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452599B1 -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599B1
KR102452599B1 KR1020207010904A KR20207010904A KR102452599B1 KR 102452599 B1 KR102452599 B1 KR 102452599B1 KR 1020207010904 A KR1020207010904 A KR 1020207010904A KR 20207010904 A KR20207010904 A KR 20207010904A KR 102452599 B1 KR102452599 B1 KR 10245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hot
precipitation strengthening
strengthening effect
rol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164A (ko
Inventor
싱지안 가오
지아춘 슈
예 왕
Original Assignee
바오스틸 잔장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710853613.3A external-priority patent/CN10747037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631903.8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616301B/zh
Application filed by 바오스틸 잔장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filed Critical 바오스틸 잔장 아이론 앤드 스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3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59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84Controlled slow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8Heat sh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involving a particular fabrication or treatment of ingot or slab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25Supports; Baskets; Containers;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은, 미세합금원소 Ti 를 첨가한 용강을 주조하여 슬라브를 획득하고, 가열한 후 조압연, 사상압연, 층류냉각과 권취를 거쳐 열간압연롤을 획득하며, 스트리핑 후 인라인에서 보온 커버를 덮어 이송체인을 따라 코일야드로 이동하여 진입시키고, 인라인 보온시간에 도달한 후 보온 커버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공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미세합금원소 Ti의 함량은 ≥ 0.03 wt% 이고; 상기 권취온도는 500 ~ 700℃ 이며, 상기 인라인에서 보온 커버를 덮는 단계는 각각의 열간압연롤이 스트리핑된 후 60 분 내에 독립적이고, 밀폐된 보온 커버 장치를 개별적으로 덮는 것을 말하며, 상기 인라인 보온시간은 ≥ 60 분이다. 상기의 방법은 저비용, 고효율이면서, 또한 주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Description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본 발명은 고강도강 생산 기술분야에 속하며, 구체적으로는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일반적인 C-Mn 강 또는 저합금강 매트릭스 화학성분에 미량의 Ti 원소 (0.01 ~ 0.20%) 를 첨가한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은 자동차, 공정기계, 컨테이너, 교량, 건축, 철도차량 등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어, 관련 업계에서 경량화 설계와 제조를 구현하는 중요한 원료가 되었다. Ti 는 강에 미세합금으로서 첨가되는 원소로서, 주로 TiC 또는 Ti(C, N) 의 형식으로 침전 석출되며, 강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강의 냉간성형 성능과 용접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중국특허공고번호 CN 102703812 B 에서는 “티타늄 미세합금화 500 MPa 급 고강도철근 및 이의 생산방법” 이 공개되었는 바, 티타늄이 강에서 석출강화를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강의 항복강도와 인장강도 등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점을 뚜렷하게 강조하였으나, 석출 강화 효과를 어떻게 향상시키는지에 대해서는 연구 및 설명을 하지 않았다.
중국특허공고번호 CN 102965574 B 에서는 “티타늄 미세합금화 저항복비 고강도 열간압연 후강판 및 이의 생산공정” 이 공개되었는 바, 슬라브를 1220 ~ 1270℃ 까지 가열하고,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과 비재결정 영역의 두 단계 압연을 통해 강판으로 제작한 후, 자기 뜨임 (self-tempering) 온도로 냉각하여 가열 변형 교정 (thermal-straightening) 을 실시하고, 강판이 변형 교정된 후 적층 서냉시켜 석출 강화 작용을 촉진한다. 문헌 “2050 정정 고강도강의 서냉 공정 분석” 에서는 서냉벽을 사용하여 BS600MC, BS700MC 등의 고강도강 스틸롤을 코일야드의 냉각과정에서 제어함으로써 석출 강화 효과와 내부응력 분포를 개선하고, 판형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고 소개하였다. 문헌 “620 mm 스트립강 서냉피트 구축방안의 연구와 실시” 에서는 서냉피트를 이용하여 품종강 스틸롤에 대하여 48 시간의 서냉주기로 온도제어 냉각을 실시함으로써, 전체 스틸롤의 온도가 균일해지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실제 생산 과정에서, 상기 서냉공정들은 모두 스틸롤을 적시에 보온시킬 수 없는 동시에, 보온효과가 서냉영역의 환경에 의해 받는 영향이 비교적 크며, 특히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스틸롤의 경우, 효과적인 보온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석출 강화를 개선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중국특허공고번호 CN 102534141 A 에서는 “석출 강화 고강도강의 인라인 유도가열 열처리 공정” 을 공개하였는 바, 스트리핑 후의 강판에 대하여 유도가열 열처리 (induction heat treatment) 를 실시하여 석출 강화상을 충분히 석출시키고, 확산분포상태를 띠도록 함으로써, 강판성능의 균일성을 개선하는 작용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 공정은 우선 스틸롤을 편평하게 한 뒤, 유도가열 기술을 사용하여 다시 승온 및 보온시켜야 하므로, 단계가 비교적 많고, 또한 유도가열장치를 추가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가가 낮고, 효율이 높으며, 주변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에 대하여 제어 압연 (controlled rolling), 제어 냉각 (controlled cooling) 을 수행하고, 권취한 후, 인라인에서 독립적이고 밀폐된 보온 커버 장치를 신속하게 덮음으로써, 스틸롤을 보온하여 서냉시키고, 권취 여열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스틸롤의 온도를 균일화시켜, TiC 가 균일하고 충분하게 석출되도록 촉진시키며, 또한 사이즈를 나노급으로 유지시켜,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은, 미세합금원소 Ti 를 첨가한 용강을 주조하여 슬라브를 획득하고, 가열한 후 조압연, 사상압연, 층류냉각과 권취를 거쳐 열간압연롤을 획득하며, 스트리핑 후 인라인에서 보온 커버를 덮어 이송체인을 따라 코일야드로 이동하여 진입시키고, 인라인 보온시간에 도달한 후 보온 커버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공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미세합금원소 Ti 의 함량은 ≥ 0.03 wt% 이고; 상기 권취온도는 500 ~ 700℃ 이며, 상기 인라인에서 보온 커버를 덮는 단계는 각각의 열간압연롤이 스트리핑된 후 60 분 내에 독립적이고, 밀폐된 보온 커버 장치를 개별적으로 덮는 것이며, 상기 인라인 보온시간은 ≥ 60 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합금원소 Ti 의 첨가량은 0.03 ~ 0.10 wt% 이고;
또한, 상기 슬라브의 가열온도는 ≥ 1200℃ 이고, 균일화 가열 시간 (soaking time) 은 ≥ 60 분이며;
바람직하게는, 슬라브의 가열온도는 1200 ~ 1350℃ 이고, 균일화 가열 시간은 1 ~ 2 시간이며;
또한, 상기 조압연 온도는 1000 ~ 1200℃ 이고, 3 ~ 8 회 왕복식 압연을 진행하되, 누적 변형량은 ≥ 50%이며;
또한, 상기 사상압연은 6 ~ 7 회 연속식 압연을 진행하며, 누적 변형량은 ≥ 80% 이고, 다듬질 압연 온도는 800 ~ 900℃ 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열간압연롤이 스트리핑된 후 20 분 내에 보온 커버를 개별적으로 덮고;
또한, 상기 스틸롤의 보온 커버 내에서의 냉각속도는 ≤ 15℃/시간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틸롤의 인라인 보온시간은 1 ~ 5 시간이다.
또한, 예시성 보온 커버는 CN 107470377 A 중의 임의의 실시방안에서 공개된 스트립강 제조 생산라인의 인라인 보온서냉장치이며, 본문은 이의 모든내용을 인용방식으로 본 발명에 포함시켰다.
본 발명의 제조공정 설계 이유는 하기와 같다:
Ti 는 강 중의 C, N 원자와 매우 강한 결합력을 가지며, Ti 의 첨가량이 적당할 때에만 각 방면의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Ti 의 함량이 < 0.03% 일 때, 주로 TiN 이 형성되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조대화를 저지하고; Ti 의 함량이 ≥ 0.03% 일 때, ω(Ti)/ω(N) 의 이상적인 화학배합비를 초과하는 Ti 는 고용형식 또는 미세한 TiC 미립자 (particle) 형식으로 재결정화를 현저하게 저지하여, 석출 강화 작용을 일으키나; 단 Ti 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결정립계에서 질화물과 황화물을 형성하여, 강의 취화 (embrittlement) 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Ti 의 함량은 ≥ 0.03% 이며, 바람직하게는 0.03 ~ 0.10% 이다.
압연공정 설계에서, 슬라브의 가열온도는 가능한 한 많은 Ti 원자가 오스테나이트에 고용될 수 있도록 반드시 충분히 높아야 한다(예 ≥ 1200℃). 가열온도의 상한은 가열로가 실제로 도달 가능하거나 견딜 수 있는 온도에 한하며, 원칙적으로는 상한요구를 설정하지 않으나; 단 에너지 절약과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실제 최고 가열온도를 ≤ 1350℃ 으로 제어한다.
상기 균일화 가열 시간은 ≥ 60 분이며, 균일화 가열 시간은 슬라브가 설정된 가열온도로 가열된 후 일정시간 보온되는 시간이다.
조압연과 사상압연 단계에서,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압연과 오스테나이트 비재결정 압연을 각각 실시한다. 재결정 영역은 고온단계(예: 조압연 온도 1000 ~ 1200℃) 에서, 압연 저항력이 작으므로, 큰 변형량을 사용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을 충분히 미세화시켜야 하고; 미재결정 영역(예: 다듬질 압연 온도 800 ~ 900℃) 의 압연목적은 결정립에 인장 변형을 발생시켜, 전위 (dislocation) 와 변형대 (deformation band) 를 증가시킴으로써, 새로운 위상의 핵을 형성하는 코어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너무 많은 Ti의 탄질화물이 압연단계에서 석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최대한 많은 Ti 원자를 보존하여 압연 이후에 석출되도록 하기 위해, 조압연과 사상압연 과정은 가능한 한 신속하게 완료되어야 한다.
다듬질 압연이 완료된 후, 조직구조의 상전이 (phase change) 요구에 따라 일단식 예냉, 이단식 냉각, 또는 U 형 냉각 등 제어전략을 선택하나, 가속냉각은 나노 사이즈의 TiC 석출을 억제한다. 이밖에, 실제 생산과정에서, 스트립강은 가속냉각과정 및 권취 후 모두 냉각이 불균일한 현상이 존재하고, 석출 강화는 또한 온도의 변화에 대해 비교적 민감하여, 스틸롤 각 부위의 석출상의 수량과 크기가 불일치하게 되며, 국부영역에서는 석출이 충분하지 않아, 역학적 성능의 균일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석출 강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권취 온도를 500 ~ 700℃ 으로 설계하였으며, 상기 범위는 TiC 가 충분히 석출될 수 있는 온도구간이다. 또한 각각의 열간압연롤이 스트리핑된 후, 인라인 (바람직하게는 20 분 내) 에서 독립적이고, 밀폐된 보온 커버 장치를 신속하게 덮으며, 보온시간은 1 ~ 5 시간이고, 스틸롤의 보온 커버 내에서의 냉각속도는 ≤ 15℃/시간이다. 이렇게 하면 권취 후의 여열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전체 스틸롤의 온도가 균일화되고, TiC 가 충분히 석출 가능한 온도구간에서 적당히 긴 시간 동안 체류할 수 있어, TiC 의 균일하고 충분한 석출을 보장하며, 또한 사이즈가 나노급으로 유지되어, 석출 강화 작용이 최대한 발휘된다. “인라인” 이란, 즉 스틸롤이 스트리핑된 후 가장 빠른 시간에 보온 커버를 덮도록 요구하는 조건이며, 스틸롤이 코일야드로 진입한 후 보온 커버를 덮는 “오프라인” 모드에 비해:① 스틸롤이 TiC 가 충분히 석출 가능한 온도구간에서 보온 커버로 진입하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②“오프라인” 모드에서는, 스틸롤이 보온 커버로 진입하기 전의 이송 과정에서, 코일 내/외부와 엣지부의 온도저하가 중간부에 비해 현저하게 크고, 스틸롤의 전체 온도의 균일성이 좋지 않으며; ③“오프라인” 모드에서는, 스틸롤의 상전이 균일성이 좋지 않고, 국부영역의 TiC 석출이 충분하지 않아, 석출 강화 효과를 균일하게 향상시키기에 불리하다.
(1) 본 발명의 제조공정은, Ti 미세합금화에 스틸롤의 보온 서냉을 결합하여, 전체 스틸롤의 온도를 균일화함으로써, TiC 이 균일하고 충분하게 석출되도록 촉진시키고, 또한 사이즈를 나노급으로 유지시켜,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2) 본 발명은 합리적인 압연 공정 설계를 통해, 혁신적인 권취 후 “단권형 (single roll type)” 보온 서냉 공정을 동시에 결합하여, 인라인, 저비용, 고효율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의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켜, 강도성능 및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은, 스틸롤 적층 서냉 방법을 채택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항복강도는 10 ~ 40 MPa 향상되고, 인장강도는 10 ~ 50 MPa 향상된다.
이하,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표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핵심 공정 파라미터이고, 표 2 는 본 발명의 비교예의 핵심 공정 파라미터이며, 표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스틸롤의 성능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공정흐름은 Ti 첨가량이 ≥ 0.03% 인 슬라브→슬라브 가열→조압연→사상압연→층류냉각→권취→인라인에서 보온 커버 덮기→보온 커버 제거이며, 여기서 핵심 공정 파라미터는 표 1 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비교예의 공정흐름은 Ti 첨가량이 ≥ 0.03% 인 슬라브→슬라브 가열→조압연→사상압연→층류냉각→권취→스틸롤 적층 서냉이며, 여기서 핵심 공정 파라미터는 표 2 를 참조한다.
실시예 스틸롤
두께 (mm)
Ti
첨가량 (%)
가열
온도 (℃)
조압연
온도 (℃)
다듬질 압연
온도 (℃)
권취
온도 (℃)
커버 덮는 시간 (min) 보온시간 (h)
1 1.5 0.086 1255 1113 886 603 20 4
2 4.5 0.090 1261 1116 892 583 16 4
3 1.5 0.072 1261 1118 862 612 10 2
4 6.0 0.077 1245 1037 857 591 38 2
5 2.0 0.060 1249 1082 863 607 21 2
6 2.8 0.034 1258 1094 870 586 17 2
비교예 스틸롤 두께 (mm) Ti 첨가량 (%) 가열온도 (℃) 조압연 온도 (℃) 다듬질 압연 온도 (℃) 권취온도 (℃)
1 1.5 0.086 1251 1117 897 608
2 4.5 0.090 1264 1115 883 582
3 1.5 0.072 1260 1123 861 610
4 6.0 0.077 1243 1042 853 593
5 4.0 0.060 1252 1075 869 601
6 2.8 0.034 1261 1107 874 588
실시예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연신율 (%)
1 792 835 23
2 773 825 22
3 771 813 21
4 636 716 20
5 620 661 26
6 573 672 23
비교예 항복강도 (MPa) 인장강도 (MPa) 연신율 (%)
1 761 788 20
2 754 811 22
3 743 787 22
4 604 695 21
5 587 643 26
6 533 641 22
표 3 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데이터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방법으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을 생산할 경우, 스틸롤 적층 서냉 방법을 채택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항복강도는 10 ~ 40 MPa, 인장강도는 10 ~ 50 MPa 향상되고, 단열 연신율은 양자가 대등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서 제출된 방법이 TiC 의 석출 강화 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재료의 소성지수를 악화시키지 않음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적인 실질과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실시되는 기타 어떠한 변화, 수식, 대체, 조합, 단순화는 모두 등가적인 치환방식이며,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9)

  1. 미세합금원소 Ti 를 첨가한 용강을 주조하여 슬라브를 획득하고, 가열한 후 조압연, 사상압연, 층류냉각과 권취를 거쳐 열간압연롤을 획득하며, 스트리핑 후 인라인에서 보온 커버를 덮어 이송체인을 따라 코일야드로 이동하여 진입시키고, 인라인 보온시간에 도달한 후 보온 커버를 제거하여, 실온으로 공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미세합금원소 Ti 의 함량은 ≥ 0.03 wt% 이고; 상기 권취온도는 500 ~ 700℃ 이며, 상기 인라인에서 보온 커버를 덮는 단계는 각각의 열간압연롤이 스트리핑된 후 60 분 내에 독립적이고, 밀폐된 보온 커버 장치를 개별적으로 덮는 것을 말하며, 상기 인라인 보온시간은 ≥ 60 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합금원소 Ti 의 첨가량은 0.03 ~ 0.10 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의 가열온도는 ≥ 1200℃ 이고, 균일화 가열 시간은 ≥ 60 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가열온도는 1200 ~ 1300℃ 이고, 균일화 가열 시간은 1 ~ 2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압연 온도는 1000 ~ 1200℃ 이고, 3 ~ 8 회 왕복식 압연을 진행하되, 누적 변형량은 ≥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압연은 6 ~ 7 회 연결식 압연을 진행하며, 누적 변형량은 ≥ 80% 이고, 다듬질 압연 온도는 800 ~ 9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열간압연롤이 스트리핑된 후 20 분 내에 보온 커버를 개별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압연롤의 보온 커버 내에서의 냉각속도는 ≤ 15℃/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압연롤의 인라인 보온시간은 1 ~ 5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KR1020207010904A 2017-09-20 2018-09-20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Active KR102452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853613.3A CN107470377A (zh) 2017-09-20 2017-09-20 钢带制造流水线在线保温缓冷装置
CN201710853613.3 2017-09-20
CN201810631903.8A CN110616301B (zh) 2018-06-19 2018-06-19 在线提高Ti微合金化热轧高强钢析出强化效果的生产方法
CN201810631903.8 2018-06-19
PCT/CN2018/106706 WO2019057115A1 (zh) 2017-09-20 2018-09-20 在线提高Ti微合金化热轧高强钢析出强化效果的生产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164A KR20200063164A (ko) 2020-06-04
KR102452599B1 true KR102452599B1 (ko) 2022-10-07

Family

ID=65811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904A Active KR102452599B1 (ko) 2017-09-20 2018-09-20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84406B2 (ko)
EP (1) EP3686292B1 (ko)
JP (1) JP7320513B2 (ko)
KR (1) KR102452599B1 (ko)
WO (1) WO20190571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2118B (zh) * 2016-12-23 2020-04-21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降低钛微合金化高强钢加工硬化效果的冷却工艺
CN113120516A (zh) * 2021-03-22 2021-07-16 广州瑞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刹车制动蹄的输送冷却物流线
CN113231485B (zh) * 2021-05-07 2022-01-28 西安钢研功能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高膨胀合金无焊缝大卷重带材的制备方法
CN114309086B (zh) * 2022-01-05 2024-02-23 湖南华菱涟钢特种新材料有限公司 一种提高Ti强化冷成型高强钢性能均匀性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5004A (ja) * 2014-03-13 2015-10-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6514A (en) 1975-02-10 1976-08-24 Nippon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 high toughness and high tensil steel
JPS61159534A (ja) 1985-01-05 1986-07-19 Nippon Steel Corp 電縫鋼管用熱延鋼帯の製造方法
US4973367A (en) * 1988-12-28 1990-11-27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deep-drawability
US5553475A (en) * 1992-03-27 1996-09-10 Kawasaki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setting errors of clearance between rollers in universal rolling mill, and method for rolling H-shaped steel having favorable flange dimensions utilizing same detecting method
US5803989A (en) * 1994-06-24 1998-09-08 Nippon Stee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non-oriented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high magnetic flux density and low iron loss
US6264769B1 (en) * 1999-05-21 2001-07-24 Danieli Technology, Inc. Coil area for in-line treatment of rolled products
KR101580749B1 (ko) * 2011-07-27 2015-12-28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신장 플랜지성 및 정밀 펀칭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강판과 그 제조 방법
KR101598309B1 (ko) * 2011-07-29 2016-02-2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형상 동결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고강도 아연 도금 강판 및 그들의 제조 방법
CN102363858A (zh) 2011-11-03 2012-02-29 首钢总公司 一种750MPa~880MPa级车辆用高强钢及其生产方法
CN102534141A (zh) 2012-01-31 2012-07-04 首钢总公司 析出强化高强钢在线感应热处理工艺
CN103302255B (zh) * 2012-03-14 2015-10-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薄带连铸700MPa级高强耐大气腐蚀钢制造方法
CN102703812B (zh) 2012-06-27 2013-12-25 攀枝花钢城集团有限公司 钛微合金化500MPa级高强度钢筋及其生产方法
CN102965574B (zh) 2012-12-09 2015-03-11 新余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钛微合金化低屈强比高强度热轧厚钢板及其生产工艺
CN203064459U (zh) 2013-01-15 2013-07-17 无锡亚中智能装备有限公司 车载式硅钢卷恒温装置
CN103114257B (zh) 2013-02-25 2015-02-04 武汉钢铁(集团)公司 具有稳定氧化层免酸洗高强大梁用钢及其制造方法
US10202667B2 (en) 2013-06-27 2019-02-12 Jfe Steel Corporation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694822B (zh) 2013-12-06 2017-11-17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屈服强度700MPa级高强度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CN104087839B (zh) 2014-07-18 2016-05-25 武汉钢铁(集团)公司 热轧超薄激光焊接锯片基体用钢及生产方法
CN104438326B (zh) 2014-10-17 2017-04-12 武汉钢铁(集团)公司 薄板坯连铸连轧中高碳钢的轧制工艺
KR101967692B1 (ko) * 2014-12-25 2019-04-10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심정에 사용되는 컨덕터 케이싱용 고강도 후육 전봉 강관, 그의 제조 방법 및 심정에 사용되는 고강도 후육 컨덕터 케이싱
JP6085348B2 (ja) * 2015-01-09 2017-02-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めっき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6202012B2 (ja) 2015-02-03 2017-09-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CN206447906U (zh) 2017-01-05 2017-08-29 鞍钢集团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式缓冷间
CN107470377A (zh) 2017-09-20 2017-12-15 上海贺力液压机电有限公司 钢带制造流水线在线保温缓冷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5004A (ja) * 2014-03-13 2015-10-0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6292A4 (en) 2020-11-11
EP3686292B1 (en) 2024-11-20
WO2019057115A1 (zh) 2019-03-28
US11384406B2 (en) 2022-07-12
US20200232054A1 (en) 2020-07-23
JP7320513B2 (ja) 2023-08-03
KR20200063164A (ko) 2020-06-04
JP2020534439A (ja) 2020-11-26
EP3686292A1 (en)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599B1 (ko) 인라인에서 Ti 미세합금화 열간압연 고강도강 석출 강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생산방법
CN101713046B (zh) 纳米析出相强化及控制的超细晶粒马氏体钢的制备方法
EP3702477A1 (en) Method for producing ultra high strength martensitic cold-rolled steel sheet by means of ultra fast heating process
CN104593695B (zh) 热轧高强低镍铜比厚规格耐候钢及其生产方法
KR20150108396A (ko) 초고강도 냉간 압연 내후성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17654A (ko) 700 MPa-급 고강도 내후성 강으로부터 얇은 철강 스트립을 연속 주조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
KR20140119169A (ko) 스트립 주조 550 MPa-급 고강도 대기 내식성 강철 스트립 제조방법
CN102747281B (zh) 罩式退火if钢的生产方法
CN110093559A (zh) 基于碳锰协同配分的淬火-回火配分钢板及制备方法
CN107164690A (zh) 一种基于薄带连铸制备{100}面发达织构无取向硅钢薄带的方法
CN105331890B (zh) 一种在线淬火生产高韧性5Ni钢中厚板的方法
CN105543693B (zh) 一种因瓦钢带的深冷轧制方法
CN102605293A (zh) 低温韧性优异的非调质低裂纹敏感性钢板及其生产方法
CN115491596A (zh) 一种590MPa增强塑性双相钢及其制备方法
CN109680223A (zh) 一种易切削高强度复相非调质钢制备方法
KR101113666B1 (ko) 초고강도 트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6636899A (zh) 一种1000MPa级高扩孔型冷轧贝氏体钢的制造方法
CN105543666A (zh) 一种屈服强度960MPa汽车大梁钢及其生产方法
CN110616301B (zh) 在线提高Ti微合金化热轧高强钢析出强化效果的生产方法
KR101080727B1 (ko) 초고강도 트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8796377B (zh) 一种高扩孔性能高强钢的制备方法
CN105132815A (zh) 高强度大尺寸螺栓用冷镦钢及其生产方法
CN105483537B (zh) 平面各向同性优良屈服强度为180MPa级别的冷轧冲压用钢及其制造方法
KR20200063163A (ko) 고강도 q&p강 열간압연롤의 연화방법
KR100419046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 강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