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R에 있어서는,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을, UE에 대해 설정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BWP는, 부분 주파수 대역, 부분 대역 등이라 불려도 좋다.
DL 통신에 이용되는 BWP는, DL BWP라 불려도 좋고, UL 통신이 이용되는 BWP는, UL BWP라 불려도 좋다. UE는, 설정된 BWP 중, 하나의 BWP(하나의 DL BWP 및 하나의 UL BWP)가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 액티브라(이용 가능하다)고 상정해도 좋다. 또, DL BWP 및 UL BWP는, 주파수 대역이 서로 중복되어도 좋다.
BWP는, 특정한 수비학(서브 캐리어 간격, 사이클릭 프리픽스 길이 등)과 관련지어지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UE는, 액티브한 DL BWP 내에 있어서, 해당 DL BWP에 관련된 수비학을 이용하여 수신을 수행하고, 액티브한 UL BWP 내에 있어서, 해당 UL BWP에 관련된 수비학을 이용하여 송신을 수행한다.
BWP 설정(configuration)은, 수비학, 주파수 위치(예를 들면, 중심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면, 리소스 블록(RB(Resource Block), PRB(Physical RB) 등이라고도 불린다)의 수), 시간 리소스(예를 들면, 슬롯(미니 슬롯) 인덱스, 주기) 등의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BWP 설정은,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여기서,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 등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MAC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Control Element)), MAC PDU(Protocol Data Unit) 등을 이용해도 좋다. 브로드캐스트 정보는, 예를 들면, 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최저한의 시스템 정보(RMSI: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등이어도 좋다.
설정된 DL BWP의 적어도 하나(예를 들면, 프라이머리 CC에 포함되는 DL BWP)는, 공통 서치 스페이스(common search space)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 COntrol REsource SET)를 포함해도 좋다.
CORESET는,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할당 후보 영역이며, 컨트롤 서브 밴드(control subband), 서치 스페이스 세트, 서치 스페이스 리소스 세트, 제어 영역, 제어 서브 밴드, NR-PDCCH 영역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설정된 DL BWP의 각각은,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UE-specific search space)의 CORESET를 포함해도 좋다.
제어 채널은, 물리 레이어 제어 신호(예를 들면,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기지국(예를 들면, BS(Base Station), 송수신 포인트(TRP: Transmission/Reception Point), eNB(eNodeB), gNB(NR NodeB) 등이라 불려도 좋다)으로부터 UE에 대해 송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DCI는, 예를 들면 스케줄되는 데이터의 리소스(시간 및/또는 주파수 리소스), 트랜스포트 블록(예를 들면,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TBS: Transport Block Size)), 변조 및/또는 부호화 방식, 송달 확인 정보(예를 들면, 재송 제어 정보, HARQ-ACK, ACK/NACK 등이라고도 한다), 데이터의 복조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등의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정보여도 좋다.
DL 데이터(예를 들면, 하향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수신 및/또는 DL 참조 신호의 측정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DL 어사인먼트, DL 그랜트, DL DCI 등이라 불려도 좋다. UL 데이터(예를 들면, 상향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송신 및/또는 UL 사운딩(측정용) 신호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UL 그랜트, UL DCI 등이라 불려도 좋다.
UE는, CORESET의 설정 정보(CORESET 설정이라 불려도 좋다)를,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UE는, 자 단말에 설정된 CORESET를 모니터하면, 물리 레이어 제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CORESET 설정은,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SIB 등)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CORESET 설정은, CORESET의 주파수 리소스(예를 들면, RB 수), 시간 리소스(예를 들면, 개시 OFDM 심벌 번호), 시간 길이(duration), REG(Resource Element Group) 번들 사이즈(REG 사이즈), 송신 타입(예를 들면, 인터리브, 비 인터리브), 주기(예를 들면, 각 CORESET의 모니터 주기) 등의 CORESET 관련의 파라미터(CORESET 파라미터, PDCCH 모니터용 파라미터 등이라 불려도 좋다)를 포함해도 좋다.
또, 서치 스페이스 관련의 파라미터(서치 스페이스 설정, 서치 스페이스 파라미터 등이라 불려도 좋다)가 UE에 대해 설정되어도 좋다. 서치 스페이스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서치 스페이스 파라미터는, CORESET 설정에 포함되어도 좋다. 또, CORESET 설정이 서치 스페이스 설정이라 불려도 좋다.
서치 스페이스 파라미터는, 해당 서치 스페이스의 도출에 이용하는 해시 함수를 특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해당 해시 함수에 이용되는 파라미터, 순환 잉여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마스킹을 위한 파라미터(예를 들면, UE 식별자(UE-ID(Identifier)), 무선 네트워크 일시 식별자(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가상 UE-ID 등)를 포함해도 좋다.
이와 같이, NR에 있어서는, CORESET, BWP 등에 기초하는 제어가 수행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UE에 설정하고, UE가 어떻게 동작할지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적절한 설정 방법 및 UE 동작을 이용하지 않으면, 통신량이 쓸데없이 증대되고, 통신 스루풋, 주파수 이용 효율 등의 열화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BWP에 기초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의 설정 방법에 주목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어도 좋으며, 조합하여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의 'BWP'는, 'DL BWP 및 UL BWP의 적어도 일방'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의 설명에 있어서의 'CORESET의 모니터'는, 'CORESET에 대응지어진 서치 스페이스(하향 제어 채널 후보) 또는 하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의 모니터)로 대치되어도 좋다.
(무선 통신 방법)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는, BWP 설정 및 CORESET 설정의 관련성에 관한 것이다. 제1 실시형태는 크게 두 개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BWP 설정이 하나 또는 복수의 CORESET 설정을 포함하는 실시형태(실시형태 1. 1)이다. 또 하나는, BWP 설정이 하나 또는 복수의 CORESET 설정에 관련지어지는 실시형태(실시형태 1. 2)이다.
도 1a 및 1b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BWP 설정 및 CORESET 설정의 관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a는, 실시형태 1. 1에 대응되고 있다. 도 1a의 예에서는, BWP 설정 1(예를 들면 DL BWP 설정)이, 2개의 CORESET 설정(CORESET 설정 1 및 2)을 포함한다.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되는 각 BWP 설정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CORESET 설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도 1b는, 실시형태 1. 2에 대응되고 있다. 도 1b의 예에서는, BWP 설정 1(예를 들면 DL BWP 설정)은, CORESET 설정을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으로, CORESET 설정에는, 관련된 BWP 설정을 나타내는(특정하는) 정보가 포함되고 있다. 본 예에서는, CORESET 설정 1 및 2 어느 것에도, 각각 관련되는 BWP 설정이 '1'(BWP 설정 1)이라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CORESET 설정이, 같은 BWP 설정에 관련되어도 좋으며, 다른 BWP 설정에 관련되어도 좋다.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 의해 통지되는 각 CORESET 설정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관련된 BWP 설정의 특정을 위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CORESET 설정 1이 BWP 설정 1 및 BWP 설정 2에 있어서 이용되는 경우에는, CORESET 설정 1은, 관련되는 BWP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BWP 설정 1 및 2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관련되는 BWP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BWP의 인덱스를 포함해도 좋으며, BWP에 대응되는 주파수 리소스(예를 들면, 중심 주파수, 대역폭, PRB 인덱스 등)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 1의 변형 예로서는, BWP 설정이 CORESET 설정을 직접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CORESET 설정을 나타내는(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실시형태 1. 2의 변형 예로서는, CORESET 설정이 관련된 BWP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BWP 설정을 직접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하나 이상의 BWP 설정이 CORESET 설정을 포함하는 한편, 하나 이상의 CORESET 설정이 BWP 설정을 포함한다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BWP 설정 및 CORESET 설정의 어느 하나에 기초하는 관련성이 우선되어도 좋으며, 양방의 관련성을 이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UE는, BWP 및 CORESET의 대응 관계를 적절하게 파악하여, 기지국의 스케줄링에 따르는 송수신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는, BWP 스위칭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BWP 스위칭은, 액티브한 BWP의 전환을 말하며, 호칭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BWP 스위칭은, 소정의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DCI 등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지시되어도 좋으며, 소정의 타이머에 기초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UE는, 미리 복수의 BWP가 설정된 상태이며, BWP 스위칭을 나타내는 DCI(예를 들면, DL 어사인먼트, UL 그랜트 등)를 수신한 경우, 액티브한 BWP를 전환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제어는, 스케줄링 DCI 베이스 액티브 BWP 스위칭(scheduling DCI-based active BWP switching)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BWP 스위칭은, 사이즈가 0인 리소스를 스케줄링하는 DCI에 의해 지시되어도 좋다(이 경우, UE는, BWP 스위칭과 동시에 송수신을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UE는, BWP 스위칭에 관한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액티브한 BWP를 전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UE는, 해당 타이머가 만료된 경우, 액티브한 BWP를 디액티베이트하고, 소정의 BWP(예를 들면, 디폴트의 BWP)를 액티베이트해도 좋다. 이와 같은 제어는, 타이머 베이스 액티브 BWP 스위칭(timer-based active BWP switching)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디폴트의 BWP는, 사양에 의해 미리 규정되어도 좋으며(예를 들면, 최초로 이용하거나 또는 최초로 설정되는 BWP라 상정해도 좋다),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등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다. 또, 상기 타이머에 관한 정보(만료까지의 시간, 타이머 개시 조건 등)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등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다.
BWP 스위칭의 천이(遷移) 기간(BWP 스위칭 기간이라 불려도 좋다)은, 예를 들면, BWP 스위칭을 나타내는 DCI의 송신 혹은 수신의 개시, 또는 BWP 스위칭에 관한 타이머의 만료부터, UE가 새로운 BWP의 CORESET에 대응지어진 서치 스페이스 또는 PDCCH의 모니터를 개시하기까지의 시간차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BWP 스위칭 기간에 있어서는, 어느 BWP가 액티브인지 애매한 기간(ambiguity period)이 생긴다. 이 때문에, BWP 스위칭 기간은 애매한 기간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BWP 스위칭 기간은, 예를 들면 1 ms여도 좋으며, 소정의 심벌 수(14 심벌, 28 심벌 등)에 해당하는 기간이어도 좋다. BWP 스위칭 기간은, RF 리튜닝에 관한 UE 능력(UE Capability)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UE는, BWP 스위칭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모니터 대상인 PDCCH 후보를 포함하는 CORESET를 결정한다. BWP 스위칭 기간에 있어서의 모니터 대상인 CORESET의 결정 방법을 명확하게 함으로써, BWP 스위칭에 생기는 성능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BWP(BWP 설정)를 CORESET(CORESET 설정)에 관련짓는 방법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이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UE는, 액티브한 BWP(액티브한 DL BWP)에 관한 CORESET를 모니터한다(실시형태 2. 1). 기지국은, BWP 스위칭 전의 액티브 BWP에 관한 CORESET와, BWP 스위칭 후의 새로운 액티브 BWP에 관한 CORESET의 양방을 UE에 모니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액티브 BWP를 이들 양방의 CORESET에 관련짓는 설정을 수행하면 된다.
실시형태 2. 1에 있어서의 UE는, 애매한 기간에 있어서는, BWP 스위칭 후의 새로운 BWP만이 액티브라고 상정(assume)해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정'은, '간주한다'로 대체되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의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UE는, 액티브한 BWP(액티브한 DL BWP)에 관한 CORESET를 모니터한다. 또, UE는, BWP 스위칭 기간에 있어서, BWP 스위칭 전의 액티브 BWP에 관한 CORESET와, BWP 스위칭 후의 새로운 액티브 BWP에 관한 CORESET의 양방을 모니터한다(실시형태 2. 2). 실시형태 2. 1의 케이스에 비해, BWP와 CORESET와의 관련성을 위한 정보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더욱의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는, UE는, 액티브한 BWP(액티브한 DL BWP)에 관한 CORESET를 모니터한다. 또, UE는, BWP 스위칭 기간에 있어서, BWP 스위칭 전의 액티브 BWP 및 BWP 스위칭 후의 새로운 액티브 BWP의 일방이, 타방의 서브세트이거나(예를 들면, 포함하거나) 또는 타방의 슈퍼세트인(예를 들면, 포함되는) 경우에는, 양방의 BWP에 관한 CORESET를 모니터한다(실시형태 2. 3). 실시형태 2. 3의 케이스는, CORESET 모니터를 위해 주파수 리튜닝이 불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PDCCH의 모니터의 실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 2 및/또는 2. 3은, BWP 스위칭 전후의 액티브 BWP가 같은 수비학에 해당하는 경우에 적용되어도 좋으며, 다른 수비학에 해당하는 경우에 적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같은 수비학에 해당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케이스에서는, 샘플링 레이트가 다른 복수의 고속 역푸리에 변환(IFFT)을 동시에 적용할 필요가 없음으로써, UE는, 처리 부하가 과도하게 증대되는 일 없이 복수의 CORESET를 모니터한다.
또, 다른 수비학에 해당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케이스에서는, 예를 들면, 저주파수 대역의 BWP와 고주파수 대역의 BWP와의 전환 등, BWP의 후보 대역을 넓게 취할 수 있다. 또한, eMBB(enhanced Mobile Broad Band) 목적의 고속 통신과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의 높은 신뢰의 통신을 필요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BWP 스위칭 시의 모니터 대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예에서는, 도면의 상단에서 아래 방향으로의 천이가, BWP1로부터 BWP2로의 스위칭(BWP1의 디액티베이트 & BWP2의 액티베이트)을 나타내고, 그 반대의 천이가, BWP2로부터 BWP1로의 스위칭(BWP2의 디액티베이트 & BWP1의 액티베이트)을 나타낸다.
도 2의 중앙이 애매한 기간에 해당된다. 어느 스위칭이라도, 예를 들면 실시형태 2. 2, 2. 3 등의 방법에 기초하여, UE는 애매한 기간에 있어서 각 BWP의 CORESET를 모니터할 수 있다.
도 3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BWP 스위칭 시의 모니터 대상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예에서는, 도면의 상단에서 아래 방향으로의 천이가, BWP1로부터 BWP2로의 스위칭(BWP1의 디액티베이트 & BWP2의 액티베이트)을 나타내고, 그 반대의 천이가, BWP2로부터 BWP1로의 스위칭(BWP2의 디액티베이트 & BWP1의 액티베이트)을 나타낸다.
도 3의 중앙이 애매한 기간에 해당된다. BWP1은 수비학 1에 대응되고, BWP2는 수비학 2에 대응된다. 어느 스위칭이라도, 예를 들면 실시형태 2. 2 등의 방법에 기초하여, UE는 애매한 기간에 있어서 각 BWP의 CORESET를 모니터할 수 있다.
또한, 애매한 기간에 있어서 UE가 복수의 BWP에 관한 복수의 CORESET를 모니터하는 경우, UE는, 해당 복수의 BWP의 전부가 액티브라고 상정해도 좋다. 애매한 기간에서는, 액티브한 BWP가 복수 있어도 좋다.
UE는, 해당 복수의 BWP를 포함하는 소정의 부분 대역이, 하나의 BWP라고 취급해도 좋다. 여기서, 복수의 BWP를 포함하여 하나의 BWP로서 취급되는 BWP는, 확장 BWP, 스위칭 기간용 BWP 등이라 불려도 좋다. UE는, 스위칭 기간에 있어서, 액티브한 BWP는 확장 BWP라고 상정해도 좋다.
또, 애매한 기간에 있어서 UE가 복수의 BWP에 관한 복수의 CORESET를 모니터하는 경우, UE는, 해당 복수의 BWP의 적어도 하나가 디액티브라고 상정(assume)해도 좋다. 단, UE는, 이와 같은 디액티브라고 상정한 BWP에 있어서, CORESET의 모니터는 수행해도 좋다. 이와 같은 디액티브 그리고 CORESET를 모니터하는 상태는, 세미 액티브(semi-active) 상태, 세미 액티베이트(semi-activated) 상태, 모니터링 상태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통상의 디액티브한 BWP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UE는, PDCCH의 모니터를 하지 않거나, PUCCH의 송신을 하지 않는 등, 액티브한 BWP에 있어서의 동작보다도, UE가 수행하는 동작이 적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BWP 스위칭에 따르는 애매한 기간이라도, UE는 모니터해야 하는 CORESET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본 개시의 상기 각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통신이 수행된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예를 들면, 20 MHz)을 1 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을 일체로 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R(New Radio),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등이라 불려도 좋으며, 이들을 실현하는 시스템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은, 비교적 커버리지가 넓은 매크로 셀(C1)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1)과, 매크로 셀(C1) 내에 배치되고, 매크로 셀(C1)보다도 좁은 스몰 셀(C2)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2(12a-12c))을 구비하고 있다. 또, 매크로 셀(C1) 및 각 스몰 셀(C2)에는, 유저단말(20)이 배치되어 있다. 각 셀 및 유저단말(20)의 배치, 수는, 도에 도시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단말(20)은, 무선기지국(11) 및 무선기지국(12)의 쌍방에 접속할 수 있다. 유저단말(20)은, 매크로 셀(C1) 및 스몰 셀(C2)을, CA 또는 DC를 이용하여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 유저단말(20)은, 복수의 셀(CC)을 이용하여 CA 또는 DC를 적용해도 좋다.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 GHz)으로 대역폭이 좁은 캐리어(기존 캐리어, legacy carrier 등이라고도 불린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3.5 GHz, 5 GHz 등)으로 대역폭이 넓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와 같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각 무선기지국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유저단말(20)은, 각 셀에서,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 및/또는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각 셀(캐리어)에서는, 단일의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으며, 복수의 다른 수비학이 적용되어도 좋다.
수비학이란, 어느 신호 및/또는 채널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적용되는 통신 파라미터여도 좋으며, 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 대역폭, 심벌 길이, 사이클릭스 프리픽스 길이, 서브 프레임 길이, TTI 길이, 각 TTI의 심벌 수, 무선 프레임 구성, 송수신기가 주파수 영역에서 수행하는 특정한 필터링 처리, 송수신기가 시간 영역에서 수행하는 특정한 윈도잉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도 좋다. 예를 들면, 어느 물리 채널에 대해, 구성하는 OFDM 심벌의 서브 캐리어 간격이 다른 경우 및/또는 OFDM 심벌 수가 다른 경우에는, 수비학이 다르다고 칭해져도 좋다.
무선기지국(11)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또는, 2개의 무선기지국(12) 사이)는, 유선(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 등) 또는 무선에 의해 접속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1) 및 각 무선기지국(12)은, 각각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고, 상위국 장치(30)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40)에 접속된다. 또한, 상위국 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각 무선기지국(12)은, 무선기지국(11)을 통해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무선기지국(11)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매크로 기지국, 집약 노드, eNB(eNodeB),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2)은, 국소적인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스몰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HeNB(Home eNodeB), RRH(Remote Radio Head),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이하, 무선기지국(11 및 12)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무선기지국(10)이라 총칭한다.
각 유저단말(20)은, LTE, LTE-A 등의 각종 통신 방식에 대응된 단말이며, 이동 통신 단말(이동국)뿐 아니라 고정 통신 단말(고정국)을 포함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 링크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적용되고, 상향 링크에 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및/또는 OFDMA가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 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에 의해 구성되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또한, 상향 및 하향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무선 액세스 방식이 이용되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하향 링크의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하향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하향 L1/L2 제어 채널 등이 이용된다.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이 전송된다. 또, PBCH에 의해,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전송된다.
하향 L1/L2 제어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DCCH에 의해, PDSCH 및/또는 PU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등이 전송된다.
또한, DCI에 의해 스케줄링 정보가 통지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DL 데이터 수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DL 어사인먼트라 불려도 좋으며, UL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UL 그랜트라 불려도 좋다.
PCFICH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벌 수가 전송된다. PHICH에 의해, PUSCH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달 확인 정보(예를 들면, 재송 제어 정보, HARQ-ACK, ACK/NACK 등이라고도 한다)가 전송된다. EPDCCH는, PDSCH(하향 공유 데이터 채널)과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PDCCH와 마찬가지로 DCI 등의 전송에 이용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상향 링크의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상향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향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등이 이용된다.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등이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 링크의 무선 품질 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송달 확인 정보, 스케줄링 리퀘스트(SR: Scheduling Request) 등이 전송된다. PRACH에 의해, 셀과의 접속 확립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전송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하향 참조 신호로서, 셀 고유 참조 신호(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위치 결정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등이 전송된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상향 참조 신호로서, 측정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등이 전송된다. 또한, DMRS는 유저단말 고유 참조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라 불려도 좋다. 또, 전송되는 참조 신호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기지국)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기지국(1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와, 호 처리부(1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101), 앰프부(102), 송수신부(1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하향 링크에 의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유저단말(2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상위국 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유저 데이터에 관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 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프리코딩 처리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또, 하향 제어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안테나마다 프리코딩하여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송수신부(103)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상향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103)는 앰프부(102)에서 증폭된 상향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상향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 데이터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상위국 장치(3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105)는, 통신 채널의 호 처리(설정, 해방 등), 무선기지국(10)의 상태 관리, 무선리소스의 관리 등을 수행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국 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섬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무선기지국(10)과 신호를 송수신(백홀 시그널링)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액티브한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관련된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 COntrol REsource SET)에 있어서 하향 제어 정보(예를 들면, DCI)를 송신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BWP 설정, CORESET 설정, BWP 스위칭에 관한 정보 등을, 유저단말(20)에 대해 송신해도 좋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기지국(10)은, 무선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는다고 상정되어도 좋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는, 제어부(스케줄러)(301)와, 송신신호 생성부(302)와, 맵핑부(303)와, 수신신호 처리부(304)와, 측정부(3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무선기지국(1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스케줄러)(301)는, 무선기지국(1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301)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302)에 있어서의 신호의 생성, 맵핑부(303)에 있어서의 신호의 할당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수신신호 처리부(304)에 있어서의 신호의 수신 처리, 측정부(305)에 있어서의 신호의 측정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시스템 정보, 하향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D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하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PDCCH 및/또는 EPDC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송달 확인 정보 등)의 스케줄링(예를 들면, 리소스 할당)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상향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송 제어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 결과 등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등의 생성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동기 신호(예를 들면,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하향 참조 신호(예를 들면, CRS, CSI-RS, DMRS) 등의 스케줄링의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301)는, 상향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U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상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PUCCH 및/또는 PU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송달 확인 정보 등),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예를 들면, PRA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의 스케줄링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유저단말(20)의 액티브한 BWP를 스케줄링해도 좋다. 제어부(301)는, 액티브한 BWP에 관련된 CORESET에 있어서 DCI를 송신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 신호(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하향 참조 신호 등)를 생성하여, 맵핑부(3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예를 들면,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 데이터의 할당 정보를 통지하는 DL 어사인먼트 및/또는 상향 데이터의 할당 정보를 통지하는 UL 그랜트를 생성한다. DL 어사인먼트 및 UL 그랜트는, 모두 DCI이며, DCI 포맷에 따른다. 또, 하향 데이터 신호에는, 각 유저단말(20)로부터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 부호화율, 변조 방식 등에 따라 부호화 처리, 변조 처리가 수행된다.
맵핑부(303)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302)에서 생성된 하향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103)로 출력한다. 맵핑부(303)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송수신부(1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유저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신호(상향 제어 신호, 상향 데이터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이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HARQ-ACK를 포함하는 PUCCH을 수신한 경우, HARQ-ACK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305)로 출력한다.
측정부(3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305)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305)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측정 등을 수행해도 좋다. 측정부(305)는,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NR(Signal to Noise Ratio)), 신호 강도(예를 들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전파로 정보(예를 들면, CSI)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301)로 출력되어도 좋다.
(유저단말)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단말(2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와, 애플리케이션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201), 앰프부(202), 송수신부(2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203)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 하향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2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출력한다. 송수신부(203)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레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F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을 수행한다. 하향 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205)는, 물리 레이어 및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하향 링크의 데이터 중, 브로드캐스트 정보도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되어도 좋다.
한편, 상향 링크의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서는, 재송 제어의 송신 처리(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 채널 부호화, 프리코딩, 이산 푸리에 변환(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IFFT 처리 등이 이루어져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201)로부터 송신된다.
송수신부(203)는, 액티브한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에 관련된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 COntrol REsource SET)를 모니터해도 좋다.
송수신부(203)는, BWP 설정, CORESET 설정, BWP 스위칭에 관한 정보 등을,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수신해도 좋다. BWP 스위칭에 관한 정보는, BWP 스위칭을 지시하는 정보(예를 들면, DCI)를 포함해도 좋으며, BWP 스위칭을 위한 타이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유저단말(2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유저단말(2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제어부(401)와, 송신신호 생성부(402)와, 맵핑부(403)와, 수신신호 처리부(404)와, 측정부(4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유저단말(2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401)는, 유저단말(2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401)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4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에 있어서의 신호의 생성, 맵핑부(403)에 있어서의 신호의 할당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401)는, 수신신호 처리부(404)에 있어서의 신호의 수신 처리, 측정부(405)에 있어서의 신호의 측정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제어 신호 및 하향 데이터 신호를, 수신신호 처리부(404)로부터 취득한다. 제어부(401)는, 하향 제어 신호 및/또는 하향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송 제어의 필요 여부를 판정한 결과 등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신호 및/또는 상향 데이터 신호 등의 생성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BWP 설정 및 CORESET 설정의 관련성을 판정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BWP 설정 및/또는 CORESET 설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BWP가 액티브한 경우에 모니터해야 하는 CORESET를 결정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액티브한 BWP를 제1 BWP(스위칭 전의 액티브 BWP)로부터 제2 BWP(스위칭 후의 액티브 BWP)로 전환하는 동안의 기간(스위칭 기간)에 있어서 모니터하는 CORESET를 판단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어부(401)는, 제1 BWP가 제1 CORESET에 관련지어지고, 제2 BWP가 해당 제1 CORESET 및 제2 CORESET에 관련지어지는 경우에, 상기 기간에 있어서, 해당 제1 CORESET 및 해당 제2 CORESET의 양방을 모니터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401)는, 스위칭 후의 모니터 대상의 CORESET가 스위칭 전의 모니터 대상의 CORESET를 포함하는 경우에는(또는 스위칭 전의 모니터 대상의 CORESET에 상관없이), 스위칭 기간에 있어서 스위칭 후의 모니터 대상의 각 CORESET를 모니터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제1 BWP가 제1 CORESET 및 제2 CORESET에 관련지어지고, 제2 BWP가 제2 CORESET에 관련지어지는 경우에, 상기 기간에 있어서, 해당 제1 CORESET 및 해당 제2 CORESET의 양방을 모니터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401)는, 스위칭 후의 모니터 대상의 CORESET에 상관없이, 스위칭 기간에 있어서 스위칭 전의 모니터 대상의 각 CORESET를 모니터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제1 BWP가 제1 CORESET에 관련지어지고, 제2 BWP가 해당 제2 CORESET에 관련지어지는 경우에, 상기 기간에 있어서, 해당 제1 CORESET 및 해당 제2 CORESET의 양방을 모니터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401)는, 스위칭 후의 CORESET가 스위칭 전의 CORESET를 포함하지 않아도, 스위칭 기간에 있어서 스위칭 전후의 모니터 대상의 각 CORESET를 모니터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제어부(401)는, 제1 BWP 및 제2 BWP의 일방이 타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간에 있어서, 해당 제1 BWP에 관련지어지는 제1 CORESET 및 해당 제2 BWP에 관련지어지는 제2 CORESET의 양방을 모니터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401)는, 스위칭 전 및 후의 어느 일방의 BWP가 타방의 BWP의 서브세트인 경우, 스위칭 기간에 있어서 스위칭 전후의 모니터 대상의 각 CORESET를 모니터하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통지된 각종 정보를 수신신호 처리부(404)로부터 취득한 경우,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에 이용하는 파라미터를 갱신해도 좋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신호(상향 제어 신호, 상향 데이터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를 생성하여, 맵핑부(4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예를 들면,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달 확인 정보, 채널 상태 정보(CSI) 등에 관한 상향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통지되는 하향 제어 신호에 UL 그랜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401)로부터 상향 데이터 신호의 생성을 지시받는다.
맵핑부(403)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402)에서 생성된 상향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203)로 출력한다. 맵핑부(403)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송수신부(2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하향 신호(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하향 참조 신호 등)이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개시에 따른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 정보,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DCI 등을,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405)로 출력한다.
측정부(4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405)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405)는,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RRM 측정, CSI 측정 등을 수행해도 좋다. 측정부(405)는,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 SINR, SNR), 신호 강도(예를 들면, RSSI), 전파로 정보(예를 들면, CSI)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401)로 출력되어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으로(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등은, 본 개시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있어도 좋다. 또,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실행되어도 좋으며, 처리가 동시에, 축차적으로, 또는 그 외의 수법을 이용하여, 1 이상의 프로세서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에 의해 실장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를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를 통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204)), 호 처리부(105) 등은, 프로세서(1001)에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단말(20)의 제어부(401)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RAM(Random Access Memory),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CD-ROM(Compact Disc ROM) 등),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스마트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및/또는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을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송수신 안테나(101(201)), 앰프부(102(202)), 송수신부(103(203)), 전송로 인터페이스(106) 등은,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에 의해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를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장되어도 좋다.
(변형 예)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용어 및/또는 본 명세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또는 심벌은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여도 좋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라 약칭할 수도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의해 파일럿(Pilot), 파일럿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는, 셀, 주파수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기간(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각 기간(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 ms)여도 좋다.
또한,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여도 좋다. 또,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은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또는 TTI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 ms)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벌)이어도 좋으며, 1 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이 각 유저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 송신전력 등)를,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 워드의 송신 시간 단위여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 워드가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벌 수)은,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 수(미니 슬롯 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 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는, 통상 TTI(LTE Rel. 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또는 롱 서브 프레임 등이라 불려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또는, 서브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 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 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서브 캐리어(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또, RB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벌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 TTI의 길이여도 좋다. 1 TTI, 1 서브 프레임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B), 서브 캐리어 그룹(SCG: Sub-Carrier Group),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벌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벌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 당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벌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벌 수, 심벌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부터의 상대값을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소정의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파라미터 등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명칭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계 혹은 자성 입자, 빛의 장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 정보, 신호 등은, 상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 및/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정보, 신호 등은,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신호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가가 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신호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은, L1/L2(Layer 1/Layer 2) 제어 정보(L1/L2 제어 신호), L1 제어 정보(L1 제어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으며,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Connection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또, MAC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Control Element))를 이용하여 통지되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인 통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시적으로(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또는 다른 정보의 통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true) 또는 위(false)로 표현되는 진위 값(boolean)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 및/또는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또는 무선 기술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기지국', 'eNB', 'gNB',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및 '컴포넌트 캐리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유저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및 '단말'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 대체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유저단말 간(D2D: Device-to-Device)의 통신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개시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기능을 유저단말(2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 및 '하향' 등의 문언은, '사이드'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은, 무선기지국으로 대체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유저단말(20)이 갖는 기능을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된다고 한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기지국 이외의 1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지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판단(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판단(결정)'은,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ng),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ng),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즉, '판단(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하는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인 것이라도, 논리적인 것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라 대체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2개의 요소가 접속되는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또는 프린트 전기 접속을 이용하여,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이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또는 광(가시 및 불가시의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을 이용하여,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A와 B가 다르다'라는 용어는, 'A와 B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해도 좋다. '떨어지다', '결합되는' 등의 용어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고 있는(compris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는,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이상, 본 개시에 따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개시에 따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개시에 따른 발명은, 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규정되는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고, 본 개시에 따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