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7521B1 - Film Cutting Device - Google Patents

Film Cut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521B1
KR102457521B1 KR1020200171003A KR20200171003A KR102457521B1 KR 102457521 B1 KR102457521 B1 KR 102457521B1 KR 1020200171003 A KR1020200171003 A KR 1020200171003A KR 20200171003 A KR20200171003 A KR 20200171003A KR 102457521 B1 KR102457521 B1 KR 10245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utter blade
lower body
punch
central ax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1483A (en
Inventor
한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to KR1020200171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521B1/en
Publication of KR20220081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52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상기 필름을 거치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대 승강 운동을 하는 상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에 장착되는 제1 커터날: 상기 하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로부터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제2 커터날; 상기 상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에 제1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펀치; 상기 상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커터날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에 제2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펀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본체가 하강하면, 상기 제1 펀치와 제2 펀치가 동시에 하강하여 상기 제1 절개선 및 제2 절개선이 상기 필름에 동시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개선이 형성된 상기 필름을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위치 이동시킨 후, 상기 상부 본체가 다시 하강하면 상기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을 동시에 구비하는 완성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필름 커팅 장치와 달리, 1회 커팅 공정으로 2개 이상의 장소에 2개 이상의 절개선을 동시에 각각 필름에 형성될 수 있는 바, 커팅 오차로 인한 불량률이 감소되며, 커팅 오차를 줄이기 위해 커팅 시마다 다시 장치를 셋팅할 필요가 없어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cutting device, comprising: a lower body for mounting the film on an upper surface; an upper body for lifting and lowering relative to the lower body; a first cutter blade mounted on the lower body: a second cutter blade mounted on the lower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tter bla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first central axis; a first punch mounted on the upper body and provided to form a first cut line in the film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cutter blade; a second punch mounted on the upper body and provided to form a second cut line in the film in cooperation with the second cutter blade; and, when the upper body descends, the first punch and the second punch The punch descend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first incision and the second incision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film, and the film on which the first incision is formed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and then the upper When the main body descends aga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 finished product having the first incision and the second incision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film cutting apparatus, two or more incisions can b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film at two or more places in a single cutting process, so that the defect rate due to the cutting error is reduced, and the cutting error is reduced. There is no need to set the device again every time to cut in order to reduce the time loss.

Description

필름 커팅 장치 {Film Cutting Device}Film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필름 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회 커팅 공정으로 2개 이상의 장소에 2개 이상의 절개선을 동시에 형성될 수 있는 필름 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cut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m cutting apparatus capable of simultaneously forming two or more incisions in two or more places in a single cutting process.

일반적으로, 필름 커팅 장치는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어 외장재의 외관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필름이나 혹은 얇은 판막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반도체칩 또는 센서등을 내포하고 있는 필름을 커팅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film cutting device is a device for cutting a film that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a home appliance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otective film or a thin plate to prevent damage to the exterior of the exterior material and contains a semiconductor chip or sensor therein. .

특히,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센서, 칩 등이 내장된 플렉시블한 필름은 제품 형상 또는 제품 내에 수용되도록, 그 형상에 맞게 압입방식을 통해 절단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In particular, a flexible film with a built-in sensor, chip, etc. that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is cut through a press-fi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oduct or the product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product.

종래의 외장재 보호필름 커팅장치의 일례가 한국등록특허공보(등록번호 10-1387073)에 개시되어 있다. 이 외장재 보호필름 커팅장치는, 상, 하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상, 하측연결링크와, 이 상, 하측 연결링크 사이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상, 하측연결링크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 외면에 체결되어 상기 상, 하측연결링크를 상, 하로 가압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하측연결링크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커팅수단 및 상기 하측연결링크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커팅수단 이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안내하는 고정블록으로 구성된다.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xterior material protective film cutting device is disclos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Registration No. 10-1387073). The exterior material protective film cutting device includes upper and lower connecting links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a connecting bar installed at the edg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links to spac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links; A buffer spring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ar to press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links up and down, a cutting means fastened to pass through the lower connection link, and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connection link are fixedly installed so that the cutting means is exposed downward It is composed of a fixed block that guides as much as possible.

여기서, 상기 이동바를 이동시키게 되면, 이 이동바에 의해 상, 하측연결링크가 동시에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 때, 상기 고정블록의 가이드수단이 상기 보호필름 상면에 맞닿게 된다. 이후, 연속하여 상기 이동바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이 상측연결링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에 밀착된 상기 고정블록이 상방으로 가압되고, 이에따라, 상기 하측연결링크가 상방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완충스프 링을 압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커팅수단의 상단부가 상기 상측연결링크 저면에 눌려 가압되고, 이때, 상기 커팅수단의 커터가 상기 고정블록 하방으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보호필름을 커팅하는 것이다. Here, when the moving bar is move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links are simultaneously moved downward by the moving bar, and at this time, the guide means of the fixed bloc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Then, when the moving bar is continuously pressed downward, the fixing block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ective film is pressed upwar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upper connection link, and accordingly, the lower connection link is pressed upward while the buffer soup is pressed. compress the ring. Then, the upper end of the cutting means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on link, and at this time, the cutter of the cutting means is maintained in a state exposed below the fixing block to cut the protective film.

여기서, 상기 커터날이 상기 고정블록 하부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보호필름 커팅장치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호필름이 보호필름 커팅장치 이동방향에 대응하도록 절단된다.Here, by moving the protective film cutting device in one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utter blade is exposed under the fixing block, the protective film is cut to correspond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rotective film cutting device.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외장재 보호필름 커팅장치는, 1회 커팅에 제품이 1회 배출되는 장치로서, 동시 커팅을 하기 위해서 2개의 필름커팅 장치가 필요로 하거나 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xterior material protective film cut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a device that discharges the product once for one cut, and has a problem in that two film cutting devices are required for simultaneous cutting or the size of the device is increased.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외장재 보호필름 커팅장치는, 2개의 필름 커팅 장치를 사용하여 한 제품의 2개소의 커팅 형상을 만들게 되는 경우에, 커팅 부분에 발생하는 오차로 인해 불량률이 증가되고, 커팅 오차를 줄이기 위해 커팅 시마다 다시 셋팅을 해야 하는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xterior material protective film cut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ncreases the defect rate due to an error occurring in the cutting part when making two cutting shapes of one product using two film cutting devices,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time loss occurs because the setting has to be reset every time the cutting is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1회 커팅 공정으로 2개 이상의 장소에 2개 이상의 절개선을 동시에 형성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필름 커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m cutt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wo or more incisions can be simultaneously formed in two or more places in a single cutting proc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커팅 장치는, 시트형 부재인 필름을 절단 가공하여 완성품을 제조할 수 있는 필름 커팅 장치로서, 상면에 상기 필름을 거치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대 승강 운동을 하는 상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에 장착되는 제1 커터날: 상기 하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로부터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제2 커터날; 상기 상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에 제1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펀치; 상기 상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커터날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에 제2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펀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본체가 하강하면, 상기 제1 펀치와 제2 펀치가 동시에 하강하여 상기 제1 절개선 및 제2 절개선이 상기 필름에 동시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개선이 형성된 상기 필름을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위치 이동시킨 후, 상기 상부 본체가 다시 하강하면 상기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을 동시에 구비하는 완성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lm cu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m cutting device capable of manufacturing a finished product by cutting a film, which is a sheet-like member, comprising: a lower body for mounting the film on an upper surface; an upper body disposed above the lower body and performing a relative lift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a first cutter blade mounted on the lower body: a second cutter blade mounted on the lower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tter bla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first central axis; a first punch mounted on the upper body and provided to form a first cut line in the film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cutter blade; a second punch mounted on the upper body and provided to form a second cut line in the film in cooperation with the second cutter blade; and, when the upper body descends, the first punch and the second punch The punch descend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first incision and the second incision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film, and the film on which the first incision is formed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and then the upper When the main body descends agai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 finished product having the first incision and the second incision at the same time.

여기서, 상기 하부 본체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이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1 마감 블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it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lower body, the first cutter blade and the second cutter blade to restrict the movement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a first closing block;

여기서, 상기 하부 본체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이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2 마감블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closing block mounted on one end of the lower body and restraining the first cutter blade and the second cutter blade from moving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여기서, 상기 제1 마감 블럭은,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losing block extend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second central axis intersecting the first central axis.

여기서, 상기 제2 마감 블럭은, 상기 하부 본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closing block preferably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lower body.

여기서, 상기 하부 본체에는, 상기 제2 마감 블럭의 돌출부를 상기 홈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lower body, 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 hole to whic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closing block to the groove portion can be coupled is formed.

여기서, 상기 제2 마감 블럭의 돌출부는 상기 하부 본체의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 만큼 이동된 후에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closing block can be fixed in position after being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lower body.

여기서, 상기 하부 본체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이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제1 마감 블럭; 상기 하부 본체의 타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이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제2 마감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마감 블럭은, 상기 제1 마감 블럭과 협력하여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이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first closing block mounted on one end of the lower body and fixing the first cutter blade and the second cutter blade to prevent movement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a second closing block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lower body and fixing the first cutter blade and the second cutter blade to prevent movement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It is preferable to secure the first cutter blade and the second cutter blade so that they do not reciprocat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closing block.

여기서,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부재로서, 상기 하부 본체의 측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측면 블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member constrai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utter blade and the second cutter blade from moving along a second central axis intersecting the first central axis, a side block mounted on a side end of the lower bod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여기서, 상기 제1 펀치와 제2 펀치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될 수 있는 펀치 수용부를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기 상부 본체에 결합되는 펀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펀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폐곡선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member having at least one punch accommodating part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punch and the second punch can be coupled, and a punch holder coupled to the upper body,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unch accommodating parts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losed curve.

여기서, 상기 완성품에서, 상기 제1 절개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절개선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n the finished product,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ncision is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incision.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형 부재인 필름을 절단 가공하여 완성품을 제조할 수 있는 필름 커팅 장치로서, 상면에 상기 필름을 거치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대 승강 운동을 하는 상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에 장착되는 제1 커터날: 상기 하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로부터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제2 커터날; 상기 상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에 제1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펀치; 상기 상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커터날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에 제2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펀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본체가 하강하면, 상기 제1 펀치와 제2 펀치가 동시에 하강하여 상기 제1 절개선 및 제2 절개선이 상기 필름에 동시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개선이 형성된 상기 필름을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위치 이동시킨 후, 상기 상부 본체가 다시 하강하면 상기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을 동시에 구비하는 완성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필름 커팅 장치와 달리, 1회 커팅 공정으로 2개 이상의 장소에 2개 이상의 절개선을 동시에 각각 필름에 형성될 수 있는 바, 커팅 오차로 인한 불량률이 감소되며, 커팅 오차를 줄이기 위해 커팅 시마다 다시 장치를 셋팅할 필요가 없어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lm cutting device capable of manufacturing a finished product by cutting a film, which is a sheet-like member, comprising: a lower body for mounting the film on an upper surface; an upper body disposed above the lower body and performing a relative lift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a first cutter blade mounted on the lower body: a second cutter blade mounted on the lower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tter bla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first central axis; a first punch mounted on the upper body and provided to form a first cut line in the film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cutter blade; a second punch mounted on the upper body and provided to form a second cut line in the film in cooperation with the second cutter blade; and, when the upper body descends, the first punch and the second punch The punch descend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first incision and the second incision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film, and the film on which the first incision is formed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and then the upper When the main body descends again, the finished product having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s is formed at the same time, so unlike the conventional film cutting device, two or more incisions are cut in two or more places in a single cutting process. Since the bars can be formed on each film at the same time, the defect rate due to the cutting error is reduced, and there is no need to set the device again every time to cut in order to reduce the cutting error, so that time loss does not occu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필름 커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커팅 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커팅 장치의 다른 각도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부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부 본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본체의 다른 각도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본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커팅 장치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커팅 장치에 필름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제1 마감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제2 마감 블럭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펀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커팅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커팅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된 완성품의 일례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m cut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m cutt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rom another angle of the film cutt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body shown in FIG. 1 ;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body shown in FIG. 4 .
FIG. 6 is another angled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body shown in FIG. 1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ody shown in FIG. 1 .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I-VIII of the film cutting device shown in FIG. 1 .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lm is mounted on the film cutt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closing block shown in FIG. 1 .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losing block shown in FIG. 1 .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nch holder shown in FIG. 3 .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film cutting device shown in FIG.
14 is an example of a finished product manufactured using the film cutting device shown in FIG.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필름 커팅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름 커팅 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름 커팅 장치의 다른 각도 분리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m cu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m cut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rom another angle of the film cutting device shown in FIG. 1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름 커팅 장치(100)는, 시트형 부재인 필름(F)을 절단 가공하여 완성품(M)을 연속적으로 대량 제조할 수 있는 필름 커팅 장치로서, 하부 본체(10)와 , 상부 본체(20)와, 승강 가이드(30)와, 스트리퍼(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3, the film cut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m cutting that can continuously mass-produce the finished product M by cutting and processing the film F, which is a sheet-like member. As a device, the lower body 10 and, the upper body 20, and the lifting guide 30,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ripper (40).

이하에서는, 상기 필름(F)이 롤 형태로 저장된 상태에서, 별도의 이송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미리 정한 속도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 방향(A)으로 들어가서 배출 방향(B)으로 나오게 되며, 상기 배출 방향(B)으로 나오는 필름(F)이 다시 롤 형태로 감겨지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a state in which the film (F) is stored in the form of a roll, it enters the input direction (A) as shown in FIG. 9 at a predetermined speed by a separate transfer means (not shown) and moves in the discharge direction (B). It will come out, and it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 film (F) coming out in the discharge direction (B) is wound again in the form of a roll.

상기 하부 본체(10)는, 미리 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형 부재로서, 상면에 가공 대상인 상기 필름(F)이 거치된다.The lower body 10 i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film F to be processe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상기 하부 본체(10)의 중앙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성품(M)이 배출될 수 있는 중공(18)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body 10, as shown in FIG. 3, a hollow 18 through which the finished product M can be discharged is formed.

상기 하부 본체(1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 a first cutter blade 11 and a second cutter blade 12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1 커터날(1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성품(M)에 제1 절개선(S1)을 형성하기 위한 판형 부재로서, 상기 하부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본체(10)의 전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F)의 투입 방향(A)과 가까운 곳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14 , the first cutter blade 11 is a plate-shaped member for forming a first cut line S1 in the finished product M,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ower body 10 . . Here, the front of the lower body 10 means a place close to the input direction (A) of the film (F) as shown in FIG. 2 .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름(F)의 투입 방향(A)은 제1 중심축(C1)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put direction (A) of the film (F) is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central axis (C1).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절개선(S1)은, 상기 완성품(M)에 비교적 작은 사각형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ut line S1 is a cut line for forming a relatively small rectangular hole in the finished product M.

상기 제1 커터날(11)에는, 상기 제1 절개선(S1)을 형성하기 위한 제1 펀치공(H1)이 형성되어 있다.A first punch hole H1 for forming the first cut line S1 is formed in the first cutter blade 11 .

상기 제2 커터날(12)은, 상기 제1 커터날(11)로부터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판형 부재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성품(M)에 제2 절개선(S2)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이다.The second cutter blade 12 is a plate-shaped member disposed rearwardly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tter blade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as shown in FIG. 14 . As described above, it is a member for forming the second cut line S2 in the finished product M.

상기 제2 커터날(12)은, 상기 제1 커터날(11)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하부 본체(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본체(10)의 후방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F)의 배출 방향(B)과 가까운 곳을 의미한다.The second cutter blade 1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cutter blade 11 , and disposed behind the lower body 10 . Here, the rear of the lower body 10 means a place close to the discharge direction (B) of the film (F)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름(F)의 배출 방향(B)은 제1 중심축(C1)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direction (B) of the film (F) is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central axis (C1).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절개선(S2)은, 상기 완성품(M)의 외곽선을 형성하기 위한 절개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ut line S2 is a cut line for forming the outline of the finished product M.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커터날(12)은, 상기 하부 본체(10)의 전방측에 배치된 제2 커터날(12a)과, 상기 제2 커터날(12a)의 후방에 배치된 제2 커터날(12b)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utter blade 12 includes a second cutter blade 12a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body 10 and a second cutter blade 12a disposed behind the second cutter blade 12a. It includes a cutter blade (12b).

즉 상기 제2 커터날(12a)과 제2 커터날(12b)이 서로 협력함으로써, 상기 제2 커터날(12)의 제2 펀치공(H2)이 형성된다. That is, when the second cutter blade 12a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b cooperate with each other, the second punch hole H2 of the second cutter blade 12 is formed.

상기 제1 커터날(11)의 전방에는,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이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1 마감 블럭(13)이 마련되어 있다.At the front of the first cutter blade 11, a first closing block for restraining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from moving forward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13) is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마감 블럭(13)은,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는 막대형 부재로 마련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losing block 13 is provided as a rod-shaped member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second central axis C2 perpendicular to the first central axis C1.

상기 제1 마감 블럭(13)에는, 상기 하부 본체(1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관통공(131)이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through-holes 131 for screwing with the lower body 10 are formed in the first closing block 13 .

상기 제1 마감 블럭(13)은, 상기 하부 본체(10)의 일단부에 형성된 단차부(1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first closing block 13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tep portion 13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body 10 .

상기 단차부(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의 부분으로서, 상기 제1 마감 블럭(13)이 상기 하부 본체(10)의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The step portion 13, as shown in FIG. 5, is a "L"-shaped part, and has a shape that can constrain the first closing block 13 not to be pushed to the rear of the lower body 10 . hav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마감 블럭(13)은, 후술할 제2 마감 블럭(14)보다 먼저 상기 하부 본체(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losing block 13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lower body 10 before the second closing block 14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 커터날(12)의 후방에는,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이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2 마감 블럭(14)이 마련되어 있다.At the rear of the second cutter blade 12 , a second closing block restricting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from moving backward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is prevented. (14) is provided.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은, 직사각 형상의 판형 부재로서 미리 정한 두께를 가진다.The second finishing block 14 is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의 하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연장된 막대 형상의 돌출부(141)가 형성되어 있다.A rod-shaped protrusion 141 extending along the second central axis C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losing block 14 as shown in FIG. 5 .

상기 돌출부(141)는, 상기 하부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홈부(17)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의 하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The protrusion 141 protrudes vertically downward of the second closing block 14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7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부(17)의 전후 방향 폭은, 미리 정한 오차 범위 내에서 상기 돌출부(141)의 폭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groove portion 17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rotrusion portion 141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상기 제2 마감 블럭(14)에는, 상기 하부 본체(1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하여 형성된 관통공(143)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3 formed for screwing with the lower body 10 are formed in the second closing block 14 .

상기 관통공(143)은,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의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되어 있다.The through hole 143 is penetrat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losing block 14 .

상기 하부 본체(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의 돌출부(141)를 상기 홈부(17)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14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A fixing member (not shown) for fixing the protrusion 141 of the second closing block 14 to the groove 17 can be coupled to the lower body 10, as shown in FIG. 6 , through which can be coupled A plurality of balls 142 are formed.

상기 관통공(142)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 부재(미도시)는, 다양한 형상의 수나사가 바람직하다.The fixing member (not shown) that can b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142 is preferably a male screw of various shapes.

예컨대 상기 고정 부재(미도시)인 수나사를 조이면,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을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상기 하부 본체(10)의 전방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미도시)가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한다. For example, if the fixing member (not shown) is tightened with an external screw, the second closing block 14 can be moved to the front of the lower body 10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and in this state In the above, the fixing member (not shown)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econd closing block 14 to the rear.

이때,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이 상기 하부 본체(10)의 전방으로 미세하게 이동하면, 상기 제2 커터날(12)과 제1 커터날(11)도 상기 하부 본체(10)의 전방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econd closing block 14 is minutely moved toward the front of the lower body 10 , the second cutter blade 12 and the first cutter blade 11 also move toward the front of the lower body 10 . can be moved the same distance.

결국, 상기 고정 부재(미도시)를 조절한 후에, 상기 관통공(143)에 나사를 삽입하여 단단히 고정하면,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이 상기 하부 본체(10)의 원하는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fter all, after adjusting the fixing member (not shown), if the screw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43 and firmly fixed, the second closing block 14 is firmly positioned at the desired position of the lower body 10 . can be fixed.

따라서,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의 돌출부(141)는, 상기 하부 본체(10)의 홈부(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 만큼 이동된 후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rusion 141 of the second closing block 14 is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17 of the lower body 10 . It can then be firmly fixed in position.

결국,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은, 상기 제1 마감 블럭(11)과 협력하여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이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이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히 구속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econd finishing block 14 cooperates with the first closing block 11 so that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are aligned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It can be firmly restrained to prevent reciprocating movement.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본체(10)의 일측단부에는, 측면 블럭(15)이 상기 하부 본체(10)의 상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And, as shown in FIG. 4 , at one end of the lower body 10 , a side block 15 is screw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

상기 측면 블럭(15)는,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판형 부재이다.The side block 15 is a plate-shaped member restrai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from moving along the second central axis C2.

상기 하부 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필름(F)에 형성된 다수 개의 위치 결정 구멍(h)에 삽입될 수 있는 제1 위치 결정 핀(16)이 마련되어 있다.A first positioning pin 16 that can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h formed in the film F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

상기 위치 결정 구멍(h)은,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열되어 있다.The positioning holes h are arrang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상기 제1 위치 결정 핀(1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마감 블럭(14)을 관통한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first positioning pin 16 is expo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losing block 14 .

상기 상부 본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형 부재로서, 상기 하부 본체(10)의 상방에 배치된다.The upper body 20 is a plate-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shown in FIG. 3 , and is disposed above the lower body 10 .

상기 상부 본체(20)는, 상기 하부 본체(10)에 대하여 제3 중심축(C3)을 따라 상대 승강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중심축(C3)은 상기 제1 중심축(C1) 및 제2 중심축(C2)과 수직하게 교차한다.The upper body 20 is provid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lower body 10 along the third central axis C3. Here, the third central axis C3 perpendicularly crosses the first central axis C1 and the second central axis C2.

상기 상부 본체(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 홀더(21)와 제1 펀치(22)와 제2 펀치(23)와 제2 위치 결정 핀(24)를 포함한다. The upper body 20 includes a punch holder 21 , a first punch 22 , a second punch 23 , and a second positioning pin 24 as shown in FIG. 3 .

상기 펀치 홀더(21)는, 상기 제1 펀치(22)와 제2 펀치(23)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될 수 있는 펀치 수용부(211, 212)를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부재이다. The punch holder 21 is a member including at least one punch receiving portion 211 , 212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punch 22 and the second punch 23 can be coupl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펀치 홀더(2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본체(20)의 하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펀치(22)를 수용하는 제1 펀치 수용부(211)와, 상기 제2 펀치(23)를 수용하는 제2 펀치 수용부(212)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unch holder 21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20 as shown in FIG. 12 , and a first punch receiving part 211 for accommodating the first punch 22 . and a second punch receiving part 212 for accommodating the second punch 23 .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펀치 홀더(21)는, 상기 펀치 수용부(211, 212) 모두가 폐곡선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상기 제1 펀치 수용부(211)가 형성됨으로써 "ㅁ"자 형태의 판형 부재로 마련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punch holder 21, both the punch accommodating parts 211 and 212 are provided in a closed curve shape, and the first punch accommodating part 211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to form a "ㅁ"-shaped plate shape. provided in absence.

상기 제1 펀치(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커터날(11)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F)에 제1 절개선(S1)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부재로서, 상기 펀치 홀더(21)의 제1 펀치 수용부(211)에 장착된다.The first punch 22 is a member provided to form a first cut line S1 in the film F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cutter blade 11 as shown in FIG. 7 . It is mounted on the first punch receiving portion 211 of the punch holder (21).

상기 제2 펀치(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커터날(12)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F)에 제2 절개선(S2)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부재로서, 상기 펀치 홀더(21)의 제2 펀치 수용부(212)에 장착된다.The second punch 23 is a member provided to form a second cut line S2 in the film F in cooperation with the second cutter blade 12, as shown in FIG. It is mounted on the second punch receiving portion 212 of the punch holder (21).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성품(M)에서 상기 제1 절개선(S1)의 전부가 상기 제2 절개선(S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펀치(22)와 제2 펀치(23)가 마련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unch 22 and the second punch 23 so that all of the first cut line S1 in the finished product M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cut line S2. is provided.

상기 제2 위치 결정 핀(24)은, 상기 필름(F)에 형성된 다수 개의 위치 결정 구멍(h)에 삽입될 수 있는 부재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펀치 홀더(21)에 장착되어 있다.The second positioning pin 24 is a member that can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h formed in the film F, and is provided in plurality as shown in FIG. 7 and the punch holder 21 is mounted on

상기 제2 위치 결정 핀(24)은, 상기 상부 본체(20)가 상기 하부 본체(10)를 향하여 하강할 때, 상기 필름(F)의 위치 결정 구멍(h)에 삽입된다.The second positioning pin 24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h of the film F when the upper body 20 descends toward the lower body 10 .

상기 승강 가이드(30)는, 상기 상부 본체(20)가 상기 하부 본체(10)를 향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상기 상부 본체(20)를 가이드 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제3 중심축(C3)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The lifting guide 30 is a member for guiding the upper body 20 when the upper body 20 ascends or descends toward the lower body 10, and the third central axis C3) is extended along

상기 승강 가이드(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하부 본체(10)와 상부 본체(20)를 연결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 a plurality of lifting guides 30 are provided to connect the lower body 10 and the upper body 20 .

상기 승강 가이드(30)의 구조 및 작동원리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elevating guide 30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스트리퍼(40)는, 상기 필름(F)을 절단 가공할 때 상기 필름(F)을 가압할 수 있는 판형 부재로서, 상기 필름(F)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필름(F)을 평평하게 펴주기 위한 부재이다.The stripper 40 is a plate-shaped member that can press the film (F) when cutting the film (F), preventing the flow of the film (F) and flattening the film (F) absence to giv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리퍼(40)에는, 스프링(41)과 제1 가이드(42)와 관통공(43)과 제2 가이드(44)와 관통공(45)가 부가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ipper 40 has a spring 41 and a first guide 42 and a through hole 43 and a second guide 44 and a through hole 45 are added thereto.

상기 스프링(41)은, 상기 상부 본체(20)가 하강 할 때 압축되는 탄성 부재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상부 본체(20)와 상기 스트리퍼(40)의 사이에 배치된다.The spring 41 is an elastic member that is compressed when the upper body 20 descends, and a plurality of springs are provided and disposed between the upper body 20 and the stripper 40 .

상기 제1 가이드(42)는, 상기 스프링(4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막대 부재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펀치 홀더(21)에 결합되어 있다.The first guide 42 is a rod member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pring 41 , and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coupled to the punch holder 21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이드(42)는, 상기 스트리퍼(40)를 관통하지 않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리퍼(40)의 상방에 배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guide 42, does not pass through the stripper 40, is disposed above the stripper 40, as shown in FIG.

상기 관통공(43)은, 상기 제2 펀치(23)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으로서, 상기 스트리퍼(40)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The through hole 43 is a hole formed so that the second punch 23 can pass, and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stripper 40 .

상기 제2 가이드(44)는, 상기 스트리퍼(40)를 가이드하기 위한 막대 부재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펀치 홀더(21)에 결합되어 있다.The second guide 44, as a bar member for guiding the stripper 4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coupled to the punch holder 21.

상기 제2 가이드(4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리퍼(40)를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The second guide 44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tripper 40, as shown in FIG.

상기 관통공(4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펀치(22)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이다.The through hole 45 is a hole formed so that the first punch 22 can pass therethrough, as shown in FIG. 7 .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필름 커팅 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the film cut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F)의 일단부를 상기 투입 방향(A)으로 넣어서 상기 하부 본체(10)의 상면에 장착해준다.First, as shown in Fig. 13 (a), one end of the film (F) is put in the input direction (A) and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상기 필름(F)의 말단부가 상기 제2 펀치(23)의 하방에 도달하면, 상기 필름(F)을 잠시 정지시키고, 상기 상부 본체(20)을 하강시키면, 상기 제1 펀치(22)와 제2 펀치(23)가 동시에 하강하여 상기 필름(F)에 상기 제1 절개선(S1) 및 제1 절개선(S1)을 동시에 형성된다. 이때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로 형성되는 상기 제2 절개선(S2)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절개선(S1)이 없다.When the distal end of the film (F) reaches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unch (23), the film (F) is temporarily stopped, and when the upper body (20) is lowered, the first punch (22) and the second punch (22) The two punches 23 are simultaneously lowered to form the first cut line S1 and the first cut line S1 on the film F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as shown in (b) of FIG. 13 , there is no first incision line S1 inside the second incision line S2 that is initially formed.

이어서 상기 제1 절개선(S1)이 형성된 필름(F) 부분을,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상기 제2 펀치(23)의 하방으로 이송시키고, 다시 상기 상부 본체(20)를 하강시키면, 도 13의 (c)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절개선(S2)의 내부에 상기 제1 절개선(S1)이 형성된 완성품(M)이 가공 완료된다.Then, the portion of the film (F) on which the first incision line (S1) is formed is transferr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unch (23)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and the upper body (20) is lowered again. Then, as shown in FIGS. 13 (c) and 14 , the finished product M in which the first incision line S1 is formed inside the second incision line S2 is finished.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필름(F)의 이송과 정지를 반복하고, 상기 상부 본체(20)의 승강 작동을 반복하면, 도 14에 도시된 완성품(M)이 연속적으로 대량 제조될 수 있다.By repeating the transfer and stop of the film F in this way, and repeat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upper body 20, the finished product M shown in FIG. 14 can be continuously mass-produced.

한편, 가공 완료된 완성품(M)은, 상기 하부 본체(10)의 중공(18)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으면, 이때에는 상기 완성품(M)을 흡착할 수 있는 별도의 진공 흡착 장치(Vacuum adsorption device)(미도시)가 이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ocessed finished product (M)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hollow (18) of the lower body (10), in this case, a separate vacuum adsorption device (Vacuum adsorption device) capable of adsorbing the finished product (M) (not shown) may be used.

상술한 구성의 필름 커팅 장치(100)는, 시트형 부재인 필름(F)을 절단 가공하여 완성품(M)을 제조할 수 있는 필름 커팅 장치로서, 상면에 상기 필름(F)을 거치하는 하부 본체(10); 상기 하부 본체(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본체(10)에 대하여 상대 승강 운동을 하는 상부 본체(20); 상기 하부 본체(10)에 장착되는 제1 커터날(11): 상기 하부 본체(10)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11)로부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제2 커터날(12); 상기 상부 본체(20)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11)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F)에 제1 절개선(S1)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펀치(22); 상기 상부 본체(20)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커터날(12)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F)에 제2 절개선(S2)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펀치(23);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본체(20)가 하강하면, 상기 제1 펀치(22)와 제2 펀치(23)가 동시에 하강하여 상기 제1 절개선(S1) 및 제2 절개선(S2)이 상기 필름(F)에 동시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개선(S1)이 형성된 상기 필름(F)을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위치 이동시킨 후, 상기 상부 본체(20)가 다시 하강하면 상기 제1 절개선(S1)과 제2 절개선(S2)을 동시에 구비하는 완성품(M)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필름 커팅 장치와 달리, 1회 커팅 공정으로 2개 이상의 장소에 2개 이상의 절개선(S1, S2)을 동시에 각각 필름(F)에 형성될 수 있는 바, 커팅 오차로 인한 불량률이 감소되며, 커팅 오차를 줄이기 위해 커팅 시마다 다시 장치를 셋팅할 필요가 없어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film cutting device 100 of the above configuration is a film cutting device capable of manufacturing a finished product M by cutting the film F, which is a sheet-like member, and has a lower body (F)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m cutting device ( 10); an upper body 20 disposed above the lower body 10 and performing a relative lift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10; The first cutter blade 11 mounted to the lower body 10: It is mounted to the lower body 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tter blade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a second cutter blade (12)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a first punch 22 mounted on the upper body 20 and provided to form a first cut line S1 in the film F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cutter blade 11; a second punch 23 mounted on the upper body 20 and provided to form a second cut line S2 in the film F in cooperation with the second cutter blade 12; and , when the upper body 20 descends, the first punch 22 and the second punch 23 descen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first cut line S1 and the second cut line S2 form the film F ), and after moving the film F on which the first incision line S1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the upper body 20 descends again. Since the lower surface is configured to form a finished product M having the first incision line S1 and the second incision line S2 at the same time, unlike a conventional film cutting device, it can be placed in two or more places in a single cutting process. Since two or more incision lines S1 and S2 can be formed on the film F at the same time, the defect rate due to the cutting error is reduced, and there is no need to set the device again every time to cut to reduce the cutting error, resulting in time loss The advantage is that this does not occur.

그리고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는, 상기 하부 본체(10)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이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1 마감 블럭(13);을 포함하므로, 사용 중에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의 위치가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And the film cutting device 100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lower body 10, and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are aligned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Since it includes a first closing block 13 for restraining move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do not move forward during use.

또한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는, 상기 하부 본체(10)의 타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이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2 마감블럭(14);을 포함하므로, 사용 중에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m cuttin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lower body 10 , and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are disposed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Since it includes a second closing block 14 for restraining move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do not move backward during use.

그리고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는, 상기 제1 마감 블럭(13)이,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커터날(11)에 강력한 구속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in the film cutting device 100, since the first closing block 13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second central axis C2 intersecting the first central axis C1, the second 1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strong binding force can be exerted on the cutter blade 11 .

또한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는,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이, 상기 하부 본체(10)에 형성된 홈부(17)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41)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2 마감 블럭(14)가 상기 하부 본체(10)의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견고히 구속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m cutting device 100 includes a protrusion 141 formed so that the second closing block 14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17 formed in the lower body 10, the first 2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osing block 14 can be firmly restrained without being pushed to the rear of the lower body 10 .

그리고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는, 상기 하부 본체(10)에는,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의 돌출부(141)를 상기 홈부(17)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14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을 상기 하부 본체(10)의 전방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키기 용이하며, 이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미도시)가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the film cutting device 100, the lower body 10, the fixing member (not shown) for fixing the protrusion 141 of the second closing block 14 to the groove portion 17 is to be coupled. Since a through hole 142 that can 2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closing block 14 to the rear.

또한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는,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의 돌출부(141)가 상기 하부 본체(10)의 홈부(1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 만큼 이동된 후에 위치 고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 중에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m cutting device 100,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141 of the second closing block 14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17 of the lower body 10, the first central axis (C1)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are not moved backward during use because the position can be fixed after being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는, 상기 제1 마감 블럭(13)과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마감 블럭(14)가, 상기 제1 마감 블럭(13)과 협력하여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이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므로, 사용 중에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의 위치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And the film cutting device 100, including the first closing block 13 and the second closing block 14, the second closing block 14, the first closing block 13 and Since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cooperate to prevent reciprocating movement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are in 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 of the blade 12 is not moved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는,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중심축(C1)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C2)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부재로서, 상기 하부 본체(10)의 측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측면 블럭(15);을 포함하므로, 사용 중에 상기 제1 커터날(11)과 제2 커터날(12)의 위치가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이동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m cutting devic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along a second central axis C2 crossing the first central axis C1. As a member for restraining movement, the side block 15 mounted on the side end of the lower body 10 is included, so that the first cutter blade 11 and the second cutter blade 12 are separated during 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 does not reciprocat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C1.

그리고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는, 상기 제1 펀치(22)와 제2 펀치(23)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될 수 있는 펀치 수용부(211, 212)를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기 상부 본체에 결합되는 펀치 홀더(21);를 포함하며, 상기 펀치 수용부(211, 212) 중 적어도 하나는 폐곡선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펀치 수용부(211, 212)가 "ㄷ"자 형태로 마련된 경우에 비하여, 더욱 견고히 상기 펀치(22, 23)을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the film cutting apparatus 100 is a member having at least one punch receiving part 211, 212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punch 22 and the second punch 23 can be coupled, and a punch holder 21 coupled to the upper bod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unch accommodating parts 211 and 212 is provided in a closed curve shape, so that the punch accommodating parts 211 and 212 are formed in a "C" shape. Compared to the provided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unches 22 and 23 can be fixed more firmly.

또한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는, 상기 완성품(M)에서, 상기 제1 절개선(S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절개선(S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개선(S1)이 완전히 상기 제2 절개선(S2)의 내부에 있거나, 혹은 상기 제1 절개선(S1)과 상기 제2 절개선(S2)이 서로 만나는 형태의 완성품(M)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film cutting device 100, in the finished product M,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ut-out S1 is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cut-out S2. As shown, the first incision (S1) is completely inside the second incision (S2), or the first incision (S1) and the second incision (S2) meet each other ( M)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를 배치한 상태로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의 상하를 뒤집은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 the film cutting device 100 is used in an arranged state,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lm cutting device 100 may be used in an upside down stat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름 커팅 장치(100)의 투입 방향(A)과 배출 방향(B)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으나, 상기 투입 방향(A)과 배출 방향(B)이 반대로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input direction (A) and the discharge direction (B) of the film cutting device 100 are as shown in FIG. 9 , but the input direction (A) and the discharge direction (B) may be reversed is of cours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마감 블럭(13)이 상기 하부 본체(10)의 전단부에 있고 상기 제2 마감 블럭(14)이 상기 하부 본체(10)의 후단부에 있으나, 그 위치가 서로 바뀔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losing block 13 is at the front end of the lower body 10 and the second closing block 14 is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body 10, but their posi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Of course it may chang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마감 블럭(13) 및 상기 측면 블럭(15)이 장착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마감 블럭(13) 또는/및 상기 측면 블럭(15)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2 마감 블럭(14)만을 사용하도록 상기 하부 본체(10)의 상면 구조가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inishing block 13 and the side block 15 are mounted, but the second finishing block 13 and/or the side block 15 is not used. Of course, the struc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0 may be changed to use only the block 14 .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n equivalent configuration modified or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it does not go beyond the scope of the idea.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필름 커팅 장치
10: 하부 본체
11: 제1 커터날
12: 제2 커터날
12a: 제2 커터날
12b: 제2 커터날
13: 제1 마감 블럭
14: 제2 마감 블럭
15: 측면 블럭
16: 제1 위치 결정 핀
17: 홈부
18: 중공
20: 상부 본체
21: 펀치 홀더
22: 제1 펀치
23: 제2 펀치
24: 제2 위치 결정 핀
30: 승강 가이드
40: 스트리퍼
41: 스프링
42: 제1 가이드
43: 관통공
44: 제2 가이드
45: 관통공
131: 관통공
141: 돌출부
142: 관통공
143: 관통공
211: 제1 펀치 수용부
212: 제2 펀치 수용부
A: 투입 방향
B: 배출 방향
C1: 제1 중심축
C2: 제2 중심축
C3: 제3 중심축
H1: 제1 펀치공
H2: 제2 펀치공
F: 필름
M: 완성품
S1: 제1 절개선
S2: 제2 절개선
* Explana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film cutting device
10: lower body
11: First cutter blade
12: second cutter blade
12a: second cutter blade
12b: second cutter blade
13: first closing block
14: second closing block
15: side block
16: first positioning pin
17: Home
18: hollow
20: upper body
21: punch holder
22: first punch
23: second punch
24: second positioning pin
30: lift guide
40: stripper
41: spring
42: first guide
43: through hole
44: second guide
45: through hole
131: through hole
141: protrusion
142: through hole
143: through hole
211: first punch receiving unit
212: second punch receiving unit
A: Insertion direction
B: discharge direction
C1: first central axis
C2: second central axis
C3: third central axis
H1: first punch ball
H2: second punch ball
F: film
M: finished product
S1: first incision
S2: second incision

Claims (11)

시트형 부재인 필름을 절단 가공하여 완성품을 제조할 수 있는 필름 커팅 장치로서,
상면에 상기 필름을 거치하는 하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대 승강 운동을 하는 상부 본체;
상기 하부 본체에 장착되는 제1 커터날:
상기 하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로부터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제2 커터날;
상기 상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에 제1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펀치;
상기 상부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커터날과 협력하여 상기 필름에 제2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펀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본체가 하강하면, 상기 제1 펀치와 제2 펀치가 동시에 하강하여 상기 제1 절개선 및 제2 절개선이 상기 필름에 동시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절개선이 형성된 상기 필름을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위치 이동시킨 후, 상기 상부 본체가 다시 하강하면 상기 제1 절개선과 제2 절개선을 동시에 구비하는 완성품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본체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이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1 마감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팅 장치.
A film cutting device capable of manufacturing a finished product by cutting a film, which is a sheet-like member, comprising:
a lower body for mounting the film on an upper surface;
an upper body disposed above the lower body and performing a relative lifting mo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A first cutter blade mounted on the lower body:
a second cutter blade mounted on the lower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utter blad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first central axis;
a first punch mounted on the upper body and provided to form a first cut line in the film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cutter blade;
A second punch mounted on the upper body and provided to form a second incision in the film in cooperation with the second cutter blade; includes,
When the upper body descends, the first punch and the second punch descen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first incision and the second incision are simultaneously formed on the film,
After moving the film on which the first incision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when the upper body descends again, a finished product having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s is formed at the same time. has been made,
and a first closing block mounted on one end of the lower body and restraining the first and second cutter blades from moving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이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2 마감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cond closing block mounted on one end of the lower body and restraining the first and second cutter blades from moving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 블럭은,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만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losing block is a film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second central axis intersecting the first central axi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감 블럭은, 상기 하부 본체에 형성된 홈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팅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closing block, the film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sion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lower bod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에는, 상기 제2 마감 블럭의 돌출부를 상기 홈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ower body, the film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whic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closing block to the groove portion can be coupl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감 블럭의 돌출부는 상기 하부 본체의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미리 정한 거리 만큼 이동된 후에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팅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ilm cut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closing block can be fixed in position after being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lower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이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제1 마감 블럭;
상기 하부 본체의 타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이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제2 마감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마감 블럭은, 상기 제1 마감 블럭과 협력하여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이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closing block mounted on one end of the lower body and fixing the first and second cutter blades to prevent movement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a second closing block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lower body and fixing the first cutter blade and the second cutter blade to prevent movement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The second closing block, in cooperation with the first closing block, the first cutter blade and the second cutter blade film cut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so as not to reciprocate along the first central axi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터날과 제2 커터날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2 중심축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부재로서, 상기 하부 본체의 측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측면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member constrai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cutter blade and the second cutter blade from moving along a second central axis intersecting the first central axis, and a side block mounted on a side end of the lower body; Film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펀치와 제2 펀치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될 수 있는 펀치 수용부를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부재로서, 상기 상부 본체에 결합되는 펀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펀치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는 폐곡선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member including at least one punch receiving part to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punch and the second punch can be coupled, and a punch holder coupled to the upper body;
At least one of the punch receiving parts is a film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form of a closed cur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품에서, 상기 제1 절개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절개선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커팅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nished produc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incision line is a film cu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incision line.


KR1020200171003A 2020-12-09 2020-12-09 Film Cutting Device Active KR1024575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003A KR102457521B1 (en) 2020-12-09 2020-12-09 Film Cu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003A KR102457521B1 (en) 2020-12-09 2020-12-09 Film Cut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483A KR20220081483A (en) 2022-06-16
KR102457521B1 true KR102457521B1 (en) 2022-10-21

Family

ID=8221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003A Active KR102457521B1 (en) 2020-12-09 2020-12-09 Film Cut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5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17117B1 (en) * 2022-07-14 2025-06-11 정병주 Pressed Membrane Cutt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0737A (en) * 2006-03-15 2007-09-27 Taihei Denshi Kogyo Kk Mother board processing die, method of manufacturing process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oduct bo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0737A (en) * 2006-03-15 2007-09-27 Taihei Denshi Kogyo Kk Mother board processing die, method of manufacturing process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roduc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483A (en)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521B1 (en) Film Cutting Device
EP29004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manufacture of a razor cartridge
US20110303064A1 (en) Retaining device for wood sawing machine
US20190009326A1 (en) Wire Processing Apparatus
CN110933587A (en) Sound membrane processing device
CN111136165A (en) Cutting and bending system
KR102085885B1 (en) Film cutting equipment
CN113210507B (en) Stainless steel plug continuous die and stainless steel plug continuous production method
CN108202116B (en) Triode pin shaping mechanism and triode pin shaping device
KR101904134B1 (en) Film cutting equipment
CN219851839U (en) Chip pin bending equipment
CN102218750B (en) The cutting-off method of switching operating device and object
US20050227847A1 (en) Stripping device for a press
KR102062075B1 (en) Film cutting equipment
KR101560124B1 (en) metal mold for puching wood slat
CN211464498U (en) Cutting and bending system
KR20170002964A (en) metallic mold for side piercing work
JP7395874B2 (en) Gate breaking method and gate breaking device
KR102026189B1 (en) Film cutting equipment
CN222768620U (en) Composite film positioning mechanism and punching device
US20050227846A1 (en) Stripping device for a press
CN214561438U (en) Punching equipment for sealing strips of water tanks
CN222972866U (en) Punching mechanism and box body processing device
CN210907864U (en) Inductance pin cutting device
CN215149813U (en) Punching d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