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3409B1 - Menstrual cup - Google Patents

Menstrual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409B1
KR102453409B1 KR1020200153237A KR20200153237A KR102453409B1 KR 102453409 B1 KR102453409 B1 KR 102453409B1 KR 1020200153237 A KR1020200153237 A KR 1020200153237A KR 20200153237 A KR20200153237 A KR 20200153237A KR 102453409 B1 KR102453409 B1 KR 102453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acking
stopper
menstrual cup
ha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4062A (en
Inventor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이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수 filed Critical 이지수
Priority to EP20893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42988A4/en
Priority to CN202080081356.6A priority patent/CN115023204A/en
Priority to US17/628,230 priority patent/US12048645B2/en
Priority to PCT/KR2020/016541 priority patent/WO2021107520A1/en
Publication of KR2021006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40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placed in the vagina, e.g. for catamen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7Closure means other tha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 A61F2005/4415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venting by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컵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생리컵은 일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생리혈이 모아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막는 마개패킹 및 일단은 상기 마개패킹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며 탄성이 있는 재질로 되어 있어 외력에 의해 상기 마개패킹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격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패킹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strual cup, wherein the menstrual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open end and having a space in which menstrual blood is collected, an outle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 stopper packing for blocking the outlet,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topper packing and the other end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body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that moves to.

Description

생리컵 {MENSTRUAL CUP}Menstrual Cup {MENSTRUAL CUP}

본 발명은 생리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성 질 내에 삽입되어 배출되는 생리혈을 담는 삽입형 생리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nstrual cup,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ertable menstrual cup containing menstrual blood that is inserted into and discharged from a woman's vagina.

현재 여성들이 사용하고 있는 생리대와 탐폰은 그 재질이 화학 약품 종이, 흡수지 부직포, 비닐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엄청난 양의 쓰레기가 발생 된다. 이로 인하여 쓰레기 처리 비용과 처리 중에 나타나는 공해와 하수구와 변기 막힘의 원인이 되어 심각한 수질 오염을 일으킨다. 게다가 제품의 비싼 가격으로 인하여 가계의 큰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다. 건강의 측면에서 여성의 질은 질 내에 죽은 세포나 박테리아의 제거를 위하여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어야 함에도 종래의 생리대와 탐폰은 생리혈 뿐만 아니라 수분을 흡수하는 단점이 있다. The sanitary napkins and tampons currently used by women are made of chemical paper, absorbent paper non-woven fabric, and vinyl, resulting in a huge amount of waste. This causes serious water pollution by causing waste disposal costs, pollution during disposal, and clogging of sewers and toilets. In addition, the high price of the product is a huge economic burden on households. In terms of health, although a woman's vagina must be supplied with sufficient moisture to remove dead cells or bacteria in the vagina, conventional sanitary napkins and tampons have the disadvantage of absorbing water as well as menstrual blood.

이러한 이유에서 재사용이 가능하고, 무독성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생리컵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리컵은 생리혈이 생리컵에 모아지면 생리컵을 질 외부로 꺼내서 생리혈을 버린 후에 생리컵을 질 내부로 재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어서 외출 시에는 생리컵을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For this reason, menstrual cups made of reusable and non-toxic silicone are being used. However, the menstrual cup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menstrual cup when going out because, when menstrual blood is collected in the menstrual cup, the menstrual cup is taken out of the vagina, discarded, and then the menstrual cup is re-inserted into the vagina.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8121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3-00812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리컵을 외부로 꺼내지 않은 상태에서 생리혈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생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nstrual cup capable of discharging only menstrual blood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e menstrual cup is not taken out.

또한, 생리컵의 내부 진공압을 미리 제거하여, 생리컵을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생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nstrual cup capable of easily taking out the menstrual cup to the outside by removing the internal vacuum pressure of the menstrual cup in advance.

또한, 사용자가 자신에 맞춰서 생리컵의 마개손잡이 또는 손잡이를 잘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nstrual cup that allows a user to cut and use the stopper handle or handle of the menstrual cup according to his/her own preferen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리컵은 일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생리혈이 모아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단에 배치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막는 마개패킹 및 일단은 상기 본체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개패킹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마개패킹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격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패킹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pen end and having a space in which menstrual blood is collected, an outle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 stopper packing for blocking the outlet, and One end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topper packing, and the stopper packing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by an external force. can

또한,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걸림수용부 및 상기 걸림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a locking portion coupled to the locking accommodation portion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를 외력으로 당기면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마개패킹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격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패킹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is pulled by an external force, the shape is deformed so that the closure packing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art for moving the closure packing to its original position. .

또한,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걸림부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를 외력으로 당기면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마개패킹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격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패킹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걸림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locking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disposed on the body, coupled to the locking part and pulling the connection part by an external force, deforms the shape so that the plug packing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and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when the plug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receiving portion for moving the packing to the original position.

또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배출구가 상기 손잡이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handle.

또한,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돌기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rotrusion protruding in a ring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ndle.

또한, 상기 마개패킹에 연결되어 상기 마개패킹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마개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handle which is connected to the stopper packing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packing.

또한, 상기 마개손잡이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는 마개손잡이돌기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pper handle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ring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handle.

또한, 상기 마개손잡이돌기테의 외주 크기가 상기 배출구의 외주 크기보다 클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y size of the stopper handle protrusion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periphery size of the outlet.

또한, 상기 연결부의 단면이 상기 배출구의 단면보다 작을 수 있다. In addition, a cross-s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smaller than a cross-section of the outlet.

또한, 상기 배출구가 상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가면서 작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let may become smaller as it goes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마개패킹이 상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가면서 단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one or more closure packings may be gradually reduced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마개패킹의 외주면은 상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가면서 작아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packing may be reduc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마개패킹의 가로 단면 형상은 상기 배출구의 가로 단면 형상과 같고, 상기 마개패킹의 단면적이 상기 배출구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opper packing may be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le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opper packing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또한, 상기 마개패킹은 상기 배출구보다 커서 상기 연결부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g packing may be larger than the outlet port to close the outlet port by the pulling force of the connection part.

또한, 상기 마개패킹은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pper packing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또한, 상기 마개패킹의 외주면의 세로 단면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packing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본 발명의 생리컵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According to the menstrual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본 발명에 의하면 생리컵을 외부로 꺼내지 않은 상태에서 생리혈만을 외부로 배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only menstrual bloo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taking out the menstrual cup.

또한, 마개패킹을 당겨서 사용 후 놓으면 원래 위치로 마개패킹이 이동되어 사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opper packing is pulled and released after use, the stopper packing is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which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usability.

또한, 마개패킹에 의해서 생리혈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menstrual blood leakage by the stopper packing.

또한, 마개패킹의 외주면의 단면이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마개패킹을 배출구에 삽입 및 제거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ross-s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packing is formed in a round shap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insert and remove the stopper packing into the outlet.

또한, 생리컵의 내부 진공압을 미리 제거할 수 있어서, 생리컵을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ternal vacuum pressure of the menstrual cup can be removed in adva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enstrual cup can be easily taken out.

또한, 사용자가 자신에 맞춰서 생리컵의 마개손잡이 또는 손잡이를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cut the stopper handle or handle of the menstrual cup according to his or her ow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C-C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C-C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D-D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D-D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E-E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E-E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F-F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G-G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G-G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H-H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H-H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I-I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4의 I-I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7은 도 35에 걸림지지판이 추가된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4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a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left side view of a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of a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ront view of a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ront view of a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CC of FIG. 16 .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CC of FIG. 16 .
19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DD of FIG. 19 .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DD of FIG. 19 .
22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Embodiment 9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EE of FIG. 22 .
2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EE of FIG. 22 .
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an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FF of FIG. 26 .
28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2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GG of FIG. 28 .
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GG of FIG. 28 .
31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HH of FIG. 31 .
3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HH of FIG. 31 .
34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Embodiment 14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II of FIG. 34 .
FIG. 3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II of FIG. 34 .
FIG. 3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to which a locking support plate is added in FIG. 35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생리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and FIG. 3 is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A-A in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nstrual cup of

본체(100)는 컵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생리혈이 모아지는 공간부(110)가 형성된다. The body 100 is formed in a cup shape, one end of which is opened, and a space portion 110 in which menstrual blood is collected is formed.

본체(100)의 크기는 저장하는 생리혈의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ize of the body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menstrual blood to be stored.

본체(100)의 일단부의 외주면은 본체(100)의 중간부의 외주면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100 may be thick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body 100 .

생리컵이 질 내에 삽입될 때 본체(100)의 일단의 외주면이 질 벽에 밀착되어 생리혈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menstrual cup is inserted into the vagina,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vaginal wall to prevent the menstrual blood from leaking.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의 일단의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타원형, 다각형 등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10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circular shape, but otherwise, it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such as an oval or a polygon.

본체(100)의 타단의 중심부에 배출구(200)가 형성되며,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해서 배출된다.An outlet 20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100 , and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00 .

본 발명에서는 배출구(200)가 본체(100)의 타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위치는 하나의 실시 예이며,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outlet 20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but this position is one embodiment, and it can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손잡이(미도시)는 본체(100)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미도시)는 본체(100)의 타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100)를 질 내에서 인출할 때 손으로 쉽게 잡고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손잡이(미도시) 내부에 배출구(200)가 형성될 수 있다. A handle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00 . The handle (not shown) is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 so that when the main body 100 is withdrawn from the vagina, it can be easily grasped and taken out by hand. In addition, the outlet 200 may be formed inside the handle (not shown).

마개패킹(300)은 배출구(200)를 통해서 생리혈이 배출되는 것을 막는다.The plug packing 300 prevents menstrual blood from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00 .

마개패킹(300)은 배출구(200)보다 클 수 있다. The plug packing 300 may be larger than the outlet 200 .

마개패킹(300)은 배출구(200)보다 크게 되면, 배출구(200)을 마개패킹(300)로 충분하게 막을 수 있으므로 생리혈이 새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stopper packing 300 is larger than the outlet 200, the outlet 200 can be sufficiently blocked with the stopper packing 300, thereby further preventing the menstrual blood from leaking.

연결부(400)는 마개패킹(30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연결부(400)는 마개패킹(300)의 일단에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서 마개패킹(300)이 배출구(200)에서 이격된 후에 외력이 사라지면 마개패킹(300)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켜 생리혈이 배출되는 것을 막는다. 연결부(400)은 실리콘, 고무, 스프링 등 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400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topper packing 300 can be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connection part 40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lug packing 300, and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after the plug packing 300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200 by an external force, the plug packing 300 is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discharge menstrual blood. prevent it from becoming The connection part 4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configurations having elastic force, such as silicone, rubber, and spring.

연결부(400)의 일단은 본체(100)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연결부(400)의 타단은 마개패킹(300)에 연결된다.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stopper packing 300 .

마개손잡이(700)는 마개패킹(300)의 타단에 연결된다. 마개손잡이(700)는 마개패킹(300)의 타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연결되는 것으로, 마개패킹(300)을 배출구(200)로부터 이격시킬 때 손으로 쉽게 잡아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stopper handle 7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packing 300 . The stopper handle 700 is connected to a long ex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packing 300, so that when the stopper packing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200, it can be easily grasped and separated by hand.

마개손잡이돌기테(710)는 마개손잡이(700)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일 수 있다. The stopper handle protrusion 710 may be in the form of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ring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handle 700 .

마개손잡이(700)에 마개손잡이돌기테(710)가 형성됨으로써, 마개손잡이(700)를 잡아당겼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그립감을 향상시킨다. By forming the stopper handle protrusion 710 on the stopper handle 700, it prevents slipping when the stopper handle 700 is pulled, and improves the grip.

본체(100)의 일단의 외주면에는 공간부(11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관통된 개방공(120)이 형성된다.An open hole 120 penetrating from the inside of the space part 110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100 .

개방공(120)은 4개가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0)의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Four opening holes 120 may be formed, and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body 100 .

본체(100)에 형성된 개방공(120)은 질 내부에 삽입한 후 본체(100)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때 공간부(110)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The opening 120 formed in the body 100 become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space 110 when the body 10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vagina.

또한 개방공(120)은 진공압을 해제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데, 질 내부에 삽입되어 본체(100)와 질 사이에 진공압이 형성되어 있을때 본체(100)의 일부를 눌러주면 외부 공기가 본체(100)의 일부를 눌러준 공간과 개방공(120)을 통하여 유입됨으로써 진공압이 해제된다. In addition, the opening 120 serves to release the vacuum pressure, and when it is inserted into the vagina and a vacuum pressure is formed between the body 100 and the vagina, when a part of the body 100 is pressed, the external air is released into the body ( 100), the vacuum pressure is released by being introduced through the space and the open hole 120 pressed in part.

본체돌기테(130)는 본체(100)의 타단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일 수 있다. The body protrusion frame 130 may be in the form of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ring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body 100 .

본체(100)에 본체돌기테(130)가 형성됨으로써, 본체(100)를 잡아당겼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그립감을 향상시킨다. By forming the main body protrusion 130 on the main body 100, it is prevented from sliding when the main body 100 is pulled, and the grip feeling is improved.

연결부(400)의 단면이 배출구(200)의 단면보다 작다.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400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outlet 200 .

마개손잡이(700)를 이용하여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배출구(200)가 개방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연결부(400)의 단면이 배출구(200)의 단면보다 작아야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연결부(400)의 단면이 배출구(200)의 단면보다 작아야 한다. When the user pulls the stopper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using the stopper handle 700 , the outlet 200 is opened and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00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400 must be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outlet 200 so that menstrual bloo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배출구(200)는 배출구(200)의 끝단에서 본체(100) 방향으로 가면서 작아질 수 있다. The outlet 200 may become smaller from the end of the outlet 200 toward the body 100 .

배출구(200)가 배출구(200)의 끝단에서 본체(100) 방향으로 가면서 작아지게 형성되면, 마개패킹(300)이 배출구(200)에 삽입될수록 결합 강도가 증가된다. 배출구(200)와 마개패킹(300)의 결합 강도가 증가될수록 생리혈이 새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outlet 200 is formed to be smaller from the end of the outlet 200 toward the body 100 , the more the plug packing 300 is inserted into the outlet 200 , the greater the bonding strength. As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outlet 200 and the plug packing 300 increase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leakage of menstrual blood.

전체 또는 일부분에 있어서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whole or in part, the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a silicone material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본 발명에서는 전체 또는 일부분에 재질을 실리콘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재질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재질로 전체 또는 일부분이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ll or part of the material is described as silicon, but this material does not limi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n embodiment, all or part of the material is manufactured with various material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사용자는 자신의 질 깊이에 맞춰서 마개손잡이(700)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개손잡이(700)가 길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질 깊이에 맞춰서 마개손잡이(700)를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The user can cut the stopper handle 700 according to the depth of his or her vagina and use it. If the stopper handle 700 is long, it gives inconvenience to the user, so the user can cut the stopper handle 700 according to the depth of his or her vagina and use it.

기존의 생리컵은 질 속에서 생리컵을 꺼내기 위해서는 질 속에 손가락을 넣어 생리컵을 눌러 진공을 해제한 상태에서 꺼내야 하기 때문에 질 속에 손가락을 넣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과 이러한 과정에서 생리컵에 담겨진 일부 생리혈이 쏟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existing menstrual cup, in order to remove the menstrual cup from the vagina, you have to put your finger into the vagina and press the menstrual cup to release the vacuum. There was a problem that menstrual blood spilled.

생리컵이 질 내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마개손잡이(700)를 이용하여 마개패킹(300)을 배출구(200)에서 이격시키면 내부진공의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통증유발 없이 생리컵을 질 외부로 꺼낼 수 있다. When the stopper packing 300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200 using the stopper handle 700 while the menstrual cup is worn inside the vagina, the internal vacuum can be released, so that the menstrual cup can be taken out of the vagina without causing pain. can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연결부(400)의 일단이 본체(100)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연결부(400)의 타단이 마개패킹(300)에 연결되어, 마개손잡이(700)를 이용하여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길 시에는 배출구(200)가 개방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In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ne end of the connecting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plug packing 300 , and the plug handle 700 is used to pack the plug. When the user pulls the 300 by an external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 the outlet 200 is opened and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기지 않을 시에는 연결부(400)에 의해서 마개패킹(300)이 원래 위치로 이동되게 됨으로써 배출구(200)가 닫히게 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user does not pull the plug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the plug packing 300 is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connection part 400 so that the outlet 200 is closed and the space part 110 ), the collected menstrual blood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당길 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마개패킹(300)을 당길 수 있도록 마개패킹(300)의 타단에 마개손잡이(700)가 연결된다. 또한 마개손잡이(700)에 대한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마개손잡이(700) 외주면에 마개손잡이돌기테(710)가 형성된다. When the user pulls the stopper packing 300 , the stopper handle 7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packing 30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ull the stopper packing 300 . In addition, a stopper handle protrusion 71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handle 700 to prevent slipping with respect to the stopper handle 700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4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and FIG. 6 is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B-B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nstrual cup of

본체(100), 공간부(110), 개방공(120), 본체돌기테(130), 배출구(200), 마개패킹(300), 연결부(400), 마개손잡이(700), 마개손잡이돌기테(710)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ain body 100, space 110, open hole 120, body protrusion 130, outlet 200, stopper packing 300, connection part 400, stopper handle 700, stopper handle projection frame Since reference numeral 710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Embodiment 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걸림수용부(500)는 본체(100)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The first engaging receiving portion 50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연결부(400)의 일단에 제1걸림부(510)가 연결되며, 제1걸림부(510)는 제1걸림수용부(500)에 결합된다.A first locking part 5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0 , and the first locking part 510 is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receiving part 500 .

제1걸림부(510)는 고정된 제1걸림수용부(500)에 결합하여 사용된다. 고정된 제1걸림수용부(500)에 의해서 고정된 제1걸림부(510)에 연결된 연결부(400)는 마개패킹(300)이 배출구(200)에서 이격 시 마개패킹(300)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first locking part 510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fixed first locking receiving part 500 . The connection part 400 connected to the first stopping part 510 fixed by the fixed first stopping accommodating part 500 is the stopper packing 300 when the stopper packing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200 to the original position. function to move to

실시예 2에 따르면, 본체(100)의 내측면에 제1걸림수용부(500)가 배치되고, 연결부(400)의 일단에 제1걸림부(510)가 연결되며, 제1걸림부(510)는 제1걸림수용부(500)에 결합되어 마개손잡이(700)를 이용하여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길 시에는 배출구(200)가 개방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engaging portion 50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first engaging portion 5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400, the first engaging portion 510 ) is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receiving part 500 and using the stopper handle 700, when the user pulls the stopper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the outlet 200 is opened and the space portion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100), 공간부(110), 개방공(120), 본체돌기테(130), 배출구(200), 마개패킹(300), 마개손잡이(700), 마개손잡이돌기테(710)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ain body 100, the space part 110, the opening hole 120, the body projection frame 130, the outlet 200, the stopper packing 300, the stopper handle 700, the stopper handle projection frame 710 are carried out Since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Example 1,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하나 이상의 연결부(400)의 일단이 본체(100)의 외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연결부(400)의 일단이 본체(100)에 연결됨으로써, 연결부(4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마개패킹(30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one or more connection parts 40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One end of the one or more connection parts 4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 so that the stopper packing 300 may be moved to an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on part 400 .

하나 이상의 연결부(400)는 배출구(200)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거나 동일한 간격 또는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one or more connection parts 400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utlet 200 or may be arranged to achieve the same spacing or balance of force.

실시예 3에 따르면, 연결부(400)의 일단이 본체(100)의 외측면에 연결되어, 마개손잡이(700)를 이용하여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길 시 배출구(200)가 개방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user pulls the plug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using the plug handle 700. When the discharge port 200 is opened, the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unit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0 .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좌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정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of a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left side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front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Example 4,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of the cup,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front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100), 개방공(120), 본체돌기테(130), 마개패킹(300), 연결부(400)는 실시예 1과 실시예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ain body 100, the opening hole 120, the main body protrusion 130, the stopper packing 300, and the connection part 40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Embodiments 1 and 3, so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

본체(100)의 외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2걸림수용부(5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걸림수용부(520)는 본체(100)의 외측면에 연결되거나 음각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One or more second locking receiving units 52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The second locking receiving part 520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r disposed in an intaglio shape.

연결부(400)의 일단에 하나 이상의 제2걸림부(530)가 연결된다.One or more second locking parts 530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0 .

연결부(400)에 제2걸림부(530)가 연결되고 제2걸림부(530)가 제2걸림수용부(520)에 결합됨으로써 연결부(4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마개패킹(30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40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530 is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receiving portion 520 , so that the plug packing 30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portion 400 . position can be moved.

하나 이상의 제2걸림수용부(520)는 배출구(200)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거나 동일한 간격 또는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one or more second locking receiving units 520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utlet 200 or may be arranged to achieve the same spacing or balance of force.

실시예 6과 같이 본체(100)의 외측면에 하나의 제2걸림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연결부(400)의 일단에 하나 이상의 제2걸림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As in the sixth embodiment, one second engaging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and one or more second engaging portions 53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400 .

제2걸림수용부(미도시)는 본체(100) 또는 손잡이(미도시)의 외측면에 음각 형태로 형성된다. The second locking receiving part (not shown) is formed in an engraved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r the handle (not shown).

제2걸림수용부(미도시)가 본체(100)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연결부(400)에 하나 이상의 제2걸림부(530)가 형성되어, 제2걸림부(530)가 제2걸림수용부(미도시)에 결합되어서 연결부(400)의 탄성력에 의해서 마개패킹(30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A second locking receiving part (not show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and one or more second locking parts 530 ar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400 , so that the second locking part 530 is a second locking part. It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art (not shown) so that the stopper packing 300 may be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part 400 .

실시예 4 내지 6에 따르면, 본체(100)에 하나 이상의 제2걸림수용부(520)가 배치되고, 연결부(400)의 일단에 하나 이상의 제2걸림부(530)가 연결되어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길 시에는 배출구(200)가 개방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ccording to the fourth to sixth embodiments, one or more second locking accommodating parts 520 are disposed on the main body 100 , and one or more second locking parts 530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0 to form the plug packing 300 . ) when the user pulls the body 100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the outlet 200 is opened and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C-C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C-C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16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C-C of FIG. 16, and FIG. 18 is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C-C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nstrual cup of

본체(100), 공간부(110), 개방공(120), 본체돌기테(130), 연결부(400), 제1걸림수용부(500), 제1걸림부(510), 마개손잡이(700)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Body 100, space 110, open hole 120, body protrusion 130, connection part 400, first locking receiving part 500, first locking part 510, stopper handle 700 )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Example 1 or Example 2,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마개손잡이돌기테(710)는 배출구(20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마개손잡이돌기테(710)가 배출구(200)보다 크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긴 후에 놓을 시에 탄성에 의하여 마개손잡이(700)가 배출구(200)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topper handle protrusion 710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let 200 . Because the stopper handle protrusion 710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let 200, when the user pulls the stopper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and then releases it, the stopper handle 700 by elasticity is the outlet. (200) is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손잡이(600)는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손잡이(600)는 본체(10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600)는 본체(100)의 타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100)을 질 내에서 인출할 때 손으로 쉽게 잡고 꺼낼 수 있도록 한다. The handle 60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 The handle 600 may be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00 . The handle 600 is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00 so that it can be easily grasped and taken out by hand when the body 100 is withdrawn from the vagina.

손잡이(600)의 내부에 배출구(200)가 형성된다. 배출구(200)는 손잡이(600)를 관통할 수 있다. An outlet 200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handle 600 . The outlet 200 may pass through the handle 600 .

손잡이(600)의 내부 중앙에 배출구(200)가 형성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배출된다. An outlet 200 is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handle 600 , and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00 .

손잡이(600)의 외주면에는 손잡이돌기테(610)가 배치된다. A handle protrusion 610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600 .

손잡이돌기테(610)는 손잡이(600)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이다. 손잡이(600)에 손잡이돌기테(610)가 형성됨으로써 손잡이(600)를 잡아당겼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그립감을 향상시킨다. The handle protrusion 610 is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ring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600 . The handle protrusion 610 is formed on the handle 600 to prevent slipping when the handle 600 is pulled, and to improve the grip.

사용자는 자신의 질 깊이에 맞춰서 손잡이(600)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손잡이(600)가 길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질 깊이에 맞춰서 손잡이(600)를 잘라서 사용할 수 있다. The user can cut the handle 600 according to the depth of his or her vagina and use it. If the handle 600 is long, since it gives inconvenience to the user, the user can cut the handle 600 according to the depth of his or her vagina and use it.

손잡이(600)을 잘라서 사용 시, 잘린 손잡이(600)의 부분 만큼 연결부(400)를 절단하거나 짧은 연결부(400)로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제1걸림부(510)가 하나 이상 배치되어 잘린 손잡이(600)의 부분 만큼 제1걸림부(510)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handle 600 is cut and used, the connection part 400 is cut as much as the part of the cut handle 600 or used by replacing it with a short connection part 400, or one or more first locking parts 510 are disposed to cut the handle 600 ) can be used by cutting the first locking part 510 by a portion.

마개패킹(300)의 가로 단면 형상이 배출구(200)의 가로 단면 형상과 같고, 마개패킹(300)의 단면적이 배출구(200)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opper packing 300 may be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let 200 ,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opper packing 30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200 .

마개패킹(300)의 가로 단면 형상이 배출구(200)의 가로 단면 형상과 같고, 또한 마개패킹(300)의 단면적이 배출구(200)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아야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새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구(200)의 가로 단면 형상과 마개패킹(300)의 가로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타원형, 다각형 등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opper packing 300 is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let 200,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opper packing 300 must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200 for the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110 to be discharged. (200)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let 200 and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opper packing 300 are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circular shape, but otherwise, they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such as an oval, a polygon, and the like.

마개패킹(300)은 마개패킹(300)을 배출구(200)에 용이하게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packing 3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so that the stopper packing 300 can be easily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outlet 200 .

마개패킹(300)의 외주면의 세로 단면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개패킹(300)의 외주면의 세로 단면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면 마개패킹(300)이 배출구(200)에 용이하게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하며, 배출구(200)를 안정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The vertical cross-s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packing 300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Whe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packing 300 is formed in a round shape, the stopper packing 3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outlet 200 , and can stably block the outlet 200 .

배출구(200)가 본체(100) 방향으로 작아질 수 있다. 배출구(200)가 본체(100) 방향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면 마개패킹(300)이 배출구(200)에 삽입될수록 결합 강도가 증가된다. 배출구(200)와 마개패킹(300)의 결합 강도가 증가 될수록 생리혈이 새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The outlet 200 may be smaller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100 . When the outlet 200 is formed to be smaller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 the bonding strength increases as the plug packing 300 is inserted into the outlet 200 . As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outlet 200 and the plug packing 300 increase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leakage of menstrual blood.

마개패킹(300)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개패킹(300)이 하나 이상 형성되면 마개패킹(300)이 배출구(200)를 더욱 안정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One or more stopper packing 300 may be formed, and when at least one stopper packing 300 is formed, the stopper packing 300 may block the outlet 200 more stably.

하나 이상의 마개패킹(300)이 본체(100)의 내부 방향으로 가면서 단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마개패킹(300)이 본체(100)의 내부 방향으로 가면서 단계적으로 작아지도록 구성되면 마개패킹(300)이 배출구(200)에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될수록 결합 강도가 증가된다. 배출구(200)와 마개패킹(300)의 결합 강도가 증가 될수록 생리혈이 새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One or more plug packings 300 may be gradually reduc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 When one or more stopper packings 300 are configured to be gradually smaller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dy 100, the plug packing 300 is easy to insert into the outlet 200, and the more the inserted, the greater the bonding strength. As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outlet 200 and the plug packing 300 increase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leakage of menstrual blood.

실시예 7에 따르면, 본체(100)의 내측면에 제1걸림수용부(500)가 배치되고, 연결부(400)의 일단에 제1걸림부(510)가 연결되며, 제1걸림부(510)는 제1걸림수용부(500)에 결합되어 마개손잡이(700)를 이용하여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길 시 배출구(200)가 개방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the first locking accommodating part 500 is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the first locking part 51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art 400 , and the first locking part 510 . ) is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receiving part 500 and using the stopper handle 700, when the user pulls the stopper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the outlet 200 is opened and the space portion ( The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D-D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D-D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19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D-D of FIG. 19, and FIG. 21 is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D-D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nstrual cup of

본체(100), 공간부(110), 개방공(120), 본체돌기테(130), 배출구(200), 마개패킹(300), 연결부(400), 제1걸림수용부(500), 제1걸림부(510), 마개손잡이(700), 마개손잡이돌기테(710)는 실시예 1과 실시에 2와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ain body 100, space 110, open hole 120, body protrusion 130, outlet 200, stopper packing 300, connection part 400, first jamming receiving part 500, the first 1, the stopper 510, the stopper handle 700, and the stopper handle protrusion 71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seventh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배출관(210)은 본체(100)의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The discharge pipe 210 is formed to be elongated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00 to one end.

배출관(210)은 배출구(20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관(210)이 길게 형성되면 배출관(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출구(200)도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200)가 길게 형성되면 마개패킹(300)이 배출구(200)를 더 잘 막을 수 있어서, 생리혈이 새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ipe 210 allows the length of the discharge port 200 to be formed long. When the discharge pipe 210 is formed to be long, the discharge port 200 formed inside the discharge pipe 210 may also be formed to be long. When the outlet 200 is formed to be long, the plug packing 300 can better block the outlet 200, thereby further preventing the menstrual blood from leaking.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E-E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2의 E-E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22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E-E of FIG. 22, and FIG. 24 is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E-E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nstrual cup of

본체(100), 공간부(110), 개방공(120), 본체돌기테(130), 배출구(200), 마개패킹(300), 연결부(400), 제1걸림수용부(500), 제1걸림부(510), 손잡이(600), 손잡이돌기테(610), 마개손잡이(700), 마개손잡이돌기테(710)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와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ain body 100, space 110, open hole 120, body protrusion 130, outlet 200, stopper packing 300, connection part 400, first jamming receiving part 500, the first 1 The locking part 510, the handle 600, the handle protrusion 610, the stopper handle 700, and the stopper handle protrusion 71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Embodiments 1 and 2 and 7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마개패킹(300)의 외주면이 본체(100) 내부 방향으로 작아진다. 마개패킹(300)의 외주면이 본체(100) 내부 방향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면, 마개패킹(300)이 배출구(200)에 삽입될수록 결합 강도가 증가된다. 배출구(200)와 마개패킹(300)의 결합 강도가 증가될수록 생리혈이 새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다.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packing 300 becomes smaller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packing 300 is formed to be smaller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body 100 , as the stopper packing 300 is inserted into the outlet 200 , the bonding strength is increased. As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outlet 200 and the plug packing 300 increases,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leakage of menstrual blood.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사시도이다.2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체(100), 공간부(미도시), 개방공(120), 본체돌기테(130), 배출구(미도시), 마개패킹(미도시), 연결부(미도시), 제1걸림수용부(미도시), 제1걸림부(미도시), 손잡이(600), 손잡이돌기테(610), 마개손잡이(700), 마개손잡이돌기테(710)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와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ain body 100, space (not shown), opening hole 120, body protrusion 130, outlet (not shown), stopper packing (not shown), connection part (not shown), first jamming receiving part ( Not shown), the first stopper (not shown), the handle 600, the handle protrusion 610, the stopper handle 700, and the stopper handle protrusion 710 are Examples 1 and 2 and 7 Since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마개패킹걸림부(800)가 손잡이(600)의 일단에 형성된다. 마개패킹걸림부(800)는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긴 후에 마개패킹(300)을 마개패킹걸림부(800)에 걸쳐서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A stopper packing stopper 80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600 . The stopper packing stopper 800 is used for fixing the stopper packing 300 over the stopper packing stopper 800 after the user pulls the stopper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마개패킹(300)을 고정함으로써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동안 마개패킹(300)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By fixing the stopper packing 300 ,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stopper packing 300 while menstrual bloo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도 26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F-F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8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9은 도 28의 G-G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0는 도 28의 G-G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26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Example 1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F-F of FIG. 26, and FIG. It is a plan view of the cup, 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G-G of FIG. 28 , and 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G-G of FIG. 28 .

본체(100), 공간부(110), 개방공(120), 본체돌기테(130), 배출구(200), 마개패킹(300), 연결부(400), 손잡이(600), 손잡이돌기테(610), 마개손잡이(700), 마개손잡이돌기테(710)는 실시예 1과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ain body 100, space 110, opening hole 120, body protrusion frame 130, outlet 200, stopper packing 300, connection part 400, handle 600, handle protrusion frame 610 ), the stopper handle 700 , and the stopper handle protrusion 71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Embodiments 1 and 7,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연결부(400)의 일단에 제3걸림부(550)가 연결된다. 연결부(400)를 외력으로 당기면 제3걸림부(550)의 형상이 변형되어 마개패킹(300)이 배출구(200)에서 이격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제3걸림부(550)의 형상이 복원되어 마개패킹(300)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A third locking part 5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0 . When the connection part 400 is pulled by an external force, the shape of the third locking part 550 is deformed, and the plug packing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200.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shape of the third locking part 550 is restored. The stopper packing 300 may be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연결부(400)의 일단에 제3걸림부(550)가 연결되어, 마개손잡이(700)를 이용하여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길 시 배출구(200)가 개방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In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hird locking part 55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0 , and the user pulls the plug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ody 100 by external force using the plug handle 700 . When the discharge port 200 is opened, the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unit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200 .

제3걸림부(550)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마개손잡이(700)를 이용하여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길 시 제3걸림부(550)가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배출구(200)가 개방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기지 않을 시에는 제3걸림부(550)는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 위치로 이동되고, 제3걸림부(550)에 연결된 연결부(400)에 의해서 마개패킹(300)이 원래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배출구(200)가 닫히게 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The third locking part 550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it can be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when the user pulls the stopper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using the stopper handle 700 , the third As the engaging part 550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 the outlet 200 is opened, and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When the user does not pull the plug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the third locking part 550 is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and the connection part 400 connected to the third locking part 550 ) by moving the plug packing 300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outlet 200 is closed, and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110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도 31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2은 도 31의 H-H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3는 도 31의 H-H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31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a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H-H in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enstrual cup of

본체(100), 공간부(110), 개방공(120), 본체돌기테(130), 배출구(200), 마개패킹(300), 연결부(400), 손잡이(600), 손잡이돌기테(610), 마개손잡이(700), 마개손잡이돌기테(710)는 실시예 1과 실시예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ain body 100, space 110, opening hole 120, body protrusion frame 130, outlet 200, stopper packing 300, connection part 400, handle 600, handle protrusion frame 610 ), the stopper handle 700 , and the stopper handle protrusion 71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Embodiments 1 and 7,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연결부(400)의 일단에 제4걸림부(570)가 연결된다. 본체(100)에 제4걸림수용부(560)가 배치된다. 제4걸림수용부(560)는 제4걸림부(570)와 결합된다. 연결부(400)를 외력으로 당기면 제4걸림수용부(560)의 형상이 변형되어 마개패킹(300)이 배출구(200)에서 이격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제4걸림수용부(560)의 형상이 복원되어 마개패킹(300)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A fourth locking part 57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0 . A fourth locking receiving part 560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100 . The fourth stopping accommodating part 560 is coupled to the fourth stopping part 570 . When the connection part 400 is pulled by an external force, the shape of the fourth stopping accommodating part 560 is deformed so that the plug packing 30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200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shape of the fourth stopping accommodating part 560 is changed. It can be restored to move the stopper packing 300 to its original position.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연결부(400)의 일단에 제4걸림부(570)가 연결되고 제4걸림부(570)는 제4걸림수용부(560)에 결합되며 제4걸림수용부(560)는 본체(100)에 배치되어 마개손잡이(700)를 이용하여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길시에는 배출구(200)가 개방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In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ourth locking part 57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0 , the fourth locking part 570 is coupled to the fourth locking receiving part 560 , and the fourth locking receiving part 560 . is disposed on the body 100 and when the user pulls the stopper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using the stopper handle 700, the outlet 200 is opened, The collected menstrual bloo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제4걸림수용부(560)는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마개손잡이(700)를 이용하여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길 시 제4걸림수용부(560)가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구부려지면서 배출구(200)가 개방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기지 않을 시에는 제4걸림수용부(560)는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 형태로 변경되고, 제4걸림수용부(560)에 연결된 연결부(400)에 의해서 마개패킹(300)이 원래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배출구(200)가 닫히게 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The fourth stopping accommodating part 560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it can be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user pulls the plug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using the plug handle 700, the fourth jamming receiving part 560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outlet 200 is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open space 1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When the user does not pull the plug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the fourth locking receiving part 560 is changed to its original shape by an elastic forc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ourth stopping receiving part 560 . As the stopper packing 300 is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400 , the outlet 200 is closed, and the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110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생리컵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5은 도 34의 I-I선에 따른 닫힌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36는 도 34의 I-I선에 따른 열린 상태의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7는 도 35에 걸림지지판이 추가된 생리컵에 대한 단면도이다.34 is a plan view of a menstrual cup according to a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in a closed state taken along line I-I of FIG. 34, and FIG. 36 is an open state taken along line I-I of FIG.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and FIG. 3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nstrual cup to which a locking support plate is added in FIG. 35 .

본체(100), 공간부(110), 개방공(120), 본체돌기테(130), 배출구(200), 배출관(210), 마개패킹(300), 연결부(400), 손잡이(600), 손잡이돌기테(610), 마개손잡이(700), 마개손잡이돌기테(710)는 실시예 1과 실시예 7과 실시예 8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Main body 100, space 110, open hole 120, body protrusion 130, outlet 200, discharge pipe 210, stopper packing 300, connection part 400, handle 600, The handle protrusion 610 , the stopper handle 700 , and the stopper handle protrusion 710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venth embodiment, and the eighth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배출관지지부(220)는 배출관(210)과 본체(100) 사이에 배치된다. The discharge pipe support 220 is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pipe 210 and the body 100 .

배출관지지판(230)은 배출관(210)의 내부 또는 외측면에 배치된다. The discharge pipe support plate 230 is disposed on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ipe 210 .

제5걸림수용부(580)는 배출관(210)의 일단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The fifth locking receiving portion 58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210).

배출관턱(211)은 배출관(210)의 일단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The discharge pipe sill 211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210 .

제5걸림부(590)는 연결부(400)의 일단에 연결되며, 제5걸림부(590)는 제5걸림수용부(580)에 결합된다. The fifth stopping part 59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art 400 , and the fifth stopping part 590 is coupled to the fifth stopping receiving part 580 .

마개패킹(300)이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시에 마개패킹(300)에 연결된 연결부(400)에 의해서 배출관(210)의 일부가 휘어지지 않도록 배출관(210)의 일측면이 절단되어 연결부(400)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When the stopper packing 300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one side of the discharge pipe 210 is cut so that a part of the discharge pipe 210 is not bent by the connection part 400 connected to the stopper packing 300. It is preferable that a space through which 400 can pass is formed.

배출관(210)의 두께는 마개패킹(300)이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시에 마개패킹(300)에 연결된 연결부(400)에 의해서 배출관(210)의 일부가 휘어지지 않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discharge pipe 210 is preferably manufactured so that a part of the discharge pipe 210 is not bent by the connection part 400 connected to the stopper packing 300 when the stopper packing 300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do.

배출관턱(211)은 마개패킹(300)이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시에 마개패킹(300)에 연결된 연결부(400)에 연결된 제5걸림부(590)가 제5걸림수용부(58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The discharge tube sill 211 has a fifth locking part 590 connected to a connection part 400 connected to the plug packing 300 when the plug packing 300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and a fifth locking receiving part 580 ) not to deviate from it.

배출관지지부(220)는 마개패킹(300)이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시에 배출관(210)을 지지한다. The discharge pipe support 220 supports the discharge pipe 210 when the plug packing 300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ody 100 .

배출관지지판(230)은 마개패킹(300)이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겨질 시에 배출관(210)이 휘어지지 않도록 한다. The discharge pipe support plate 230 prevents the discharge pipe 210 from being bent when the plug packing 300 is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ody 100 .

실시예 14에 따르면, 배출관(210)의 일단의 외측면에 제5걸림수용부(580)가 형성되고, 연결부(400)의 일단에 제5걸림부(590)가 연결되며, 제5걸림부(590)는 제5걸림수용부(580)에 결합되어 마개손잡이(700)를 이용하여 마개패킹(300)을 사용자가 외력으로 본체(100) 반대 방향으로 당길시에는 배출구(200)가 개방되어, 공간부(110)에 모아진 생리혈이 배출구(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According to the fourteenth embodiment, a fifth engaging portion 58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210 , and a fifth engaging portion 59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400 , and the fifth engaging portion (590) is coupled to the fifth stopper receiving portion 580, the outlet 200 is opened when the user pulls the stopper packing 3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ain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using the stopper handle 700. , menstrual blood collected in the space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00 .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본체 110 : 공간부
120 : 개방공 130 : 본체돌기테
200 : 배출구 210 : 배출관
211 : 배출관턱 220 : 배출관지지부
230 : 배출관지지판 300 : 마개패킹
400 : 연결부 500 : 제1걸림수용부
510 : 제1걸림부 520 : 제2걸림수용부
530 : 제2걸림부 550 : 제3걸림부
560 : 제4걸림수용부 570 : 제4걸림부
580 : 제5걸림수용부 590 : 제5걸림부
600 : 손잡이 610 : 손잡이돌기테
700 : 마개손잡이 710 : 마개손잡이돌기테
800 : 마개패킹걸림부
100: body 110: space part
120: open hole 130: body protrusion
200: outlet 210: discharge pipe
211: discharge pipe jaw 220: discharge pipe support part
230: discharge pipe support plate 300: stopper packing
400: connection part 500: first jamming receiving part
510: first engaging portion 520: second engaging portion accommodating portion
530: second locking part 550: third locking part
560: fourth jamming receiving part 570: fourth engaging part
580: the fifth jamming receiving part 590: the fifth engaging part
600: handle 610: handle knob
700: stopper handle 710: stopper handle round frame
800: stopper packing jamming part

Claims (18)

삭제delete 일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생리혈이 모아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단에 배치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막는 마개패킹;
일단은 상기 본체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개패킹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마개패킹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격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패킹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연결부;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걸림수용부; 및
상기 걸림수용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생리컵.
a body having an open end and a space in which menstrual blood is collected;
an outle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 plug packing to block the outlet;
a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g packing, the plug packing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by an external force, and moving the plug packing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 catching portion disposed on the body; and
The menstrual cup comprising a locking part coupled to the locking receiving part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art.
일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생리혈이 모아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단에 배치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막는 마개패킹;
일단은 상기 본체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개패킹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마개패킹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격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패킹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를 외력으로 당기면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마개패킹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격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패킹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생리컵.
a body having an open end and a space in which menstrual blood is collected;
an outle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 plug packing to block the outlet;
a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g packing, the plug packing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by an external force, and moving the plug packing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and a locking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configured to deform when the connection part is pull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closure packing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and moves the closure packing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일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생리혈이 모아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단에 배치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막는 마개패킹;
일단은 상기 본체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개패킹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마개패킹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격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패킹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걸림부;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를 외력으로 당기면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마개패킹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격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패킹을 원래 위치로 이동시키는 걸림수용부를 포함하는 생리컵.
a body having an open end and a space in which menstrual blood is collected;
an outle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 plug packing to block the outlet;
a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g packing, the plug packing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by an external force, and moving the plug packing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 locking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It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locking part,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is pulled by an external force, the shape is deformed so that the plug packing is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 locking receiving part for moving the plug packing to its original position. menstrual cup.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생리컵.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menstrual cup further comprising a handl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상기 손잡이의 내부를 관통하는 생리컵.
6. The method of claim 5,
A menstrual cup through which the outlet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and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돌기테를 더 포함하는 생리컵.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nstrual cup further comprising a handle protrusion protruding in a ring shap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ndle.
일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생리혈이 모아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단에 배치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막는 마개패킹;
일단은 상기 본체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마개패킹과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마개패킹이 상기 배출구에서 이격되었다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마개패킹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마개패킹에 연결되어 상기 마개패킹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되는 마개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생리컵.
a body having an open end and a space in which menstrual blood is collected;
an outlet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a plug packing to block the outlet;
a connection part having one en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plug packing, the plug packing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by an external force, and moving the plug packing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The menstrual cup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handle connected to the stopper packing and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pack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손잡이의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되는 마개손잡이돌기테를 더 포함하는 생리컵.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nstrual cup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handl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handle in a ring shap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손잡이돌기테의 외주 크기가 상기 배출구의 외주 크기보다 큰 생리컵.
10. The method of claim 9,
A menstrual cup having an outer periphery size of the stopper handle larger than an outer periphery size of the outlet.
제2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단면이 상기 배출구의 단면보다 작은 생리컵.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8 to 10,
A menstrual cup having a cross-sec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smaller than a cross-section of the outlet.
제2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상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가면서 작아지는 생리컵.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8 to 10,
A menstrual cup in which the outlet becomes smaller as the outlet goes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제2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마개패킹이 상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가면서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생리컵.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8 to 10,
A menstrual cup in which the one or more stopper packings become smaller in stages as they go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제2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패킹의 외주면은 상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가면서 작아지는 생리컵.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8 to 1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packing is a menstrual cup that becomes smaller as it goes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제2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패킹의 가로 단면 형상은 상기 배출구의 가로 단면 형상과 같고, 상기 마개패킹의 단면적이 상기 배출구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은 생리컵.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8 to 1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topper packing is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let,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opper packing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제2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패킹은 상기 배출구보다 커서 상기 연결부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생리컵.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8 to 10,
The stopper packing is larger than the outlet, and the menstrual cup closes the outlet by the pulling force of the connection part.
제2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패킹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생리컵.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8 to 10,
The stopper packing is a menstrual cup formed in a plate shape.
제2항 내지 제4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패킹의 외주면의 세로 단면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는 생리컵.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nd 8 to 10,
A menstrual cup in which a vertical cross-sec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packing is formed in a round shape.
KR1020200153237A 2019-11-25 2020-11-17 Menstrual cup Active KR1024534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893416.6A EP4042988A4 (en) 2019-11-25 2020-11-23 Menstrual cup
CN202080081356.6A CN115023204A (en) 2019-11-25 2020-11-23 Menstruation cup
US17/628,230 US12048645B2 (en) 2019-11-25 2020-11-23 Menstrual cup
PCT/KR2020/016541 WO2021107520A1 (en) 2019-11-25 2020-11-23 Menstrual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1799 2019-11-25
KR1020190151799 2019-11-25
KR1020190177223 2019-12-30
KR20190177223 2019-12-30
KR1020200005765 2020-01-16
KR20200005765 2020-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062A KR20210064062A (en) 2021-06-02
KR102453409B1 true KR102453409B1 (en) 2022-10-11

Family

ID=7637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237A Active KR102453409B1 (en) 2019-11-25 2020-11-17 Menstrual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4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14956B1 (en) * 2024-02-06 2025-05-30 이수연 Menstrual cup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9222A1 (en) 2015-08-25 2017-07-06 Guangzhou Tianyuan Silicone Machine Technology Co., Ltd Folding menstrual cup
KR101848206B1 (en) * 2017-06-29 2018-05-2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Menstrual cup set with hygienic use and blood discharge
KR101897208B1 (en) * 2017-08-04 2018-10-29 홍석준 Insertion valve type sanitary cu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7248A (en) * 1993-11-18 1998-10-27 The Keeper Co., Inc. Menstrual cup
KR20030081219A (en) 2003-08-29 2003-10-17 홍순호 Keeper
KR20190056602A (en) * 2017-11-17 2019-05-27 안정오 Sanitary cu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9222A1 (en) 2015-08-25 2017-07-06 Guangzhou Tianyuan Silicone Machine Technology Co., Ltd Folding menstrual cup
KR101848206B1 (en) * 2017-06-29 2018-05-2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Menstrual cup set with hygienic use and blood discharge
KR101897208B1 (en) * 2017-08-04 2018-10-29 홍석준 Insertion valve type sanitary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062A (en)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8056B2 (en) Colostomy bag and method of use
KR100973524B1 (en) Insertion type sanitary cup
US4643719A (en) Manually operable aspirator
US6168609B1 (en) Catamenial collector and methods of use
EP3795122A1 (en) Reusable menstrual cup for easy removal without pain
US11013633B2 (en) Menstrual cup and extractor system
US20220409423A1 (en) Menstrual cup
US20210262046A1 (en) Kit and method for collecting body fluid for medical diagnosis
US20230210686A1 (en) Menstrual Disc
KR102453409B1 (en) Menstrual cup
KR101901532B1 (en) Silicone sanitary cup that can be easily worn and sanitized after treatment
US20240207085A1 (en) Collapsible menstrual cup and method for alleviating menstrual discomfort
US12048645B2 (en) Menstrual cup
KR102557218B1 (en) Surgical drainage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2662664B1 (en) Ergonomic menstrual cup using human mimicry technology
KR102277994B1 (en) Menstrual cup kit
KR102079814B1 (en) Menstrual cup and menstrual cup set
KR102268427B1 (en) Sealed menstrual cups easy to insert and remove
TWI761741B (en) Moon cup, moon cup auxiliary device and moon cup combination
KR102044867B1 (en) Easily removable menstrual cup
KR101991669B1 (en) Combined structure of menstrual discharge part and discharge part
KR102073381B1 (en) Device for collecting catamenia
WO2025008609A1 (en) Menstrual plug
KR102814956B1 (en) Menstrual cup
KR200348434Y1 (en) Washing device of Vig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3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