA)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using the phase-shifted carrier and the pulse;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the two-phase switch, and buffers the carrier generated in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to reduce a change occurring in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by the bi-phasing operation, - OOK (On Off Keying) transmitter including a first buffer to pass to the phase switch.
상기 2-위상 스위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랜덤하게 전환하는, OOK 송신기.According to claim 1,
The two-phase switch is
An OOK transmitter that randomly switches the phase of the carrier in time units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2-위상 스위치는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는, OOK 송신기.3. The method of claim 2,
The two-phase switch is
An OOK transmitter that randomly shifts the phase of the carrier by 0 degrees or 180 degrees in time units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상기 데이터 인코더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시퀀스 패턴(pre-determined sequence pattern)으로 부호화하는, OOK 송신기.According to claim 1,
The data encoder
An OOK transmitter that encodes the input data into a preset sequence pattern (pre-determined sequence pattern).
상기 2-위상 스위치에서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에게 전달하는 제2 버퍼
를 더 포함하는, OOK 송신기.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buffer for buffering the phase-shifted carrier in the two-phase switch and transferring it to the power amplifier
Further comprising, OOK transmitter.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 쉐이퍼;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캐리어의위상을 두 개의 위상들 사이에서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2-위상 컨트롤러;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서 생성된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바이-페이징 동작에 의해 랜덤하게 전환하고, 상기 펄스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Bi-phasing PA); 및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와 상기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바이-페이징 동작에 의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줄이기 위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VCO)에서 생성된 상기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상기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에 전달하는 제1 버퍼
를 포함하는, OOK 송신기.a data encoder that encodes the input data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sequence;
a pulse shaper for generating a pulse based on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a two-phase controlle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andomly switching a phase of a carrier between two phases based on a time unit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 bi-phasing power amplifier (Bi-phasing PA) that randomly switches the phase of the carrier generated by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O)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by a bi-phasing operation and generates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and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and buffers the carrier generated by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VCO) to reduce a change occurring in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by the bi-phasing operation. first buffer to pass to the paging power amplifier
Including, OOK transmitter.
상기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주기 단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OOK 송신기.9. The method of claim 8,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is
An OOK transmitter for generating the transmission signal by randomly changing the phase of the carrier in units of a period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는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주기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OOK 송신기.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is
An OOK transmitter for generating the transmission signal by randomly switching the phase of the carrier by 0 degrees or 180 degrees in a cycle uni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상기 데이터 인코더는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시퀀스 패턴(pre-determined sequence pattern)으로 부호화하는, OOK 송신기.9. The method of claim 8,
The data encoder
An OOK transmitter that encodes the input data into a preset sequence pattern (pre-determined sequence pattern).
상기 제1 버퍼의 출력을 버퍼링하는 제2 버퍼
를 더 포함하는, OOK 송신기.9. The method of claim 8,
a second buffer for buffering the output of the first buffer
Further comprising, OOK transmitter.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한 캐리어를 버퍼링하는 버퍼; 및
상기 버퍼링된 캐리어의 위상을 제어 신호에 따라 두 개의 위상들 사이에서 바이-페이징 동작에 의해 랜덤하게 전환하고, 펄스- 상기 펄스는 입력된 데이터를 부호화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임 -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
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와 상기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바이-페이징 동작에 의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줄이기 위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한 상기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상기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에 전달하는, OOK 송신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 buffer for buffering the carriers generated by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The phase of the buffered carrier is randomly switched between two phas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by a bi-phas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pulse-the pulse is generated based on a transmission sequence encoding input data A bi-phasing power amplifier that generates a transmit signal to
including,
the buffer is
It is located between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and buffers the carrier generated by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order to reduce a change occurring in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by the bi-phasing operation, and thereby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Forwarding to, OOK transmitter.
상기 바이 페이징 전력 증폭기는
상기 버퍼링된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주기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상기 펄스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OOK 송신기.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bi-phasing power amplifier is
OOK transmitter for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by randomly shifting the phase of the buffered carrier by 0 degrees or 180 degrees in period units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element)의 시간 단위로 캐리어의 위상을 두 개의 위상들 사이에서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바이-페이징 동작에 의해 랜덤하게 전환하는 단계;
상기 바이-페이징 동작에 의해 상기 캐리어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줄이기위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캐리어를 버퍼링하여 전달하는 단계;
상기 버퍼링된 캐리어, 상기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 및 상기 펄스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encoding the input data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sequence;
generating a pulse based on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andomly switching a phase of a carrier between two phases in units of time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randomly switching the phase of the carrier generated by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by a bi-phasing operation;
buffering and transferring carriers generated in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to reduce a change occurring in the carrier by the bi-phasing operation;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using the buffered carrier, the phase-shifted carrier, and the pulse
comprising, a communication method.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랜덤하게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ep of randomly switching the phase of the carrier
Randomly shifting the phase of the carrier by 0 degrees or 180 degrees in time units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method.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에 기초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각 요소의 시간 단위에 기초하여 캐리어의 위상을 두 개의 위상들 사이에서 랜덤하게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생성된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바이-페이징 동작에 의해 랜덤하게 전환하는 단계;
상기 바이-페이징 동작에 의해 상기 캐리어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줄이기 위해 상기 캐리어를 버퍼링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링된 캐리어, 및 상기 위상이 전환된 캐리어, 상기 펄스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encoding the input data in the form of a transmission sequence;
generating a pulse based on the encoded transmission sequence;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randomly switching a phase of a carrier between two phases based on a time unit of each elemen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randomly switching the phase of the carrier generated by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by a bi-phasing operation;
buffering the carrier to reduce changes occurring in the carrier by the bi-paging operation; and
generating a transmission signal using the buffered carrier, the phase-shifted carrier, and the pulse
Including, a communication method.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캐리어의 위상을 상기 부호화된 송신 시퀀스의 주기 단위로 0도 또는 180 도로 랜덤하게 전환하여 상기 송신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tep of generating the transmission signal is
generating the transmission signal by randomly shifting the phase of the carrier by 0 degrees or 180 degrees in a cycle unit of the coded transmission sequen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016,566 US9621197B2 (en) | 2015-03-10 | 2016-02-05 | Bi-phased on-off keying (OOK)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method |
US15/412,803 US9871681B2 (en) | 2015-03-10 | 2017-01-23 | Bi-phased on-off keying (OOK)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50032951 | 2015-03-10 | ||
KR1020150032951 | 2015-03-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0018A KR20160110018A (en) | 2016-09-21 |
KR102459849B1 true KR102459849B1 (en) | 2022-10-28 |
Family
ID=5708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0586A Active KR102459849B1 (en) | 2015-03-10 | 2015-08-05 | Bi-phased on-off keying(ook)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9849B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401381A (en) * | 2006-03-13 | 2009-04-01 | 交互数字技术公司 | Digital transmitter |
KR102105322B1 (en) * | 2013-06-17 | 2020-04-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Transmitter and receiv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KR102211727B1 (en) * | 2014-01-20 | 2021-02-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Digital phase lock loop, method to control digital phase lock loop and ultra low power transceiver using digital phase lock loop |
KR102516356B1 (en) * | 2016-01-07 | 2023-03-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tuning frequency |
KR102644945B1 (en) * | 2018-12-14 | 2024-03-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device to supply clock frequency |
-
2015
- 2015-08-05 KR KR1020150110586A patent/KR10245984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10018A (en) | 2016-09-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71681B2 (en) | Bi-phased on-off keying (OOK)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method | |
KR102219763B1 (en) | Phase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a local oscillator generator operating in a non-continuous manner | |
KR20140130221A (en) | Frequency synthesizer architecture in a time-division duplex mode for a wireless device | |
US9088333B2 (en) | Receiver | |
KR102516356B1 (en) | Device and method for tuning frequency | |
JP2008160812A5 (en) | ||
CN106506018A (en) | An All-Digital AIS Receiver System Based on Radio Frequency Direct Sampling | |
KR20130132403A (en) | Modular frequency divider and mixer configuration | |
US20080212658A1 (en) |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of signals using a direct digital frequency synthesizer (ddfs) | |
JP5354293B2 (en) | Phase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phase synchronization method | |
KR102459849B1 (en) | Bi-phased on-off keying(ook)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method | |
US9397689B2 (en) | Interpolator systems and methods | |
JP2006254412A (en) | Pulse modul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
KR20210057416A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 |
JP6755093B2 (en) | Wireless transmitter an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 |
US11979846B2 (en) | Synchronization of receiver and transmitter local oscillators for ranging applications | |
JP4408091B2 (en) |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wireless transmitter | |
JP4408092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transmitter | |
US12212326B2 (en) | Wireless transmitter with improved data rate | |
KR102490778B1 (en) | Low power qfsk demodulator based on injection-locking ring osc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JP4327695B2 (en) |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and wireless transmitter | |
JP6950043B2 (en) | Wireless transmitter an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 |
JP2011109518A (en) |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er | |
JP4283714B2 (en) | Transmission signal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 |
KR102391690B1 (en) | Low power fsk demodulator based on injection-locking ring osc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8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