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9257B1 - 고강도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시트 - Google Patents

고강도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257B1
KR102459257B1 KR1020167037089A KR20167037089A KR102459257B1 KR 102459257 B1 KR102459257 B1 KR 102459257B1 KR 1020167037089 A KR1020167037089 A KR 1020167037089A KR 20167037089 A KR20167037089 A KR 20167037089A KR 102459257 B1 KR102459257 B1 KR 102459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teel sheet
less
sheet
coo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745A (ko
Inventor
군힐드 세실리아 푀예르
잔 마이유
Original Assignee
아르셀러미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0235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45925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셀러미탈 filed Critical 아르셀러미탈
Publication of KR20170027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2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push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1000 MPa 보다 큰 항복 강도 (YS), 1150 MPa 보다 큰 인장 강도 (TS) 및 8% 보다 큰 총 연신율 (E) 을 갖는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중량 % 로 0.19% 내지 0.22% C, 2% 내지 2.6% Mn, 1.45% 내지 1.55% Si, 0.15% 내지 0.4% Cr, 0.020% 보다 적은 P, 0.011% 보다 적은 S, 0.008% 보다 적은 N, 0.015% 내지 0.070% Al 을 포함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들인 강으로부터 압연을 통해 압연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 상기 압연된 강 시트를 어닐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어닐링하는 단계는 100초 내지 210초의 시간동안 860℃ 내지 890℃ 의 어닐링 온도 (TA) 로 상기 압연된 강 시트를 소킹 (soaking)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압연된 강 시트를 어닐링하는 단계, - 220℃ 내지 330℃ 의 켄칭 온도 (TQ) 로 상기 어닐링된 강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로서, 상기 냉각하는 단계는 적어도 500℃ 의 최초 냉각 온도 (TC) 로부터 상기 켄칭 온도 (TQ) 로 적어도 15℃/s 의 냉각 속도로 상기 어닐링된 강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어닐링된 강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 - 380℃ 보다 높은 제 1 과시효 온도 (TOA1) 까지 115초 내지 240초의 시간 동안 상기 강 시트를 가열하고, 그 후 420℃ 내지 450℃ 의 제 2 과시효 온도 (TOA2) 까지 300초 내지 610초의 시간 동안 상기 강 시트를 가열하는 단계, - 5℃/s 보다 느린 냉각 속도로 100℃ 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강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강 시트의 조직은 80% 보다 많은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5% 보다 많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5% 보다 적은 페라이트, 5% 보다 적은 베이나이트 및 6% 보다 적은 새로운 마텐자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강도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시트{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SHEET OBTAINED}
본 발명은 작업성 및 항복 강도에서 우수한 고강도 강 시트들 및 고강도 강 시트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레일러들, 트롤리들, 버스들, 트럭들, 농업 기계들, 쓰레기차들, 자동차 부품들 등과 같은 다양한 장비들을 제작하도록, DP (2 상) 강들 또는 TRIP (변태 유기 소성 :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강들로 제조된 고강도 강 시트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구비한 마텐자이트 조직을 갖고 약 0.2% C, 약 2% Mn, 약 1.7% Si 를 포함하는 그러한 강들, 예를 들면 TRIP 강들의 일부는 약 980 MPa 의 인장 강도 (TS), 약 750 MPa 의 항복 강도 (YS) 및 8% 보다 큰 연신율 (E) 을 갖는다.  이들 시트들은 시트들이 몇백초 유지되는 과시효 (overaging) 섹션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어닐링 라인들에서 제조된다.
이들 강들로 제조된 장비들의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양호한 작업성을 갖는 데 필수적인 연신율을 감소시키지 않고 그리고 용접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인장 강도 및 항복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DP 또는 TRIP 강들에 있어서, 1500 MPa 보다 큰 인장 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할 지라도, 연신율이 8% 보다 클 때에 항복 강도는 950 MPa 보다 낮게 유지되고 항복 강도가 1000 MPa 보다 클 때에, 연신율은 8% 에 달하지 못한다.
2.6% 보다 많게 그러한 강들의 Mn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그리고 Ti 와 같은 일부 마이크로합금 원소들을 첨가함으로써, 1000 MPa 보다 큰 항복 강도, 1150 MPa 보다 큰 인장 강도 및 8% 보다 큰 연신율을 갖는 시트들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Mn 함량의 증가에 대한 요구는 편석 현상들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단점을 갖고, Ti 와 같은 원소들의 첨가에 대한 요구는 작은 침전물들로 인해 총 연신율을 감소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약 0.25% 의 Mo 를 첨가시킴으로써 그러한 특징들을 얻는 것이 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첨가로 시트들은 양호한 조건들에서 냉간 압연될 수 없다. 따라서, 열간 압연의 제한들로 인해, 요구된 두께를 갖는 시트들을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너무 많은 Mn 및/또는 마이크로합금 원소들을 첨가하지 않고, 시트가 몇백초 유지되는 과시효 섹션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어닐링 라인을 사용하여, 1000 MPa 보다 큰 항복 강도, 1150 MPa 보다 큰 인장 강도 및 8% 보다 큰 연신율을 갖는 냉간 압연된 강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여지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1000 MPa 보다 큰 항복 강도 (YS), 1150 MPa 보다 큰 인장 강도 (TS) 및 8% 보다 큰 총 연신율 (E) 을 갖는 강 시트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 중량 % 로, 0.19% 내지 0.22% C, 2% 내지 2.6% Mn, 1.45% 내지 1.55% Si, 0.15% 내지 0.4% Cr, 0.020% 보다 적은 P, 0.011% 보다 적은 S, 0.008% 보다 적은 N, 0.015% 내지 0.070% Al 을 포함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들인 강으로부터 압연을 통해 강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 압연된 강 시트를 어닐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어닐링하는 단계는 100초 내지 210초의 시간 동안 860℃ 내지 890℃ 의 어닐링 온도 (TA) 로 시트를 소킹 (soaking)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압연된 강 시트를 어닐링하는 단계,
- 220℃ 내지 330℃ 의 켄칭 (quenching) 온도 (TQ) 로 어닐링된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로서, 상기 냉각하는 단계는 적어도 500℃ 의 최초 냉각 온도 (TC) 로부터 켄칭 온도 (TQ) 로 적어도 15℃/s 의 냉각 속도로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어닐링된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
- 380℃ 보다 높은 제 1 과시효 온도 (TOA1) 까지 115초 내지 240초의 시간 동안 강 시트를 가열하고, 그 후 420℃ 내지 450℃ 의 제 2 과시효 온도 (TOA2) 까지 300초 내지 610초의 시간 동안 시트를 가열하는 단계 및,
- 5℃/s 보다 느린 냉각 속도로 100℃ 보다 낮은 온도로 강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강 시트는 80% 보다 많은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5% 보다 많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5% 보다 적은 페라이트, 5% 보다 적은 베이나이트 및 6% 보다 적은 새로운 마텐자이트를 포함하는 조직을 갖는다.
어닐링은 90초 내지 190초의 시간 동안 어닐링 온도 (TA) 내지 795℃ 의 온도로 시트를 소킹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소킹하는 제 2 단계와 냉각하는 단계 사이에, 소킹하는 제 2 단계의 종단시의 온도로부터 최초 냉각 온도 (TC) 로 7℃/s 내지 16℃/s 의 냉각 속도로 최초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압연을 통한 강 시트의 제조는:
- 1030℃ 보다 높은 온도로 본 발명에 따른 강으로 제조된 슬래브를 가열하는 단계,
- 880℃ 보다 높은, 바람직하게 890℃ 내지 910℃ 의 압연 온도의 한도로 2 mm 내지 3 mm 의 두께를 갖는 열간 압연된 시트를 얻도록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
- 520℃ 내지 600℃, 바람직하게 550℃ 내지 570℃ 의 온도로 열간 압연된 시트를 코일링하는 단계,
- 0.7 mm 내지 1.5 mm 의 두께를 갖는 냉간 압연된 시트를 얻도록 50% 내지 60% 의 압하율로 열간 압연된 시트를 냉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코일링하는 단계와 냉간 압연하는 단계 사이에, HNX 분위기 하에서 30 시간보다 많은 시간 동안 600℃ 내지 700℃ 의 온도로 배치 어닐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중량 % 로, 0.19% 내지 0.22% C, 2% 내지 2.6% Mn, 1.45% 내지 1.55% Si, 0.15% 내지 0.4% Cr, 0.020% 보다 적은 P, 0.0011% 보다 적은 S, 0.008% 보다 적은 N, 0.015% 내지 0.07% Al 을 포함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들인 강으로 제조된 1000 MPa 보다 큰 항복 강도 (YS), 1150 MPa 보다 큰 인장 강도 (TS) 및 8% 보다 큰 총 연신율 (E) 을 갖는 고강도 강-시트에 관한 것이고, 강은 80% 보다 많은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5% 보다 많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5% 보다 적은 페라이트, 5% 보다 적은 베이나이트 및 6% 보다 적은 새로운 마텐자이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조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잔류 오스테나이트에서 탄소의 양은 적어도 0.9% 이고 바람직하게 최대 1.5%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잔류 오스테나이트에서 탄소의 양은 0.9% 내지 1.2% 이다.
본 발명은 지금부터 제한들을 도입하지 않고 예로서 예시되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조성은 중량 % 로:
- 충분한 연신율을 얻는 것이 필수적인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개선시키고 만족스러운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0.19% ≤ C ≤0.22% 를 포함한다. 탄소 함량이 너무 높으면, 열간 압연된 시트는 냉간 압연하기에 너무 경질로 되고 용접성이 불충분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조성은 중량 % 로:
- 2% ≤Mn ≤2.6% 을 포함한다. 망간 함량은 시트가 제작될 연속적인 어닐링 라인의 냉각 능력을 고려하여 적어도 80% 의 템퍼링된 마텐자이트를 포함하는 조직을 얻을 수 있기 위해 충분한 경화능을 갖도록 2% 보다 많고 바람직하게 2.1% 보다 많아야 하는 데, 왜냐하면 2% 미만일 때에 인장 강도는 1150 MPa 미만으로 될 것이다. 2.6% 초과일 때에, 성형성을 열화시키는 편석 이슈들이 나타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Mn 함량은 편석 이슈들을 감소시키도록 2.3% 이하이다.
- 1.3% ≤Si ≤1.6%; 바람직하게 Si ≥1.45% %; 바람직하게 Si ≤1.55% 를 포함한다. Si 함량은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고 고용체 강화를 제공하도록 충분해야 한다. 추가로, Si 는 과시효로로부터 기인한 마텐자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의 탄소 재분배 중에 카바이드들의 형성을 지연시키고, 따라서 용체에서 탄소를 유지하여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킨다. 그러나 너무 많은 Si 함량에서는, 산화 규소들이 표면에서 형성될 것이고 이는 코팅성을 열화시킨다.
- 과시효 처리 중에 베이나이트의 형성을 지연시키기 위해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고 경화능을 증가시키도록 0.15% ≤Cr ≤0.4%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크롬 함량은 0.30% 이상이다.
- P ≤ 0.02% 을 포함한다. 인은 카바이드들 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오스테나이트로 탄소의 재분배를 촉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너무 많은 P 첨가는 열간 압연 온도들에서 시트를 취성으로 만들고 마텐자이트의 인성을 감소시킨다.
- S ≤0.011% 및 바람직하게 ≤0.005% 을 포함한다. 황은 중간 또는 최종 제품을 취성으로 만들 수 있는 불순물이다.
- N ≤0.008% 를 포함한다. 이러한 원소는 정교화로부터 기인한다. 질소는 어닐링 중에 오스테나이트 그레인의 조대화를 제한하는 질화 알루미늄들을 형성할 수 있다.
- 0.015% ≤Al ≤0.070% 을 포함한다. 알루미늄은 일반적으로 탈산을 위해 액체 강에 첨가된다. 추가로, 산소와 조합되지 않은 알루미늄의 잔부는 높은 온도에서 오스테나이트 그레인 사이즈의 조대화를 제한하는 질화물들을 형성할 수 있다.
조성의 잔부는 철 및 불가피 불순물들이다. 본 발명에서, Ni, Mo, Cu, Ti, Nb, V, B 등은 불순물들로서 여겨진다. 따라서, 그들의 함량들은 Ni 에 대해 0.050%, Mo 에 대해 0.04%, Cu 에 대해 0.01%, Ti 에 대해 0.007%, Nb 에 대해 0.005%, V 에 대해 0.007%, B 에 대해 0.0007% 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라 시트를 제작하도록, 우선, 슬래브와 같은 반마무리 가공된 제품은 열간 압연된 시트를 얻도록 열간 압연된다. 열간 압연된 시트는 그 후 원하는 두께를 갖는 냉간 압연된 시트를 얻도록 냉간 압연된다. 그 후, 냉간 압연된 시트는 YS ≥1000 MPa, TS ≥1150 MPa 및 E (총 연신율) ≥8% 인 원하는 기계적 특성들 및 원하는 마이크로 조직을 얻도록 연속적인 어닐링 라인을 사용하여 열처리된다.
열간 압연을 위해, 슬래브 가열 온도는 카바이드들의 완전 용해를 갖도록 1030℃ 보다 높다. 스케일 손실 (scale loss) 에서의 증가를 방지하도록, 이러한 온도는 1340℃ 밑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온도는 너무 높은 마무리 가공 온도를 갖지 않도록 1150℃ 보다 낮게 유지되어야만 한다.
마무리 가공 온도 또는 압연의 한도 온도는 밴드형 마이크로조직을 갖지 않고 균질한 조직을 얻기 위해 강의 Ac3 변태점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880℃ 보다 높아야 한다. 이러한 온도는 비재결정화 온도 초과로 되지 않도록 1000℃ 보다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마무리 가공 온도는 890℃ - 910℃ 의 범위로 유지되어야 하고, 최적의 마무리 가공 온도는 900℃ 이다.
열간 압연 후에, 일반적으로 2 mm 내지 3 mm 의 두께를 갖는 열간 압연된 시트는 520℃ 내지 600℃, 바람직하게 550℃ 내지 570℃ 의 온도로 코일링된다. 코일링 온도는 너무 높은 냉간 압연력들을 사용하지 않고 냉간 압연될 수 있는 열간 압연된 시트를 갖도록 520℃ 보다 높고 피로 특성들에 해로운 입계 산화를 회피하도록 570℃ 보다 낮아야 한다.
선택적으로, 시트는 시트의 말단들 및 에지들의 취성을 감소시키도록 그리고 경도를 균질화시키도록 배치 어닐링된다. 배치 어닐링은 HNX 분위기 하에서 600℃ 내지 700℃ 의 온도로 행해진다. 바람직하게 어닐링 시간은 30 시간보다 많다. 그 후 시트는 70℃ 까지 느리게 냉각된다. 바람직하게, 냉각은 적어도 30 시간이 요구되어야 한다.
그 후, 시트는 0.7 mm 내지 1.5 mm, 바람직하게 0.8 mm 보다 크고 그리고/또는 1.4 mm 보다 작은 원하는 두께에 이르도록 바람직하게 50% 내지 60% 압하율로 냉간 압연된다.
냉간 압연된 시트는 그 후 50 m/min 의 최소의 라인 속도로 연속적인 어닐링 라인에서 어닐링된다. 그것은 시트가 라인에서 스크롤되는 속도이다. 이러한 속도는 시트의 두께에 종속된다. 그러한 연속적인 라인에서, 시트가 보다 두꺼울수록, 속도가 더욱 느리게 된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
연속적인 라인은 어닐링 온도까지 시트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 구역, 라디언트 튜브 노 (radiant tube furnace) 인 제 1 부분과 몇백 초의 시간 동안 어닐링 온도로 시트를 유지할 수 있는 제 2 부분인 두개의 부분들로 분할될 수 있는 소킹 구역, 급속 냉각의 시작 온도까지 너무 빠르지 않은 냉각 속도로 시트를 냉각하는 최초 냉각 구역, 급속 냉각이 정지되는 켄칭 온도 (TQ) 까지 시트를 켄칭할 수 있는 급속 냉각 구역, 과시효 단계에 상응하는 온도들로 시트를 가열하고 유지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부분의 과시효 구역들, 및 주위 온도까지 시트를 냉각할 수 있는 최종 냉각 구역을 적어도 포함한다.
가열 구역에서, 시트는 완전히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얻도록 강의 Ac3 변태점보다 높아야 하는 860℃ 보다 높지만, 그러나 바람직하게 너무 많은 오스테나이트 그레인들을 조대화시키지 않도록 890℃ 보다 낮은 어닐링 온도까지 가열된다.
라디언트 튜브들을 포함하는 소킹 구역의 제 1 부분에서, 시트는 시트의 속도에 따라 100 내지 200 초의 시간 동안 어닐링 온도 (TA) 에서 또는 이러한 온도 주위에서 그러나 860℃ 초과에서 유지되고, 이러한 속도는 시트의 두께에 따른다.
소킹 구역의 제 2 부분에서 시트는 시트의 두께에 따라 약 80 초 내지 약 180 초의 시간 동안 어닐링 온도로 유지된다. 시트의 온도는 온도가 구역의 한도에서 어닐링 온도보다 낮지만 그러나 795℃ 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느리게 감소된다.
소킹 후에, 시트는 시트의 두께에 따라 7℃/s 내지 16℃/s 의 냉각 속도로 적어도 500℃ 의 온도 (TC) 까지 냉각되는 제 1 냉각 구역을 통과한다. 시트가 두꺼울수록, 냉각 속도가 느려진다.
이러한 제 1 냉각 후에, 시트의 조직은 전체적으로 오스테나이트를 유지한다.
그 후, 시트는 220℃ 내지 330℃ 의 켄칭 온도 (QT) 까지 제 1 냉각 한도의 온도 (TC) 로부터 적어도 15℃/s 의 속도로 냉각되는 급속 냉각 구역을 통과한다. 냉각 속도는 시트의 두께 따르지만, 그러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갖는 마텐자이트 조직을 얻도록 임계 켄칭율보다는 항상 빠르다. 이러한 조직은 부가적으로 그러나 5% 보다 적은, 바람직하게 2% 보다 적은 일부 페라이트를 포함하고 이상적으로 페라이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켄칭 온도는 적어도 5% 보다 많고 바람직하게 약 15% 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하는 조직을 얻도록 선택된다. 약 15% 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얻도록,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에 대한 이론적 최적의 켄칭 온도는 약 235℃ 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켄칭 온도는 220℃ 내지 245℃ 이다.
켄칭 후에, 시트는 350℃ 내지 450℃ 의 온도까지 시트를 가열할 수 있는 과시효 섹션을 통과한다. 이러한 과시효 구역에서, 온도는 두개의 구역들로 이러한 과시효 구역을 분할하는 두개의 상이한 지점들에서 측정되고, 제 1 측정은 과시효 섹션의 진입 후에 몇 미터에서 행해지고 제 2 측정은 과시효 섹션의 출구에서 행해진다.
제 1 구역에서, 시트는 350℃ 보다 높고 바람직하게 380℃ 보다 높은 제 1 과시효 온도 (TOA1) 까지 점진적으로 가열되도록 두께에 따라 115초 내지 240초의 시간 동안 가열된다.
제 2 구역에서, 시트는 제 1 과시효 온도로부터 TOA1 보다 높은 제 2 과시효 온도 (TOA2) 까지 가열되도록 시트의 두께에 따라 300초 내지 610초의 시간 동안 가열되고, TOA2 는 420℃ 내지 450℃ 이다.
이러한 처리의 목적은 오스테나이트에서 탄소를 풍부하게 하도록 마텐자이트로부터 오스테나이트로 탄소를 전달하는 것이고, 따라서 시트가 70℃ 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될 때에, 오스테나이트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에서 탄소의 양은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충분한 안정화를 보장하는 적어도 0.9% 내지 1.5% 까지이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에서 탄소가 1.5% 를 초과하면,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너무 경화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잔류 오스테나이트에서 탄소의 양은 0.9% 내지 1.2% 이다.
추가로 마텐자이트에서는 카바이드 형성없이 탄소가 고갈되고, 이는 마텐자이트를 덜 취성으로 만든다.
과시효의 지속 시간 및 온도에서는 베이나이트의 형성이 거의 없고 바람직하게 베이나이트의 형성이 전혀 없게 된다.
과시효 처리 후에, 시트는 새로운 마텐자이트의 형성을 전혀 갖지 않거나 또는 거의 갖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5℃/s 보다 낮은 냉각 속도로 70℃ 보다 낮은 온도까지 냉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냉각 속도는 시트의 속도 및 라인의 특징과 양립 가능하고 베이나이트의 형성을 전혀 갖지 않거나 또는 거의 갖지 않도록 충분히 높아야만 한다.
그러한 처리에 있어서, 상기 규정된 바와 같은 화학 조성을 갖는 시트를 얻는 것이 가능하고, 조직은 80% 보다 많은 마텐자이트, 및 바람직하게 85% 보다 많은 마텐자이트, 적어도 5%, 바람직하게 8% 보다 많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5% 보다 적고 바람직하게 2% 보다 적은 페라이트를 포함한다.
실온까지 냉각 후에 잔류 오스테나이트에서 탄소의 양은 적어도 0.9% 내지 1.5% 까지로, 바람직하게 0.9% 내지 1.2% 로 유지된다.
마텐자이트는 바람직하게 카바이드들 없이 템퍼링되고 즉 감소된 탄소 함량을 갖는 마텐자이트는 과시효로 기인된다. 그러나 마텐자이트는 또한 6% 까지의 새로운 마텐자이트 및 일부 베이나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일부 베이나이트의 조직 함량은 5% 보다 적고 바람직하게 2% 보다 적다. 임의의 경우에 조직은 적어도 80% 의 템퍼링된 마텐자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비율은 바람직하게 보다 덜 과소평가된 결과들을 부여하는 방법인 XRD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그러한 조직에 있어서, 시트는 1000 MPa 보다 높은 항복 강도 (YS), 1150 MPa 보다 높은 인장 강도 (TS) 및 8% 보다 큰 총 연신율 (E) 을 갖는다.
원하는 결과들을 얻는 것이 가능한 강의 화학적 조성을 결정하도록, 일부 시험들은 중량 % 로 표 1 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샘플들 S1, S2, S3 및 S4 로 행해졌다.
표 1
Figure 112016129680524-pct00001

화학적 조성들은 상당한 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갖는 마텐자이트 조직를 얻도록 선택되었다.
강들은 산업적 스케일로 제조되었고, 열간 압연되었고 그 후 냉간 압연되었고 샘플들은 염욕 처리들을 사용하여 열처리되었다.
열처리들은 Ac3 보다 높은 어닐링 온도 (TA) 에서 어닐링, 켄칭 온도 (QT) 까지 켄칭 뒤에 과시효 시간 (OA) 동안 과시효 온도 (TOA) 에서 과시효로 이루어졌다. 켄칭 온도는 상당한 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갖는 마텐자이트 조직을 얻도록 선택되었다.
열처리의 조건들 및 얻어진 결과들: 항복 강도 (YS), 인장 강도 (TS), 총 연신율 (E),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분율 %Y 는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6129680524-pct00002

샘플들 S1 및 S4 에 대해 과시효는 일정한 온도에서 홀딩 (holding) 이 아니라 홀딩의 시작에서의 300℃ 로부터 홀딩 한도에서의 450℃ 로 증가하는 온도에서의 홀딩이었다.
모든 어닐링 온도들은 강들의 AC3 온도들보다 높았다; 따라서, 켄칭 전에 조직은 완전히 오스테나이트였다.
켄칭 후에 조직은 샘플들 S2, S3 및 S4 에 대해 일부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갖는 마텐자이트였다.
샘플 S1 에 대해, 조직은 또한 몇 분율들의 페라이트 및 베이나이트를 포함하였다.
이들 결과들은 원하는 특성들이 단지 S2 의 강, 즉 CMnSiMo 강 및 S4 의 강, 즉 CMnSiCr 강으로써만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 강들에 상응하는 시트들의 제조는 530℃ 내지 550℃ 의 온도로 열간 압연 및 코일링 후에, 강이 냉간 압연되기에는 너무 경질로 되기 때문에 냉간 압연되는 것이 너무 어려웠다는 것을 도시했다.
따라서 이들 결과들은 원하는 특성들 (YS > 1000 MPa, TS > 1150 MPa, E > 8%) 을 갖는 냉간 압연된 시트들을 제작하는 데 유용한 단지 허용 가능한 타입의 강이 약 0.2%C, 약 2.3%Mn, 약 1.5%Si 및 0.35%Cr 를 포함하는 타입 CMnSiCr 이라는 것을 도시한다.
이러한 강에 있어서, 시트들은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에 의해 제조되었고 그 후 연속적인 어닐링 라인에서 열처리되었다.
두개의 캐스트들이 사용되었고, 그 조성들이 표 3 에 나타내어진다:
표 3
Figure 112016129680524-pct00003

강은 슬래브들을 얻도록 연속적으로 캐스팅되었다. 슬래브들은 열간 코일들 (또는 열간 압연된 시트들) 을 얻도록 열간 압연되었고 그 두께들은 2.8 mm 내지 2.05 mm 었다.
슬래브들은 1050℃ 에서 가열되었고 압연은 캐스트 1 에 대해 930℃ 내지 950℃ 및 캐스트 3 에 대해 860℃ 내지 910℃ 의 온도로 마무리 가공되었다.
제 1 냉간 압연 테스트들 중에, 에지 크랙들이 열간 압연된 시트의 에지들의 너무 높은 경도로 인해 나타났다.
다른 시트들은 HNX 분위기 하에서 6 시간 동안 650℃ 로 배치 어닐링되었다. 이러한 배치 어닐링 후에, 냉간 압연 곤란성들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열간 압연된 시트들은 0.8 mm, 1 mm 및 1.4 mm 의 두께들을 갖는 냉간 압연된 시트들을 얻도록 냉간 압연되었다.
냉간 압연된 시트들은 연속적인 어닐링 라인에서 열처리되었고, 라인 속도는 원하는 켄칭 온도 및 시트의 두께에 따라 50m/mn 내지 100 m/mn 이었다.
연속적인 라인에서, 열처리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하였다:
- 주위 온도로부터 어닐링 온도 (TA) 로 시트를 가열하는 단계;
- 어닐링 온도 (TA1) 로 시트를 소킹하는 단계 (제 1 소킹);
- 어닐링 온도 내지 795℃ 의 온도 (TA2) 로 시트를 소킹하는 단계로서, 시트의 온도는 어닐링 온도 (TA1) 로부터 온도 (TA2) 로 규칙적으로 그리고 느리게 감소하는, 상기 어닐링 온도 내지 795℃ 의 온도 (TA2) 로 시트를 소킹하는 단계 (제 2 소킹);
- 적어도 500℃ 의 최초 냉각 온도 (TC) 까지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 (최초 냉각);
- 시트를 켄칭하도록 15℃/s 보다 빠른 냉각 속도로 온도 (TC) 로부터 켄칭 온도 (TQ) 까지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
- 제 1 과시효 온도 (TOA1) 까지 115 내지 240초의 시간 (t1) 동안 시트를 가열하는 단계;
- 제 1 과시효 온도로부터 제 2 과시효 온도 (TOA2) 로 300초 내지 610초의 시간 (t2) 동안 시트를 가열하는 단계;
- 실온 (또는 주위 온도) 까지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
예들 및 반례들에 대해 얻어진 열처리들 및 기계적 특성들의 파라미터들은 표 4 에 나타내어진다.
표 4 에서 예들 C-1, C-2 및 C-3 은 반례들이고 E-1, E-2, E-3, E-4, E-5, E-6 및 E-7 은 본 발명에 따른 예들이다.
표 4
Figure 112016129680524-pct00004

이러한 표에서, 제 1 및 제 2 과시효 온도들이 단지 두께 및 가열의 지속 시간 (즉 라인에서 시트의 속도) 에만 종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구역의 가열 파워가 부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기인한다.
반례 C-1 는 너무 많은 페라이트의 존재로 인해 낮은 항복 강도를 보인다. 이는 어닐링 온도 (TA1) 가 너무 낮다는 사실로부터 기인한다. 이러한 온도 851℃ 는 AC3 온도보다 낮다. 따라서, 강은 켄칭 전에 완전히 오스테나이트가 아니고 5% 보다 많은 페라이트를 유지한다.
반례들 C-2 및 C-3 는 과시효 온도들이 너무 낮고 마텐자이트가 충분히 템퍼링되지 않았기 때문에 낮은 연신율을 보인다. 추가로,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탄소가 불충분하였고, 따라서 오스테나이트는 충분히 안정화되지 않았고 6% 보다 많은 새로운 마텐자이트가 형성되었다.
예들 E-5, E-6 및 5-7 는 켄칭 온도가 최적의 온도로 연산되는 235℃ 만큼 낮을 필요는 없다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예들 E-1 내지 E-7 는 원하는 기계적 특성들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도시한다.

Claims (11)

1000 MPa 보다 큰 항복 강도 (YS), 1150 MPa 보다 큰 인장 강도 (TS) 및 8% 보다 큰 총 연신율 (E) 을 갖는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 중량 % 로, 0.19% 내지 0.22% C, 2% 내지 2.6% Mn, 1.45% 내지 1.55% Si, 0.15% 내지 0.4% Cr, 0.020% 보다 적은 P, 0.011% 보다 적은 S, 0.008% 보다 적은 N, 0.015% 내지 0.070% Al 을 포함하는 조성을 갖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들인 강으로부터 압연을 통해 압연된 강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 상기 압연된 강 시트를 어닐링하는 단계로서, 상기 어닐링하는 단계는 100초 내지 200초의 시간동안 860℃ 내지 890℃ 의 어닐링 온도 (TA) 로 상기 압연된 강 시트를 소킹 (soaking)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닐링하는 단계,
- 220℃ 내지 330℃ 의 켄칭 (quenching) 온도 (TQ) 로 어닐링된 강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로서, 상기 냉각하는 단계는 적어도 500℃ 의 최초 냉각 온도 (TC) 로부터 상기 켄칭 온도 (TQ) 로 적어도 15℃/s 의 냉각 속도로 상기 어닐링된 강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닐링된 상기 강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
- 380℃ 보다 높은 제 1 과시효 온도 (TOA1) 까지 115초 내지 240초의 시간 동안 상기 강 시트를 가열하고, 상기 제 1 과시효 온도 (T0A1) 는 제 2 과시효 온도 (T0A2) 보다 낮고, 그 후 420℃ 내지 450℃ 의 제 2 과시효 온도 (TOA2) 까지 300초 내지 610초의 시간 동안 상기 강 시트를 가열하는 단계,
- 5℃/s 보다 느린 냉각 속도로 70℃ 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강 시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강 시트는 80% 보다 많은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5% 보다 많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5% 보다 적은 페라이트, 5% 보다 적은 베이나이트 및 6% 보다 적은 새로운 마텐자이트를 포함하는 조직을 갖는,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하는 단계는 80초 내지 180초의 시간 동안 상기 어닐링 온도 (TA) 내지 795℃ 의 온도로 상기 압연된 강 시트를 소킹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킹하는 제 2 단계와 켄칭 온도 (TQ) 로 냉각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소킹하는 제 2 단계의 종단시의 온도로부터 상기 최초 냉각 온도 (TC) 로 7℃/s 내지 16℃/s 의 냉각 속도로 최초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연을 통한 상기 압연된 강 시트의 제조는:
- 1030℃ 보다 높은 온도로 상기 조성을 갖는 상기 강으로 제조된 슬래브를 가열하는 단계,
- 880℃ 보다 높은 압연 온도의 한도로 2 mm 내지 3 mm 의 두께를 갖는 열간 압연된 시트를 얻도록 상기 슬래브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
- 520℃ 내지 570℃ 의 온도로 상기 열간 압연된 시트를 코일링 (coiling) 하는 단계,
- 0.7 mm 내지 1.5 mm 의 두께를 갖는 냉간 압연된 시트를 얻도록 50% 내지 60% 의 압하율로 상기 열간 압연된 시트를 냉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 온도의 한도는 890℃ 내지 910℃ 인,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압연된 시트는 550℃ 내지 570℃ 의 온도에서 코일링되는,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링하는 단계와 상기 냉간 압연하는 단계 사이에, HNX 분위기 하에서 30 시간보다 많은 시간 동안 600℃ 내지 700℃ 의 온도로 배치 어닐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고강도 강 시트로서,
중량 % 로, 0.19% 내지 0.22% C, 2% 내지 2.6% Mn, 1.45% 내지 1.55% Si, 0.15% 내지 0.4% Cr, 0.020% 보다 적은 P, 0.0011% 보다 적은 S, 0.008% 보다 적은 N, 0.015% 내지 0.07% Al 을 포함하고,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들인 강으로 제조된 1000 MPa 보다 큰 항복 강도 (YS), 1150 MPa 보다 큰 인장 강도 (TS) 및 8% 보다 큰 총 연신율 (E) 을 갖고,
상기 강 시트는 80% 보다 많은 템퍼링된 마텐자이트, 5% 보다 많은 잔류 오스테나이트, 5% 보다 적은 페라이트, 5% 보다 적은 베이나이트 및 6% 보다 적은 새로운 마텐자이트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조직을 갖는, 고강도 강 시트.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적어도 0.9% 의 C 의 양을 갖는, 고강도 강 시트.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0.9% 내지 1.5% 의 C 의 양을 갖는, 고강도 강 시트.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0.9% 내지 1.2% 의 C 의 양을 갖는, 고강도 강 시트.
KR1020167037089A 2014-07-03 2015-07-03 고강도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시트 Active KR102459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4/002290 WO2016001704A1 (en) 2014-07-03 2014-07-03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sheet obtained
IBPCT/IB2014/002290 2014-07-03
PCT/IB2015/055043 WO2016001899A1 (en) 2014-07-03 2015-07-03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sheet obtain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745A KR20170027745A (ko) 2017-03-10
KR102459257B1 true KR102459257B1 (ko) 2022-10-25

Family

ID=5202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7089A Active KR102459257B1 (ko) 2014-07-03 2015-07-03 고강도 강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얻어진 시트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11149325B2 (ko)
EP (1) EP3164521B2 (ko)
JP (2) JP6817076B2 (ko)
KR (1) KR102459257B1 (ko)
CN (1) CN106661653B (ko)
BR (1) BR112017000021B1 (ko)
CA (1) CA2954144C (ko)
ES (1) ES2701838T5 (ko)
FI (1) FI3164521T4 (ko)
HU (1) HUE040513T2 (ko)
MX (1) MX375453B (ko)
PL (1) PL3164521T5 (ko)
RU (1) RU2680041C2 (ko)
TR (1) TR201818776T4 (ko)
UA (1) UA119459C2 (ko)
WO (2) WO2016001704A1 (ko)
ZA (1) ZA2016087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3960A1 (ja) 2016-08-16 2018-02-2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熱間プレス成形部材
JP6948565B2 (ja) * 2017-01-12 2021-10-13 日立金属株式会社 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帯の製造方法
CN109207841B (zh) 2017-06-30 2021-06-1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成型性1180MPa级冷轧退火双相钢板及其制造方法
KR101977491B1 (ko) 2017-11-08 2019-05-10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 성형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9092481A1 (en) 2017-11-10 2019-05-16 Arcelormittal Cold roll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BE1026986B1 (fr) * 2019-01-23 2020-08-25 Drever Int S A Procédé et four pour le traitement thermique d’une bande d’acier de haute résistance comprenant une chambre d’homogénéisation en température
EP3992314A4 (en) * 2019-06-28 2023-07-19 Nippon Steel Corporation Steel sheet
WO2021024748A1 (ja) * 2019-08-06 2021-02-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1176249A1 (en) * 2020-03-02 2021-09-10 Arcelormittal High strength cold rolled and galvannea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102485012B1 (ko) * 2020-12-17 2023-01-04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2485013B1 (ko) * 2020-12-17 2023-01-04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7676882B2 (ja) 2021-03-31 2025-05-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製造方法およびシート製造装置
CN115181890B (zh) * 2021-04-02 2023-09-1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1180MPa级别低碳低合金双相钢及快速热处理制造方法
EP4303328A4 (en) * 2021-04-09 2024-08-07 JFE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3528947B (zh) * 2021-06-21 2022-03-25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用CSP生产抗拉强度为1500MPa级高塑韧性汽车结构件用钢及生产方法
CN114058949B (zh) * 2021-10-18 2022-10-21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热成型钢酸洗板及降低其表面晶间氧化的方法
CN113943896B (zh) * 2021-10-18 2022-10-18 宁波祥路中天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拉强度≥1200MPa级的异型材用钢及生产方法
CN115044831B (zh) * 2022-06-09 2023-08-25 包头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1100MPa级冷轧马氏体钢及其制造方法
CN116716550A (zh) * 2023-05-30 2023-09-08 鞍钢股份有限公司 汽车用淬火配分钢及其梯度配分制备方法
CN117305716B (zh) * 2023-11-10 2024-03-15 常熟市龙腾特种钢有限公司 一种抗震耐蚀球扁钢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9376A (ja) 2012-06-29 2014-01-20 Jfe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0378A (en) * 1993-04-23 1995-01-10 Ga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batch coil annealing metal strip
JP2005336526A (ja) * 2004-05-25 2005-12-08 Kobe Steel Ltd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ES2683010T3 (es) * 2007-02-23 2018-09-24 Tata Steel Ijmuiden Bv Tira de acero de alta resistencia laminada en frío y recocida continuamente, y método para producir dicho acero
EP1990431A1 (fr) * 2007-05-11 2008-11-12 ArcelorMittal France Procédé de fabrication de tôles d'acier laminées à froid et recuites à très haute résistance, et tôles ainsi produites
JP5402007B2 (ja) * 2008-02-08 2014-01-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24225B1 (ja) * 2008-03-07 2009-09-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伸びフランジ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JP5418047B2 (ja) * 2008-09-10 2014-02-1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15956B2 (ja) * 2008-11-28 2013-10-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12182B2 (ja) * 2009-05-29 2014-02-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
JP5136609B2 (ja) * 2010-07-29 2013-02-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および耐衝撃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53885B1 (ko) 2010-12-27 2013-04-16 주식회사 포스코 연성이 우수한 성형 부재용 강판, 성형 부재 및 그 제조방법
EP2683839B1 (en) * 2011-03-07 2015-04-01 Tata Steel Nederland Technology B.V. Process for producing high strength formable steel and high strength formable steel produced therewith
UA112771C2 (uk) 2011-05-10 2016-10-25 Арселормітталь Інвестігасьон І Десароло Сл Сталевий лист з високою механічною міцністю, пластичністю і формованістю, спосіб виготовлення та застосування таких листів
EP2524970A1 (de) 2011-05-18 2012-11-21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Hochfestes Stahlflachproduk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I20115702A7 (fi) * 2011-07-01 2013-01-02 Rautaruukki Oyj Menetelmä suurlujuus- rakenneteräksen valmistamiseksi ja suurlujuusrakenneterästuote
RU2491357C1 (ru) * 2012-05-10 2013-08-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СиС"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листовой стали
CN104508163B (zh) 2012-07-31 2016-11-16 杰富意钢铁株式会社 成形性及定形性优异的高强度热浸镀锌钢板及其制造方法
JP5857909B2 (ja) * 2012-08-09 2016-02-1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09945B2 (ja) 2012-10-18 2014-10-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12512B1 (ko) * 2014-01-29 2018-10-26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09376A (ja) 2012-06-29 2014-01-20 Jfe Steel Corp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4521A1 (en) 2017-05-10
RU2016151391A3 (ko) 2018-12-06
RU2016151391A (ru) 2018-06-26
ES2701838T5 (es) 2023-10-03
WO2016001899A1 (en) 2016-01-07
JP2017524821A (ja) 2017-08-31
BR112017000021B1 (pt) 2021-02-02
KR20170027745A (ko) 2017-03-10
PL3164521T5 (pl) 2024-02-05
JP2021059787A (ja) 2021-04-15
CA2954144A1 (en) 2016-01-07
JP7068434B2 (ja) 2022-05-16
US20200316807A1 (en) 2020-10-08
CA2954144C (en) 2022-07-19
PL3164521T3 (pl) 2019-04-30
FI3164521T4 (fi) 2023-08-31
ES2701838T3 (es) 2019-02-26
CN106661653A (zh) 2017-05-10
RU2680041C2 (ru) 2019-02-14
TR201818776T4 (tr) 2019-01-21
EP3164521B1 (en) 2018-09-12
CN106661653B (zh) 2018-10-19
BR112017000021A2 (pt) 2017-11-07
US11339454B2 (en) 2022-05-24
JP6817076B2 (ja) 2021-01-20
UA119459C2 (uk) 2019-06-25
MX2016017400A (es) 2017-04-27
HUE040513T2 (hu) 2019-03-28
WO2016001704A1 (en) 2016-01-07
ZA201608767B (en) 2019-10-30
US20170145535A1 (en) 2017-05-25
EP3164521B2 (en) 2023-04-19
MX375453B (es) 2025-03-06
US11149325B2 (en)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945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sheet obtained
JP6906081B2 (ja) 強度、延性および成形性が改善された高強度鋼板を製造する方法
KR101850122B1 (ko) 복합조직강, 복합조직강으로 제조된 냉연 평판 제품 및 제조 방법
KR102459261B1 (ko) 향상된 강도 및 성형성을 갖는 고강도 강 시트의 제조 방법 및 획득된 시트
EP3164522A2 (en)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coated steel sheet having improved strength, ductility and formability
KR20170026440A (ko) 고강도 강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획득된 시트
US20140261914A1 (en) Method of producing hot rolled high strength dual phase steels using room temperature water quenching
US1090723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coated steel sheet having improved strength, formability and obtained sheet
US11401594B2 (en) Hot-rolled steel sheet for coiled tub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