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767B1 - Apparatus for sucking and cleaning drople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cking and cleaning dropl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7767B1 KR102457767B1 KR1020200095343A KR20200095343A KR102457767B1 KR 102457767 B1 KR102457767 B1 KR 102457767B1 KR 1020200095343 A KR1020200095343 A KR 1020200095343A KR 20200095343 A KR20200095343 A KR 20200095343A KR 102457767 B1 KR102457767 B1 KR 1024577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oplet
- intake
- main body
- inlet
- batte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1316 polygonal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41000711573 Coronavi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702 Pertus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000 influenz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2 nano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232 sneez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827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핸드마이크, 탁상용 마이크, 이동식 공기청청기 또는 벽걸이형 에어컨 등과 유사하게 사용되면서 주위의 비말과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정화처리한 후 배기함에 따라 타인의 비말 뿐만 아니라 자신의 비말에 노출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고 대화 또는 회의 시에도 비말감염의 염려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비말 흡입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배기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를 따라 다수의 비말흡기유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비말흡입구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흡기팬과,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비말흡입구 또는 상기 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말정화필터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흡기팬의 작동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말 흡입정화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The disclosed contents are used similarly to hand microphones, tabletop microphones, portable air purifiers or wall-mounted air conditioners, and by forcibly inhaling and purifying the surrounding droplets and air, they are exposed to not only others' droplets but also their own droplets as they are exhausted. It relates to a droplet inhalation purifying device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enables daily life without fear of droplet infection even during conversations or meetings.
The disclosed contents include a main body in which an exhaust hole is formed, a droplet inle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curved convexly upwardly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droplet intake passages are arrang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along the curved surface portion; An intake fan provided in the main body, a battery provided in the main body, a droplet purifying filter detachably coupled to the droplet inlet or in the main body, and an operation of the intake fan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ntroll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A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is presented as an embodiment.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은 말을 하거나,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할 때 코와 입 등을 포함한 기도를 통해 발출되는 비말 또는 에어졸 형태의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립자를 흡입하여 포집정화함에 따라 비말감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비말 흡입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content is a droplet infection that can be prevented by inhaling and purifying particles containing the virus in the form of droplets or aerosols emitted through the airways including the nose and mouth when speaking, coughing or sneezing. It relates to inhalation purifiers.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identification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the description in this identification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일반적으로 보균자가 말을 하거나, 기침 또는 재채기를 할 때 코와 입 등을 포함한 기도를 통해 발출되는 작은 침방울, 즉 비말 또는 미립자 속에는 병원균 또는 바이러스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비말에 의해 타인에게 병원균 또는 바이러스가 전파감염되는 현상을 비말감염이라고 한다. 이러한 비말감염은 포말감염(泡沫感染), 점적감염(點滴感染)으로도 통칭되며, 결핵, 백일해, 디프레리아 인플루엔자 등이 이러한 비말감염방식에 의해 전염된다. In general, pathogens or viruses are contained in small saliva, i.e. droplets or particles, that are released through the airways including the nose and mouth when a carrier speaks, coughs or sneezes. The spread of infection is called droplet infection. This droplet infection is also called foam infection (泡沫感染) and drop infection (點滴感染), and tuberculosis, pertussis, diphreria influenza, etc. are transmitted by this droplet infection method.
최근 전 세계적으로 만연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또한 이러한 비말감염방식에 의해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말 감염에 의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착용이 필수적으로 권장되고 있는 실정이다.It is also known that the corona virus, which has recently become widespread around the world, is also transmitted by this droplet infection method, and wearing a mask is essential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corona virus due to droplet infection.
이러한 비말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 중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20-0016489호(2020.02.17. 공개)에는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의 내부공간이 영역차단부에 의해 공간적으로 차단되어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된 공간은, 착용자의 코를 포함하며 흡기필터가 연결되는 들숨부가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흡기영역; 및 착용자의 입을 포함하며 배기필터가 연결되는 날숨부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는 배기영역;을 포함하는 영역분리구조를 가지며, 상기 영역차단부는 마스크의 내측면 중앙부에서 연장되며 착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밀착되는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막은, 상기 흡기영역의 공기는 배기영역으로 이동하여 구강호흡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배기영역의 공기는 흡기영역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강호흡판막;이 구성되며, 상기 배기영역에 해당하는 마스크에는 흡기필터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들숨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날숨부에는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날숨유도팬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역분리구조를 가지며, 상기 흡기영역에 마련된 흡기필터는 흡기홀을 개폐하는 흡기판막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영역에 마련된 배기필터는 배기홀을 개폐하는 배기판막을 포함하여, 상기 흡기영역은 마스크 외부로부터의 흡기만 가능하고 마스크 외부로의 배기는 불가하며, 상기 배기영역은 마스크 외부로의 배기만 가능하고 마스크 외부로부터의 흡기는 불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가 개시된다.As an example of a method for preventing such droplet infection,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16489 (published on February 17, 2020), in a state in which the wearer is wearing a mask, the inner space of the mask is spatially is blocked and divided into at least two spaces, wherein the partitioned space includes: an intake area including a wearer's nose and an inhalation portion to which an intake filter is connected, through which outside air is introduced; and an exhaust region including the wearer's mouth and having an exhalation part connected to the exhaust filter to discharge the wearer's exhalation; the region blocking part extends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mask and extends to the wearer's nose and mouth at least one oral respiration comprising a blocking film in close contact therebetween, wherein the blocking film moves the air in the intake region to the exhaust region to enable oral breathing, and blocks the air in the exhaust region from moving to the intake region A valve; is configured, the mask corresponding to the exhaust region is further formed with an auxiliary inhalation part to which the intake filter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exhalat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alation induction fan is configured to induce the wearer's exhalation to be discharged. has a region separation structure, wherein the intake filter provided in the intake region includes an intake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n intake hole, the exhaust filter provided on the exhaust region includes an exhaust plat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haust hole, and the intake region is outside the mask Disclosed is an exhaust purification type air cleaning mask, characterized in that only intake from the air is possible and exhaust to the outside of the mask is not possible, and the exhaust region allows only exhaust to the outside of the mask and not intake from the outside of the mask.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013454호(2013.02.06. 공개)에는 착용자의 귀나 머리 상측 또는 뒷머리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일측 안면밀착부 전방으로 연결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선단에 일체형 또는 착탈가능한 분리형으로 연결설치되며 착용자의 입과 코를 포함한 호흡기 전방을 소정거리 이격되게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호흡기전방커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타인보호용 위생마스크가 개시된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13454 (published on Feb. 6, 2013) discloses a fixture coupled to and fixed to the wearer's ear or upper side of the head or the back of the head, and one side of the face-adhesive part formed at one end of the fixture in front of the connection installation Sanitary for protection of others comprising a support, which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in an integral or detachable form, and is formed to a size that can cover the front of the respirator including the wearer's mouth and nos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The mask is disclosed.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26029호(2020.06.23. 공고)에는 착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귀끈홀이 형성된 안면부와, 상기 안면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받침부와, 상기 안면부의 귀끈홀에 연결되는 귀끈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턱 받침부는 중앙 받침편과, 상기 중앙 받침편의 양쪽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고, 절개선이 형성된 제 1 측방 받침편과, 상기 중앙 받침편의 양쪽 중 나머지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에 끼워지는 후크가 형성된 제 2 측방 받침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 쉴드가 개시된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126029 (announced on June 23, 2020) includes a face part that covers the wearer's face and has an ear strap hole, a chin support pa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ace part to support the wearer's chin, and the face par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ar strap connected to the ear strap hole of the chin support piece, the first lateral support piece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central support piece and the central support piece, and the incision line is formed, and both sides of the center support piece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ace shiel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 side support piece formed with a hook fitted to the incision is disclosed.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13865호(2020.05.21. 공고)에는 테이블의 상측에 설치되어 테이블의 상측 공간을 다수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시키는 파티션; 및 상기 파티션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파티션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파티션은, 테이블의 좌우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테이블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 1 보드; 및 테이블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보드와 직각 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테이블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 2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 1 보드와 상기 제 2 보드가 교차되어 연결 설치되는 부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보드와 상기 제 2 보드를 지지하는 비말 감염 예방 칸막이가 개시된다.In additio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113865 (announced on May 21, 2020) has a partition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to divide the upper space of the table into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and a support installed under the partition to support the partition, wherein the partition includes: a first board extending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a length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table and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and a second board extending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connected and install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board and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 wherein the support includes the first board and the A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partition for supporting the first board and the second board by being installed below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board is intersected and connected is disclosed.
그러나 마스크와 같은 종래의 비말감염 방지장치의 경우에는 신체 착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상시 착용시에는 피로감이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device such as a mask, there is a problem that fatigue is accumulated when worn all the time because the body is worn as a basis.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말감염 방지장치의 경우에는 타인에게 비말감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사용자의 비말이 타인에게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자기 자신은 자신으로부터 방출된 비말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focus is only on blocking the user's droplet from reaching others so that droplet infection does not occur to others, and the user himself/herself may be exposed to the droplets emitted from himself/herself. There were unavoidable structural problem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말감염 방지장치의 경우에는 대화를 기초로 하는 일상생활이나 회의를 하는 등의 사회생활이 차단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생활 상의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daily life based on conversation or social life, such as having a meeting, is blocked,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daily life.
핸드마이크, 탁상용 마이크, 이동식 공기청청기 또는 벽걸이형 에어컨 등과 유사하게 사용되면서 주위의 비말과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정화처리한 후 배기함에 따라 타인의 비말 뿐만 아니라 자신의 비말에 노출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비말 흡입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It is used similarly to hand microphones, tabletop microphones, portable air purifiers or wall-mounted air conditioners, and as it forcibly inhales and purifies the surrounding air and air, and then exhausts them, exposure to not only other people's droplets but also your own droplets is a possibility in advance. It relates to a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device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대화 또는 회의 시에도 비말감염의 염려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고 마스크 등의 상시 착용으로 인한 피로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비말 흡입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it relates to a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device that enables daily life without fear of droplet infection even during conversations or meetings, and prevents fatigue due to constant wearing of masks, etc.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은 배기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를 따라 다수의 비말흡기유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비말흡입구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흡기팬과,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비말흡입구 또는 상기 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말정화필터와,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흡기팬의 작동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비말 흡입정화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The disclosed contents include a main body in which an exhaust hole is formed, a droplet inle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curved convexly upwardly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droplet intake passages are arrang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along the curved surface portion; An intake fan provided in the main body, a battery provided in the main body, a droplet purifying filter detachably coupled to the droplet inlet or in the main body, an operation of the intake fan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A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devic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is presented as an embodiment.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말흡입구의 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내로 나사결합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 lower end of the droplet inlet is screw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말흡입구의 비말흡기유로는 상기 곡면부를 따라 다수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흡기가이드와, 상기 흡기가이드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는 개별흡기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oplet intake flow path of the droplet inlet includes an intake guide in which a pluralit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curved portion, and an individual intake pipe that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ake guide, respectively.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기가이드는 서로 인접되는 다각셀 형태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져 상기 개별흡기관과 연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take guide is formed in the form of polygonal cells adjacent to each other, and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side to communicate with the individual intake pipe.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말흡입구의 비말흡기유로는 상기 곡면부를 따라 다수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흡기가이드와, 서로 인접하는 1군의 흡기가이드에 연통되게 분기형성되는 분기형흡기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roplet intake flow path of the droplet inlet includes an intake guide in which a pluralit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curved portion, and a branched intake pipe that is branched to communicate with a group of intake guides adjacent to each other. .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말흡입구의 비말흡기유로는 상기 곡면부를 따라 다수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흡기가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흡기가이드는 서로 인접되는 다각셀 형태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 droplet intake flow path of the droplet inle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intake guides arrang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along the curved portion, and the intake guides are formed in the form of polygonal cells adjacent to each other, but become narrower toward the inside. have a shape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는 재충전 가능한 2차전지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노출되는 충전소켓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 battery is formed of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includes a charging socket exposed from the main body.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비말정화필터는 상기 비말흡입구의 하단을 통해 상기 비말흡입구 내로 삽입되고, 상기 비말흡입구의 내부 하측 둘레에는 상기 비말정화필터의 상단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 둘레에는 상기 비말흡입구의 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내로 나사결합될 때 상기 비말흡입구의 하단과 상기 비말정화필터의 하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하부지지단턱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ure, the droplet purifying filter is inserted into the droplet inlet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droplet inlet, and an upper support step supporting the upper edge of the droplet purifying filter is formed around the low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droplet inlet. and a lower support step for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droplet inlet and the lower end of the droplet purification filter when the lower end of the droplet inlet is screw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is formed around the inner upper periphery of the main body.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파지 가능한 원통형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the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ippable cylindrical handle.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탁상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거치용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a mounting plate that enables tabletop mounting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이동바퀴가 하부면에 구비되거나 또는 벽면고정브래킷에 의해 벽면에 지지고정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ure,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on the lower surface or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wall surface by a wall fixing bracket.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에 의하면, 핸드마이크와 유사하게 손으로 파지되어 비말흡입구가 입 근처에 위치되게 사용되거나 또는 탁상용 마이크와 유사하게 탁상에 거치되어 사용되거나, 이동식 공기청청기 또는 벽걸이형 에어컨 등과 유사하게 사용될 경우에 비말을 포함한 주변공기가 흡기팬에 의해 내부로 강제로 흡입되여 비말정화필터에 정화처리된 후 외부로 배기됨에 따라 타인의 비말 뿐만 아니라 자신의 비말에 노출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고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각종 비말감염성 질병의 확산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droplet inhalation pur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gripped by hand similarly to a hand microphone and used so that the droplet suction port is positioned near the mouth, or is used while mounted on a tabletop similar to a tabletop microphone, or is a portable air cleaning device. When used similarly to an air conditioner or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mbient air including droplets is forcibly sucked in by the intake fan, purified by the droplet purification filter, and then exhausted to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reby preventing the spread of various droplet infectious diseases such as, for example, corona virus.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에 의하면, 대화 또는 회의 시에 화자의 입으로부터 방출되는 비말이 즉각적으로 흡입제거됨에 따라 비말감염의 염려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roplets emitted from the speaker's mouth during a conversation or meeting are immediately inhaled and removed, so that daily life can be conducted without fear of droplet infection. .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에 의하면, 마스크 등의 상시 착용으로 인한 피로감이 발생되지 않으며, 마스크 착용이 부가될 경우 비말감염방지의 시너지 효과가 발생되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atigue due to constant wearing of a mask or the like does not occur,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ynergistic effect of preventing droplet infection is generated when wearing a mask is add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의 단면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에 있어서, 비말흡입구의 비말흡기유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에 있어서, 비말흡입구의 비말흡기유로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의 사용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roplet inhalation flow path of a droplet inlet in the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droplet inhalation flow path of a droplet inlet in the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to 9 are diagrams of a state of use of a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rawings,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에 있어서, 비말흡입구의 비말흡기유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에 있어서, 비말흡입구의 비말흡기유로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and FIG. 3 is a drop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In the inhalation purification apparatus,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droplet intake passage of the droplet inlet,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droplet intake passage of the droplet inhalation in the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기공(11)이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곡면부(21)가 형성되며 곡면부(21)를 따라 다수의 비말흡기유로(23, 23')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비말흡입구(20)와, 본체(10) 내에 구비되는 흡기팬(30)과, 본체(10) 내에 구비되는 배터리(40)와, 비말흡입구(20) 또는 상기 본체(10)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말정화필터(50)와, 본체(10) 내에 구비되고 흡기팬(30)의 작동과 배터리(4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droplet
여기서, 본체(10)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의 하부하우징을 형성함과 동시에 흡기팬(30)과 배터리(40) 그리고 제어부(60)의 설치프레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Here, the
이러한 본체(10)에는 배기공(11)이 관통형성된다. 배기구(11)는 흡기팬(30의 흡입력에 의해 비말흡입구(20)로 강제로 흡입된 비말을 포함한 주변공기가 비말정화필터(50)에 정화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본체(10)의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체(10)의 하부면 또는 하부 둘레에 다수개가 관통형성된다.An
본체(10)의 내부에는 차후에 설명될 흡기팬(30)이 지지고정되는 팬지지대(13)가 구비된다. 팬지지대(13)는 비말을 포함한 주변공기의 하부 유동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열십자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다.A fan support 13 on which an
또한 본체(10)의 내부 상측 둘레에는 하부지지단턱(15)이 형성된다. 하부지지단턱(15)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후에 설명될 비말흡입구(20)의 하단이 본체(10)의 상부 내로 나사결합될 때 비말흡입구(20)의 하단과 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말정화필터(50)의 하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지지단턱(15)은 본체(10)의 내주면으로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돌출단턱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In addition, a
전술한 본체(10)의 상부에는 비말흡입구(20)가 구비된다. 비말흡입구(20)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의 하부하우징을 형성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비말을 포함한 주변공기가 비말정화필터(50)로 유입되도록 하는 일종의 흡기그릴에 해당한다.A
비말흡입구(20)는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곡면부(21)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마이크의 상반부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The
이러한 곡면부(21)는 다수의 비말흡기유로(23, 23')의 연접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비말을 포함한 주변공기가 일시에 유입 가능하도록 구형 곡면 또는 반구형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비말흡기유로(23, 23')는 비말을 포함한 주변공기가 비말흡입구(20) 내로 유입되어 비말정화필터(50)를 관류하도록 하는 것으로, 비말흡입구(20)의 곡면부(21)를 따라 다수의 비말흡기유로(23, 23')가 서로 연접배열된다. The
이러한 비말흡입구(20)의 비말흡기유로(23)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면부(21)를 따라 다수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흡기가이드(23a)와, 흡기가이드(23a)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는 개별흡기관(2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흡기가이드(23a)는 서로 인접되는 다각셀, 특히 육각셀 형태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져 원통형의 개별흡기관(23b)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또한 비말흡입구(20)의 비말흡기유로(23')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면부(21)를 따라 다수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흡기가이드(23a)와, 서로 인접하는 1군의 흡기가이드(23a)에 연통되게 분기형성되는 분기형흡기관(23b')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droplet
이 때 흡기가이드(23a)는 서로 인접되는 다각셀, 특히 육각셀 형태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져 분기형흡기관(23b')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기형흡기관(23b')은 단일의 흡기관으로부터 제 1 분기관이 분기연결되는 1단 분기형 관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흡기관으로부터 제 1 분기관이 분기연결되고 이 제 1 분기관으로부터 제 2 분기관이 분기연결되는 2단 분기형 관로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비말흡입구(20)의 비말흡기유로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개별흡기관(23b) 또는 분기형흡기관(23b') 없이 곡면부(21)를 따라 다수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흡기가이드(23a)로만 형성될 있는데, 이 경우에 흡기가이드(23a)는 서로 인접되는 다각셀, 특히 육각셀 형태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droplet intake flow path of the
또한 비말흡입구(20)의 내부 하측 둘레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말흡입구(20) 내로 삽입된 비말정화필터(50)의 상단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단턱(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지지단턱(25)은 비말흡입구(20)의 내주면으로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환형의 돌출단턱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In addition, an
이러한 비말흡입구(20)는 본체(1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차후에 설명될 비말정화필터(50)의 교체장착 또는 비말흡입구(20)의 분리세척을 위해 본체(1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비말흡입구(20)의 하단은 본체(10)의 상부 내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This
전술한 본체(10) 내에는 흡기팬(30)이 구비된다. 흡기팬(30)은 비말을 포함한 주변공기가 비말흡입구(20) 내로 유입되어 비말정화필터(50)를 관류하도록 음압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동모터와 이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팬블레이드를 포함한다.An
전술한 본체(10) 내에는 배터리(40)가 구비된다. 배터리(40)는 흡기팬(30)에 구동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교체창작이 가능한 1차전지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예를 들어 니켈-카드뮴(NiCd) 전지, 니켈-수소(NiMH) 리튬 이온(Li-ion) 전지, 리튬 이온 폴리머(Li-ion polymer) 전지와 같이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형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배터리(40)는 충전케이블(미도시)의 연결을 위해 본체(10)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충전소켓(41)을 포함한다.The
전술한 비말흡입구(20) 또는 본체(10) 내에는 비말정화필터(5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비말정화필터(50)는 비말을 포함한 주변공기가 관류될 때 비말이 포집됨과 동시에 비말에 함유된 병원균 또는 바이러스가 살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공지된 살균헤파필터, 나노카본필터, 살균촉매필터, 자외선(UV) 살균필터, 플라즈마 살균필터와 같이 병원균 또는 바이러스의 살균처리가 가능한 필터로 형성 가능하다. The
비말정화필터(50)가 자외선(UV) 살균필터, 플라즈마 살균필터로 형성될 경우에 비말정화필터(50)는 차후에 설명될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40)로부터 작동전원을 공급받으며, 이를 위한 전기적 단자연결이 필요하거나 또는 비말정화필터(50)의 장착과 동시에 배터리(40)로부터 작동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단자접속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When the
전술한 비말정화필터(50)는 비말흡입구(20) 또는 본체(10) 내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forementioned
비말정화필터(50)는 비말흡입구(20) 내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비말흡입구(20)의 하단을 통해 비말흡입구(20) 내로 삽입되고, 비말흡입구(20)의 내부 하측 둘레에는 비말정화필터(50)의 상단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단턱(25)이 형성되며 본체(10)의 내부 상측 둘레에는 비말흡입구(20)의 하단이 본체(10)의 상부 내로 나사결합될 때 비말흡입구(20)의 하단과 비말정화필터(50)의 하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하부지지단턱(15)이 형성된다.The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비말정화필터(50)는 본체(10) 내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본체(10)의 상단을 통해 본체(10) 내로 삽입되고 본체(10)의 내부 상측 둘레에는 비말정화필터(50)의 하단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단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체(10)의 하단을 통해 본체(10) 내로 삽입되고 본체(10)의 내부 하측 둘레에는 비말정화필터(50)의 상단을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 비말정화필터(50)는 흡기팬(30)의 상부에 위치되는 반면에, 후자의 경우에 비말정화필터(50)는 흡기팬(30)의 하부에 위치된다.Although not shown, the
전술한 본체(10) 내에는 제어부(60)가 구비된다. 제어부(60)는 흡기팬(30)의 작동과 배터리(40)의 충전 및 방전, 그리고 비말정화필터(50)의 종류에 따라 비말정화필터(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인쇄회로기판 형태를 가진다. A
제어부(60)는 배터리(40)의 충전과 방전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되 동시에는 이루어질 수 없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배터리(40)의 충전과 방전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루어지지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The
또한 제어부(60)는 본체(10)의 외측에 노출되는 작동버튼(6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작동상태의 표시를 위한 각종 표시램프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5 내지 도 9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5 to 9 are diagrams of a state of use of the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핸드마이크와 유사하게 손으로 파지되어 비말흡입구(20)가 입 근처에 위치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체(10)는 전체적으로는 파지 가능한 원통형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droplet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선 핸드마이크와 유사하게 손으로 파지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선 핸드마이크와 유사하게 손으로 파지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본체(10) 및 비말흡입구(20) 내에는 통상의 마이크로폰의 구성요소가 더 포함됨에 따라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는 통상의 마이크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oplet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탁상용 마이크와 유사하게 탁상에 거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본체(10)의 하단에 탁상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거치용 플레이트(17)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plet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는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식 공기청정기 또는 제습기와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본체(10)는 이동식 공기청정기 또는 제습기와 유사한 크기로 제조가능하며 본체(10)의 하부면에 이동바퀴(3)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plet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걸이형 에어컨 또는 선풍기와 유사하게 벽면고정브래킷(5)에 의해 벽면에 지지고정될 수도 있다. 이 때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는 벽면고정브래킷(5)에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plet
전술한 바와 같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가 핸드마이크와 유사하게 손으로 파지되어 비말흡입구(20)가 입 근처에 위치되게 사용되거나, 탁상용 마이크와 유사하게 탁상에 거치되어 사용되거나, 이동식 공기청정기 또는 벽걸이형 에어컨 등과 유사하게 사용될 경우에, 비말을 포함한 주변공기가 흡기팬(30)에 의해 비말흡입구(20)의 내부로 강제로 흡입된 후 비말정화필터(50)에 정화처리된 후 본체(10)의 배기공(11)을 통해 외부로 배기됨에 따라 타인의 비말 뿐만 아니라 자신의 비말에 노출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고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각종 비말감염성 질병의 확산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roplet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를 사용할 경우에는 대화 또는 회의 시에 화자의 입으로부터 방출되는 비말이 즉각적으로 흡입제거됨에 따라 비말감염의 염려없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roplet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말 흡입정화장치(1)를 사용할 경우에는 마스크 등의 상시 착용으로 인한 피로감이 발생되지 않으며, 마스크 착용이 부가될 경우 비말감염방지의 시너지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rople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비말 흡입정화장치
3 : 이동바퀴
5 : 벽면고정브래킷
10 : 본체
11 : 배기공
13 : 팬지지대
15 : 하부지지단턱
17 : 거치용 플레이트
20 : 비말흡입구
21 : 곡면부
23, 23' : 비말흡기유로
23a : 흡기가이드
23b : 개별흡기관
23b' : 분기형 흡기관
25 : 상부지지단턱
30 : 흡기팬
40 : 배터리
41 : 충전소켓
50 : 비말정화필터
60 : 제어부
61 : 조작버튼1: Droplet inhalation purification device
3: moving wheel
5: Wall fixing bracket
10: body
11: exhaust hole
13: fan support
15: lower support step
17: plate for mounting
20: droplet inlet
21: curved part
23, 23': droplet intake flow path
23a: intake guide
23b: individual intake pipe
23b': branched intake pipe
25: upper support step
30: intake fan
40: battery
41: charging socket
50: droplet purification filter
60: control unit
61: operation button
Claims (11)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를 따라 다수의 비말흡기유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비말흡입구;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흡기팬;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배터리;
상기 비말흡입구 또는 상기 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말정화필터; 및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흡기팬의 작동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말흡입구의 비말흡기유로는 상기 곡면부를 따라 다수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흡기가이드와, 상기 흡기가이드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는 개별흡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가이드는 서로 인접되는 다각셀 형태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져 상기 개별흡기관과 연통되는 비말 흡입정화장치.The body in which the exhaust hole is formed;
a droplet suction por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convexly curved upward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droplet intake passages are arrang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along the curved portion;
an intake fan provided in the body;
a battery provided in the body;
a droplet purification filter detachably coupled to the droplet inlet or the body; and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take fan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The droplet intake flow path of the droplet inlet includes an intake guide in which a pluralit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ong the curved portion, and an individual intake pipe that is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ake guide, respectively, and the intake guide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cell adjacent to each other. A droplet suction purification device that is narrowed toward the inside and communicates with the individual intake pipe.
상기 비말흡입구의 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내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흡입정화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oplet suction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droplet inlet is screw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를 따라 다수의 비말흡기유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비말흡입구;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흡기팬;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배터리;
상기 비말흡입구 또는 상기 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말정화필터; 및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흡기팬의 작동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말흡입구의 비말흡기유로는 상기 곡면부를 따라 다수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흡기가이드와, 서로 인접하는 1군의 흡기가이드에 연통되게 분기형성되는 분기형흡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가이드는 서로 인접되는 다각셀 형태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흡입정화장치.The body in which the exhaust hole is formed;
a droplet suction por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convexly curved upward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droplet intake passages are arrang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along the curved portion;
an intake fan provided in the body;
a battery provided in the body;
a droplet purification filter detachably coupled to the droplet inlet or the body; and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take fan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The droplet intake flow path of the droplet inlet includes a plurality of intake guides arrang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along the curved portion, and a branched intake pipe that is branched to communicate with one group of intake guides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intake guid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Droplet suction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polygonal cell and has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side.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부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를 따라 다수의 비말흡기유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비말흡입구;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흡기팬;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는 배터리;
상기 비말흡입구 또는 상기 본체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비말정화필터; 및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고 상기 흡기팬의 작동과,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말흡입구의 비말흡기유로는 상기 곡면부를 따라 다수개가 서로 연접배열되는 흡기가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흡기가이드는 서로 인접되는 다각셀 형태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흡입정화장치.The body in which the exhaust hole is formed;
a droplet suction port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urved surface portion convexly curved upward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droplet intake passages are arrang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along the curved portion;
an intake fan provided in the body;
a battery provided in the body;
a droplet purification filter detachably coupled to the droplet inlet or the body; and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take fan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The droplet intake flow path of the droplet inlet is formed by a plurality of intake guides arrang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along the curved portion, and the intake guides are formed in the form of polygonal cells adjacent to each other, and have a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inside. suction purifier.
상기 배터리는 재충전 가능한 2차전지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노출되는 충전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흡입정화장치.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and 6,
The battery is formed of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the droplet suction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rging socket exposed from the main body.
상기 비말정화필터는 상기 비말흡입구의 하단을 통해 상기 비말흡입구 내로 삽입되고, 상기 비말흡입구의 내부 하측 둘레에는 상기 비말정화필터의 상단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 둘레에는 상기 비말흡입구의 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내로 나사결합될 때 상기 비말흡입구의 하단과 상기 비말정화필터의 하단을 동시에 지지하는 하부지지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흡입정화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roplet purification filter is inserted into the droplet inlet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droplet inlet, and an upper support step for supporting the upper edge of the droplet purification filter is formed on the inner lower periphery of the droplet inlet, and around the inner upper side of the body The droplet suction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ower end of the droplet inlet is screw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 lower support step for simultaneously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droplet inlet and the lower end of the droplet purification filter is formed.
상기 본체는 파지 가능한 원통형 손잡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흡입정화장치.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6 and 8,
The main body is a droplet suction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grippable cylindrical handle shape.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탁상 거치를 가능하게 하는 거치용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흡입정화장치.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6 and 8,
Droplet suction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is integrally formed with a mounting plate that enables table-top mounting.
상기 본체는 이동바퀴가 하부면에 구비되거나 또는 벽면고정브래킷에 의해 벽면에 지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흡입정화장치.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5, 6 and 8,
The main body is a droplet suction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wheel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r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wall surface by a wall fixing brack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5343A KR102457767B1 (en) | 2020-07-30 | 2020-07-30 | Apparatus for sucking and cleaning drop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5343A KR102457767B1 (en) | 2020-07-30 | 2020-07-30 | Apparatus for sucking and cleaning dropl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6343A KR20220016343A (en) | 2022-02-09 |
KR102457767B1 true KR102457767B1 (en) | 2022-10-21 |
Family
ID=8026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5343A Active KR102457767B1 (en) | 2020-07-30 | 2020-07-30 | Apparatus for sucking and cleaning dropl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776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5799B1 (en) | 2022-12-30 | 2023-08-14 | 주식회사 금오산업 | Double discharge air purifier |
KR102598399B1 (en) | 2023-05-09 | 2023-11-08 | 주식회사 금오산업 | Furniture with a built-in structure with an air cleaning function that can discharge air curtains in two layers |
KR20240170722A (en) | 2023-05-26 | 2024-12-04 | 주식회사 금오산업 | Air purifier capable of discharging double air curtains for public transporta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5510B1 (en) * | 2007-11-13 | 2009-11-05 | 이용화 | Toy dust collector |
JP4411046B2 (en) * | 2003-09-30 | 2010-02-10 |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 Air cleaner |
KR102101680B1 (en) * | 2019-06-03 | 2020-04-17 | 지플라이 주식회사 | Portalble air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08355A (en) * | 2011-03-23 | 2012-10-05 | 박우진 | Portable air filtering device |
KR101250421B1 (en) | 2011-07-28 | 2013-04-08 | 심규성 | A sanitary mask for others |
KR20180003645U (en) * | 2017-06-16 | 2018-12-27 | 주식회사 니즈포 | Filtering apparatus for box fan |
KR102090117B1 (en) | 2018-08-07 | 2020-03-17 |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 Air filtering mask of exhalation purification type having a region separation structure |
KR102113865B1 (en) | 2020-04-09 | 2020-05-21 | 심재일 |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partition |
KR102126029B1 (en) | 2020-05-21 | 2020-06-23 | (주)제이피앤씨 | Face shield |
-
2020
- 2020-07-30 KR KR1020200095343A patent/KR1024577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11046B2 (en) * | 2003-09-30 | 2010-02-10 |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 Air cleaner |
KR100925510B1 (en) * | 2007-11-13 | 2009-11-05 | 이용화 | Toy dust collector |
KR102101680B1 (en) * | 2019-06-03 | 2020-04-17 | 지플라이 주식회사 | Portalble air clean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5799B1 (en) | 2022-12-30 | 2023-08-14 | 주식회사 금오산업 | Double discharge air purifier |
KR102598399B1 (en) | 2023-05-09 | 2023-11-08 | 주식회사 금오산업 | Furniture with a built-in structure with an air cleaning function that can discharge air curtains in two layers |
KR20240170722A (en) | 2023-05-26 | 2024-12-04 | 주식회사 금오산업 | Air purifier capable of discharging double air curtains for public transport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6343A (en) | 2022-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42999B2 (en) | Particulate filter face mask having fan breathing assist | |
KR102457767B1 (en) | Apparatus for sucking and cleaning droplet | |
US20210330853A1 (en) | Air purification apparatus | |
JP6353785B2 (en) | Air cleaning device | |
KR200489541Y1 (en) | Purified Air Supply Type Mask System | |
US20070101867A1 (en) | Air sterilization apparatus | |
US20220143431A1 (en) | Personal air purifier | |
US20150151147A1 (en) | Powered adaptor for respirator masks | |
US20230191169A1 (en) | Headpiece, face shield and method of using a headpiece | |
CN212327223U (en) | Air purifying respirator | |
CN102085444A (en) | Portable air purifier | |
CN215024359U (en) | Breathing apparatus | |
KR102210712B1 (en) | Filter mask | |
CN211798332U (en) | Protective mask with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functions | |
KR102365565B1 (en) | Mask that is improved inpracticality | |
CN212280017U (en) | Face mask | |
CN112870511A (en) | Breathing apparatus | |
US20220047826A1 (en) | Portable ventilation device | |
KR20220095629A (en) | fan rotation type mask apparatus | |
KR20210128690A (en) | Mask for air purification | |
KR102337725B1 (en) | A negative pressure mask using a cyclone | |
JP3236830U (en) | Portable air sterilization filtration device | |
EP4059526A1 (en) | A device for protection of upper respiratory tract | |
CN213049062U (en) | Novel photocatalyst sterilization mask type respiratory lung | |
CN114190630B (en) | Fan filter for mas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