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7942B1 - Flexible Cover Window - Google Patents

Flexible Cover Wind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942B1
KR102457942B1 KR1020210050411A KR20210050411A KR102457942B1 KR 102457942 B1 KR102457942 B1 KR 102457942B1 KR 1020210050411 A KR1020210050411 A KR 1020210050411A KR 20210050411 A KR20210050411 A KR 20210050411A KR 102457942 B1 KR102457942 B1 KR 102457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olding
cover window
impact compensation
imp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4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우국현
하태주
우정석
Original Assignee
(주)유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티아이 filed Critical (주)유티아이
Priority to KR1020210050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9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94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에 요철 형상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되고, 상기 폴딩부는 무패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폴딩부에서의 폴딩반발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에 요철 형상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형성하고, 폴딩부에는 무패턴 형상으로 구현하여, 충격력을 분산시켜 내충격성을 개선시키고, 폴딩반발력을 감소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개선시킨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cover window, comprising: a flat portion formed corresponding to the flat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 A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of an uneven shape is formed on the flat portion, and the folding portion is formed in a non-pattern shape, and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to reduce the folding repulsion force in the folding portion Make a flexible cover window a technical gist. As a result, a concave-convex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is formed in the flat portion of the cover window, and a non-pattern shape is implemented in the folding portion to improve impact resistance by dispersing impact force, and to reduce folding repulsion to improve strength and folding properties. It is to provide an improved flexible cover window.

Description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Flexible Cover Window}Flexible Cover Window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에 요철 형상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형성하고, 폴딩부에는 무패턴 형상으로 구현하여, 충격력을 분산시켜 내충격성을 개선시키고, 폴딩반발력을 감소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개선시킨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cover window, wherein a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of an uneven shape is formed in a flat portion of the flexible cover window, and a non-pattern shape is implemented in the folding portion, thereby dispersing impact force to improve impact resistance, and folding repulsion force It relates to a flexible cover window having improved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folding characteristics by reducing

최근 전기, 전자 기술들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새로운 시대적 요구 및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제품이 나오고 있으며, 그 중 화면을 접고 펼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In recent years, electrical and electronic technologies have rapidly developed, and various types of display products have been released to meet the needs of a new era and the needs of various consumer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기본적으로 접히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여 구부리고 말고 늘리는 형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이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 윈도우 또한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a flexible displa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the form of basically bending, rolling, and stretching starting from folding, and a cover window for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as well as the display panel must be formed to be flexible.

이러한 플렉시블한 커버 윈도우는 기본적으로 유연성이 좋아야 하며, 반복적인 폴딩에도 폴딩 부위에 자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그에 따른 화질의 왜곡이 없어야 한다.Such a flexible cover window should have good flexibility, and should not cause marks on the folding part even when repeatedly folding, and there should be no distortion of image quality.

기존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커버 윈도우는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에 PI나 PET 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여 왔다.For the cover window of the existing flexible display, a polymer film such as PI or PET film has been us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그러나, 고분자 필름의 경우 기계적 강도가 약해 단순히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 내충격성에 취약하고, 낮은 투과율을 갖는 단점이 있으며, 비교적 고가로 알려져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polymer film, the mechanical strength is weak, so it merely serves to prevent scratches on the display panel, but it is weak in impact resistance, has low transmittance, and is known to be relatively expensive.

또한, 이러한 고분자 필름의 경우 디스플레이의 폴딩 횟수가 많아질수록 폴딩 부위에 자국이 남게 되면서 접히게 되는 부분의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예컨대 폴딩 한계 평가(통상 20만회) 시 고분자 필름의 눌림이나 찢김이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uch a polymer film, as the number of folds of the display increases, marks are left on the foldable portion, resulting in damage to the folded portion. For example, pressing or tearing of the polymer film occurs during the evaluation of the folding limit (normally 200,000 times).

최근에는 고분자 필름의 커버 윈도우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글래스 기반의 커버 윈도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ver window of the polymer film, various studies on glass-based cover windows have been made.

이러한 글래스 기반의 커버 윈도우의 경우 폴딩 특성을 만족하면서, 화면의 왜곡이 없고, 터치펜 등의 반복적인 접촉, 일정 압력에도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하는 기본 요구 물성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case of such a glass-based cover window, basic properties such as satisfying folding characteristics, no screen distortion, and sufficient strength even in repeated contact with a touch pen and constant pressure are required.

이러한 커버 윈도우의 강도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글래스가 일정 두께 이상이어야 한 반면에, 폴딩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글래스가 일정 두께 이하이어야 하므로, 강도 특성을 만족하면서 폴딩 특성을 만족하고, 또한 화면의 왜곡이 없는 최적의 커버 윈도우 두께 및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In order to satisfy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cover window, the glass has to have a certain thickness or more, whereas to satisfy the folding characteristics, the glass has to be less than a certain thickness. Studies on the optimal cover window thickness and structure are required.

또한, 글래스가 일정 두께 이하일 경우 강화 글래스 고유의 질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러한 점도 고려하여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intrinsic texture of the tempered glass is deteriorated when the glass is less than a certain thickness, this point should be considered.

따라서 강화 글래스 고유의 질감은 유지하면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적정 두께는 유지하고, 동시에 폴딩 특성 또한 만족하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cover window that maintains the inherent texture of tempered glass, maintains an appropriate thickness for securing strength, and at the same time satisfies folding characteristics.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number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에 요철 형상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형성하고, 폴딩부에는 무패턴 형상으로 구현하여, 충격력을 분산시켜 내충격성을 개선시키고, 폴딩반발력을 감소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개선시킨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by the above necessity, by forming a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n a concave-convex shape on the flat portion of the flexible cover window, and implementing it in a non-pattern shape on the folding portion, dispersing the impact force to improve impact resistance, and folding repulsion for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cover window having improved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folding characteristics by reducing th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에 요철 형상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되고, 상기 폴딩부는 무패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폴딩부에서의 폴딩반발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cover window comprising a flat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a flat area of a flexible display, and a folding portion formed to connect to the flat portion,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olding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 A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of an uneven shape is formed on the flat portion, and the folding portion is formed in a non-pattern shape, and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to reduce the folding repulsion force in the folding portion Make a flexible cover window a technical gist.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패턴의 높이는 0.5~28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the height of the pattern is preferably 0.5 ~ 280㎛.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패턴 상단의 너비는 0~1000㎛, 상기 패턴 하단의 너비는 30~2000㎛이고, 상기 패턴 간 간격은 30~400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pattern is 0 ~ 1000㎛, the wid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attern is 30 ~ 200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patterns is 30 ~ 4000㎛.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or different sizes regularly or irregularly.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은, 격자배열 또는 교차배열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of the pattern part for impact compensa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grid arrangement or a cross arrangement.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패턴의 측면의 기울기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수평면에 대해 0.1~5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0.1 to 5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cover window.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수평 단면 형상이 다각형, 타원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part for impact compensation ha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formed of at least one of polygonal, elliptical, and circular shape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글래스 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glass substrate.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마스킹 에칭 공정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is preferably implemented by a masking etching process.

또한, 상기 마스킹 에칭 공정은, 단일 회 또는 2회 이상 반복하여,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의 높이와 상기 폴딩부의 형상 및 깊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sking etching process is repeated once or twice or mor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attern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and the shape and depth of the folding part.

또한, 상기 폴딩부는, 평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olding part is formed in a flat or curved shape.

또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평면부에 비해 슬리밍(Slimming)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평면부와의 경계에 경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olding part may be formed to be slimming compared to the flat par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olding part has an inclined part formed at a boundary with the flat part.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커버 윈도우 상에는 수지충진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resin-filled layer is formed on the cover window in which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formed.

또한, 상기 수지충진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 및 폴딩부 전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sin filling layer is preferably formed on the entire area of the flat portion and the folding portion of the cover window.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에 요철 형상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형성하고, 폴딩부에는 무패턴 형상으로 구현하여, 충격력을 분산시켜 내충격성을 개선시키고, 폴딩반발력을 감소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개선시킨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cover window, wherein a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of an uneven shape is formed in a flat portion of the cover window, and a non-pattern shape is implemented in the folding portion, thereby dispersing the impact force to improve the impact resistance, and to reduce the folding repulsion for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exible cover window having improved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folding characteristics by reducing it.

즉, 글래스 기반의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형성하고, 폴딩부에는 무패턴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펜드랍 충격 시에 패턴 사이로 충격이 분산되어 펜드랍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키고, 폴딩부에서는 폴딩반발력을 감소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by forming a pattern part for impact compensation on the flat part of the glass-based flexible cover window and implementing it in a non-pattern shape in the folding part, the impact is dispersed between the patterns during pendrop impact to increase the rigidity against the pendrop, In the folding part, the folding repulsive force is reduced to satisfy the strength characteristic and the folding characteristic at the same time.

또한 폴딩부를 무패턴의 평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폴딩부 성형시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olding part in a flat or curved shape without a patter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ect rate at the time of forming the folding part, thereby improving the yield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은 글래스 기판 상이 수지충진층을 형성한 복합 재료로 구현되어, 글래스의 질감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수지재에 의한 유연성, 복원력, 탄성력 및 강도 특성은 보강되도록 하며, 특히 수지재에서 펜드랍과 같은 충격을 흡수하여 내충격성을 더욱 개선시키고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외부 시인되지 않도록 하는 복합 재료로 구현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a resin-filled layer is formed on a glass substrate, so that the flexibility, restoring force, elasticity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resin material are reinforced while maintaining the glass texture as much as possibl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flexible cover window implemented with a composite material to further improve impact resistance by absorbing the same impact and to prevent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from being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도 1 내지 도 10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대한 모식도.1 to 10 - A schematic diagram of a flexible cover window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으로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에 요철 형상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형성하고, 폴딩부에는 무패턴 형상으로 구현하여, 충격력을 분산시켜 내충격성을 개선시키고, 폴딩반발력을 감소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개선시킨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cover window, wherein a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of an uneven shape is formed in a flat portion of the flexible cover window, and a non-pattern shape is implemented in the folding portion, thereby dispersing impact force to improve impact resistance, and folding repulsion force It relates to a flexible cover window having improved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folding characteristics by reducing

즉, 글래스 기반의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를 형성하고, 폴딩부에는 무패턴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펜드랍 충격 시에 패턴 사이로 충격이 분산되어 펜드랍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키고, 폴딩부에서는 폴딩반발력을 감소시켜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by forming a pattern part for impact compensation on the flat part of the glass-based flexible cover window and implementing it in a non-pattern shape in the folding part, the impact is dispersed between the patterns during pendrop impact to increase the rigidity against the pendrop, In the folding part, the folding repulsive force is reduced to satisfy the strength characteristic and the folding characteristic at the same time.

또한 폴딩부를 무패턴의 평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폴딩부 성형시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olding part in a flat or curved shape without a patter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ect rate at the time of forming the folding part, thereby improving the yield of the produc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대한 모식도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10 are schematic views of a flexible cover window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평면부(P)와, 상기 평면부(P)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폴딩부(F)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P)에 요철 형상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폴딩부(F)는 무패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폴딩부(F)에서의 폴딩반발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the flexible cover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lat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with a flat portion (P) and the flat portion (P)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olding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as shown. In the flexible cover window including a folding part (F), the pattern part 120 for impact compensation of an uneven shape is formed on the flat part (P), and the folding part (F) is formed in a non-pattern shape, It is formed continuously on the shock compensation pattern part 120 to reduce the folding repulsive force in the folding part (F).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은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영역이나 구부려지는 영역을 말하며, 이 영역에 대응되어 커버 윈도우가 폴딩되는 영역을 본 발명에서는 커버 윈도우의 "폴딩부"라 하며, 폴딩부를 제외한 평면 영역을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라고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area of the display refers to an area in which the display is folded or bent, and the area in which the cover window is folded corresponding to this area is referred to as a "folding part" of the cover window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lat area excluding the folding part This is called the "flat part" of the cover window.

여기에서 디스플레이의 폴딩 방식에 따라 폴딩부(F)는 접히고(Folding), 말리거나(Rolling), 밀고 당겨지거나(Sliding), 늘어질(Stretching)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윈도우는 Foldable, Rollable, Slidable, Stretchable 등 다양한 방식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용 커버 윈도우로 사용될 수 있다.Here, depending on the folding method of the display, the folding part F may be folded, rolled, pushed and pulled, or stretched, and the cover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able, It can be used as a protective cover window for various types of flexible display panels such as rollable, sliding, and stretchable.

본 발명에서의 커버 윈도우는 글래스 기판(110)을 기반으로 하고, 그 두께는 20~400㎛ 정도로 형성되며, 이를 화학 강화 처리하여 사용한다. 이 두께에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스케일 및 형상, 폴딩부(F)의 폭 및 깊이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강도 및 폴딩 특성이 유지되도록 한다.The cover window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glass substrate 110 and has a thickness of about 20 to 400 μm, which is chemically strengthened and used. In this thickness, the scale and shape of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and the width and depth of the folding portion F are appropriately designed to maintain strength and fold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폴딩부(F)는 평면부(P)에 이어져 형성되며, 평면부(P)와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커버 윈도우의 폴딩 영역에서 내측으로 슬리밍(Slimming)된 형태로 상기 평면부(P)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part (F)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lat part (P) and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flat part (P), or is slimmed inward in the folding area of the cover window. As a result, the thickness may be thinner than that of the flat portion P.

즉, 상기 폴딩부(F)는 상기 평면부(P)와 두께가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평면부(P)에 대해 슬리밍된 형상으로 트렌치(Trench) 형상의 평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olding part (F)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flat part (P), or in a shape slimmed with respect to the flat part (P) and formed in a trench (Trench) shape in a flat or curved shape. ca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폴딩부(F)는 전체적으로 트렌치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폴딩부(F)의 양측단에는 상기 폴딩부(F)에서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경사부(140)를 형성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의 평면 영역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part (F) is formed in the form of a trench as a whole, and at both ends of the folding part (F), an inclined part 140 whose thickness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folding part (F) is formed. to lead to a planar area of the cover window.

특히 폴딩부(F)의 양측단(평면부(P)와의 경계부)에 기울기가 낮은 경사부(140)를 형성시켜 폴딩부(F) 전 영역에서 반사면에 의한 반사각의 크기를 비슷하게 조절하여 빛의 간섭 및 반사면에서의 육안 시인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particular, by forming the inclined portions 140 with a low inclination at both ends (the boundary with the flat portion P) of the folding portion F, the size of the reflection angle by the reflective surface is similarly adjusted in the entire area of the folding portion F to adjust the light This is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and visual visibility on the reflective surfa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글래스 기반으로 형성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박판이면서도 강도 특성 및 폴딩 특성을 보강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vide a flexible cover window that is formed on a glass basis and has reinforced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folding characteristics while being thin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또한 본 발명은 폴딩 특성 및 강도 특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CPI(Clear Polyimide) 커버 위에 배치되어 CPI 커버 보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by maintaining the folding characteristics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r it can be used for protecting the CPI cover by being disposed on a CPI (clear polyimide) cover.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면부(P)에 요철 형상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폴딩부(F)는 무패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연속하여 형성된다.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10 , a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in an uneven shape is formed on the flat portion P, and the folding portion F is formed in a non-pattern shape. and is continuously formed on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즉, 상기 평면부(P)에는 요철 형상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연속하여 상기 폴딩부(F)가 형성되며, 상기 폴딩부(F)에는 상기 평면부(P)와는 달리 무패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flat portion (P) is formed with a concave-convex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and the folding portion (F) is formed in succession to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120, and the folding portion ( Unlike the flat portion (P) in 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non-pattern shape.

이러한 평면부(P)에서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와, 폴딩부(F)에서의 무패턴 형상에 의해 강도 특성과 동시에 폴딩 특성 또한 개선되도록 한다. 특히 폴딩부(F)에서의 무패턴 형상에 의해 폴딩반발력을 감소시켜 폴딩 특성을 더욱 개선시키게 된다.By the pattern part 120 for impact compensation in the flat part (P) and the non-pattern shape in the folding part (F),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the folding characteristics are also improved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by reducing the folding repulsive force by the non-pattern shape in the folding part (F), the folding characteristics are further improved.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면 또는 양면의 평면부(P)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글래스 기판(110)을 건식 또는 습식 에칭 공정을 이용하여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패턴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이다.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120 may be formed on the flat portion P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cover window, and the glass substrate 11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or irregularly using a dry or wet etching process. Patterns of different sizes are continuously formed.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은 수평 단면 형상이 다각형, 타원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폴딩 특성 개선과 충격력의 고른 분산을 위해 격자 배열 또는 교차 배열 패턴을 이룰 수 있다.The pattern of the shock compensating pattern unit 120 may have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of any one or more of polygonal, elliptical, and circular shapes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may be arranged in a grid arrangement or intersecting arrangement to improve folding characteristics and evenly distribute the impact force. pattern can be achieved.

일반적으로 글래스 기판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를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글래스 기판의 두께가 얇아야 하고, 강도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정 두께 이상이어야 한다.In general, when a flexible cover window is to be implemented using a glass substrate, the thickness of the glass substrate should be thin, and in order to secure strength characteristics, it should be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thickness.

예컨대 폴딩 시 곡률반경이 최소 0.5mm 이상을 만족하여야 하는 경우, 커버 윈도우의 두께는 200㎛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펜드랍(Pen-Drop)과 같이 단면적이 좁은 물체가 상기 커버 윈도우의 상면(앞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펜드랍 접촉부를 중심으로 커버 윈도우 전체의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adius of curvature must satisfy at least 0.5 mm or more during folding, the thickness of the cover window may be formed to be 200 μm or less.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front surface),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entire cover window may occur centering on the pendrop contact portion.

일반적으로, 커버 윈도우 상에 펜드랍과 같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수평으로 전달되는 충격력보다 수직으로 전달되는 충격력이 더 강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복수의 요철 형태의 패턴으로 이루어져, 수직 충격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거나 지지하게 되어 펜드랍 특성이 현저하게 개선되게 된다.In general, when an impact such as a pendrop is applied on the cover window,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vertically is stronger than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horizontally. of the pattern, the vertical impact force is effectively dispersed or supported, and the pendrop characteristics are remarkably improved.

즉, 펜드랍 충격력이 글래스 기판의 내부로 전달되어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에 부딪히거나 흡수되어 그 충격력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거나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후술할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 사이에 수지충진층(130)이 형성되며, 충격력의 흡수, 지지 효과가 월등히 개선되게 된다.That is, the pendrop impact force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glass substrate and collides with or is absorbed by the pattern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120 so that the impact force can be efficiently dispersed or absorbed. In addition, the resin filling layer 130 is formed between the patterns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absorption and support effects of the impact force ar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글래스 고유결함과 물리적인 결함(Physical Defect)에 대한 응력을 분산시키고, 표면 스크래치를 개선시켜 강도 특성을 개선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erses stress on glass inherent defects and physical defects, and improves strength characteristics by improving surface scratches.

일반적으로 펜드랍 충격력은 커버 윈도우의 뒷면(충격이 가해지는 반대면)에 더욱 취약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는 도 1, 도 3, 도 5,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래스 기판(110)의 뒷면(도면 상 아래쪽)에 본 발명에 따른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In general, since the pendrop impact force is more vulnerable to the back side of the cover window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impact is applie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1, 3, 5, 7, 8 and 9. As described above,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the back side (lower side in the drawing) of the glass substrate 110 .

이에 의해 상기 커버 윈도우의 앞면(터치면)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은 글래스 기판(110)의 내부로 전달되어 요철 형상 패턴으로 이루어진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의해 그 충격력이 분산되거나 흡수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a result,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from the front surface (touch surface) of the cover window is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glass substrate 110 so that the impact force can be dispersed or absorbed by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unit 120 made of a concave-convex pattern. did it

또한 도 2, 도 4, 도 6,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글래스 기판(110)의 양면 즉, 앞면과 뒷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충격을 받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면인 앞면에 형성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력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고, 글래스 기판(110) 내부로 전달된 충격력은 뒷면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lso, as shown in FIGS. 2, 4, 6, and 10,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1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lass substrate 110, that is,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The impact force can be absorbed primarily by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12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which is the surface including the receiving contact portion, and the impact force transmitted into the glass substrate 110 is applied to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formed on the back surface. (120) to be absorbed.

여기에서, 상기 앞면의 평면부(P)에 형성되는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와 뒷면의 평면부(P)에 형성되는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각각 그 패턴의 크기, 패턴 간의 간격, 패턴의 높이, 패턴의 형상 등이 제품 사양이나, 용도 등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formed in the flat portion P of the front side and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formed in the flat portion P of the rear surface are, respectively, the size and pattern of the pattern. Intervals, the height of the pattern, the shape of the pattern, etc.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product specifications or uses.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스트라이프 형태 또는 패턴이 전체적으로 분산된 형태, 바람직하게는 수평 단면 형상이 다각형, 타원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폴딩부(F)의 슬리밍시 동시에 형성되거나 패터닝 공정에 의해 평면부(P)에 형성되게 된다.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unit 120 may be formed in a stripe shape or a pattern in which the pattern is dispersed as a whole, preferably in a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in any one or more of polygonal, elliptical, and circular shapes,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slimming of the folding part (F) or is formed on the flat part (P) by a pattern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에서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높이는 글래스 기판(110)의 두께에 대해 절반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두께에 대해 10~3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less than half the thickness of the glass substrate 110 , and is formed in a range of 10 to 30% of the thickness of the glass substrate 110 . It is preferable to be

상기의 범위보다 높이가 더 낮은 경우, 충격력 분산의 효과가 미미하며, 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유효 두께의 감소로 전체적인 강도 특성을 저하시키게 된다.When the height is lower tha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the impact force dispersion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is higher than this, the overall strength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due to a decrease in the effective thicknes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 상단의 너비는 0~1000㎛, 상기 패턴 하단의 너비는 30~2000㎛로, 글래스 기판(110)의 중심쪽으로 갈수록 패턴의 너비가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턴 간 간격은 30~4000㎛ 정도이다.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 to 1000 μm, and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pattern is 30 to 2000 μm, and the pattern increases toward the center of the glass substrate 110 . It is preferable to form a wide width,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patterns is about 30 to 4000 μm.

상기 패턴의 크기가 상기의 범위보다 크면 폴딩 특성이 낮아지고, 작으면 펜드랍 특성이 낮아지게 되며, 상기 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의 범위보다 크면 펜드랍 특성이 낮아지고, 상기 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의 범위보다 작으면 폴딩 특성이 낮아지게 된다.When the size of the pattern is larger than the above range, the folding characteristic is lowered, and when the size is smaller, the pendrop characteristic is lowered. When it is smaller than the above range, the folding characteristic is lowered.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의 높이(에칭깊이)는 0.5~2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상기 패턴의 측면의 기울기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수평면에 대해 0.1~50°의 기울기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에칭 공정 조건에 따라 의존하게 되며, 제품 사양 등에 따라서 패턴의 높이 및 기울기를 조절하여 형성한다.In addition, the height (etching depth) of the pattern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120 is preferably 0.5 ~ 280㎛. In addition, in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unit 120 , the side surface of the pattern has an inclination of 0.1 to 5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cover window. This depends on the etching process conditions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120, and is formed by adjusting the height and inclination of the pattern according to product specifications and the like.

상기 높이보다 패턴의 높이가 더 작으면 충격력 흡수 및 분산 기능이 미미하며, 싱기 높이보다 패턴의 높이가 더 높으면 패턴의 경면에서 빛반사가 일어나거나 강도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If the height of the pattern is smaller than the above height, the impact force absorption and dispersion function is insignificant, and if the height of the pattern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attern, light reflection may occur on the mirror surface of the pattern or the strength characteristic may be deteriorated.

상기 기울기보다 낮은 경우에는 패턴의 높이가 너무 작아 충격력 흡수 및 분산 기능이 미미하며, 상기 기울기보다 높은 경우에는 패턴의 경면에서 빛반사가 발생할 확률이 높게 된다.When the slope is lower than the inclination, the height of the pattern is too small to absorb and disperse the impact force.

또한, 상기 평면부(P)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높이는 상기 폴딩부(F)의 깊이보다 크거나, 같거나 작을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딩 특성을 위해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높이는 상기 폴딩부(F)의 깊이보다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리밍된 폴딩부(F)가 형성된 경우에 대한 것으로, 폴딩부(F)가 슬리밍되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formed on the flat portion P may be greater than,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folding portion F, and preferably,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for folding characteristics The height of the part 120 is preferably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folding part F. This is for a case in which the slimmed folding part F is formed, and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folding part F is not slimmed.

이러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건식 또는 습식에 따른 마스킹 에칭 공정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포토 마스킹에 따른 에칭 공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pattern part 120 for impact compensation may be implemented by a dry or wet masking etching process, and may be implemented by an etching process according to photomas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경우, 상기 마스킹 에칭 공정은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의 높이와 상기 폴딩부(F)의 형상 및 깊이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단일 회 또는 2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sking etc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ce or repeatedly twice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 of the pattern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120 and the shape and depth of the folding part F. .

즉,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와 상기 폴딩부(F)의 깊이가 다른 경우 복수회 마스킹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깊이 또는 상기 폴딩부(F)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epth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120 and the folding part F are different, a masking etching process is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to the depth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120 or the folding part F. You can adjust the depth.

예컨대,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의 높이가 상기 폴딩부(F)의 깊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경우(도 5, 도 6, 도 8, 도 9 및 도 10)에는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는 1차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폴딩부(F)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패턴으로 형성되고, 2차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폴딩부(F)만 에칭함으로써,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패턴의 높이가 상기 폴딩부(F)의 깊이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가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height of the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folding portion F ( FIGS. 5 , 6 , 8 , 9 and 10 ), the impact compensation The pattern part 120 is formed in a patter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folding part F by a primary etching process, and only the folding part F is etched by a secondary etching process, so that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The height of the pattern of the portion 120 is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folding portion (F).

또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의 높이가 상기 폴딩부의 깊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1차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폴딩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패턴으로 형성되고, 2차 에창 공정에 의해 상기 평면부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만을 한번 더 에칭함으로써,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의 높이가 상기 폴딩부의 깊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eight of the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depth of the folding portion,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formed in a patter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folding portion by the first etching process, By etching only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of the flat portion by the process once more, the height of the pattern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has a greater height than the depth of the folding portion.

이러한 마스킹 에칭 공정은 일반적으로, 글래스 기판(110) 상에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상기 레지스트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글래스 기판(110) 상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 형성을 위한 레지스트 패턴층을 형성하고, 상기 레지스트 패턴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평면부(P)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형성하는 것이다.In this masking etching process, in general, a resist layer is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110 , and the resist layer is patterned to form a resist pattern layer for forming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unit 120 on the glass substrate 110 . and forming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on the flat portion P using the resist pattern layer as a mask.

그 후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포함하는 평면부(P)가 형성된 글래스 기판(110)을 강화시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를 완성하게 된다.Thereafter, the glass substrate 110 on which the flat portion P including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120 is formed is strengthened to complete the cover window including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120 .

이때 폴딩부(F)가 슬리밍되지 않은 경우에는 폴딩부(F)에 대해서는 에칭 공정이 수행되지 않도록 레지스트 패턴층을 형성하게 되며, 폴딩부(F)가 슬리밍된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여 레지스트 패턴층을 형성한다.At this time, when the folding part F is not slimmed, a resist pattern layer is formed so that the etching process is not performed on the folding part F. When the folding part F is slimmed, the resist pattern layer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is. to form

이 경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 형성과 폴딩부(F)의 슬리밍 에칭 공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와 상기 폴딩부(F)의 깊이가 다른 경우 복수회 마스킹 에칭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의 깊이 또는 상기 폴딩부(F)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rmation of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and the slimming etching process of the folding portion F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s described above, with the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and When the depth of the folding part F is different, the depth of the pattern part 120 for impact compensation or the depth of the folding part F may be adjusted by performing a masking etching process a plurality of time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폴딩부(F)는 무패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폴딩부(F)에서의 폴딩반발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folding part (F) of the cover wind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non-pattern shape, and is formed continuously to the pattern part 120 for impact compensation to reduce the folding repulsion force in the folding part (F). do it with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상기 평면부뿐만 아니라 폴딩부(F)에도 형성된 경우, 상기 폴딩부(F)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의해 폴딩반발력이 증가하여 폴딩 특성이 저하되게 된다.When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is formed not only on the flat portion but also on the folding portion F, the folding repulsive force is increased by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120 formed on the folding portion F, thereby deteriorating the folding characteristics.

즉, 폴딩부(F)에 형성된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에 의해 폴딩 방식(Folding, Rolling, Sliding, Stretching)에 따라 폴딩부(F)에서 폴딩반발력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폴딩 방식에 따라서는 폴딩 특성이 저하되거나 폴딩 재현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folding method (Folding, Rolling, Sliding, Stretching) by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120 formed in the folding portion (F), the folding repulsive force is increased in the folding portion (F), so that depending on the folding method There may be cases in which folding characteristics are deteriorated or folding reproducibility is deteriorated.

이에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P)에는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를 형성하여 강도 특성을 개선시키고, 커버 윈도우의 폴딩부(F)에는 이러한 패턴을 형성하지 않아 폴딩반발력을 감소시켜 폴딩 방식에 따라 정확한 폴딩과 폴딩 재현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strength characteristics by forming a pattern portion 120 for impact compensation in the flat portion P of the cover window, and reduces the folding repulsion force by not forming such a pattern in the folding portion F of the cover window. It is to maintain accurate folding and folding reproducibility according to the folding method.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폴딩부(F)는 슬리밍되지 않은 글래스 기판(110) 두께 그대로인 평면 형상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폴딩부(F)는 슬리밍되어 평면부(P)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평면 형상을 이루거나 필요에 따라 곡면 형상을 이룰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olding part (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lanar shape with the thickness of the non-slimed glass substrate 110, and the folding part (F) may be slimm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flat part (P). And, it may form a flat shape or a curved shape if necessary.

상기 폴딩부(F)가 슬리밍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평면부(P)와의 경계에 경사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folding part F is formed by slimming, the inclined part 140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with the flat part P.

본 발명의 실시예로 폴딩부(F)는 전체적으로 트렌치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폴딩부(F)의 양측단에는 상기 폴딩부(F)에서 두께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경사부(140)를 형성시켜 상기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P)와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part (F) is formed as a whole in the form of a trench, and at both ends of the folding part (F), inclined parts 140 whose thickness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folding part (F) are formed. It may be formed to naturally connect with the flat portion P of the cover window.

즉, 폴딩부(F)의 양측단(평면부(P)와의 경계부)에 기울기가 낮은 경사부(140)를 형성시켜 폴딩부(F) 전 영역에서 반사면에 의한 반사각의 크기를 비슷하게 조절하여 빛의 간섭 및 반사면에서의 육안 시인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by forming the inclined portions 140 having a low inclination at both ends (the boundary portion with the flat portion P) of the folding portion F, the size of the reflection angle by the reflective surface in the entire area of the folding portion F is similarly adjusted. This is to minimize light interference and visual visibility on the reflective surface.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120)가 형성된 커버 윈도우 상에는 수지충진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S. 9 and 10 , a resin filling layer 130 may be formed on the cover window on which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120 is formed.

상기 수지충진층(130)은 상기 커버 윈도우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거나, 측면까지 에워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esin filling layer 130 may be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cover window, o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s.

상기 수지충진층(130)이 상기 커버 윈도우 양면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뒷면 측에 형성된 수지충진층(130)과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앞면 측에 형성된 수지충진층(130)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뒷면 측에 형성된 수지충진층(130)이 상기 글래스 기판(110)의 앞면 측에 형성된 수지충진층(130)보다 상대적으로 더 소프트(Soft)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When the resin-filled layer 1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window, the resin-filled layer 130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glass substrate 110 and the resin-filled layer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glass substrate 110 ( 130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r the resin-filled layer 130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glass substrate 110 is relatively softer than the resin-filled layer 130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glass substrate 110 ( It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구체적으로는 커버 윈도우의 앞면에 형성된 수지충진층(130)의 경우 경화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수지 예컨대 아크릴이나 에폭시 같은 수지의 함량이 높은 것을 사용하며, 상기 커버 윈도우 뒷면에 형성된 수지충진층(130)의 경우 경화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탄성도가 높은 수지 예컨대 실리콘, 우레탄 합성수지 등의 함량이 높게 하여 사용한다. 또한 유무기 하이브리드졸겔에서 유기물 및 무기물의 함량을 조절하여 강도나 탄성을 보강하여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resin filling layer 13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window, a resin having a relatively high hardness when cured, for example, a resin having a high content such as acrylic or epoxy, is used, and the resin filling layer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window ( 130), a resin having a relatively high degree of elasticity when cured, such as silicone or urethane synthetic resin, is used with a high content.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organic and inorganic substances in the organic-inorganic hybrid sol-gel, it can be used by reinforcing strength or elasticity.

또한, 이는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 방식에 따라 폴딩되어 접혀지는 쪽은 더 하드한 소재로 형성시키고, 늘어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소재로 형성시켜, 늘어지는 부분에서의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folding or out-folding method, the folded side is made of a harder material, and the stretched part is formed of a relatively soft material, so that cracks in the sagging part can be minimized. .

또한 상기 수지충진층(130)에는 별도의 기능성 패턴을 부여하여 형성하거나,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AF(Anti Finger) 또는 AR(Anti Reflective) 기능이 부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갖는 수지를 합성하여 구현하거나, 상기 수지충진층(130)에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sin filling layer 130 may be formed by providing a separate functional pattern or by mixing a functional material. For example, the AF (Anti Finger) or AR (Anti Reflective) function may be provided, and a resin having such a function may be synthesized and implemented, or various patterns may be formed on the resin filling layer 130 to be implemented.

또한 상기 수지충진층(130)의 조성물에 항균 조성물을 혼합하여 커버 윈도우의 앞면에 형성되는 수지충진층(130)의 경우 항균성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sin filling layer 130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window by mixing the antibacterial composition with the composition of the resin filling layer 130 may be formed to have antibacterial properti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충진층(130)은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충격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에 충진되거나, 상기 충격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에 충진된 후 그 상측으로도 커버 윈도우 전면(Total Surface)에 수지충진층(130)이 일정 두께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sin filling layer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lled in the pattern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or filled in the pattern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if necessary, and then on the upper side of the cover window (Total Surface). The resin filling layer 130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폴딩부(F)가 슬리밍된 경우에는 그 영역에도 상기 수지충진층(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충진층(130)에 의해 상기 커버 윈도우는 전체적으로 평편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Total Surface)과 커버 윈도우가 빈 공간없이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folding part (F) is slimmed, the resin filling layer 130 may be formed in the area as well, and the cover window is flattened as a whole by the resin filling layer 130,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 Total Surface) and the cover window are joined together without any empty space.

특히, 글래스 기판(110)의 배면에 충격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그쪽 면에만 상기 수지충진층(1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글래스 기판(110)의 앞면에는 보호를 위한 하드 코팅용(Hard Coating) 수지충진층(130)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10 , the resin filling layer 130 may be formed only on that surface. Of course, a resin filling layer 130 for hard coating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110 for protection.

이와 같이 상기 충격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사이에 수지충진층(130)이 충진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커버 윈도우를 제공하게 되며, 충격력을 흡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접합시 빈 공간(공기층)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여 시인성 및 접합성이 개선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resin filling layer 130 is filled between the patterns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to provide a uniform cover window as a whole, to absorb the impact force, and there is no empty space (air layer) when b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improve visibility and bonding.

상기 수지충진층(130)은 글래스의 굴절율(1.5)과 거의 동일한 OCR(Optical Clear Resin)과 같은 투명 수지를 사용한다. 예컨대 아크릴, 에폭시, 실리콘, 우레탄, 우레탄합성물, 우레탄아크릴 합성물, 하이브리드졸겔, 실록산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다양한 조합으로 혼합하여 강도 및 탄성 보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resin filling layer 130 uses a transparent resin such as OCR (Optical Clear Resin) that is almost the same as the refractive index (1.5) of glass. For example, acrylic, epoxy, silicone, urethane, urethane compound, urethane acrylic compound, hybrid sol gel, siloxane-based, etc. may be used, and these may be mixed in various combinations to enhance strength and elasticity.

상기 수지충진층(130)은 상기 충격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사이에 충진되면서 일정 두께 예컨대 2~20㎛ 정도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단일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resin filling layer 13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example, about 2 to 20 μm, while being filled between the patterns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ulti-layer as needed.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글래스와 수지재와의 복합 재료로 구현되어 글래스의 질감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수지재에 의한 유연성, 복원력, 탄성력 및 강도 특성은 보강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composite material of glass and a resin material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flexibility, restoring force, elasticity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resin material are reinforced while maintaining the texture of the glass as much as possible.

특히 본 발명은 상기 글래스 기판(110) 상에 충격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되고, 상기 충격보상용 패턴부 상에 수지충진층(130)이 형성됨으로써, 펜드랍에 대한 충격력을 더욱 분산 또는 흡수시켜 내충격성을 더욱 개선시키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formed on the glass substrate 110 and a resin filling layer 130 is formed on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thereby further dispersing or absorbing the impact force on the pendrop. The impact properties are further improved.

또한, 폴딩부(F)에서의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충격보상용 패턴부의 형태가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수지충진층(130)이 상기 충격보상용 패턴부 내부로 고르게 충진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하는 부분의 평탄도(Flatness)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ile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folding part (F) and preventing the shape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from being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e resin filling layer 130 is evenly filled into the inside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This is to ensure the flatness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하는 면에서는 커버 윈도우에 탄성력을 보강하여 내충격성이 향상되도록 하며, 글래스가 깨졌을 때 비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In addition,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display panel, the impact resistance is improved by reinforcing the elastic force on the cover window, and it functions to prevent scattering when the glass is broken.

본 발명의 도 9의 실시예로, 글래스 기판(두께 0.08t)의 뒷면의 평면부에 충격 보상용 패턴부(높이 0.03mm, 상단의 너비 0.05mm, 하단의 너비 0.1mm, 간격 0.15mm)를 형성하고, 평면 형상의 폴딩부의 높이 0.045mm, 아크릴계 수지충진층(두께 0.02mm을 형성하여, 폴딩 특성 및 펜드랍 특성을 측정하였다.In the embodiment of FIG. 9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height 0.03mm, top width 0.05mm, bottom width 0.1mm, spacing 0.15mm) is formed on the flat surface of the back surface of a glass substrate (thickness 0.08t). After forming a flat folding part, a height of 0.045 mm and an acrylic resin filling layer (thickness of 0.02 mm) were formed, and the folding characteristics and pendrop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이를 이용한 슬라이더블 커버 윈도우의 경우 폴딩 특성(2 point bending 방법에 의한 폴딩 한계 평가, 2R 기준) 측정 결과, 불량품이 없는 100% 수율로 측정되었다.In the case of a slideable cover window using this, as a result of measuring folding characteristics (folding limit evaluation by a two-point bending method, 2R standard), it was measured with a 100% yield without defective products.

상기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블 커버 윈도우의 펜드랍 특성(펜드랍 테스트는 Ball size 0.5mm, 중량 6.2g의 펜을 이용하였으며, 상기 글래스 기판의 앞면 측 다양한 높이에서 상기 펜을 자유 낙하하여 상기 커버 윈도우가 파손되는 높이를 측정함)은 평균 8cm 높이에서 펜드랍 후 파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용화 수준보다 훨등히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Pendrop characteristics of the slideable cover window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the pendrop test, a pen having a ball size of 0.5mm and a weight of 6.2g was used. It can be seen that the breakage was measured after the pendrop at an average height of 8 cm, and it was measured to be much higher than the commercialization level.

110 : 글래스 기판 120 : 충격 보상용 패턴부
130 : 수지충진층 140 : 경사부
P : 평면부 F : 폴딩부
110: glass substrate 120: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130: resin-filled layer 140: inclined portion
P: flat part F: folding part

Claims (1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 영역에 형성된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이어져 형성되며, 상기 평면부에 비해 슬리밍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에 형성된 폴딩부를 포함하는 글래스 기판 기반의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에 요철 형상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되고,
상기 폴딩부는 무패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폴딩부에서의 폴딩반발력을 감소시키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상단의 너비는 0~1000㎛,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하단의 너비는 30~2000㎛이고,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 간 간격은 30~4000㎛이고,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의 측면의 기울기는 상기 커버 윈도우의 수평면에 대해 0.1~50°이고,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2회 이상 반복하여,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의 높이와 상기 폴딩부의 형상 및 깊이를 조절하는 마스킹 에칭 공정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의 높이가 상기 폴딩부의 깊이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1차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폴딩부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패턴으로 형성되고, 2차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폴딩부만 에칭하여 구현되며,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의 높이가 상기 폴딩부의 깊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1차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폴딩부의 깊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패턴으로 형성되고, 2차 에칭 공정에 의해 상기 평면부의 충격 보상용 패턴부만 에칭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In a glass substrate-based flexible cover window comprising: a flat portion formed in a flat area of a flexible display; ,
A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having an uneven shape is formed on the flat portion,
The folding part is formed in a non-pattern shape, and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pattern part for impact compensation to reduce the folding repulsion force in the folding part,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pattern for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is 0 ~ 1000㎛, the width of the lower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for the impact compensation is 30 ~ 2000㎛, the interval between the patterns of the pattern portion for the impact compensation is 30 ~ 4000㎛,
The inclina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pattern of the pattern part for impact compensation is 0.1 to 5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cover window,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is implemented by a masking etching process that repeats two or more time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attern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art and the shape and depth of the folding part,
When the height of the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epth of the folding portion,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formed in a patter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depth of the folding portion by the first etching process, and the second It is implemented by etching only the folding part by an etching process,
When the height of the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depth of the folding portion,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formed in a pattern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depth of the folding portion by the first etching process, and the second Flexible cover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by etching only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of the flat portion by an etching proces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의 높이는 0.5~2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The flexible cover window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of the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0.5 to 280 μ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A flexible cover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gularly or irregularly formed in the same size or different siz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의 패턴은,
격자배열 또는 교차배열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ttern of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A flexible cover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grid arrangement or a cross arrangemen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수평 단면 형상이 다각형, 타원형 및 원형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A flexible cover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by any one or more of polygonal, oval, and circular shapes,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는,
상기 글래스 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pact compensation pattern portion,
A flexible cover window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glass substr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평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lding unit,
Flexible cover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flat or curved shap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평면부와의 경계에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lding unit,
A flexible cover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portion is formed at a boundary with the flat portion.
제 1항, 제 2항, 제 4항, 제 5항, 제 7항, 제 8항, 제 11항 및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보상용 패턴부가 형성된 커버 윈도우 상에는 수지충진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Claim 14]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4, 5, 7, 8, 11, and 13, a resin filling on the cover window in which the pattern portion for impact compensation is formed. A flexible cover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the layer is formed.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충진층은,
상기 커버 윈도우의 평면부 및 폴딩부 전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resin-filled layer,
A flexible cover window,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entire area of the flat portion and the folding portion of the cover window.
KR1020210050411A 2021-04-19 2021-04-19 Flexible Cover Window Active KR102457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411A KR102457942B1 (en) 2021-04-19 2021-04-19 Flexible Cover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411A KR102457942B1 (en) 2021-04-19 2021-04-19 Flexible Cover Wind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942B1 true KR102457942B1 (en) 2022-10-24

Family

ID=8380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411A Active KR102457942B1 (en) 2021-04-19 2021-04-19 Flexible Cover Wind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94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28455A1 (en) * 2023-05-04 2024-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5048284A1 (en) * 2023-09-01 2025-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633A (en) * 2015-12-01 2017-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80217639A1 (en) * 2017-02-01 2018-08-02 Apple Inc. Foldable cover and display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80124819A (en) * 2018-11-14 2018-11-21 김영수 Transparent parts having micro protrusion applying mobile display
KR20200034428A (en) * 2018-09-21 202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nti-reflection layer and anti-glare lay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46730B1 (en) * 2019-12-23 2020-08-24 (주)유티아이 Flexible Cover Window
KR102167404B1 (en) * 2020-04-02 2020-10-20 (주)유티아이 Flexible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Cover Window
KR102176216B1 (en) * 2020-04-29 2020-11-10 (주)유티아이 Flexible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Cover Window
KR102181655B1 (en) * 2020-06-01 2020-11-24 (주)유티아이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Cover Window with Complex Pattern
KR20210055845A (en) * 2019-11-07 2021-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633A (en) * 2015-12-01 2017-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US20180217639A1 (en) * 2017-02-01 2018-08-02 Apple Inc. Foldable cover and display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200034428A (en) * 2018-09-21 202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anti-reflection layer and anti-glare lay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124819A (en) * 2018-11-14 2018-11-21 김영수 Transparent parts having micro protrusion applying mobile display
KR20210055845A (en) * 2019-11-07 2021-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146730B1 (en) * 2019-12-23 2020-08-24 (주)유티아이 Flexible Cover Window
KR102167404B1 (en) * 2020-04-02 2020-10-20 (주)유티아이 Flexible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Cover Window
KR102176216B1 (en) * 2020-04-29 2020-11-10 (주)유티아이 Flexible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Cover Window
KR102181655B1 (en) * 2020-06-01 2020-11-24 (주)유티아이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Cover Window with Complex Patter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228455A1 (en) * 2023-05-04 2024-11-07 삼성전자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WO2025048284A1 (en) * 2023-09-01 2025-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719B1 (en) Flexible Cover Window
KR102146730B1 (en) Flexible Cover Window
CN113362708B (en) Flexible cover windo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 cover window
KR102395748B1 (en) Rollable, Slidable and Stretchable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over Window
KR102068685B1 (en) Flexible Cover Window
KR10211113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Cover Window
KR102150391B1 (en) Flexible Cover Window with Folding Area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Cover Window with Folding Area
KR10206904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Cover Window and Flexible Cover Window Thereby
KR102150392B1 (en) Visibility Improvement Flexible Cover Window
KR102457942B1 (en) Flexible Cover Window
US11781371B2 (en) Flexible cover window
KR102162567B1 (en) Flexible Cover Window
KR10218165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Cover Window with Complex Pattern
KR102176216B1 (en) Flexible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Cover Window
KR20220033654A (en) Flexible Cover Window
KR20240053813A (en) Flexible Cover Window
KR102395734B1 (en) Flexible Cover Window
KR102501292B1 (en) Flexible Cover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