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7895B1 -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895B1
KR102457895B1 KR1020200169048A KR20200169048A KR102457895B1 KR 102457895 B1 KR102457895 B1 KR 102457895B1 KR 1020200169048 A KR1020200169048 A KR 1020200169048A KR 20200169048 A KR20200169048 A KR 20200169048A KR 102457895 B1 KR102457895 B1 KR 102457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coupled
rail
arm
ja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9781A (ko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이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이상일 filed Critical 지엠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8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7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8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28Cranes on rails or on rail vehicles
    • B66C2700/035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n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휴지시 레일헤드를 크레인에 설치되는 죠(2)로 집어놓은 상태에서 크레인이 강풍에 밀리면 상기 죠(2)가 기울어 지면서 레일헤드와의 마찰계수를 증가하여 크레인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죠(2)는 좌우측갈고리가 레일의 상면을 집을 수 있게 대칭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이며, 좌우측갈고리의 내측에는 좌우측수평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수평돌기 사이에 코일스프링(7)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발명은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을 방지하되, 간단하고 편리한 수동 조작 방식이므로 작동에 필요한 전기나 에너지가 필요 없으며, 고장률이 낮으며, 간단한 구조이므로 장기간 사용되면서도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Device to prevent slipping by strong wind when the crane is stopped}
본발명은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을 방지하되, 간단하고 편리한 수동 조작 방식이므로 작동에 필요한 전기나 에너지가 필요 없으며, 고장률이 낮으며, 간단한 구조이므로 장기간 사용되면서도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적은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로써 기존의 유압의 힘으로 레일헤드를 죄는 방식은 마모 한계를 벗어나면 레일헤드를 죄일 수가 없어 무용지물이 된다. 또한 레일헤드의 마모상태가 달라 균일하지 못하여 그 효과가 낮다.
기존의 방식은 레일헤드를 유압의 힘으로 죄어 크레인을 정지하였으나 구조 여건상 크램프를 교체하기가 너무 힘들고, 마모 상태를 점검하기에 너무 불편하여 사실상 점검 및 교체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므로 필요시 그 역할을 할 수 없다.
그리고 종래특허기술의 일례로서 본출원인이 출원, 등록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8-0069143호에는 청구항 1. 레일(R)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주행장치(A)의 하면에는 하부가 개구된 지지프레임(8)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8)의 내부에는 한 쌍의 브레이크 암(1)이 직립하여 레일(R)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되,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암(1)의 중심부는 각각 지지프레임(8)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축(10)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고, 한 쌍의 브레이크 암(1)의 상단은 실린더(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3)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브레이크 암(1)의 하단부는 힌지축(10)을 중심으로 하는 시소운동에 의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일(R)의 상면을 접촉하여 압박하게 됨으로써 레일(R)을 클램핑하는 것이 특징인 레일주행장치의 레일 클
램핑 방법.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암(1) 사이에 위치하는 프레임(8)의 내부에는 레일(R)에 나란하도록 고정바(5)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암(1)의 하단부는 각각 레일(R)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홀더(7)의 끝단부와 힌지결합하여 있되, 상기 고정바(5)의 양단은 각각 홀더(7)의 마주보는 일단과 서로 링크바(4)에 의해 링크결합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3)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브레이크 암(1)의 하단부에 결합된 홀더(7)가 레일(R)의 상면을 압박하게 됨으로써 레일(R)을 클램핑하는 것이 특징인 레일주행장치의 레일 클램핑 방법.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7)의 하면에는 레일(R)과의 마찰력을 증대하기 위해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판재형상의 브레이크 슈(6)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인 레일주행장치의 레일 클램핑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84600호의 요약서에는 크레인 전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7)는 크레인의 주행부(6)와 연결되는 본체(14)와, 상기 본체(14) 하부에 위치하며 걸림홈(11)이 하면에 형성된 연결구(17)와, 상기 연결구(17)의 걸림홈(11)이 기초면(지상)에 설치된 레일(10)을 감싼 듯이 설치되는 것으로, 크레인 전도 방지 장치(7)는 크레인 주행부에 설치되어 주행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급작스런 외력에 의한 크레인 전도를 미연에 방지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는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에너지 소요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이 많고 하자보수가 자주 필요한 단점이 여전히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을 방지하되, 간단하고 편리한 수동 조작 방식이므로 작동에 필요한 전기나 에너지가 필요 없으며, 고장률이 낮으며, 간단한 구조이므로 장기간 사용되면서도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적은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휴지시 레일헤드를 크레인에 설치되는 죠(2)로 집어놓은 상태에서 크레인이 강풍에 밀리면 상기 죠(2)가 기울어 지면서 레일헤드와의 마찰계수를 증가하여 크레인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죠(2)는 좌우측갈고리가 레일의 상면을 집을 수 있게 대칭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이며, 좌우측갈고리의 내측에는 좌우측수평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수평돌기 사이에 코일스프링(7)이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을 방지하되, 간단하고 편리한 수동 조작 방식이므로 작동에 필요한 전기나 에너지가 필요 없으며, 고장률이 낮으며, 간단한 구조이므로 장기간 사용되면서도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정면도
도 2는 본발명의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우측면도
도 3은 본발명의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평면도
도 4는 본발명의 죠(크램프)를 들어올려 상부에 거치하는 상태도
도 5는 본발명의 죠작동 이해도
도 6은 일반적인 레일주행장치 개요도
도 7은 일반적인 레일주행장치에 설치되는 레일클램핑장치의 개요도
본발명은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휴지시 레일헤드를 크레인에 설치되는 죠(2)로 집어놓은 상태에서 크레인이 강풍에 밀리면 상기 죠(2)가 기울어 지면서 레일헤드와의 마찰계수를 증가하여 크레인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죠(2)는 좌우측갈고리가 레일의 상면을 집을 수 있게 대칭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이며, 좌우측갈고리의 내측에는 좌우측수평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수평돌기 사이에 코일스프링(7)이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상면에는 각각 손잡이(9)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죠(2)의 상부는 상부의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중앙에 직사각형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 좌우측에 죠의좌우측갈고리의 상부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구멍에는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되어 크램프가 결합상태에서는 크레인이 주행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죠를 해제하여 상부로 움직이면 리미트스위치가 접촉되면서,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크레인의 락 상태를 해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내측에는 좌우측수평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수평돌기 사이에 코일스프링(7)이 삽입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상면에는 각각 손잡이(9)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죠(2)의 상부는 상부의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상부에는 수평방향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볼트(4)가 삽입되되 볼트는 브라켓의 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죠는 좌우방향으로는 움직이지 못하나 전후방향으로는 시계추처럼 움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는 밀림, 곧 레일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코일스프링 하부에는 수평방향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볼트(3)가 삽입되어 좌단에는 너트(6)가 결합되고, 우단에는 암(4)이 회전가능하게 핀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의 선단은 평면이어서 우측갈고리의 외측에 접촉이 용이하고, 암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이 좌우갈고리 사이의 코일스프링을 압축하면서 레일을 잠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쪽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장치를 들어 내리고 레버(락킹장치)를 제치면 잠기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의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정면도, 도 2는 본발명의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우측면도, 도 3은 본발명의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평면도, 도 4는 본발명의 죠(크램프)를 들어올려 상부에 거치하는 상태도, 도 5는 본발명의 죠작동 이해도 도 6은 일반적인 레일주행장치 개요도, 도 7은 일반적인 레일주행장치에 설치되는 레일클램핑장치의 개요도이다.
본발명은 크레인 휴지시 레일헤드를 크레인에 설치되는 죠(2)로 집어놓은 상태에서 크레인이 강풍에 밀리면 상기 죠(2)가 기울어 지면서 레일헤드와의 마찰계수를 증가하여 크레인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상면에는 각각 손잡이(9)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죠(2)의 상부는 상부의 브라켓에 결합된다.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상부에는 수평방향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볼트(4)가 삽입되되 볼트는 브라켓의 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죠는 좌우방향으로는 움직이지 못하나 전후방향으로는 시계추처럼 움직이게 되며,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는 밀림, 곧 레일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것을 구속한다.
상기 죠(2)는 좌우측갈고리가 레일의 상면을 집을 수 있게 대칭으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은 중앙에 직사각형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 좌우측에 죠의좌우측갈고리의 상부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구멍에는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되어 크램프가 결합상태에서는 크레인이 주행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죠를 해제하여 상부로 움직이면 리미트스위치가 접촉되면서,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크레인의 락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내측에는 좌우측수평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수평돌기 사이에 코일스프링(7)이 삽입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상면에는 각각 손잡이(9)가 결합되고, 상기 죠(2)의 상부는 상부의 브라켓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상부에는 수평방향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볼트(4)가 삽입되되 볼트는 브라켓의 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죠는 좌우방향으로는 움직이지 못하나 전후방향으로는 시계추처럼 움직인다.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는 밀림, 곧 레일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것을 구속한다.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코일스프링 하부에는 수평방향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볼트(3)가 삽입되어 좌단에는 너트(6)가 결합되고, 우단에는 암(4)이 회전가능하게 핀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암의 선단은 평면이어서 우측갈고리의 외측에 접촉이 용이하고, 암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암이 좌우갈고리 사이의 코일스프링을 압축하면서 레일을 잠그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양쪽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장치를 들어 내리고 레버(락킹장치)를 제치면 잠기는 방식이다.
레일의 마모상태에 따라 죄이는 양의 조절이 쉽도록 되어 있다. 아주 간단한 방식이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레일의 마모여부에 관계가 없는 구조이며, 바람에 의하여 끼어 있더라도 레버를 이용하여 쉽게 해제할 수 있다.
곧 본발명은 빨래집게처럼 레일헤드를 살짝 집어놓고 크레인이 강풍에 밀리면 이 집게가 기울어 지면서 레일헤드의 마찰계수를 극도로 올리게 하여 크레인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양쪽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장치를 들어 내리고 레버(락킹장치)를 제치면 잠기는 방식이다.
레일의 마모상태에 따라 죄이는 양의 조절이 쉽도록 되어 있다. 아주 간단한 방식이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레일의 마모여부에 관계가 없는 구조이며, 바람에 의하여 끼어 있더라도 레버를 이용하여 쉽게 해제할 수 있다.
죠를 수동으로 들어 내리고, 올리며 작동할 수 있으며, 내린 후 조우가 레일 헤드를 죄는 레버를 발로 밟거나 레버를 이용하여 레일 헤드를 강하게 죄일 수 있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레일 헤드를 죄이는 힘으로만 잠기는 구조가 아니라 약간의 힘으로 죄어 있더라도 크레인이 밀리게 되면 조우가 기울어짐으로써 레일 헤드를 꺽듯이 하여 마찰계수 극도로 증대시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이다.
브라켓은 크레인 휠을 잡아주는 새들의 좌측 내지 우측에 결합된다.
보조장치는 상하로 파이프가 형성되며, 플레이트 좌측의 파이프에 평소 삽입되어 걸려있으며, 암을 동작시킬때 암에 결합하여 힘을 지렛대처럼 증대하는 데 사용된다. 곧 레일헤드를 죠로 잡아두면 밀림방지효과가 크지 않아 본발명은 크레인이 외력에 의해 밀리면 죠는 움직이려하지 않기 때문에 죠가 기울어진다. 이때 죠의 레일에 대한 꺽임현상이 일어나며, 꺽임현상에 의해 더 이상 밀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발명은 죠를 해체후 들어올려 도 4처럼 상부에 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은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을 방지하되, 간단하고 편리한 수동 조작 방식이므로 작동에 필요한 전기나 에너지가 필요 없으며, 고장률이 낮으며, 간단한 구조이므로 장기간 사용되면서도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이 적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 브라켓
2 : 죠
3 : 볼트와 너트
4 : 암(레버)
5 : (암작동시 암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보조장치
7 : (죠가 풀릴때 죠를 벌어지게 하는) 코일스프링
8 : 리미트 스위치
9 : 손잡이

Claims (3)

  1. 크레인 휴지시 레일헤드를 크레인에 설치되는 죠(2)로 집어놓은 상태에서 크레인이 강풍에 밀리면 상기 죠(2)가 기울어 지면서 레일헤드와의 마찰계수를 증가하여 크레인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로서, 상기 죠(2)는 좌우측갈고리가 레일의 상면을 집을 수 있게 대칭으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이며, 좌우측갈고리의 내측에는 좌우측수평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수평돌기 사이에 코일스프링(7)이 삽입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상면에는 각각 손잡이(9)가 결합되며, 상기 죠(2)의 상부는 상부의 브라켓에 결합되는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상부에는 수평방향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볼트(4)가 삽입되되 볼트는 브라켓의 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죠(2)는 좌우방향으로는 움직이지 못하나 전후방향으로는 시계추방식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브라켓은 중앙에 직사각형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 좌우측에 죠(2)의 좌우측갈고리의 상부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구멍에는 리미트스위치(8)가 설치되어 크램프가 결합상태에서는 크레인이 주행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죠(2)를 해제하여 상부로 움직이면 리미트스위치(8)가 접촉되면서, 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되고 제어부는 크레인의 락 상태를 해제하게 되며,
    상기 좌우측갈고리의 코일스프링(7) 하부에는 수평방향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볼트(3)가 삽입되어 좌단에는 너트(6)가 결합되고, 우단에는 암(4)이 회전가능하게 핀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암(4)의 선단은 평면이어서 우측갈고리의 외측에 접촉이 용이하고, 암(4)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암(4)이 좌우갈고리 사이의 코일스프링(7)을 압축하면서 레일을 잠그게 되는 것이므로, 양쪽 손잡이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장치를 들어 내리고 레버락킹장치인 레버를 제치면 잠기는 것이며,
    보조장치(5)는 상하로 파이프가 형성되며, 플레이트 좌측의 파이프에 평소 삽입되어 걸려있으며, 암을 동작시킬때 암(4)에 결합하여 힘을 지렛대처럼 증대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169048A 2020-12-05 2020-12-05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Active KR102457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048A KR102457895B1 (ko) 2020-12-05 2020-12-05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048A KR102457895B1 (ko) 2020-12-05 2020-12-05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781A KR20220079781A (ko) 2022-06-14
KR102457895B1 true KR102457895B1 (ko) 2022-10-24

Family

ID=8198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048A Active KR102457895B1 (ko) 2020-12-05 2020-12-05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8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61Y1 (ko) * 2018-09-03 2019-10-17 주식회사 반도산업기계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621B1 (ko) * 2017-02-21 2018-11-01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레일 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61Y1 (ko) * 2018-09-03 2019-10-17 주식회사 반도산업기계 운송수단용 레일 클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781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0881A1 (zh) 一种超深立井罐道钢丝绳张紧装置及张紧方法
CN110451402B (zh) 一种施工用钢管起吊机械爪
JPH0885696A (ja) クレーンの走行レールクランプ装置
KR102457895B1 (ko) 크레인 휴지 시 강풍에 의한 밀림방지장치
US7152835B1 (en) Bracket assembly lock
CN108285091B (zh) 一种具有高稳定性的夹轨器
CN100497157C (zh) 液压顶推或拖拽物体的方法及卡紧机构
CN219823401U (zh) 一种钢梁吊装器
JP4189781B2 (ja) ドラム缶運搬車
CN217323050U (zh) 一种便调式吊钩
CN214938852U (zh) 一种快速松开、夹紧铁轨的机构
CN219691205U (zh) 一种机械式停车设备钢丝绳防松器
CN214035690U (zh) 隧洞钢模台车的抱轨式锁紧装置
CN211393543U (zh) 一种用于焊接球的吊装夹具
CN213771069U (zh) 一种门式起重机防风铁楔机构
CN212609064U (zh) 一种随车吊用高安全性吊具
JPH0124074Y2 (ko)
CN114572254A (zh) 一种可中途返回的自走车
CN220223216U (zh) 一种具有限位结构的吊索具
JPS5943353Y2 (ja) レ−ルクランプ装置
CN217808372U (zh) 夹轨防风铁鞋
CN222908488U (zh) 牵引臂快速锁紧装置及具有其的摊铺机
CN220149102U (zh) 一种新型改进型手扳葫芦
CN219971666U (zh) 一种修井机提升机构
CN216038185U (zh) 新型土木建筑钢筋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1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10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